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781A - 인쇄 처리 장치, 인쇄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인쇄 처리 장치, 인쇄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781A
KR20120047781A KR1020110108347A KR20110108347A KR20120047781A KR 20120047781 A KR20120047781 A KR 20120047781A KR 1020110108347 A KR1020110108347 A KR 1020110108347A KR 20110108347 A KR20110108347 A KR 20110108347A KR 20120047781 A KR20120047781 A KR 20120047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nformation
unit
mfp
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따까 도꾸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1Improving printing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5Settings incompatibility, e.g. constraints, user requirements vs. device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인쇄 처리 장치의 CPU는, 인쇄 장치에 인쇄 잡을 송신하기 전에, 송신할 인쇄 잡에 지정된 용지 정보가, 인쇄 처리 장치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용지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쇄 처리 장치의 CPU는, 인쇄 잡에 지정된 용지 정보와 유사한 용지 정보를 인쇄 처리 장치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것들 중에서 추출한다. 또한, 인쇄 처리 장치의 CPU는, 추출된 용지 정보에 포함되는 인쇄 장치에 대한 의존 정보(프린터 의존 정보)를 인쇄 잡에 지정된 용지 정보에 카피한다. 그리고, 인쇄 처리 장치의 CPU는, 프린터 의존 정보가 카피된 인쇄 잡에 지정된 용지 정보를, 인쇄 장치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인쇄 잡을 인쇄 장치로 송신한다.

Description

인쇄 처리 장치, 인쇄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PRINT PROCESSING APPARATUS, PRINT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인쇄 처리 장치, 인쇄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POD(Print On Demand) 시장에서는, 고객의 요망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용지가 인쇄 매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최근의 POD 시장에서 마켓팅되는 디지털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MFP))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 용지 종류 외에도, 유저가 용지의 평량, 표면 스무스 정도, 및 형상 등의 상세한 설정을 행할 수 있는 유저 정의 용지 종류를 이용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217562호에 논의된 종래의 방법은, 인쇄에 이용 가능한 용지 종류에 관해서, 인쇄에 이용할 후보의 용지인 용지 종류를 저장하는 제1 저장 유닛과, 실제로 인쇄에 이용할 수 있는 용지 종류를 저장하는 제2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217562호에 논의된 방법의 인쇄 장치는, 제1 저장 유닛에 저장되어 있는 용지 종류를 유저에 통지하는 통지 유닛과, 유저에 의한 조작 유닛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용지 종류를 제2 저장 유닛에 등록하는 등록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POD 시장을 위한 디지털 MFP에는, 제품의 수주로부터 납품까지의 처리를 쉽게 실행하게 할 수 있는 워크 플로우 애플리케이션과 제휴하여 동작할 수 있고, 높은 정밀도로 인쇄를 행할 수 있고, 높은 처리 속도로 화상을 생성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POD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POD 시장의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217562호의 방법은, 디지털 MFP와 고성능의 인쇄 처리 장치를 접속한 시스템에서, 다양한 용지 종류에 대응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하기의 문제가 발생한다.
워크 플로우 애플리케이션과 제휴하여 동작하기 위해, 인쇄 처리 장치는 인쇄 처리 장치가 대응하고 있는 용지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전술한 용지 종류에 관한 정보를 복수의 처리 기능에 의해 공유함으로써 워크 플로우가 형성된다. 그러나, 인쇄 처리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용지 종류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정보는 디지털 MFP에 사용될 수 있는 용지 종류를 저장하는 저장 영역에 저장된 정보와 항상 일치할 수 없다.
인쇄 처리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용지 종류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에 존재하는 용지 종류만이 워크 플로우상에 지정될 수 있지만, 실제로 디지털 MFP로 인쇄를 실행할 경우,지정된 용지 종류가, 디지털 MFP에 사용될 수 있는 용지 종류를 저장하는 저장 영역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인쇄를 실행할 수 없다.
또한, 인쇄 처리 장치로부터의 인쇄 지시에 포함되는 용지 종류가, 디지털 MFP에 사용될 수 있는 용지 종류를 저장하는 저장 영역에 존재하지만, 디지털 MFP의 급지원(즉, 급지 카세트 등의 용지 수납 유닛)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디지털 MFP는 유저에 용지를 설정하도록 요구한다.
인쇄 처리 장치는, 고속으로 화상 생성 처리와 디지털 MFP에의 인쇄 데이터 송신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MFP는, 현재 처리하고 있는 인쇄 지시 이외에 인쇄 처리 장치로부터의 복수의 인쇄 지시를 저장할 수 있는 경우가 자주 있다.
이 경우, 디지털 MFP는, 인쇄 지시의 해석이 개시될 때까지, 그 인쇄 지시에 의해 지정된 급지원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인쇄 처리 장치가 사전에 인식하고 있는 유저에의 용지 요구가 지연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에 의한 급지원에의 용지 보급 조작중, 디지털 MFP의 다운타임(downtime)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체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 장치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용지 종류를 취급하는 인쇄 잡을,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쇄 장치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용지 종류를 취급하는 인쇄 잡을,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입력된 인쇄 잡을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처리된 인쇄 잡을 인쇄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처리 장치이며, 용지에 관한 용지 정보로서 상기 인쇄 장치에 의존하는 의존 정보를 포함하는 용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유닛, 입력된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가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에 대응하는 용지 정보를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복수의 용지 정보 중에서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유닛, 상기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용지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의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를 상기 인쇄 장치에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등록 유닛, 및 상기 등록 유닛에 등록된 용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인쇄 잡을 실행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양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양태를 도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처리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인쇄 장치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MFP 제어 유닛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4 드럼(4D) 컬러계 MFP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MFP의 조작 유닛의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표시되는 스탠바이 모드의 초기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조작 유닛의 LCD에 표시되는 공통 사양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조작 유닛의 LCD에 표시되는 용지 종류의 관리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조작 유닛의 LCD에 표시되는 용지 종류의 상세 설정/편집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용지의 기본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프린터 의존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인쇄 처리 장치에 표시되는 용지 종류의 관리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인쇄 처리 장치의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용지 종류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신규 용지 작성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인쇄 처리 장치와, MFP의 MFP 제어 유닛에 제공되고 용지 종류를 관리하는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인쇄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데이터의 수신으로부터 인쇄 데이터의 인쇄까지의 처리의 예시적인 플로우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기본 용지에 관한 프린터 의존 정보를 유저 설정 용지에 카피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의 흐름도의 단계 S105에서 실행되는, 등록된 용지 종류를 선택하는 처리의 예시적인 플로우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인쇄 처리 장치와, MFP 제어 유닛에 의해 처리되는 인쇄 잡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인쇄 처리 장치와 MFP의 리소스 관리 유닛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용지 종류의 정보의 삭제 처리의 예시적인 플로우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양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처리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은 호스트 컴퓨터(300), 인쇄 처리 장치(400), 및 인쇄 장치(100)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300), 인쇄 처리 장치(400), 및 인쇄 장치(100)는 케이블(411) 또는 케이블(412)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호스트 컴퓨터(300)는 인쇄 데이터의 공급원으로서 기능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쇄 데이터는 인쇄 처리 장치(400)가 해석할 수 있는 페이지 기술 언어(page description language(PDL)) 데이터로서 기재될 경우도 있다.
인쇄 처리 장치(400)는, 호스트 컴퓨터(300)에 의해 입력된 인쇄 잡을 처리하고, 입력된 인쇄 잡을 인쇄 장치(100)에 송신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인쇄 처리 장치(400)에 의한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쇄 처리 장치(400)는 호스트 컴퓨터(300)로부터 케이블(411) 및 외부 I/F(405)를 통해 공급된 인쇄 데이터(PDL 데이터)를, HD 컨트롤러(403)를 통해 내장 하드 디스크(내장 HD)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내장 HD(404)에 저장된 페이지 기술 언어(PDL) 데이터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CPU)) 버스(413)를 통해 PDL 버퍼(407)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인쇄 처리 장치(400)의 CPU(401)는, PDL 버퍼(407)에 저장되어 있는 PDL 데이터를 해석한다. 또한, CPU(401)는 페이지 단위로 PDL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또한, CPU(401)는 프레임 메모리(408)에 데이터를 래스터화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프레임 메모리(408)에 래스터화된 화상 데이터는, CPU(401)의 제어에 의해, 케이블(412)을 통해 인쇄 장치(100)에 전송된다. 그런 다음, 인쇄 데이터는 기록 매체에 인쇄된다. 케이블(411, 412)로서는, 패러렐 케이블,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mall computer systems interface(SCSI)) 케이블, 시리얼 케이블, 또는 네트워크 케이블 등의 범용 케이블, 또는 전용의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인쇄 처리 장치(400)의 CPU(401)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 장치(100)에 송신한다. 또한, CPU(401)는 화상 데이터의 인쇄 제어를 위한 인쇄 제어 정보를 케이블(212)을 통해 인쇄 장치(100)에 송신한다. 인쇄 장치(100)는 인쇄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인쇄 제어 정보는 인쇄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이다. 인쇄 제어 정보는 인쇄물이 배지될 배지 트레이의 지정 및 급지 용지의 지정을 포함한다.
또한,내장 HD(404)는, 전술한 인쇄 데이터 외에도,폰트, 컬러 프로파일, 그리고 감마 테이블 및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공통으로 취급되는 각종 파라미터 테이블을 저장한다.
