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391A - 다축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다축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391A
KR20120052391A KR20127006396A KR20127006396A KR20120052391A KR 20120052391 A KR20120052391 A KR 20120052391A KR 20127006396 A KR20127006396 A KR 20127006396A KR 20127006396 A KR20127006396 A KR 20127006396A KR 20120052391 A KR20120052391 A KR 20120052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put
gear
output memb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0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635B1 (ko
Inventor
료헤이 시게마츠
기요시 나카지마
겐지 무라카미
다카히로 후지이
신지 이이노
히로시 야가메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6Central command actuator to selectively switch on or engage one of several special purpose circuits 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oscillat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65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16H2063/3056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using cam or crank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51Single driven plural dr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10T74/19279Cam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하나의 모터로 복수의 출력축을 구동함에 있어서, 구성을 간소화한 기계식 클러치를 채용함으로써, 경량화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한다.
모터(10)의 회전이 전달되는 복수의 제2 입력 기어(14)에 대해 출력 기어(21)를 접근 이격 가능하게 배치함과 함께 제2 입력 기어(14)측으로 탄성 가압하여, 외주에 복수의 오목부(42)를 설치한 캠(41)을 출력 기어의 내측에 배치한다. 캠(41)을 회전시켜 오목부에 출력 기어(21)의 핀(24)을 끼움으로써 출력 기어(21)를 제2 입력 기어(14)측으로 이동시켜, 출력 기어(21)를 제2 입력 기어(14)에 맞물리게 한다.

Description

다축 구동 장치{MULTI-SHAFT DRIVE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용 전동 시트 등에 적용되며 적합한 하나의 모터로 복수의 출력축을 구동하는 다축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는, 전체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나 좌면 높이의 상하이동, 혹은 시트 백(등받이)의 리클라이닝 등, 복수 개소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승차자의 체형이나 자세에 적합할 수 있도록 한 형식의 것이 많다. 이들 가동 부위의 조절은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더욱 편리한 것으로서, 모터 구동에 의해 조절하는 전동 시트가 제공되고 있다.
복수의 가동 부위를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하려면, 가동 부위에 연결한 각 출력축 마다 모터를 하나하나 연결시키는 구성이 생각되지만, 이것으로는 모터의 수가 많아진다. 그래서, 하나의 모터로 복수의 출력축을 구동하면 효율적이며, 그렇게 하기 위해, 복수의 가동 부위에 연결한 각 출력축에, 클러치를 통하여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클러치를 단접시켜 각 가동 부위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4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 소58-97528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평6-8736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소62-18350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평6-156123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중,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된 전자 클러치를 이용한 구동 장치에서는, 전자 클러치의 비용 때문에 경제성의 면에서 불리하다. 이 점, 특허 문헌 3, 4에 기재되는 구동 장치는, 클러치가 기계식이기 때문에 비용의 저감에는 기여하지만, 출력축의 선택 기구의 경량화와 공간 절약화가 배려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로 복수의 출력축을 구동함에 있어서, 구성을 간소화한 기계식 클러치를 채용함으로써 경량화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다축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축 구동 장치는, 모터의 회전축에 접속된 입력 부재와, 출력축을 가지며, 입력 부재에 대해 걸림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걸어 맞춰졌을 때에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이 전달되는 복수의 출력 부재와, 복수의 출력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작용부를 가지고, 작동됨으로써 출력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작용부가 대향하여 작용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에 선택적으로 걸어 맞추게 하는 실렉터 부재와, 이 실렉터 부재에 연결되며,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실렉터 부재가 작동되는 회전식의 조작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다축 구동 장치에서는, 조작 부재에 의해 실렉터 부재를 회전시켜 작용부를 어느 하나의 출력 부재에 대향시키고,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켜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에 걸어 맞추게 한다. 이것에 의해, 입력 부재의 회전을 출력 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의 동력을 복수의 출력 부재에 분기하는 기구나 작동시키는 출력 부재의 선택을, 실렉터 부재의 둘레에 출력 부재를 배치한 컴팩트한 구성으로 달성하고 있으므로, 경량화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렉터 부재의 작용부는, 상기 실렉터 부재의 출력 부재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된 오목부 혹은 볼록부인 형태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실렉터 부재의 작용부는, 상기 실렉터 부재의 작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단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캠면의 단수에 따라 출력축을 다수 배열할 수 있어, 출력축을 보다 많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력축의 작용부에 대한 대향 각도가 임의로 설정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바람직한 출력축이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출력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용부는 오목부이고, 출력 부재는, 그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혹은, 작용부는 볼록부이고, 출력 부재는 상기 볼록부로 가압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력 부재는 베벨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부재는, 베벨기어와 축선끼리를 교차시켜 맞물리는 베벨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 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는 평기어이며, 상기 출력 부재는, 상기 평기어와 맞물리는 평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실렉터 부재의 작동 형태는, 회전, 혹은 직선 이동의 2개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실렉터 부재의 작동 형태가 회전인 경우, 이하의 양태가 적합하다.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실렉터 부재는, 원통 곡면을 이루며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외주부와, 상기 외주부에 설치되며 출력 부재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는, 실렉터 부재를 회전시켜 오목부를 출력 부재에 대향시키면, 탄성 가압 수단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출력 부재가 이동하여 입력 부재와 걸어 맞춰진다. 이와 같이, 실렉터 부재를 회전시킨다는 하나의 동작으로 출력 부재가 입력 부재와 걸어 맞춰짐과 함께, 출력 부재가 오목부에 끼워질 때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으므로, 조작성 및 조작 감각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상기 작용부에서는, 오목부 대신에 볼록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실렉터 부재는, 원통 곡면을 이루며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외주부와, 상기 외주부에 설치되며 출력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볼록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도, 실렉터 부재를 회전시킨다는 하나의 동작으로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와 걸어 맞추게 할 수 있다.
또, 실렉터 부재의 작동 형태가 회전인 경우, 입력 부재는, 하나의 기어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지만, 모터의 회전축에 접속된 제1 입력 기어와, 이 제1 입력 기어의 외주측에 설치된 복수의 제2 입력 기어를 구비하고, 제2 입력 기어는, 제1 입력 기어의 외주부와 맞물리는 제1 기어부와, 출력 부재와 걸림 이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기어부를 구비한 형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제2 기어부에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출력 부재를 걸어 맞출 수 있으므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즉, 출력 부재는, 제2 입력 기어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따라 위치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입력 기어는, 제1 입력 기어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따라 위치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태에서는, 출력 부재가 접속되는 부재의 위치 등에 맞추어 출력 부재의 위치 및 각도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실렉터 부재의 작동 형태가 직선 이동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형태를 들 수 있다.
실렉터 부재의 직선 이동은, 상기 실렉터 부재와 조작 부재 사이에 개재된 랙 앤드 피니언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실렉터 부재는,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캠면과, 이 캠면에 설치되며 출력 부재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형태에서는, 출력 부재가 오목부에 끼워질 때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으므로, 조작성 및 조작 감각이 우수하다.
