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961A - 왁시 물질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에멀젼 - Google Patents

왁시 물질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에멀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961A
KR20120037961A KR1020127002557A KR20127002557A KR20120037961A KR 20120037961 A KR20120037961 A KR 20120037961A KR 1020127002557 A KR1020127002557 A KR 1020127002557A KR 20127002557 A KR20127002557 A KR 20127002557A KR 20120037961 A KR20120037961 A KR 2012003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oil
weight
waxy material
melt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씬디 델발레
소피 한스젠스
호우리아 세그히어
실비에 보우첼오크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3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9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케어, 헬쓰 케어 또는 하우스홀드 케어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수성 에멀젼을 제공한다. 이러한 에멀젼은 10.5℃ 이상의 융점을 갖는, 1중량% 이상의 왁시 물질 및 왁시 물질과 비혼화성인 1중량%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또한, 에멀젼은 10℃ 미만의 융점을 갖는 오일을 함유하고, 오일은 용융되는 경우 왁시 물질과 혼화성이고, 5:95 내지 95:5 범위의 오일 대 왁시 물질의 중량비로 존재한다. 이것은 저온에서 안정한 에멀젼을 얻을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왁시 물질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에멀젼{PERSONAL CARE EMULSIONS COMPRISING WAXY MATERIALS AND ORGANOPOLYSILOXANES}
본 발명은 왁시(waxy) 물질을 함유하는 퍼스널 케어(persnal care) 조성물, 예컨대, 스킨 케어(skin care) 및 헤어 케어(hair care) 조성물, 화장품 및 세면 용품에 관한 것이다. 왁시 물질, 특히 식물성 버터(vegetable butter)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중에서 점점 대중화되고 있다. 식물성 버터는 식물-유래 지질로서, 그것의 주요 구성 성분(일반적으로 90% 초과)은 트리글리세라이드이다. 식물성 버터는 다기능성 성분으로 간주되어, 완화제(emollient), 보습제(moisturizer), 에멀젼화제(emulsifier) 또는 윤활제(lubricant)로서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은 오가노폴리실록산(실리콘) 뿐만 아니라 왁시 물질을 함유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버터는 특히 에멀젼(emulsion) 중에 고농도로 사용될 경우, 이들의 결정화 거동으로 인해 화장품 및 그 밖의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포뮬레이터(formulator)를 곤란하게 할 수 있다. 결정화는, 온도가 버터의 융점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몇몇 이들 버터는 실온에 가깝거나 약간 높은 융점을 갖는다. 주어진 버터의 결정화 경향은 주로 그것의 화학적 구조, 그것의 농도, 그것의 융점 및 그것의 다형성(polymorphism) 특성에 의존한다. 화장품 산업에서, 화장품 제품의 유통 기한(shelf life) 동안 화장품 제품의 조도(consistency) 및 텍스쳐(texure)를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특성은 완성된 제품의 품질과 관련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버터는 지질 결정 네트워크의 형성을 촉진하는 경향을 갖는다. 이것은 에멀젼을 탈안정화시킨다. 이러한 후반 현상은 조도(크림형(creamy)에서 거친 양상을 갖는 그레인형(grainy)으로) 및 외관에서의 변화(점적 유착으로부터 형성된 오일 또는 지방의 뚜렷한 분리상이 보여질 수 있음)를 유발한다. 또한, 에멀젼의 레올로지(rhology) 특성이 변경된다. 오가노폴리실록산은 많은 퍼스널 케어, 헬쓰 케어(health care) 및 하우스홀드 케어(household care) 에멀젼의 중요한 성분이지만, 일반적으로 식물성 버터와 비혼화성이어서, 저온에서의 탈안정화에 대해 식물성 버터를 함유하는 에멀젼을 안정화시키지 않는다.
JP 2009/019023에는 (A) 쌀겨 왁스(rice bran wax) 및/또는 수소화된 쌀겨 왁스, (B)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C)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D) 분지형 지방산 및/또는 분지형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헤어-드레싱(hair-dressing) 에멀젼화된 화장품이 기재되어 있다.
WO 03/013447에는 실리콘 유체, 실리콘 비혼화성 물질, 및 실록산-기재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헤어 및 스킨 케어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논문('Particle-stabilized emulsions comprised of solid droplets', J. Giermanska-kahn et al, Langmuir 2005, 21, pp 4316-4323)에는 오일/물 계면에서 콜로이드 크기의 고체 실리카 입자를 흡수함으로써 파라핀 왁스 결정을 포함하는 동역학적(kinetically)으로 안정화된 수중 유형(oil-in-water) 에멀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형성된 에멀젼은 실리카 입자의 존재로 인해 큰 입도를 갖고, 왁스의 융점 미만으로 냉각시 결정화에 대해 안정화되지만, 외부 계면활성제에 민감하다. 이러한 종류의 에멀젼(입자에 의한 안정화)은 화장품 및 세면 용품 포뮬레이션용으로 적절하지 않다.
논문('Thermally induced gelling of oil-in-water emulsions comprising partially crystallized droplets: the impact of interfacial crystals', F.Thivilliers et al, Langmuir 2008, 24, pp 13364-13375)에는 결정화 경향을 갖는 버터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저분자량의 계면활성제와 단백질의 혼합물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단백질의 사용은 긴 유통 기한을 갖도록 의도되는 화장품 제품에 여러 단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단백질은 이러한 용도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계면활성제와 상용성(compatible)이지 않다. 더구나, 단백질은 박테리아성 성장을 증진시키고 보존하기 더 어렵다.
