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711B1 -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711B1
KR101221711B1 KR1020100091664A KR20100091664A KR101221711B1 KR 101221711 B1 KR101221711 B1 KR 101221711B1 KR 1020100091664 A KR1020100091664 A KR 1020100091664A KR 20100091664 A KR20100091664 A KR 20100091664A KR 101221711 B1 KR101221711 B1 KR 10122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tre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693A (ko
Inventor
이남호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71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Abstract

본 발명은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소거하는 활성이 우수하고,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저해 활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엘라스타제(Elastase) 저해활성도 우수한 특징이 있으므로 항산화 효과, 피부미백 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Cleyera japonica}
본 발명은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비쭈기나무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피부노화는 크게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인 ‘내인성노화(intrinsic aging)’와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된 얼굴, 손등, 목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내인성노화 현상과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합쳐진 결과로 발생하는‘광노화(photoaging)’로 나눌 수 있다.
내인성 노화는 햇빛에 노출되지 않은 피부에서 주로 관찰되는 피부노화 현상으로 임상적 특징은 비교적 경미하며, 잔주름, 피부건조증, 탄력감소 등을 들 수 있다. 광노화 현상은 자외선의 노출을 피하면 예방할 수 있는 피부노화 현상으로 임상적 특징이 내인성노화에 비하여 심하고, 일찍부터 관찰되며, 내인성노화에 비하여 굵고 깊은 주름이 발생하고, 잔주름도 많이 발생한다. 또한 햇빛에 노출된 피부에 불규칙한 색소침착이 발생하며 일광흑자(solar lentigo) 등의 색소질환이 증가할 뿐 아니라 피부가 매우 거칠고, 건조해지며, 탄력성이 감소하여 심한 경우 피부가 처지게 된다.
피부에 주름이 생기는 원인으로 세 가지를 들 수 있는데, 첫째, 얼굴에 존재하는 근육의 분포와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주름으로, 미간에 생기는 내천(川)자의 굵은 주름이나 잘 웃는 사람에게 더욱 많이 생기는 눈 주위에 잔주름이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주름살 양상이 차이를 보이는 것을 말하는데, 유전적 요인에 의해 동양인은 서양인에 비하여 굵은 주름살이 생기는 경향이 있으며, 같은 나이 또래이더라도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주름살이 많아 더 늙어 보이는 사람이 있다. 마지막으로, 태양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으로 인해 피부의 주름살이 유발되는 경우로, 얼굴과 같이 자외선에 오랫동안 노출된 피부에는 주름살이 더 굵게 많이 발생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피부노화에 관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인데, 이들은 자연적으로 생체 내에서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공해, 태양 자외선, 화학 산화제 및 미생물 등에 의해 발생되어진다. 이때 발생되어진 자유 전자기나 활성 산소종이 피부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긴 물질이 멜라닌과 주름 생성의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활성 산소종은 효소적, 비효소적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피부 항산화 방어막을 붕괴시키고 생체분자의 산화적 변형, 피부 장벽의 손상과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아루론산 등의 사스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에 의한 주름생성 등 피부노화를 가속시킨다.
