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039A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039A
KR20120039039A KR1020127004887A KR20127004887A KR20120039039A KR 20120039039 A KR20120039039 A KR 20120039039A KR 1020127004887 A KR1020127004887 A KR 1020127004887A KR 20127004887 A KR20127004887 A KR 20127004887A KR 20120039039 A KR20120039039 A KR 20120039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polymer
layer
styrene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353B1 (ko
Inventor
신 도쿠이
요시히사 사이모토
히사유키 오고다
노리히데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미쓰이 가가쿠 토세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5/00Presence of styren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층(A)과, 점착층(X)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고, 점착층(X)이, 융점이 50℃ 미만이거나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α-올레핀 (공)중합체(X-1) 0 내지 50중량%, 융점이 50 내지 140℃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 (공)중합체(X-2a) 및 융점이 50℃ 이상 140℃ 이하의 범위에 있는 에틸렌계 (공)중합체(X-2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올레핀 (공)중합체 0.5 내지 50중량%,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 10 내지 98중량%, 및 올리고머(X-4) 0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X-1), (X-2), (X-3) 및 (X-4)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SURFACE PROTECTION FILM}
본 발명은, 광학 제품, 건재,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점착 특성, 특히 피착체에 대한 점착성 및 점착력의 경시(經時)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열성이 우수하고, 피착체 등에의 오염이 적고, 또한 피쉬 아이(fish eye) 등의 외관이 우수하고, 피착체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추가적으로 롤상으로부터 조출(繰出)시 조출성이 용이한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은, 주로 건재용이나 광학 용도용의 수지 제품, 금속 제품, 유리 제품 등의 피착체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이들의 수송, 보관이나 가공시의 상처 또는 이물질 혼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 표면 보호 필름은, 일반적으로는 점착성이 없는 표면층과, 상기 피착체와 점착시키기 위한 점착층으로 이루어진다. 표면층은 보통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폴리염화바이닐 등의 바이닐 중합체로 형성된다.
최근, 액정 화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나 후면 투사(rear projection) 화면 등에 이용하는 부재, 이른바 광학 제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광학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하여, 상처 또는 이물질 혼입뿐만 아니라, 표면 보호 필름을 부착한 상태로 제품 검사를 할 수 있는 투명성이나, 고온 상태에서 부착이나 열처리 공정을 거쳐도 적절한 점착력이 발현하는 등의 특성이 소망되고 있다.
또한, 광학 제품에 관해서는, 예컨대 편광판, 위상차판, 도광판, 프리즘판과 같이 광학 특성이 요구되는 부재가 많이 있고, 이들의 부재에 대하여도 적절한 점착력 및 경시적으로도 안정한 점착력이 발현될 수 있는 보호 필름이 소망되고 있다.
한편, 이들의 광학 부재에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한 경우, 표면 보호 필름을 벗겼을 때에, 접착물 잔류나, 표면 보호 필름에 피쉬 아이가 존재하면, 광학 부재에 결함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어, 접착물 잔류나 피쉬 아이가 없는 표면 보호 필름이 소망되고 있다.
