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959A - 액체 섭취용 스푼 - Google Patents

액체 섭취용 스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959A
KR20120037959A KR1020127002507A KR20127002507A KR20120037959A KR 20120037959 A KR20120037959 A KR 20120037959A KR 1020127002507 A KR1020127002507 A KR 1020127002507A KR 20127002507 A KR20127002507 A KR 20127002507A KR 20120037959 A KR20120037959 A KR 20120037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ball
liquid
handle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호 호소야
미스즈 하또리
노리따까 마쯔바라
료 이시다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경치과대학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경치과대학,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경치과대학
Publication of KR20120037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23Spoon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액체섭취용 스푼(1)은, 오목부(4)가 형성된 볼부(2)와, 볼부(2)에 접속된 손잡이부(3)를 구비하고, 볼부(2)는 오목부(4)를 둘러싸는 벽부(10)와, 벽부(10)에 연결되어 있는 오목부(4)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테두리부(11)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액체 섭취용 스푼{SPOON FOR INGESTING LIQUID}
본 발명은, 물, 음료 등의 액체를 영유아 등의 피보호자에게 주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 섭취용 스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일반적으로 수분을 섭취할 때에 사용하는 식기구로서 컵이 있다. 컵은 다량의 물 등의 액체를 연속적으로 섭취하기 위한 충분한 용량을 가지고 있지만, 그 구체적인 형상이나 용량은 다양하다. 따라서, 사람이 컵을 사용할 때는, 형상이나 용량에 맞춰서 구강 내로 액체를 넣을 때의 기울기 정도나 구강 내로 액체를 넣는 스피드 등을 입술의 개폐 정도에 따라 자연히 컨트롤함으로써, 흘리거나, 사레들리지 않도록 액체를 섭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컨트롤 능력은 사람의 성장에 따라(유아기가 될 때 까지는) 획득할 수 있는 것이지만, 포유기부터 이유기로 향하여 서서히 혀나 목구멍의 사용 방법이 변해가는 시기에 있어서는, 이러한 컨트롤을 행하면서 컵을 이용해서 액체를 섭취하는 난이도는 높다.
따라서, 이러한 시기의 유아에 대하여 액체의 섭취를 도와주는 것이 보호자에게있어서 번잡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 번잡함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위 영유아용의 스트로 머그 등의 스트로가 부착된 음용 용기를 일찍부터 이용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컵을 사용하는 기회가 늦어지기 쉬운 것과, 사용하는 음용 용기의 구조에 따라서는 모유를 먹을 때와 마찬가지로 연동모양 운동으로 액체를 섭취해 버리기 때문에, 정상적인 구강발육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푼이나 사기숟가락을 이용한 액체섭취의 트레이닝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그것이 권장되고 있다(바람직하다고 한다). 또한, 관련된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이 존재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05-118128 호 공보
무카이 미에 편저, 「영유아의 섭식지도」, 제1판 제7쇄, 의치약출판 주식회사, 2008년 1월 20일, p.44-45, 70-71, 80-81.
그러나,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스푼이나 사기숟가락 등은 영유아의 액체섭취용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형상이나 용량에 대한 배려가 부족해, 보호자가 보더라도 취급하기 쉽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푼을 이용한 액체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액체섭취용 스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체섭취용 스푼은, 오목부가 형성된 볼부와, 상기 볼부에 접속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부는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벽부와, 상기 벽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 액체섭취용 스푼에 의하면, 오목부를 둘러싸는 벽부에 연결되는 테두리부가 오목부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볼부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라도 액체의 섭취자가 그 테두리부를 입술에 넣기 쉬워 액체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섭취용 스푼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볼부의 상기 오목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선 상에 정점을 갖고, 또한 서로 곡률 반경이 다른 복수의 원호가 연결된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테두리부의 형상이 곡률 반경이 다른 복수의 원호가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부를 피보호자에게 넣을 때에, 테두리부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피보호자 입의 크기에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액체섭취용 스푼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두께가 상기 오목부의 중앙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하여 상기 벽부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테두리부와 벽부가 매끄럽게 만곡된 곡면으로 연결되게 되므로, 섭취자가 테두리부를 입술에 끼웠을 때에 그 아래 입술이 테두리부와 벽부의 경계에 비트되기 쉽다. 