결과적으로 피부노화 방지를 위해서는 과잉의 활성 산소종 생성을 억제하고 또한 생성된 활성산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피부의 주름을 일으키는 효소들의 억제, 색소침착을 진행하는 효소의 활성억제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피부노화, 미백 및 주름개선 관련된 천연소재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74115호에는 항산화효과, 피부노화 방지효과, 피부주름개선효과, 미백효과를 갖는 백리향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93166호에는 느릅나무 추출물에서 추출한 당단백 농축획분의 화장품 조성료로서의 응용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천연소재인 비쭈기나무가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피부노화를 저해하는 작용이 우수한 천연물질을 찾고자 모색하던 중, 비쭈기나무 추출물에 주목하여 이의 효과를 실험한 결과, 비쭈기나무 추출물이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을 통해 항산화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통해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으며,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통해 주름개선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쭈기나무(Cleyer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비쭈기나무(Cleyer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10.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피부미백 효과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가용 추출한 용매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추출물은 비쭈기나무의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물에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추출한 용매분획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카테친(Catechin), 에피카테친(epicatechin), 탁시폴린(Taxifolin), 탁시폴린-3-0-α-아라비노피라노사이드(Taxifolin-3-O-α-arabinopyranoside), 베툴린산(Betulinic acid), 3,3'-디-O-메틸엘라그산(3,3'-di-O-methylellagic acid) 및 3,3'-디-O-메틸엘라그산 4'-O-β-D-자일로피라노사이드(3,3'-di-O-methylellagic acid 4'-O-β-D-xylopyranosid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연고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항산화 효과, 피부미백 효과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소거하는 활성이 있고, 티로시나제(Tyrosinase)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엘라스타제(Elastase) 저해활성도 우수한 특징이 있으므로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쭈기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비쭈기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SC50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비쭈기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하여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비쭈기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하여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하고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비쭈기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화합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비쭈기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화합물을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하여 SC50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비쭈기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화합물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는 비쭈기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화합물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IC50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은 도 5의 비쭈기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화합물의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쭈기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화합물의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IC50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주원료로서 비쭈기나무를 사용하였는데, 상기 비쭈기나무(Cleyera japonica)는 빗죽이나무라고도 하며 원산지가 한국으로, 제주도와 전남·경남의 일부 산지에서 자라는 상록소교목이며, 일본, 중국, 타이완에도 분포하고, 높이는 10m에 이르며, 겨울눈의 모양이 비쭉해서 비쭈기나무라고 불린다.
또한, 비쭈기나무는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며 목재는 건축재·기구재·참빗 제조용으로 쓰이고, 일본에서는 가지를 신사(神寺)나 축제가 열리는 장소를 장식하는 데 쓰이며, 뿌리째 뽑은 비쭈기나무는 종교행렬에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비쭈기나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내용이 거의 알려진 바 없고, 특히 항산화활성,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에 대해서도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쭈기나무의 추출물을 화장품 조성물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 및 엘라스타제(Elastase) 저해활성 측정함으로써 비쭈기나무 성분이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하였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천연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각종 유기용매를 이용한 용매추출 방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비쭈기나무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비쭈기나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주 한라수목원으로부터 제공받은 비쭈기나무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수득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비쭈기나무를 준비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된 비쭈기나무를 분쇄한 다음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비쭈기나무의 용매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기용매는 70%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4시간 침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후 침출시킨 시료는 감압 흡입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액만 취한 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40 ℃ 이하의 수욕 상에서 진공농축기로 농축하여 비쭈기나무의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후, 수득된 추출물은 에탄올과 메탄올이 아닌 다른 유기용매, 예컨대,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물을 각각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계통분획화 함으로써 각 용매에 대한 분획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쭈기나무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먼저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상기 에탄올 