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845A -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845A
KR20120052845A KR1020110028845A KR20110028845A KR20120052845A KR 20120052845 A KR20120052845 A KR 20120052845A KR 1020110028845 A KR1020110028845 A KR 1020110028845A KR 20110028845 A KR20110028845 A KR 20110028845A KR 20120052845 A KR20120052845 A KR 20120052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sled
board
horizontal
t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168B1 (ko
Inventor
준이치 아이키
이사무 나가사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2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44Tests performed "in situ" or after "in situ" use
    • G01N2203/0246Special simulation of "in situ" conditions, scale models or dumm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 재현성을 향상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공시체를 탑재 가능한 슬레드(15)를 수평한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전방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와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가지는 토우 보드(25)의 중간부를 슬레드(15)의 전방부에 지지축(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발사 장치(26)에 의해 토우 보드(25)에 있어서 경사부의 후방 및 수평부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한다. 또한, 토우 보드(25)는 중간부를 거쳐서 경사부와 수평부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MOTOR VEHICLE COLLISION SIMULATION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를 파괴하는 일 없이 충돌시에 객실에 발생하는 가속도를 재현하여, 2차 충돌에 의한 승무원의 상해 정도를 재현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충돌 시험은 크래쉬량이나 객실의 잔존 공간량 등의 물리량과 승무원 상해치를 평가하기 위한 실차 충돌 시험이 있지만, 실차에 더미를 실어 소정 속도로 배리어에 충돌시키는 방법은 파괴 시험으로서, 비정상적으로 비용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더미나 에어백 등을 탑재한 화이트 보디, 모의 차체 등을 대차(臺車)상에 설치하고, 이 대차에 대해서 실차 충돌시와 거의 같은 가속도를 부여함으로써, 공시체에 작용하는 충격도를 비파괴적으로 재현하여 승무원 상해치를 평가하여, 에어백 등의 안전 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이 실행된다.
이러한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각 특허문헌에 기재된 하중 부하 시험 방법에서는, 슬레드(sled)상에 좌석을 고정하여 더미를 앉히고, 이 더미의 다리가 놓이는 토우 보드(toe board)를 토우 보드 지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유압 실린더(토우 보드 구동장치)에 의해 전방측을 상하로 경사 운동 가능하게 하고, 또한 토우 보드 지지대를 안내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유압 실린더(토우 보드 구동장치)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인트루젼 시험(intrusion test)을 실시하는 경우, 실제의 자동차의 충돌 데이터에 근거해 토우 보드 구동장치를 제어하고, 토우 보드의 경사 운동이나 이동을 실행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062230호 공보 미국 특허 제 7,415,903 호 명세서
상술한 종래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는, 토우 보드가 전후로경사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인트루젼 시험시에는, 토우 보드 구동장치에 의해 이 토우 보드를 경사 운동하거나 이동하거나 하여 실제의 충돌 시험을 재현하고 있다. 즉, 종래, 자동차의 전방면 충돌시에, 토우 보드는 상방이 후방으로 절곡되는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토우 보드가 이와 같이 변형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한층 더 고정밀도의 재현성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재현성을 향상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는 수평한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공시체를 탑재 가능한 슬레드와, 전방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와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갖고 중간부가 상기 슬레드의 전방부에 있어서 수평한 좌우방향을 따르는 축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토우 보드와, 상기 토우 보드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후방 및 상기 수평부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하는 가속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속도 장치에 의해 토우 보드에 있어서 경사부의 후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수평부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함으로써, 토우 보드의 경사부와 수평부를 동시에 동작시키게 되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에 있어서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서는, 상기 가속도 장치는 상기 경사부의 선단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수평부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의 자동차 충돌시에 있어서의 토우 보드의 변형을 고정밀도로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서는, 상기 토우 보드는 중간부를 거쳐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수평부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부와 수평부를 일체로 하여 토우 보드를 구성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서는, 상기 경사부는, 기단부가 상기 슬레드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선단부가 전방 상방으로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 1 가속도 장치에 의해 가속도가 부여 가능한 한편, 상기 수평부는 기단부가 상기 슬레드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선단부가 후방에 연장되는 동시에, 제 2 가속도 장치에 의해 