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076B1 - 출력 부재 및 다축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출력 부재 및 다축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076B1
KR101592076B1 KR1020137014931A KR20137014931A KR101592076B1 KR 101592076 B1 KR101592076 B1 KR 101592076B1 KR 1020137014931 A KR1020137014931 A KR 1020137014931A KR 20137014931 A KR20137014931 A KR 20137014931A KR 101592076 B1 KR101592076 B1 KR 101592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movable shaft
output shaf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865A (ko
Inventor
타카후미 히라타
료헤이 시게마츠
타카히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65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6Central command actuator to selectively switch on or engage one of several special purpose circuits or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06Use of materials; Use of treatments of toothed members or worms to affect their 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16H55/1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16H55/20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for beve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06Use of materials; Use of treatments of toothed members or worms to affect their intrinsic material properties
    • F16H2055/065Moulded gears, e.g. inser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74Single drive plural driven
    • Y10T74/19079Parallel
    • Y10T74/19088B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88Bevel

Abstract

종래보다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다축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출력축(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입력측 베벨 기어(14)를 향해 진출했을 때 가동축(40)의 선단측의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입력측 베벨 기어(14)에 서로 맞물려 가동축(40)이 회전하고, 이 가동축(40)의 회전이 출력축(20)에 전달하는 구성에서, 수지에 의해 가동축(40)과 출력측 베벨 기어(50)를 일체 성형하는 것과 동시에 출력축(20)도 수지로 하고, 출력축(20)의 외주 측에 가동축(4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장한다.

Description

출력 부재 및 다축구동장치{OUTPUT MEMBER AND MULTI-SHAFT DRIVE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용 전동 시트 등에 적용되기에 적합한 1개의 모터로 복수의 출력축을 구동하는 다축구동장치 및 상기 다축구동장치에 적용되기에 적합한 출력 부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에서는, 전체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나 좌석면 높이의 상하 이동, 혹은, 시트 가방(등받이)의 리클라이닝 등, 복수 개소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승무원의 체형이나 자세에 적합할 수 있도록 하는 형식의 것이 많다. 이러한 가동 부위의 조절은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모터 구동에 의해 조절하는 전동 시트가 제공되고 있다.
복수의 가동 부위를 각각 독립하여 구동하려면, 가동 부위에 연결한 각 출력축마다 모터를 1개 1개씩 연결시키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는 모터의 수가 많아진다. 여기서, 1개의 모터로 복수의 출력축을 구동하면 효율적이며, 그 때문에, 복수의 가동 부위에 연결한 각 출력축으로 클러치를 개입시켜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클러치를 단속적으로 접속하여 각 가동 부위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4 참조).
특허문헌 1: 특개소58-97528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평6-87363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소62-183504호 공보 특허문헌 4: 특개평6-156123호 공보
상기 종래의 다축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중량의 증대나 코스트가 걸린다고 하는 불만이 있어, 개량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의한 것이며, 종래보다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출력 부재 및 다축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 양태의 출력 부재는, 차량용의 기계 장치에 적용되는 수지제의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장착된 수지제의 가동축과, 상기 가동축에 일체로 설치된 수지제의 출력측 클러치 부재와, 상기 출력축 및 상기 가동축 중 일측 외주면의 형상과 해당 일측 외주면에 계합하는 타측 내주면의 형상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출력축에 대해 상기 가동축을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동축을 축 방향에서의 일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양태에서는, 출력축에 장착된 가동축이, 가이드부에 의해 출력축에 대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반면 상대 회전 불능으로 됨과 동시에, 부세 부재에 의해서 축 방향에서의 일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이 가동축으로는 출력측 클러치 부재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출력측 클러치 부재가 회전되면, 해당 회전이 출력측 클러치 부재와 일체의 가동축으로부터 가이드부를 개입시켜 출력축으로 전해져 출력축이 회전한다.
여기서, 상술의 가이드부는, 출력축 및 가동축 중 일측 외주면의 형상과 해당 일측 외주면에 계합하는 타측 내주면의 형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동축으로부터 출력축으로의 회전의 전달시 양자간에 작용하는 응력을, 상기 외주면 및 내주면의 넓은 범위에 분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출력축, 가동축 및 이것과 일체의 출력측 클러치 부재가 수지제여도,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출력축, 가동축 및 출력측 클러치 부재의 제조 시, 금속 가공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염가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저비용화도 가능하게 된다.
제2 양태의 출력 부재는, 제1 양태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일측 외주면의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단면 요철 형상의 외측 계합부와, 상기 타측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 계합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단면 요철 형상의 내측 계합부에 의해 구성된다.
제2 양태에서는, 출력측에 대응하는 가동축의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이 정밀하고, 고정밀도로 되는 것과 동시에, 가동축으로부터 출력축으로의 회전 전달시의 응력 집중이 방지되어, 열화가 방지된다.
제3 양태의 출력 부재는, 제1 양태에서, 상기 일측은 단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내주면은 상기 일측 다각형상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단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일측 다각형상의 외주면과 상기 타측 다각형상의 내주면에 의해 구성된다.
제3 양태에서는, 전술한 제2 양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양태의 출력 부재는, 제1~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부세 부재는, 상기 출력축 및 상기 가동축의 내부에 배설되어 있다.
