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722A - 자동변속기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722A
KR20120056722A KR1020100118393A KR20100118393A KR20120056722A KR 20120056722 A KR20120056722 A KR 20120056722A KR 1020100118393 A KR1020100118393 A KR 1020100118393A KR 20100118393 A KR20100118393 A KR 20100118393A KR 20120056722 A KR20120056722 A KR 20120056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planetary gear
oil pump
transmiss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545B1 (ko
Inventor
구본민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5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orbital gea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이들 스톱 기능을 향상시키고 변속 충격을 감소시키며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축과 오일펌프를 구비하고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의 동력을 가변시키는 변속부; 및 상기 엔진과 상기 변속부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는 클러치부와, 상기 엔진과 상기 오일펌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이 정지될 때에 상기 오일펌프를 구동시키는 유성기어세트를 구비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 {AUT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이들 스톱 기능을 향상시키고 변속 충격을 감소시키며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그 차량의 주행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변속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동변속기의 다단 변속 메커니즘은 복수의 유성기어세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의 유성기어세트가 조합된 파워 트레인은 엔진 토크를 변환하여 전달하는 토크 컨버터로부터 회전동력이 입력되면 이를 다단으로 변속하여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은 많은 변속단을 보유할수록 동력 성능 및 연료 소비율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이 요구되고 있다.
동일 수의 변속단을 구현하더라도 유성기어세트의 조합 방법에 따라 내구성 및 동력 전달 효율, 그리고 크기 및 중량 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보다 견고하고 동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소형화 할 수 있는 파워 트레인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자동변속기는 엔진이 정지되면 자동변속기 내부의 모든 유압기기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아이들 스톱 이후에 재출발을 행할 때에 초기 유압이 발생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없고 변속 충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아이들 스톱 기능을 향상시키고 변속 충격을 감소시키며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축과 오일펌프를 구비하고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의 동력을 가변시키는 변속부; 및 상기 엔진과 상기 변속부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는 클러치부와, 상기 엔진과 상기 오일펌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이 정지될 때에 상기 오일펌프를 구동시키는 유성기어세트를 구비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는 작동유체가 통과되는 습식 다판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상기 엔진에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부에 의해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기어연결되고 상기 오일펌프와 연결되는 제1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2유성기어; 상기 제2유성기어와 기어연결되고 상기 선기어와 연결되는 링기어; 및 상기 링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기어와 상기 링기어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아이들 스톱 기능이 향상되므로 아이들 스톱 기능을 향상시키고 변속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외장 펌프가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슬립 없이 엔진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동력 전달을 필요시에만 행할 수 있어 엔진의 연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는 입력축(72) 및 오일펌프(74)를 구비하고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10)의 동력을 가변시키는 변속부(70)와, 엔진(10)과 변속부(70)의 입력축(72) 사이에 설치되는 클러치부(52), 및 엔진(10)과 오일펌프(74) 사이에 설치되고 엔진(10)이 정지될 때에 오일펌프(74)를 구동시키는 유성기어세트(30)를 구비하는 동력전달부(50)를 포함한다.
차량의 주행이 개시되면 클러치부(52)가 작동되어 엔진(10)의 동력이 변속부(70)의 입력축(72)에 전달되므로 변속부(70)에서 이루어지는 변속작동에 의해 엔진(10)의 동력이 변속되어 구동휠에 전달된다.
차량이 정차하여 아이들 스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유성기어세트(30)의 작동에 의해 변속부(70) 내부에 설치되는 오일펌프(74)가 구동되므로 변속부(70) 내부의 유압기기에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아이들 스톱 이후에 재출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변속부(70) 내부의 초기 유압이 발생되는 시간이 절감되고 변속 충격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클러치부(52)는 작동유체가 통과되는 습식 다판 클러치를 포함하므로 클러치부(52)의 작동여부에 따라 엔진(10)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어 동력전달 중에 슬립이 발생되는 토크 컨버터와 비교하여 엔진(10)의 연비가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유성기어세트(30)는 엔진(10)에 연결되고 클러치부(52)에 의해 입력축(72)에 연결되는 선기어(32)와, 선기어(32)와 기어연결되고 오일펌프(74)와 연결되는 제1유성기어(34)와, 제1유성기어(34)와 기어연결되는 제2유성기어(36)와, 제2유성기어(36)와 기어연결되고 선기어(32)와 연결되는 링기어(38)와, 링기어(38)에 연결되는 모터(39)를 포함한다.
차량 주행 중에 차량이 정차하여 아이들 스톱이 진행되면 모터(39)가 구동되므로 모터의 동력이 링기어(38), 제2유성기어(36) 및 제1유성기어(34)를 통해 오일펌프(74)에 전달된다.
따라서 엔진(10) 동력이 변속부(70)로 전달되지 않는 아이들 스톱 상태에서 변속부(70) 내부의 유압기기에 압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이들 스톱 이후에 재출발이 진행될 때에는 오일펌프(74)의 구동에 의해 유압기기에 압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초기 유압이 발생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짧은 시간 동안 작동유체가 갑자기 공급되는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아이들 스톱 이후에 재출발을 행하면서 발생되는 변속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선기어(32)와 링기어(34)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39a)가 설치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9)의 동력이 링기어(38), 제2유성기어(36) 및 제2유성기어(34)를 따라 오일펌프(74)에 전달될 때에 선기어(32)의 작동에 의해 모터(39)의 동력이 증속되어 전달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이 개시되면 클러치부(52)의 작동에 의해 엔진(10)의 동력이 변속부의 입력축(72)에 전달되고, 변속부(70)의 작동에 의해 엔진(10)의 동력이 변속되어 구동휠에 전달된다.
차량 주행 중에 차량이 정차하고 엔진(10)이 정지되는 아이들 스톱이 이루어지면 모터(39)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39)의 동력은 링기어(38), 제2유성기어(36) 및 제1유성기어(34)를 통해 오일펌프(74)에 전달된다.
따라서 엔진(10)의 동력이 변속부(70)에 전달되지 않는 동안 오일펌프(74)가 모터(39)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므로 변속부(70) 내부의 유압기기에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
엔진(10)의 동력이 변속부(70)에 전달되지 않는 아이들 스톱 상태에서 오일펌프(74)가 작동되므로 유압기기에 발생되는 유압이 낮아지지 않고, 재출발이 진행되면 초기 유압이 발생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절감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재출발이 진행될 때에 변속부(70)에서 요구되는 작동유체의 양이 감소되므로 아이들 스톱 이후에 재출발이 진행될 때 발생되는 변속 충격이 감소하게 된다.
이로써, 아이들 스톱 기능을 향상시키고 변속 충격을 감소시키며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변속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자동변속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엔진 30 : 유성기어세트
32 : 선기어 34 : 제1유성기어
36 : 제2유성기어 38 : 링기어
39 : 모터 39a : 원웨이 클러치
50 : 동력전달부 52 : 클러치부
70 : 변속부 72 : 입력축
74 : 오일펌프

