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864B1 -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 - Google Patents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864B1
KR102341864B1 KR1020210078970A KR20210078970A KR102341864B1 KR 102341864 B1 KR102341864 B1 KR 102341864B1 KR 1020210078970 A KR1020210078970 A KR 1020210078970A KR 20210078970 A KR20210078970 A KR 20210078970A KR 102341864 B1 KR102341864 B1 KR 102341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ladder
support
pair
multiple st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곤
Original Assignee
강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곤 filed Critical 강희곤
Priority to KR102021007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복수개의 붐대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중첩되게 결합하여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되는 사다리차 붐에 관한 것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붐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붐대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상기 붐대 및 상기 붐대에 삽입되어 상기 사다리차 붐의 다단 사이에서 인출입으로 인한 접촉을 방지하는 패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Ladder truck boom with damage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붐대부재의 상, 하단부를 기준하여, 길이방향으로 전체길이의 15%~30% 범위 내에서 좌, 우측 대칭으로 상, 하단면에 패드부재를 삽입하여, 붐대 간의 면접촉으로 인한 마찰을 방지하고 붐대의 손상이 발생되는 현상을 개선한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에 관한 것이다.
사다리차(LT)는 이삿짐이나 화물 등의 중량물을 편리하고 빠르게 승하강시키는 특수 차량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사다리차(LT)는 차량(20)에 설치된 다단 구조의 사다리차 붐(10)을 길이 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인출하여 신축 가능한 붐대에 의해 그 끝단에 설치된 운반대(30)를 승강시킴으로써 이삿짐이나 화물 등의 중량물을 편리하고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15394(등록번호) "짐 운반용 사다리차"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사다리차(LT)의 붐대는 "ㄷ"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붐대부재가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한 다음, 붐대부재 사이를 크로스바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붐대가 되도록 하고, 이러한 붐대 최외곽의 메인 붐대부터 이격된 상태로 내측으로 형성되어 다단식 구조의 사다리차 붐(10)을 이룬다.
종래의 사다리차 붐(10)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단계적 인출, 인입과정에서, 좌, 우 휨이 발생되며 붐대 간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로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다리차 붐(10)이 인출될 때 붐의 불균형, 바람, 진동 등 외부, 내부적 요인에 의해 꺾임, 쓰러짐, 구부러짐 등 손상이 생기면서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다리차 붐(10)의 인입과정에서 좌, 우 휨을 방지하고 붐대 간의 마찰을 줄이며, 붐의 강도를 보강하고, 균형을 유지하여 사고 예방이 가능한 사다리차 붐에 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은, 붐대 최외관의 메인 붐대부터 이격된 상태로 내측으로 형성되어 다단식 구조를 갖는 사다리차 붐대의 다단 사이에 패드부재를 부착하여 단계적 인출 인입과정에서 좌, 우 휨과 붐대 간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요인에 취약한 사다리차 붐 상단부의 강도를 보강하고, 지면과 접촉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복수개의 붐대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중첩되게 결합하여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되는 사다리차 붐은,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붐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붐대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상기 붐대 및 상기 붐대에 삽입되어 상기 사다리차 붐의 다단 사이에서 인출입으로 인한 접촉을 방지하는 패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대는, 상, 하부를 기준으로, 총 길이의 15% ~ 30% 길이범위로 마련되며, 좌, 우 대칭으로 상기 패드부재가 탈부착 되도록 삽입되는 패드부재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대부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크로스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 삽입부는. 삽입된 상기 크로스바와 체결되도록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크로스바는, 중심을 기점으로 양단에 대칭이 되도록 나사홀을 형성하여, 상기 크로스바 삽입부에 삽입되고 양단이 체결나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차 붐대는, 중단부를 기준하여, 좌우 대칭으로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붐대의 인출입과정에서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복수의 마찰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찰저감부는, 붐대부재에 형성되는 마찰저감부 걸림홈에 결합되며, 상기 붐대의 인출입 방향에 따라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다리차 붐은, 상기 붐대에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재의 마모에 따라 상기 사다리차 붐의 다단 사이에서 인출입시 접촉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미세발성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발성돌기는, 상기 붐대의 좌우 대칭으로 상, 하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상기 패드부재 사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측 미세발성돌기 및 상기 내측 미세발성돌기의 외측면에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외측 미세발성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다리차 붐은, 최하단부 붐대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어 균형을 유지하고 지지하는 한 쌍의 붐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붐대 지지부는, 상기 붐대의 하단부 외측면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고, 지지축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브라켓; 상기 브라켓과 축 결합되고, 지면 방향으로 인출입되어 상기 사다리차 붐을 지지하는 지지다리 및 상기 최하단부 붐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의 인출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다리차 붐의 균형을 유지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다리차 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회전판과 결합되어 상기 감지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회전판을 회전하는 회전모터;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감지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을 동작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지지다리와 결합되어 상기 감지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지지다리의 인출입을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다리차 붐은, 상단부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되는 다단식 구조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붐대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붐대 보강부는, 상기 사다리차 붐의 상단부의 높이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는 보강고정부재 및 상기 보강고정부재에 결합되어 붐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되어 신장 및 수축하는 다단식 형태의 보강몸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은, 붐대 최외관의 메인 붐대부터 이격된 상태로 내측으로 형성되어 다단식 구조를 갖는 사다리차 붐대의 다단 사이에 패드부재를 부착하여 단계적 인출 인입과정에서 좌, 우 휨과 붐대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붐대부재에 형성되는 미세발성돌기를 통해 패드부재의 교체시기를 확인한다.