본 발명의 한가지 측면에 따르면, 10.5℃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이상의 융점을 갖는 1중량% 이상의 왁시 물질 및 왁시 물질과 비혼화성인 1중량%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수성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은 에멀젼의 오일 대 왁시 물질의 중량비를 5:95 내지 95:5인 범위로 하여 10℃ 미만의 융점을 갖고, 용융된 왁시 물질과 혼화성인 오일을 혼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오일은 왁시 물질이 용융될 때 상분리 없이 왁시 물질 중에 혼합될 수 있다면, 오일은 왁시 물질과 혼화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저온에서의 안정성은, 에멀젼을 저온으로 되게 한 후,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채로 있어야 하는 입도에 의해, 그리고 현미경으로 에멀젼을 평가함으로써 알 수 있다. 에멀젼을 저온으로 되게 한 후 에멀젼의 입도가 실질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결정이 없다면 저온에서 안정한 것이다.
퍼스널 케어, 헬쓰 케어 또는 하우스홀드 케어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10.5℃ 이상의 융점을 갖는,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의 왁시 물질, 왁시 물질과 비혼화성인,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또한 10℃ 미만의 융점을 갖는 오일을 함유하며, 오일은 용융되는 경우 왁시 물질과 혼화성이고, 오일 대 왁시 물질의 중량비는 5:95 내지 95:5의 범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퍼스널 케어, 헬쓰 케어 또는 하우스홀드 케어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성 에멀젼을 저온에서 안정화시키는 10℃ 미만의 융점을 갖는 오일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은 10.5℃ 이상의 융점을 갖는,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의 왁시 물질을 포함한다.
안정성이 요구되는 목표로 하는 저온에 의존하여, 상이한 융점을 갖는 상이한 액상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10℃의 융점을 갖는 오일은 20℃ 또는 15℃ 이하의 온도에서의 탈안정화에 대해 에멀젼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0℃ 미만의 융점을 갖는 오일은 5℃ 이하의 온도에서의 안정화에 대해 에멀젼을 안정화시킬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성 버터 또는 그 밖의 왁시 물질에 -20℃ 미만의 융점을 갖는 오일을 첨가함으로써 10℃ 이하의 저온, 특히 5℃ 이하 내지 -10℃ 또는 -20℃의 매우 낮은 온도에서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된 에멀젼을 형성시켰다.
10.5℃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의 융점을 갖는 왁시 물질은 다수의 포뮬레이션에서 식물성 버터와 같은, 식물 종자, 열매, 너트(nut) 또는 커넬(kernel)로부터 유래된 트리글리세라이드 왁스이지만, 다르게는 하이드로카본 왁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왁시 물질은 15 내지 20℃의 온도에서 가소성(plastic) 또는 가단성(melleable)이고, 10.5℃ 이상의 융점을 갖고, 용융 시 낮은 점도를 갖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목적 상, 식물성 버터는 10.5℃ 이상의 적가(titer) 또는 융점을 갖는 것으로 규정된다. 몇몇 식물성 버터는 40.5℃ 미만(또는 45℃)이나 20℃ 초과의 융점 또는 적가를 갖는다(AOCS 방법 Tr 1 a-64T에 따라 O'Lenick의 "Oil of nature"). 본 발명의 에멀젼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성 버터의 예는 스킨 케어 및 다른 퍼스널 케어 화장품 용도로 흔히 사용되는 것들, 예컨대, 일반적으로 30 내지 45℃ 범위의 융점을 갖는 망고 버터(mango butter), 셰어 버터(shea butter), 코코아 버터(cocoa butter), 및 코컴 버터(kokum butter)를 포함한다. 추가의 예로는 일립(illipe), 쿠푸아수(cupuacu), 무르무르(murumuru), 살(sal), 투쿠마(tucuma) 및 모우라(mowrah) 버터가 포함된다. 몇몇 식물성 트리글리세라이드 제품은 식물성 버터의 특성을 지니지만, 예를 들어, 스킨 케어 및 다른 퍼스널 케어 및 화장품 용도로 종종 사용되며, 20 내지 28℃ 범위의 융점을 갖는 코코넛오일, 34 내지 43℃의 융점을 갖는 망고 커넬 오일, 37℃의 융점을 갖는 팜 오일, 팜 올레인 및 팜 스테아린과 같이 보통 오일로 불린다. 이러한 제품이 본 발명에서 왁시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버터의 혼합물은 이러한 에멀젼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인공(man-made) 버터는 천연 버터를 미적으로 어울리게 하는 화장품 산업에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버터는 수소화가 된 것이거나, 수소화되거나 분별화된 식물성 오일과 물리적으로 블렌딩된, 정제된 화장품용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올리브, 아보카도(avocado), 마카다미아(macadamia), 호호바(jojoba) 및 아몬드(almond)로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인공 버터는 본 발명의 에멀젼에 왁시 물질로서 다른 식물성 버터와 함께 또는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멀젼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의 식물성 버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또는 10% 이상의 식물성 버터를 함유하고, 50 또는 70중량% 이하의 식물성 버터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멀젼에 사용할 수 있는 식물 종자, 열매, 너트 또는 커넬로부터 유래되는 그 밖의 왁시 물질은 팜 왁스, 쌀겨 왁스 또는 소이(soy) 왁스를 포함한다. 카복실산 에스테르, 특히 트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사용될 수 있는 그 밖의 왁스는 밀랍(beeswax), 라놀린(lanolin), 수지(tallow), 카나우바(carnauba), 칸델릴라(candelilla) 및 트리베헤닌(tribehenin)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왁시 물질은 하이드로카본 왁스, 예컨대, 석유-유래 왁스, 특히, 파라핀 왁스 또는 미정질 왁스(Microcrystalline wax), 피셔-트롭스(Fischer-Tropsch) 왁스, 세레신 왁스(ceresin wax),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일 수 있다. 파라핀 왁스는 주로 평균 20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 사슬 길이를 갖는 직쇄 하이드로카본을 함유한다. 미정질 왁스는 보다 높은 백분율의 분지형 하이드로카본 및 나프텐 하이드로카본을 함유한다. 사용될 수 있는 그 밖의 유기 하이드로카본은 몬탄(montan) 왁스(리그나이트(lignite)-왁스로도 알려져 있음), 오조케라이트(ozokerite) 또는 슬래그(slag) 왁스이다.