또, 상기 탄성 가압 수단을,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것으로 하고, 실렉터 부재는,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캠면과, 이 캠면에 설치되며 출력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실렉터 부재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수단을 가지는 형태를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캠면으로부터 출력축이 벗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출력 부재에는, 소정의 가동 기구가 구비하는 가동 부위가 접속되고, 상기 조작 부재에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는,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모터를 정회전시키고,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모터를 역회전시키며, 스위치의 슬라이드 방향은, 가동 부위의 가동 방향과 일치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기구로서는 차량용 시트가 적용 가능하고, 그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시트가 가지는 가동 부위의 조절 기구에, 출력 부재가 접속된다. 이러한 양태에서는, 조작 감각과 실제의 동작이 일치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동력을 복수의 출력 부재에 분기하는 기구나 작동시키는 출력 부재의 선택을 컴팩트한 구성으로 달성하고 있으므로, 경량화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도 3에서의 I-I선 일부 파쇄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다축 구동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일부 파쇄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일부 파쇄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XIII-X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일부 파쇄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일부 파쇄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캠의 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이 다축 구동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이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7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7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는 제8 실시 형태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8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8 실시 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9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제9 실시 형태의 캠 부재를 투시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제10 실시 형태의 캠 부재를 투시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11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2는 제12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제1 실시 형태:도 1~도 11
(1)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도 1~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다축 구동 장치는, 예를 들면 차량용 전동 시트의, 시트 좌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구, 시트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기구, 및 시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기구 3개의 가동 기구에 대해, 정역회전하는 하나의 모터(1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분기시켜 이들 가동 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적합하다.
모터(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축(모터의 회전축)(11)이 돌출하는 측의 일단부에서 원판 형상을 이루는 메인 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축(11)의 선단에는, 제1 입력 기어(12)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10)의 주위에는, 3개의 베어링(13)이 모터(10)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 형상으로 배치되며, 베어링(13)에는, 제2 입력 기어(입력 부재)(14)의 축(1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입력 기어(14)는, 제1 입력 기어(12)와 맞물리는 평기어부(제1 기어부)(14a)와, 이 평기어부(14a)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베벨기어부(제2 기어부)(14b)로 이루어져 있다. 3개의 제2 입력 기어(14)는, 그들의 회전 중심이 이등변 삼각형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1)에는, 직사각형판 형상의 서브 프레임(2)이 부착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2)의 단부는, 반원 형상으로 잘라내져, 그 부분이 베어링(13)의 측면에 끼워져 있다. 서브 프레임(2)을 베어링(13)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의 일면에는, 베어링 블록(3)이 부착되며, 베어링 블록(3)에는, 출력 기어(출력 부재)(21)의 출력축(2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 기어(21)는, 제2 입력 기어(14)의 베벨기어부(14b)와 맞물림 가능한 베벨기어이며,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선단측(베벨기어부(14b)측)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또, 출력 기어(21)의 선단면의 중앙에는, 선단측으로 돌출하는 핀(2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24)의 선단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있어서 부호 30은 원판 형상의 다이얼(조작 부재)이다. 다이얼(30)은, 중심에 모터축(11)과 동축적(同軸的)으로 연장되는 회전축(31)을 가지고 있으며, 이 회전축(31)은 프레임(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31)의 단부에는, 캠(실렉터 부재)(41)이 고정되어 있다.
캠(41)은 원판 형상을 이루며, 그 외주부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출력 기어(21)의 핀(24)이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선단측으로 돌출하게 되어 오목부(42)에 끼워지고, 출력 기어(21)는 제2 입력 기어(14)의 베벨기어부(14b)와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10)의 회전은 제1, 제2 입력 기어(12, 14)로부터 출력 기어(21)를 통하여 출력축(22)에 전해진다.
한편, 다른 2개의 출력 기어(21)의 핀(24)은, 캠(41)의 외주면에 맞닿고, 출력 기어(21)는 제2 입력 기어(14)의 베벨기어부(14b)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1~도 3에서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각을 이루는 위치의 출력 기어(21)의 핀(24)이 오목부(42)에 끼워져 있다. 이 상태로, 다른 2개의 출력 기어(21)의 핀(24)과 캠(41)의 외주면의 접점과, 제1 입력 기어(12)의 중심을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에, 그 직선으로부터 소정 각도 θ(이 실시 형태에서는 45˚) 경사진 개소에 다른 2개의 오목부(42)의 중심이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캠(41)을 시계 방향으로 45˚ 회전시키면, 캠(41)의 상측의 오목부(42)에 출력 기어(21)의 핀(24)이 끼워지고, 다른 2개의 출력 기어(21)의 핀(24)은, 캠(41)의 외주면에 얹혀진다. 반대로, 도 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캠(41)을 반시계 방향으로 45˚ 회전시키면, 캠(41)의 하측의 오목부(42)에 출력 기어(21)의 핀(24)이 끼워지고, 다른 2개의 출력 기어(21)의 핀(24)은, 캠(41)의 외주면에 얹혀진다. 이와 같이, 캠(41)을 45˚ 회전시킴으로써, 어느 하나의 출력 기어(21)를 제2 입력 기어(14)의 베벨기어부(14b)와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캠(41)의 회전은 다이얼(30)을 회전시킴으로써 행하여, 핀(24)이 오목부(42)에 끼워짐으로써, 조작시의 클릭감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다이얼(30)을 출력 기어(21)의 접속 위치에 확실히 위치 지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다이얼(30)의 표면에는, 상기 모터(10)의 ON/OFF, 및 모터(10)의 회전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직육면체 형상의 스위치(5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스위치(50)는, 그 길이 방향의 양측(도 3에서 C-D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범위의 중간점에서 정지하도록 규제되어 있다. 스위치(50)는 다이얼(30)의 중심점을 통과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일단부는 다이얼(30)보다도 외측으로 나온 상태가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돌출단이, 지시부(51)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각을 이루는 위치의 출력 기어(21)의 핀(24)이 오목부(42)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스위치(50)는, 지시부(51)가그 핀(24)의 중심선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45˚경사지도록 다이얼(30)에 부착되어 있다.
이 스위치(50)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정지 상태의 중립점에서는 모터(10)는 OFF가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C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모터(10)가 정회전하고, D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모터(10)가 역회전하는 바와 같이, 모터(10)가 운전된다.
(2) 제1 실시 형태의 적용예 및 동작
이상이 제1 실시 형태의 다축 구동 장치의 구성이며,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다축 구동 장치를 차량용 전동 시트에 적용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당해 다축 구동 장치를, 시트 쿠션의 측면이며, 그 시트 쿠션에 착석하는 승차자가 다이얼(30)을 조작 가능한 개소에, 모터축(11)이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3개의 제2 입력 기어(14) 중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각을 이루는 위치의 제2 입력 기어(14)가 차량의 진행 방향에 위치하고, 다른 제2 입력 기어(14)가 후방에서 상하로 늘어선 상태로 부착된다. 여기서, 전측의 것을 전측 제2 입력 기어(14A), 하측의 것을 하측 제2 입력 기어(14B), 상측의 것을 상측 제2 입력 기어(14C)로 한다. 또, 출력 기어(21)에 대해서는, 전측의 것을 전측 출력 기어(21A), 하측의 것을 하측 출력 기어(21B), 상측의 것을 상측 출력 기어(21C)로 한다.