또한 사다리차 붐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붐대 보강부를 통해 외부요인에 취약한 사다리차 붐 상단부의 강도를 보강한다.
또한, 사다리차 붐의 최하단부에 붐대 지지부를 통해 지면과 접촉하여 균형을 유지한다.
도 1은 종래 사다리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이 인출되어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최외곽의 붐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크로스바 삽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6의 크로스바 삽입부에 체결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마찰저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미세발성돌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붐대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붐대 지지부의 각도조절 브라켓 회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붐대 지지부의 회전판 회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10의 붐대 지지부의 지지다리가 인출되어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붐대 지지부의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보조 사다리가 인출되어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0의 사다리차 붐의 붐대 지지부가 차량에 설치되어 사다리차 붐을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7의 (a) 및 (b)는 도 10의 붐대 지지부가 사다리차 붐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붐대 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붐대 보강부가 인출되어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1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이 인출되어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최외곽의 붐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10)은,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복수개의 붐대(100)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중첩되게 결합하여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10)은, 붐대(100) 및 패드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붐대(100)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붐대부재(110) 및 한 쌍의 붐대부재(11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크로스바(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붐대부재(11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10a), 수직프레임(110a)의 상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10b) 및 수직프레임(110a)의 하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크로스바 삽입부(110c)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크로스바 삽입부(110c)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크로스바(120) 양단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로스바(120)는 붐대부재(110)의 크로스바 삽입부(110c)에 삽입되어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0a)의 내, 외측면에는 패드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110a)의 소정 깊이가 뚫려있는 홀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패드부재 삽입홈(1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부재 삽입홈(111)은, 수직프레임(110a) 내측면과 외측면의 동일 수평선 상을 관통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드부재(200)는, 수직프레임(110a)의 내, 외측면에 삽입되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높이와 위치에 삽입되는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붐대(100)의 상, 하단부를 기준으로, 총 길이의 15% ~ 30% 길이범위로 마련되며, 수직프레임(110a)의 상, 하단면에 패드부재(200)가 삽입되는 패드부재 삽입홈(111)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붐대부재(110)는 일례로 고장력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발탄성력과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소재일 수 있다.
또한, 패드부재(200)는 붐대(100)에 부착되어 사다리차 붐(10) 다단 사이에서 인출입으로 인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재(200)는 마찰을 잘 견뎌내는 내마모성 소재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다단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붐대(100)가 이격되는 틈을 메워 사다리차 붐(10)의 인출, 인입과정에서 좌, 우 휨을 방지하고, 붐대(100)간 면접촉으로 인한 마찰을 방지하여 붐대(100)의 소음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재(200)는 패드부재 삽입홈(111)으로부터 탈부착 되어 교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크로스바 삽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도 6의 크로스바 삽입부에 체결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크로스바 삽입부(110c) 및 크로스바(120)는, 체결나사(B)가 관통할 수 있도록 나사홀(TG)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로스바(120)는, 중심을 기점으로 양단에 대칭이 되도록 나사홀(TG)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체결나사(B)가 크로스바 삽입부(110c) 및 크로스바(120)의 나사홀(TG)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붐대부재(110)에 크로스바(120)를 삽입한 후 체결나사(B)로 체결하는 것으로 인해 크로스바(120)의 이탈을 방지하며, 붐대부재(110)와 크로스바(120)를 단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나사(B)는 붐대부재(110)와 크로스바(120)가 결합되는 사이에 구비되어 체결나사(B)를 감싸며 형성되는 체결나사보호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체결나사(B)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마찰저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붐대(100)는, 