Claims (4)

  1. 입력축과 오일펌프를 구비하고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엔진의 동력을 가변시키는 변속부; 및
    상기 엔진과 상기 변속부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는 클러치부와, 상기 엔진과 상기 오일펌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이 정지될 때에 상기 오일펌프를 구동시키는 유성기어세트를 구비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작동유체가 통과되는 습식 다판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세트는,
    상기 엔진에 연결되고 상기 클러치부에 의해 상기 입력축에 연결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와 기어연결되고 상기 오일펌프와 연결되는 제1유성기어;
    상기 제1유성기어와 기어연결되는 제2유성기어;
    상기 제2유성기어와 기어연결되고 상기 선기어와 연결되는 링기어; 및
    상기 링기어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기어와 상기 링기어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KR1020100118393A 2010-11-25 2010-11-25 자동변속기 KR10125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393A KR101251545B1 (ko) 2010-11-25 2010-11-25 자동변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393A KR101251545B1 (ko) 2010-11-25 2010-11-25 자동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22A true KR20120056722A (ko) 2012-06-04
KR101251545B1 KR101251545B1 (ko) 2013-04-08

Family

ID=4660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393A KR101251545B1 (ko) 2010-11-25 2010-11-25 자동변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54B1 (ko) * 2012-10-08 2013-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6981B2 (ja) * 2000-10-05 2005-04-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オイルポンプ駆動装置
KR100482577B1 (ko) 2002-10-15 200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변속장치
JP2010048399A (ja) * 2008-08-25 2010-03-04 Toyota Motor Corp オイルポンプの駆動装置
JP4896103B2 (ja) 2008-09-18 2012-03-14 ジヤトコ株式会社 オイルポンプ駆動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54B1 (ko) * 2012-10-08 2013-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545B1 (ko) 201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9582B2 (en) Modular hybrid transmission with a one way clutch
US9303697B2 (en) Driv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omprising the same
JP6573201B2 (ja) 車両用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
JP2012516417A5 (ko)
EP1792800A3 (en) Hybrid vehicle control
KR101181897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
JP2011105110A (ja) 車載動力伝達装置および車載動力伝達制御システム
JP2012066641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装置
JP2012516417A (ja) フライホイールモジュール
CN102913322B (zh) 车辆附件驱动系统
JP6168956B2 (ja) 動力伝達機構
JP6191492B2 (ja) 車両駆動装置
JP2014047909A (ja) 車両制御装置
KR101251545B1 (ko) 자동변속기
JP5383544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自動変速装置
JP5652044B2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JP2018114912A (ja) 車両の架装設備駆動用の動力伝達機構、車両の架装設備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の架装設備制御方法
JP2016079992A (ja) 油圧供給システム
JP6270416B2 (ja) 車両用制御装置
US1079315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and drive train module of a motor vehicle of this type
JP6242609B2 (ja) 動力伝達機構
KR101272723B1 (ko) 자동변속기
KR101262131B1 (ko) 차량용 감속장치
JP5171500B2 (ja) 車両用発進装置
JP2015010668A (ja) 動力伝達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