추출물에 각종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각 용매 분획추출물을 수득하였는데, 즉,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키고 n-헥산(n-hexane)을 첨가하여 n-헥산 가용성 분획물을 얻었고, 이후 남은 분획물에 다시 에틸아세테이트(ethleacetate, EtOAC)를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을 얻었고, 남은 분획물에 다시 n-부탄올(n-butanol, BuOH)을 첨가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얻었고, 남은 분획물은 물(water, H2O) 물 가용성 분획물로 순차적으로 계통분획화하여 n-헥산 분획추출물, 아텔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부탄올 분획추출물 및 물 분획추출물을 수득하였다(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최초 수득한 용매추출물을 다시 다른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좀 더 분획화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은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약리효과를 최대로 나타내는 분획물(fraction)을 찾아낼 수 있게 하는 바, 필요 없는 물질을 분획화를 통해 제거할 수 있으며, 특정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활성물질만이 최대로 농축된 용매 분획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침출과정은 액체용매를 이용하여 불용성 고체와 섞여 있는 혼합물에서 용질을 용해 시켜 필요한 성분을 얻어내기 위한 공정으로, 주로 습식야금, 유지, 식품, 제약 공업 등의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제조 과정이 완료되면,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주원료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전체중량대비 10 중량 %의 비쭈기나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비쭈기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조한 비쭈기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을 대상으로 피부노화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자유라디칼 소거활성과 피부미백개선 성분개발을 위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및 피부주름개선 성분개발을 위한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비쭈기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및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실험예 1, 2 및 3 참조).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효과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비쭈기나무 추출물에 함유된 생리활성을 갖는 특정 화합물을 분리 및 동정하였는데,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분획물을 생리활성 가이드에 따라 분리한 결과, 카테친(Catechin), 에피카테친(epicatechin), 탁시폴린(Taxifolin), 탁시폴린-3-0-α-아라비노피라노사이드(Taxifolin-3-O-α-arabinopyranoside), 베툴린산(Betulinic acid), 3,3'-디-O-메틸엘라그산(3,3'-di-O-methylellagic acid) 및 3,3'-디-O-메틸엘라그산 4'-O-β-D-자일로피라노사이드(3,3'-di-O-methylellagic acid 4'-O-β-D-xylopyranoside)와 같은 활성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었다(실험예 4 참조).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 및 동정한 상기 화합물들의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및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비쭈기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중 Catechin, epi-catechin, Taxifolin, Taxifolin-3-O-α-arabinopyranoside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3,3'-di-O-methylellagic acid 4'-O-β-D-xylopyranoside은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측정에서 대조군인 albutin보다 좋은 활성을 보였으며, Betulinic acid는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측정에서 대조군인 oleanolic acid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실험예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에 함유된 활성 화합물인 카테친(Catechin), 에피카테친(epicatechin), 탁시폴린(Taxifolin), 탁시폴린-3-0-α-아라비노피라노사이드(Taxifolin-3-O-α-arabinopyranoside), 베툴린산(Betulinic acid), 3,3'-디-O-메틸엘라그산(3,3'-di-O-methylellagic acid) 또는 3,3'-디-O-메틸엘라그산 4'-O-β-D-자일로피라노사이드(3,3'-di-O-methylellagic acid 4'-O-β-D-xylopyranoside)은 항산화 효과, 피부미백 효과 또는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비쭈기나무 추출물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장수,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수(스킨), 영양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 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양은 조성물의 전체중량에 대해 0.0001 중량 % 내지 10.0 중량 %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 내지 10.0 중량 %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 미만인 경우에는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10 중량 %를 초과하게 되면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정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천연식물인 비쭈기나무를 사용함으로써 합성원료들로 야기되는 알러지 및 부작용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소비자들이 섭취해도 그 안전성을 인정할 수 있는 바, 식품의 제조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성식품은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음료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원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술한 것 이외에 본원발명의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의 식품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항산화활성,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50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음료의 경우, 100ml를 기준으로 0.001g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01g 내지 0.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쭈기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비쭈기나무(Cleyera japonica)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제주 한라수목원으로부터 비쭈기나무를 제공받아 준비하였다. 준비된 비쭈기나무를 건조시키고, 건조된 비쭈기나무 1.14 kg을 분쇄한 다음 70% 에탄올 25 L에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침출하였다. 침출시킨 시료는 감압 흡입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액만 취하였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리한 잔사에 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2회 더 반복 실시하였다. 이후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40 ℃ 이하의 수욕 상에서 진공농축기(rotary vacc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비쭈기나무 에탄올 추출물 116.6 g을 수득하였다.