또한, 비교적 점착력이 높은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롤상의 제품으로부터 조출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점착층에 이형 필름을 접합한 상태에서 롤상으로 하고, 피착체에의 부착시에 상기 이형 필름을 벗겨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정을 채용하면, 대량의 폐기물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형 필름이 없더라도 용이하게 롤로부터 조출할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6-116769호 공보에는, 폴리에틸렌 성분을 주체로 한 표면 보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동 공보에 의한 방법에서는, 일부 용도 부재에 대하여는 적용할 수 있지만, 점착력이 낮고, 또한 투명성도 불충분하여, 피착체의 용도에는 한계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07-126512호 공보에는, 아이소뷰틸렌계 블록 공중합체인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동 공보에 의한 방법에서는, 고 요철의 피착체에 접합할 경우, 점착 특성이나 점착력의 경시 안정성이 불충분하여, 한층 더 개량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6-11676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7-126512호 공보
본 발명은, 광학 제품, 건재 제품이나 자동차 부품의 보관, 수송, 가공, 검사시에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특성, 특히 피착체에의 점착 특성, 점착력의 경시 안정성, 투명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피착체 등에의 오염이 적고, 또한 피쉬 아이 등의 외관이 우수하고, 피착체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또한 롤로부터의 조출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예의 검토한 결과, 어떤 특정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해 상기 과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표면층(A)이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고, 점착층(X)이, 융점이 50℃ 미만이거나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α-올레핀 (공)중합체(X-1) 0 내지 50중량%, 융점이 50 내지 140℃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 (공)중합체(X-2a) 및 융점이 50℃ 이상 140℃ 이하의 범위에 있는 에틸렌계 (공)중합체(X-2b)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올레핀 (공)중합체(X-2) 0.5 내지 50중량%,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 10 내지 98중량%,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0 내지 9,000의 범위에 있고, 연화점이 60 내지 160℃의 범위에 있는 올리고머(X-4) 0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X-1), (X-2), (X-3) 및 (X-4)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가,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기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을 T-다이로부터 압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다층 필름인 표면 보호 필름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 특성, 특히 고 요철 피착체에의 점착 특성 및 경시 안정성, 투명성, 풀림력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광학 용도, 건재 용도, 자동차 부품 용도의 보호 필름으로서 산업상의 이용가치는 매우 높다.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 또는 필요에 따라 표면층(A), 기재층(B) 및 점착층(X)의 적어도 3층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점착층(X)을 최내층으로 한 경우 표면층(A)은 최외층에 위치하고, 필름을 롤형상으로 하는 때에는 표면층(A)과 점착층(X)이 접촉한다.
표면층(A)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진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공지된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블록 폴리프로필렌을 들 수 있고, 폴리에틸렌으로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풀림성의 관점으로부터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투명성, 내열성의 관점으로부터 호모 폴리프로필렌이나 블록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 표면층(A)을 형성하는 조성물 중에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대전 방지제, 이형제, 산화 방지제, 내후제, 결정핵제 등의 각종 첨가제나, 그 밖의 폴리올레핀 수지, 왁스,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개질제를 첨가할 수 있다.
점착층(X)에 사용되는 α-올레핀 (공)중합체(X-1)의 융점은 50℃ 미만이거나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 여기서, 융점은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값이다. α-올레핀 (공)중합체(X-1)는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이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1-뷰텐 단독 중합체, 1-뷰텐?에틸렌 공중합체, 1-뷰텐?프로필렌 공중합체, 4-메틸펜텐-1 단독 중합체, 4-메틸펜텐-1?프로필렌 공중합체, 4-메틸펜텐-1?1-뷰텐 공중합체, 4-메틸펜텐-1?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이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이다.
α-올레핀 (공)중합체(X-1)의 230℃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은, 0.1 내지 100 g/10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g/10분의 범위에 있다.
프로필렌 (공)중합체(X-2a)의 융점은 50 내지 14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13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5℃의 범위에 있다. 프로필렌 (공)중합체(X-2)는 중합 촉매,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 또는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내지 10(프로필렌을 제외한다)의 공중합체이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융점이 50 내지 140℃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 (공)중합체(X-2a)에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이와 함께 에틸렌, 탄소수 4 내지 10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있다. 이들은, 230℃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이 0.1 내지 100 g/10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 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합하다.
에틸렌계 (공)중합체(X-2b)는, 중합 촉매,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을 단독 중합 또는 에틸렌과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지된 에틸렌계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0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다.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펜텐-1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한편, 메탈로센 촉매에는 하프 메탈로센 등도 포함되고, 그 밖의 여러가지 단일 자리(single site) 촉매도 이용할 수 있다.
에틸렌계 (공)중합체(X-2b)의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이 5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5℃의 범위에 있다.
이들 에틸렌 (공)중합체의 190℃에서 측정한 용융 유량(MFR)은, 0.01 내지 20 g/10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프로필렌 (공)중합체(X-2a) 및 에틸렌계 (공)중합체(X-2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올레핀 공중합체(X-2)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의 올레핀 공중합체(X-2)는,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그 중에서도 융점이 50 내지 130℃이고 메탈로센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가 적합하다.
한편, 메탈로센 촉매에는 하프 메탈로센 등도 포함되고, 그 밖의 여러가지 단일 자리 촉매도 이용할 수 있다.