가속도가 부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부와 수평부를 독립하여 토우 보드를 구성하고, 이 경사부와 수평부에 대해서 다른 가속도 장치에 의해 다른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에 있어서 한층 더 재현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서는, 상기 슬레드의 상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대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해당 이동대에 상기 토우 보드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이동대는 제 3 가속도 장치에 의해 가속도가 부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 3 가속도 장치에 의해 토우 보드에 대해서 전후방향을 따라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함으로써, 토우 보드의 경사부와 수평부를 동시에 동작시키게 되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에 있어서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의하면, 가속도 장치에 의해 토우 보드에 있어서 경사부의 후방 및 수평부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하므로, 토우 보드의 경사부와 수평부를 동시에 동작시키게 되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에 있어서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관련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의 인트루젼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인트루젼 시험 장치에 있어서의 토우 보드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관련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의 토우 보드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과 관련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의 토우 보드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의 매우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관련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의 인트루젼 시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인트루젼 시험 장치에 있어서의 토우 보드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1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레드(15)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재를 가지는 골조재이며, 평면에서 봤을 때 전후방향(도 1 및 도 2에서,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바닥면(12)에는, 소정간격을 갖고 좌우 한 쌍의 레일(13a, 13b)이 전후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고, 슬레드(15)가 하면에 고정된 슬라이더(14a, 14b)를 거쳐서 레일(13a, 13b)을 따라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슬레드(15)는 상면에 공시체(16)를 탑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공시체(16)는 본 실시예에서는 골격만을 가지는 자동차, 소위 화이트 보디로서, 시트(16a), 스티어링(16b), 에어백(16c) 등의 장비품이 장착되는 동시에, 더미(16d)가 장착되어 있다. 이 공시체(16)는 슬레드(15)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탑재되어 도시하지 않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여기서 공시체(16)는 화이트 보디이며, 시트(16a), 스티어링(16b), 에어백(16c), 더미(16d)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화이트 보디, 시트(16a), 스티어링(16b), 에어백(16c), 더미(16d)를 단일체로 공시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공시체(16)는 슬레드(15)상에 탑재되기 때문에, 이 공시체(16)인 자동차의 전방(도 1 및 도 2에서, 좌측 방향)을 슬레드(15)의 전방으로 하고, 공시체(16)인 자동차의 후방(도 1 및 도 2에서, 우측 방향)을 슬레드(15)의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공시체(16)인 자동차의 측방 즉, 좌우방향(도 1 및 도 2에서,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을 슬레드(15)의 측방방, 즉 좌우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서, 슬레드(15)의 전방측의 바닥면(12)에는, 슬레드(15)에 대해서 후방 가속도를 부여하는 슬레드 가속도 장치로서의 발사 장치(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발사 장치(17)는 유압 제어(또는, 공기 압력 제어, 마찰 제어 등)되는 것으로, 슬레드(15) 측으로 타출(打出)되는 피스톤(17a)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발사 장치(17)는 피스톤(17a)의 선단이 슬레드(15)의 전단에 접촉한 상태로, 피스톤(17a)을 타출하고 있으므로, 이 슬레드(15)에 대해서 후방으로의 충격력 즉, 가속도를 줄 수 있다. 즉, 발사 장치(17)에 의해 슬레드(15)에 후방 가속도를 부여하는 것은 슬레드(15)상의 공시체(16)가 전방면 충돌했을 때에 후방 가속도를 받는 것과 같은 형태가 되어, 모의적으로 자동차 충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슬레드(15) 상의 전방부에는, 공시체(16)의 전방에 위치하는 인트루젼 장치(2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인트루젼 장치(21)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레드(15)상에는 설치대(22)가 고정되고, 이 설치대(22)에 브라켓(23)에 의해 지지축(24)이 장착되어 있다. 이 지지축(24)은 슬레드(15)의 이동 방향인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수평한 좌우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토우 보드(25)는, 중간부가 소정 각도로 절곡된 판형상을 이루고, 절곡부가 되는 중간부가 지지축(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토우 보드(25)는 슬레드(15)의 전방 측에 있는 경사부(25a)와, 슬레드(15)의 후방 측에 있는 수평부(25b)를 가지고 있고, 경사부(25a)와 수평부(25b)가 중간부에서 연결되어 일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경사부(25a)는 중간부{지지축(24)}로부터 슬레드(15)의 전방 상방으로 연장되고, 슬레드(15)의 상면에 대해서 소정 각도(θ1)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수평부(25b)는 중간부{지지축(24)}로부터 슬레드(15)의 후방 측으로 연장되고, 슬레드(15)의 상면과 대략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토우 보드(25)에서, 경사부(25a)가 엔진 룸과 승무원 룸을 나누는 토우 보드에 대응하고, 수평부(25b)가 승무원 룸의 플로어를 구성하는 플로어 보드에 대응한다.
