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932A -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및 콜라겐 변성 억제제 - Google Patents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및 콜라겐 변성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932A
KR20120047932A KR1020127003119A KR20127003119A KR20120047932A KR 20120047932 A KR20120047932 A KR 20120047932A KR 1020127003119 A KR1020127003119 A KR 1020127003119A KR 20127003119 A KR20127003119 A KR 20127003119A KR 20120047932 A KR20120047932 A KR 20120047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extract
plant
inhibitor
c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유키 야기
가츠마사 이이지마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7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Abstract

안전성이 우수하고,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콜라겐의 변성을 억제하는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및 콜라겐 변성 억제제는, 국화과 안테미스속, 삼백초과 삼백초속, 장미과 산사나무속 및 포도과 포도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예로서, 로만 캐모마일, 삼백초, 서양 산사나무 및 포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및 콜라겐 변성 억제제{CARBOXYMETHYLARGININE PRODUCTION INHIBITOR AND COLLAGEN DENATURATION INHIBITOR}
본 발명은,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및 콜라겐 변성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Nω-carboxymethylarginine, 이하 「CMA」라고 함.)은, 콜라겐중에 특이적으로 생성하는 AGEs(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종말 당화산물)의 일종이다. 상기 CMA는, AGEs의 일종인 펜토시딘보다, 생성량이 약 100배 많고(비특허문헌 1), 당뇨병 환자의 혈중 CMA 농도는, 비당뇨병 환자와 비교하여 증가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2). 이 때문에, 상기 CMA는, 생체내 결합 조직의 유연성 저하, 결합 조직에서의 당뇨병 합병증의 진전, 산화스트레스 상해, 피부 및 뼈 등의 콜라겐을 많이 포함하는 조직의 노화 진행도 및 그 정도를 판정 또는 예측하는 진단 마커, 이들이 원인이 되는 질병의 예방약 또는 치료약 등의 약효 평가용 마커로서의 이용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1).
상기 CMA의 생성을 억제하는 CMA 생성 억제제로서는, 루틴, 퀘세틴 및 아스트라갈린 등이 보고되어 있다(특허문헌 2). 상기 CMA는, 카르보닐 화합물의 일종인 글리옥살과 콜라겐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글리옥살은 단백질의 당화반응 및 글루코오스의 자동 산화 등의 산화반응에 의해 생성된다(비특허문헌 3).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388919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9-96731호 공보
비특허문헌 1: Iijima 등, Biochem. J., 2000년, Vol.347, p.23-27 비특허문헌 2: Odani 등,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1년, Vol. 285, p.1232-1236 비특허문헌 3: Thornalley, Ann.N.Y. Acad. Sci., 2005년, Vol.1043, p.111-117
이 때문에, 생체중 CMA 생성을 막기 위해서는, 상기 글리옥살과 콜라겐의 반응(산화반응), 및 단백질의 당화반응 중 적어도 한쪽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이 우수하고, CMA의 생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CMA 생성 억제제, 및 콜라겐의 변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는, 국화과 안테미스속, 삼백초과 삼백초속, 장미과 산사나무속 및 포도과 포도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는, 국화과 안테미스속, 삼백초과 삼백초속, 장미과 산사나무속 및 포도과 포도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 방법은,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를, 콜라겐 함유 시료에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 방법은,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콜라겐 함유 시료에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를 생체에 투여하여, CMA의 생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를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생체에 투여하여, 콜라겐 변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를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상기 CMA의 생성 경로에서의, 단백질의 당화반응 경로 및 상기 글리옥살에 의한 콜라겐의 산화반응 경로 중 적어도 한쪽의 경로에서의 반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예컨대 생체내에서의 CMA의 생성, 및 콜라겐의 변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체내의 CMA의 생성 또는 콜라겐의 변성을 원인으로 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장해 등의 치료 방법과 예방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억제제를 콜라겐 함유 시료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CMA의 생성 또는 콜라겐의 변성에 기인하는 상기 시료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로부터 이용되어 온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우수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이 대량으로 입수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도 우수한다.
도 1은 각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에 의한, 상기 당화반응을 경유한 CMA 생성의 억제 효과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의 (A)는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도 1의 (B)는 삼백초 추출물, 도 1의 (C)는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도 1의 (D)는 포도 추출물, 도 1의 (E)는 혼합 추출물의 측정 결과이다.