제4 양태에서는, 부세 부재가 출력축 및 가동축의 내부에 배설되는 것으로, 전체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출력축 및 가동축을 종래보다 대경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지제이면서도 출력축 및 가동축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양태의 출력 부재는, 제4의 양태에서, 상기 가동축의 내주면과 상기 출력축의 외주면이 계합하고, 상기 출력축에는 선단 측에 개구된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부세 부재로서의 코일 용수철이 상기 가이드 구멍에 수용되고, 상기 가동축에는 상기 코일 용수철의 단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5 양태에서는, 출력축으로는, 선단 측에 개구되는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출력축 및 가동축의 내부에 배설된 코일 용수철이 가이드 구멍에 수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코일 용수철의 길이를 가이드 구멍의 깊이만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코일 용수철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가동축으로는, 코일 용수철의 단부를 위치 결정 하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출력축에 대응하는 가동축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코일 용수철이 줄어들 때, 출력축의 선단과 코일 용수철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6 양태의 출력 부재는, 제5 양태에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코일 용수철의 단부에 삽입된 돌기이다.
제6 양태에서는, 가동축으로 코일 용수철을 위치 결정 하는 돌기가, 코일 용수철의 단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이 줄어들 때 좌굴하는 것을 돌기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축의 선단과 코일 용수철과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7 양태의 출력 부재는, 제1~제6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출력측 클러치 부재는, 상기 가동축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7 양태에서는, 출력측 클러치 부재가 가동축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조립 공정이나 부품 수가 삭감되어, 보다 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자간에는 반동이 발생하지 않고, 반동에 기인하는 열화가 방지된다. 또한, 가동축과 출력측 클러치 부재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양자를 열팽창 차이를 고려하여 상응하는 공차를 포함하는 설계로 할 필요가 전혀 없고, 이로부터도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8 양태의 출력 부재는, 제1~제7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출력측 클러치 부재는, 상기 가동축이 상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했을 때 입력측 클러치 부재로서의 입력측 베벨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출력측 베벨 기어이다.
제8 양태에서는, 출력측 클러치 부재로서의 출력측 베벨 기어와, 입력측 클러치 부재로서의 입력측 베벨 기어가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입력측 클러치 부재와 출력측 클러치 부재가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회전의 전달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9 양태의 다축구동장치는, 차량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동 기구에, 각각의 상기 출력축이 전달 부재를 개입시켜 접속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출력 부재와, 상기 복수의 출력 부재의 각각 개별적으로 대응해서 설치되어, 대응하는 상기 출력 부재의 상기 가동축이 상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했을 때, 상기 출력측 클러치 부재와 접속함과 동시에,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복수의 입력측 클러치 부재와, 상기 복수의 출력 부재 중 선택된 출력 부재의 상기 가동축을, 통상 위치로부터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한 부세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거나, 또는, 상기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압압하여 슬라이딩 시키는 것으로, 상기 선택된 출력 부재의 상기 출력측 클러치 부재를 대응하는 상기 입력측 클러치 부재에 접속시키는 실렉터 부재(selector member)를 구비하고 있다.
제9 양태에서는, 복수의 출력 부재 중 선택된 출력 부재의 가동축이, 실렉터 부재에 의해서, 통상 위치로부터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한 부세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거나, 또는, 상기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압압되어 슬라이딩 된다. 이로 인해, 해당 선택된 출력 부재의 출력측 클러치 부재가 대응하는 입력측 클러치 부재에 접속한다. 이로 인해, 모터의 동력이 입력측 클러치 부재로부터 출력측 클러치 부재에 전해지고, 더불어 출력측 클러치 부재와 일체의 가동축으로부터 가이드부를 개입시켜 출력축으로 전해져 출력축이 회전한다. 이 출력축의 회전은 전달 부재를 개입시켜 가동 기구에 전달되어, 가동 기구가 작동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출력 부재는, 제1~제8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의 출력 부재이기 때문에, 전술한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보다 더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출력 부재 및 다축구동장치가 제공된다고 하는 효과를 상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축구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축구동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축구동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축구동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도 5C는 도 1의 다축구동장치의 출력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며, (A) 사시도, (B) 종적관계 사시도, (C) 종적관계 단면도이다.
도 6A~도 6B는, (A) 도 1의 출력 부재의 가동축 및 출력측 베벨 기어가 출력축에 대해 클러치 절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적관계 단면도, (B) 가동축 및 출력측 베벨 기어가 출력축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최대한 스트로크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적관계 단면도이다.
도 7A~도 7D는, (A)는 도 1의 출력 부재의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B)~(D) 가이드부의 다른 형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렉터 부재의 다른 형태 예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되는 평면도이다.
도 9A~도 9C는 출력 부재의 다른 형태 예를 나타내며, (A) 가동축 및 출력측 베벨 기어가 출력축에 대해 클러치 접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적관계 단면도, (B) 가동축 및 출력측 베벨 기어가 출력축에 대해 클러치 절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적관계 단면도, (C) 가동축 및 출력측 베벨 기어가 출력축에 대해 역방향으로 최대한 스트로크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적관계 단면도이다.
(1) 다축구동장치의 구성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다축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다축구동장치는, 1개의 모터로 도시하지 않은 차량용 전동 시트의 복수의 가동 기구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가동 기구는, 이 경우, 시트 좌석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터 기구(lifter mechanism), 시트 가방(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기구(reclining mechanism), 시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드 기구(slide mechanism)의 3개로 구성된다. 이들 가동 기구는, 각 기구가 가지는 구동축이 정역회전함으로써 작동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부호 1은 장치 케이스이고, 부호 10은 모터이다. 모터(10)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회전축(11)을 가지고 있고, 브랙킷(12)를 개입시켜 장치 케이스(1)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장치 케이스(1)에는, 클러치 유닛(2)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유닛(2)은, 장치 케이스(1)에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커버에 의해서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장치 케이스(1)는, 복수의 나사 삽입 구멍(15)을 이용하여 시트 프레임 등의 부재에 고정된다.