슬레드(15) 상의 전방부에는, 토우 보드(25)의 전방에 위치하고, 토우 보드(25)에 있어서의 경사부(25a)의 후방 및 수평부(25b)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하는 토우 보드 가속도 장치로서의 발사 장치(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발사 장치(26)은 유압 제어(또는, 공기 압력 제어, 마찰 제어 등)되는 것으로, 토우 보드(25) 측으로 타출되는 피스톤(26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발사 장치(26)는 기단부가 슬레드(15)상에 고정된 고정 블록(27)에 연결 핀(2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피스톤(26a)의 선단부가 토우 보드(25)에 있어서 경사부(25a)의 선단부에 연결 핀(2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발사 장치(26)는 피스톤(26a)을 타출함으로써, 이 토우 보드(25)에 대해서 후방으로 회동하는 충격력, 즉 가속도를 줄 수 있다. 즉, 발사 장치(26)는 토우 보드(25)에 대해서 경사부(25a)의 선단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수평부(25b)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발사 장치(26)는 발사 장치(17)에 의해 슬레드(15)에 후방 가속도를 부여할 경우에 동시에 작동하여, 토우 보드(25)에 후방 가속도를 부여한다. 즉, 발사 장치(17)에 의해 슬레드(15)에 가속도를 부여하고, 슬레드(15)상의 공시체(16)가 전방면 충돌한 때에 후방 가속도를 받았을 때, 발사 장치(26)에 의해 토우 보드(25)에 가속도를 부여함으로써, 슬레드(15)상의 토우 보드(25)가 전방면 충돌에 의한 후방 가속도(변형)를 받은 것과 같은 형태가 되어, 모의적으로 자동차 충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실시예 1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의해 자동차 충돌 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사전에 슬레드(15)나 토우 보드(25)의 설계 데이터(중량이나 중심 위치 등), 실차 충돌 시험으로 얻을 수 있던 충돌시간에 대한 가속도 변화의 각 데이터로부터, 이 가속도의 시간적 변화(파형)를 재현할 수 있도록, 발사 장치(17, 26)에 있어서의 피스톤(17a, 26a)의 타출력, 슬레드(15)상의 공시체(16)의 위치를 소정치로 설정해 둔다.
그리고,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사 장치(17)를 유압 제어함으로써, 피스톤(17a)을 타출하고, 정지상태에 있는 슬레드(15)에 대해서 목표 전후 가속도{슬레드(15), 공시체(16)에 있어서의 후방 가속도}를 부여하여, 충돌시를 모의하는 가속도를 공시체(16)에게 부여한다. 그러면, 슬레드(15)는 주어진 목표 전후 가속도에 수반해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발사 장치(17)와 동시에 발사 장치(26)를 유압 제어함으로써, 피스톤(26a)을 타출하고, 정지상태에 있는 토우 보드(25)에 대해서 목표 전후 가속도{토우 보드(25)에 있어서의 후방 가속도}를 부여하여 충돌시를 모의하는 가속도를 토우 보드(25)에게 부여한다. 그러면, 토우 보드(25)는 주어진 목표 전후 가속도에 수반해 소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회동한다. 즉, 도 4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우 보드(25)는 경사부(25a)가 중간부{지지축(24)}를 지점으로서 일어서, 각도(θ1)가 커지는 동시에 수평부(25b)가 중간부{지지축(24)}를 지점으로서 하강하여, 각도(θ2)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는, 공시체(16)를 탑재 가능한 슬레드(15)를 수평한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전방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25a)와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5b)를 가지는 토우 보드(25)의 중간부를 슬레드(15)의 전방부에 지지축(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발사 장치(26)에 의해 토우 보드(25)에 있어서 경사부(25a)의 후방 및 수평부(25b)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발사 장치(26)에 의해 토우 보드(25)에 있어서의 경사부(25a)의 후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수평부(25b)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함으로써, 토우 보드(25)의 경사부(25a)와 수평부(25b)를 동시에 동작시키게 되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에 있어서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서는, 발사 장치(26)에 의해 경사부(25a)의 선단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수평부(25b)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력을 부여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의 자동차 충돌시에 있어서의 토우 보드(25)의 변형을 고정밀도로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서는, 토우 보드(25)의 중간부를 거쳐서 경사부(25a)와 수평부(25b)를 일체로 연결해 지지축(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경사부(25a)와 