다르게는, 왁시 물질은 장쇄 지방산, 장쇄 지방 알코올, 장쇄 지방 아민, 장쇄 지방 아미드, 에톡실화된 지방 산 또는 지방 알코올, 또는 장쇄 알킬 페놀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방 산, 알코올, 아민 또는 아미드의 장쇄는 1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6개 이상의 탄소 원자, 흔히 30개 이하 또는 그 이상의 탄소 원자의 알킬기이다. 다르게는, 왁시 물질은 폴리에테르 왁스, 예를 들어, 고형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왁시 폴리비닐 에테르일 수 있거나, 실리콘 왁스, 일반적으로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하이드로카본 치환기를 함유하는 폴리실록산일 수 있다.
10.5℃ 이상의 융점을 갖는 왁시 물질은 에멀젼 중에 1중량% 이상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으로 개선되는 결정화 거동은, 특히 왁시 물질이 에멀젼 중에 고농도, 예를 들어, 에멀젼 중 10 또는 15중량% 이상 내지 에멀젼 중 50 또는 심지어 70중량% 이하의 농도로 사용될 경우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오가노폴리실록산은 보통 M, D, T, 및 Q 실록산 단위로 각각 지칭되는 (R3SiO0 .5), (R2SiO), (RSiO1 .5), 또는 (SiO2) 실록산 단위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실록산 단위를 함유하며, 여기서 R은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의 유기기, 예를 들어,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기, 특히 메틸 또는 에틸, 또는 페닐 기, 아랄킬 기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치환된 알킬 기, 예컨대, 아미노알킬 기 또는 4차 아미노알킬 기일 수 있다. 적합한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완전히 또는 주로 D 단위로 이루어진 선형 또는 분지형 폴리디오가노실록산,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메틸기 중 일부가 치환된 알킬 기로 교체되는 작용적으로 치환된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T 및/또는 Q 단위를 함유하는 분지형 실록산 수지, 예를 들어, D 및 T 단위를 함유하는 DT 수지 또는 M 및 Q 단위를 함유하는 MQ 수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틸기 중 일부가 아미노알킬 기로 치환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치환된 폴리디메틸실록산과 같은 폴리디오가노실록산은 컨디셔너와 같은 헤어 케어 조성물에 사용된다.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실리콘 검으로서 공지된 매우 높은 분자량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오가노폴리실록산은 에멀전 중에 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의 농도로 존재하며, 예를 들어, 10 또는 15중량% 내지 50 또는 70중량%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10℃ 미만, 또는 안정성이 요구되는 그 밖의 목표로 하는 저온의 융점을 갖는 오일은,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 오일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과 같은 에스테르 오일 일 수 있다. 미네랄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예를 들어, 석유 분획이 될 수 있거나, 화학 반응, 예컨대, 수소화, 예를 들어, 수소화된 폴리데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목표로 하는 저온이 10℃ 미만, 예를 들어, 0℃ 미만 또는 -10℃ 또는 -20℃ 미만일 경우, 요구되는 저융점을 갖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은 일반적으로 높은 비율의 불포화 및 다가불포화 지방산 잔기를 함유한다. 예로는 셰아 오일, 대두유(soybean oil), 호호바 오일, 해바라기 오이일(sunflower oil), 포도씨유, 유채씨유(rapeseed oil), 해바라기 오일, 옥수수(maize) 오일, 올리브유, 달맞이꽃 오일(evening primrose oil), 보리지 오일(borage oil), 아마 씨유(flax seed oil), 쌀겨유, 파마자유(castor oil) 및 아마인 오일(linseed oil)이 포함되고, 이들 모두는 0℃ 훨씬 미만에서 융점을 갖고, 목표로 하는 0℃ 미만의 저온에서 안정성을 증진시키기에 적합하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추가의 예로는 목화씨유(cottonseed oil), 대지콩유(땅콩유), 참기름, 및 오동 오일(tung oil)이 포함되고, 이들 모두는 0℃에 가까운 융점을 갖고, 목표로 하는 10 또는 15℃의 온도에서 안정성을 증진시키기에 적합하다. 액상 오일의 혼합물, 예를 들어, 하이드로카본 오일과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의 혼합물 또는 상이한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들의 혼합물은 저온에서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10℃ 미만 또는 그 밖의 목표로 하는 저온의 융점을 갖는 오일은 용융된 식물성 버터 또는 그 밖의 용융된 왁시 물질과 혼화성인 오가노개질된(organomodified) 실리콘 오일, 예를 들어, 폴리페닐메틸실록산, 예컨대, 상표 DC 566하의 Dow Corning에서 판매되는 오일일 수 있다.