비쭈기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분획물 제조
비쭈기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농축된 에탄올 추출물을 물 1 L에 현탁시키고 n-헥산(hexane)을 첨가하여 추출함으로써 n-헥산 가용성 분획물을 얻었다. 이후, 남은 분획물에는 또 다른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첨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을 획득하였고, 다시 남은 분획물에 n-부탄올(n-butanol)을 첨가하여 n-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얻었으며, 남은 물(water, H2O)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분획추출물들은 각각 감압 건조하여 분말형태의 비쭈기나무 분획추출물로 준비하였다.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분말형태의 비쭈기나무 분획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 중량 % 첨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즉,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중 화장수의 제조 방법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성분 함량 (단위 : 중량%)
비쭈기나무 추출물 10
글리세린 5
1,3-부틸렌 글리콜 3
피이지 1500 1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이디티에이-2엔에이(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
에탄올 10
올틸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방부제 미량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실험예 1]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 Free radical ) 소거활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0.2 mM DPPH를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수득한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각 용매추출물을 농도별로 준비하여 96 well plate에 0.2 mM DPPH 용액 0.18 mL와 시료용액 0.02 mL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거능력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로 계산되었고, 각 시료의 SC50 값을 구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radical scavenging activity, %)= {[1-(sample-blank)] / control} X 100
여기서 sample은 시료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blank는 시료의 흡광도이며, control은 DPPH 용액의 흡광도이다. 대조군으로는 Vitamic C(SC50 = 7.88 μg/mL)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DHHP법에 의한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은 모든 분획물에서 나타났으며, 특히 비쭈기나무의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SC50값이 13.78 μg/mL,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 경우 SC50값이 12.90 μg/mL, n-부탄올 분획추출물 경우 SC50값이 9.84 μg/mL, 물 분획추출물 경우 SC50값이 21.69 μg/mL로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 Tyrosinase ) 저해활성 측정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8), 2 mM L-tyrosine, 2500 unit의 티로시나제(Tyrosinase),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수득한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각 용매추출물들을 농도별로 준비하여 96 well plate에 buffer 0.105 mL, L-tyrosine 0.07 mL, 티로시나제(Tyrosinase) 0.005 mL, 시료용액 0.02 mL를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저해율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로 계산되었고, 각 시료의 IC50 값을 구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율(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 {[1-(sample-blank)] / control} X 100
여기서 sample은 시료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blank는 시료의 흡광도이며, control은 DPPH 용액의 흡광도이다. 대조군으로는 Arbutin(IC50 = 67.2 μg/mL)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실시예2를 통해 수득한 비쭈기나무의 각 용매 분획들은 모두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 Elastase ) 저해활성 측정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N-Succ(Ala)3-p-nitro anilide(SANA)을 기질로 하여 돼지췌장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tic elastase, PPE) 효소를 이용하였다. 0.2 M Tris-HCl buffer(pH 8.0), 0.1 mg/mL 엘라스타제(elastase), 12.5 mM SANA, 그리고 각 시료들을 농도별로 준비한 다음, 96 well plate에 buffer 0.165 mL, SANA 0.005 mL, 엘라스타제(Elastase) 0.01 mL, 그리고 시료용액 0.02 mL를 넣고 25℃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저해율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로 계산되었고, 각 시료의 IC50 값을 구하였다.
엘라스타제 저해율(Elastase inhibition activity, %)= {[1-(sample-blank)] / (control-blank)} X 100
