KR20120065245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245A
KR20120065245A KR1020110130692A KR20110130692A KR20120065245A KR 20120065245 A KR20120065245 A KR 20120065245A KR 1020110130692 A KR1020110130692 A KR 1020110130692A KR 20110130692 A KR20110130692 A KR 20110130692A KR 20120065245 A KR20120065245 A KR 20120065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creen processing
threshold matrix
data obtained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092B1 (ko
Inventor
요이찌 가시부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generating or processing printable items, e.g.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04N1/4072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dependent on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04N1/4092Edge or detail enhan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or, Grad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에 스크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1 스크린 처리 수단과, 제2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스크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2 스크린 처리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에지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에지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에지 검출 수단에 의해 에지부로서 검출된 화소에 대해,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 사이의 논리합 연산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에지부 이외의 화소에 대해,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하프톤(halftone) 처리가 실시된 화상의 에지부(edge portion)의 재기(jaggy)를 저감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동안에 행해지는 화상 처리시, 문자 등의 에지부에 고르지 않은 윤곽(재기)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재기는, 특히 스크린 처리 등의 하프톤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에 발생한다.
스크린 처리 등의 하프톤 처리에 의해 야기되는 재기를 저감시키기 위한 몇몇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99080호는, 스크린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와 스크린 처리 전의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지부에서의 오브젝트(object)의 윤곽을 강조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서, 화소가 오브젝트의 에지부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화소가 에지부인 경우에는, 스크린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에 도트가 출력되는지 여부가 더 판정된다. 도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린 처리 전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값이 출력된다. 스크린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에 도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스크린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전술된 방법은, 화소당 복수의 계조(tone)를 표현할 수 있는 다치(multilevel) 프린터에 대해서는 유효하다. 그러나, 화소당 단 2 계조만 표현할 수 있는 2치(binary) 프린터는 화상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색의 오브젝트에 대해 에지부 윤곽을 강조했을 때, 스크린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에 도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스크린 처리 전의 데이터로부터 2치값이 얻어지므로, 항상 최대값이 출력되게 된다. 이 때문에, 에지부의 윤곽을 강조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의 색의 농도에 관계없이, 오브젝트가 최대 농도의 균일한 중실(solid) 윤곽을 갖게 되어,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처리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스크린 처리에 의해 야기되는 재기를 저감시키는 처리에서, 도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는 복잡하다. 따라서, 낮은 성능의 환경에서는 충분한 처리 속도를 얻는 것이 불가능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하프톤 화상 데이터의 스크린 처리에 의해 야기되는 에지부의 재기를 저감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임계값 매트릭스(threshold matrix)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에 스크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1 스크린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임계값 매트릭스와 상이한 제2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스크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2 스크린 처리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에지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에지 검출 수단과; 상기 에지 검출 수단에 의해 에지부로서 검출된 화소에 대해,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 사이의 논리합 연산(logical OR operation)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에지부 이외의 화소에 대해,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처리 방법은, 제1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에 스크린 처리를 실시하는 제1 스크린 처리 단계와; 상기 제1 임계값 매트릭스와 상이한 제2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스크린 처리를 실시하는 제2 스크린 처리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에지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 단계와; 상기 에지 검출 단계에서 에지부로서 검출된 화소에 대해,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단계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스크린 처리 단계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 사이의 논리합 연산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에지부 이외의 화소에 대해,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단계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유닛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2치 스크린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처리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농도 40%의 화상 오브젝트).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처리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농도 50%의 화상 오브젝트).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처리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유닛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
도 9는 다치 스크린 처리(비에지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다치 스크린 처리(에지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오브젝트의 처리 결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인쇄 품질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로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예로 들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특히 스크린 처리에 의해 2치(1비트 계조)의 화상(스크린 처리된 화상 데이터)을 생성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 구성>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종 제어 및 화상 처리를 행하는 컨트롤러(101)와, 각종 셋업(setup)을 행하는 조작 유닛(103)을 포함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인쇄 용지 시트에 가시화된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유닛(102)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 인쇄의 실행을 지시하는 퍼스널 컴퓨터(PC)(105) 등이 네트워크(104)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다. PC(105)로부터 인쇄 실행 지시를 수신하면, 컨트롤러(101)는, 송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래스터화(rasterize)시키고, 후술되는 화상 처리를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유닛(102)으로 송신한다.