클러치 유닛(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기구마다 설치되어 모터(10)의 동력이 전달되는 복수의 입력 부재(3)와, 각 기구에 도시하지 않은 토크 케이블(전달 부재)을 개입시켜 접속되는 출력축(20)을 구비하는 복수의 출력 부재(4)와, 각각의 입력 부재(3)와 출력 부재(4)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 부재(3)로부터 각 출력축(20)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적으로 접하는 클러치 기구(80)와, 이러한 클러치 기구(80)를 선택적으로 접속 상태로 하는 실렉터 부재(selector member)(변환 수단)(5)와, 실렉터 부재(5)를 작동시키는 조작축(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장치 케이스(1) 및 기어 홀더(7)를 제외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입력 부재(3)는, 회전축(11)의 상단에 고정된 피니언(11a)에 서로 맞물리는 복수(이 경우, 3개)의 입력 기어(13)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기어(13)는 회전축(11)에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평기어이며, 더구나 단면에는 수지로 형성되는 입력측 베벨 기어(입력측 클러치 부재)(14)가 동심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 기어(13) 및 입력측 베벨 기어(14)는, Z 방향에 따른 회전축(11)과 평행한 도시하지 않은 입력축을 개입시키고, 장치 케이스(1)에 회전 자재로 지지를 받고 있다. 모터(10)의 동력은 각 입력 기어(13)에 전해져, 모터(10)의 작동 시에는 각 입력측 베벨 기어(14)는 상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도 1 및 도 2의 부호 7은, 판 모양의 기어 홀더이다. 이 기어 홀더(7)는, 장치 케이스(10) 내에, 각 입력 부재(3)를 뒤집어서 고정되어 있다. 이 기어 홀더(7)의 소정 개소에는, Z 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돌기(7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실렉터 부재(5)는, 도 1 및 도 2에서 Y 방향으로 긴 판 모양 부재이다. 이 실렉터 부재(5)에는, 가이드 돌기(71)에 대응하는 Y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구멍(54)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구멍(54)에 가이드 돌기(71)가 각각 삽입되어 있다. 실렉터 부재(5)는, 가이드 돌기(71)에 가이드 되는 것으로, 기어 홀더(7) 상에서 Y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재로 지지를 받고 있다.
실렉터 부재(5)의 Y 방향에 따른 양측면 상에서, 도 2에서 우측 측면은 제1 캠면(51)이 된다. 또, 좌측 측면의 아래 쪽은 제2 캠면(52)이 되고, 상방에는 Y 방향으로 치열이 나란한 락(5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축(6)은 Z 방향을 회전축으로서 장치 케이스(1) 내에 회전 자재로 지지를 받고, 이 조작축(6)에는, 락(55)에 서로 맞물리는 피니어(61)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축(6)에는, 커버(13)의 외측에 배설되는 도시하지 않은 다이얼 혹은 레버 등의 조작 부재가 고정된다. 이 조작 부재를 개입시켜 조작축(6)을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피니어(61)에 의해, 락(55)을 개입시켜 실렉터 부재(5)가 조작축(6)의 회전 방향을 따라 Y 방향으로 왕복 이송하게 되어 있다.
모터(10)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에 의해서 ON·OFF 및 회전 방향이 선택된다. 모터(10)가 가동하면, 모든 입력 부재(3)가 회전한다. 또한, 스위치는, 상기 조작 부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유닛(2)의 작동, 즉 가동 기구의 선택과, 모터(10)의 ON·OFF를 일련의 조작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복수의 출력 부재(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렉터 부재(5)의 X 방향 양측으로, 각 캠면(51, 52)에 대향하여 배설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캠면(51)에 대해서 2개의 출력 부재(4)(제1 출력 부재(4A)와 제2 출력 부재(4B))가 Y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설되어, 제2 캠면(52)에 대해서 1개의 출력 부재(4)(제3 출력 부재(4C))가 배설되어 있다. 복수의 출력 부재(4)는 출력축(20)을 가지고 있어서, 출력축(20)의 스러스트(thrust) 방향이 Z 방향으로 직교하는 X·Y 평면과 평행하고, 캠면(51, 52)에 대해서 소정 각도 비스듬한 상태로, 장치 케이스(1)에 수용되어 있다.
각 출력축(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경부(25)의 선단 측에 원통부(26)가 형성되고, 실렉터 부재(5)와 일정 거리를 두어서 배치되어 있다. 대경부(25)의 후단에는 플랜지(25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출력축(20)은, 대경부(25)가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 부시(bearing bush)를 개입시키고, 장치 케이스(1)에 형성된 원통형의 베어링 홀더부(1a) 내에, 회전 자재이며, 스러스트 방향으로의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지지를 받는다. 각 출력축(20)은, 차량용 전동 시트의, 예를 들면, 시트 좌석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구, 시트 가방(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기구, 및 시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기구 등의 가동 기구에서, 도시하지 않은 토크 케이블(전달 부재)을 개입시켜 접속된다.
출력축(20)의 선단측(실렉터 부재(5) 측)에는, 대응하는 입력 기어(13) 상의 입력측 베벨 기어(14)의 회전을 출력축(2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부(30)는, 가동축(40), 출력측 베벨 기어(출력측 클러치 부재)(50) 및 코일 용수철(부세 부재)(60)로 구성된다. 가동축(40)은, 출력축(20)의 외주 측에, 실렉터 부재(5) 방향을 향해 진퇴 가능하게 외장되어 있다. 이 가동축(40)은, 가이드부(70)에 의해, 출력축(20)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대 회전 불능인 상태로, 출력축(20)에 외장되어 있다.