따라서, 섭취자의 아래 입술과 볼부의 테두리부와 벽부의 경계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어, 액체 섭취시에 그 간극을 통해 액체가 새기 어렵기 때문에 액체를 확실하게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섭취용 스푼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외주면이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으로 돌출한 대략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용기 내의 액체를 볼부에의해 떠내면서 볼부를 용기로부터 꺼냈을 때에, 외주면에 부착된 액체가 정점측으로 유도되어서 외주면에 머무르기 어려워지므로, 액체를 떠냈을 때의 물기 제거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액체섭취용 스푼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볼부를 수평으로 배치한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볼부보다도 높은 고저차가 생기도록 상기 볼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각각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볼부를 수평으로 했을 경우에 볼부보다도 상방에 손잡이부가 위치한다. 이로 인해, 보호자가 손잡이부를 갖고 피보호자에게 액체를 줄 때에, 볼부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경사 상방으로부터 피보호자의 구강 내로 볼부를 넣을 수 있다. 이렇게, 볼부로부터 액체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보호자의 입의 높이에 보호자의 손의 높이를 맞출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피보호자에게 대한 도움이 쉬워진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측을 볼록하게 하여 길이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연필을 잡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손잡이부를 잡고 피보호자를 도와줄 때, 보호자의 손목을 상측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볼부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손목이 늘어난 상태에서 볼부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경우에 비해 보호자에 의한 스푼의 각도의 미세한 조정이 용이해지므로 도움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액체섭취용 스푼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오목부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볼부를 수평으로 배치한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는 그 횡단면이 횡방향으로 편평하고 또한 상측의 곡률보다도 하측의 곡률이 큰 형상을 띠고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따르면, 보호자의 엄지손가락 및 집게손가락 각각의 밑동 사이에 형성되는 아치 형상의 손가락 사이부분에 손잡이부의 하면이 피트되기 쉽고, 또한 집게손가락의 손끝을 손잡이부의 상면을 따르게 하기 쉽다.
본 발명의 액체섭취용 스푼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볼부의 용량이, 6 내지 15㎖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도 좋다. 유아를 피보호자로서 상정한 경우, 볼부(2)의 용량이 6㎖ 미만이면, 통상의 스푼과 마찬가지로 유아의 액체섭취의 훈련용으로서 접합하지 않다. 또한, 용량이 15㎖을 초과할 경우에는 볼부(2)로부터 빨아들인 액체를 한입에 삼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볼부(2)의 용량으로서는, 6 내지 15㎖의 범위 내가 적당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액체섭취용 스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체섭취용 스푼을 화살표 II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의 IVa-IVa선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2의 IVb-IVb선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2의 IVc-IVc선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2의 IVd-IVd선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볼부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액체섭취용 스푼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관한 액체섭취용 스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액체섭취용 스푼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액체섭취용 스푼을 화살표 II의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관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의 IVa-IVa선, IVb-IVb선, IVc-IVc선 및 IVd-IVd선에 관한 각각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액체섭취용 스푼(1)(이하, 스푼이라 함)은, 보호자가 영유아 등의 피보호자에 대하여 물이나 음료 등의 액체 식품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스푼(1)은 액체의 섭취자 자신이 이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스푼(1)은, 액체를 떠내어 이것을 보유하기 위한 볼부(2)와, 볼부(2)에 접속된 손잡이부(3)를 구비하고 있다. 볼부(2)에는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오목부(4)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3)는 볼부(2)에 대하여 충분히 길고, 구체적으로는 볼부(2)의 종방향(도 1 내지 도 3의 좌우 방향)의 치수의 3배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다.
스푼(1)의 볼부(2)와 손잡이부(3)는 동일 재료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스푼(1)의 재질로서는 유아의 구강 내에 넣었을 때에 경질의 감촉이나 찬 감촉 등의 불쾌감을 주기 어려운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인 폴리프로필렌이 선택되어 있다. 손잡이부(3)의 미끄럼 방지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손잡이부(3)의 전체 둘레 표면에는 배껍질 모양이나 피혁 모양 등의 미세한 요철을 부여하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스푼(1)의 소재로서는, 상기 재료 이외에 예를 들어, 나무 등의 천연재료, 스테인리스, 은 및 금 등의 금속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스푼(1)을 도자기제, 세라믹스제 혹은 글래스제로 할 수도 있다.