도 2는 중간 전사재(208)를 채용한 탠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의 프린터 유닛(102)의 동작을 설명한다. 프린터 유닛(102)은, 컨트롤러(10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광 시간 동안 노광 광을 구동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를 현상하여 단색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단색 토너 화상은 겹쳐져서 다색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다색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201)에 전사되고, 그 후에 기록 매체에 정착된다. 대전 유닛은,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스테이션(station) 각각에 감광 부재(202Y, 202M, 202C, 202K)를 대전시키도록 구성된 4개의 주입 대전기(203Y, 203M, 203C, 203K)를 포함한다. 주입 대전기는 슬리브(203YS, 203MS, 203CS, 203KS)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감광 부재(202Y, 202M, 202C, 202K) 각각은 알루미늄 실린더의 외측면에 유기 광도전층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고, 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을 때 회전 가능하다. 구동 모터는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감광 부재(202Y, 202M, 202C, 202K)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노광 유닛은, 감광 부재(202Y, 202M, 202C, 202K)에 스캐너 유닛(204Y, 204M, 204C, 204K)으로 노광 광을 각각 조사하고, 각각의 감광 부재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노광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현상 유닛은, 정전 잠상을 가시화하기 위해, 스테이션에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을 각각 현상하는 4개의 현상기(206Y, 206M, 206C, 206K)를 포함한다. 현상기는 슬리브(206YS, 206MS, 206CS, 206KS)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현상기(206Y, 206M, 206C, 206K)은 탈착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전사 유닛은 감광 부재(202)로부터 중간 전사재(208)에 단색 토너 화상을 전사하기 위해 중간 전사재(208)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감광 부재(202Y, 202M, 202C, 202K)와, 그 대향측에 위치된 1차 전사 롤러(207Y, 207M, 207C, 207K)가 회전함에 따라, 단색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1차 전사 롤러(207)에 적절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고, 중간 전사재(208)의 회전 속도와 상이한 회전 속도로 감광 부재(202)가 회전됨으로써, 단색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재(208) 상에 효율적으로 전사한다(이러한 처리를 1차 전사라고 부른다).
또한, 전사 유닛은 스테이션에서 단색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재(208) 상에 겹치게 하고, 겹쳐진 다색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재(208)의 회전에 따라 2차 전사 롤러(209)로 반송한다. 전사 유닛은 기록 매체(201)를 급지 트레이(200)로부터 2차 전사 롤러(209)로 협지 반송하고, 중간 전사재(208)로부터 기록 매체(201)로 다색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 2차 전사 롤러(209)에 적절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정전적으로 토너 화상을 전사한다(이러한 처리를 2차 전사라고 부른다). 2차 전사 롤러(209)는, 다색 토너 화상의 전사 동안 기록 매체(201)에 대해 접촉하도록 위치(209a)에 위치되고, 그리고 처리 후에는 위치(209b)로 후퇴한다.
정착 유닛은, 기록 매체(201)에 전사된 다색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201)에 용융 정착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201)를 가열하는 정착 롤러(212)와, 기록 매체(201)를 정착 롤러(212)에 대해 가압하는 가압 롤러(213)를 포함하고 있다. 정착 롤러(212)와 가압 롤러(213)는 중공(hollow)이고, 각각 히터(214, 215)를 내장하고 있다. 정착 디바이스(211)는, 정착 롤러(212)와 가압 롤러(213)가 다색 토너 화상을 유지한 기록 매체(201)를 반송하고, 열 및 압력을 가하게 하여, 토너를 기록 매체(201) 상에 정착시킨다.
토너를 정착시킨 후에, 기록 매체(201)가 배출 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배출 트레이 상으로 배출됨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을 종료한다. 클리닝 유닛(210)은 잔류 토너를 제거함으로써 중간 전사재(208)를 클리닝한다. 중간 전사재(208) 상에 형성된 4색의 다색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201)에 전사한 후에 남은 폐 토너는, 클리너 용기에 저장된다.