이 경우의 가이드부(70)는, 출력축(2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된 단면 요철 형상의 외측 계합부(21)와, 가동축(4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외측 계합부(21)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단면 요철 형상의 내측 계합부(43)로 구성된다. 이 경우, 각 계합부(21, 43)는, 서로 계합하는 단면 구형 모양의 다수의 도랑 및 돌출 도랑이 교대로 형성된 소위 스플라인(splin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축(40)의 선단부에, 입력측 베벨 기어(14)에 서로 맞물리는 것이 가능한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동심상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출력측 베벨 기어(50)는, 입력측 베벨 기어(14)와 함께 클러치 기구(80)를 구성한다. 가동축(40)의 선단이며 출력측 베벨 기어(50)의 중심으로는, 선단 측으로 돌출된 철부(凸部)(41)가 형성되어 있다. 출력축(20)의 축심에는, 선단 측으로 개구된 가이드 구멍(22)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구멍(22)에는, 가동축(40)이 실렉터 부재(5) 측으로 진출하도록 부세하는 코일 용수철(60)이 수용되어 있다. 출력축(20) 및 가동축(40)의 내부에는, 코일 용수철(60)의 단부에 삽입되어 코일 용수철(60)을 위치 결정하는 돌기(24 및 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출력축(20)의 후단면에는 단면 구형 모양의 장착구멍(23)이 형성되고, 이 장착구멍(23)에, 상기 토크 케이블의 일단부가 장착된다. 토크 케이블은, 출력축(20)과 함께 회전한다.
코일 용수철(60)은, 압축 상태로 출력축(20)의 원통부(26) 및 가동축(40)의 내부에 수용되고, 이 코일 용수철(60)에 의해서 출력측 베벨 기어(50)는 실렉터 부재(5) 방향(가동축(40)의 축 방향에서의 일 방향)으로 부세되어, 철부(41)의 선단이 캠면(51, 52)에 돌출 당접하게 된다. 철부(41)의 선단면은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렉터 부재(5)가 Y 방향으로 이송되면 돌출 당접하고 있는 캠면(51, 52)에 접접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렉터 부재(5)의 제1 캠면(51)에는, 제1 출력 부재(4A) 및 제2 출력 부재(4B)에 대응하는 요부(凹部)(53)(제1 요부(53A) 및 제2 요부(53B))가 형성되고, 제2 캠면(52)에는, 제3 출력 부재(4C)에 대응하는 요부(凹部)(53)(제3 요부(53C))가 형성되어 있다. 실렉터 부재(5)가 Y 방향으로 이송되면, 보내지면, 어느 1개의 출력 부재(4)의 철부(凸部)(41)가 요부(53)에 감입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철부(41)가 요부(53)에 감입됨으로써 출력측 베벨 기어(50) 전체가 실렉터 부재(5)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고, 이 때,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입력측 베벨 기어(14)에 계합해 서로 맞물려, 클러치 기구(80)가 접속 상태가 된다. 출력측 베벨 기어(50)의 철부(41)는, 상기 기어 홀더(7)에 형성된 벽부(72)(도 1 및 도 2 참조)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을 관통하고 있다. 이 관통공에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 부시가 압입하여 고정되고, 철부(41)는 이 베어링 부시 내에 슬라이딩 회전 자재이며, 스러스트 방향으로 이동 자재로 지지를 받는다. 클러치 기구(80)의 접속 시에는, 출력측 베벨 기어(50)의 선단면이 벽부(72)에 당접하고, 이로 인해 출력측 베벨 기어(50)의 진출시의 스트로크 엔드가 규제되게 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80)의 접속 시에 모터(10)가 가동하여 입력 부재(3)가 회전하면, 그 회전이 입력측 베벨 기어(14)로부터 출력측 베벨 기어(50)에 전해져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회전하고, 가동축(40)의 회전이 출력축(20)에 전해져 출력축(20)이 회전한다. 또, 철부(41)가 요부(53)에 감입되지 않고 캠면(51)(52)에 돌출 당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출력측 베벨 기어(50)는 캠면(51)(52)에 의해 코일 용수철(60)에 저항하여 출력축(20) 측으로 밀린다. 이 때, 출력측 베벨 기어(50)는 입력측 베벨 기어(14)로부터 멀어져 클러치 기구(80)는 절단 상태가 된다.
또한, 도 6(A)에는, 출력측 베벨 기어(50) 및 가동축(40)이 출력축(20)에 대해서 클러치 절단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 용수철(60)이 도 5(C)에 도시한 상태보다 소정량 압축되지만, 돌기(42)가 코일 용수철(60)의 단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코일 용수철(60)의 좌굴이 방지되게 되어 있다. 또, 도 6(B)에는, 출력측 베벨 기어(50) 및 가동축(40)이 출력축(20)에 대해서 상기 일 방향과는 역방향(타 방향: 코일 용수철(60)의 부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최대한으로 스트로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출력 부재(4)가 장치 케이스(1) 및 기어 홀더(7)에 조립할 수 있을 때, 이 도 6(B)에 도시한 상태까지 코일 용수철(60)이 압축되지만, 그 이후에는 코일 용수철(60)이 도 6(A)에 도시한 상태보다 압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코일 용수철(6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출력축(20)과,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일체로 형성된 가동축 가동축(40)은, 모두 수지를 재료로서 성형되고 있다. 그 수지는 적당한 종류가 선택되어, 예를 들면, 출력축(20)에는 강도의 면에서 효과적인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출력측 베벨 기어(50)를 포함한 가동축(40)은, 입력측 베벨 기어(14)와 함께 슬라이딩성의 면에서 효과적인 POM: 폴리아세탈 수지(polyacetal resin)(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2) 다축구동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상기 다축구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코일 용수철(60)에 실렉터 부재(5) 측으로 부세되고 있는 동력 전달부(30)에서의 가동축(40)은, 조작축(6)의 회전에 수반하여 실렉터 부재(5)가 Y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선단의 철부(41)가, 실렉터 부재(5)의 캠면(51)(52)에 당접하는 클러치 절단 위치와, 요부(53)에 진입하여 클러치 접속 위치의 2 위치를 왕복 이동하도록 출력축(20)에 대해서 슬라이딩 한다. 실렉터 부재(5)를 이동시킴에 따라서, 클러치 절단 위치에 있는 가동축(40)의 철부(41)는, 경사면을 거쳐 요부(53)에 진입하여 클러치 절단 위치에 진출한다. 그리고, 더불어 실렉터 부재(5)가 이동하면, 철부(41)는 경사면을 거쳐 캠면(51)(52)에 당접한다.