인쇄 처리 장치(400)는 각종 파라미터 테이블을 내장 HD(404)로부터 필요에 따라 호출할 수 있고, 각종 파라미터 테이블을 거기에 정보를 추가하거나 파라미터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갱신할 수 있다. CPU(401)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ROM))(40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CPU(401)는 인쇄 처리 장치(40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한다.
내장 HD(404)는, 인쇄된 PDL 데이터, 및 PDL 데이터를 래스터화해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내장 HD(404)는 폰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내장 HD(404)는 HD 컨트롤러(403)를 통해 CPU 버스(413)에 접속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RAM))(406)는, 호스트 컴퓨터(300)로부터 수신된 PDL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인 PDL 버퍼(407)를 포함한다. 또한, RAM(406)은 래스터화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408)를 포함한다.
인쇄 장치(100)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생성된 PDL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로서 기능하고,또한 원고를 카피하는 카피기나 스캐너로서 기능한다.
인쇄 처리 장치(400)는 케이블(412)을 통해 인쇄 장치(100)에 관한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인쇄 처리 장치(400)는 취득된 인쇄 장치(100)에 관한 상태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300)에 송신한다. 또한, 인쇄 처리 장치(400)는 인쇄 장치(100)에 관한 상태 정보에 따라 인쇄 장치(100)를 제어한다.
ROM(402)은,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grammable memory), 예를 들면,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EEPROM))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ROM(402)에 호스트 컴퓨터(300)로부터의 제어 프로그램을 인스톨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floppy® 디스크(FD), 컴팩트 디스크-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c-read only memory(CD-ROM)) 등의 메모리 매체 및 그 매체의 컨트롤러(드라이버) 등에 의해 구성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어서, 기록 매체에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인쇄 장치(100)의 예시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인쇄 장치를 MFP로서 인용할 수도 있다. MFP는, 장치 내부에 복수의 잡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등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MFP는 스캐너에 의해 취득된 스캔 데이터를 프린터 유닛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카피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MFP는,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출력된 PDL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 기능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MFP는 복수의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MFP는 풀 컬러 MFP와 흑백 MFP를 포함한다. 풀 컬러 MFP는 컬러 처리 기능 및 내부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흑백 MFP의 기본 구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본 발명에서는, 풀 컬러 MFP를 주로 설명한다. 필요에 따라, 흑백 MFP를 추가로 설명한다.
본 시스템의 구성과 관련하여,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복수의 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MF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은 인쇄 기능만을 구비한 단일 기능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일 기능 화상 형성 장치는 "단일 기능 주변기기(Single Function Peripheral(SFP))"로서 기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임의의 타입의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인쇄 장치(100)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인쇄 장치(100)을 MFP(100)라고 칭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화상 처리 유닛(101)은, 용지 원고 등의 화상을 판독한다. 또한, 입력 화상 처리 유닛(101)은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FAX 전송 유닛(102)은, 팩시밀리 등과 같이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화상을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etwork Interface Card(NIC)) 유닛(103)은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 데이터와 디바이스 정보를 송신한다. 전용 인터페이스(I/F) 유닛(104)은, 외부 장치와 화상 데이터 등의 정보를 교환한다.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 I/F 유닛(105)은 USB 메모리(리무버블 미디어) 등과 같은 USB 디바이스와 화상 데이터 등을 송수한다. MFP 제어 유닛(106)은, MFP의 용도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거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 트래픽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문서 관리 유닛(111)은,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등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유닛(MFP 제어 유닛(106)의 CPU)은, 입력 화상 처리 유닛(101), FAX 전송 유닛(102), NIC 유닛(103), 전용 I/F 유닛(104), USB I/F 유닛(105)을 통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문서 관리 유닛(111)에 저장함에 있어서 주요 역할을 한다.
또한,MFP 제어 유닛(106)은, 문서 관리 유닛(111)으로부터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MFP 제어 유닛(106)은,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유닛(113) 등의 출력 유닛에 전송하고, 프린터 유닛(113)에 의한 인쇄 처리를 제어한다. 또한,MFP 제어 유닛(106)은, 오퍼레이터의 제어 하에, 문서 관리 유닛(111)으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컴퓨터나 다른 화상 형성 장치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한다.
압축/압축해제 유닛(110)은, 화상 데이터를 문서 관리 유닛(111)에 저장할 때, 필요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문서 관리 유닛(111)에 저장한다. 한편,문서 관리 유닛(111)으로부터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때, 압축/압축해제 유닛(110)은 압축된 데이터를 원래의 데이터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로 압축해제한다.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될 때, 데이터는 통상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데이터, JBIG(Joint Bi-level Image Experts Group) 데이터, 또는 ZIP 파일 등의 압축 데이터 형태로 통신된다. 데이터가 MFP에 입력된 후, 압축/압축해제 유닛(110)은 압축된 데이터를 압축해제한다.
리소스 관리 유닛(112)은, 폰트, 컬러 프로파일, 그리고 감마 테이블 및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의 공통으로 취급되는 각종 파라미터 테이블을 저장한다. 리소스 관리 유닛(112)은 저장된 정보 및 테이블을 필요에 따라 호출할 수 있다. 또한, 리소스 관리 유닛(112)은 새로운 파라미터 테이블을 저장, 수정, 또는 갱신할 수 있다.
MFP 제어 유닛(106)은, PDL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PDL 데이터에 RIP 유닛(108)을 이용하여 래스터 화상 처리(Raster Image Processing(RIP))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MFP 제어 유닛(106)은 인쇄할 화상에 대하여 출력 화상 처리 유닛(109)을 이용하여 인쇄를 위한 화상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전술한 처리 동안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의 중간 데이터 및 프린트-레디-데이터(즉, 인쇄를 위한 비트맵 데이터 및 비트맵 데이터를 압축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MFP 제어 유닛(106)의 제어에 의해, 문서 관리 유닛(111)에 다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인쇄를 위해 화상 처리된 데이터는,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유닛(113)에 전송된다.
프린터 유닛(113)에 의해 인쇄된 화상을 갖는 용지는 후처리 유닛(114)에 반송된다. 후처리 유닛(114)은 용지의 소팅(sorting) 처리 및 용지 피니싱 처리를 실행한다.
특히, MFP 제어 유닛(106)은, 원활하게 잡을 실행시키는 기능을 한다. 더 구체적으로, MFP 제어 유닛(106)은 MFP의 사용에 따라, 하기와 같이 경로를 변경한다. 중간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저장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문서 관리 유닛(111)이 시점 유닛 또는 종점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액세스 이외의 액세스는 기술하지 않는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압축/압축해제 유닛(110)과 후처리 유닛(114), 또는 전체 MFP의 동작을 실행하는 코어 유닛이 되는 MFP 제어 유닛(106) 등에 의한 처리를 생략하고,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처리의 플로우를 이해하기 쉽게 간단히 설명한다.
카피 기능: 입력 화상 처리 유닛 → 출력 화상 처리 유닛 → 프린터 유닛
FAX 송신 기능: 입력 화상 처리 유닛 → FAX 유닛
FAX 수신 기능: FAX 유닛 → 출력 화상 처리 유닛 → 프린터 유닛
네트워크 스캔: 입력 화상 처리 유닛 → NIC 유닛
네트워크 인쇄: NIC 유닛 → RIP 유닛 → 출력 화상 처리 유닛 → 프린터 유닛
외부 장치에의 스캔: 입력 화상 처리 유닛 → 전용 I/F 유닛
외부 장치로부터의 인쇄: 전용 I/F 유닛 → 출력 화상 처리 유닛 → 프린터 유닛
외부 메모리에의 스캔: 입력 화상 처리 유닛 → USB I/F 유닛
외부 메모리로부터의 인쇄: USB I/F 유닛 → RIP 유닛 → 출력 화상 처리 유닛 → 프린터 유닛
박스 스캔 기능: 입력 화상 처리 유닛 → 출력 화상 처리 유닛 → 문서 관리 유닛
박스 프린트 기능: 문서 관리 유닛 → 프린터 유닛
박스 수신 기능: NIC 유닛 → RIP 유닛 → 출력 화상 처리 유닛 → 문서 관리 유닛
박스 송신 기능: 문서 관리 유닛 → NIC 유닛
프리뷰 기능: 문서 관리 유닛 → 조작 유닛
전술한 기능 외에도, 이메일 서비스나 웹서버 기능 등의 다양한 다른 기능들과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다양한 다른 기능들과의 조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박스 스캔 기능, 박스 프린트 기능, 박스 수신 기능, 또는 박스 송신 기능은, 문서 관리 유닛(111)을 이용한 데이터의 기입 또는 판독을 수반하는 MFP의 처리 기능이다. MFP 제어 유닛(106)은, 문서 관리 유닛(111) 내의 메모리를 잡 마다의 또는 유저 마다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들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보존하고, 유저 ID와 패스워드의 조합에 따라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조작 유닛(107)을 통해, 유저는 상기의 다양한 플로우나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조작 유닛(107) 내에 포함된 표시 장치의 고해상도화에 수반하여,문서 관리 유닛(111)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조작 유닛(107)을 통해 프리뷰할 수 있고, 사용자가 데이터를 적절한 것으로서 확인하면, 그는 조작 유닛(107)을 통해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조작 유닛(107)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는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LCD에 부착된다. 조작 유닛(107)은 유저 설정 및 유저 조작에 따라 LCD에 다양한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가 LCD에 표시되는 키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공된 투명 전극을 그의 손가락으로 접촉하면, MFP(100)는 그 부분이 유저의 손가락으로 검지된 것을 검출하고, 다른 조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처리는 미리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MFP 제어 유닛(106)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MFP 제어 유닛(106)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MFP 제어 유닛(106)은 기본적으로 4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MFP 제어 유닛(106)은 입력 디바이스 관리 유닛(201), 입력 잡 제어 유닛(202), 출력 잡 제어 유닛(203), 및 출력 디바이스 관리 유닛(204)을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 관리 유닛(201)은 입력 디바이스를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잡 제어 유닛(202)은 입력된 잡을 해석하도록 구성된다. 출력 잡 제어 유닛(203)은 잡의 설정 정보를 처리하고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출력 디바이스 관리 유닛(204)은 출력 디바이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디바이스 관리 유닛(201)은, MFP의 입력 유닛들로부터의 입력 신호 트래픽을 처리하고 제어한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 관리 유닛(201)은 다른 입력 디바이스의 절환 순서를 결정한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 관리 유닛(201)은 입력 디바이스 제어 유닛(201a)을 포함하고, 입력 디바이스 제어 유닛은 도 2에 도시된 입력 디바이스(101 내지 105)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입력 디바이스에 대한 각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입력 신호는, 스캔에 의해 얻은 스캔 화상 신호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PDL 데이터 등과 같은, MFP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이다. 또한,입력 신호는, 문서 관리 유닛(111)에 저장되었던 화상 데이터를 재인쇄하기 위한 신호와, RIP 유닛(108), 및 출력 화상 처리 유닛(109)과의 제휴를 위한 신호 등과 같은, MFP 내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포함한다.