<화상 처리 유닛의 동작>
도 3은 컨트롤러(101) 내의 화상 처리 유닛(300)의 기능 블록도이다. 화상 생성 유닛(301)은 전술된 PC(105)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데이터로부터, 인쇄 가능한 비트맵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인쇄 데이터는, 페이지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PDL(Page Description Language)이라고 불리는 프린터 기술 언어로 통상적으로 기술되며, 보통 문자, 그래픽스, 화상 등의 데이터의 래스터화 지시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인쇄 데이터는 해석되어 래스터화됨으로써 비트맵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 생성 유닛(301)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가 RGB 색 공간 내의 화상 데이터이고, CMYK의 4색의 색재(color material)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가 프린터 유닛(102)에 입력되는 경우, 색 변환 유닛(302)은 RGB 색 공간을 CMYK 색 공간으로 변환하는 색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색 변환 유닛(302)은,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참조함으로써 다이렉트 맵핑(direct mapping)을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RGB 색 공간으로부터 CMYK 색 공간으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데이터를 CMYK 색 공간으로 변환한 후에, 색 변환 유닛(302)은 감마 보정 유닛(303), 에지 판정 유닛(305) 및 에지 감마 보정 유닛(306)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감마 보정 유닛(303)은, 후술되는 스크린 처리 유닛(304)의 스크린 처리를 받은 화상 데이터가 인쇄 용지 시트에 전사되었을 때 원하는 농도 특성을 얻도록,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1차원의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정한다. 농도 특성은 후술되는 스크린 처리 유닛(304)의 스크린의 선수, 각도, 형상 등에 따라 변화되므로, 보정을 위해 이용되는 룩업 테이블은 스크린과 연관되어 유지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스크린 처리 유닛(304)은,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유닛(102)에 의해 인쇄 가능한 2치(1비트)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스크린 처리를 행하고,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합 연산 유닛(308)과 셀렉터(309)로 출력한다.
에지 감마 보정 유닛(306)은, 감마 보정 유닛(303)과 마찬가지로, 후술되는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의 스크린이 원하는 농도 특성을 얻도록,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1차원의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보정한다. 에지 감마 보정 유닛(306)의 1차원의 룩업 테이블을 변형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재기 저감 효과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제어가 가능하다.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은,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마찬가지로, 화상 데이터를, 1비트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스크린 처리를 행하고,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합 연산 유닛(308)으로 출력한다.
합 연산 유닛(308)은, 스크린 처리 유닛(304) 및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으로부터 수신하는 2개의 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화소에 대해, 비트 단위의 논리합 연산을 행하고, 그 결과를 셀렉터(309)로 출력한다. 즉, 스크린 처리 유닛(304) 및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으로부터 수신되는 2개의 화상 데이터의 대응하는 화소 중 적어도 하나가 값 "1"을 가지면, 합 연산 유닛(308)은 "1"을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양자의 화소가 값 "0"을 가지면, 합 연산 유닛(308)은 "0"을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에지 판정 유닛(305)(에지 검출 유닛)은 색 변환 유닛(302)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지부를 판정하고,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에 대응하여 에지부/비에지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셀렉터(309)로 송신한다.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에 대해서, 주위 화소를 포함하는 3×3 화소 영역이 취득되고, 그 영역 내의 최대값 및 최소값이 얻어진다. 상기 차이의 절대값이 소정의 값보다 큰 경우에는, 화소가 에지부로서 판정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화소가 에지부가 아니라고 판정된다. 따라서, 전술된 신호가 생성된다. 에지 판정 유닛(305)이 3×3 화소 영역 내에서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의 절대값에 기초하여 에지부를 판정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와 주위 화소 사이의 1차 미분을 구함으로써 화소가 에지부인지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지 판정 유닛(305)은, 화상 생성 유닛(301)에 의해 인쇄 데이터(PDL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를 이용하여 에지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셀렉터(309)는, 에지 판정 유닛(305)으로부터 출력되는 에지부/비에지부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2개의 화상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를 프린터 유닛(102)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의 화소가 에지부인 경우에는, 셀렉터(309)는 합 연산 유닛(308)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화소가 에지부가 아닌 경우에는, 셀렉터(309)는 스크린 처리 유닛(304)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CPU(310)는 ROM(311)에 유지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각의 기능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화상 처리 유닛(3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RAM(312)은 CPU(310)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RAM(312)은 감마 보정 유닛(303)과 에지 감마 보정 유닛(306)에 의해 이용되는 1차원의 룩업 테이블과,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에 의해 이용되는 (후술되는) 임계값 매트릭스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감마 보정 유닛(303) 및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에지 감마 보정 유닛(306) 및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이 병렬로 동작하고, 합 연산 유닛(308)은 항상 동작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에지 판정 유닛(305)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가 에지부가 아닌 경우에는, 감마 보정 유닛(303)과 스크린 처리 유닛(304)만이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유닛(102)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 때,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가 에지부인 경우에만, 에지 감마 보정 유닛(306),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 및 합 연산 유닛(308)도 동작되어 합 연산 유닛(308)의 처리 결과를 프린터 유닛(102)으로 출력한다.