수평부(25b)를 일체로서 토우 보드(25)를 구성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와 관련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 토우 보드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거의 같은 구성이며, 도 1 및 도 2를 이용해 설명하는 동시에, 이 실시예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레드(15) 상의 전방부에는, 공시체(16)의 전방에 위치하는 인트루젼 장치(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트루젼 장치(31)에 있어서, 슬레드(15)상에는 가이드 레일(32)이 부설되고, 이동대(33)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이동대(33)에 브라켓(23)에 의해 지지축(24)이 장착되어 있다. 토우 보드(25)는 중간부가 지지축(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토우 보드(25)는 슬레드(15)의 전방 측에 있는 경사부(25a)와, 슬레드(15)의 후방 측에 있는 수평부(25b)를 가지고 있고, 경사부(25a)와 수평부(25b)가 중간부에서 연결되는 일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슬레드(15) 상의 전방부에는, 토우 보드(25)의 전방에 위치하고, 토우 보드(25)에 있어서 경사부(25a)의 후방 및 수평부(25b)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하는 제 1 발사 장치(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발사 장치(26)는 유압 제어(또는, 공기 압력 제어, 마찰 제어 등)되는 것으로, 토우 보드(25) 측으로 타출되는 피스톤(26a)을 갖고, 피스톤(26a)의 선단부가 경사부(25a)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발사 장치(26)는 피스톤(26a)을 타출함으로써, 이 토우 보드(25)에 대해서 후방으로 회동하는 충격력, 즉 가속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슬레드(15) 상의 전방부에는, 토우 보드(25)의 전방에 위치하고, 이 토우 보드(25)의 후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하는 토우 보드 가속도 장치로서의 제 3 발사 장치(3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3 발사 장치(34)는 유압 제어(또는, 공기 압력 제어, 마찰 제어등)되는 것으로, 토우 보드(25) 측으로 타출되는 피스톤(34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제 3 발사 장치(34)는 기단부가 슬레드(15)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피스톤(34a)의 선단부가 이동대(33)에 연결 핀(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3 발사 장치(34)는 피스톤(34a)을 타출함으로써, 이 토우 보드(25)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충격력, 즉 가속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제 3 발사 장치(34)는 각 발사 장치(17, 26)에 의해 슬레드(15)나 토우 보드(25)에 후방 가속도를 부여할 때에 동시에 작동하여, 토우 보드(25)에 후방 가속도를 부여한다. 즉, 발사 장치(17)에 의해 슬레드(15)에 가속도를 부여하고, 슬레드(15)상의 공시체(16)가 전방면 충돌한 때에 후방 가속도를 받았을 때, 제 1 및 제 3 발사 장치(26, 34)에 의해 토우 보드(25)에 가속도를 부여함으로써, 슬레드(15)상의 토우 보드(25)가 전방면 충돌에 의한 후방 가속도(변형)를 받은 것과 같은 형태가 되어, 모의적으로 자동차 충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발사 장치(17)를 유압 제어함으로써, 피스톤(17a)을 타출하고, 정지상태에 있는 슬레드(15)에 대해서 목표 전후 가속도{슬레드(15), 공시체(16)에 있어서의 후방 가속도}를 주어 충돌시를 모의하는 가속도를 공시체(16)에게 부여한다. 그러면, 슬레드(15)는 주어진 목표 전후 가속도에 수반해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발사 장치(17)와 동시에 제 1 및 제 3 발사 장치(26, 34)를 유압 제어함으로써, 피스톤(26a, 34a)를 타출하고, 정지상태에 있는 토우 보드(25)에 대해서 목표 전후 가속도{토우 보드(25)에 있어서의 후방 가속도}를 부여하여, 충돌시를 모의하는 가속도를 토우 보드(25)에게 부여한다. 그러면, 토우 보드(25)는, 주어진 목표 전후 가속도에 수반해 소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한다. 즉, 토우 보드(25)는 경사부(25a)가 중간부{지지축(24)}를 지점으로 하여 일어서는 동시에, 수평부(25b)가 중간부{지지축(24)}를 지점으로서 하강하고, 동시에 토우 보드(25)가 후퇴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발사 장치(26)에 의해 토우 보드(25)에 있어서의 경사부(25a)의 후방 및 수평부(25b)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제 3 발사 장치(34)에 의해 이동대(33)를 거쳐서 토우 보드(25)의 후방을 향해서 가속도가 부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발사 장치(34)에 의해 토우 보드(25)의 후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함으로써, 토우 보드(25)의 경사부(25a)와 수평부(25b)를 동시에 이동시키게 