입력 잡 제어 유닛(202)은 프로토콜 해석 유닛(202a)과 잡 생성 유닛(202b)을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 관리 유닛(201)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일련의 조작 실행 요구는 지시 신호(명령 또는 프로토콜)이다. 프로토콜 해석 유닛(202a)은 조작 요구의 개요를 해석하고, 프로토콜을 MFP 내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조작 지시로 변환한다.
한편,잡 생성 유닛(202b)은 인쇄 잡, 스캔 잡, PDL 래스터화 잡, 또는 FAX 수신 잡 등과 같은 각종 타입의 잡을 생성한다. 생성된 잡에 있어서, MFP 내부에서 잡이 받는 처리, 및 처리된 잡이 보내지는 데스티네이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나리오 파일이 정의된다. 잡은 시나리오 파일에 의해 정의된 플로우에 따라 MFP 내부에서 처리된다.
출력 잡 제어 유닛(203)은 잡 해석 유닛(203a), 바인더 해석 유닛(203b), 문서 해석 유닛(203c), 및 페이지 해석 유닛(203d)를 포함한다. 출력 잡 제어 유닛(203)은 잡 설정 정보(일반적으로 "잡 티켓"이라고 칭해짐)와 잡에 대한 화상 정보를 작성하도록 구성된다.
잡 해석 유닛(203a)은 인쇄하는 문서의 명칭, 인쇄 부수, 출력처인 배지 트레이 지정, 및 잡에 포함된 복수의 바인더의 순서 등과 같은 잡 전체에 관한 설정 정보의 상세를 해석한다. 바인더 해석 유닛(203b)은, 제본 방식의 설정이나 스테이플의 위치(들), 및 복수 문서로 구성되는 바인더의 문서 순서 등과 같은, 바인더 전체에 관한 설정 정보의 상세를 해석한다.
문서 해석 유닛(203c)은 복수 페이지를 포함하는 문서의 페이지순, 양면 인쇄의 지정, 표지나 합지의 부가 또는 삽입 등과 같은, 문서 전체에 관한 설정 정보의 상세를 해석한다. 페이지 해석 유닛(204d)은 화상의 해상도 또는 화상의 방향(랜드스케이프 또는 포트레이트) 등과 같은, 각종 타입의 설정 페이지 전체에 관한 설정 정보를 해석한다. 또한, PDL 데이터가 입력되면, 페이지 해석 유닛(204d)은 RIP 유닛(108)을 호출해서 RIP 유닛(108)을 이용하여 데이터에 대해 래스터화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정보를 생성할 때, RIP 유닛(108)에 의해 실행되는 래스터화에 의해 페이지 화상 정보가 생성된다. 페이지 화상 정보는, 압축/압축해제 유닛(110)에 의해 압축된 후, 문서 관리 유닛(111)에 설정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된다.
출력 디바이스 관리 유닛(204)은 디바이스 할당 유닛(204a)과 출력 디바이스 제어 유닛(204b)으로 구성된다. 문서 관리 유닛(111)에 저장된 화상 정보는 압축/압축해제 유닛(110)에 의해 압축해제된다. 또한, 화상 정보는 화상 정보와 연관된 설정 정보와 함께 판독된다. 또한, 설정 정보와 화상 정보는 정보 쌍으로서 출력 디바이스 관리 유닛(204)에 송신된다.
정의된 각 잡의 시나리오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를 할당할 때, 복수의 잡을 동시에 처리하면 디바이스 경합이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 할당 유닛(204a)은 디바이스 경합을 조정한다. 출력 디바이스 제어 유닛(204b)은 이용할 디바이스(프린터 유닛(113) 및 후처리 유닛(114))를 스케줄링한다.
이하, 프린터 유닛(113)의 예인 4D 컬러계 MFP(4001)의 구성 예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4D 컬러계 MFP의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D 컬러계 MFP(4001)은 스캐너 유닛(4002), 레이저 노광 유닛(4003), 감광 드럼(4004), 화상 형성 유닛(4005), 정착 유닛(4006), 급지/반송 유닛(4007), 및 4D 컬러계 MFP(4001)에 포함되어 있는 전술한 유닛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린터 제어 유닛(4008)을 포함한다.
스캐너 유닛(4002)은, 원고대에 놓인 원고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원고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한다. 스캐너 유닛(4002)은 판독된 문서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해서 화상 데이터를 형성한다.
레이저 노광 유닛(4003)은, 상기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빔 등의 광선을 등각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 다면경에 입사시키고, 반사되는 주사 광으로 감광 드럼(4004)을 조사한다
화상 형성 유닛(4005)은 감광 드럼(4004)을 회전 구동한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4005)은 대전기를 이용하여 감광 드럼(4004)을 대전시킨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4005)은 레이저 노광 유닛(4003)에 의해 감광 드럼(4004) 상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로 현상한다.
화상 형성 유닛(4005)은 토너 상을 용지에 전사한다. 또한, 화상 형성 유닛(4005)은 용지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4004)에 남은 소량의 토너를 회수한다. 일련의 프로세스가 4개의 현상 유닛(현상 스테이션)에 의해 실현된다.
4개의 현상 유닛은 시안(C) 현상 유닛, 마젠타(M) 현상 유닛, 옐로우(Y) 현상 유닛, 및 블랙(K) 현상 유닛의 순서로 배열된다. 시안 스테이션에 의한 화상 형성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M, Y, 및 K의 화상 형성 동작을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전술한 타이밍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용지 상에 컬러 미스레지스트레이션 없이 풀 컬러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정착 유닛(4006)은 롤러 및 벨트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정착 유닛(4006)은 할로겐 히터 등의 열원을 포함한다. 정착 유닛(4006)은 화상 형성 유닛에 의해 토너 상이 전사된 용지의 토너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를 열적 용해 및 정착시킨다.
급지/반송 유닛(4007)은, 용지 카세트나 페이퍼 데크 등과 같은 용지 수납 유닛을 적어도 1개 포함한다. 용지 수납 유닛은 용지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용지 수납 유닛이며, 용지의 급지원이다. 급지/반송 유닛(4007)은, 프린터 제어 유닛(4008)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용지 수납 유닛에 수납된 복수의 용지 중에서 1매를 분리한다. 급지/반송 유닛(4007)은 분리된 용지를 화상 형성 유닛 및 정착 유닛에 반송한다.
급지/반송 유닛(4007)은 용지를 반송하고, 전술한 4 컬러의 현상 스테이션에서 4 컬러의 토너 상을 전사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풀 컬러 토너 화상이 용지에 형성된다. 또한,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급지/반송 유닛(4007)은 정착 유닛을 통과한 용지를 다시 화상 형성 유닛에 반송하는 반송 경로를 통과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프린터 제어 유닛(4008)은 MFP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MFP 제어 유닛(106)과 통신하여, 인쇄를 제어한다. 또한, 프린터 제어 유닛(4008)은 전술한 스캐너, 레이저 노광 유닛, 화상 형성 유닛, 정착 유닛, 및 급지/반송 유닛의 상태를 관리하면서, 전체 동작이 적절히 조화되어 원활하게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정착 유닛(4006)으로부터 나온 후, 용지는 용지 반송 경로 상에 제공된 화상 판독 센서 유닛에 반송된다. 화상 판독 센서 유닛은 인쇄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출력 화상의 농도를 측정하고 출력 화상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검사에 사용된다.
이하, MFP(100)의 조작 유닛(107)의 LCD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MFP(100)의 조작 유닛(107)의 LCD에 표시되는 스탠바이 모드에서의 초기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카피 탭(8001)은 카피 동작의 조작 화면으로 천이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는 탭 키이다. 송신 탭(8002)은 FAX 송신 동작이나 이메일 송신 동작 등의 송신 동작을 지시하기 위해 조작될 수 있는 탭 키이다.