다르게는, 10℃ 미만 또는 그 밖의 목표로 하는 저온의 융점을 갖는 오일은 시클릭 오가노폴리실록산, 예컨대,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또는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또는 용융된 식물성 버터 또는 그 밖의 왁시 물질과 혼화성인 또 다른 저분자량의 실리콘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시클릭 오가노폴리실록산, 및 유사한 분자량의 선형 폴리오가노실록산은 식물성 버터, 예컨대, 셰아 버터 및 망고 버터와 혼화성임을 발견하였다.
용매는 액상 오일과의 배합이 필요할 경우, 저온 안정성을 개선시키기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매의 일례는 에탄올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에멀젼은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에멀젼으로서 왁시 물질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에멀젼화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계면활성제는 퍼스널 케어 제품에서의 용도를 위해 공지된 임의의 것일 수 있고,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및 중합 계면활성제(polymeric surfactant)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상이한 유형의 계면활성제 또는 하나 초과의 동일한 유형의 계면활성제(이온성 또는 비이온성)가 사용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장쇄(12 내지 20℃) 알킬 에테르, 예컨대, Steareth-21(Uniqema로부터의 Brij 721) 및 Ceteth-20(Uniqema로부터의 Brij 58),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탄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알콕실레이트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페놀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코폴리머, 장쇄 지방산 아미드 및 이들의 유도체, 예컨대, 코코아미드 디에탄올아미드(Cocoamid DEA), 및 알킬폴리사카라이드를 포함한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나트륨 에톡실화된 라우릴 설페이트(나트륨 라우레쓰 설페이트 또는 SLES),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나트륨 알킬벤젠설포네이트, 나트륨 자일렌설포네이트, 암모늄 라우레쓰 설페이트, 나트륨 폴리나프탈렌설포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및 암모늄 자일렌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4차 암모늄 할라이드, 예컨대, 옥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도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헥사데실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옥틸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데실 디메틸 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도데실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옥타데실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수지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코코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그 밖의 이러한 물질, 지방 아민 및 염기성 피리디늄 화합물의 염, 벤지미다졸린의 4차 암모늄 염기 및 폴리프로판올폴리에탄올 아민을 포함한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APB), 코카미도프로필 하이드록시설페이트, 코코베타인, 나트륨 코코아미도아세테이트, 코코디메틸 베타인, N-코코-3-아미노부티르 산 및 이미다졸리늄 카복실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중합 계면활성제의 예는 폴리비닐 알코올, 단백질,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코폴리머 계면활성제(상표명 Pluronic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 및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코폴리머(상표명 Marloquest HSCB 및 Marloquest UK하에 입수가능)를 포함한다.
수성 에멀젼의 물 함량은 일반적으로 10중량% 이상이고, 85 또는 90중량% 이하가 될 수 있다. 스킨 크림 에멀젼의 물 함량은 통상적으로 15 내지 50중량%의 범위에 있을 수 있는 반면, 샤워 겔 또는 헤어 샴푸는 더욱 높은 물 함량을 가질 것이다.
에멀젼의 계면활성제 함량은 일반적으로 1중량% 이상이고, 예를 들어, 모이스쳐라이져와 같은 스킨 크림에 대하여 2 내지 10% 범위에 있을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샴푸와 같은 클리닝 제품에 대하여 25 또는 40% 이하로 상당히 더욱 높을 수 있다.
에멀젼은 여러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어느 한 공정은 두 에멀젼을 별개로 생산하는 것이다. 어느 한 에멀젼은 오가노폴리실록산만의 에멀젼이고, 나머지 하나는 식물성 버터와 같은 제 2 왁시 물질의 에멀젼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버터 및 저 융점 오일은 혼합되어 에멀젼화 전에 버터/오일 블렌드를 형성한다. 이후, 별도 제조된 버터 에멀젼 및 실리콘 에멀젼이 혼합된다. 다르게는, 에멀젼은 왁시 물질, 오가노폴리실록산 및 저융점 오일을 혼합하고, 이들을 함께 에멀젼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오가노폴리실록산(실리콘)은 매우 소수성이기 때문에, 안정한 에멀젼이 기계적으로 생산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리콘은 높은 기계적 전단하에 계면활성제 및 소량의 물과 혼합되어, 낮은 전단율에서 매우 높은 비점을 갖고(단독의 실리콘 폴리머 보다 훨씬 더 점성임), 종종 항복 응력(점가소성 거동)을 나타내는 비-뉴톤(non-Newtonian) "두꺼운 상(thick phase)"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다. "두꺼운 상"의 계면 활성제 함량은 예를 들어, 2%에서 10 또는 20중량% 이하의 범위에 있을 수 있고, 물의 양은 0.5%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이상에서 10 또는 20% 이하가 된다. 형성된 에멀젼은 추가의 물 및 계면활성제로 희석될 수 있다. 이러한 "두꺼운 상" 공정은 실리콘과 왁시 물질 및 오일 혼합물의 에멀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오일은 계면활성제 용액과 혼합되고, 고전단 또는 고압 장치를 사용하여 에멀젼화될 수 있다. 고전단 장치의 예는 각각 Ultraturax(IKA Gmbh), Rannie(APV), 또는 쏘노레이터(Sonic)이다.