되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에 있어서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과 관련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의 토우 보드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거의 같은 구성이며, 도 1 및 도 2를 이용해 설명하는 동시에, 이 실시예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레드(15)상의 전방부에는, 공시체(16)의 전방에 위치하는 인트루젼 장치(4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인트루젼 장치(41)에 있어서, 슬레드(15)상에는 가이드 레일(32)이 부설되고, 이동대(33)가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이동대(33)에 브라켓(23)에 의해 지지축(24)이 장착되어 있다. 토우 보드(42)는 중간부가 지지축(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토우 보드(42)는 슬레드(15)의 전방 측에 있는 경사부(42a)와, 슬레드(15)의 후방 측에 있는 수평부(42b)를 가지고 있고, 경사부(42a)와 수평부(42b)는 단부가 지지축(24)에 지지되어 독립해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경사부(42a)는 기단부가 지지축(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선단부가 전방 상방으로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 1 발사 장치(26)에 의해 가속도가 부여 가능해지고 있다. 한편, 수평부(42b)는 기단부가 지지축(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선단부가 후방에 연장되는 동시에, 제 2 발사 장치(43)에 의해 가속도가 부여 가능해지고 있다.
이 제 1 발사 장치(26)는 유압 제어(또는, 공기 압력 제어, 마찰 제어 등)되는 것으로, 토우 보드(42) 측으로 타출되는 피스톤(26a)을 갖고, 피스톤(26a)의 선단부가 경사부(42a)의 선단부에 연결 핀(2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발사 장치(26)는 피스톤(26a)을 타출함으로써, 이 토우 보드(42)의 경사부(42a)에 대해서 후방으로 회동하는 충격력, 즉 가속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발사 장치(43)는 유압 제어(또는, 공기 압력 제어, 마찰 제어 등)되는 것으로, 토우 보드(42) 측으로 타출되는 피스톤(43a)을 갖고, 피스톤(43a)의 선단부가 수평부(42b)의 선단부에 연결 핀(4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발사 장치(43)는 피스톤(43a)을 타출함으로써, 이 토우 보드(42)의 수평부(42b)에 대해서 하방으로 회동하는 충격력, 즉 가속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제 1 및 제 2 발사 장치(26, 43)는 발사 장치(17)에 의해 슬레드(15)에 후방 가속도를 부여할 경우에 동시에 작동하고, 토우 보드(42)에 후방 가속도를 부여한다. 즉, 발사 장치(17)에 의해 슬레드(15)에 가속도를 부여하고, 슬레드(15)상의 공시체(16)가 전방면 충돌한 때에 후방 가속도를 받았을 때, 제 1 및 제 2 발사 장치(26, 43)에 의해 토우 보드(42)에 가속도를 부여함으로써, 슬레드(15)상의 토우 보드(42)가 전방면 충돌에 의한 후방 가속도(변형)를 받은 것과 같은 형태가 되어, 모의적으로 자동차 충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슬레드(15) 상의 전방부에는, 토우 보드(42)의 전방에 위치하고, 이 토우 보드(42)의 후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하는 제 3 발사 장치(3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3 발사 장치(34)는 피스톤(34a)을 가지고 있고, 이 피스톤(34a)을 타출함으로써, 토우 보드(42)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충격력, 즉 가속도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발사 장치(17)를 유압 제어함으로써, 피스톤(17a)을 타출하고, 정지상태에 있는 슬레드(15)에 대해서 목표 전후 가속도{슬레드(15), 공시체(16)에 있어서의 후방 가속도}를 부여하여 충돌시를 모의하는 가속도를 공시체(16)에게 부여한다. 그러면, 슬레드(15)는 주어진 목표 전후 가속도에 수반해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발사 장치(17)와 동시에 제 1 내지 제 3 발사 장치(26, 43, 34)를 유압 제어함으로써, 피스톤(26a, 43a, 34a)을 타출하고, 정지상태에 있는 토우 보드(42)에 대해서 목표 전후 가속도{토우 보드(42)에 있어서의 후방 가속도}를 부여하여 충돌시를 모의하는 가속도를 토우 보드(42)에게 부여한다. 그러면, 토우 보드(42)는 주어진 목표 전후 가속도에 수반해 소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회동하는 동시에,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한다. 