박스 탭(8003)은, 잡을 저장하는 영역인 박스에 잡을 입출력 하기 위한 화면으로 천이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는 탭 키이다. 옵션 탭(8004)은, 용지 설정 정보 및 스캐너 설정 등의 확장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조작될 수 있는 탭 키이다. 시스템 감시 키(8005)는, MFP의 상태 및 MFP에 관한 동작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키이다.
컬러 선택 설정 키(8006)는, "컬러 카피", "흑백 카피", 및 "자동 선택" 등의 컬러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다. 카피 배율 설정 키(8007)는, "등배", "확대", 및 "축소" 등의 배율 설정을 행하는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이다.
후처리 설정 키(8008)는, 스테이플링 및 펀칭을 실행할지 여부, 스테이플링 및 펀칭할 홀의 개수, 및 스테이플링 및 펀칭의 위치(들) 등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이다. 양면 설정 키(8009)는, 한면 인쇄와 양면 인쇄 중에서 선택하는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이다.
용지 사이즈 설정 키(8010)는 급지단, 용지 사이즈, 및 미디어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한 키이다. 화상 모드 설정 키(8011)는, 텍스트 모드와 사진 모드 등의 원고 화상에 적당한 화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다.
농도 설정 키(8012)는, 출력 화상의 농도를 조정(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한 키이다. 상태 표시 필드(8013)는 "스탠바이..", "웜 업중..", "잼 검출", 또는 "에러 검출" 등의 간단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필드이다.
배율 표시 필드(8014)는 유저가 배율 설정 키를 조작함으로써 설정된 배율을 표시한다. 용지 사이즈 표시 필드(8015)는, 용지 사이즈 설정 키에 의해 설정된 용지 사이즈 및 용지 사이즈 선택 모드를 표시한다. 인쇄 매수 표시 필드(8016)는, 숫자 키를 조작하여 지정된 인쇄 매수를 표시하고, 인쇄 중에 현재 인쇄되는 페이지 번호를 표시한다.
인터럽션 키(8017)는, 현재 카피 동작이 다른 잡에 의해 인터럽트되는 경우에 조작될 수 있다. 응용 모드 키(8018)는, 페이지 연속 카피, 표지/합지 설정, 축소 레이아웃, 및 화상 이동 처리 등의 다양한 화상 처리에 대한 설정과 레이아웃의 설정을 행하는 화면으로 천이시키기 위해 조작될 수 있다.
공통 사양 설정 키(8019)를 누름(터치)에 의해, 조작 유닛(107)의 LCD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 6에 도시된 공통 사양 설정 화면으로 천이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공통 사양 설정 키(소프트 키)(8019) 대신에, 조작 유닛(107) 상에 하드 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공통 사양 설정 화면(8019)으로 천이하기 전에, 복수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MFP(100)에 등록되어 있는 용지 종류를 표시하는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조작 유닛(107)의 LCD에 표시되는 공통 사양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공통 사양 설정 화면을 통해, 유저가 용지 종류 등록 키(601)을 선택하면(즉, 유저가 용지 종류 등록 키(601) 상의 공통 사양 설정 화면을 터치하면),조작 유닛(107)의 LCD에 표시된 화면이, 도 7에 도시된 용지 종류 관리 설정 화면으로 천이된다.
조작 유닛(107)의 LCD는, 도 7에 도시된 용지 종류의 관리 설정 화면에, MFP(100)(즉, 리소스 관리 유닛(112) 내에 포함된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용지 종류 정보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도 7은 조작 유닛(107)의 LCD에 표시되는 용지 종류 관리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용지 종류 관리 설정 화면을 통해, 유저가 카피 버튼(702)을 선택하면(즉, 유저가 카피 버튼(702) 상의 용지 종류 관리 설정 화면을 터치하면), 유저는 조작 유닛(107)의 LCD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표준 용지 종류 리스트(700)에 리스트된 것들 중 현재 선택된 용지 종류를 용지 종류의 별명으로 등록할 수 있다.
삭제 버튼(703)을 선택(그 버튼 상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조작 유닛(107)의 LCD를 통해, 표준 용지 종류 리스트(700)에 포함된 것들 중 현재 선택된, 등록된 용지 종류를 삭제할 수 있다. 유저가 상세 설정/편집 버튼(701)을 선택(그 버튼 상의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조작 유닛(107)의 LCD상의 표시는, 도 8에 도시된 용지 종류 상세 설정/편집 화면으로 천이되어, 표준 용지 종류 리스트(700)에 포함된 것들 중 현재 선택된 용지 종류에 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용지 종류 상세 설정/편집 화면은, 카피 버튼(702)이 선택될 때에도 표시된다. 용지 종류 상세 설정/편집 화면에 대해 상세히 후술한다.
도 8은 조작 유닛(107)의 LCD에 표시되는 상세 설정/편집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용지 종류 상세 설정/편집 화면은 용지 종류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용지 종류의 상세 정보는 용지의 평량, 표면 스무스 정도, 특징(형상), 컬 보정량, 및 용지의 용지 분리 팬으로부터의 풍량 조정 등의 용지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유저는, 도 8의 우측 부분에 도시된 변경 버튼(801)을 선택함으로써, 각 등록 내용(설정 내용)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평량이란, 용지의 단위 면적당 질량을 가리킨다. 용지 종류란, 도 9에 도시된 용지의 기본 정보와 도 10에 도시된 프린터 의존 정보로 구성된다.
도 9는 용지의 기본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프린터 의존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기본 정보는, 특징(형상)(901), 표면 특성(902), 및 평량(903)의 3개의 요소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린터 의존 정보는, 컬 보정량 및 용지 분리 팬으로부터의 풍량 조정 등의 각종 조정 값들을 포함한다. 프린터 의존 정보의 조정 값은 동일한 기본 정보를 갖는 용지라도 MFP 마다 다를 수 있다.
용지 종류의 분류로서는, 각 MFP에 의해 표준으로서 지원되는 기본 용지와, 이미 등록되어 있는 용지에 관한 정보를 카피함으로써 유저에 의해 작성될 수 있는 유저 설정 용지를 포함하는, 2종류의 용지가 사용된다. 유저 설정 용지의 작성 방법으로서는, 기본 용지에 관한 정보를 카피한 후에 각 항목을 편집하는 방법과, 다른 유저 설정 용지에 관한 정보를 카피한 후 각 항목을 변경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유저 설정 용지의 작성의 예시적인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유저는, 표준 용지 종류 리스트(700)(도 7)에 포함된 것 중에서 기준으로 되는 기본 용지를 선택한다. 이어서, 카피 버튼(702)을 선택하여, 유저는 새롭게 등록할 용지 명칭(예를 들면, "custom-new-1")을 입력한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화면이 표시된다.
유저는, 도 8에 도시된 표시 화면을 통해, 용지의 명칭, 평량, 표면 스무스 정도, 및 특징(형상) 등, 용지의 상세한 파라미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원하는 설정을 행하고, 닫기 버튼(802)을 선택함으로써, 유저는 신규로 유저 설정 용지를, 리소스 관리 유닛(112) 내에 포함된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한 유저 설정 용지에는, 도 9에 도시된 기본 정보와 도 10에 도시된 프린터 의존 정보가 기입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정보는, MFP의 조작 유닛(107)에 표시되고, MFP의 리소스 관리 유닛(112)에 저장되는 정보이다.
한편,인쇄 처리 장치(400)도, 인쇄 처리 장치(400)(즉, 내장 HD(404) 내에 저장된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용지 종류를 표시, 편집, 카피, 및 삭제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처리 장치(400)는 다른 인쇄 처리 장치들(도시 생략)과의 사이에서, 용지 종류를 공유하기 위해서 용지 종류를 임포트 및 엑스포트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인쇄 처리 장치(400)에 저장된 용지 종류를 표시, 삭제, 카피, 편집, 및 다른 인쇄 처리 장치와 용지 종류를 공유하기 위한 임포트 및 엑스포트하는 기능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인쇄 처리 장치(400)에 표시된 용지 종류 관리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인쇄 처리 장치(400)는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hypertext transport protocol(HTTP)) 서버의 기능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화면은, HTTP 서버에 호스트 컴퓨터(300)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액세스하는 것에 의해, 웹 브라우저 상에 표시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화면은, 호스트 컴퓨터(300)의 표시 유닛에 표시된다.
유저가 삭제 버튼(1101)을 선택함으로써, 리스트(1100)에 포함된 것들 중 현재 선택된 용지 종류를 인쇄 처리 장치(400)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카피 버튼(1102)을 선택함으로써, 현재 선택된 용지 종류를 별명으로 인쇄 처리 장치(400)에 등록할 수 있다.
용지의 편집 버튼(1103)을 선택함으로써, 현재 선택된 용지의 평량, 표면 스무스 정도, 특징(형상), 컬 보정량, 및 용지의 용지 분리 팬으로부터의 풍량 조정 등의 용지 속성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엑스포트 버튼(1105)을 조작함으로써, 인쇄 처리 장치(400)에 현재 등록되어 있는 모든 용지 종류를 아카이브할 수 있다. 이 아카이브된 용지 종류는, 다른 인쇄 처리 장치에 엑스포트될 수 있다.