메탈로센 촉매에는, 사이클로펜타다이엔, 인덴, 플루오렌, 이들의 알킬 치환체, 아릴 치환체 등의 유도체를 리간드로 하고 지르코늄, 하프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가교, 비가교의 메탈로센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촉매가 있고, 이들은 알루미녹산 등의 조촉매계와 함께 이들의 올레핀 (공)중합체를 중합에 의해 제조할 때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올레핀 (공)중합체(X-2)는, 필요에 따라 그의 1종 이상이 사용된다. 따라서, 프로필렌 (공)중합체(X-2a)를 2종류 이상 이용한 경우나, 에틸렌 (공)중합체를 2종류 이상 이용한 경우는, 1종류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분자량 분포(Mw/Mn)의 값이 넓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그 분자량 분포(Mw/Mn)는 폴리스타이렌 환산에 근거하여, 그 값이 1 내지 4인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인 중합체이다.
이들의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프로필렌계 중합체(X-2a), 또는 에틸렌 (공)중합체(X-2b)를 점착층에 배합함에 의해, 점착층의 피점착면을 오염시키는 일 없고, 접착물 잔류 등의 부적합이 없어, 특히 적합하다.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로서는, 폴리스타이렌상을 하드 세그먼트로서 갖는 공지된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공중합체(SBR),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공중합체(SIS),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SBS), 스타이렌?바이닐아이소프렌?스타이렌 중합체 등의 스타이렌과 다이엔의 공중합체 및 그들의 수소화물(예컨대, 스타이렌?에틸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SEBS) 등)이나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스타이렌 트라이블록 공중합체(SIBS),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 다이블록 공중합체(SIB)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필렌 (공)중합체(X-2a)를 병용하고, 또한,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로서,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스타이렌 트라이블록 공중합체(SIBS) 등의 트라이블록 공중합체와 함께,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 다이블록 공중합체(SI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다이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아이소뷰틸렌 성분을 포함하는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SIBS 등의 트라이블록 공중합체와 함께, SIB 등의 다이블록 공중합체를 병용하는 데 있어서, 그 비율은 트라이블록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다이블록 공중합체를 900중량부 정도까지 병용하는 것이 실시되고, 그 중에서도 20 내지 200중량부가 적합하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아이소뷰틸렌 성분을 포함하는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를 이용하는 태양으로서,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로서, SIB 등의 다이블록 공중합체만, 또는 다이블록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 그 중에서도 1 내지 10중량부의 트라이블록을 이용하는 태양이 있다.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하 Mw로 약기)은, 10,000 내지 300,0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250,00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200,000의 범위에 있다. Mw가 10,000보다 작거나 300,000보다 크면, 보호 필름의 생산성이 나빠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점착층(X)에 사용하는 올리고머(X-4)로서는, GPC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0 내지 9,000의 범위에 있고, JIS K2207로 측정한 연화점이 60 내지 160℃의 범위에 있는 올리고머이다. 바람직하게는 Mw가 300 내지 7,000, 연화점이 70 내지 1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w가 500 내지 5,000, 연화점이 80 내지 140℃의 범위에 있다.