클러치 절단 위치에서는, 도 4의 좌측 및 우 상측의 동력 전달부(30)와 같이, 가동축(40)은 코일 용수철(60)에 저항하여 실렉터 부재(5)의 캠면(51)(52)이 철부(41)를 누름으로써 출력축(20) 측으로 축퇴한다. 이로 인해 출력측 베벨 기어(50)는 입력측 베벨 기어(14)로부터 멀어지고, 클러치 기구(80)는 절단 상태가 된다. 클러치 기구(80)가 절단 상태에서는, 모터(10)가 작동함으로써 회전하고 있는 입력 기어(13)는 공전하고, 모터(10)의 동력은 출력측 베벨 기어(50)에 전해지지 않고, 출력축(20)은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토크 케이블은 작동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조작축(6)을 회전시켜 실렉터 부재(5)를 이동시키면, 요부(53)가 가동축(40)의 철부(41)에 대향한다. 이 때, 철부(41)는 경사면을 거쳐 요부(53)에 진입하고, 가동축(40)이 클러치 접속 위치에 진출한다. 그리고,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입력측 베벨 기어(14)에 서로 맞물려, 클러치 기구(80)가 접속 상태가 된다. 클러치 기구(80)가 접속하면, 모터(10)의 회전이 입력 기어(13)에 고정되어 있는 입력측 베벨 기어(14)로부터 출력측 베벨 기어(50)에 전해지고, 또한, 출력측 베벨 기어(50)와 일체의 가동축(40)으로부터 가이드부(70)를 개입시켜 출력축(20)에 전해져 출력축(20)이 회전한다. 그리고, 토크 케이블이 회전하여 작동한다.
이상이 다축구동장치의 동작이며, 조작 부재를 개입시켜 조작축(6)을 회전시키고, 실렉터 부재(5)의 요부(53)를 작동시키고 싶은 출력축(20)의 동력 전달부(30)에 대향시킴으로써, 그 출력축(20)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차량용 전동 시트의 상기 각 가동 기구가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모터(10)를 ON·OFF 하는 스위치는, 별도 배설해도 괜찮지만, 상기 조작 부재에 그 스위치를 마련하면, 작동시키는 출력축(20)의 선택에 이어 모터(10)를 작동시켜 출력축(20)을 작동시킨다고 하는 동작을 일련의 조작으로 원활히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3) 본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의 다축구동장치에 의하면, 출력 부재(4)의 가이드부(70)가, 출력축(20)의 외주면의 형상과 해당 외주면에 계합하는 가동축(40)의 내주면의 형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동축(40)으로부터 출력축(20)으로의 회전 전달 시에 양자간에 작용하는 응력을, 출력축(20)의 외주면 및 가동축(40)의 내주면의 넓은 범위에 분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출력축(20), 가동축(40) 및 이것과 일체의 출력측 클러치 부재(50)가 수지제여도, 모터의 동력(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상주한다. 또, 금속 가공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염가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저비용화도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축(20)에 가동축(40)을 스플라인으로 되는 가이드부(70)를 개입시켜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장하고 있기 때문에, 출력축(20)에 대한 가동축(40)의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이 정밀하고, 고정밀도로 됨과 동시에, 가동축(40)으로부터 출력축(20)으로의 회전 전달 시의 응력 집중이 방지되어, 열화가 방지된다고 하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설치된 가동축(40)을 출력축(20)의 외주 측에 외장하고, 코일 용수철(60)을 가동축(40)의 내부에서 출력축(20)의 내부에 배설하는 것으로써, 전체를 대형화하지 않고 가동축(40)을 종래보다 대경화할 수 있기 때문에, 수지제이면서도 필요한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강도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축(20)에는, 선단 측으로 개구된 가이드 구멍(22)이 형성되고, 출력축(20) 및 가동축(40)의 내부에 배설된 코일 용수철(60)이 가이드 구멍(22)에 수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코일 용수철(60)의 길이를 가이드 구멍(22)의 깊이 분만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코일 용수철(6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가동축(40)에는, 코일 용수철(60)의 단부를 위치 결정하는 돌기(4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출력축(20)에 대한 가동축(40)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코일 용수철(60)이 줄어들 때, 출력축(20)의 선단과 코일 용수철(60)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축(40)에 코일 용수철(60)을 위치 결정하는 돌기(42)가, 코일 용수철(60)의 단부에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용수철(60)이 줄어들 때에 좌굴하는 것을 돌기(42)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축(20)의 선단과 코일 용수철(60)과의 간섭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가동축(40)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조립 공정이나 부품 수가 삭감하여 보다 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자간에는 반동이 발생하지 않고, 반동에 기인하는 열화가 방지된다. 또, 가동축(40)과 출력측 베벨 기어(50)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양자를 열팽창 차이를 고려하여 상응하는 공차를 포함하는 설계로 할 필요가 전혀 없고, 이로부터도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측 클러치 부재로서의 입력측 베벨 기어(14)와, 출력측 클러치 부재로서의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입력측 클러치 부재와 출력측 클러치 부재가 마찰력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회전의 전달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4) 가이드부의 다른 형태
