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6228A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6228A
KR20120046228A KR1020127003061A KR20127003061A KR20120046228A KR 20120046228 A KR20120046228 A KR 20120046228A KR 1020127003061 A KR1020127003061 A KR 1020127003061A KR 20127003061 A KR20127003061 A KR 20127003061A KR 20120046228 A KR20120046228 A KR 20120046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member
pad
roller
long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956B1 (ko
Inventor
히로시 아오야마
다까히꼬 사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046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7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guiding devices for telescopic 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네스트식으로 조합된 복수의 작업 붐(7, 8)에 의해 구성되는 병진 신축 기구를 갖는 작업차에 있어서, 서로 병진 신축하는 2개의 작업 붐(7, 8)의 오버랩부(17)에 설치되고, 2개의 작업 붐(7, 8) 중 한쪽의 작업 붐과 미끄럼 이동하는 롤러(1)와, 2개의 작업 붐(7, 8)의 오버랩부(17)에 설치되고, 롤러(1)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비로소 한쪽의 작업 붐과 접촉하는 패드(3)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큰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는 작업 붐을 롤러(1)와 패드(3)의 양쪽에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변형되는 일이 없는 경량의 병진 신축 기구를 갖는 작업차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차{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병진 신축 기구를 갖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네스트(nest)식으로 조합한 복수의 장척 구조물(작업 붐이나 사다리부)을 서로 병진시킴으로써 신축 가능하게 구성한 병진 신축 기구를 작업 장치에 구비하는 작업차로는, 크레인 차, 고소 작업차 및 소방 사다리차 등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작업차에서는, 작업 반경에 따라서 작업 장치를 적절하게 신축시켜 작업이 행해지지만, 작업 장치의 신축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서로 병진 신축하는 2개의 장척 구조물의 미끄럼 이동성을 배려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 관한 기술로서는, 서로 병진 신축하는 2개의 사다리부 사이에 있어서, 작업 장치의 신축 방향으로 복수의 롤러를 배치하여 미끄럼 이동시키고 있는 것이 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159269호 공보 등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159269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병진 신축 기구를 갖는 작업 장치에는, 상기한 미끄럼 이동성에 더하여, 선단부에 중량물을 매달거나 작업 반경을 크게 하거나 해도 되는 내하중성과, 장치의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하중성을 유지하면서 경량화를 도모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높은 재료로 대체함으로써 부재의 판 두께를 억제하는 방법이 취해지는 경우가 많지만, 이것은 크레인 차 및 고소 작업차의 작업 붐이나, 소방 사다리차의 사다리부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판 두께를 억제하면서 강도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미끄럼 이동부를 구비하는 작업차에 있어서 작업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상기 기술과 같이 2개의 사다리부(작업 붐) 사이에 복수의 롤러를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 작업 장치 선단부에 큰 하중이 작용하면, 롤러를 통해 국소적인 압축력이 작용하여 사다리부에 오목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때, 국소적인 압축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3개 이상의 롤러를 통해 미끄럼 이동시켜도, 작업 장치가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휠 정도의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그 휨에 의해 최전방부와 최후방부에 위치하는 2개의 롤러가 다른 롤러에 우선하여 사다리부에 강하게 접촉하게 되므로, 하중 분산의 효과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그로 인해, 롤러에 의한 오목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재의 판 두께를 증가시킬 수밖에 없어, 결과적으로 장치의 총 중량을 그만큼 저감시킬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경량의 병진 신축 기구를 갖는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네스트식으로 조합된 복수의 장척 구조물에 의해 구성되는 병진 신축 기구를 갖는 작업차에 있어서, 서로 병진 신축하는 2개의 장척 구조물이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장척 구조물 중 한쪽의 장척 구조물과 미끄럼 이동하는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와, 상기 2개의 장척 구조물이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비로소 상기 한쪽의 장척 구조물과 접촉하는 제2 미끄럼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변형되는 일이 없는 경량의 병진 신축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크레인 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크레인 차에 있어서의 2개의 작업 붐의 오버랩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작업 붐의 선단부에 고정된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롤러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의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패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패드의 사시도.