올리고머(X-4)로서는, 상기 분자량 및 연화점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구체적으로는 석유 수지, 수첨계 석유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크로메인?인덴 수지, 로진 유도체, 터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타이렌계 수지, 수첨 석유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타이렌계 수지이다. 스타이렌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스타이렌 단독 중합체, α-메틸스타이렌 단독 중합체, 스타이렌/α-메틸스타이렌 공중합체, 스타이렌계 모노머/지방족계 모노머 공중합체, α-메틸스타이렌/지방족계 모노머 공중합체, 스타이렌계 모노머/α-메틸스타이렌/지방족계 모노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층(X)은, α-올레핀 (공)중합체(X-1) 0 내지 50중량%, 프로필렌 (공)중합체(X-2) 0.5 내지 50중량%,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 10 내지 98중량%, 올리고머(X-4) 0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α-올레핀 (공)중합체(X-1)가 0 내지 40중량%, 프로필렌 (공)중합체(X-2) 1 내지 40중량%,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 30 내지 96중량%, 올리고머(X-4) 1 내지 40중량%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α-올레핀 (공)중합체(X-1)가 2 내지 30중량%, 프로필렌 (공)중합체(X-2) 2 내지 30중량%,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 50 내지 95중량%, 올리고머(X-4) 1 내지 30중량%의 범위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α-올레핀 (공)중합체(X-1)가 2 내지 15중량%, 프로필렌 (공)중합체(X-2) 2 내지 30중량%,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 68 내지 95중량%, 올리고머(X-4) 1 내지 30중량%의 범위(모두 (X-1), (X-2), (X-3) 및 (X-4)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 중, α-올레핀 (공)중합체(X-1)를 이용하는 일 없이, 올레핀 (공)중합체(X-2)로서 에틸렌 (공)중합체(X-2b)를 이용하는 경우는, 에틸렌 (공)중합체(X-2b) 0.5 내지 50중량%,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 30 내지 98중량%, 올리고머(X-4) 0 내지 50중량%의 범위((X-2b), (X-3) 및 (X-4)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에 있다. 더 적합하게는, 에틸렌 (공)중합체(X-2b) 2 내지 30중량%,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 50 내지 95중량%, 올리고머(X-4) 2 내지 20중량%의 범위(모두 (X-2b), (X-3) 및 (X-4)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에 있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층(X)에는, 점착력, 경시 점착력의 제어나 풀림력의 제어를 목적으로, 결정성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상기 조성물에 첨가할 수도 있다.
결정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융점이 110℃를 넘는 공지된(상기 (X-2)의 구성요건을 전부 만족시키는 것을 제외한다) 폴리올레핀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1-뷰텐 단독 중합체, 1-뷰텐?에틸렌 공중합체, 1-뷰텐?프로필렌 공중합체, 4-메틸펜텐-1 단독 중합체, 4-메틸펜텐-1?프로필렌 공중합체, 4-메틸펜텐-1?1-뷰텐 공중합체, 4-메틸펜텐-1?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에틸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융점이 110℃ 이하,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1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80℃ 이하이거나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내지는 에틸렌과 불포화 카복실산 또는 불포화 카복실산에스터의 공중합체이다(단, 상기 (X-4)의 구성요건을 전부 만족시키는 중합체는 제외한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펜텐-1 공중합체, 에틸렌?1-옥텐공중합체, 프로필렌 단독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1-뷰텐 단독 중합체, 1-뷰텐?에틸렌 공중합체, 1-뷰텐?프로필렌 공중합체, 4-메틸펜텐-1 단독 중합체, 4-메틸펜텐-1?프로필렌 공중합체, 4-메틸펜텐-1?1-뷰텐 공중합체, 4-메틸펜텐-1?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점착층(X)의 1성분으로서 사용할 때의 함유량으로서는, 상기 (X-1), (X-2), (X-3) 및 (X-4)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부이다.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첨가함으로써 원하는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고, 또한 여러가지 피착체에 적합한 점착 특성을 발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 중, α-올레핀 (공)중합체(X-1)를 이용하는 일 없이, 올레핀 (공)중합체(X-2)로서 에틸렌 (공)중합체(X-2b)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의 점착층(X)의 1성분으로서 사용할 때의 함유량은, 상기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 에틸렌계 (공)중합체(X-2b)와 올리고머(X-4)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중량부이다.