프린터 유닛(102)은 전술한 설명에서 1비트 화상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물론 4비트 화상 데이터와 같은 다치 화상 데이터의 인쇄가 가능한 프린터 유닛에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화상 처리 유닛(300)의 스크린 처리 유닛(304),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 및 합 연산 유닛(308)은 프린터 유닛(102)에 대응하는 비트 수의 화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스크린 처리의 동작>
2치(1비트) 화상을 생성하는 스크린 처리의 임계값 매트릭스가 우선 설명된다. 도 4는 스크린 처리 유닛(304)(제1 스크린 처리 수단)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제2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2치 스크린 처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2치 스크린 처리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프린터 유닛(102)에 의해 인쇄 가능한 1비트(즉, 2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임계값 매트릭스는 폭 M과 높이 N을 갖는 매트릭스에서 M×N 임계값을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스크린 처리에서, 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화소에 대응하는 임계값은 임계값 매트릭스로부터 판독되고, 화소값은 임계값과 비교된다. 화소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1"이 출력된다. 그렇지 않으면, "0"이 출력된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는 1비트 데이터로 변환된다. 임계값 매트릭스는 화상 데이터의 수평 방향으로 M 화소의 주기 및 수직 방향으로 N 화소의 주기로, 타일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적용된다. 스크린 처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소정의 주기로 화상 데이터를 2치화하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5 및 도 6은 스크린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야기된 화상 변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40%의 시안 농도를 갖는 중간 색 오브젝트(501)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500a)와, 50%의 시안 농도를 갖는 오브젝트(601)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600a)가 색 변환 처리 후의 스크린 처리 대상인 CMYK 색 공간 화상 데이터의 예로서 도시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화상 데이터(500b, 600b)는 오브젝트(501, 601)에 감마 보정 처리와 스크린 처리를 적용하여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134.16라인/인치의 스크린 선수(분해능)와 63.43°의 스크린 각도를 갖는 임계값 매트릭스(제1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스크린 처리를 적용하는 예가 도시된다. 이들 화상 데이터는 스크린 처리에 의해 1비트 하프톤 도트(halftone dot)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오브젝트(501 또는 601)의 에지부에 재기라고 지칭되는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브젝트 형상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500c, 600c)는, 에지 판정 유닛(305)이 화상 데이터(500a, 600a)로부터 에지부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이러한 경우, 에지 판정 유닛(305)은, 3×3 화소 영역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의 절대값이 25%의 농도에 대응하는 값보다 큰 경우에, 화소가 에지부라고 판정한다. 그 결과, 에지 판정 유닛(305)은, 오브젝트(501, 601) 주변의, 1화소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외주부를 에지부(502, 602)로서 판정한다.
화상 데이터(500d, 600d)는 화상 데이터(500a, 600a)에 대하여 에지 감마 보정 처리와 에지 스크린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424.26라인/인치의 스크린 선수와 45°의 스크린 각도를 갖는 임계값 매트릭스(제2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스크린 처리를 적용하는 예가 도시된다. 즉,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에 의해 사용되는 임계값 매트릭스는 에지부의 재기를 저감시키기 위해 높은 분해능이 필요하고, 따라서 스크린 처리 유닛(304)에 의해 사용되는 임계값 매트릭스보다 높은 스크린 선수를 갖도록 구성된다.