도 8은 섬유 강화 복합 재료와 금속의 마찰 계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패드를 구비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고소 작업차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소방 사다리차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있어서의 제1 사다리부와 제2 사다리부의 오버랩부(18)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크레인 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레인 차에 있어서의 2개의 작업 붐(7, 8)의 오버랩부(17)의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크레인 차(작업차)는, 복수의 장척의 작업 붐(장척 구조물)(7, 8)으로 구성된 작업 장치(40)를 구비하고 있고, 그 작업 장치(40)의 선단부에는 크레인(41)이 장착되어 있다. 작업 장치(40)의 선단부측에 위치하는 작업 붐(선단부측 작업 붐)(7)은,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작업 붐(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후단부측 작업 붐(8)보다 한층 작게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측 작업 붐(8)과 네스트식으로 조합되어 있다. 즉, 작업 장치(40)는, 선단부측 작업 붐(7)과 후단부측 작업 붐(8)을 서로 병진시키면 그 길이가 신축 가능한 병진 신축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기구에 의해 작업 반경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스트식으로 조립된 선단부측 작업 붐(7)과 후단부측 작업 붐(8)이 겹쳐지는 부분[오버랩부(17)]에는, 각각의 상방에 위치하는 작업 붐(7) 또는 작업 붐(8)과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0(30A, 30B)]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레인(41)에 현수되는 짐의 하중 및 작업 붐(7, 8)의 자중 등이 연직 하방으로 작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선단부측 작업 붐(7)과 후단부측 작업 붐(8)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 30B)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는, 선단부측 작업 붐(7)의 외측면에 있어서의 하면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측 작업 붐(7)의 외측면과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후단부측 작업 붐(8)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0B)는, 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상면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측면과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선단부측 작업 붐(7)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시의 안정성 및 작업 장치의 내하중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 30B)는, 작업 붐(7, 8)의 폭 방향으로 복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 붐(7, 8)의 폭 방향으로 2개의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 30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또한, 도 2에서는 각 작업 붐(7, 8)에 대해 1개의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 30B)만이 나타내어져 있음].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작업 붐(8)의 선단부에 고정된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의 횡단면도이다. 또한, 앞의 도면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이후의 도면도 마찬가지로 함).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는, 후단부측 작업 붐(8)의 길이 방향(병진 신축 기구의 신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2개의 롤러(1)와, 2개의 롤러(1) 사이에 설치된 패드(3)와, 2개의 롤러(1) 및 패드(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6)는, 2개의 롤러(1) 및 패드(3)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2개의 롤러(1) 사이에 위치하는 패드 베이스축(회전축)(5)을 통해 후단부측 작업 붐(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6)는, 후술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측 작업 붐(7)을 통해 2개의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패드 베이스축(5)을 중심으로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는 재료(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 붐(7, 8)과 동일한 형태로 지지 부재(6)를 변형시키는 관점에서는, 이들과 동일한 재료(예를 들어, 탄소강이나 스테인리스강)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6)는, 프레임 형상의 구조물이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부측 작업 붐(8)의 선단부측의 하면을 절결하여 형성한 구멍 내에 패드 베이스축(5)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롤러(1)는,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기계 가공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절삭 형성한 미끄럼 이동 부재로, 그 상방에 위치하는 선단부측 작업 붐(7)과 상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롤러(1)는, 그 코어부에 설치한 베어링 등의 미끄럼 이동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롤러 축(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롤러 축(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패드(3)는, 롤러(1)가 미끄럼 이동하는 작업 붐(7)과 접촉 가능한 미끄럼 이동 부재로, 패드 베이스(4)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강도와 미끄럼 이동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패드(3)는 섬유 강화 복합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드(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고 지지 부재(6)가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그 상단부면이 롤러(1)의 상단부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상태에서는, 패드(3)는 선단부측 작업 붐(7)과 접촉되어 있지 않다. 또한, 패드 베이스(4)의 양 측면으로부터는 패드 베이스축(5)이 돌출되어 있고, 그 2개의 패드 베이스축(5)은 지지 부재(6)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 후단부측 작업 붐(8)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성의 간략화를 위해 지지 부재(6)와 패드 베이스(4)의 회전축을 패드 베이스축(5)으로 겸용하였지만, 지지 부재(6)와 패드 베이스(4)의 회전축을 각각 개별로 설치해도 된다.