임포트 버튼(1104)을 조작함으로써, 아카이브된 다른 인쇄 처리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용지 종류를 현재 등록된 용지 종류에 추가할 수 있다.
이하,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인쇄 처리 장치(400)에 인스톨된 일반적인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인쇄 잡에 대하여 신규로 용지 종류를 설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인쇄 처리 장치(400)의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표시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화면은, 인쇄 처리 장치(400)의 프린터 드라이버가 인스톨된 호스트 컴퓨터(300)의 표시 유닛에 표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저는 호스트 컴퓨터(300)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조작함으로써, 용지 지정 방법으로서, "용지 종류에 의한 지정"(1201)을 지정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300)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유저는 "설정" 버튼(1202)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3에 도시된 용지 종류 설정 화면이 호스트 컴퓨터(300)의 표시 유닛에 표시된다.
도 13은 용지 종류 설정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용지 종류 설정 화면을 통해, 유저는 전술한 기본 용지 및 유저 설정 용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신규 용지 종류 작성" 버튼(1300)을 선택하면, 도 14에 도시된 신규 용지 종류 작성 화면이 호스트 컴퓨터(300)의 표시 유닛에 표시된다.
도 14는 신규 용지 작성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유저는 신규로 작성될 용지 종류의 명칭(1401), 표면 특성(1402), 특징(형상)(1403), 및 평량(1404)을 입력하고, OK 버튼(1405)을 누름으로써, 신규 용지의 종류를 작성할 수 있다. 신규로 작성된 용지 종류에 관한 정보는, 프린터 드라이버의 설정 정보로서, 호스트 컴퓨터(300)의 외부 저장 장치,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에 저장된다.
유저가 호스트 컴퓨터(300)에서 잡의 실행을 위한 지시를 입력하면,호스트 컴퓨터(300)의 CPU는, 신규로 작성된 용지 종류를 인쇄 잡에 부가한 후, 프린터 드라이버로부터 인쇄 처리 장치(400)에 인쇄 잡을 송신한다. 인쇄 처리 장치(400)는, 인쇄 잡에 부가된 신규로 작성된 용지 종류에 관한 정보를 내장 HD(404)에 저장된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도 15는 인쇄 처리 장치(400) 및 MFP(100)의 MFP 제어 유닛(106)에 저장되고 용지 종류를 관리하는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인쇄 처리 장치(400)는, 인쇄 처리 장치(400)의 내장 HD(404)에 저장되어 있는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제1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를 포함한다. 또한, MFP 제어 유닛(106)은, MFP(100)의 리소스 관리 유닛(112)에 저장되어 있는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제2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쌍방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인쇄 처리 장치(4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와 MFP 제어 유닛(106)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는 동일한 항목을 갖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시스템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그 모든 항목들이 반드시 동일하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들(1501, 1502)은 서로 동조되어야 한다. 그러나,전술한 인쇄 처리 장치(400)에 인쇄 잡을 송신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유저가 인쇄 잡에 대하여 신규로 용지 종류를 설정할 경우와 같이, 쌍방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 1502)는, 반드시 동조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모든 MFP(100)가 항상 조작 유닛(107)을 한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쌍방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 1502)에 있어서, 프린터 의존 정보(1501a, 1502a)는, MFP(100)의 프린터 유닛(113)을 이용하여 실제로 인쇄를 행하기 위해 제어상 항상 필요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프린터 의존 정보에 포함되는 컬 보정량에 대해 적절한 값이 설정되지 않으면, 용지가 MFP(100)의 정착 유닛을 통과한 후에 용지에 굴곡이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후처리 장치(도시 생략)에 있어서 용지 잼이 발생할 수 있다.
후처리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출력된 용지의 컬이 강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경우에 출력된 출력물의 품질은 충분히 높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린터 의존 정보에 포함되는 용지 분리 팬의 풍량 조정에 대해 적절한 값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에어-어시스트 기구를 채택하는 급지 유닛에 있어서, 용지의 겹침 이송이나 급지 잼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프린터 의존 정보에 포함되는 적절한 값을 설정하고, 적절한 값을 포함하는 프린터 의존 정보를 프린터 유닛(113)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인쇄 처리 장치(400)가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용지 종류를 포함하는 인쇄 잡을 수신하고, 인쇄를 정상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인쇄 처리 장치(400)가 실행하는, 인쇄 데이터 수신으로부터 인쇄 데이터 인쇄까지의 처리의 예시적인 플로우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의 흐름도의 처리는, 인쇄 처리 장치(400)의 CPU(401)가, ROM(402) 또는 내장 HD(404)로부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단계 S101에서, 인쇄 처리 장치(400)의 CPU(401)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30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처리는 단계 S102로 진행한다. 단계 S102에서, CPU(401)는, 단계 S101에서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여,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에 관한 인쇄 속성 정보를 생성한다.
인쇄 속성 정보는 급지원, 용지 종류, 용지 사이즈, 컬러 모드의 설정(컬러/흑백), 배지처, 스테이플링이나 펀칭 등의 후처리 옵션에 관한 정보이다. 또한,CPU(401)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1 페이지부터 순차 해석한다.
단계 S103에서, CPU(401)는, 단계 S102에서 해석된 인쇄 데이터를 래스터화해서 인쇄 잡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104에서, CPU(401)는, 단계 S102에서 해석된 인쇄 잡에 기초하여 작성된 용지 종류가, 신규의 용지 종류인지 여부(또는 단계 S102에서 해석된 인쇄 잡에 기초하여 작성된 용지 종류가, 인쇄 처리 장치(400)에 저장되어 있는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제1 판정 처리).
인쇄 잡에 기초하여 작성된 용지 종류가 신규한 용지 종류라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104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단계 S105에서, CPU(401)는, 이미 등록되어 있는 용지 종류 중에서 용지의 평량 및 표면 스무스 정도 등에 기초하여 가장 유사한 용지 종류를 선택(즉, 유사한 용지 종류를 검색)한다. 단계 S105의 처리(등록된 용지 종류 선택 처리)에 대해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106에 있어서, CPU(401)는, 단계 S105에서 선택된 용지 종류에 관한 프린터 의존 정보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성된 용지 종류에 관한 프린터 의존 정보에 카피한다.
도 17은, 기본 용지에 관한 프린터 의존 정보를 유저 설정 용지에 카피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기본 용지에 관한 프린터 의존 정보를 유저 설정 용지에 카피함으로써, 기본 정보와 프린터 의존 정보 쌍방을 포함하는 신규로 설정된 용지 종류에 관한 정보가 준비될 수 있다.
단계 S107에서,CPU(401)는, 단계 S106에서 프린터 의존 정보가 카피된 용지 종류의 정보를 MFP(100)에 송신하고, 송신되어온 정보를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등록하도록 MFP(100)에 지시한다. 그런 다음, 처리는 단계 S108로 진행한다.
MFP(100)는 지시된 대로, 인쇄 처리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용지 종류의 정보를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등록한다. 전술한 방식으로,신규의 용지 종류가, 쌍방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인쇄 처리 장치(4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와 MFP 제어 유닛(106)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등록된다.
단계 S107에서, CPU(401)는, 단계 S106에서 프린터 의존 정보가 카피된 용지 종류 정보를 인쇄 처리 장치(4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에 등록하는 처리도 행한다.
한편,작성된 용지 종류가 기존의 용지 종류(작성된 용지 종류가 신규하지 않다)라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1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8로 진행한다. 단계 S108에서, CPU(401)는, 단계 S103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단계 S102에서 생성된 인쇄 속성 정보를 MFP(100)에 송신하기 전에, MFP(100)로부터 MFP(100)의 잡 처리 상태를 취득한다.
MFP(100)의 잡 처리 상태는, MFP(100)에 의해 현재 인쇄중이거나, 또는 현재 인쇄 대기중인 인쇄 잡에 관한 정보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MFP(100)의 잡 처리 상태는 도 19에 도시된 MFP 제어 유닛의 인쇄 잡 상태에 대응한다
더 구체적으로, 단계 S108에서, 인쇄 처리 장치(400)의 CPU(401)는 MFP(100)에 잡 처리 상태의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그리고, MFP(100)는, 인쇄 처리 장치(4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MFP(100)의 잡 처리 상태를 인쇄 처리 장치(400)에 송신(즉, 인쇄 처리 장치(400)에 통지)한다.
단계 S109에서, CPU(401)는, 단계 S108에서 취득된 잡 처리 상태에 따라, MFP(100)에 송신된 인쇄 대기중인 임의의 인쇄 잡, 또는 현재 인쇄중인 임의의 인쇄 잡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CPU(401)는 MFP(100)에 인쇄 대기중인 임의의 인쇄 잡이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MFP(100)에서 현재 임의의 인쇄 잡이 인쇄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MFP(100)에 현재 인쇄 대기중인 임의의 인쇄 잡이 존재하거나, 또는 현재 인쇄중인 임의의 인쇄 잡이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109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0로 진행한다. 단계 S110에서, CPU(401)는 단계 S108에서 취득된 MFP의 잡 상태에 따라, MFP(10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잡에 관한 급지원 정보를 확인한다.
단계 S111에서, CPU(401)는, 송신할 인쇄 잡의 급지원인 용지 수납 유닛(예를 들면, 급지 카세트)이 현재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단계 S111의 판정에서, MFP(100)에서 현재 인쇄중인 인쇄 잡 또는 현재 인쇄 대기중인 인쇄 잡 중에서,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에 지정된 용지 수납 유닛과 동일한, 급지원으로서 지정된, MFP(100)의 용지 수납 유닛을 갖는 인쇄 잡이 존재할 경우, 사용 가능한 급지원이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단계 S111에서, 아니오).