본 발명의 에멀젼은 퍼스널 케어 용도, 예컨대, 헤어, 스킨, 점막 또는 치아에 유용하다. 스킨 케어 용도에서, 실리콘은 윤활성이어서 스킨 크림, 스킨 케어 로션, 모이스쳐라이져, 페이셜(facial) 치료제, 예컨대, 여드름 또는 주름 제거제, 퍼스널 및 페이셜 클렌져, 예컨대, 샤워 겔, 액상 비누, 손 소독제, 바쓰 오일(bath oil), 퍼퓸(perfume), 향수(fragrance), 콜롱(cologne), 향낭(sachet), 데오드란트, 일광 보호 크림, 로션 및 물수건, 색조 화장품, 예컨대, 파운데이션 및 마스카라, 셀프 태닝 크림 및 로션, 프리-쉐이브 및 에프터 쉐이브 로션, 에프터 선 로션 및 크림, 발한 억제제 스틱, 소프트 솔리드 및 롤-온, 쉐이빙 숍 및 쉐이빙 레더의 특성을 개선시킬 것이다. 식물성 버터 또는 유사한 왁시 물질은 피부에 닿으면 쉽게 용융되어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진정 효과를 제공할 것이고, 또한 산화적 안정성, 보습제 특성, 소염제 특성으로부터 퍼스널 케어 제품에 이르기까지 유리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에멀젼은 헤어 케어 제품, 예컨대, 샴푸, 린스-오프 및 리브-온 헤어 컨디셔너, 헤어 스타일링 보조제, 예컨대, 스프레이, 무스 및 젤, 헤어 염색제, 헤어 릴렉서(hair relaxer), 퍼머넌트(permanent), 탈모제, 및 큐티클 코팅에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실리콘은, 예를 들어, 스타일링과 컨디셔닝 이점을 제공한다. 화장품에서, 실리콘 및 식물성 버터 둘 모두는 메이크업, 색조 화장품, 콤팩트 젤, 크림 및 액상 파운데이션(유중수형 및 수중유형 에멀젼 또는 무수물 로션), 블러쉬,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마스카라, 및 메이크업 리무버 중 안료용 균염제(levelling agent) 및 전착제(spreading agent)로서 작용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및 왁시 물질의 에멀젼은 오일 및 수용성 물질, 예컨대, 비타민, 향수, 연화제, 착색제, 유기 선스크린, 또는 의약을 위한 전달 시스템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비율 및 백분율이 중량부인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실시예 1
18g의 용융된 HY-4003 셰아 버터(Dow Corning으로부터) 및 18g의 고순도 정제된 셰아 오일(Biochemica로부터)을 칭량하여 병 안에서 블렌딩하였다. 350 cts 점도의 트리메틸실릴-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 200 유체(PDMS) 36g을 따로 칭량하였다.
1.23g의 용융된 Brij 721(Uniqema로부터), 2.47g의 용융된 Brij 58(Uniqema로부터), 2.3g의 온수, 2g의 PDMS 및 2g의 셰아 버터/셰아 오일 액화된 블렌드를 덴탈 팟(dental pot)에서 함께 칭량하였다. 전체 혼합물을 2750 RPM으로 36초 동안 Hauschild Dental 혼합기(DAC 40)를 사용하여 에멀젼화하였다. 셰아 버터/셰아 오일 블렌드 및 실리콘을, 모든 버터/오일 블렌드 및 모든 실리콘이 블렌드에 혼입될 때까지 2g의 용융된 버터/오일 블렌드 및 2g의 PDMS 부분을 연속하여 첨가하였다. 모두 첨가한 후, Dental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버터/오일 블렌드 및 실리콘을 각각 첨가하면서 2.3g의 물을 첨가하여 혼합물의 점도를 낮추었다. 마지막으로, 남은 물을 여러번 나누어(총 23.32g) 첨가하였다. 각각의 물이 첨가된 후, Dental 혼합기에서 혼합하였다. 이후, 칼륨 소르베이트 및 페녹시에탄올 살생물제 및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소듐 염(EDTA-2NA)을 첨가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포뮬레이션을 제공하였다.
동량의 용융된 식물성 버터와 동량의 액상 오일을 혼합하고, 이 블렌드를 상기 기재된 공정을 사용하여 에멀젼화제, 물 및 실리콘으로 에멀젼화시킴으로써 임의의 액상 오일 후보 물질의 효과를 시험할 수 있었다. 형성된 에멀젼을 목표로 하는 저온에 의존하여 온도 프로파일로 처리할 수 있었고, 이어서 입도를 측정하였다. 에멀젼을 저온이 되게 한 후 입도가 변하지 않으면, 그 오일은 버터/실리콘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여겼다.