출력축(20)의 외주 측에, 출력축(20)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대 회전 불능인 가동축(40)을 외장하는 가이드부(70)로서는, 도 7(A)에 도시한 스플라인과 같이, 둘레 방향으로 다수의 계합부가 있어서 응력이 가능한 한 분산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7(B)~(D)는 그러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가이드부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의 가이드부(70)를 구성하는 출력축(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면 요철 형상의 외측 계합부(21)는, 단면 삼각형상의 다수의 도랑 및 돌출 홈으로 구성되고, 가이드부(70)를 구성하는 가동축(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 계합부(43)는, 외측 계합부(21)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단면 삼각형상의 다수의 도랑 및 돌출 홈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또, 도 7(C)에서는, 출력축(20)의 전체의 단면 형상이 별모양이며, 외측 계합부(21)는 복수(이 경우, 6개)의 단면 삼각형상의 도랑 및 돌출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축(40)의 내주면은, 이 외측 계합부(21)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단면 삼각형상의 도랑 및 돌출 홈으로부터 되는 단면 별 형상의 내측 계합부(43)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70)는, 이들 외측 계합부(21) 및 내측 계합부(43)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7(D)에서는, 출력축(20)이 단면 다각형상(이 경우, 팔각형상)에 형성되어, 가동축(40)의 내주면이 출력축(20)의 다각형상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하는 단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출력축(20)의 다각형상의 외주면과 가동축(40)의 다각형상의 내주면에 의해 가이드부(70)가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이드부에 관한 형태 예이며, 가이드부로서는 이외에도, 예를 들면, 출력축 단면의 외측 틀 형상이 파형상(波形狀)이고, 가동축의 내주면 단면 형상이 파형상의 출력축 단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하는 파형상 등, 여러 가지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5) 실시 형태의 보충 설명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측 클러치 부재 및 출력측 클러치 부재로서 입력측 베벨 기어(14) 및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적용된 구성으로 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측 클러치 부재 및 출력측 클러치 부재의 구성은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측 클러치 부재로서의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가동축(40)에 일체로 성형된 구성으로 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측 클러치 부재가 가동축과 별도의 개체로 성형됨과 동시에 열 용착 등에 의해 가동축에 일체로 고정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축(20)이 돌기(2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24)가 생략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 경우에서도, 출력축(20)의 통상부(26)에 의해서 코일 용수철(60)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축(40)이 위치 결정부로서의 돌기(4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42) 대신에 코일 스프링(60)의 단부가 감합하는 환상의 도랑을 가동축(40)에 형성하고, 이것을 위치 결정부라고 할 수 있다. 또, 위치 결정부가 생략된 구성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세 부재로서의 코일 용수철(60)이, 출력축(20)의 가이드 구멍(22)에 수용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구멍(22)이 생략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코일 용수철 이외의 부세 부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세 부재로서의 코일 용수철(60)이 출력축(20) 및 가동축(40)의 내부에 배설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세 부재가 출력축 및 가동축의 외부에 배설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축(6)의 회전에 수반하여 셀렉트 부재(5)가 슬라이드 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셀렉트 부재의 구성은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상의 다이얼 캠(90)이 셀렉트 부재가 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다이얼 캠(90)은, 회전축(11)과 동심상에 배치되어,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 자재로 지지를 받는다. 다이얼 캠(90)의 주위면의 소정 개소에는, 복수의 요부(9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부(91)의 둘레 방향측의 양단부는, 둘레면에 연결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다이얼 캠(90)에서는, 외주면(92)이 가동축(40)을 누름으로써 클러치 기구(80)가 절단되고, 다이얼 캠(90)의 요부(91)에 가동축(40)의 철부(41)가 진입하여 진출함으로써 클러치 기구(80)가 접속한다. 또, 예를 들면, 입력측 베벨 기어(14) 및 출력측 베벨 기어(50)의 배치 등에 대응하고, 동작적으로는 상기의 반대로 할 수 있다. 즉, 다이얼 캠(90)의 외주면(92)이 가동축(40)을 누르고 있을 때에는 클러치 기구(80)가 접속하고, 다이얼 캠(90)의 요부(91)에 가동축(40)의 철부(41)가 진입하여 진출했을 때에는 클러치 기구(80)가 절단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점은,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셀렉트 부재(5)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축(20)의 외주면과 가동축(40)의 내주면이 계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9에 도시한 출력 부재(4')와 같이, 가동축(40')의 외주면과 출력축(20')의 내주면이 계합하는 구성(가동축이 출력축으로 내장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출력 부재(4')에서는, 출력축(20')은, 대경부(25)의 외경과 원통부(26')의 외경이 동일 지름으로 형성되고, 원통부(26')가 상기 실시 형태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축(40')은, 상기 실시 형태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원통부(26')의 안쪽에 삽입되어 있다. 출력축(20')의 내주면에는, 단면 요철 형상의 내측 계합부(21')가 형성되고, 가동축(40')의 외주면에는, 내측 계합부(21')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단면 요철 형상의 외측 계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각 계합부(21', 43')는, 가이드부(70')를 구성하고, 가동축(40')은, 가이드부(70')에 의해, 출력측(20')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대 회전 불능인 상태로, 출력측(20')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가동축(40')과 일체의 출력측 베벨 기어(50')에는, 원통부(26')의 선단과 대향하는 부위에 환상의 도랑(56)이 형성되고, 해당 도랑(56) 내에 원통부(26')의 선단측이 삽입됨으로써, 출력축(20')에 대한 가동축(40')의 축 방향 이동이 허용되게 되어 있다.