마찰저감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저감부(112)는, 상기 붐대(100)의 중단부를 기준하여, 좌우 대칭으로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붐대(100)의 인출입과정에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찰저감부(112)는 상기 패드부재(200)가 구비되는 붐대부재(110)의 상, 하단부를 기준하여, 총 길이의 15% ~ 30% 길이범위를 제외한 중단면에 형성된 마찰저감부 걸림홈(113)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마찰저감부(112)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붐대(100)와 접촉되어 붐대(100)의 인출입 방향에 따라 회동되는 롤러헤드 및 롤러헤드의 측방으로 연장되며 삽입되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마찰저감부 걸림홈(1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패드부재(200)가 부착된 붐대부재(110)의 단면과 부착되지 않은 붐대부재(110)의 단면의 단차를 줄이고, 붐대(100)간 마찰을 방지하여 붐대(100)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마찰저감부(112)는 마찰저감부 걸림홈(113)으로부터 탈부착 되어 교체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미세발성돌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차 붐(10)은, 미세발성돌기(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발성돌기(114)는, 붐대(100)에 형성되어 패드부재(200)의 마모에 따라 사다리차 붐(10)의 다단 사이에서 인출입시 접촉으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미세발성돌기(114)는, 내측 미세발성돌기(114a) 및 외측 미세발성돌기(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미세발성돌기(114a)는, 상기 붐대(100)의 정단면을 기준으로 좌, 우측 대칭으로 상, 하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패드부재(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미세발성돌기(114b)는, 상기 내측 미세발성돌기(114a)의 외측면에서 엇갈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다리차 붐(10)의 다단 사이에서 패드부재(200)의 마모 정도가 50% 내지 70% 이하인 경우, 도 9의 (a)와 같이 내측 미세발성돌기(114a)와 외측 미세발성돌기(114b)는 사다리차 붐(10)의 인출입 과정에서 접촉되지 않고, 패드부재(200)의 마모 정도가 50% 내지 70% 이상인 경우, 도 9의 (b)와 같이 내측 미세발성돌기(114a)와 외측 미세발성돌기(114b)가 사다리차 붐(10)의 인출입 과정에서 접촉되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다리차 붐(10)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지 않은 패드부재(200)의 마모 정도 및 교체시기를 소리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붐대 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붐대 지지부의 각도조절 브라켓 회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붐대 지지부의 회전판 회동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10의 붐대 지지부의 지지다리가 인출되어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0의 붐대 지지부의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5는 도 10의 보조 사다리가 인출되어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0의 사다리차 붐의 붐대 지지부가 차량에 설치되어 사다리차 붐을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7의 (a) 및 (b)는 도 10의 붐대 지지부가 사다리차 붐을 지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차 붐(10)은, 붐대 지지부(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붐대 지지부(300)는, 사다리차 붐(10)의 최하단부 붐대(100)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어 균형을 유지하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붐대 지지부(300)는, 회전판(310), 각도조절 브라켓(320), 지지다리(330) 및 제어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판(310)이 사다리차 붐(10)의 최하단부 붐대(100)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회전판(310)에 각도조절 브라켓(320)이 용접 결합되며, 각도조절 브라켓(320)과 지지다리(330)가 힌지에 의해 축 결합되고, 제어모듈(340)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각도조절 브라켓(320)에 의해 지지다리(33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판(310)에 의해 지지다리(330)가 회전되어 지면을 향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다리(330)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인출입에 의해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붐대 지지부(3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각도조절 브라켓(320)에 의해 지지다리(330)가 차량(20)에 접촉되지 않도록 각도가 조절된 후 회전판(310)에 의해 지지다리(330)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되며, 지지다리(330)가 연장되어 지면에 닿아 사다리차 붐(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40)은, 최하단부 붐대(100)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330)의 인출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다리차 붐(1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모듈(340)은 기울기 센서(341), 회전모터(342), 구동모터(343) 및 유압실린더(34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기울기 센서(341)는, 최하단부 붐대(100)에 구비되어 사다리차 붐(10)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모터(342)는, 회전판(310)과 결합되어 감지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회전판(3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343)는, 각도조절 브라켓(320)과 결합되어 감지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각도조절 브라켓(32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344)는, 지지다리(330)와 결합되어 감지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지지다리의 인출입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보조 사다리(40)을 사다리차 붐(10)의 후방으로 인출하여 사다리차 붐(10)을 