한편,단계 S111의 판정에 있어서, MFP(100)에 현재 인쇄중인 인쇄 잡 또는 현재 인쇄 대기중인 인쇄 잡 중에서,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에 지정된 용지 수납 유닛과 동일한, 급지원으로 지정된, MFP(100)의 용지 수납 유닛을 갖는 인쇄 잡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현재 사용 가능한 급지원이 존재한다고 판정한다(단계 S111에서, 예).
사용 가능한 급지원이 존재할 경우, 그리고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에 지정된 급지원이 되는, MFP(100)의 용지 수납 유닛에 용지가 존재할 경우, 용지가 교환될 수 있다. 한편, MFP(100)의 용지 수납 유닛에 용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 용지 보충 요구가 입력될 수 있다.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에 지정된 급지원이 사용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단계 S11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08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에 지정된 급지원이 사용 가능하게 될 때까지, CPU(401)는 단계 S108 내지 S111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에 지정된 급지원이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11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2로 진행한다. 또한,MFP(100)에 송신된 인쇄 대기 중인 인쇄 잡, 또는 현재 인쇄중인 인쇄 잡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1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12로 진행한다.
즉, 전술한 단계 S109 내지 S111에서, CPU(401)는, MFP(100)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따라, MFP(100)에 현재 인쇄중 또는 현재 인쇄 대기중인 인쇄 잡 중에서,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에 지정된 MFP(100)의 용지 수납 유닛과 동일한, 인쇄 잡의 급지원으로 지정된, MFP(100)의 용지 수납 유닛을 갖는 임의의 인쇄 잡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제2 판정 처리).
MFP(100)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따라, MFP(100)에 현재 인쇄중 또는 현재 인쇄 대기중인 인쇄 잡 중에서,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에 지정된 MFP(100)의 용지 수납 유닛과 동일한, 인쇄 잡의 급지원으로 지정된, MFP(100)의 용지 수납 유닛을 갖는 인쇄 잡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109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112로 진행한다.
단계 S112에서, CPU(401)는, 유저에 용지 세팅을 요구한다. 더 구체적으로, 단계 S112에서, CPU(401)는, MFP(100)에 송신되는 인쇄 잡에 포함된 급지 정보에 의해 지정된 용지 수납 유닛에, 인쇄 잡에 지정된 용지 종류의 용지를 세팅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메시지를 MFP(100)에 송신하고, MFP(100)에 이 송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면, "카세트 2"에 A4 사이즈의 "custom-new-5"을 세팅해 주십시요." 등의 메시지를 MFP(100)에 송신하고, MFP(100)에 전술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MFP(100)는, 전술한 메시지를 조작 유닛(107)의 LCD에 표시한다.
대안적으로,전술한 메시지를 인쇄 잡의 송신원인 호스트 컴퓨터(300)에 송신하고, 호스트 컴퓨터(300)에 이것을 표시하도록 지시하여, 호스트 컴퓨터(300)는 이 메시지를 그의 표시 유닛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대안적으로, 전술한 메시지를 MFP(100)와 호스트 컴퓨터(300) 쌍방에 송신할 수 있어서, 쌍방의 장치들의 표시 유닛에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12에서 유저에게 용지 세팅 요구를 행한 후, 처리는 단계 S1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13에서, CPU(401)는, MFP(100)에 조회하여, 요구한 용지를 유저가 급지원(용지 수납 유닛)에 세팅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제3 판정 처리).
예를 들면, CPU(401)는, 단계 S112에서 용지 세팅 요구가 주어진 후에, 지정된 용지 수납 유닛이 개폐되고, 또한, 용지 수납 유닛에 현재 용지가 수납되어 있는 것을 MFP(100)가 검지했는지에 관해 조회한다. MFP(100)는, 용지 수납 유닛이 개폐되고, 또한, 용지 수납 유닛에 용지가 세팅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면,전술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인쇄 처리 장치(400)에 통지한다.
CPU(401)는, 통지를 받으면,요구된 용지를 유저가 급지원에 세팅했다고 판정한다. CPU(401)는, 요구된 용지를 유저가 급지원에 세팅했다고 판정될 때까지, 단계 S113의 처리를 반복한다.
요구된 용지를 유저가 급지원에 세팅했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11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114로 진행한다. 단계 S114에서, CPU(401)는,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의 인쇄 속성 정보에 포함된 급지원 정보와 용지 종류 정보를 MFP(100)에 송신(MFP(100)에 통지)한다.
단계 S115에서, CPU(401)는, MFP(100)에 송신할 인쇄 잡에 포함된 나머지 인쇄 속성 정보와 인쇄 잡에 포함된 화상 데이터를 MFP(100)에 송신한다. MFP(100)에 송신된 화상 데이터는 MFP(100)에 의해 인쇄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인쇄 처리 장치(400)가 호스트 컴퓨터(30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부터, MFP(100)가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기까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 도 1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6의 흐름도의 단계 S105에서 실행되는, 등록된 용지 종류 선택 처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등록된 용지 종류를 선택하는 처리는 인쇄 처리 장치(4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것 중에서 등록된 용지 종류를 선택하는 처리이다.
도 18은 도 16의 흐름도의 단계 S105에서 실행되는, 등록된 용지 종류 선택 처리의 예시적인 플로우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의 흐름도의 처리는, 인쇄 처리 장치(400)의 CPU(401)가, ROM(402) 또는 내장 HD(404)로부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8의 흐름도의 처리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해서 실행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일부의 처리를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단계 S201에서, CPU(401)는, 단계 S104(도 16)에서 신규용지 종류로서 판정된 용지 종류(이하, 간단히 "신규 용지 종류"라고 칭함)의 평량이, MFP(100)의 허용 범위 내의 값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MFP(100)의 허용 범위에 관한 정보는, 단계 S201의 타이밍에서 MFP(100)에 정보 요구를 입력해서 취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MFP(100)의 허용 범위에 관한 정보는, 미리 MFP(100)로부터 취득할 수 있어서(또는 호스트 컴퓨터(300)로부터 시스템 관리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어서) 내장 HD(404)에 저장할 수 있다.
신규의 용지 종류의 평량이 MFP(100)의 허용 범위 밖이라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2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207로 진행한다. 단계 S207에서, CPU(401)는 인쇄 잡을 취소한다. 한편,신규의 용지 종류의 평량이 MFP(100)의 허용 범위 내라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201에서, 예), 처리는 단계 S202로 진행한다.
단계 S202에서, CPU(401)는,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에 등록된 용지 종류 중에서, 도 16의 흐름도의 단계 S103에서 작성된 용지 종류의 평량이 포함되는, 평량 범위를 갖는 용지 종류를 모두 추출한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이미 등록된 용지 종류의 평량 범위는, 52-63, 64-90, 91-105, 106-128, 129-150, 151-180, 181-220, 221-256, 및 257-300g/m2이다. 예를 들면, 신규 용지 종류의 평량이 77g/m2인 경우, CPU(401)는 평량이 평량 범위 64-90g/m2에 해당하는 용지 종류를 모두 추출한다.
단계 S203에서, CPU(401)는, 단계 S202에서 추출된 용지 종류 중에서, 신규의 용지 종류와 표면 스무스 정도가 일치하는 임의의 용지 종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02에서 추출된 용지 종류 중에서 신규의 용지 종류와 표면 스무스 정도가 일치하는 용지 종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2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208로 진행한다. 단계 S208에서, CPU(401)는 인쇄 잡을 취소한다.
한편,단계 S202에서 추출된 용지 종류 중에서 신규의 용지 종류와 표면 스무스 정도가 일치하는 용지 종류가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203에서, 예), 처리는 단계 S204로 진행한다. 단계 S204에서, CPU(401)는 표면 스무스 정도가 일치하는 용지 종류를 모두 추출한다.
단계 S205에서, CPU(401)는, 단계 S204에서 추출된 용지 종류 중에서 신규의 용지 종류와 형상이 일치하는 임의의 용지 종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04에서 추출된 용지 종류 중에서 신규의 용지 종류와 형상이 일치하는 용지 종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205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209로 진행한다. 단계 S209에서, CPU(401)는 인쇄 잡을 취소한다.
한편,단계 S204에서 추출된 용지 종류 중에서 신규의 용지 종류와 형상이 일치하는 용지 종류가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2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6에서, CPU(401)는, 단계 S205에서 형상이 일치한다고 판정된 용지 종류 중 임의의 것을, 신규의 용지 종류에 엔진 의존 정보를 카피하는 소스가 되는 용지 종류로서 결정한다. 그런 다음, 처리는 도 16의 흐름도에 되돌아간다.