도 2는 각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에 의한, 상기 산화반응을 경유한 CMA 생성의 억제 효과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의 (A)는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도 2의 (B)는 삼백초 추출물, 도 2의 (C)는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도 2의 (D)는 포도 추출물, 도 2의 (E)는 혼합 추출물의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각 식물 추출물을 첨가한 반응액에서의 CMA 생성률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는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도 3의 (B)는 삼백초 추출물, 도 3의 (C)는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도 3의 (D)는 포도 추출물의 CMA 생성률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 추출물,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 추출물,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 추출물 및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상기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이 로만 캐모마일이고, 상기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이 삼백초이며, 상기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이 서양 산사나무이며, 상기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이 포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는, 예컨대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 추출물,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 추출물,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 추출물 및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는, 예컨대 상기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이 로만 캐모마일이고, 상기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이 삼백초이며, 상기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이 서양 산사나무이고, 상기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이 포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CMA 생성 경로에 있어서, 단백질의 당화반응 경로 및 글리옥살에 의한 콜라겐의 산화반응 경로 중 적어도 한쪽의 경로를 억제할 수 있고, 예컨대 글리옥살에 의한 콜라겐의 산화반응 경로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양 경로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국화과 안테미스속, 삼백초과 삼백초속, 장미과 산사나무속 및 포도과 포도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전술한 식물 중, 예컨대 1종류의 추출물을 포함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 추출물 및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예컨대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 추출물,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 추출물,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 추출물 및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가,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 추출물(A),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 추출물(B),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 추출물(C) 및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 추출물(D)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각 추출물의 배합비(건조 중량비, A:B:C:D)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1:0.01?100:0.01?100:0.01?100이 바람직하다.
상기 국화과 안테미스속(Compositae Anthemis(Chamaemelum))의 식물은, 예컨대 로만 캐모마일(Anthemis nobilis L.(=Chamaemelum nobil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 추출물은, 예컨대 꽃, 화수, 과피, 과실, 줄기,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 어느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 추출물에서,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두상화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삼백초과 삼백초속(Saururaceae Houttuynia)의 식물은, 예컨대 삼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 추출물은, 예컨대 꽃, 화수, 과피, 과실, 줄기, 잎,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 어느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 추출물에서,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꽃, 화수, 과피, 과실,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줄기(幹), 수피 및 종자 등의 지상부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장미과 산사나무속(Rosaceae Crataegus)의 식물은, 예컨대 서양 산사나무(Crataegus oxyacantha L.), 일본 산사나무(C.cuneata Sieb.et Zuc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 추출물은, 예컨대 꽃, 화수, 과피, 과실,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줄기, 수피,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 어느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 추출물에서,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과실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포도과 포도속(Vitaceae Vitis)의 식물은, 예컨대 포도(Vitis vinifera L.), 미국종 포도(Vitis labrusca L.), 아마즈루(V.saccharifera Makino), 까마귀머루(V.ficifolia Bunge var.lobata(Regel) Nakai), 새머루(V.flexuosa Thunb.), 머루(V.coiguetiae Pulliat), 구미 잡종 포도(V.labruscana Bailey)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 추출물은, 예컨대 꽃, 화수, 과피, 과실, 줄기, 잎, 가지, 지엽, 나무줄기, 수피, 근경, 근피, 뿌리 및 종자 등 어느 추출물이어도 좋고, 한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부위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추출물은, 식물체 전체의 추출물이어도 좋다. 상기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 추출물에서, 추출 부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잎의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상기 로만 캐모마일, 삼백초, 서양 산사나무 및 포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전술한 식물 중, 예컨대 1종류의 추출물을 포함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포도 추출물 및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예컨대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및 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가, 상기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a), 삼백초 추출물(b),서양 산사나무 추출물(c) 및 포도 추출물(d)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각 추출물의 배합비(건조 중량비, a:b:c:d)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1:0.01?100:0.01?100:0.01?10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의 두상화,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의 지상부,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의 과실 및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의 잎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전술한 추출물 중, 예컨대 1종류의 추출물을 포함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여도 좋으며, 모두를 포함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상기 로만 캐모마일의 두상화, 삼백초의 지상부, 서양 산사나무의 과실 및 포도의 잎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전술한 추출물 중, 예컨대 1종류의 추출물을 포함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여도 좋으며, 모두를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추출 부위 또는 식물체 전체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용매 추출법, 압착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법에 이용하는 추출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수성 용매, 유기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성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 에테르, 니트릴, 방향족 화합물 및 염화알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및 무수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프로필렌글리콜 및 1,3-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톤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아세톤 및 포름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초산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테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디에틸에테르 및 디옥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니트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화알킬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클로로포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예컨대 1종류의 용매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추출 용매는, 예컨대 상기 수성 용매와 상기 유기 용매와의 혼합 용매여도 좋다. 상기 혼합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에탄올 수용액 등의 저급 알코올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혼합 용매에서의 상기 유기 용매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1 체적%?99 체적%이다.