여기서 sample은 시료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blank는 시료의 흡광도, control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흡광도, blank는 시료와 엘라스타제를 첨가하지 않은 용액의 흡광도이다. 대조군으로는 Oleanolic acid(IC50 = 29.61 μg/mL)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통해 수득한 비쭈기나무의 각 용매 분획물들은 모두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용매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 동정
본 발명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의 용매분획물로부터 화합물을 분리하고 구조를 동정하기 위해 상기 본 발명의 실험예 1, 2 및 3의 결과를 토대로 추출물의 활성원인이 되는 성분의 분리를 위해 용매분획물들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선택하였다. VLC와 Silica gel CC, Sephadex LH-20 CC를 사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로부터 활성성분인 7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는 NMR data를 이용하였으며, 알려진 화합물과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따라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의 일부인 3.92 g을 Hex-EtOAc-MeOH gradient 용매로 VLC를 하여 32개의 fraction을 얻었다(Fr. V1~V32). 그 중, Fr. V7(153.6 mg)은 화합물 5로 동정하였고, Fr. V11~14(107.4 mg)를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화합물 6(5.8 mg)을 얻었다. 그리고 Fr. V15~18(138.8 mg)을 가지고 CHCl3/MeOH(5/1)의 조건으로 Silica gel CC를 하여 화합물 1(55.9 mg)과 화합물 3(5.9 mg)를 얻었으며, Fr. V19~20(144.5 mg)을 CHCl3/MeOH(2.5/1)의 조건으로 Sephadex LH-20 CC를 하여 화합물 1(10.6 mg)과, 화합물 3(3.0 mg)를 더 얻고, 화합물 2(2.6 mg)도 얻었다. 또한 Fr. V22(520.9 mg)을 CHCl3/MeOH(3/1)의 조건으로 Sephadex LH-20 CC를 하여 화합물 4(264.5 mg)를 얻었고, Fr. V23(953.1 mg)을 CHCl3/EtOAc/MeOH(2/2/1)의 조건으로 Silica gel CC를 하여 5개의 fraction으로 나누고, 그 중 Fr. V23-2(356.0 mg)를 CHCl3/MeOH(3/1)의 조건으로 Sephadex LH-20 CC를 하여 화합물 4(191.9 mg)를 더 얻었으며, 화합물 7(13.0 mg)도 얻었다. 이와 같이 분리된 7개의 화합물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1] 카테친(Catechin) [화합물 2] 에피카테친(epicatechin)
Figure 112010060775459-pat00001
Figure 112010060775459-pat00002
[화합물 3] 탁시폴린(Taxifolin) [화합물 4] 탁시폴린-3-0-α-아라비노피라노사이드(Taxifolin-3-O-α-arabinopyranoside)
Figure 112010060775459-pat00003
Figure 112010060775459-pat00004
[화합물 5] 베툴린산(Betulinic acid) [화합물 6] 3,3'-디-O-메틸엘라그산(3,3'-di-O-methylellagic acid)
Figure 112010060775459-pat00005
Figure 112010060775459-pat00006
[화합물 7] 3,3'-디-O-메틸엘라그산 4'-O-β-D-자일로피라노사이드(3,3'-di-O-methylellagic acid 4'-O-β-D-xylopyranoside)
Figure 112010060775459-pat00007
실험 결과, 상기 표 2에 기재된 화합물 중, 화합물 1 및 2는 문헌(Teresita S., 2000,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77: 667 - 673)과 비교하여 카테친(Catechin)과 에피카테친(epicatechin)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화합물 3은 문헌(Xiang HH, 2007,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30: 13 - 17)을 통해 탁시폴린(Taxifolin)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화합물 4의 NMR data를 조사한 결과, 탁시폴린(Taxifolin)의 유도체임을 알 수 있었고, 1H NMR에서 δH 3 ~ 4 의 피크들과 13C NMR에서 δC 60 ~ 102 사이의 5개의 피크를 통해 탁시폴린(Taxifolin)의 3번 위치에 5탄당이 결합된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화합물 4는 문헌(E. Chosson, 1998, Phytochemistry, 49: 1431-1433)을 통해 탁시폴린-3-0-α-아라비노피라노사이드(Taxifolin-3-O-α-arabinopyranoside)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화합물 5는 13C NMR spectrum에서 30개의 카본 피크와 1H NMR spctrum에서 6개의 메틸기의 단일피크를 포함하여 넓은 범위의 알리파틱 신호를 바탕으로 트라이터펜으로 예측하였는데, 13C NMR spectrum에서 카복실산(δC 179.2), 비닐 카본(4차 탄소 δC 150.5와 CH2인 δC 110.3), 산소에 인접한 위치의 메틴(methine, δC 78.4) 피크에 해당하는 특성을 나타내어 베툴린산(Betulinic acid)임을 유추해 내었으며, 문헌(Chen P., 1998, Magnetic resonance in chemistry, 36: 267 - 278)과 비교함으로써 유추한 화합물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6은 문헌(Grzegorz P., 1996, Phytochemistry, 41: 775 - 778)과 비교하여 3,3'-디-O-메틸엘라그산(3,3'-di-O-methylellagic acid)로 동정해 내었다. 또한 화합물 7은 NMR data를 조사한 결과 화합물 6의 유도체로 확인되었고, 1H NMR에서 δH 3 ~ 4 의 피크들과 13C NMR에서 δC 60 ~ 102 사이의 5개의 피크로 보아 화합물 6의 4' 위치에 5탄당이 결합된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1H NMR spectrum에서 δH 5.16(d, J = 7.33)의 피크로 보아, 자일로즈(Xylose)일 것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화합물 7을 문헌(Xing-Cong L., 1999, Magnetic resonance in chemistry, 37: 856 - 859)과 비교하여 3,3'-디-O-메틸엘라그산 4'-O-β-D-자일로피라노사이드(3,3'-di-O-methylellagic acid 4'-O-β-D-xylopyranoside)로 동정하였다.