각 출력 기어(21A~21C)의 출력축(22)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토크 케이블이 접속된다. 토크 케이블은, 각 출력축(22)의 회전을, 시트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기구,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 기구, 시트 좌면 높이 조절 기구에 각각 전달하여, 이들 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토크 케이블을 통하여, 전측 출력 기어(21A)의 출력축(22)은 리클라이닝 기구에, 하측 출력 기어(21B)의 출력축(22)은 시트 좌면 높이 조절 기구에, 상측 출력 기어(21C)의 출력축(22)은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 기구에 각각 접속된다. 이하, 각 기구를 다축 구동 장치로 작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2-1)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 기구
전후 위치 조절 기구를 작동시켜 시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려면, 다이얼(30)을 회전시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50)의 지시부(51)가 전방을 향하게 한다. 그러면, 캠(41)의 오목부(42)가 상측 제2 입력 기어(14C)에 면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오목부(42)에 상측 출력 기어(21C)의 핀(24)이 끼워져 상측 제2 입력 기어(14C)에 상측 출력 기어(21C)가 맞물린다. 한편, 전측 및 하측 출력 기어(21A, 21B)에서는, 핀(24)이 캠(41)의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전측 및 하측 제2 입력 기어(14A, 14B)와 이격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스위치(50)를 전방(C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시트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스위치(50)를 후방(D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시트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모터(10)가 회전한다. 스위치(50)를 적당하게 전후로 움직임으로써, 시트의 전후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2-2) 리클라이닝 기구
리클라이닝 기구로 시트의 등받이 각도를 조절하려면, 다이얼(30)을 회전시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50)의 지시부(51)를 전방, 또한 비스듬하게 하방 45˚로 향하게 한다. 그러면, 캠(41)의 오목부(42)가 전측 제2 입력 기어(14A)에 면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오목부(42)에 전측 출력 기어(21A)의 핀(24)이 끼워져 전측 제2 입력 기어(14A)에 전측 출력 기어(21A)가 맞물린다. 한편, 하측 및 상측 출력 기어(21B, 21C)에서는, 핀(24)이 캠(41)의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하측 및 상측 제2 입력 기어(14B, 14C)와 이격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스위치(50)를 비스듬하게 전방(C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시트의 등받이가 전방으로 기울고, 스위치(50)를 비스듬하게 후방(D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등받이가 후방으로 기울도록, 모터(10)가 회전한다. 스위치(50)를 적당하게 상하로 함으로써, 등받이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2-3) 시트의 좌면 높이 조절 기구
좌면 높이 기구를 작동시켜 시트 좌면의 높이를 조절하려면, 다이얼(30)을 회전시켜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50)의 지시부(51)를 하방에 향하게 한다. 그러면, 캠(41)의 오목부(42)가 하측 제2 입력 기어(14B)에 면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오목부(42)에 하측 출력 기어(21B)의 핀(24)이 끼워져 하측 제2 입력 기어(14B)에 하측 출력 기어(21B)가 맞물린다. 한편, 전측 및 상측 출력 기어(21A, 21C)에서는, 핀(24)이 캠(41)의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전측 및 상측 제2 입력 기어(14A, 14C)와 이격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스위치(50)를 하방(C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시트 좌면이 내려가고, 스위치(50)를 상방(D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시트 좌면이 올라가도록, 모터(10)가 회전한다. 스위치(50)를 적당하게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시트 좌면을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3) 작용 효과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다축 구동 장치에 의하면, 모터(10)의 동력을 복수의 출력축(22)에 분기시키는 기구는, 제2 입력 기어(14)에, 각 출력축(22)과 일체의 출력 기어(21)를 맞물리게 하는 구성이다. 또, 출력축(22)의 선택은, 다이얼(30)을 회전시키고, 접속시키고 싶은 출력 기어(21)를 제2 입력 기어(14)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모터(10)의 동력을 복수의 출력 기어(21)에 분기하는 기구나 작동시키는 출력 기어(21)의 선택을, 캠(41)의 둘레에 출력 기어(21)를 배치한 컴팩트한 구성으로 달성하고 있으므로, 경량화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캠(41)을 회전시킨다는 하나의 동작으로 출력 기어(21)가 제2 입력 기어(14)와 맞물림과 함께, 출력 기어(21)의 핀(24)이 오목부(42)에 끼워질 때에 클릭감을 얻을 수 있으므로, 조작성 및 조작 감각이 우수하다.
또, 출력 기어(21)는, 제2 입력 기어(14)의 주위를 따라 위치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고, 제2 입력 기어(14) 및 출력 기어(21)는, 제1 입력 기어(12)의 주위를 따라 위치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출력축(22)이 접속되는 부재의 위치 등에 맞추어 출력축(22)의 위치 및 각도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에 부착한 상태에서의 스위치(50)의 위치나 조작 방향이, 조절하는 가동 기구(리클라이닝 기구, 시트의 전후 위치 조절 기구, 시트 좌면 높이 조절 기구)의 가동 방향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감각과 실제의 동작이 일치하여 사용하기 편리하다.
[2]제2 실시 형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모터(10)의 회전축이 제1 입력 기어(12)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모터(10)의 모터축(11)의 선단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벨기어를 구성하는 제3 입력 기어(11a)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1 입력 기어(12)의 중심에는 입력축(16)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입력축(16)의 선단에는, 제3 입력 기어(11a)와 맞물리는 베벨기어를 구성하는 제4 입력 기어(16a)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10)가 회전하면, 모터축(11)의 회전이 제3 입력 기어(11a)로부터 제4 입력 기어(16a)에 전해져 제1 입력 기어(12)가 회전하고, 제1 입력 기어(12)와 맞물리는 제2 입력 기어(14)가 회전한다. 그리고 다이얼(30)을 회전시켜, 캠(41)의 오목부에 출력 기어(21)의 핀(24)이 끼워져 출력 기어(21)가 제2 입력 기어(14)에 맞물리면, 출력 기어(21)에 고정되어 있는 출력축(22)이 회전한다.
[3]제3 실시 형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다이얼(30)(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다이얼(30)로 칭한다)의 회전 조작을 다른 다이얼(제2 다이얼)(35)로 행하여 출력 기어(21)의 접속의 전환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다이얼(30)은 프레임(70)의 일면측(도 7에서 우측)에, 회전축(30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다이얼(35)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다이얼(30)의 주위의 동축이 아닌 위치에 있어서, 프레임(70)의 타면측(도 6에서 좌측)에 회전축(35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2 다이얼(35)에는, 상기 스위치(50)와 동일한 스위치(50A)가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70)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본 장치를 가동식의 차량용 시트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시트 프레임 등의 프레임이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다이얼(35)의 회전축(35a)은 프레임(70)을 관통하여 일면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이 제2 다이얼(35)의 회전축(35a)과 제1 다이얼(30)의 회전축(30a)에, 전달 벨트(전달 부재)(80)가 감겨져 있다. 제2 다이얼(35)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이 전달 벨트(80)를 통하여 제1 다이얼(30)에 전해지고, 이것에 의해 제1 다이얼(30)이 회전하여 출력 기어(21)의 접속의 전환이 행해진다.
이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다이얼(30)로부터 떨어진 임의의 위치에 제2 다이얼(35)을 배치하고 각 다이얼(30, 35)을 전달 벨트(80)로 연결함으로써, 캠(41)에 의해 구동시키는 출력축(25)의 선택을, 캠(41) 및 다이얼(30)의 배치 위치에 구속되지 않은 위치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제2 다이얼(35)의 회전을 제2 다이얼(30)에 전하는 수단으로서는, 전달 벨트(80) 외에, 하나의 기어, 혹은 복수의 기어가 맞물리는 기어열을 채용해도 된다.