더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을 참조하면, 붐대 지지부(300)는 제어모듈(340)에 의해 사다리차 붐(10)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회전판(310), 각도조절 브라켓(320), 지지다리(330)를 동작하여 사다리차 붐(10)의 균형을 유지하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a) 및 (b)를 참조하면, 붐대 지지부(300)는 턴 테이블을 구비한 사다리차(LT)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붐대 지지부(300)는 사다리차 붐(10)의 균형을 유지하여 쏠림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패드부재(200)의 편마모 및 사다리차 붐(10)의 휨과 꺾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턴테이블에 의해 돌아간 사다리차 붐(10)의 무게를 지지하여 사다리차(LT)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의 붐대 보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붐대 보강부가 인출되어 연장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차 붐(10)은, 붐대 보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붐대 보강부(400)는 사다리차 붐(10)의 상단부의 붐대(100) 외측면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 되는 다단식 구조물로 형성되되,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붐대 보강부(400)는, 보강고정부재(410) 및 보강몸체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고정부재(410)는, 붐대(100) 외측면에 각각 사다리차 붐(10)의 상단부의 높이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보강고정부재(410)는 각각 다른 붐대(100)에 설치될 수 있는데, 하나의 보강고정부재(410)가 상단부의 붐대(100) 중 하나에 설치되고, 하나의 보강고정부재(410)가 설치된 붐대(100)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붐대(100) 중 하나에 다른 하나의 보강고정부재(41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강몸체부재(420)는 보강고정부재(410)에 결합되어 붐대(1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되어 신장 및 수축하는 다단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사다리차 붐(10)이 인출되어 연장에 따라, 붐대 보강부(400)가 외측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붐대 보강부(400)는 사다리차 붐(10)의 하단부에 비해 강성이 약한 상단부를 보강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사다리차 붐
20 : 차량
30 : 운반대
40 : 보조 사다리
100 : 붐대
110 : 붐대부재
110a : 수직프레임
110b : 수평프레임
110c : 크로스바 삽입부
111 : 패드부재 삽입홈
112 : 마찰저감부
113 : 마찰저감부 걸림홈
114 : 미세발성돌기
114a : 내측 미세발성돌기
114b : 외측 미세발성돌기
120 : 크로스바
200 : 패드부재
300 : 붐대 지지부
310 : 회전판
320 : 각도조절 브라켓
330 : 지지다리
340 : 제어모듈
341 : 기울기 센서
342 : 회전모터
343 : 구동모터
344 : 유압실린더
400 : 붐대 보강부
410 : 보강고정부재
420 : 보강몸체부재
B : 체결나사
LT : 사다리차
TG : 나사홀

Claims (8)

  1.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복수개의 붐대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중첩되게 결합하여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되는 사다리차 붐에 있어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붐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붐대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상기 붐대 및
    상기 붐대의 내, 외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사다리차 붐의 다단 사이에서 인출입으로 인한 접촉을 방지하는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붐대는,
    내, 외측면의 동일 수평선 상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붐대부재의 상, 하부를 기준으로, 총 길이의 15% ~ 30% 길이범위로 마련되며, 좌, 우 대칭으로 상기 패드부재가 탈부착 되도록 삽입되는 패드부재 삽입홈을 포함하는 사다리차 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부재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크로스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 삽입부는,
    삽입된 상기 크로스바와 체결되도록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크로스바는,
    중심을 기점으로 양단에 대칭이 되도록 나사홀을 형성하여, 상기 크로스바 삽입부에 삽입되고 양단이 체결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중단부를 기준하여, 좌우 대칭으로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붐대의 인출입과정에서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복수의 마찰저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찰저감부는,
    붐대부재에 형성되는 마찰저감부 걸림홈에 결합되며, 상기 붐대의 인출입 방향에 따라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 붐.
  5.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복수개의 붐대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중첩되게 결합하여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되는 사다리차 붐에 있어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붐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붐대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상기 붐대 및
    상기 붐대에 삽입되어 상기 사다리차 붐의 다단 사이에서 인출입으로 인한 접촉을 방지하는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차 붐은,
    상기 붐대에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재의 마모에 따라 상기 사다리차 붐의 다단 사이에서 인출입시 접촉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미세발성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발성돌기는,
    상기 붐대의 좌우 대칭으로 상, 하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상기 패드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미세발성돌기 및
    상기 내측 미세발성돌기의 외측면에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외측 미세발성돌기를 포함하는 사다리차 붐.