한편, 미끄럼 이동 구조체(30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측 작업 붐(7)의 외측면에 있어서의 상면에 형성한 오목부 내에 있어서, 패드 베이스축(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 구조체(30B)의 롤러(1)는, 그 상방에 위치하는 선단부측 작업 붐(8)과 상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롤러 축(2)을 통해 지지 부재(6)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패드(3)의 상단부면은, 지지 부재(6)가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롤러(1)의 상단부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의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롤러(1)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의 미끄럼 이동 구조체(30A)의 횡단면도이다. 여기서, 소정의 크기의 하중이라 함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6)가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패드(3)가 작업 붐(7)의 하면과 비로소 접촉할 때에 롤러(1)에 작용하고 있는 하중을 나타낸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이 롤러(1)에 작용하는 소정의 크기의 하중으로서, 작업 장치(40)의 설계 하중에 가까운 중량물이 크레인(41)에 현수되었을 때에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설정 하중)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작업 장치(40)가 수축된 상태나 크레인(41)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은 경우에는,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은 설정 하중보다 작기 때문에 패드(3)가 선단부측 작업 붐(7)과 접촉하는 일은 없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롤러(1)만이 작업 붐(7)의 하면에 접하여 작업 장치(40)의 신축 동작이 행해진다. 이때, 원통 형상의 롤러(1)에 의한 접촉이므로, 그 회전 운동은 원활하게 행해지고, 작업 장치(40)의 신축 동작도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롤러(1)와 롤러 축(2) 사이에는 베어링 등의 미끄럼 이동 부재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롤러(1) 및 롤러 축(2)의 열화도 적다. 또한, 일반적인 작업에서는, 설계 하중에 가까운 중량물이 크레인(41)에 현수되는 기회는 적으므로, 크레인 차의 대부분의 가동 상황에서는 도 4와 같은 롤러(1)만의 회전 동작으로 작업 장치(40)의 신축 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크레인(41)에 작업 장치(40)의 설계 하중에 극히 가까운 중량물을 현수하거나 하여, 롤러(1)에 설정 하중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드(3)가 작업 붐(7)과 접촉할 때까지 지지 부재(6)가 변형되어, 2개의 롤러(1)에 더하여 패드(3)가 작업 붐(7)의 하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패드(3)가 접하면, 롤러(1)만이 접하고 있었을 때와 비교하여, 롤러(1)와 작업 붐(7) 사이의 접촉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런데, 크레인(41)에 작업 장치(40)의 설계 하중에 극히 가까운 중량물을 현수하는 경우에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롤러(1)만으로 선단부측 작업 붐(7)의 하면을 지지하려고 하면, 롤러(1)의 접촉 부분의 압축 응력이 작업 붐(7)의 하면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의 항복점을 초과하여, 작업 붐(7)의 하면이 소성 변형될 우려가 발생해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크레인 차는,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롤러(1)에 더하여 패드(3)가 작업 붐(7)의 하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 장치(40)에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 붐(7)의 하면의 판 두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작업 붐(7)의 하면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변형되는 일이 없는 경량의 작업 장치를 구비한 작업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차가 최대 설계 하중으로 작업하는 상황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패드(3)가 작업 붐(7)의 하면에 접하는 시간은 적다. 그로 인해, 장기간 사용해도 미끄럼 이동 구조체(30)의 미끄럼 이동성이 변화되는 일은 적고, 또한 패드(3)의 메인터넌스의 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러(1)와 작업 붐(7)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 응력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 관점에서, 롤러(1)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비로소 작업 붐(7)과 접촉하는 미끄럼 이동 부재로서, 작업 붐(7)과 면 접촉 가능한 패드(3)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작업 붐(7)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접촉 응력을 억제할 수 있으면, 패드(3) 대신에 작업 붐(7)과 선 접촉 가능한 미끄럼 이동 부재(예를 들어, 롤러 등)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패드(3)는, 앞서 설명한 섬유 강화 복합 재료 외에도, 금속이나 수지로 형성해도 된다. 