전술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CPU(401)는, 신규의 용지 종류와 평량 범위, 표면 스무스 정도, 또는 형상이 일치하는 등록된 용지 종류를, 신규의 용지 종류에 엔진 의존 정보를 카피하는 소스가 되는 용지 종류로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신규의 용지 종류의 평량 범위, 표면 스무스 정도, 및 형상에 따른 적절한 엔진 의존 정보를, 신규의 용지 종류에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8에 도시된 등록된 용지 종류 선택 처리 플로우가 도 9, 도 10, 및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용지 종류에 관한 기본 정보는, 평량, 표면 스무스 정도, 및 형상을 포함하는 3개의 요소로 구성된다. 각 요소의 값과 내용에 따라, "보통 용지" 또는 "두꺼운 용지" 등의 용지 종류가 MFP 마다 정의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예를 들면, 재생 용지 1은, 평량이 "77g/m2"로서 정의되어, 도 9의 64-90g/m2 범위에 해당한다. 또한, 재생 용지 1은, "재생 용지"의 표면 스무스 정도와 "보통"의 형상(특징)을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종류에 관한 프린터 의존 정보로는, 컬 보정량과 용지 분리 팬으로부터의 풍량 등, MFP가 인쇄를 행할 때 필요한 기계적 제어값이 정의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재생 용지 1"은 컬 보정량이 "+1"이고, 용지 분리 팬으로부터의 풍량은 "약"이라고 정의된다. 또한,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용지 종류는, MFP가 표준으로서 지원하는 "기본 용지"와, 유저가 작성할 수 있는 "유저 설정 용지"의 2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기본 용지는, 도 15에 도시된 인쇄 처리 장치(400)에 저장되는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와 리소스 관리 유닛(112)에 저장되는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있어서 동일한 정보를 갖는다.
호스트 컴퓨터(300)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한 후에 작성된 신규의 용지 종류가, 도 17에 도시된 "custom-new-5"(평량: 85g/m2, 표면 스무스 정도: "재생 용지", 형상(특징): 없음(보통))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예에서는, 단계 S201에서, CPU(401)가, 평량이 평량 범위 "52-300g/m2"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신규의 용지 종류 "custom-new-5"의 평량이 85g/m2이기 때문에,단계 S201에서 사용되는 판정 조건이 만족된다(단계 S201에서, 예). 단계 S202에서, CPU(401)는 평량이 동일한 범위("64∼90g/m2")에 해당하는 용지 종류, 즉 "보통 용지 1", "재생 용지 1", "제2 아트 워크", "본드 용지", 및 "3홀 용지"를 추출한다.
이어서,신규의 용지 종류 "custom-new-5"의 표면 스무스 정도가 "재생 용지"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평량에 따라 국한한 기본 용지 중에서 표면 스무스 정도가 "재생 용지"인 용지 종류가 존재한다고 판정된다(단계 S203에서, 예). 단계 S204에서, CPU(401)는 평량에 따라 국한한 기본 용지 중에서 표면 스무스 정도가 "재생 용지"인 "재생 용지 1"만을 추출한다.
용지 종류가 1개의 재생 용지 "재생 용지 1"로 국한되었기 때문에, 이 타이밍에서, CPU(401)는 용지 종류 "재생 용지 1"을, 엔진 의존 정보가 신규의 용지 종류의 엔진 의존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에 카피되는 용지 종류로서 확정할 수 있다.
또한,신규의 용지 종류 "custom-new-5"의 특징(형상) "보통"이 주목되면, 평량과 표면 스무스 정도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생 용지 1"의 형상이 "보통" 형상이다(단계 S205에서, 예). 따라서, CPU(401)는 "재생 용지 1"을, 신규의 용지 종류 "custom-new-5"에 관한 엔진 의존 정보에, 엔진 의존 정보를 카피하는 소스인 기본 용지로서 결정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401)는 "재생 용지 1"의 엔진 의존 정보를 "custom-new-5"의 엔진 의존 정보 부분에 카피함으로써, 유저 설정 용지로서 "custom-new-5"를 확정한다. 신규의 용지 종류의 평량이 "85g/mxm"이고, 표면 스무스 정도가 "상질지"이고, 형상(특징)이 "없음(보통)"인 경우에, CPU(401)는 용지 종류 "보통 용지 1"과 "3홀 용지"를 추출한다. 이 경우, 형상(특징)이 "없음(보통)"인 "보통 용지 1"이 최종적으로 추출된다.
더 구체적으로, CPU(401)는, 송신할 인쇄 잡에 지정된 용지 종류에 관한 정보에 대해, 송신할 용지 종류의 평량 범위와 동일한 범위에 해당하는 평량을 적어도 가지며, 또한 송신할 용지 종류의 표면 스무스 정도와 동일한 표면 스무스 정도를 갖는 용지 종류에 관한 정보를, 인쇄 잡에 지정된 용지 종류의 기본 정보와 기본 정보가 유사한 용지 종류에 관한 정보로서 추출한다.
이하,도 19을 참조하여, 인쇄 처리 장치(400)에 의해 MFP(100)를 통해 유저에 대하여 용지 세팅 요구를 행하는 예시적인 처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인쇄 처리 장치(400)와 MFP 제어 유닛(106)의 인쇄 잡 처리 상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인쇄 처리 장치(400)는, 잡 1 내지 잡 7을 현재 보유하고 있고, 그중 잡 1 내지 잡 5가 이미 MFP(100)에 송신되었고, 잡 6은 송신 대기중이고, 잡 7은 RIP를 실시받기 위해 대기중이다. 한편,MFP(100)의 MFP 제어 유닛(106)은, 인쇄 처리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잡 1을 현재 인쇄중이다. MFP 제어 유닛(106)은 잡 2 내지 잡 5를 인쇄용 큐에 넣어 놓고 있다.
전술한 상태에 있어서, 인쇄 처리 장치(400)가 송신 대기중인 잡 6을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MFP 제어 유닛(106)이 인쇄 실행을 행하는 타이밍에서, MFP 제어 유닛(106)은 유저에 용지 요구를 행하게 된다. 인쇄 처리 장치(400)가 잡을 송신하기 전에, MFP 제어 유닛(106)의 상태를 고려해서 용지 세팅 요구를 행하면, MFP 제어 유닛(106)이 인쇄하고 있는 사이에 유저가 용지를 교환한다. 이에 따라, MFP 제어 유닛(106)은 인쇄 동작을 중지하지 않는다.
잡 6의 인쇄 속성 정보에서, 용지 정보와 급지 정보에 주목하면, 잡 6은 A4 사이즈의 "custom-new-5"를 포함하는 용지 정보와, 급지 정보 "카세트 2"를 갖고 있다. 한편,MFP 제어 유닛(106)에 인쇄 대기중인 잡 2는 A3 사이즈의 "두꺼운 용지 1"을 포함하는 용지 정보와, 급지 정보 "카세트 2"를 갖고 있다고 판정된다.
이 타이밍에서, 잡 6을 위해 유저에게 카세트 2의 용지 교환을 위한 용지 교환 요구를 통지하면,잡 2의 인쇄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MFP 제어 유닛(106)이 잡 1과 잡 2의 인쇄를 완료할 때까지, 인쇄 처리 장치(400)는 잡 6의 MFP 제어 유닛(106)에의 송신을 중단한다.
MFP 제어 유닛(106)에 저장되어 있는 잡 3 내지 잡 5는 잡 6과는 용지 정보와 급지 정보가 다르다. 이에 따라,잡 2의 인쇄 완료시에 인쇄 처리 장치(400)는 유저에게 잡 6을 위해 용지 교환 요구를 할 수 있다.
실제로 유저가 잡 6에 필요한 용지를 지정된 급지원(카세트 2)에 세팅한 것을 확인 후에, 인쇄 처리 장치(400)는, 잡 6을 MFP(100)에 송신한다.
도 16의 흐름도에 따라, 인쇄 처리 장치(400)가 유저 설정 용지를 추가해 가면,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의 용량이 전부 소비되어 처리를 속행할 수 없게 된다. 즉, 인쇄 처리 장치(4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와, 리소스 관리 유닛(112)에 저장된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 둘 다의 용량은 제한된다. MFP(100)에 조작 유닛이 없을 경우, 인쇄 처리 장치(400)로부터 유저 설정 용지에 관한 정보를 삭제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하,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인쇄 처리 장치(400)로부터 유저 설정 용지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에서도, 도 11에 도시된 삭제 기능을 이용하여 인쇄 처리 장치(400)에 저장되어 있는 유저 설정 용지를 삭제할 수 있다.
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인쇄 처리 장치(4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와 리소스 관리 유닛(112)에 저장된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로부터 용지 종류 정보를 삭제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인쇄 처리 장치(4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와, 리소스 관리 유닛(112)에 저장된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등록된 용지 종류 정보를 삭제하는 처리의 예시적인 플로우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의 흐름도의 처리는, 인쇄 처리 장치(400)의 CPU(401)가, ROM(402) 또는 내장 HD(404)로부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인쇄 처리 장치(400)의 CPU(401)는 MFP 제어 유닛(106)으로부터 MFP(100)의 상태를 취득한다. MFP(100)의 상태는 MFP 제어 유닛(106)이 현재 인쇄 처리중인지의 여부, 또는 MFP 제어 유닛(106)이 인쇄 개시 대기중인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302에서, CPU(401)는, 단계 S301에서 취득된 상태에 따라, MFP 제어 유닛(106)이 현재 인쇄 실행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MFP 제어 유닛(106)이 현재 인쇄 실행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단계 S302에서, 예), CPU(401)는, 인쇄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MFP 제어 유닛(106)이 현재 인쇄 실행중이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302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3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03에서, CPU(401)는, 단계 S301에서 취득된 상태에 따라, MFP 제어 유닛(106)에 인쇄 대기중인 임의의 잡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MFP 제어 유닛(106)에 인쇄 대기중인 잡이 존재한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303에서, 예) CPU(401)는 현재 인쇄 대기중인 모든 잡의 인쇄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MFP 제어 유닛(106)에 인쇄 대기중인 잡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303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304로 진행한다.