상기 용매 추출법은, 예컨대 전술한 추출 부위 또는 식물체 전체를 원료로 하고, 이것을 상기 추출 용매에 침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원료는, 예컨대 상기 침지 전에, 세정, 건조 및 분쇄 등의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상기 원료가 2종류 이상인 경우, 각 원료를 각각 추출 처리하여도 좋고, 2종류 이상의 원료의 혼합물을 추출 처리하여도 좋다. 전자의 경우, 예컨대 얻어진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로 하여도 좋다. 상기 혼합 추출물에서의 각 추출물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등량(중량)이어도 좋다. 예컨대 전술한 4종류의 식물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추출물을 1:1:1:1(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 예컨대 상기 혼합물중의 각 원료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등량(중량)이어도 좋다. 예컨대 전술한 4종류의 식물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원료를 1:1:1:1(건조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에 이용하는 상기 원료와 상기 추출 용매와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원료 100 g(건조 중량)에 대하여, 예컨대 상기 추출 용매 1 L?1000 L이며, 바람직하게는 1 L?100 L이다. 상기 침지 시간은, 예컨대 상기 원료 및 상기 추출 용매의 종류 및 양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원료 100 g을 상기 추출 용매 10 L에 침지하는 경우, 상기 침지 시간은, 예컨대 0.5 시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4 시간이다.
또한, 상기 추출시의 상기 추출 용매의 온도는, 예컨대 실온이어도 좋고, 실온 이상 또는 실온 이하여도 좋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용매가 수성 용매인 경우, 상기 추출 처리는, 예컨대 열수 추출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수 추출의 경우, 상기 수성 용매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3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100℃이다. 또한, 상기 열수 추출의 처리 시간은, 예컨대 상기 원료의 종류 및 양과 상기 수성 용매의 양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원료 100 g(건조 중량)을 상기 수성 용매 10 L로 추출하는 경우, 상기 처리 시간은, 예컨대 0.5 시간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4시간이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추출 처리 후, 예컨대 정제 처리 등을 실시하여도 좋다. 상기 정제 처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증류 처리, 여과 처리, 크로마토그래피 처리 및 건조 처리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액상, 페이스트상, 분말상 등을 들 수 있고, 후술하는 억제제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전술한 추출물만을 포함하여도 좋고, 전술한 추출물과, 그 외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어도 좋다. 상기 성분은, 예컨대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붕괴제, 흡수 촉진제, 유화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중 상기 각종 첨가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고형상, 겔상 및 액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형태의 구체예는, 예컨대 산제, 세립제, 과립제, 정제, 피복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점안제, 액제, 첩부제, 로션제 및 연고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생체에 투여하는 것에 의해, 생체내에서의 CMA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생체내의 CMA 생성에 기인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장해 등의 치료 방법 또는 예방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일반 식품 및 영양 보조 식품 등의 식품, 화장료, 의약부외품 및 의약품 등의 그 외 성분과 배합하여, 조성물로서 투여하여도 좋다. 상기 조성물중 상기 CMA 생성 억제제의 배합량은, 예컨대 상기 그 외 성분 및 투여 대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국화과 안테미스속, 삼백초과 삼백초속, 장미과 산사나무속 및 포도과 포도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라겐 변성 억제제에서, 그 조성, 상기 각 추출물 및 그 추출 방법은, 전술한 CMA 생성 억제제와 같다. 또한, 상기 콜라겐 변성 억제제에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포함하는 각종 첨가제, 형태 등도, 전술한 CMA 생성 억제제와 같다.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는, 예컨대 생체에 투여하는 것에 의해, 생체내에서의 콜라겐의 변성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는, 생체 내의 콜라겐 변성에 기인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장해 등의 치료 방법 또는 예방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라겐 변성 억제제는, 예컨대 일반 식품 및 영양 보조 식품 등의 식품, 화장료, 의약부외품과 의약품 등의 그 외 성분과 배합하여, 조성물로서 투여하여도 좋다. 상기 조성물중 상기 콜라겐 변성 억제제의 배합량은, 예컨대 상기 그 외 성분 및 투여 대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를, 콜라겐 함유 시료에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에서의 CMA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상기 콜라겐 함유 시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콜라겐을 함유하는 공업 제품 및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업 제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콜라겐 추출물, 비철금속 정련용의 금속 침출액, 접착제, 악기용 접착제, 비닐계 폴리머, 도료, 필름, 젤라틴 필름, 마이크로캡슐, 생콘크리트, 인공 피혁, 샌드페이퍼, 한냉지용 단열재, 인화지, 성냥 머리부 약품 및 먹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쇠심떠깨, 닭날개, 닭껍질, 연골 및 돈족 등의 육류, 복, 아귀, 전복, 자라, 해삼, 미꾸라지 및 상어 지느러미 등의 어류, 상기 육류 및 어류 등의 가공 식품, 콜라겐 음료 및 콜라겐 함유 과자 등의 콜라겐 가공 식품 및 콜라겐 함유 영양 보조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콜라겐 함유 시료에, 상기 CMA 생성 억제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시료의 종류에 따라, 종래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 함유 시료가, 전술한 가공 식품, 콜라겐 가공 식품 및 콜라겐 함유 영양 보조 식품 등의 식품 또는 공업 제품의 경우에는, 예컨대 상기 콜라겐 함유 시료중에, 상기 CMA 생성 억제제를 배합하여도 좋다. 