상기 결정성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첨가함으로써 원하는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고, 또한 여러가지 피착체에 적합한 점착 특성을 발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X-1), (X-2), (X-3) 및 (X-4)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및 필요에 따라 결정성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를 가한 조성물에 의해,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층(X)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추가로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산변성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등의 수지 개질제나, 대전 방지제, 결정핵제, 산화 방지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추가로 표면층(A)과 점착층(X)의 사이에 적어도 1층의 기재층(B)을 설치할 수 있다. 필름의 기계 강도나 투명성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 또한 표면층(A) 및 점착층(X)과의 접착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중간층으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나 접착성 수지 내지는 접착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기재층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융점이 100℃ 이상인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결정성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을 접착층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변성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 엘라스토머 등이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 생산성 및 투명성의 점에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중간층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X-1), (X-2), (X-3) 및 (X-4)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및 필요에 따라 결정성 폴리올레핀 및/또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필요에 따라 수지 개질제 또는 첨가제는, 상기 표면층(A), 필요에 따라 기재층(B)과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표면층(A)과 점착층(X), 필요에 따라 기재층(B)을 적층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미리 T-다이 성형 또는 인플레이션 성형으로써 수득된 표면층 필름상에, 압출 적층, 압출 코팅 등의 공지된 적층법에 의해 적층하는 방법이나, 기재층 및 점착층을 독립적으로 필름으로 한 후, 각각의 필름을 드라이 적층에 의해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지만, 생산성의 점에서, 표면층, 기재층, 점착층의 각 성분을 다층의 압출기에 제공하여 성형하는 공압출 성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표면층(A)의 두께로서는, 0.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이다. 점착층(X)의 두께로서는, 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로서는, 1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0㎛이다.
상기 바람직한 형태의 표면층(A), 점착층(X) 및 필요에 따라 기재층(B)을 사용하는 것으로, 점착 특성, 특히 프리즘 시트 등의 고 요철의 피착체에 대하여 우수한 점착력이 발현하고, 또한 투명성이 우수한 표면 보호 필름이 얻어지고, 특히 건재 용도, 광학 용도에 대하여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평가법]
점착력(아크릴판)
아크릴판을 폭 50mm, 길이 125mm로 절단하고, 이 시험판에 2kg의 고무 롤러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이어서, 300 mm/분의 속도로 박리(180도 박리)한 때의 박리력을 측정하고, 50mm 폭당 박리력을 점착력(N/50mm)으로 한다.
점착력( 프리즘판 )
시판의 프리즘 시트에 보호 필름을 부착하고, 300 mm/분의 속도로 박리(180도 박리)한 때의 박리력을 측정하고, 50mm 폭당 박리력을 점착력(N/50mm)으로 한다.
용융 유량( MFR )
ASTM D1238에 준거하여, 하중 2.16kg, 온도 230℃에서 측정했다.
접착물 잔류( 오염성 )
접착물 잔류의 측정은, 시험편을, 폭 50mm, 길이 100mm의 아크릴판의 표면에 점착 필름을 기포가 들어가도록 부착하여 작성했다. 그 시험편을 50℃에서 일주일 유지한 후, 23℃에서 1시간 방치한 후, 아크릴판으로부터 점착 필름을 벗겨, 아크릴판상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아크릴판상에, 접착물 잔류 또는 오염 물질이 없는 경우를 ○, 있는 경우를 ×로 평가했다.
풀림력 ( 조출성 )
롤상 샘플을 이용하여, 300 mm/분의 속도로 롤로부터 박리하는 때의 박리력(N/25mm)을 측정하여, 풀림력으로 한다.
[실시예 1A]
표면층, 기재층 및 점착층용으로 40mmφ의 단축 압출기를 겸비하고 다이 폭500mm의 3종 3층 T-다이 성형기에 하기 수지 조성물을 표 1에 기재한 배합량으로 각각 공급하고, 표면층 두께를 10㎛, 점착층 두께 10㎛, 기재층 두께 30㎛, 총 두께 50㎛의 표면 보호 필름을 수득했다. 수득된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면층:
LD-1: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0.920 g/cm3, MFR(190℃) 6 g/10분)
기재층:
PP-1: 호모 폴리프로필렌
(융점 160℃, MFR(230℃) 7 g/10분)
EL-1: 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상품명: 타프마, 상표명: A-4085S, MFR= 3.6 g/10분, 미쓰이화학주식회사 제조)
점착층:
PEBR: 프로필렌?에틸렌?1-뷰텐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 13몰%, 뷰텐 함량 19몰%, 융점은 관측되지 않음, MFR= 7 g/10분)
SIBS: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스타이렌 트라이블록 코폴리머
(상품명: 시부스타, 상표명: 062T, MFR= 8.0 g/10분, 주식회사가네카사 제조)
SIB: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 다이블록 코폴리머
(상품명: 시부스타, 상표명: 042D, MFR= 8 g/10분, 주식회사가네카사 제조)
OL-1: 스타이렌계 모노머/지방족계 모노머 공중합체(올리고머)
(상품명: FTR, 상표명: FTR6125, Mw= 1950, 연화점 125℃, 미쓰이화학주식회사 제조)
OL-2: 수첨계 석유 수지(올리고머)
(상품명: 아르콘, 상표명: P-125, 연화점 125℃, Mw= 1200, 아라카와화학공업주식회사 제조)
PP-A: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분자량 분포(Mw/Mn)= 4.0, 융점= 138℃, MFR= 7 g/10분)
MP-1: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
(분자량 분포(Mw/Mn)= 2.1, 융점= 115℃, MFR= 7 g/10분)
MP-2: 프로필렌?1-뷰텐 공중합체(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
(분자량 분포(Mw/Mn)= 2.0, 융점 70℃, MFR= 7 g/10분)
PP-2: 호모 폴리프로필렌
(상품명: F107BV, 융점= 160℃, MFR= 7 g/10분, 주식회사 프라임몰리머사 제조)
[실시예 2A 내지 9A 및 비교예 1A 내지 4A]
각종 층의 수지 조성을 표 1에 기재된 수지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A와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수득했다. 수득된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의한 보호 필름은, 프리즘 등의 요철판에의 점착성이나 점착력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1B]
표면층, 기재층 및 점착층용으로 40mmφ 단축 압출기를 겸비하고 다이 폭 500mm의 3종 3층 T-다이 성형기에 하기 수지 조성물을 표 2에 기재된 배합량으로 각각 공급하고, 표면층 두께를 10㎛, 점착층 두께 10㎛, 기재층 두께 30㎛, 총 두께 50㎛의 표면 보호 필름을 수득했다. 수득된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단, 표면층, 기재층의 조성은 실시예 1A와 마찬가지로 했다.
점착층:
SEBS: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 수소화물
(상품명: 타프테크, 상표명: H1221, MFR= 8.0 g/10분, 아사히화성주식회사 제조)
OL-1: 스타이렌계 모노머/지방족계 모노머 공중합체(올리고머)
(상품명: FTR, 상표명: FTR6125, Mw= 1950, 연화점 125℃, 미쓰이화학주식회사 제조)
OL-2: 수첨계 석유 수지(올리고머)
(상품명: 아르콘, 상표명: P-125, 연화점 125℃, Mw= 1200, 아라카와화학공업주식회사 제조)
ME-1: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메탈로센 촉매로 제조)
(분자량 분포(Mw/Mn) 2.1, 융점= 115℃, MFR(190℃)= 3.6 g/10분, 밀도 0.915 g/cm3)
PP-2: 호모 폴리프로필렌
(상표명: F107BV, 융점= 160℃, MFR= 7 g/10분, 주식회사 프라임폴리머사 제조)
[실시예 2B, 3B 및 비교예 1B, 2B]
각종 층의 수지 조성을 표 2에 기재된 수지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B와 같이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수득했다. 수득된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Claims (3)

  1.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표면층(A)이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고, 점착층(X)이, 융점이 50℃ 미만이거나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α-올레핀 (공)중합체(X-1) 0 내지 50중량%, 융점이 50 내지 140℃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 (공)중합체(X-2a), 및 융점이 50℃ 이상 140℃ 이하의 범위에 있는 에틸렌계 (공)중합체(X-2b)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 이상의 올레핀 (공)중합체(X-2) 0.5 내지 50중량%,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 10 내지 98중량%,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00 내지 9,000의 범위에 있고, 연화점이 60 내지 160℃의 범위에 있는 올리고머(X-4) 0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지는 조성물((X-1), (X-2), (X-3) 및 (X-4)의 합계를 100중량%로 한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X-3)가,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표면층(A) 및 점착층(X)의 적어도 2층을 T-다이로부터 압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다층 필름인 표면 보호 필름.