[실험예 5]
비쭈기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활성 분석
본 발명의 실험예 4에서 동정한 화합물들의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에 대한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활성 및 엘라스타제(Elastase) 저해활성을 상기 실험예 1, 2,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한 모든 화합물 가운데, 카테친(Catechin), 에피카테친(epicatechin), 탁시폴린(Taxifolin), 탁시폴린-3-0-α-아라비노피라노사이드(Taxifolin-3-O-α-arabinopyranoside)(SC50 = 9.50, 9.19, 9.26, 14.28 μg/mL)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대조군인 Vitamin C(SC50 = 7.88 μg/mL)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졌음을 알 수 있었고, 3,3'-디-O-메틸엘라그산(3,3'-di-O-methylellagic acid)도 적당한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나머지 화합물들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실험에서는,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3,3'-디-O-메틸엘라그산 4'-O-β-D-자일로피라노사이드(3,3'-di-O-methylellagic acid 4'-O-β-D-xylopyranoside)(IC50 = 36.33 μg/mL)은 대조군인 Arbutin(IC50 = 67.2 μg/mL) 보다 더 좋은 활성을 보였으며, 베툴린산(Betulinic acid)(IC50 = 146.44 μg/mL)도 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여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지는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실험에서는,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툴린산(Betulinic acid)(IC50 = 17.96 μg/mL)가 대조군인 Oleanolic acid(IC50 = 29.61 μg/mL) 보다 더 좋은 활성을 보였으며, 카테친(Catechin), 에피카테친(epicatechin), 탁시폴린(Taxifolin), 탁시폴린-3-0-β-아라비노피라노사이드(Taxifolin-3-O-β-arabinopyranoside)(IC50 = 241.40, 152.61, 184.47, 233.57 μg/mL)도 어느 정도의 저해활성을 보여 피부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카테친(Catechin), 에피카테친(epicatechin), 탁시폴린(Taxifolin), 탁시폴린-3-0-α-아라비노피라노사이드(Taxifolin-3-O-α-arabinopyranoside), 베툴린산(Betulinic acid), 3,3'-디-O-메틸엘라그산(3,3'-di-O-methylellagic acid) 및 3,3'-디-O-메틸엘라그산 4'-O-β-D-자일로피라노사이드(3,3'-di-O-methylellagic acid 4'-O-β-D-xylopyranoside)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쭈기나무(Cleyera japonic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10.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피부미백 효과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쭈기나무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가용 추출한 용매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추출물은 비쭈기나무의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물에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추출한 용매분획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연고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항산화 효과, 피부미백 효과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00091664A 2010-09-17 2010-09-17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1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64A KR101221711B1 (ko) 2010-09-17 2010-09-17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64A KR101221711B1 (ko) 2010-09-17 2010-09-17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693A KR20120029693A (ko) 2012-03-27
KR101221711B1 true KR101221711B1 (ko) 2013-01-11

Family

ID=4613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664A KR101221711B1 (ko) 2010-09-17 2010-09-17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677B1 (ko) * 2012-07-11 2014-09-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쭈기나무 잎으로부터 분리한 신규 가수분해형 탄닌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221A (ko) * 1998-02-05 1999-09-06 박홍락 항균작용이 있는 차나무과 수종의 추출물 및 제조방법
KR100760875B1 (ko) 2006-06-21 2007-10-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090075481A (ko) * 2008-01-04 2009-07-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221A (ko) * 1998-02-05 1999-09-06 박홍락 항균작용이 있는 차나무과 수종의 추출물 및 제조방법
KR100760875B1 (ko) 2006-06-21 2007-10-0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KR20090075481A (ko) * 2008-01-04 2009-07-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693A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0377B2 (ja) 大山蓮華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61043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83849B1 (ko) 신규한 미백용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69907B1 (ko)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25562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83293A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1711B1 (ko) 비쭈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5245A (ko) 갯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미백 개선용 조성물
KR20130123490A (ko) 다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77708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84897B1 (ko) 고본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활성 화장료 조성물
EP3318246B1 (e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ragana sinica
KR20210129476A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1017B1 (ko) 해조류 및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화, 항산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438389B1 (ko) 포도나무 뿌리 유래의 스틸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68186B1 (ko) 벌노랑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55491B1 (ko) 당조팝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34818B1 (ko)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374474B1 (ko) 꿩의다리아재비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67350B1 (ko) 산양삼 종자 효소 처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049467A (ko)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63230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동아 추출물 제조방법
KR101488880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동아 추출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