단, 패드(3)를 섬유 강화 복합 재료로 형성하면, 금속제인 것을 사용한 경우보다도 작업 붐(7)에 발생하는 흠집을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수지제인 것을 사용한 경우보다도 패드(3)의 마모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패드(3)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패드(3A)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패드(3B)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패드(3A)는, 유리 섬유를 직교시켜 짜여진 천에 반경화한 에폭시 수지를 포함시킨 프리프레그 시트(9)를 복수매 적층하여 프레스판으로 가열 가압하여 성형되어 있고, 작업 붐(7, 8)과 접촉하는 면에는 유기 섬유를 직교시켜 짜여진 천(10)이 정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10)을 정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패드(3A)의 프레스 성형시에 프리프레그 시트(9)와 함께 일체 성형하는 방법이나, 성형 후의 패드(3A)의 상면에 천(10)을 접착하는 방법이 있다. 천(10)에 사용되는 유기 섬유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벤조이미다졸,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되는 섬유가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패드(3B)는, 패드(3A)와 마찬가지로 복수매의 프리프레그 시트(9)를 적층하여 성형되어 있고, 작업 붐(7, 8)과 접촉하는 면에는 유기 섬유를 짧게 절단한 것(예를 들어, 1㎜ 내지 10㎜ 정도인 것)을 천 형상으로 성형한 시트(11)가 정착되어 있다. 시트(11)를 정착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패드(3B)의 프레스 성형시에 프리프레그 시트(9)와 함께 일체 성형하는 방법이나, 성형 후의 패드(3B)의 상면에 시트(11)를 접착하는 방법이 있고, 시트(11)의 유기 섬유로서는 천(10)에 사용되고 섬유와 마찬가지인 것을 이용하면 된다.
도 8은 섬유 강화 복합 재료와 금속의 마찰 계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프리프레그 시트(9)만으로 성형된 복합 재료와 금속의 마찰 계수는, 마찰 반복수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즉, 만일 유리 섬유만의 복합 재료로 패드(3)를 제작한 경우에는, 금속제의 작업 붐(7)과의 접촉면과의 마찰 계수는 증가해 가, 작업 붐(7, 8)의 신축 구동력의 증가를 야기시키거나, 그 패드(3)와 작업 붐(7)의 하면의 마모량의 증가를 야기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패드(3A, 3B)와 같이 작업 붐(7, 8)과 접촉하는 면에 유기 섬유를 포함시키면, 그 마찰 계수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복수가 증가해도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유리 섬유를 기재(基材)로 한 복합 재료의 표면의 작업 붐(7, 8)과 접하는 측에 유기 섬유를 포함시키면, 금속제의 작업 붐(7, 8)과의 접촉면과의 마찰 계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 붐(7, 8)의 신축 구동력의 증가를 야기시키거나, 패드(3A, 3B)와 작업 붐(7)의 하면의 마모량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패드(3)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패드(3C)를 구비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에 있어서, 패드(3C)가 작업 붐(7, 8)과 접촉하는 면(15)은, 당해 작업 붐(7, 8)을 향해 위로 볼록한 형상의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패드(3)가 작업 붐(7, 8)과 접촉하는 면을 평면으로 하면, 그 평면의 단부에 코너부가 형성되므로, 패드(3)가 급격하게 작업 붐(7, 8)에 접촉하였을 때에 당해 코너부에 결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면(15)을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면, 급격하게 작업 붐(7, 8)에 접촉하거나, 다양한 각도로 접하거나 하더라도, 국소적인 압축 응력의 상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패드(3C)의 강도 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롤러(1)의 지지 방법이 주로 다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4)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롤러(1)는, 롤러 축(2)을 통해 베어링(1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12)의 하방에는,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수축하는 판 스프링(13)이 장착되어 있고, 베어링(12)은 이 판 스프링(13)을 통해 지지 부재(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12)과 판 스프링(13), 판 스프링(13)과 지지 부재(6)를 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볼트 체결이 있다.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을 때에는, 패드(3)의 상단부면은 롤러(1)의 상단부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설정 하중에 도달하였을 때에, 패드(3)의 상단부면이 작업 붐(7)과 접촉할 때까지 판 스프링(13)이 수축되어, 패드(3)가 작업 붐(7)과 비로소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지지 부재(6)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지 않아도 패드(3)를 작업 붐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 부재(6)를 후단부측 작업 붐(8)의 선단부 또는 선단부측 작업 붐(7)의 후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롤러(1)에 하중이 부가되어 판 스프링(13)이 수축하면, 베어링(12)과 함께 롤러(1)가 하방으로 침강하고, 패드(3)가 롤러(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부상(浮上)한다. 