KR1020127004887A 2009-08-04 2010-08-03 표면 보호 필름 KR101690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1664 2009-08-04
JP2009181664 2009-08-04
JPJP-P-2009-181978 2009-08-04
JP2009181978 2009-08-04
PCT/JP2010/063083 WO2011016446A1 (ja) 2009-08-04 2010-08-03 表面保護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039A true KR20120039039A (ko) 2012-04-24
KR101690353B1 KR101690353B1 (ko) 2016-12-27

Family

ID=4354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887A KR101690353B1 (ko) 2009-08-04 2010-08-03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21193B2 (ko)
KR (1) KR101690353B1 (ko)
CN (1) CN102549092B (ko)
TW (1) TWI516789B (ko)
WO (1) WO20110164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508A (ko) * 2014-09-25 2017-06-08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조성물 및 적층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9390B2 (ja) * 2009-08-06 2014-11-05 三井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CN102676087B (zh) * 2012-04-23 2014-05-21 南通捷诺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无胶网纹膜及其制备方法
JP5932463B2 (ja) * 2012-04-26 2016-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6131153B2 (ja) * 2013-09-10 2017-05-17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画像表示装置および入出力装置
WO2015129426A1 (ja) * 2014-02-28 2015-09-03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加熱工程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6679839B2 (ja) * 2014-05-09 2020-04-15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放熱フィルム
JP6423634B2 (ja) * 2014-07-22 2018-11-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リズムシート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プリズムシート
JPWO2016063673A1 (ja) * 2014-10-20 2017-08-03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組成物および積層体
CN104789141A (zh) * 2015-03-24 2015-07-22 昆山金华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增光片专用聚丙烯保护膜
JP2018145365A (ja) * 2017-03-09 2018-09-20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8199173A1 (ja) 2017-04-25 2018-11-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
CN107142032B (zh) * 2017-05-03 2020-12-08 张家港康得新光电材料有限公司 自粘保护膜
CN109422952B (zh) * 2017-07-07 2022-09-20 大金工业株式会社 树脂组合物和表面保护膜
JP2019019334A (ja) * 2018-10-16 2019-02-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リズムシート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プリズムシート
CN112126364A (zh) * 2020-09-21 2020-12-25 广东东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粘结层组合物、自粘膜及其应用
CN114507486B (zh) * 2020-11-16 2024-02-20 象山激智新材料有限公司 一种耐高温保护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439A (ja) * 1995-11-24 1997-06-03 Kuraray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H10298514A (ja) * 1997-04-28 1998-11-10 Mitsui Chem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116769A (ja) 2004-10-20 2006-05-11 C I Kasei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188646A (ja) * 2004-12-07 2006-07-20 Tohcello Co Ltd 粘着フィルム
JP2007126512A (ja) 2005-11-01 2007-05-24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273085A (ja) * 2007-05-01 2008-11-13 Mitsui Chemical Fabro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90234A (zh) * 1999-10-19 2003-01-08 埃克森化学专利公司 含胺基接枝聚合物,其制备方法和它们的用途
CN101189317A (zh) * 2005-06-06 2008-05-2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表面保护膜
JPWO2010084832A1 (ja) * 2009-01-21 2012-07-19 Dic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439A (ja) * 1995-11-24 1997-06-03 Kuraray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H10298514A (ja) * 1997-04-28 1998-11-10 Mitsui Chem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116769A (ja) 2004-10-20 2006-05-11 C I Kasei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188646A (ja) * 2004-12-07 2006-07-20 Tohcello Co Ltd 粘着フィルム
JP2007126512A (ja) 2005-11-01 2007-05-24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273085A (ja) * 2007-05-01 2008-11-13 Mitsui Chemical Fabro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508A (ko) * 2014-09-25 2017-06-08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조성물 및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16446A1 (ja) 2013-01-10
CN102549092B (zh) 2014-04-30
CN102549092A (zh) 2012-07-04
KR101690353B1 (ko) 2016-12-27
TWI516789B (zh) 2016-01-11
WO2011016446A1 (ja) 2011-02-10
JP5921193B2 (ja) 2016-05-24
TW201131193A (en)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353B1 (ko) 표면 보호 필름
JP489034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749774B1 (ko) 표면 보호 필름
JP573819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94337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7485000B2 (ja) 粘着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積層フィルム
JP2007161882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30031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36387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312429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443893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037956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得られる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420873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1096351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61939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85530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937704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568702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214492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