화상 데이터(500e)는 합 연산 유닛(308)이 화상 데이터(500b, 500d) 사이에서 화소 단위로 논리합을 연산하도록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유사하게, 화상 데이터(600e)는 합 연산 유닛(308)이 화상 데이터(600b, 600d) 사이에서 화소 단위로 논리합을 연산하도록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화상 데이터(500f)는, 에지 판정 유닛(305)에 의해 판정된 에지부(502)에 기초하여 셀렉터(309)가 화소 단위로 화상 데이터(500b, 500e)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구체적으로, 셀렉터(309)는 에지부(502)에 대응하는 화소에서는 화상 데이터(500e)를, 그렇지 않으면 화상 데이터(500b)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유사하게, 화상 데이터(600f)는 에지 판정 유닛(305)에 의해 판정된 에지부(602)에 기초하여 셀렉터(309)가 화소 단위로 화상 데이터(600b, 600e)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구체적으로, 셀렉터(309)는 에지부(602)에 대응하는 화소에서는 화상 데이터(600e)를, 그렇지 않으면(에지부에 대응하지 않는 화소에서) 화상 데이터(600b)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효과의 설명>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처리가 화상 데이터(500a, 600a)에 적용되면, 화상 데이터(500f, 600f)가 얻어진다. 한편, 도 7은 2치 프린터에서의 재기를 저감시키기 위해 소정의 농도로 에지부에 윤곽 강조가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화상 데이터(700a)는 소정의 농도로 오브젝트(501)의 에지부에 대해 윤곽 강조를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화상 데이터(700b)는 소정의 농도로 오브젝트(601)의 에지부에 대해 윤곽 강조를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즉, 오브젝트(501, 601) 사이의 농도차에 관계없이, 1비트 프린터는 상이한 계조를 이용하여 에지부에 대해 윤곽 강조를 행할 수 없고, 각각의 오브젝트는 최대 농도의 중실 윤곽을 갖는다. 이 때문에,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처리 결과가 얻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처리는, 매우 단순한 구성이지만, 화상 데이터(500f, 600f)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500b, 600b)에 비해 재기가 저감된다. 또한, 오브젝트(501 또는 601)의 농도에 따라 에지부의 농도는 단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상 데이터(700a, 700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중실 윤곽이 나타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스크린 처리중에 생성된 중간 색 오브젝트의 에지부에서 재기를 저감시키고, 매우 단순한 구성에 의해 오브젝트 형상의 재현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2치 프린터에서도, 오브젝트의 농도에 따라,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에지부의 재기를 적절히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스크린 처리에 의해 16계조(4비트) 화상을 생성하는 처리가 설명된다. 제2 실시예는 화상 처리 유닛(300)의 일부만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만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유닛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프린터 유닛(102)은 4비트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은 후술하는 다치 스크린 처리를 행하여, 감마 보정 유닛(303)과 에지 감마 보정 유닛(306)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4비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합 연산 유닛(308)은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으로부터 출력된 2개의 4비트 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화소에 대해 비트 단위로 논리합을 연산하고, 그 결과를 셀렉터(309)로 출력한다. 셀렉터(309)는, 화소가 에지부인지 여부를 나타내도록 에지 판정 유닛(305)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PWM(801)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PWM(801)은 수신된 4비트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유닛(102)의 노광 시간으로 변환하여 이를 프린터 유닛(102)으로 출력한다.
<스크린 처리의 동작>
우선, 16계조(4비트) 화상을 생성하는 스크린 처리의 임계값 매트릭스를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스크린 처리 유닛(304) 및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에 의해 행해지는 스크린 처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이러한 처리는 화상을 15(=24-1) 임계값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임계값 매트릭스 그룹을 이용하여 프린터 유닛(102)에 의해 인쇄 가능한 4비트(즉, 16계조) 화상으로 변환한다.
각각의 임계값 매트릭스는, 폭 M, 높이 N을 갖는 매트릭스에 M×N 임계값을 배열함으로써 형성된다. 임계값 매트릭스 그룹에 포함되는 임계값 매트릭스의 수는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계조의 수[L비트용으로는 2L 계조(L은 2 이상의 정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매트릭스의 수는 (2L-1) 이다. 스크린 처리에서,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임계값은 임계값 매트릭스의 각 면으로부터 판독되고, 화소값은 면의 수와 동일한 수의 임계값과 비교된다.
16계조의 경우에, 레벨 1 내지 레벨 15는 임계값 매트릭스용으로 설정된다. 화소값이 임계값과 같거나 크면, 임계값이 판독되는 매트릭스의 레벨에서의 최대값이 출력된다. 그렇지 않으면, "0"이 출력된다. 따라서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의 화소값은 4비트 값으로 변환된다. 임계값 매트릭스는 화상 데이터의 수평 방향으로 M 화소의 주기 및 수직 방향으로 N 화소의 주기로, 타일 패턴으로 반복적으로 적용된다.
스크린 처리 유닛(30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톤 도트 주기가 강하게 나타나는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한다. 즉, 계조값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하프톤 도트의 성장이 면적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하프톤 도트의 성장보다 우선하도록 임계값이 주어진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어진 화소가 최대 레벨로 성장한 후에, 인접한 화소가 하프톤 도트가 집중되도록 하는 레벨 방향으로 마찬가지로 성장한다. 특징으로서, 임계값 매트릭스 그룹이 강한 하프톤 도트 패턴을 나타내고 따라서 낮은 분해능을 갖는 방식으로 설정되더라도, 도트 집중형 때문에 계조 특성은 안정적이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임계값 매트릭스 그룹은 이하에서 도트 집중형 임계값 매트릭스로 지칭된다.