또, 출력축(20') 및 가동축(40')의 내부에는, 코일 용수철(60)이 압축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이 코일 용수철(60)의 외경은, 가동축(40')의 내경보다 조금 작게 설정되어 있고, 가동축(40')에 대한 코일 용수철(60)의 반경 방향의 변위가 제한되어 있다. 또, 출력축(20')에 형성된 돌기(24)가 코일 용수철(60)의 단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코일 용수철(60)이 출력축(20')에 위치 결정되고 있다.
이 출력 부재(4')에서도,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출력 부재(4)와 기본적으로 같은 작용 효과를 상주한다. 또한, 도 9A는, 가동축(40') 및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출력축(20')에 대해서 클러치 접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9B는, 가동축(40') 및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출력축(20')에 대해서 클러치 절단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9C는, 가동축(40') 및 출력측 베벨 기어(50')가 출력축(20')에 대해서 타 방향(코일 용수철(60)에 저항하는 방향)에 최대한으로 스트로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9C에 도시한 상태로까지 코일 용수철(60)이 압축되는 것은,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출력 부재(4')가 장치 케이스(1) 및 기어 홀더(7)에 조립할 수 있을 때이다.
또, 상기 실시 형태의 다축구동장치는, 예를 들면, 차량용 전동 시트를 모터(10)로 작동시킬 때의 다축구동장치로서 적합하다. 즉, 차량용 전동 시트의, 예를 들면, 시트 좌석면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구, 시트 가방(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 기구, 및 시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기구 등의 가동 기구에서, 각 출력축(20)에 접속되는 토크 케이블을 개입시켜 접속하여, 모터(10)의 동력을 각 가동 기구에 선택적으로 분기시키고, 이들 가동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다축구동장치는, 그러한 전동 시트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가동 기구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기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차량용의 기계 장치에 적용되는 수지제의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장착된 수지제의 가동축과,
    상기 가동축에 일체로 설치된 수지제의 출력측 클러치 부재와,
    상기 출력축 및 상기 가동축 중 일측 외주면의 형상과 해당 일측 외주면에 계합하는 타측 내주면의 형상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출력축에 대해 상기 가동축을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동축을 축 방향에서의 일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 부재,
    를 구비하는 출력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부세 부재는, 상기 출력축 및 상기 가동축의 내부에 배설되고,
    상기 출력축의 축심에는 선단측에 개구된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부세 부재로서의 코일 용수철은 상기 가이드 구멍에 수용되고, 상기 가동축에는 상기 코일 용수철의 단부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는, 출력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일측 외주면의 축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단면 요철 형상의 외측 계합부와, 상기 타측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 계합부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단면 요철 형상의 내측 계합부에 의해 구성되는 출력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은 단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측 내주면은 상기 일측 다각형상의 외주면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계합되는 단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일측 다각형상의 외주면과 상기 타측 다각형상의 내주면에 의해 구성되는 출력 부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축의 내주면과 상기 출력축의 외주면이 계합하는 출력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코일 용수철의 단부에 삽입된 돌기인 출력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클러치 부재는, 상기 가동축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클러치 부재는, 상기 가동축이 상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했을 때 입력측 클러치 부재로서의 입력측 베벨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출력측 베벨 기어인 출력 부재.
  9. 차량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동 기구에, 각각의 상기 출력축이 전달 부재를 개입시켜 접속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출력 부재와,
    상기 복수의 출력 부재의 각각 개별적으로 대응해서 설치되어, 대응하는 상기 출력 부재의 상기 가동축이 상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했을 때, 상기 출력측 클러치 부재와 접속함과 동시에,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복수의 입력측 클러치 부재와,
    상기 복수의 출력 부재 중 선택된 출력 부재의 상기 가동축을, 통상 위치로부터 상기 부세 부재에 의한 부세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거나, 또는, 상기 부세 부재에 저항하여 압압하여 슬라이딩 시키는 것으로, 상기 선택된 출력 부재의 상기 출력측 클러치 부재를 대응하는 상기 입력측 클러치 부재에 접속시키는 실렉터 부재,
    를 구비하는 다축구동장치.