실시예 2
실시예 1을 버터/오일 블렌드로서 27g의 셰아 버터 및 9g의 셰아 오일을 사용하여 반복하였다.
비교 실시예 C1
실시예 1을 버터/오일 블렌드 대신에 36g의 셰아 버터를 사용하여 반복하였다.
Figure pct00001
각각의 실시예 1, 2 및 C1에서, 실온(RT)에서 안정한 유중수형 에멀젼이 생성되었다. 에멀젼의 입도는 Malvern Mastersizer 2000으로 측정되었으며, 표 2에 나타나 있다.
각각의 에멀젼을 시험 챔버(climatic chamber)(
Figure pct00002
Industrietechnik GmbH에 의해 공급됨; 장비 유형: VT 4011)에서 다양한 에이징(ageing) 사이클로 시험하였다. 에이징 사이클은 다음과 같았다:
- 10℃에서 24시간
- 5℃에서 24시간
- 0℃에서 24시간
- -5℃에서 24시간
- -10℃에서 24시간
- -18℃에서 24시간
각각의 에이징 사이클 후, 에멀젼이 실온으로 되돌아가게 방치하였다. 이어서, 이것들을 시각적 외관 및 에멀젼 입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샘플이 허용가능한 외관을 갖을 경우, 샘플을 더 낮은 온도의 다음 사이클을 위해 시험 챔버에 다시 두고, 샘플이 실온으로 가온될 때의 뚜렷한 변화, 예를 들어, 그레인 외관 또는 침출이 보이는 오일이 있을 때까지 시험을 반복하였다. 각각의 에이징 사이클 후, 각각의 에멀젼의 입도를 Malvern Mastersizer 2000에 의해 측정하고, 하기 표 2에 기록되어 있다.
셰아 버터만(액상 오일 아님)을 함유하는 비교 실시예 C1의 에멀젼을 15℃에서 안정시키자, 10℃에서 24시간 후 에멀젼에 입상성(graininess)이 나타났다. 이 때, 입도를 Malvern Mastersizer 2000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지만, 셰아 버터의 큰 덩어리가 보임을 광학 현미경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Zeiss Axioplan, 전송된 광(illumination)으로 100x 배율로 작동).
50:50의 셰아 버터 및 셰아 오일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의 에멀젼을 -10℃ 이하의 반복된 시험 챔버에서 24시간 싸이클로 처리하였는데, 에멀젼은 어떠한 탈안정화의 표시를 나타내지 않았다. 안정성은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 이하에서 일정한 입도가 보여짐으로써 확인되었다. -10℃에서 24시간 후 어떠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75:25의 셰아 버터 및 셰아 오일의 블렌드를 함유하는 실시예 2의 에멀젼은 -5℃ 이하에서 안정하였다. 이 에멀젼은 -10℃에서 탈안정화를 나타냈다. -10℃에서 24시간 후, 에멀젼은 그레인을 나타냈고, 입도는 Malvern Mastersizer 2000에 의해 측정할 수 없었다. 광학 현미경으로 에멀젼의 탈안정화 표시인 셰아 덩어리가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에멀젼은 실시예 1의 에멀젼과 같이 -10℃에서 매우 안정하지 않지만, 비교 실시예 C1의 에멀젼보다는 상당히 개선된 저온 저장 특성을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n/a : 허용 불가능
실시예 3
셰아 버터 대신에 상표명 HY-4001로 Dow Corning으로부터 입수가능한 망고 버터를 사용하고, 셰아 오일 대신에 상표명 HY-4008로 Dow Corning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비교 실시예 C2
비교 실시예 C1을 반복하되 셰아 버터 대신에 망고 버터 HY-4001을 사용하여 비교 실시예 C2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실시예 3 및 C2를 시험하였으며, 결과는 표 3에 보고되어 있다.
Figure pct00004
망고 버터만(액상 오일 아님)을 함유하는 비교 실시예 C2의 에멀젼은 실온에서 안정하였지만, 10℃에서 24시간 후 에멀젼은 입상성을 나타냈다.
동일 중량의 망고 버터 및 식물성 오일을 함유하는 실시예 3의 에멀젼을 10℃ 이하의 반복된 시험 챔버에서 24시간 사이클로 처리하였는데, 에멀젼은 어떠한 탈안정화의 표시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 이하에서 일정한 입도로 나타남으로써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Emulac(우유 카제인)을 Brenntag로부터 입수하고, 셰아 버터 HY-4003을 Dow Corning으로부터 입수하고, 포도씨유를 ID BIO SAS로부터 구입하였다. 셰아 버터를 결정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용융시켰다. 이후, 용융된 셰아 버터를 100 cts 점도의 포도씨유 및 트리메틸실릴-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 200 유체(PEMS)와 혼합하였다. 재결정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카제인 단백질을 간단한 프로펠러를 사용하여 6%의 농도로 물에 용해시켰다. 단백질을 용해시키기 전, Neolone DSP 살생물제를 1%의 농도로 물에 첨가하였다. 60% 오일 상의 에멀젼을 고전단 혼합(Ultraturrax, 1분, 최고 속도)에 의해 제조한 후, 720 바에서 작동하는 Rannie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에멀젼의 포뮬레이션은 하기 표 4에 나타나 있다.