상기 콜라겐 함유 시료중 상기 CMA 생성 억제제의 배합량은, 상기 콜라겐 함유 시료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콜라겐 함유 시료가 전술한 육류 및 어류 등의 식품인 경우에는, 예컨대 상기 콜라겐 함유 시료에, 상기 CMA 생성 억제제를 포함하는 처리액을, 도포 또는 분무하여도 좋고, 상기 시료를 침지하여도 좋다. 상기 처리액의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물, pH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처리액중 상기 CMA 생성 억제제의 배합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0.001 중량%?99.9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10.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콜라겐 함유 시료에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의 변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상기 콜라겐 변성 억제 방법에서, 상기 콜라겐 함유 시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전술한 콜라겐 함유 시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라겐 함유 시료에, 상기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첨가하는 방법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전술한 CMA 생성 억제제의 첨가 방법과 같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를 생체에 투여하여, CMA의 생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또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를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예방 방법이어도 좋고,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를 생체에 투여하여, CMA의 생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또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병은, 예컨대 당뇨병 합병증, 알츠하이머병, 동맥 경화증, 골다공증, 강피증, 류마티스 및 변형성 골관절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직은, 예컨대 콜라겐을 포함하는 조직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피부, 뼈, 혈관, 관절, 힘줄, 장기 및 뇌조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생체의 동물종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인간, 또는 원숭이, 소, 돼지, 개 및 고양이 등의 비인간 포유류, 닭 등의 조류와 어패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를 들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는, 예컨대 경피 흡수 및 정맥 주사 등의 주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전술한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외 성분과 배합한 조성물로서 투여하여도 좋다. 상기 조성물중 상기 CMA 생성 억제제의 배합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CMA 생성 억제제의 투여량은, 예컨대 동물종, 연령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정상 성인이 경구 섭취하는 경우, 상기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상기 추출물(고형물) 환산으로 10 ㎎?2000 ㎎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1000 ㎎이다. 상기 본 발명의 CMA 생성 억제제는, 예컨대 상기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또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장해의 치료약이라고도 하고, 예방약의 의미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생체에 투여하여, 콜라겐 변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를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예방 방법이어도 좋고,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생체에 투여하여, 콜라겐 변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투여하는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질병, 조직, 생체의 동물종, 투여 방법, 투여 형태, 배합량 및 투여량은, 예컨대 전술한 CMA 생성 억제제를 투여하는 치료 방법과 같다. 상기 본 발명의 콜라겐 변성 억제제는, 예컨대 상기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또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장해의 치료약이라고도 하고, 예방약의 의미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CMA의 생성 또는 콜라겐 변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또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상해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국화과 안테미스속, 삼백초과 삼백초속, 장미과 산사나무속 또는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 추출물이다. 상기 상해의 치료는, 상해의 예방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CMA의 생성 또는 콜라겐 변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또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상해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국화과 안테미스속, 삼백초과 삼백초속, 장미과 산사나무속 및 포도과 포도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상해의 치료는, 상해의 예방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추출물 및 조성물에서, 상기 각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고, 조합, 사용 방법 등도 같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예에서는, 단백질(콜라겐)의 당화반응 경로에서의 반응의 진행 억제에 의한, CMA 생성 억제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CMA를 생성하는 출발 원료로서, 콜라겐 및 글루코오스를 이용하여,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에 의한 CMA의 생성 억제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또한, 본 예에서는, 상기 식물로서, 로만 캐모마일의 두상화, 삼백초의 지상부, 서양 산사나무의 과실 및 포도의 잎을 이용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조제
상기 각 식물의 건조물 100 g을, 80℃의 정제수 10 L에 약 5시간 침지하고, 각 식물의 추출 엑기스를 얻었다. 각 추출 엑기스를 여과하여, 잔사를 제거하고, 여과액 약 10 kg을 각각 회수하였다. 각 여과액을 더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분말의 각 식물 추출물을 얻었다. 또한, 혼합 추출물로서, 「AG 허브 MIX」(상품명, 아크레이사제)를 이용하였다. 이들 각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을, 각각 샘플로서 이용하였다.