그리고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설정 하중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에, 롤러(1)에 더하여 패드(3)가 작업 붐(7)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롤러(1)가 작업 붐(7)에 미치는 압축 하중이 저감되므로, 작업 붐(7)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롤러 축(2)의 양단부에 판 스프링(13)을 설치하면, 작업 붐으로부터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에 롤러 축(2) 방향의 편차가 있는 경우에도, 그 편차에 따라서 2개의 판 스프링(13)이 개별로 변형되므로, 롤러(1)가 작업 붐(7)의 하면에 대해 접할 때의 압축 하중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4A)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4A)는, 도 10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13) 대신에, 코일 스프링(14)을 통해 베어링(12)을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14)으로 베어링(12)을 지지하더라도,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설정 하중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에, 롤러(1)에 더하여 패드(3)를 작업 붐(7)과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도 10의 예와 마찬가지로 작업 붐(7)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코일 스프링(14)을 사용하면, 코일 스프링(14)의 권취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롤러(1)를 침강시키는 하중의 임계값을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어, 이 점이 판 스프링(13)을 사용한 경우에 대한 장점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4 실시 형태와 패드(3)의 수 및 배치가 주로 다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5)의 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5)는, 작업 붐(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롤러(1)와, 작업 붐(8)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그 2개의 롤러(1)를 끼워 넣도록 배치된 2개의 패드(3)와, 하중 전달 핀(16)을 통해 작업 붐(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 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1)를 지지하는 베어링(12)은, 지지 부재(6)의 측면에 장착된 선반판(25) 상에 판 스프링(13)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설정 하중에 도달하면, 롤러(1)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2개의 롤러(1)에 더하여 2개의 패드(3)가 작업 붐(7)의 하면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작업 붐(7)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패드(3)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1 실시 형태 등과 같이 롤러(1)가 2개이고 패드(3)가 1개인 경우에 비해, 롤러(1) 및 패드(3)의 하중 분담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3)는 롤러(1)를 외측으로부터 끼워넣도록 배치되어 있어, 제1 실시 형태 등의 경우와 비교하여, 패드 교환 작업을 행할 때의 패드(3)에의 액세스가 용이하므로, 교환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롤러(1)와 2개의 패드(3)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롤러(1)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좋고, 패드(3)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롤러(1) 및 패드(3)의 고정 방법이 주로 다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6)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6)는, 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하면에 고정된 패드 베이스(4)와, 이 패드 베이스(4) 상에 고정된 패드(3)와, 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하면에 판 스프링(13)을 통해 고정된 베어링(12)과, 베어링(12)에 롤러 축(2)을 통해 지지된 롤러(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 등과 마찬가지로, 도 13과 같이 판 스프링(13)이 신장된 상태에서는 패드(3)의 상단부는 롤러(1)의 상단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판 스프링(13)이 수축하면 양자의 고저차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6)를 사용해도,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커졌을 때에는, 롤러(1)에 더하여 패드(3)도 선단부측 작업 붐(7)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붐(7)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지지 부재(6) 등이 불필요해지므로,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6A)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6A)는, 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하면에 판 스프링(13)을 통해 고정된 베어링(12)과, 베어링(12)에 롤러 축(2)을 통해 지지된 롤러(1)와, 작업 장치(40)의 신축 방향으로부터 이 롤러(1)를 끼워 넣도록 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하면에 고정된 2개의 패드 베이스(4)와, 이 2개의 패드 베이스(4) 상에 각각 고정된 패드(3D)를 구비하고 있다. 