[4]제4 실시 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10)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5)에는, 3개의 베어링 블록(60)이 제1 입력 기어(12)에 대해 접근 이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5)의 외주부에는, 스프링 시트(5a)가 설치되며, 스프링 시트(5a)와 베어링 블록(60)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3)이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코일 스프링(23)에 의해, 베어링 블록(60)은 제1 입력 기어(12)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탄성 가압되어 있다.
베어링 블록(60)에는, 출력 기어(출력 부재)(61)의 출력축(6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 기어(61)는, 제1 입력 기어(12)와 맞물림 가능한 평기어이다. 또, 출력 기어(61)의 일단면의 중앙에는, 일단측으로 돌출하는 핀(6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한 캠(41), 다이얼(30), 스위치(5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캠(41)에는,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3개의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어링 블록(60)은, 이등변 삼각형을 구성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얼(30)을 45˚ 회전시킬 때마다 오목부(42)에 출력 기어(61)의 핀(64)이 끼워지고, 당해 출력 기어(61)가 제1 입력 기어(12)와 맞물린다. 즉, 도 9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다이얼(30)을 회전시키면, 오목부(42)에 끼워져 있던 핀(64)이 캠(41)의 외주면에 얹혀져, 출력 기어(61)가 제1 입력 기어(12)로부터 떨어진다. 또, 당해 출력 기어(61)에 인접하는 출력 기어(61)의 핀(64)이 오목부(42)에 면하면, 코일 스프링(2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베어링 블록(60)이 제1 입력 기어(12)측으로 이동하여, 출력 기어(61)가 제1 입력 기어(12)와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모터(10)의 회전이 출력축(62)에 전달된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입력 기어(12)에 출력 기어(61)를 직접 맞물리게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기어의 수가 큰 폭으로 저감되어 구성이 간략화되어 있다.
[5]제5 실시 형태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부호 71은 출력 기어이다. 출력 기어(71)는, 도 1에 나타낸 출력 기어(21)와 동등한 출력축(72) 및 핀(74)을 구비한 것이지만, 출력 기어(71)의 베벨기어의 방향이 도 1에 나타낸 것과 역이 되고, 또한, 제2 출력 기어(14)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0에 있어서 부호 81은 캠이다. 캠(81)의 외주부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 곡면을 이루는 3개의 볼록부(82)가 원주 방향으로 120˚씩 이격한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출력 기어(71)의 핀(74)이 볼록부(82)와 볼록부(82) 사이에 위치할 때에는, 핀(74)은 코일 스프링(23)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캠(81)의 외주면에 가압되고, 이 상태에서는 출력 기어(71)는 제2 입력 기어(14)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그 상태로부터 캠(81)이 회전되어 볼록부(82)에 핀(74)이 얹혀지면, 출력 기어(71)는, 코일 스프링(23)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입력 기어(14)측으로 이동되어, 제2 입력 기어(14)의 베벨기어부(14b)와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모터(10)의 회전이 출력축(72)에 전달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5 실시 형태에서도 회전축(31)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한 다이얼(30)이 고정되고, 다이얼(30)에는 스위치(5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캠(81)의 볼록부(82)에 의해 출력 기어(71)를 제2 입력 기어(14)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3)이 주저앉아도 출력 기어(71)를 제2 입력 기어(14)의 베벨기어부(14b)에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다.
[6]본 발명에 포함되는 다른 양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2 입력 기어(14)와 출력 기어(21)와 같이 이가 맞물리는 구성 대신에, 마찰면끼리의 접합에 의한 구성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조작 부재로서는 다이얼(30, 35)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 등, 일단부를 회동 조작하는 형식의 것이어도 된다.
또, 도 4에 나타낸 시트의 가동 부위와의 연동의 구성은 일례이며, 다이얼(30)의 회전에 의해 작동시키는 출력 기어(21)의 위치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출력축의 수도 임의이며, 예를 들면 시트 좌면의 높이 조절을, 시트 쿠션의 전후 2개소로 나누어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것에 맞추어 출력축을 합계 4개 구비하는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입력 기어(14)에 출력 기어(21)를 맞물리게 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제1 입력 기어(12)를 베벨기어로서 구성하여 제1 입력 기어(12)에 맞물리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제5 실시 형태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렉터 부재(상기 캠(41))가 조작 부재(상기 다이얼(30))로 회전되는 형태이지만, 실렉터 부재는 조작 부재에 의해 직선 이동되는 형태도 본 발명은 포함한다. 이하, 그 실시 형태인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7]제6 실시 형태:도 12~도 16
(1) 제6 실시 형태의 구성
도 12 및 도 13은,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된 다축 구동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10은 캠 부재(실렉터 부재)이다. 이 캠 부재(110)는 수평인 Y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지지 부재에 의해 길이 방향(Y방향, 도 13에서는 도면의 표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부재(11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면은 캠면(111)이 되고, 이들 캠면(111)의 소정 개소에는, 두께 방향으로 개방되는 복수의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면(111)의 오목부(112)의 양측은 Y방향을 따른 볼록부(113)로 되어 있다. 오목부(112)로부터 볼록부(113)에 이르는 이행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 부재(110)의 중앙부에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114)의 Y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방의 내측면에는, Y방향으로 치열이 늘어선 랙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랙부(115)에는, 조작축(121) 상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122)가 맞물려져 있다(랙 앤드 피니언 기구). 조작축(121)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선단에 원판 형상의 다이얼(조작 부재)(120)이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다이얼(120)을 회전시키면 피니언 기어(122)가 일체로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122)에 구동되어 랙부(115)가 Y방향으로 이동하여, 이것에 의해 캠 부재(110)는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즉, 다이얼(120)에 의해 조작축(121)이 R1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부재(110)는 Y1방향으로 보내지고, 조작축(121)이 R2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부재(110)는 Y2방향으로 보내진다.
캠 부재(110)의 X방향의 양측에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출력축(출력 부재)(130)이, 선단을 캠면(111)에 대향시킨 상태로 Y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들 출력축(130)은,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지지 부재에 의해 축방향(X방향)을 따라 캠면(111)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축(130)은, 축부(131)의 도중에, 치면을 캠 부재(110)측에 향하게 한 베벨기어(132)가 일체적, 또한 동축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캠면(111)에 대향하는 축부(131)의 선단(볼록부)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출력축(130)은, 다이얼(120)에 의해 캠 부재(110)가 Y방향으로 보내지면 오목부(112)나 볼록부(113)에 대향한다.
출력축(130)은, 축부(131)에 외장되며 베벨기어(132)에 걸어 맞춰지는 압축 스프링(133)에 의해 캠면(111) 방향으로 진출하도록 탄성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캠 부재(110)가 Y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목부(112)가 출력축(130)에 대향하면 출력축(130)의 선단부는 압축 스프링(133)에 탄성 가압되어 오목부(112)에 진입하고, 또, 볼록부(113)가 출력축(130)에 대향하면 출력축(130)은 압축 스프링(133)에 저항하여 볼록부(113)에 얹혀져 퇴행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부재(110)의 하방에는, 모터축(모터의 회전축)(141)이 상방으로 연장된 상태로 모터(140)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축(141)에는, 동력 전달 부재(142)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러치축(143)이 연결되어 있다. 동력 전달 부재(142)는 클러치축(143)에 모터축(141)의 회전을 전하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기어열, 벨트 등을 들 수 있다.