ELISA법에 의한 평가
항CMA 항체 용액(IgG 농도: 1 ㎍/mL)은, 면역 동물을 염소로 변경한 것 이외,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43732호 공보의 실시예 1 기재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조제하였다. 한편, 상기 샘플을 정해진 농도(0, 0.0025, 0.025 및 0.25 중량%)로 포함하는, 하기 조성의 콜라겐-글루코오스 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각 콜라겐-글루코오스 용액을, 60℃에서 40시간 반응시켜, 반응액을 얻었다. 상기 각 반응액 100 μL를, 96 구멍 ELISA 플레이트(Nunc Maxisorp사제)의 각 웰에 부어, 실온에서 2시간 정치하고, 상기 각 웰 내에 고정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제거 후, 블로킹제(N102, 일본유지사제) 100 μL를 상기 각 웰 내에 부어, 실온에서 1시간 정치하여 블로킹 처리하였다. 상기 블로킹제를 제거하고, 상기 항CMA 항체 용액 0.1 mL를 각 웰 내에 부어,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0.1 중량% Tween(등록상표) 20, 0.2 ㏖/L NaCl 및 50 m㏖/L Tris-HCl(pH 7.5)을 포함하는 세정액으로, 상기 각 웰 내를 3회 세정하였다. 세정 후, 상기 각 웰에, 2차 항체로서 HRP-항염소 항체(카펠사제) 0.1 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상기 각 웰 내를, 상기 세정액으로 세정 후, TMB(3, 3'5, 5'-테트라메틸벤지딘) 시약(케멘텍사제) 0.05 mL를 상기 각 웰에 첨가하고, 또한 1 ㏖/L의 황산을 0.05 mL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 후, 상기 각 웰 내의 반응액에 대해서, 측정 파장 450 ㎚에서의 흡광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흡광도는,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CMA 생성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콜라겐-글루코오스 용액)
성분 농도
콜라겐 1 ㎎/mL
글루코오스 0.2 ㏖/L
샘플 정해진 농도
도 1의 그래프에, 각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에 의한 CMA 생성 억제 효과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도 1의 (A)는 상기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도 1의 (B)는 상기 삼백초 추출물, 도 1의 (C)는 상기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도 1의 (D)는 상기 포도 추출물, 도 1의 (E)는 상기 혼합 추출물의 측정 결과이다. 도 1의 (A)?(E)의 그래프에서, 횡축은 각 샘플의 첨가 농도(중량%)이고, 종축은 측정 파장 450 ㎚에서의 흡광도이다. 도 1의 (A)?(E)의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샘플에 대해서, 흡광도의 감소가 보였기 때문에, CMA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각 샘플에서, 대략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CMA 생성량이 감소했다.
또한, 샘플 무첨가(0%)의 반응액에서의 흡광도를 100%로 하고, 흡광도가 50%가 되는 각 샘플의 첨가 농도를 산출하여, 각 샘플의 IC50을 구했다. 상기 IC50은 생성 억제 효과가 높은 순으로,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0.002 중량%, 포도 추출물0.003 중량%, 삼백초 추출물 0.020 중량%, 혼합 추출물 0.021 중량%,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0.030 중량%였다.
(실시예 2)
본 예에서는, 상기 글리옥살에 의한 단백질(콜라겐)의 산화반응 경로의 억제에 의한, CMA 생성 억제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CMA를 생성하는 출발 원료로서, 콜라겐 및 글리옥살을 이용하여, 상기 식물 추출물 및 상기 혼합 추출물에 의한 CMA의 생성 억제를 측정함으로써,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본 예에서는, 상기 콜라겐-글루코오스 용액 대신에, 하기 조성의 콜라겐-글리옥살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샘플 농도를 정해진 농도(0, 0.025, 0.25 및 2.5 중량%)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샘플을 조제하여, 생성 억제 평가를 행하였다.