한편,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적으로 하프톤 도트의 주기가 나타나기 어려운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한다. 즉, 도트 집중형 임계값 매트릭스와는 달리, 면적의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하프톤 도트 성장을 계조값의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하프톤 도트 성장보다 우선하도록 임계값이 주어진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어진 화소가 최대 레벨로 성장하기 전에, 하프톤 도트의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하프톤 도트의 화소는 성장한다. 특징으로서, 임계값 매트릭스가 주기성이 나타나기 어렵고 분해능이 높기 때문에 오브젝트 형상을 보다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더라도, 계조 특성은 불안정하다. 이러한 임계값 매트릭스는 이하 평탄형 임계값 매트릭스라고 지칭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예를 들어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에 의해 사용되는 임계값 매트릭스가 스크린 처리 유닛(304)에 의해 사용되는 임계값 매트릭스와 동일한 스크린 선수와 스크린 각도를 갖는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평탄형 임계값 매트릭스이면, 높은 스크린 선수 또는 상이한 스크린 각도를 갖는 임계값 매트릭스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스크린 처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소정의 주기를 갖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보다 작은 계조를 갖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스크린 처리의 동작>
도 11은 스크린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야기된 화상의 변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40%의 시안 농도를 갖는 중간 색 오브젝트(501)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1100a)가 색 변환 처리 후의 스크린 처리 대상인 CMYK 색 공간 화상 데이터의 예로서 도시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화상 데이터(1100b)는 오브젝트(501)에 감마 보정 처리와 스크린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얻어진 4비트 화상 데이터의 예이다. 134.16라인/인치의 스크린 선수와 63.43°의 스크린 각도를 갖는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스크린 처리를 적용하는 예가 도시된다. 화소(1101)는 스크린 처리에 의해 4비트 값 "1"로 변환된다. 화소(1102)는 최대 4비트 값 "15"로 변환된다. 화상 데이터는 스크린 처리에 의해 4비트 하프톤 도트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오브젝트(501)의 에지부에서 재기라고 지칭되는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브젝트 형상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1100c)는, 에지 판정 유닛(305)이 화상 데이터(1100a)로부터 에지부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이러한 경우, 에지 판정 유닛(305)은, 3×3 화소 영역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차이의 절대값이 25%의 농도에 대응하는 값보다 큰 경우, 화소가 에지부라고 판정한다. 그 결과, 에지 판정 유닛(305)은 오브젝트(501) 주변의, 1화소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외주부를 에지부(502)로서 판정한다.
화상 데이터(1100d)는 오브젝트(501)에 대하여 에지 감마 보정 처리와 에지 스크린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화소값은 4비트(0 내지 15)로 나타내어진다. 화소(1103)는 4비트 값 "6"으로 변환된다. 화소(1104)는 4비트 값 "5"로 변환된다.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은 스크린 선수와 스크린 각도에 대해서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동일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은 스크린 처리 유닛(304)에 의해 사용되는 임계값 매트릭스(도트 집중형 임계값 매트릭스)와는 상이한 평탄형 임계값 매트릭스를 사용한다.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에 의해 사용되는 임계값 매트릭스의 임계값은 에지부에서 재기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높은 분해능이 필요하기 때문에,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야기되는 하프톤 도트 성장을 계조값을 증가시킴으로써 야기되는 하프톤 도트 성장보다 우선하도록 주어진다.
화상 데이터(1100e)는 합 연산 유닛(308)이 화상 데이터(1100b, 1100d) 사이에서 화소 및 계조 비트 단위로 논리합을 연산하도록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화소(1105)는 화소(1101, 1103) 사이에서 비트 단위로 논리합을 연산함으로써 4비트 값 "7"로 변환된다. 화소(1106)는 화소(1102, 1104) 사이에서 비트 단위로 논리합을 연산함으로써 4비트 값 "15"로 변환된다.
화상 데이터(1100f)는, 셀렉터(309)가 에지 판정 유닛(305)에 의해 판정된 에지부(502)에 기초하여 화소 단위로 화상 데이터(1100b, 1100e)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얻어진 결과의 예이다. 구체적으로는, 셀렉터(309)는 에지부(502)에 대응하는 화소에 대해 화상 데이터(1100e)를, 그렇지 않으면 화상 데이터(1100b)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그 결과,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처리에서는, 구성이 매우 단순하더라도, 화상 데이터(1100f)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1100b)에 비해 재기가 저감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 스크린 처리에서 발생되는 중간 색 오브젝트의 에지부에서의 재기를 저감시키고 오브젝트 형상의 재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하프톤 도트 면적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성장하는 평탄형 임계값 매트릭스가 에지 스크린 처리에서 사용된다. 이는 제1 실시예에 비해 오브젝트의 에지부의 재현성을 개선시키도록 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출력 비트 수가 인쇄를 위해 1비트와 4비트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경우가 설명된다. 제3 실시예는 도 8의 화상 처리 유닛(300)의 일부만이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지칭하고, 상이한 부분만이 이하에서 설명된다.