KR1020137014931A 2010-12-08 2011-12-08 출력 부재 및 다축구동장치 KR101592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3840 2010-12-08
JPJP-P-2010-273840 2010-12-08
PCT/JP2011/078458 WO2012077759A1 (ja) 2010-12-08 2011-12-08 出力部材及び多軸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865A KR20130088865A (ko) 2013-08-08
KR101592076B1 true KR101592076B1 (ko) 2016-02-04

Family

ID=4620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4931A KR101592076B1 (ko) 2010-12-08 2011-12-08 출력 부재 및 다축구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22562B2 (ko)
EP (1) EP2650561B1 (ko)
JP (1) JP5873806B2 (ko)
KR (1) KR101592076B1 (ko)
CN (1) CN103249964B (ko)
WO (1) WO2012077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7780A1 (ja) * 2011-02-28 2012-09-07 日本発條株式会社 多軸駆動装置
WO2012117781A1 (ja) * 2011-02-28 2012-09-07 日本発條株式会社 多軸駆動装置
CN103352967B (zh) * 2013-06-20 2016-01-2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收纳箱
JP6484495B2 (ja) * 2015-04-16 2019-03-13 日本発條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操作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CN108569048A (zh) * 2017-03-13 2018-09-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传动组件及应用该传动组件的打印机
JP6852558B2 (ja) * 2017-05-16 2021-03-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駆動装置
CN108891310B (zh) * 2018-08-21 2023-10-20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电机共用的汽车座椅调节系统
CN113357277B (zh) * 2020-03-06 2023-03-10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用离合器及其控制方法
JP7282421B1 (ja) 2022-09-07 2023-05-29 株式会社東日製作所 軸力検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8671A1 (en) 2000-06-26 2002-02-14 Ricoh Company, Ltd. Slide-rotating collar protecting rotatable resin shaf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1219A (en) * 1943-03-13 1944-06-13 Gleason Works Gearing
JPS5441898Y2 (ko) * 1976-06-09 1979-12-06
JPS5441898A (en) 1977-09-06 1979-04-03 Mitsubishi Chem Ind Ltd Purification of stevioside
JPS5897528A (ja) 1981-12-01 1983-06-10 Shiraki Kinzoku Kogyo Kk 6ウエイパワシ−ト調整装置
US4895052A (en) * 1983-10-21 1990-01-23 Gleasman Vernon E Steer-driven reduction drive system
JPS62110027A (ja) * 1985-11-07 1987-05-21 Shinko Electric Co Ltd 入力切離し機構
JPS62183504A (ja) 1986-02-07 1987-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圧トランス
US5009296A (en) * 1986-12-24 1991-04-23 Tokyo Seat Co., Ltd.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or use in vehicle
JPS6430850A (en) 1987-07-24 1989-02-01 Aisin Seiki Driving device for power seat
SE464287B (sv) * 1987-10-12 1991-04-08 Haakansson Bengt E W Anordning foer att reglera objekt i foerarmiljoen i ett fordon
KR920010904B1 (ko) * 1990-02-28 1992-12-21 박동규 반구상 베벨기어
JPH0687363A (ja) 1992-09-07 1994-03-29 Mitsuba Electric Mfg Co Ltd 車両用8−ウエイパワーシートの駆動装置
JPH0643400U (ja) * 1992-11-20 1994-06-07 株式会社タチエス ギヤードモータ
JPH06156123A (ja) 1992-11-25 1994-06-03 Mitsuba Electric Mfg Co Ltd 車両用パワーシートにおける可動部駆動装置
US5509866A (en) * 1994-06-28 1996-04-23 Univerg Research Netwerg, Ltd. Epicyclical galactic cluster gearing system
JP3765232B2 (ja) * 2000-11-16 2006-04-1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歯車の製造方法
KR100461101B1 (ko) * 2002-06-15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WO2004065078A1 (en) * 2003-01-20 2004-08-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having apparatus
JP4173053B2 (ja) * 2003-06-02 2008-10-29 株式会社エンプラス 射出成形樹脂歯車、射出成形樹脂スプロケット、射出成形樹脂プーリ、射出成形樹脂ローラ
US7734375B2 (en) * 2004-06-09 2010-06-08 Boston Dynamics Robot and robot leg mechanism
US7357747B2 (en) * 2006-01-04 2008-04-15 Hamilton James T Apparatus for differential power distribution
JP5273351B2 (ja) * 2008-05-12 2013-08-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回転軸のロック装置
WO2010084882A1 (ja) * 2009-01-21 2010-07-29 日本発條株式会社 多軸駆動装置
TWI401144B (zh) * 2010-10-01 2013-07-11 Ind Tech Res Inst 高反應力關節裝置的控制方法
TW201219175A (en) * 2010-11-05 2012-05-16 Hon Hai Prec Ind Co Ltd Power switching app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8671A1 (en) 2000-06-26 2002-02-14 Ricoh Company, Ltd. Slide-rotating collar protecting rotatable resin sh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7759A1 (ja) 2012-06-14
US20130255441A1 (en) 2013-10-03
EP2650561A1 (en) 2013-10-16
JPWO2012077759A1 (ja) 2014-05-22
US9222562B2 (en) 2015-12-29
EP2650561A4 (en) 2014-05-21
JP5873806B2 (ja) 2016-03-01
KR20130088865A (ko) 2013-08-08
CN103249964A (zh) 2013-08-14
CN103249964B (zh) 2016-04-13
EP2650561B1 (en)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076B1 (ko) 출력 부재 및 다축구동장치
KR101498401B1 (ko) 동력 전달 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다축 구동 장치
KR101522130B1 (ko) 다축 구동 장치
KR101825774B1 (ko) 다축 구동 장치
JP6126104B2 (ja) パワーシート操作装置及びパワーシート
JP6242748B2 (ja) クラッチ付きモータ及び開閉体の開閉装置
KR101535363B1 (ko) 다축 구동 장치
JP2012177459A (ja) 多軸駆動装置
WO2010084882A1 (ja) 多軸駆動装置
CN108603570B (zh) 齿轮装置及齿轮装置的装配方法
WO2023048031A1 (ja) パーキングロック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07791A1 (ja) クラッチ装置
JP2022190502A (ja) 車両用アクチュエータ
JP2012180852A (ja) 多軸駆動装置
JP2012180851A (ja) ウォームギヤの支持構造
JP2012180850A (ja) 動力伝達機構および多軸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