단계 S304에서, CPU(401)는, 인쇄 처리 장치(400)가 임의의 인쇄 잡을 현재 처리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인쇄 처리 장치(400)가 인쇄 잡을 현재 처리중이라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304에서, 예), CPU(401)는, 인쇄 잡의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인쇄 처리 장치(400)가 인쇄 잡을 현재 처리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304에서, 아니오), 처리는 단계 S305로 진행한다.
단계 S305에서, CPU(401)는, 리소스 관리 유닛(112)에 저장된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유저 설정 용지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리소스 관리 유닛(112)에 저장된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유저 설정 용지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305에서, 아니오), 그대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리소스 관리 유닛(112)에 저장된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유저 설정 용지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305에서, 예), 처리는 단계 S3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306에서, CPU(401)는, 리소스 관리 유닛(112)에 저장된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 설정 용지를 삭제한다. 이때, CPU(401)는, 인쇄 처리 장치(4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1)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 설정 용지도 삭제한다.
즉, 단계 S301에서, CPU(401)는 MFP(100)의 상태를 취득한다. 단계 S302 및 단계 S303에서, CPU(401)는 MFP(100)에 현재 인쇄되거나 또는 인쇄 대기중인 인쇄 잡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제4 판정 처리).
단계 S304에서, CPU(401)는 인쇄 처리 장치(400)가 임의의 인쇄 잡을 현재 처리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제5 판정 처리). MFP(100)에 현재 인쇄되거나 또는 인쇄 대기중인 인쇄 잡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되고, 또한, MFP(100)에서 인쇄 잡을 현재 처리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301 및 단계 S304에서, 아니오), 단계 S306에서, CPU(401)는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 설정 용지에 대응하는 용지 종류의 정보를 삭제한다.
전술한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CPU(401)는 MFP(100)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502)에 등록된 유저 설정 용지를 인쇄 처리 장치(400)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MFP(100)는 MFP이다. 그러나, MFP(100)는 MFP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SFP가 MFP(100)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처리 장치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인쇄 장치의 용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용지 종류를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양한 용지 종류를 사용하는 인쇄에 대응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전술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인쇄 처리 장치가, 인쇄 장치의 처리 상황에 따라 유저에게 용지 요구를 행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인쇄중에 용지를 보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쇄 장치에서 현재 실행되는 처리를 중단하지 않고 인쇄를 속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가 급지원(용지 수납 유닛)에 용지를 보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인쇄 장치에서의 다운타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 장치의 생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전술한 각종 데이터의 구성 및 그 내용은 전술한 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종 데이터는 데이터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다른 구성 및 내용으로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본 발명의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예를 들면,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러한 변경 및 등가의 구조와 기능을 모두 포괄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쇄 장치(MFP)
106: MFP 제어 유닛
104: 전용 I/F 유닛
112: 리소스 관리 유닛
300: 호스트 컴퓨터
400: 인쇄 처리 장치
401: CPU
403: HD 컨트롤러
404: 내장 HD
405: 외부 I/F
407: PDL 버퍼
408: 프레임 메모리
413: CPU 버스

Claims (8)

  1. 입력된 인쇄 잡을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처리된 인쇄 잡을 인쇄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처리 장치이며,
    용지에 관한 용지 정보로서 상기 인쇄 장치에 의존하는 의존 정보를 포함하는 용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 유닛,
    입력된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가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에 대응하는 용지 정보를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복수의 용지 정보 중에서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유닛,
    상기 식별 유닛에 의해 식별된 용지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의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를 상기 인쇄 장치에 등록하도록 구성되는 등록 유닛, 및
    상기 등록 유닛에 등록된 용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인쇄 잡을 실행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정보는 상기 용지의 특징에 관한 기본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 유닛은, 상기 기본 정보에 따라 상기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에 대응하는 용지 정보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유닛은, 상기 기본 정보와 유사한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용지 정보를, 상기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에 대응하는 용지 정보로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등록 유닛에 등록된 용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장치가 상기 인쇄 잡을 실행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인쇄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정보는 용지의 평량, 용지의 표면 스무스 정도, 및 용지의 형상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정보인, 인쇄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존 정보는 컬 보정량 및 팬의 조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에 관한 정보인, 인쇄 처리 장치.
  7. 입력된 인쇄 잡을 처리하고 처리된 인쇄 잡을 인쇄 장치로 송신하는 인쇄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용지에 관한 용지 정보로서 상기 인쇄 장치에 의존하는 의존 정보를 포함하는 용지 정보를 저장 유닛에 저장하는 단계,
    입력된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가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에 대응하는 용지 정보를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복수의 용지 정보 중에서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용지 정보에 포함된 상기 의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잡에 포함된 용지 정보를 상기 인쇄 장치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장치가 등록된 용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 잡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8.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제7항에 따른 인쇄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동작들을 컴퓨터에 수행시키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10108347A 2010-10-22 2011-10-21 인쇄 처리 장치, 인쇄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1200477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37099 2010-10-22
JP2010237099A JP5675269B2 (ja) 2010-10-22 2010-10-22 印刷処理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処理装置の制御方法、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781A true KR20120047781A (ko) 2012-05-14

Family

ID=4500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347A KR20120047781A (ko) 2010-10-22 2011-10-21 인쇄 처리 장치, 인쇄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70894B2 (ko)
EP (2) EP2444889B1 (ko)
JP (1) JP5675269B2 (ko)
KR (1) KR20120047781A (ko)
CN (1) CN1024576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7963B2 (ja) * 2011-03-14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18298A (ja) * 2011-04-08 2012-11-12 Canon Inc 印刷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60261B2 (ja) * 2011-10-12 2016-02-16 株式会社東芝 画像読取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JP6000532B2 (ja) * 2011-11-30 2016-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40920A (ja) * 2012-05-21 2013-12-0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091195B2 (ja) * 2012-12-07 2017-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17890A (ja) * 2012-12-18 2014-06-30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5003477A (ja) * 2013-06-21 2015-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33033B2 (ja) * 2013-08-22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印刷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6117203A (ja) * 2014-12-19 2016-06-3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25545B2 (ja) * 2015-01-09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16363B2 (ja) * 2016-02-15 2021-01-20 株式会社リコー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搬送システム
JP6776718B2 (ja) * 2016-08-16 2020-10-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7071062B2 (ja) * 2017-04-28 2022-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画像形成装置、印刷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7023634B2 (ja) 2017-07-27 2022-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45825B2 (ja) * 2017-09-25 2022-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へのジョブ送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7175618B2 (ja) * 2018-03-27 202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25244A (ja) * 2018-07-31 2020-02-1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21843A (ja) * 2020-07-22 2022-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4783B1 (en) 1994-05-06 2011-04-12 Broadcom Corporation Hierarchical communications system
JP2002215342A (ja) 2001-01-23 2002-08-02 Fuji Xerox Co Ltd ジョブマシン管理システム
US7280242B2 (en) 2002-07-09 2007-10-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control based on media attributes
JP4668711B2 (ja) * 2004-07-14 2011-04-13 オセ−テクノロジーズ ビーブイ カスタマイズ可能なプリントメディアの定義
JP4632442B2 (ja) 2005-11-16 2011-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印刷システム
JP4817933B2 (ja) * 2006-03-31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らの画像形成方法
EP1857921A3 (en) * 2006-05-12 2010-06-09 Ricoh Company, Ltd. Managing recording sheet type information
JP5025165B2 (ja) * 2006-05-12 2012-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16851B2 (ja) * 2006-06-02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44630B2 (ja) * 2007-01-30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印刷システム
JP4834571B2 (ja) * 2007-02-26 2011-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JP2008217562A (ja) 2007-03-06 2008-09-18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77055B2 (en) 2007-04-11 2011-01-25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type determination device
JP2009020593A (ja) * 2007-07-10 2009-01-29 Canon Inc 印刷制御システム
JP5017083B2 (ja) * 2007-12-26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99148A1 (en) 2012-04-26
EP3564810B1 (en) 2022-12-07
EP3564810A1 (en) 2019-11-06
CN102457640A (zh) 2012-05-16
JP5675269B2 (ja) 2015-02-25
JP2012089043A (ja) 2012-05-10
EP2444889B1 (en) 2019-06-26
US8970894B2 (en) 2015-03-03
EP2444889A2 (en) 2012-04-25
EP2444889A3 (en) 2013-09-25
CN102457640B (zh)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4810B1 (en) Print processing apparatus, print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5705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apable of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a user based on logs stored in a printing system and improving the usability of each user who operates a printing system
JP4646741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139239B2 (en) Print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a print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ler of print system, and storage medium
US7969593B2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job processing method, printing system, and program
JP5004320B2 (ja)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72209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US7912388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 control apparatus, and print control method
JP2007213566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US7980545B2 (en) Sheet insertion control unit/method
EP278459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program
US809432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ob processing method, storing medium, and program
JP5889373B2 (ja) 印刷処理装置、印刷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31720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2008052115A (ja) 印刷装置及びその印刷実行方法、並びに印刷実行のプログラム
JP4757355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7156903A (ja)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85374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705794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903

Effective date: 2015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