비교 실시예 C3
비교 실시예 C3에서, 에멀젼을 실시예 4의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되, 포도씨유를 추가의 셰아 버터로 교체하였다. 이 에멀젼의 포뮬레이션은 표 4에 제시된다.
실시예 5
더욱 높은 농도의 셰아 버터 및 포도씨유를 함유하고 PDMS를 함유하지 않는 에멀젼을 실시예 4의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포뮬레이션은 표 4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4 및 실시예 5 및 비교 실시예 C3의 에멀젼을 실시예 1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하였고, 결과는 표 5에 보고되어 있다.
Figure pct00006
에멀젼화제로서 유단백을 사용한, 셰아 버터를 함유하고 액상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 실시예 C3의 에멀젼은 -5℃ 이하에서 안정하였지만, -10℃에서 24시간 후 에멀젼은 입상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비교 실시예 C3의 에멀젼은 에멀젼화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에테르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식물성 버터를 함유하고 액상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 실시예 C1의 에멀젼보다 저온에서 상당히 더 안정하였으며, 이는 단백질이 결정화 경향을 갖는 버터를 포함하는 에멀젼을 안정화시킨다는 교시(Thivilliers et al, Langmuir 2008, 24, pp 13364- 13375)를 입증하였다.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에멀젼은 -18℃ 까지는 입도가 거의 변하지 않고, 안정하게 머물렀다. 실시예 4와 비교 실시예 C3의 비교는 에멀젼이 단백질 안정화제를 함유할 경우, 낮은 융점의 포도씨유의 첨가가 식물성 버터를 함유하는 에멀젼에 상당한 추가의 저온 안정성을 부여함을 보여준다.

Claims (16)

  1. 퍼스널 케어(personal care), 헬쓰 케어(health care) 또는 하우스홀드 케어(household care)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수성 에멀젼(emulsion)으로서, 상기 에멀젼이 10.5℃ 이상의 융점을 갖고 1중량% 이상의 왁시(waxy) 물질 및 왁시 물질과 비혼화성인 1중량%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이 10℃ 미만의 융점을 갖는 오일을 또한 함유하고, 상기 오일이 용융되는 경우 왁시 물질과 혼화성이고, 오일 대 왁시 물질의 중량비가 5:95 내지 95:5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2. 제 1항에 있어서, 왁시 물질이 식물성 버터(vegetable butter)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3. 제 2항에 있어서, 식물성 버터가 셰아 버터(shea butter) 또는 망고 버터(mango butter) 또는 코코아 버터(cocoa butter) 또는 코컴 버터(kokum butter)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1 내지 70중량%의 식물성 버터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5. 제 1항에 있어서, 왁시 물질이 하이드로카본 왁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이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의 융점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이 액상 식물성 오일 또는 하나 이상의 액상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이 하이드로카본 오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이 왁시 물질과 혼화성인 실리콘-개질된 오일 또는 저분자량 실리콘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 대 왁시 물질의 중량비가 10:90 내지 90:10, 바람직하게는 50:50 및 90:1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40 및 80:20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11. 제 10항에 있어서, 오일 대 왁시 물질의 중량비가 50:50 내지 75:25의 범위내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멀젼이 왁시 물질과 비혼화성인 10 내지 60중량%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에멀젼.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멀젼이 10 내지 85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에멀젼.
  14. 수성 에멀젼 형태의 스킨 케어, 헤어 케어 또는 화장품 조성물인 퍼스널 케어 조성물로서, 수성 에멀젼이 10.5℃ 이상의 융점을 갖는, 1중량% 이상의 왁시 물질 및 왁시 물질과 비혼화성인 1중량%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10℃ 미만의 융점을 갖는 오일을 또한 함유하며, 오일이 용융된 왁시 물질과 혼화성이고 5:95 내지 95:5의 범위의 오일 대 왁시 물질의 중량비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15. 수성 에멀젼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10.5℃ 이상의 융점을 갖는, 5중량% 이상의 왁시 물질 및 용융된 왁시 물질과 비혼화성인 1중량% 이상의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고, 저온에서의 탈안정화에 대해, 10℃ 미만의 융점을 갖고 용융되는 경우 왁시 물질과 혼화성인 오일이 5:95 내지 95:5 범위의 오일 대 왁시 물질의 중량비로 에멀젼에 혼입되는 방법.
  16. 퍼스널 케어, 헬쓰 케어 또는 하우스홀드 케어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해 10℃ 미만의 융점을 가져서 수성 에멀젼을 저온에서 안정화시키는 오일의 용도로서, 상기 에멀젼이 10.5℃ 이상의 융점을 갖는, 1중량% 이상의 왁시 물질을 포함하는 오일의 용도.