(콜라겐-글리옥살 용액)
성분 농도
콜라겐 1 ㎎/mL
글리옥살 0.002 ㏖/L
샘플 정해진 농도
도 2의 그래프에, 각 식물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에 의한 CMA 생성 억제 효과의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도 2의 (A)는 상기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도 2의 (B)는 상기 삼백초 추출물, 도 2의 (C)는 상기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도 2의 (D)는 상기 포도 추출물, 도 2의 (E)는 상기 혼합 추출물의 측정 결과이다. 도 2의 (A)?(E)의 그래프에서, 횡축은 각 샘플의 첨가 농도(중량%)이며, 종축은 측정 파장 450 ㎚에서의 흡광도이다. 도 2의 (A)?(E)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샘플에 대해서, 흡광도의 감소가 보였기 때문에, CMA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각 샘플에서, 대략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CMA 생성량이 감소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각 샘플의 IC50을 구했다. 상기 IC50은, 생성 억제 효과가 높은 순으로, 포도 추출물 0.129 중량%, 혼합 추출물 0.191 중량%, 삼백초 추출물 0.280 중량%,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0.292 중량%,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0.629 중량%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측정 결과로부터, 하기 식을 이용하여, 각 샘플의 CMA 생성의 상대율(CMA 생성률, %)을 구했다.
CMA 생성률(%)=(a/b)×100
a: 각 샘플 첨가의 반응액에서의 흡광도
b: 샘플 무첨가(0%)의 반응액에서의 흡광도
도 3의 그래프에, 각 식물 추출물을 첨가한 반응액에서의 CMA 생성률(%)을 도시한다. 도 3의 (A)는 상기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도 3의 (B)는 상기 삼백초 추출물, 도 3의 (C)는 상기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도 3의 (D)는 상기 포도 추출물에서의 CMA 생성률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D)의 그래프에서, 횡축은 각 샘플의 첨가 농도(중량%)이고, 종축은 CMA 생성률(%)이며, 좌측의 바는, 콜라겐의 당화반응 경로의 억제에 관한 상기 실시예 1의 측정 결과이며, 우측의 바는, 글리옥살에 의한 콜라겐의 산화반응 경로의 억제에 관한 상기 실시예 2의 측정 결과이다.
도 3의 (A), (B) 및 (D)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로만 캐모마일, 삼백초 및 포도 추출물은, 샘플 첨가 농도 0.025 중량%?0.25 중량%에서, 상기 실시예 1 및 2 모두, 상기 CMA 생성률이 마찬가지로 저감했기 때문에, 상기 당화반응 경로 및 상기 산화반응 경로가, 함께 억제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었다. 한편, 도 3의 (C)의 그래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은, 첨가 농도 0.025 중량%?0.25 중량%에서, 상기 실시예 2와 비교하여, 상기 실시예 1의 상기 CMA 생성률이 현저히 저감했기 때문에, 특히, 상기 당화반응 경로가 강하게 억제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었다.