즉, 토우 보드(42)는 경사부(42a)가 지지축(24)을 지점으로 하여 일어서는 동시에, 수평부(42b)가 지지축(24)을 지점으로 하여 하강하고, 동시에 토우 보드(42)가 후퇴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 3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발사 장치(26)에 의해 토우 보드(43)에 있어서의 경사부(42a)의 후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제 2 발사 장치(42)에 의해 토우 보드(42)에 있어서의 수평부(42b)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발사 장치(26, 43)에 의해 토우 보드(42)의 경사부(42a)와 수평부(42b)에 대해서 다른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함으로써, 토우 보드(42)의 경사부(42a)와 수평부(42b)를 동시에, 또한 독립하여 이동시키게 되어,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에 있어서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의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서는, 슬레드(15)상에 공시체(16)로서 화이트 보디, 시트(16a), 스티어링(16b), 에어백(16c), 더미(16d)를 탑재했지만, 공시체(16)로서 화이트 보디를 탑재하지 않고, 시트(16a)나 더미(16d)만을 탑재해도 괜찮다. 또한, 인트루젼 장치(21, 31, 41)에서, 발사 장치(26, 34, 43)의 각 피스톤(26a, 34a, 43a)의 선단부를 토우 보드(25, 42)에 연결했지만, 발사 장치(17)와 같이 각 피스톤(26a, 34a, 43a)의 선단부를 토우 보드(25, 42)에 충돌하게 해도 괜찮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는 토우 보드에 있어서 경사부의 후방 및 수평부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의 재현성을 향상 가능하게 하는 것이고, 슬레드가 한방향으로 가감속하는 통상의 전방면 충돌용의 슬레드 뿐만 아니라, 회전운동을 수반하는 피칭용 슬레드나 요잉(yawing)용 슬레드 등 어느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12 : 바닥면 15 : 슬레드
16 : 공시체 17 : 발사 장치(슬레드 가속도 장치)
21, 31, 41 : 인트루젼 장치 24 : 지지축
25, 42 : 토우 보드 25a : 경사부
25b : 수평부
26 발사 장치, 제 1 발사 장치(토우 보드 가속도 장치)
33 : 이동대
34 : 제 3 발사 장치(토우 보드 가속도 장치)
43 : 제 2 발사 장치(토우 보드 가속도 장치)

Claims (5)

  1. 수평한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공시체를 탑재 가능한 슬레드와,
    전방 상방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와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갖고, 중간부가 상기 슬레드의 전방부에 있어서 수평한 좌우방향을 따르는 축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토우 보드와,
    상기 토우 보드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후방 및 상기 수평부의 하방을 향해서 가속도를 부여하는 가속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장치는 상기 경사부의 선단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수평부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 보드는 중간부를 거쳐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수평부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기단부가 상기 슬레드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선단부가 전방 상방으로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 1 가속도 장치에 의해 가속도가 부여 가능한 한편, 상기 수평부는 기단부가 상기 슬레드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선단부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 2 가속도 장치에 의해 가속도가 부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드의 상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대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이동대에 상기 토우 보드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이동대는 제 3 가속도 장치에 의해 가속도가 부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KR1020110028845A 2010-11-16 2011-03-30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KR101267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6148A JP5582980B2 (ja) 2010-11-16 2010-11-16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
JPJP-P-2010-256148 2010-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845A true KR20120052845A (ko) 2012-05-24
KR101267168B1 KR101267168B1 (ko) 2013-05-24

Family

ID=4607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845A KR101267168B1 (ko) 2010-11-16 2011-03-30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82980B2 (ko)
KR (1) KR101267168B1 (ko)
CN (1) CN10246655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491A (ko) 2014-05-20 2015-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침입 시험 시뮬레이터