클러치축(143)은 출력축(130)마다 배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베벨기어(1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클러치축(143)에는, 모터(140)의 동력이 동력 전달 부재(142)를 통하여 전해지고, 모터(140)의 작동시에는 각 클러치축(143)은 회전한 상태가 된다. 클러치축(143)이 본 발명에 관련된 입력 부재를 구성하고, 베벨기어(144)를 가지는 클러치축(143) 및 출력축(130)의 베벨기어(132)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클러치 기구(150)가 구성되어 있다. 모터(140)는, 다이얼(120)에 설치된 스위치(123)에 의해 작동이 ON?OFF된다.
이 클러치 기구(150)에 의하면, 출력축(130)이 캠 부재(110)의 오목부(112)에 진입하면, 베벨기어(132)가 클러치축(143)측의 베벨기어(44)에 맞물려 접속 상태가 되고(도 13의 좌측 상태), 모터(140)의 동력이 동력 전달 부재(42), 클러치축(143), 클러치 기구(150)를 거쳐 출력축(130)에 전해져, 출력축(130)이 회전한다. 또, 출력축(130)이 캠 부재(110)의 볼록부(113)에 얹혀진 상태에서는, 출력축(130)측의 베벨기어(132)는 클러치축(143)측의 베벨기어(42)로부터 이탈하고, 클러치축(143)이 공전한 상태가 되어 출력축(130)은 회전하지 않는 절단 상태가 된다(도 13의 우측 상태).
(2) 제6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
상기 다축 구동 장치에 의하면, 다이얼(120)을 회전 조작시켜 캠 부재(110)를 Y방향으로 보냄으로써, 출력축(130)이 캠면(111)의 오목부(112)에 진입하여 클러치 기구(150)가 접속 상태가 되고, 그 출력축(130)이 회전한다. 따라서 다이얼(120)의 회전 조작에 의한 캠 부재(110)의 Y방향으로의 이송 방향, 및 이송 길이에 따라 출력축(130)은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구동시키는 출력축(130)은, 오목부(112)의 형성 위치나 출력축(130)의 위치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오목부(112)의 형성 위치나 출력축(130)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구동시키는 출력축(130)의 수를 1개, 또는 복수로 설정할 수 있다.
캠 부재(110)의 이동 중에는, 압축 스프링(133)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음으로써 출력축(130)의 선단은 항상 캠면(111)에 맞닿아, 오목부(112)와 볼록부(113)를 교호로 슬라이드 이동되지만, 선단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또한 오목부(112)로부터 볼록부(113)로의 이행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축(130)은 원활히 캠면(111)을 슬라이드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의 다축 구동 장치에 의하면, 캠 부재(110)를 Y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랙부(115)를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캠 부재(110)의 중앙에 형성한 구멍(114)의 내측면에 랙부(115)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랙부(115)의 형성 위치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부재(11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돌출부(116)를 일체로 설치하고, 이 돌출부(116)에 구멍(114)을 형성하여 그 내측면에 동일한 랙부(115)를 형성하고, 다이얼(120)의 조작축(121)의 피니언 기어(122)를 랙부(115)에 맞물리게 한다. 이에 의하면 다이얼(120)의 위치를 출력축(130)으로부터 비교적 이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클러치 기구(150)의 단접을 조작하는 조작축(121)을 가지는 다이얼(120)의 배치에 제약을 받는 일이 없다. 또, 출력축(130)도, 캠 부재(110)의 캠면(111)에 대해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조작축(121)을 포함하는 다이얼(120)과 출력축(130)의 배치의 자유도가 큰 폭으로 향상된다. 또한, 랙부(115)는 캠 부재(110)에 직접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로드 등의 전달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랙부(115)를 간접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랙부(115)의 치열은 캠 부재(110)의 이동 방향과 평행이 아니어도 되고, 가능하면 임의의 방향이어도 된다.
또, 서로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출력축(130)을 캠면(111)을 따라 다수 배열시킬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캠면(111)을 길게 하면 출력축(130)을 더욱 많이 배열할 수 있다.
또, 캠 부재(110)의 두께를 크게 하거나, 혹은 캠 부재(110)를 복수 겹치는 등 하여 캠면(111)을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설치하고, 그들 캠면(111)에 출력축(130)을 대응시켜 배열한다는 입체적인 배치 패턴도 가능하다. 도 15 및 도 16은 그러한 복수단 구조의 구체예이며, 도 14에 나타낸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캠 부재(110)의 양측면에는, 두께 방향으로 2단의 캠면(1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캠면(111)이 연장되는 상기 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캠면(111)이 2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상하의 캠면(111)의 소정 개소에 상기 오목부(112)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들 오목부(112)에 대응하여, 클러치 기구(150)에 부수하는 출력축(130)을 배열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전체가 길어지는 일 없이 많은 출력축(130)을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축(130)은 축방향을 도 12에서의 X방향과 평행으로 하여 배치하고 있지만, 도 12의 파선과 같이, 출력축(130)의 캠면(111)에 대한 대향 각도가 X방향에 대해 비스듬해지는 배치도 가능하다. 이것은, 바람직한 출력축(130)이 연장되는 방향이 X방향과 평행이 아닌 경우, 그 바람직한 방향에 따라 출력축(130)의 배치 각도를 맞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캠 부재(110)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수단을 설치하는 것은, 캠면(111)으로부터 출력축(130)이 벗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스토퍼 수단은 어떠한 형태의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캠 부재(110)의 이동 방향의 단부에 맞닿는 부재, 혹은 다이얼(120)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는, 출력축(130)이 오목부(112)에 진입했을 때에 클러치 기구(150)가 접속되고, 출력축(130)이 볼록부(113)에 얹혀졌을 때에 클러치 기구(150)가 절단된다는 작동 형태이지만, 이것과는 역의 작동 형태, 즉 출력축(130)이 오목부(112)에 진입했을 때에 클러치 기구(150)가 절단되고, 출력축(130)이 볼록부(113)에 얹혀졌을 때에 클러치 기구(150)가 접속된다는 작동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의 다축 구동 장치는, 차량용 전동 시트를 모터(140)로 작동시킬 때의 장치로서 적합하다. 즉 차량용 전동 시트의, 예를 들면 시트 좌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구, 시트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기구, 및 시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기구 등의 가동 기구에 대해, 각 출력축(130)을 토크 케이블 등을 통하여 접속하여, 모터(140)의 동력을 각 가동 기구에 선택적으로 분기시켜 이들 가동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다축 구동 장치는, 전동 시트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가동 기구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기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 형태로서, 도 17~도 32를 참조하여 제7~제1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들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200)가 작동하여 회전하는 모터축(회전축)(201)에 고정된 평기어인 입력 기어(입력 부재)(202)의 회전이, 복수의 출력축(출력 부재)(210)에, 각 출력축(210)마다 설치된 클러치 기구(220)를 통하여 전달되어, 캠 부재(실렉터 부재)(230, 240, 250, 260, 270, 280)에 의해 회전시키는 출력축(210)이 선택되는 구성을, 공통, 또한 기본적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출력축(210)은, 상기 제6 실시 형태의 출력축(130)과 동일 구성이며, 선단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축부(211)의 도중에 치면을 선단측에 향하게 한 베벨기어(212)가 일체적, 또한 동축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출력축(210)은, 선단을 캠 부재(230, 240, 250, 260, 270, 280)에 향하게 되고, 베벨기어(212)에 걸어 맞춰지는 압축 스프링(213)에 의해 캠 부재(230, 240, 250, 260, 270, 280)의 방향으로 진출하여 맞닿도록 탄성 가압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220)는, 입력 기어(202)의 주위에 배치되며, 입력 기어(202)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된 평기어(203)와 일체로 회전하는 베벨기어(221)와, 이 베벨기어(221)에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출력축(210)의 베벨기어(212)에 의해 구성된다. 제7~제12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캠 부재(230, 240, 250, 260, 270, 280)가 각각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하, 실시 형태마다 설명한다.