제3 실시예에서,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은, 조작 유닛(103) 또는 PC(105)로부터 지정된 인쇄 품질 설정에 따라 2치 또는 다치 사이에서 전술한 스크린 처리를 전환하면서, 화상 데이터를 변환한다. RAM(312)은, 2치 및 다치 스크린 처리에 대응하여,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에 의해 사용되는 임계값 매트릭스 세트를 저장한다. 스크린 처리 동작 중 하나에 대한 임계값 매트릭스가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에서 설정된다.
합 연산 유닛(308)은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비트수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각 화소에 대해 비트 단위로 논리합을 연산하고, 그 결과를 셀렉터(309)로 출력한다. PWM(801)은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유닛(102)의 노광 시간으로 변환하고, 이를 프린터 유닛(102)으로 출력한다. 1비트 화상 데이터에서, 화소값 "1"은 최대 노광 시간으로 변환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도 12는 인쇄 품질 설정을 변경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크린 처리 유닛(304)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은 1비트를 표준 인쇄 품질로, 그리고 4비트를 고계조 품질로 동작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스텝 S1201에서, 조작 유닛(103) 또는 PC(105)로부터 인쇄 품질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 CPU(310)는 인쇄 품질이 표준인지 또는 고계조 품질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쇄 품질이 표준이면, 처리는 스텝 S1202로 진행한다.
스텝 S1202에서, CPU(310)는 RAM(312)으로부터 1비트 처리용 임계값 매트릭스를 판독하고, 이를 스크린 처리 유닛(304)에 설정한다. 스텝 S1203에서, CPU(310)는 RAM(312)으로부터 1비트 처리용 임계값 매트릭스를 판독하고, 이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에 설정한다. 이때 설정되는 임계값 매트릭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 처리 유닛(304)에서 설정된 임계값 매트릭스보다 높은 스크린 선수를 갖는다.
한편, 스텝 S1201에서 인쇄 품질이 고계조 품질이면, 처리는 스텝 S1204로 진행한다. CPU(310)는 RAM(312)으로부터 4비트 처리용의 도트 집중형 임계값 매트릭스를 판독하여, 이를 스크린 처리 유닛(304)에 설정한다. 스텝 S1205에서, CPU(310)는 RAM(312)으로부터 4비트 처리용의 평탄형 임계값 매트릭스를 판독하고, 이를 에지 스크린 처리 유닛(307)에 설정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1비트 스크린 처리와 4비트 스크린 처리 사이의 전환은 사용자가 원하는 계조 품질에 따라 행해진다. 사용자가 고계조(고품질) 출력 화상을 원하면, 4비트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사용자가 저계조(표준 품질)을 선택한 경우에도, 중간 색 오브젝트의 에지부에서 발생되는 재기를 저감시키고 오브젝트의 재현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양태는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행하기 위해 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등가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광의의 해석을 따라야 한다.

Claims (11)

  1. 제1 임계값 매트릭스(threshold matrix)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에 스크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1 스크린 처리 수단과,
    상기 제1 임계값 매트릭스와 상이한 제2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스크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2 스크린 처리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브젝트(object)의 에지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에지 검출 수단과,
    상기 에지 검출 수단에 의해 에지부로서 검출된 화소에 대해,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 사이의 논리합 연산(logical OR operation)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에지부 이외의 화소에 대해,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스크린 선수(screen ruling)는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스크린 선수보다 높은,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분해능(resolving power)은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분해능보다 높은, 화상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 매트릭스와 상기 제2 임계값 매트릭스 각각은 도트 집중형(dot-concentrated) 임계값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 매트릭스는 도트 집중형 임계값 매트릭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임계값 매트릭스는 평탄형 임계값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에서의 상기 논리합 연산은,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의 각각의 화소에 대한 비트 단위의 논리합 연산인, 화상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 상기 논리합 연산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 각각은 2치(binary) 화상 데이터인, 화상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수단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 상기 논리합 연산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 각각은 L비트(L은 2 이상의 정수)의 화상 데이터인, 화상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인쇄 품질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인쇄 품질이 1비트 계조(tone)인 경우, 상기 제1 임계값 매트릭스와 상기 제2 임계값 매트릭스 각각으로서 1비트의 임계값 매트릭스가 설정되고,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인쇄 품질이 L비트(L은 2 이상의 정수)의 계조의 경우, 상기 제1 임계값 매트릭스와 상기 제2 임계값 매트릭스 각각으로서 L비트의 임계값 매트릭스가 설정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1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에 스크린 처리를 실시하는 제1 스크린 처리 단계와,
    상기 제1 임계값 매트릭스와 상이한 제2 임계값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에 스크린 처리를 실시하는 제2 스크린 처리 단계와,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오브젝트의 에지부를 검출하는 에지 검출 단계와,
    상기 에지 검출 단계에서 에지부로서 검출된 화소에 대해,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단계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스크린 처리 단계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 사이의 논리합 연산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에지부 이외의 화소에 대해, 상기 제1 스크린 처리 단계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방법.