KR1020127002557A 2009-07-02 2010-06-28 왁시 물질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에멀젼 KR20120037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911488.5 2009-07-02
GBGB0911488.5A GB0911488D0 (en) 2009-07-02 2009-07-02 Personal care emulsions comprising waxy materials and organopolysiloxa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961A true KR20120037961A (ko) 2012-04-20

Family

ID=41008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557A KR20120037961A (ko) 2009-07-02 2010-06-28 왁시 물질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에멀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07256A1 (ko)
EP (1) EP2448543A2 (ko)
JP (1) JP2012531395A (ko)
KR (1) KR20120037961A (ko)
CN (1) CN102655840A (ko)
GB (1) GB0911488D0 (ko)
WO (1) WO201100080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31661B1 (en) 2008-09-16 2013-06-12 The Lubrizol Corporation Method of lubric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492138B (en) 2011-06-23 2016-07-06 Cosmetic Warriors Ltd Solid cosmetic composition with dispersed gas bubbles
GB2508825B (en) 2012-12-11 2018-04-04 Cosmetic Warriors Ltd Composition
US10285926B2 (en) * 2015-06-29 2019-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s and starch powders for use in skin care compositions
CN105132185A (zh) * 2015-08-19 2015-12-09 山东师范大学 一种从甜高粱茎秆中快速提取蜡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9A (en) * 1851-04-08 Kellogg
US4165385A (en) * 1973-05-29 1979-08-21 Dianis Creations, Inc. Water-in-oil emulsion for skin moisturizing
DE69734498T2 (de) * 1996-05-20 2006-08-10 Shiseido Co. Ltd. Oel-in-wasser emulsion und oel-in-wasser emulgator
DE19957761A1 (de) * 1999-12-01 2001-06-07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in Form von O/W-Makroemulsionen oder O/W-Mikroemulsionen, mit einem Gehalt an Sheabutter
JP2001181141A (ja) * 1999-12-27 2001-07-03 Lion Corp 毛髪化粧料
EP1159954A3 (en) * 2000-05-31 2003-01-02 Shiseido Company, Ltd. Solid water-in-oil type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US20030082129A1 (en) 2001-08-07 2003-05-01 Buckingham Anne Marie Hair and skin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siloxane-based polyamide copolymers
WO2003094867A1 (en) * 2002-05-09 2003-1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insable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s
US7306810B1 (en) * 2002-11-25 2007-12-11 Piedmont Cosmeceuticals, Inc. Skin cream
JP2005314258A (ja) * 2004-04-28 2005-11-10 Nippon Shikizai Inc 固形状油中水型化粧料
DE202005002183U1 (de) * 2005-02-04 2005-04-14 Beiersdorf Ag Hautverwöhnende Cremelotion
JP4782433B2 (ja) * 2005-02-07 2011-09-28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JP4722578B2 (ja) * 2005-06-21 2011-07-13 株式会社アリミノ 毛髪化粧料
FR2888497B1 (fr) * 2005-07-13 2010-12-24 Oreal Procede de maquillage et/ou de soin cosmetique
DE102006035042A1 (de) * 2006-07-28 2008-01-31 Beiersdorf Ag Kosmetische Zubereitung
US7695727B2 (en) * 2006-10-11 2010-04-13 Wyeth Llc Botanical butter stick lip balm
US8206754B2 (en) * 2007-05-30 2012-06-26 Conopco,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 with cocoa butter and dihydroxypropyl ammonium salts
JP2009019023A (ja) 2007-07-13 2009-01-29 Mandom Corp 整髪用乳化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31395A (ja) 2012-12-10
GB0911488D0 (en) 2009-08-12
CN102655840A (zh) 2012-09-05
WO2011000801A2 (en) 2011-01-06
EP2448543A2 (en) 2012-05-09
US20120107256A1 (en) 2012-05-03
WO2011000801A3 (en)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1927B1 (en) Polar solvent-in-oil emulsions and multiple emulsions
US20060127344A1 (en) Novel cosmetic emulsions and emulsifiers exhibiting dilatant rheological properties
JP6486384B2 (ja) 新規シリコーン界面活性剤、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組成物、粉体組成物、及びそれらの化粧/医療用途
EP2146780A1 (en) Petrolatums having silicone-like properties
JP6110450B1 (ja) 微細エマルション型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37961A (ko) 왁시 물질 및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에멀젼
CA2617024A1 (en) Applications of cross-linked silicone gel in personal care products
CN107847408A (zh) 用于剃刀片架的润滑构件
EP1163951B1 (en) Water-in-oil-in-non-aqueous polar solvent multiple emulsions
JP2013538835A (ja) ワセリ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
EP2419079B1 (en)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 oil or oils structured with copolymers carrying greater than 70% long chain alkyl group
JP2008094811A (ja) O/w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CN116829117A (zh) 根据iso标准16128包括百分比大于或等于95%的天然来源成分的稳定宏观乳液形式的组合物
CA2869025C (en) Pre-blended mixtures of specific hydrocarbon liquids structured with high melting point structuring material
JP2004196713A (ja) 二層型化粧料
WO2013156280A2 (en) Pre-blended mixtures of specific naturally sourced liquid materials structured with naturally sourced high melting point structuring material
JP4129204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5002059A (ja) 油性透明化粧料
BR112020001380B1 (pt) Composição de dispersão aquosa compreendendo etil celulose, método para a produção da mesma, emulsão homogênea aquosa e produto de higiene pessoal
EP3661481A1 (en) Cosmetic formulations comprising ethylcellulose
JPH09175989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WO2016131627A1 (en)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