[8]제7 실시 형태:도 17~도 19
제7 실시 형태의 캠 부재(2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부재에 의해 도 17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수평으로 한 자세인 상태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부재(230)의 일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다이얼축(231)이 상방으로부터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어 있다. 다이얼축(231)의 상단에는 원판 형상의 도시하지 않은 다이얼이 동심 형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캠 부재(23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즉, 다이얼축(231)과 캠 부재(230)에 의해 볼나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캠 부재(230)의 양측면(232a, 232b)에는, 경사면을 통하여 오목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33)의 수 및 형성 개소는 임의이며, 이 경우, 일방의 측면(232a)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한 2위치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타방의 측면(232b)에는 상하 방향의 중간이며 일방의 측면(232a)측의 2개의 오목부(233)의 사이에 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출력축(210)은 캠 부재(230)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캠 부재(230)의 각 측면(232a, 232b)에 선단이 직교하여 닿고, 또한 선단이 각 오목부(233)에 끼워 맞춰짐 가능한 위치에 있어서, 캠 부재(230)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축(210)은 선단이 측면(232a, 232b)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압축 스프링(213)의 힘에 저항하여 퇴행한 상태가 되고, 이때에는 베벨기어(212)는 베벨기어(221)로부터 떨어져 클러치 기구(220)는 절단 상태가 된다. 클러치 기구(220)가 절단되어 있을 때, 모터(200)의 동력은 베벨기어(221)까지 밖에 전해지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다이얼축(231)의 회전이 캠 부재(230)의 하강 또는 상승으로 변환되어, 오목부(233)에 경사면을 거쳐 축부(211)의 선단이 끼워 맞춰짐으로써 출력축(210)이 캠 부재(230)측으로 진출한다. 이와 같이 축부(211)의 선단이 오목부(233)에 끼워 맞춰진 출력축(210)은, 베벨기어(212)가 베벨기어(221)에 맞물려 클러치 기구(220)는 접속 상태가 되고, 그 출력축(210)은 모터(200)의 동력이 전해져 회전한다. 또, 다이얼을 회전시켜 캠 부재(230)가 상하 이동하고, 오목부(233)로부터 출력축(210)의 선단이 빠져나오면, 클러치 기구(220)는 절단 상태가 된다.
[9]제8 실시 형태:도 20~도 23
제8 실시 형태의 캠 부재(2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 부재에 의해 도 20 및 도 21에 있어서 축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부재(240)의 일단부에는, 맞물리는 베벨기어(242a, 242b)를 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이얼축(241)이 접속되어 있다. 다이얼축(241)의 상단에는, 원판 형상의 도시하지 않은 다이얼이 동심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베벨기어(242a, 242b)를 통하여 캠 부재(240)가 다이얼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역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캠 부재(240)의 둘레면(240a)에는, 복수의 오목부(243)가 축방향으로 분산되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3)의 수 및 둘레방향의 형성 위치는 임의이며, 이 경우,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243)는 둘레방향을 등분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오목부(243)는, 원활하게 출력축(210)의 선단이 빠져나오도록 경사면을 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성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출력축(210)은 캠 부재(240)의 양측에 있어서 캠 부재(240)의 직경 방향을 따른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캠 부재(240)의 둘레면(240a)에 축부(211)의 선단이 직교하여 닿고, 또한 선단이 각 오목부(243)에 끼워 맞춰짐 가능한 위치에 있어서, 캠 부재(240)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축(210)은 축부(211)의 선단이 캠 부재(240)의 둘레면(240a)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압축 스프링(213)의 힘에 저항하여 퇴행한 상태가 되고, 이때에는 클러치 기구(220)는 절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을 적당하게 회전시켜 캠 부재(240)를 회전시키면, 오목부(243)에 출력축(210)의 축부(211)의 선단이 끼워 맞춰져, 출력축(210)이 캠 부재(240)측으로 진출한다. 이와 같이 축부(211)의 선단이 오목부(243)에 끼워 맞춰진 출력축(210)은, 클러치 기구(220)가 접속 상태가 되어 모터(200)의 동력이 전해져 회전한다.
[10]제9 실시 형태:도 24~도 26
제9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축(201)에 평기어(203)가 직접 맞물려져 있으며, 평기어(203)가 입력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구성은, 이하의 제10~제12 실시 형태도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제9 실시 형태의 캠 부재(250)는, 동일한 외경의 2장의 원판(252)이 일체적, 또한 동심 형상으로 겹쳐진 구성이며, 상측의 원판(252)의 중심에 설치된 다이얼축(251)에, 도시하지 않은 다이얼이 동심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캠 부재(250)에서는, 각 원판(252)의 외주면(252a)의 임의의 위치에 오목부(25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53)의 수 및 둘레방향의 형성 위치는 임의이며, 이 경우는, 상측의 원판(252)에는 하나의 오목부(253)가 형성되고, 하측의 원판(252)에는 2개의 오목부(253)가 형성되어 있다.