  11. 컴퓨터를 제1항에 기재된 화상 처리 장치의 각각의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
KR1020110130692A 2010-12-10 2011-12-08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1449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6390A JP5055418B2 (ja) 2010-12-10 2010-12-10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JP-P-2010-276390 2010-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245A true KR20120065245A (ko) 2012-06-20
KR101449092B1 KR101449092B1 (ko) 2014-10-08

Family

ID=4509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692A KR101449092B1 (ko) 2010-12-10 2011-12-08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49851B2 (ko)
EP (1) EP2464092B1 (ko)
JP (1) JP5055418B2 (ko)
KR (1) KR101449092B1 (ko)
CN (1) CN102572202B (ko)
BR (1) BRPI1105729B1 (ko)
MY (1) MY158787A (ko)
RU (1) RU2491753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7570B2 (ja) * 2011-03-07 2015-07-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6456013B2 (ja) 2013-04-08 2019-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ィザ処理を行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03490B2 (ja) * 2014-08-20 2018-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15545B2 (ja) 2014-11-11 2017-04-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70053513A (ko) * 2015-11-06 2017-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613115B2 (ja) * 2015-11-19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JP6833552B2 (ja) 2017-02-16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
JP2019022153A (ja) * 2017-07-20 2019-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ディザマトリクス、及びディザマトリクス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54822T2 (de) * 1987-03-16 1996-05-23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Gerät zur Bildkonturentdeckung
JPH0376377A (ja) * 1989-08-17 1991-04-02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JP3226580B2 (ja) * 1991-11-25 2001-11-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SE9504016L (sv) * 1995-11-13 1997-05-14 Forskarpatent I Linkoeping Ab Rastreringsförfarande
JPH11196271A (ja) * 1997-10-30 1999-07-21 Minolta Co Ltd 画像データ変換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画像データ変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178011B1 (en) * 1998-03-24 2001-01-23 Hewlett-Packard Company Adaptive image resolution enhancement technology
US6968082B2 (en) * 2001-09-06 2005-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solution dependent image compression
US7336400B2 (en) * 2002-10-31 2008-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forming an input image to produce an output image
JP4189467B2 (ja) * 2004-05-27 2008-12-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501791B2 (ja) * 2005-06-17 2010-07-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7719719B2 (en) * 2006-09-18 2010-05-18 Xerox Corporation Sharpening a halftoned image
JP4779987B2 (ja) 2007-02-08 2011-09-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RU2325044C1 (ru) * 2007-02-21 2008-05-20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женерной экологии Градиентный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контуров объектов на матрице полутонового растров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JP2009134583A (ja) * 2007-11-30 2009-06-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905403B2 (ja) * 2008-03-31 2012-03-2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111268B2 (ja) 2008-07-09 2013-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2202B (zh) 2016-03-02
RU2011150229A (ru) 2013-06-20
EP2464092B1 (en) 2016-06-29
MY158787A (en) 2016-11-15
EP2464092A1 (en) 2012-06-13
BRPI1105729B1 (pt) 2021-03-16
KR101449092B1 (ko) 2014-10-08
CN102572202A (zh) 2012-07-11
JP2012124875A (ja) 2012-06-28
US20120147430A1 (en) 2012-06-14
BRPI1105729A2 (pt) 2015-08-18
JP5055418B2 (ja) 2012-10-24
US8749851B2 (en) 2014-06-10
RU2491753C1 (ru)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092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JP651283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2401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436147B2 (en) Calculation method of toner consumption amount for us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663924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833552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プログラム。
US842770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8280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80052265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US82842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US873690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JP5264412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216085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4607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79924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457286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300912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590497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047706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216085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21620A (ja)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4457645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60951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2182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632472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