이와 같이, 상기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포도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은, 콜라겐에서의 CMA의 생성, 및 콜라겐의 변성을 억제하는 것이 도시되었다. 특히, 이들 추출물에 의하면, 상기 당화반응 경로와, 상기 산화반응 경로 중 적어도 한쪽의 경로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CMA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실시예 3)
본 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평가한 상기 혼합 추출물의 섭취에 의한, 혈청중 CMA 농도에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상기 혼합 추출물 「AG 허브 MIX」(상품명, 아크레이사제) 600 ㎎을 포함하는 캡슐형 식품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정상자 8명의 정상자군, 및 당뇨병과 고혈당증자를 포함하는 4명의 고혈당자군을 피험자로 하였다. 상기 각 피험자에게, 상기 캡슐형 식품을 1일 1회, 12주간 연속 섭취시켰다. 또한 섭취 시작 직전에, 통상법을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로부터 채혈하여, 섭취 전의 혈청 샘플을 조제하였다. 또한, 섭취 시작 12주 후,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피험자로부터 채혈하여, 섭취 후의 혈청 샘플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Odani 등(비특허문헌 2)의 측정 방법에 따라, 상기 섭취 전후의 혈청 샘플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혈중 CMA 농도를 측정하였다. 우선, 각 혈청 샘플 0.2 mL와 냉에탄올 0.8 mL를 혼합하고, 20분간 냉각하였다. 냉각 후, 이 혼합액을 10,000 rpm으로 20분간 원심 처리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상기 침전물에, 0.2 ㎎/mL 돼지 장 펩티다제(Porcine intestine peptidase)(Code. P7500, 시그마사제)를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 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또한 20 ㎎/mL 프로나제(Pronase) E(Code. P5147, 시그마사제)를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을 20 μL 첨가하고, 37℃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또한 5.9 ㎎/mL 류신 아미노펩티다제(Leucine aminopeptidase)(Code. L5006, 시그마사제) 2 μL와, 1 ㎎/mL 프롤리다제(Prolidase)(code. P6675, 시그마사제)를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 10 μL를 첨가하고, 37℃에서 72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액을, 분획 분자량 사이즈 MW 5,000의 한외 여과막 멤브레인(미리포아사제)을 이용하여, 원심 한외 여과하고, 여과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분석 조건으로, LC/MS 분석에 제공하였다. 상기 LC/MS법에 의한 측정에서, CMA의 동정 및 정량은, 분자 이온 피크 233.2와 70.0의 비로부터 산출하였다. 상기 측정치로부터, 각 피험자의 혈중 CMA 농도(n㏖/mL) 및 각 군의 상기 농도의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Figure pct00001
하기 표 2에, 상기 고혈당자군의 혈중 CMA 농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하기 표 3에, 상기 정상자군의 혈중 CMA 농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혈당자군의 혈중 CMA 농도의 평균치는, 상기 섭취 전은 31.3 n㏖/mL이고, 상기 섭취 후는 28.3 n㏖/mL이며, 섭취 전후의 차는 -3.1 n㏖/mL였다. 이것에 대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정상자군의 혈중 CMA 농도의 평균치는, 상기 섭취 전은 27.2 n㏖/mL이며, 상기 섭취 후는 26.4 n㏖/mL이고, 상기 섭취 전후의 차는 -0.8 n㏖/mL였다. 이와 같이, 상기 고혈당자군 및 상기 정상자군 모두, 상기 혼합 추출물의 섭취에 의해, 상기 혈중 CMA 농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상기 고혈당자군은, 상기 정상자군보다, 상기 혈중 CMA 농도의 저하가 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이와 같이, 상기 로만 캐모마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서양 산사나무 추출물 및 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섭취에 의해, 혈중의 CMA 농도가 저하되는 것이 나타났다. 이것에 의해,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생체내 결합 조직의 유연성 저하, 결합 조직 등의 콜라겐을 많이 포함하는 조직의 노화 진행의 억제에 유효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상기 CMA 생성 경로에서의, 단백질의 당화반응 경로 및 상기 글리옥살에 의한 콜라겐의 산화반응 경로 중 적어도 한쪽의 경로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CMA의 생성을 억제하여, 콜라겐의 변성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생체내 결합 조직의 유연성 저하, 결합 조직 등의 콜라겐을 많이 포함하는 조직의 노화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로부터 이용되어 온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우수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이 대량 입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은 공업 제품, 식품, 의약 등이 폭넓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국화과 안테미스속, 삼백초과 삼백초속, 장미과 산사나무속 및 포도과 포도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 추출물,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 추출물,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 추출물 및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이 로만 캐모마일이고,
    상기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이 삼백초이며,
    상기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이 서양 산사나무이고,
    상기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이 포도인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4. 국화과 안테미스속, 삼백초과 삼백초속, 장미과 산사나무속 및 포도과 포도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 변성 억제제.
  5. 제4항에 있어서,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 추출물,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 추출물,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 추출물 및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변성 억제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국화과 안테미스속의 식물이 로만 캐모마일이고,
    상기 삼백초과 삼백초속의 식물이 삼백초이며,
    상기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식물이 서양 산사나무이고,
    상기 포도과 포도속의 식물이 포도인 콜라겐 변성 억제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를, 콜라겐 함유 시료에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에서의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 방법.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콜라겐 함유 시료에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의 변성을 억제하는 콜라겐 변성 억제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를 생체에 투여하여,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의 생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를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방법.
  10.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콜라겐 변성 억제제를 생체에 투여하여, 콜라겐 변성이 원인이 되는 질병, 조직의 노화, 기능 저하 및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상해를 치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방법.