  6.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복수개의 붐대가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중첩되게 결합하여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되는 사다리차 붐에 있어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붐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붐대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상기 붐대 및
    상기 붐대에 삽입되어 상기 사다리차 붐의 다단 사이에서 인출입으로 인한 접촉을 방지하는 패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다리차 붐은,
    최하단부 붐대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지면과 접촉되어 균형을 유지하고 지지하는 한 쌍의 붐대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붐대 지지부는,
    상기 최하단부 붐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고, 지지축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 브라켓;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과 축 결합되고, 지면 방향으로 인출입되어 상기 사다리차 붐을 지지하는 지지다리 및
    상기 최하단부 붐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다리의 인출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다리차 붐의 균형을 유지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다리차 붐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상기 회전판과 결합되어 상기 감지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회전판을 회전하는 회전모터;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감지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각도조절 브라켓을 동작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지지다리와 결합되어 상기 감지된 기울기를 기반으로 상기 지지다리의 인출입을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사다리차 붐.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차 붐은,
    상단부의 붐대 외측면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되는 다단식 구조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붐대 보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붐대 보강부는,
    상기 사다리차 붐의 상단부의 높이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는 보강고정부재 및
    상기 보강고정부재에 결합되어 붐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인출입되어 신장 및 수축하는 다단식 형태의 보강몸체부재를 포함하는 사다리차 붐.
KR1020210078970A 2021-06-17 2021-06-17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 KR102341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70A KR102341864B1 (ko) 2021-06-17 2021-06-17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70A KR102341864B1 (ko) 2021-06-17 2021-06-17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864B1 true KR102341864B1 (ko) 2021-12-21

Family

ID=7916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970A KR102341864B1 (ko) 2021-06-17 2021-06-17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86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091A (ja) * 1996-11-28 1998-08-11 Kobe Steel Ltd 伸縮ブーム
KR20100077384A (ko) * 2008-12-29 2010-07-08 권오준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차량
KR20120046228A (ko) * 2009-12-04 2012-05-0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작업차
JP2017036625A (ja) * 2015-08-12 2017-02-16 長谷川工業株式会社 アウトリガー式脚装置
KR20170080758A (ko) * 2015-12-30 2017-07-11 임대우 고가 사다리차용 복합 신축 붐
KR101763649B1 (ko) * 2016-03-30 2017-08-0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붐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091A (ja) * 1996-11-28 1998-08-11 Kobe Steel Ltd 伸縮ブーム
KR20100077384A (ko) * 2008-12-29 2010-07-08 권오준 아웃트리거가 구비된 차량
KR20120046228A (ko) * 2009-12-04 2012-05-0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작업차
JP2017036625A (ja) * 2015-08-12 2017-02-16 長谷川工業株式会社 アウトリガー式脚装置
KR20170080758A (ko) * 2015-12-30 2017-07-11 임대우 고가 사다리차용 복합 신축 붐
KR101763649B1 (ko) * 2016-03-30 2017-08-0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0124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6183873B1 (ja) 駐輪機
RU2721376C2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лифтовой установки и адаптируемая к возрастающей высоте здания лифтовая установка
WO2020113254A1 (de) Regallagersystem mit verbesserter ladegut-manipulationseinheit
JP2004307215A (ja) 可動式伸縮クレーン用のテンションシステム
KR101700969B1 (ko) 스태커 크레인
US10800641B2 (en) Outrigger comprising an apparatus for reducing vibrations
KR102341864B1 (ko) 손상방지 기능을 갖는 사다리차 붐
KR20110133549A (ko) 세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무거운 문짝을 위한 콤팩트한 캐리지
JP2738454B2 (ja) リフトトラック用のマスト装置
CN109476467A (zh) 具有配重调整装置的起重机及调整起重机上的配重的方法
JP3212483U (ja) 駐輪機
EP4253308A1 (en) Lateral reinforcement type boom for ladder truck
US20070031219A1 (en) Load receiving means for single or multiple deep storage and retrieval of objects into and from a shelf
KR102275660B1 (ko) 횡보강식 사다리차용 붐대
CN108137269B (zh) 电梯设备
JP3677683B2 (ja) リフトおよびエレベータ用の自動ドア運動機構内の多機能結合・支持要素
EP3736241B1 (en) Conveying system of an escalator
IT202100025505A1 (it) Struttura di mensola rampante per casserature per getti verticali
CN208413589U (zh) 一种大载重电梯轿架
WO1995018912A1 (en) Feed beam for a rock drill
JP2010143354A (ja) 鉄道車両の車体構造
SE461270B (sv) Lyftstaellning foer lyftfordon
CN217398164U (zh) 斜行电梯轿厢导靴结构
CN219492196U (zh) 电梯底坑爬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