출력축(210)은 캠 부재(250)의 각 원판(25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서는 상측의 원판(252)에 대해 1개(210A로 나타낸다), 하측의 원판(252)에 대해 2개(210B로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있다. 각 출력축(210)은, 축부(211)의 선단이 각 원판(252)의 외주면(252a)에 닿는 위치에 있어서, 캠 부재(250)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축(210)은 축부(211)의 선단이 각 원판(252)의 외주면(252a)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압축 스프링(213)의 힘에 저항하여 퇴행한 상태가 되고, 이때에는 클러치 기구(220)는 절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을 적당하게 회전시켜 캠 부재(250)를 회전시키면, 각 원판(252)의 오목부(253)에 출력축(210)의 축부(211)의 선단이 끼워 맞춰져, 출력축(210)이 캠 부재(250)측으로 진출한다. 이와 같이 축부(211)의 선단이 오목부(253)에 끼워 맞춰진 출력축(210)은, 클러치 기구(220)가 접속 상태가 되어 모터(200)의 동력이 전해져 회전한다. 이 실시 형태와 같이 오목부(253)가 형성되는 면이 복수단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면, 단수에 따라 출력축(210)을 다수 배열할 수 있어, 출력축(210)을 더욱 많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11]제10 실시 형태:도 27~도 28
제10 실시 형태의 캠 부재(260)는, 부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 캠 부재(260)는, 도시하지 않은 다이얼의 다이얼축(261)에, 부채 형상의 연결판(262)을 통하여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다이얼축(261)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된다. 캠 부재(260)는, 외주면(260a) 및 내주면(260b)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외주면(260a) 및 내주면(260b)에는 오목부(26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63)의 수 및 둘레방향의 형성 위치는 임의이며, 이 경우는, 둘레방향의 거의 중간 위치에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출력축(210)은, 캠 부재(260)의 외주면(260a) 및 내주면(260b)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외주면(260a)측에 2개, 내주면(260b)측에 1개가 배치되어 있다. 각 출력축(210)은, 축부(211)의 선단이 외주면(260a) 및 내주면(260b)에 닿는 위치에 있어서, 캠 부재(206)에 대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축(210)은 선단이 외주면(260a) 및 내주면(260b)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압축 스프링(213)의 힘에 저항하여 퇴행한 상태가 되고, 이때에는 클러치 기구(220)는 절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을 적당하게 회전시켜 캠 부재(260)를 회전시키면, 오목부(263)에 출력축(210)의 축부(211)의 선단이 끼워 맞춰져, 출력축(210)이 캠 부재(263)측으로 진출한다. 이와 같이 축부(211)의 선단이 오목부(262)에 끼워 맞춰진 출력축(210)은 클러치 기구(220)가 접속 상태가 되어 모터(200)의 동력이 전해져 회전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을 출력축(210)의 사이에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출력축(210)의 작동 전환을 행할 수 있어,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12]제11 실시 형태:도 29~도 30
제11 실시 형태의 캠 부재(270)는 원판 형상이며, 외주면(270a)의 임의의 위치에 복수의 오목부(273)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다이얼이 고정되는 다이얼축(271)은 캠 부재(270)의 회전 중심과는 오프셋되어 있으며, 캠 부재(270)와 다이얼축(271)은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평기어(272a, 272b)로 접속되고,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기어(272a, 272b)를 통하여 캠 부재(270)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출력축(210)은, 상기 제9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캠 부재(270)의 외주면(270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축부(211)의 선단이 캠 부재(270)의 외주면(270a)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압축 스프링(213)의 힘에 저항하여 퇴행하고, 이때에는 클러치 기구(220)는 절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을 적당하게 회전시켜 캠 부재(270)를 회전시키면, 캠 부재(270)의 오목부(273)에 출력축(210)의 축부(211)의 선단이 끼워 맞춰져, 출력축(210)이 캠 부재(270)측으로 진출한다. 이와 같이 축부(211)의 선단이 오목부(273)에 끼워 맞춰진 출력축(210)은 클러치 기구(220)가 접속 상태가 되어 모터(200)의 동력이 전해져 회전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0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다이얼을 출력축(210)의 사이에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출력축(210)의 작동 전환을 행할 수 있어,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 평기어(272a, 272b)의 기어비를 변경함으로써, 클러치 기구(220)를 단접시키는 다이얼의 조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13]제12 실시 형태:도 31~도 32
제12 실시 형태의 캠 부재(280)는, 외주면(280a)에 복수의 오목부(283)가 형성된 원판 형상의 것으로, 중심에 설치된 다이얼축(281)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다이얼이 동심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캠 부재(280)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출력축(210)은 선단이 캠 부재(280)의 외주면(280a)에 직접 맞닿는 것이 아니라, 압축 스프링(213)으로 눌러지는 출력축(210)에 의해 선회되는 링크(285)의 선단이 외주면(280a)에 맞닿고, 또, 오목부(183)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링크(285)의 선단이 캠 부재(280)의 외주면(280a)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압축 스프링(213)의 힘에 저항하여 출력축(210)은 퇴행하고, 이때에는 클러치 기구(220)는 절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얼을 적당하게 회전시켜 캠 부재(280)를 회전시키면, 링크(285)의 선단이 오목부(283)에 끼워 맞춰져, 출력축(210)이 캠 부재(280)측으로 진출한다. 그러면 그 출력축(210)에서는 클러치 기구(220)가 접속 상태가 되어, 모터(200)의 동력이 전해져 회전한다.
이와 같이 캠 부재(280)와 출력축(210)의 사이에 링크(285)를 개재시키는 구성에 의하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캠 부재(280)가 오목부(283)로부터 링크(285)를 꺼낼 때의 힘이 증가하기 때문에, 압축 스프링(213)의 힘이 강해도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링크(285)의 배치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캠 부재(280)가 작아 오목부(283)의 깊이를 크게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도 링크(285)의 레버비에 의해 출력축(210)을 크게 움직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캠 부재(280)에 많은 오목부(283)를 설치하여 출력축(210)을 많이 배치하거나, 임의의 배치에 대응하거나 할 수 있어,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10, 140, 200: 모터
11, 141, 201: 모터축(모터의 회전축)
12: 제1 입력 기어(평기어)
14: 제2 입력 기어(입력 부재)
14a: 평기어부(제1 기어부)
14b: 베벨기어부(제2 기어부)
21: 출력 기어(출력 부재)
22, 25, 62, 72: 출력축
23, 133: 코일 스프링(탄성 가압 수단)
24: 핀(볼록부)
30, 120: 다이얼(조작 부재)
41: 캠(실렉터 부재)
42, 112, 233, 243, 253, 263, 273, 283: 오목부(작용부)
50: 스위치
61: 출력 기어(출력 부재)
110, 230, 240, 250, 260, 270, 280: 캠 부재(실렉터 부재)
111: 캠면(작용부)
130: 출력축(출력 부재)
133, 213: 압축 스프링(탄성 가압 부재)
143: 클러치축(입력 부재)
202: 입력 기어(입력 부재)
210: 출력축(출력 부재)

Claims (21)

  1. 모터의 회전축에 접속된 입력 부재와,
    출력축을 가지며, 상기 입력 부재에 대해 걸림 이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걸어 맞춰졌을 때에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이 전달되는 복수의 출력 부재와,
    복수의 상기 출력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작용부를 가지고, 작동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작용부가 대향하여 작용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에 선택적으로 걸어 맞추게 하는 실렉터 부재와,
    이 실렉터 부재에 연결되며,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실렉터 부재가 작동되는 회전식의 조작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렉터 부재의 상기 작용부는, 상기 실렉터 부재의 상기 출력 부재에 대한 대향면에 형성된 오목부 혹은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렉터 부재의 상기 작용부는, 상기 실렉터 부재의 작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단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의 상기 작용부에 대한 대향 각도가 임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오목부이고, 상기 출력 부재는, 그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는 상기 볼록부이고, 상기 출력 부재는 상기 볼록부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는 베벨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부재는, 상기 베벨기어와 축선끼리를 교차시켜 맞물리는 베벨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전달되는 평기어이며, 상기 출력 부재는, 상기 평기어와 맞물리는 평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렉터 부재의 작동 형태가 회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실렉터 부재는, 원통 곡면을 이루며 상기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외주부와, 상기 외주부에 설치되며 상기 출력 부재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실렉터 부재는, 원통 곡면을 이루며 상기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외주부와, 상기 외주부에 설치되며 상기 출력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부재는, 상기 모터의 상기 회전축에 접속된 제1 입력 기어와, 이 제1 입력 기어의 외주측에 설치된 복수의 제2 입력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입력 기어는, 상기 제1 입력 기어의 외주부와 맞물리는 제1 기어부와, 상기 출력 부재와 걸림 이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제2 기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는, 상기 제2 입력 기어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따라 위치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기어는, 상기 제1 입력 기어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을 따라 위치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렉터 부재의 작동 형태는, 직선 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실렉터 부재의 직선 이동은, 상기 실렉터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사이에 개재된 랙 앤드 피니언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실렉터 부재는, 상기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캠면과, 이 캠면에 설치되며 상기 출력 부재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18.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실렉터 부재는, 상기 출력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캠면과, 이 캠면에 설치되며 상기 출력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출력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측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1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렉터 부재의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에는, 소정의 가동 기구가 구비하는 가동 부위가 접속되고,
    상기 조작 부재에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는,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모터를 정회전시키고,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키며, 상기 스위치의 슬라이드 방향은, 상기 가동 부위의 가동 방향과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가동 기구가 차량용 시트이며, 이 차량용 시트가 가지는 가동 부위의 조절 기구에, 상기 출력 부재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구동 장치.