KR1020127003119A 2009-07-08 2010-06-29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및 콜라겐 변성 억제제 KR20120047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2189 2009-07-08
JPJP-P-2009-162189 2009-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932A true KR20120047932A (ko) 2012-05-14

Family

ID=4342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119A KR20120047932A (ko) 2009-07-08 2010-06-29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및 콜라겐 변성 억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95989A1 (ko)
EP (1) EP2452690A4 (ko)
JP (1) JPWO2011004734A1 (ko)
KR (1) KR20120047932A (ko)
CN (1) CN102300577A (ko)
WO (1) WO2011004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4029A (ja) 2011-08-08 2013-03-21 Arkray Inc カルボキシメチルアルギニンの免疫測定方法
JP2013241367A (ja) * 2012-05-21 2013-12-05 Maruzen Pharmaceut Co Ltd 関節リウマチ抑制剤
JP6326611B2 (ja) * 2012-10-24 2018-05-23 ビーエイチエヌ株式会社 Cma生成阻害剤
CN104383111A (zh) * 2014-10-23 2015-03-04 广西金臣科技有限公司 葛根植物发酵液及其制备方法
CN104383165A (zh) * 2014-10-23 2015-03-04 邓高荣 一种疏风止痛的泡脚中药粉及其制备方法
JP2018090639A (ja) * 2018-03-16 2018-06-14 ビーエイチエヌ株式会社 Cma生成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8387B1 (en) * 2000-01-27 2001-05-08 Murray Borod Integrated comprehensive hemorrhoid treatment compositions and regimen
JP2002243732A (ja) 2001-02-16 2002-08-28 Nippi:Kk 新規な抗体及び該抗体を含む免疫試薬
CN100463666C (zh) * 2002-11-07 2009-02-25 株式会社高丝 皮肤外用剂组成物
JP4195840B2 (ja) * 2003-07-18 2008-12-17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US7348034B2 (en) * 2005-03-07 2008-03-2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lant based formulations for improving skin moisture, texture, and appearance
KR20080043763A (ko) * 2005-06-17 2008-05-19 다이나미스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염증성 상태의 치료
JP2008231031A (ja) * 2007-03-20 2008-10-02 Arkray Inc デヒドロエピアンドロステロン産生促進剤およびその用途
JP5144534B2 (ja) * 2007-04-25 2013-02-13 アークレイ株式会社 飲食品の風味改良剤
EP2182967A1 (en) * 2007-09-04 2010-05-12 Catholic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Process for preparing vitis vinifera pip extrac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heumatoid arthritis comprising the same
JP5301135B2 (ja) * 2007-10-15 2013-09-25 竜児 永井 カルボキシメチルアルギニン生成抑制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95989A1 (en) 2012-08-02
EP2452690A1 (en) 2012-05-16
WO2011004734A1 (ja) 2011-01-13
JPWO2011004734A1 (ja) 2012-12-20
CN102300577A (zh) 2011-12-28
EP2452690A4 (en)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8611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KR20120047932A (ko) 카르복시메틸아르기닌 생성 억제제 및 콜라겐 변성 억제제
US20120114771A1 (en) Oxidized Protein Hydrolase Activity Enhancer
TWI608842B (zh) Oxidation proteolytic enzyme activity enhancer
JP2011148715A (ja) タンパク質のカルボニル化抑制剤及び肌の透明感向上剤
JP2006298857A (ja) 育毛剤および育毛用キット
CN114344352A (zh) 一种具有抗晚期糖基化终产物功效的组合物及其应用
JP2015024982A (ja) 終末糖化産物生成抑制剤
JP2020143034A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およびAGEs架橋切断促進剤
JP2003146899A (ja) 皮膚改善剤
JP2003325136A (ja) 関節炎改善用食品
JP2015183002A (ja) 脂肪細胞形成抑制方法
JP2011021033A (ja) 抗疲労剤
JP4553730B2 (ja) 経口用育毛剤
JP2017066052A (ja) 終末糖化産物生成抑制剤
JP2004315476A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剤
KR20060130739A (ko) 프로안토시아니딘 수용성 결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2326592B1 (ko)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천연물의 추출방법 및 이에 따라 수득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50097698A (ko) 감 껍질을 이용한 올레아놀산 및 우르솔산의 제조방법
KR101221711B1 (ko)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6001112A1 (ja) 育毛剤
JP2023076382A (ja) 抗糖化用組成物
WO2021140131A1 (fr) Utilisation de la taxodione comme agent anti-glycation
Akomolafe et al. NFS Journal
JP2017066050A (ja) 終末糖化産物生成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