패드(3D)는, 작업 붐(7)과의 접촉 면적을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하는 관점에서, 작업 붐(7)에 근접함에 따라 그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판 스프링(13)이 신장된 상태에서는 패드(3D)의 상단부는 롤러(1)의 상단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판 스프링(13)이 수축하면 양자의 고저차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6A)를 사용해도,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커졌을 때에는, 롤러(1)에 더하여 2개의 패드(3D)도 선단부측 작업 붐(7)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붐(7)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의 경우와 비교하여, 면적이 넓은 2개의 패드(3D)가 작업 붐(7)과 접하므로, 롤러(1)에 가해지는 압축 하중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6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패드(3)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점이 주로 다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7)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7)는, 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하면에 판 스프링(13)을 통해 고정된 패드 베이스(4)와, 이 패드 베이스(4) 상에 고정된 패드(3)와, 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하면에 고정된 베어링(12)과, 베어링(12)에 롤러 축(2)을 통해 지지된 롤러(1)를 구비하고 있다. 제6 실시 형태와 달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13)이 신장된 상태에서는 롤러(1)의 상단부는 패드(3)의 상단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판 스프링(13)이 수축하면 양자의 고저차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드(3)가 작업 붐(7)의 하면과 상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7)를 사용해도, 패드(3)에 작용하는 하중이 커졌을 때에는, 패드(3)에 더하여 롤러(1)도 선단부측 작업 붐(7)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붐(7)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러(1)가 회전 운동을 함으로써, 과대 하중 작용시라도 작업 붐(7)의 신축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패드(3)를 금속[작업 붐(7)보다도 유연한 금속이 바람직함]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미끄럼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패드(3)가 작업 붐(7)과 접촉하는 면에 그리스(grease) 등의 윤활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7A)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7A)는, 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하면에 고정된 베어링(12)과, 베어링(12)에 롤러 축(2)을 통해 지지된 롤러(1)와, 작업 장치(40)의 신축 방향으로부터 이 롤러(1)를 끼워 넣도록 후단부측 작업 붐(8)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하면에 판 스프링(13)을 통해 고정된 2개의 패드 베이스(4)와, 이 2개의 패드 베이스(4) 상에 각각 고정된 패드(3D)를 구비하고 있다. 도 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판 스프링(13)이 신장된 상태에서는 롤러(1)의 상단부는 패드(3D)의 상단부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판 스프링(13)이 수축하면 양자의 고저차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37A)를 사용해도, 2개의 패드(3D)에 작용하는 하중이 커졌을 때에는, 2개의 패드(3D)에 더하여 롤러(1)도 선단부측 작업 붐(7)의 하면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붐(7)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의 경우와 비교하여, 면적이 넓은 2개의 패드(3D)가 작업 붐(7)과 접하므로 압축 하중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고소 작업차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고소 작업차는, 네스트식으로 조합된 3개의 작업 붐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작업 붐의 오버랩부(17)를 2개 부위에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오버랩부(17)를 복수 갖고 있는 경우에도, 각 오버랩부(17)에 앞의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미끄럼 이동 구조체를 이용하면, 앞의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소방 사다리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 사다리차의 사다리는, 각형 강관의 용접 구조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2 내지 5㎜ 정도의 판 두께를 갖는 박판이 사용되고 있다. 그로 인해, 사다리의 선단부에 설치된 바스켓에 최대 적재 질량을 탑재하여 당해 사다리를 완전 신장 상태로 한 경우에는, 사다리부의 오버랩부에 설치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롤러 밀어 올림부)에는 국소적인 높은 응력이 발생하여, 소성 변형이나 사다리 전체의 좌굴(buckling) 변형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실시 형태는 이 과제에 비추어 발명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소방 사다리차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소방 사다리차는, 네스트식으로 조합된 4개의 사다리부로 이루어지는 4단 구성의 사다리(작업 장치)(50)를 구비하고 있고, 사다리부의 오버랩부(18)를 3개 부위에 갖고 있다. 또한, 사다리(50)의 선단부에는 바스켓(55)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는, 사다리(50)를 구성하는 4개의 사다리부를, 사다리(50)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차례로, 제1 사다리부(51), 제2 사다리부(52), 제3 사다리부(53), 제4 사다리부(54)라 칭한다.