KR20127006396A 2009-08-28 2010-08-27 다축 구동 장치 KR101362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97958 2009-08-28
JPJP-P-2009-197958 2009-08-28
JP2010112816 2010-05-17
JPJP-P-2010-112816 2010-05-17
PCT/JP2010/064628 WO2011024964A1 (ja) 2009-08-28 2010-08-27 多軸駆動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292A Division KR20130141733A (ko) 2009-08-28 2010-08-27 다축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391A true KR20120052391A (ko) 2012-05-23
KR101362635B1 KR101362635B1 (ko) 2014-02-12

Family

ID=436280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292A KR20130141733A (ko) 2009-08-28 2010-08-27 다축 구동 장치
KR20127006396A KR101362635B1 (ko) 2009-08-28 2010-08-27 다축 구동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292A KR20130141733A (ko) 2009-08-28 2010-08-27 다축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7442B2 (ko)
EP (1) EP2472143A4 (ko)
JP (3) JP4880088B2 (ko)
KR (2) KR20130141733A (ko)
CN (1) CN102472365B (ko)
WO (1) WO2011024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2536B2 (ja) * 2011-10-24 2015-04-0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駆動装置
US9068515B2 (en) 2011-12-07 2015-06-3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ccessory gearbox with tower shaft removal capability
US9377083B2 (en) 2013-05-28 2016-06-28 Caleb Chung Multiple-output transmission
CN103791031A (zh) * 2014-01-14 2014-05-14 长春绿野农业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水旱田两用农业机械传动箱
EP3544850A1 (en) * 2016-11-26 2019-10-02 KPIT Technologies Limited Bi-directional actuator
CN106828211B (zh) * 2017-02-21 2019-02-2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角度调节装置
CN109835318B (zh) * 2017-11-24 2023-08-22 常州中车铁马科技实业有限公司 轨道交通车辆用油压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CN108891310B (zh) * 2018-08-21 2023-10-20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电机共用的汽车座椅调节系统
WO2020172098A1 (en) * 2019-02-19 2020-08-27 Illinois Tool Works Inc. Drive unit for actuating a plurality of functions of an air vent system of an air distribution system, and air vent system with a drive unit of this type
US11602337B2 (en) * 2019-04-24 2023-03-14 Nuvasive, Inc. Transmission assembly
CN110843620B (zh) * 2019-11-29 2021-03-1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动座椅
CN114834836B (zh) * 2020-04-27 2023-11-03 北京京东乾石科技有限公司 啮合适配机构及物流系统
CN113928756A (zh) * 2020-06-29 2022-01-14 广东威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垃圾桶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9537A (en) * 1962-06-27 1964-01-28 Robert G Smits Multiple differential rotary mechanical drive
JPS5028181U (ko) 1973-07-10 1975-04-01
JPS5028181A (ko) * 1973-07-16 1975-03-22
JPS5441898Y2 (ko) * 1976-06-09 1979-12-06
JPS5328449U (ko) * 1976-08-18 1978-03-10
US4090413A (en) * 1976-10-29 1978-05-23 Ford Aerospace & Communications Corp. Cyclic motion generator
JPS54108169A (en) 1978-02-15 1979-08-24 Yamaha Motor Co Ltd Change gear device
DE2846632A1 (de) * 1978-10-26 1980-05-08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Hoehenverstellvorrichtung fuer sitze,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
DE2901208C2 (de) * 1979-01-13 1984-08-09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Verstellbarer Sitz, insbesondere Fahrzeugsitz
JPS56113258U (ko) 1980-01-30 1981-09-01
JPS5918971B2 (ja) * 1980-02-06 1984-05-01 株式会社 中村屋 減糖菓子類の製造法
JPS5897528A (ja) 1981-12-01 1983-06-10 Shiraki Kinzoku Kogyo Kk 6ウエイパワシ−ト調整装置
US4895052A (en) * 1983-10-21 1990-01-23 Gleasman Vernon E Steer-driven reduction drive system
JPS60164154U (ja) 1984-04-10 1985-10-31 スズキ株式会社 船外機のシフト装置
JPS62183504A (ja) 1986-02-07 1987-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圧トランス
US4819507A (en) * 1987-01-14 1989-04-11 Societe Redex Device for simultaneously driving the screws of two parallel screw-and-nut systems
JPS6418201A (en) * 1987-07-14 1989-01-23 Teikoku Tsushin Kogyo Kk Rotary knob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SE464287B (sv) * 1987-10-12 1991-04-08 Haakansson Bengt E W Anordning foer att reglera objekt i foerarmiljoen i ett fordon
CN2124686U (zh) * 1992-06-11 1992-12-16 张鹏飞 磁保健电动牙刷
JPH0687363A (ja) 1992-09-07 1994-03-29 Mitsuba Electric Mfg Co Ltd 車両用8−ウエイパワーシートの駆動装置
JPH0643399U (ja) 1992-11-20 1994-06-07 株式会社タチエス ギヤードモータ
JPH06156123A (ja) 1992-11-25 1994-06-03 Mitsuba Electric Mfg Co Ltd 車両用パワーシートにおける可動部駆動装置
US5791622A (en) * 1996-07-02 1998-08-11 Lear Corporation Vehicle power seat adjuster with flex cable guides
US6626064B1 (en) * 2000-08-08 2003-09-30 Lear Corporation Single motor module for a vehicle seat
EP1315635A1 (en) * 2000-09-07 2003-06-04 Intier Automotive Inc. Triple output transfer case for a vehicle seat
CN2504437Y (zh) * 2001-07-04 2002-08-07 吴声震 直角式减速机
DE10247703B3 (de) 2002-10-12 2004-04-08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CA2761044C (en) * 2010-12-22 2017-10-31 Magna Seating Inc. Single motor power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2365B (zh) 2015-02-25
JPWO2011024964A1 (ja) 2013-01-31
KR20130141733A (ko) 2013-12-26
WO2011024964A1 (ja) 2011-03-03
JP2012107752A (ja) 2012-06-07
EP2472143A1 (en) 2012-07-04
US9027442B2 (en) 2015-05-12
KR101362635B1 (ko) 2014-02-12
JP5318935B2 (ja) 2013-10-16
CN102472365A (zh) 2012-05-23
JP4880088B2 (ja) 2012-02-22
US20120144943A1 (en) 2012-06-14
JP2012102879A (ja) 2012-05-31
EP2472143A4 (en)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635B1 (ko) 다축 구동 장치
KR101498401B1 (ko) 동력 전달 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다축 구동 장치
JP6126104B2 (ja) パワーシート操作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JP5797734B2 (ja) 多軸駆動装置
KR101592076B1 (ko) 출력 부재 및 다축구동장치
US20130327166A1 (en) Multi-shaft drive device
US20130327180A1 (en) Multi-shaft drive device
WO2011001964A1 (ja) 操作装置
JPWO2010084882A1 (ja) 多軸駆動装置
JP2012177459A (ja) 多軸駆動装置
JP2002317871A (ja) 変速機用電動駆動装置
WO2011007791A1 (ja) クラッチ装置
JP2012180852A (ja) 多軸駆動装置
JP2012176734A (ja) 多軸駆動装置
JP2018134985A (ja) シート駆動装置
JP2017114450A (ja) シート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