US20160042669A1 (en) * 2014-08-08 2016-02-11 Koreatesting Co., Ltd. Intrusion Simulator
KR20190021463A (ko) * 2016-09-13 2019-03-05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2962B2 (ja) * 2012-06-19 2016-11-30 三菱重工メカト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
CN105352724B (zh) * 2015-12-13 2019-06-28 中国飞机强度研究所 一种航空可替代坐垫动态适航试验装置及试验方法
JP7249806B2 (ja) * 2019-02-20 2023-03-31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自動車衝突模擬試験用台車、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及び自動車衝突模擬試験方法
CN117554020A (zh) * 2024-01-12 2024-02-13 长春汽车工业高等专科学校 一种汽车保险杠冲击试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723A (ja) * 1988-06-21 1990-01-10 Mazda Motor Corp 車輌の衝突試験装置
JP4040141B2 (ja) * 1997-05-21 2008-0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のトーボード構造
DE19739141C1 (de) * 1997-09-06 1999-04-15 Bsrs Restraint Syst Gmbh Einrichtung zum Nachstellen der dynamischen Intrusion von Fahrzeugteilen eines Kraftfahrzeuges bei einem Aufprall
JP2000103367A (ja) * 1998-09-30 2000-04-11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運転室フロア構造
JP2002062230A (ja) * 2000-08-21 2002-02-28 Saginomiya Seisakusho Inc 荷重負荷試験方法
CN1174234C (zh) * 2001-04-23 2004-11-03 王武生 汽车碰撞模拟台车
DE20215571U1 (de) * 2002-10-10 2003-02-13 Trw Repa Gmbh Baugruppe aus einem elektronischen Pedal und einer Bodeneinheit
US20040230394A1 (en) * 2003-03-28 2004-11-18 Saari Byron J. Vehicle crash simulator with dynamic motion simulation
US7415903B2 (en) * 2006-12-22 2008-08-26 Chrysler Llc Method and system for an impact sled footwell intrusion tes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491A (ko) 2014-05-20 2015-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침입 시험 시뮬레이터
US20160042669A1 (en) * 2014-08-08 2016-02-11 Koreatesting Co., Ltd. Intrusion Simulator
US9886875B2 (en) 2014-08-08 2018-02-06 Koreatesting Co., Ltd. Intrusion simulator
KR20190021463A (ko) * 2016-09-13 2019-03-05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66555A (zh) 2012-05-23
JP5582980B2 (ja) 2014-09-03
KR101267168B1 (ko) 2013-05-24
JP2012107949A (ja) 2012-06-07
CN102466555B (zh)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168B1 (ko)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KR101267121B1 (ko)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KR20110093674A (ko) 자동차 충돌 모의 시험 장치
US6035728A (en) Test rig
US20040230394A1 (en) Vehicle crash simulator with dynamic motion simulation
JP2010538296A (ja) ソリ型の衝突試験方法および装置
JP2013156039A (ja)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及び自動車衝突模擬試験の制御方法
CN102854021A (zh) 汽车碰撞模拟台车装置
JP2010151791A (ja) 衝突試験装置
JP2006138701A (ja)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の簡易型ヨーイング装置
JP2009204395A (ja) 自動車衝突シミュレータの構成機器
JP6032962B2 (ja)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
JP2006138700A (ja)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の簡易型ピッチング装置
KR101601238B1 (ko) 침입 시험 시뮬레이터
JP6702831B2 (ja) 自動車衝突模擬試験装置
JP2015537230A (ja) 自動車の衝突シミュレーション用の試験設備
JP5865985B1 (ja) 侵入試験シミューレータ
KR100306605B1 (ko) 복동식슬레드시험장치
KR0153889B1 (ko) 차량충격시험 제어장치
KR20040092157A (ko) 자동차 측면 충돌 시험용 슬레드 장치
GB2313917A (en) Test r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