도 19는 제1 사다리부(51)와 제2 사다리부(52)의 오버랩부(18)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 구조체(39)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9)는, 제1 사다리부(51)의 하부 골조(19)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 골조(19)와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제2 사다리부(52)의 하부 골조(2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사다리부(52)의 하부 골조(20)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측에서 일단 2갈래로 나뉘어진 후에 다시 하나로 결합되어 있고, 사다리(50)의 신축 방향으로 연장된 공극을 갖고 있다. 미끄럼 이동 구조체(39)의 지지 부재(6)는, 이 하부 골조(20)의 공극 내에 수납되어 있고, 하중 전달 핀(1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하부 골조(20)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6)에는, 하부 골조(19)와 상시 미끄럼 이동 가능한 2개의 롤러(1)와, 2개의 패드 베이스(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개의 패드 베이스(4)는, 하중 전달 핀(16)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고, 2개의 롤러(1)는, 2개의 패드 베이스(4)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패드 베이스(4) 상에는 패드(3)(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되어 있고,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을 때에는, 패드(3)의 상단부는 롤러(1)의 상단부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방 사다리차에 있어서, 사다리(50)의 선단부의 하중이 증가하여 하부 골조(19)를 통해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면,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지 부재(6)가 서서히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므로, 롤러(1)에 작용하는 하중이 설정 하중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2개의 롤러(1)에 더하여 2개의 패드(3)가 하부 골조(19)에 접한다. 이에 의해, 하부 골조(19)의 하면의 최대 압축 응력이 저하되므로, 하부 골조(19)의 소성 변형이 방지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큰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변형되는 일이 없는 경량의 사다리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다리의 신축 동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구조 활동의 시간 등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2개의 롤러(1)와 2개의 패드(3)에 의해 하부 골조(19)를 지지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앞서 크레인 차를 예로 들어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 구조체가 사다리차에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제1 사다리부(51)의 하부 골조(19)와, 제2 사다리부(52)의 하부 골조(20) 사이에 설치되는 미끄럼 이동 구조체(39)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제1 사다리부(51)의 상부 골조(21)의 후단부에 마찬가지의 미끄럼 이동 구조체(39)를 설치하고, 이것을 통해 제2 사다리부(52)의 상부 골조(도시하지 않음)를 지지하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여기서는, 제1 사다리부(51)와 제2 사다리부(52)의 오버랩부(18)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나머지 2개의 오버랩부(18)에 미끄럼 이동 구조체(39)를 설치하면,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1 : 롤러
3 : 패드
6 : 지지 부재
7 : 선단부측 작업 붐
8 : 후단부측 작업 붐
9 : 프리프레그 시트
10 : 천
11 : 시트
12 : 베어링
13 : 판 스프링
14 : 코일 스프링
15 : 일정 곡률을 가진 형상을 하고 있는 패드
16 : 하중 전달 핀
17 : 작업 붐의 오버랩부
18 : 사다리부의 오버랩부
30, 34 내지 37, 39 : 미끄럼 이동 구조체
40 : 작업 장치
50 : 사다리

Claims (9)

  1. 네스트식으로 조합된 복수의 장척 구조물에 의해 구성되는 병진 신축 기구를 갖는 작업차이며,
    서로 병진 신축하는 2개의 장척 구조물이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2개의 장척 구조물 중 어느 하나와 미끄럼 이동하는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와,
    상기 2개의 장척 구조물이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제1 미끄럼 이동 부재가 미끄럼 이동하는 장척 구조물과 비로소 접촉하는 제2 미끄럼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네스트식으로 조합된 복수의 장척 구조물에 의해 구성되는 병진 신축 기구를 갖는 작업차이며,
    서로 병진 신축하는 2개의 장척 구조물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쪽의 장척 구조물에 고정되고, 당해 한쪽의 장척 구조물의 상방에 위치하는 다른 쪽의 장척 구조물과 미끄럼 이동하는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와,
    상기 2개의 장척 구조물이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쪽의 장척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 상기 다른 쪽의 장척 구조물과 비로소 접촉하는 제2 미끄럼 이동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끄럼 이동 부재는, 상기 장척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미끄럼 이동 부재는, 상기 2개의 제1 미끄럼 이동 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제1 미끄럼 이동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2개의 장척 구조물 중 한쪽의 장척 구조물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2개의 제1 미끄럼 이동 부재 및 상기 제2 미끄럼 이동 부재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2개의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끄럼 이동 부재는,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수축하는 탄성체를 통해 상기 2개의 장척 구조물 중 한쪽의 장척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미끄럼 이동 부재 중 한쪽은 롤러이고,
    상기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미끄럼 이동 부재 중 다른 쪽은, 상기 롤러와 미끄럼 이동하는 장척 구조물과 면 접촉 가능한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섬유 강화 복합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척 구조물과 접촉하는 면에는 유기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상기 장척 구조물과 접촉하는 면은, 당해 장척 구조물을 향해 볼록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미끄럼 이동 부재 중 한쪽은 2개 이상의 롤러이고,
    상기 제1 미끄럼 이동 부재와 상기 제2 미끄럼 이동 부재 중 다른 쪽은, 상기 롤러와 미끄럼 이동하는 장척 구조물과 면 접촉 가능한 2개 이상의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KR1020127003061A 2009-12-04 2009-12-04 작업차 KR101357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70417 WO2011067856A1 (ja) 2009-12-04 2009-12-04 作業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228A true KR20120046228A (ko) 2012-05-09
KR101357956B1 KR101357956B1 (ko) 2014-02-03

Family

ID=4411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061A KR101357956B1 (ko) 2009-12-04 2009-12-04 작업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18224B2 (ko)
KR (1) KR101357956B1 (ko)
CN (1) CN102471041B (ko)
WO (1) WO20110678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64B1 (ko) * 2021-06-17 2021-12-21 강희곤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75835A (zh) * 2011-06-16 2011-12-14 三一汽车起重机械有限公司 移动导轨机构及具有其的起重机
DE102011119654B4 (de) 2011-11-29 2015-11-12 Liebherr-Werk Ehingen Gmbh Mobile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Fahrzeugkran
CN103174715A (zh) * 2011-12-23 2013-06-26 苏州海伦哲专用车辆有限公司 一种伸缩臂滑块装置
CN104847759B (zh) * 2014-09-15 2017-04-05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伸缩臂架及具有其的起重机和胎带机
CN113501449B (zh) * 2021-07-30 2023-05-09 湖南三一中型起重机械有限公司 作业机械及作业机械支腿组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5004A (en) * 1967-02-01 1969-05-20 Bucyrus Erie Co Telescopic cantilevered boom
JPS4828544Y1 (ko) * 1970-08-11 1973-08-28
JPS5248256U (ko) * 1975-10-03 1977-04-06
US4272932A (en) * 1978-05-16 1981-06-16 Wappler Joachim H R Telescopic boom
JP3596640B2 (ja) 1996-02-07 2004-12-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伸縮ブームの摺動部材装置
JPH10101293A (ja) * 1996-09-26 1998-04-21 Komatsu Mec Corp ブームのスライドパッド装置
DE19738886A1 (de) * 1997-09-05 1999-03-11 Iveco Magirus Leitersatz für Feuerwehrleitern
ES2274196T3 (es) * 2003-09-01 2007-05-16 Palfinger Ag Grua con elemento de desplazamiento.
JP2006347722A (ja) * 2005-06-17 2006-12-28 Tadano Ltd 移動式クレーンの伸縮ブー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64B1 (ko) * 2021-06-17 2021-12-21 강희곤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7856A1 (ja) 2011-06-09
KR101357956B1 (ko) 2014-02-03
JP5318224B2 (ja) 2013-10-16
CN102471041B (zh) 2014-04-23
JPWO2011067856A1 (ja) 2013-04-18
CN102471041A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956B1 (ko) 작업차
EP3069993B1 (en) Aircraft landing gear assembly
EP2824031B1 (en) Pressure panels
US9242722B2 (en) Joystick for controlling an aircraft
CN102381291B (zh) 一种伸缩支腿及具有该伸缩支腿的工程机械
CN108481307A (zh) 一种面向大承载的连续型机器人
US9126253B2 (en) Mold for press forming
CN105836164B (zh) 一种航天器级间适配结构
EP2709944B1 (en) Telescopic arm for cranes and crane comprising said arm
CN213930056U (zh) 一种用于计算机硬件的减震固定装置
CN101270772A (zh) 利用反平行四边形的空间伸缩机构
EP2229336B1 (en) Lifting mechanism and transport vehicle equipped with such mechanism
US10377395B2 (en) Uncoupling lever for rail car with biasing member
US20240017821A1 (en) Aircraft landing gear provided with a leaf spring locking device
CN102101502B (zh) 舵柄臂卡车
EP2280861B1 (en) A single beam gangway for a boat
CN220642423U (zh) 一种具有阻尼装置的液压压缩设备
JP2024027498A (ja) ジャッキユニット
JP2023023905A (ja) 滑り支承、滑り支承の交換方法及び滑り支承交換用治具
JP5995824B2 (ja) 乗客コンベヤの筐体
JP2022143862A (ja) 床用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GB2510686A (en) An energy absorption device for a vehicle
JP2013091552A (ja) 天井クレーン及び天井クレーンの改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