볼부(2)에는, 오목부(4)가 형성된 헤드부(7)와, 그 헤드부(7)에 이어서 손잡이부(3)에 접속된 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 볼부(2)는 오목부(4)를 둘러싸는 벽부(10)와, 그 벽부(10)에 연결되어 있고, 오목부(4)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테두리부(11)를 갖고 있다. 볼부(2)는, 그 용량이 10㎖ 정도가 되도록 오목부(4)의 깊이 및 그 형상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유아를 피보호자로서 상정했을 경우에는, 볼부(2)의 용량은 6 내지 15㎖의 범위 내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의 범위 내로 설정하면 좋다. 볼부(2)의 용량이 6㎖ 미만이면, 통상의 스푼과 마찬가지로 유아의 액체섭취의 훈련용으로서 적합하지 않다. 또한, 용량이 15㎖을 초과할 경우에는 볼부(2)로부터 빨아들인 액체를 한입에 삼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볼부(2)의 용량으로서는, 6 내지 15㎖의 범위 내가 적합하다. 다양한 유아에게 대응가능한 용량의 범위로는, 7 내지 13㎖의 범위 내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 2, 도 3 및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부(10)는 그 외주면(10a)이 오목부(4)의 깊이 방향으로 돌출한 대략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면(10a)은 엄밀하게는 복수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 완전한 구면은 아니지만, 오목부(4)의 최심부(4a)의 깊이 방향의 연장 상에 정점(P1)이 위치하고 평면부가 존재하지 않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벽부(10)가 이러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푼(1)으로 도시하지 않은 용기 내의 액체를 볼부(2)로 떠내면서 볼부(2)를 용기로부터 꺼냈을 때에, 그 외주면(10a)에 부착된 액체가 정점(P1) 측으로 유도되어서 외주면(10a)에 머무르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볼부(2)로 액체를 떠냈을 때의 물기 제거성이 양호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11)는 손잡이부(3)의 중심선(CL) 상에 정점(P2)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형상은 중심선(CL)에 관해서 선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심선(CL)을 경계로 한 한쪽의 형상은 곡률 반경이 서로 다른 3개의 원호(Ar1, Ar2, Ar3)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중심선(CL)을 경계로 한 다른 쪽의 형상도 같다. 각 원호(Ar1, Ar2, Ar3)의 곡률 반경을 R1, R2, R3으로 했을 경우, 이들의 곡률 반경의 사이에는, R1<R2<R3이라고 하는 대소 관계가 성립하고 있다. 즉, 테두리부(11)는, 선단측에서 손잡이부(3) 측을 향해 곡률 반경이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복수의 원호(Ar1, Ar2, Ar3)가 연결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11)의 형상이 이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부(2)를 피보호자에게 넣을 때에, 테두리부(11)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피보호자의 입의 크기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볼부(2)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11)는, 오목부(4)의 깊이 방향의 두께(t)가 오목부(4)의 중앙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해서 벽부(10)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즉,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두리부(11)의 단부를 원점(0)으로하고, 오목부(4)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의 위치를 x라고 했을 경우, 테두리부(11)의 두께(t)는 단조 증가하는 x의 함수가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두께(t)의 변화는 테두리부(11)의 둘레 방향에 관해서 동일하게 성립한다(도 4d 참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11)가 오목부(4)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보호자가 볼부(2)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로 피보호자인 영유아(I)의 구강 내에 스푼(1)을 넣었을 경우, 영유아(I)가 상하의 입술(Lu, Ll)에 테두리부(11)를 끼우기 쉽다. 그로 인해, 영유아(I)가 볼부(2)에 담겨져 있던 액체를 용이하게 빨아들일 수 있다. 게다가, 테두리부(11)는, 상기의 두께를 증가시키면서 벽부(10)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테두리부(11)와 벽부(10)가 매끄럽게 만곡된 곡면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로 인해, 영유아(I)의 아래 입술(Ll)이 테두리부(11)와 벽부(10)의 경계에 피트되기 쉽다. 예를 들어, 도 5의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11)가 그 두께(t)를 일정하게 한 채로 벽부(10)에 연결될 경우에는, 테두리부(11)와 벽부(10)의 경계와 피보호자의 아래 입술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기 쉽고, 그 간극을 통해 액체가 흘러내리기 쉬워진다. 스푼(1)은 이러한 간극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액체를 확실하게 섭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4)를 위로 향하게 한 상태로 볼부(2)가 수평으로 되도록 스푼(1)을 배치한 경우, 볼부(2)와 손잡이부(3) 사이에는 손잡이부(3)가 볼부(2) 보다도 높은 고저차(ΔH)가 발생하고 있다. 즉, 스푼(1)은 이러한 고저차(ΔH)가 발생하도록 볼부(2)와 손잡이부(3)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스푼(1)에 이러한 고저차(ΔH)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자가 스푼(1)을 사용해서 영유아(I)를 도울 때에, 볼부(2)를 수평으로 한 상태에서 경사 상방으로부터 영유아(I)의 구강 내로 볼부(2)를 넣을 수 있다. 이로써, 볼부(2)로부터의 액체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영유아(I)의 입의 높이로 보호자의 손의 높이를 맞출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영유아(I)를 돕기 쉬워진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3)는 상측을 볼록하게 하여 길이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보호자가 연필을 잡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손잡이부(3)를 잡고 영유아(I)를 도울 때에, 보호자의 손목을 상측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볼부(2)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시를 생략했지만, 손목이 늘어난 상태에서 볼부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경우(손잡이부가 직선적으로 늘어난 경우 등)에 비해, 보호자(H)에 의한 스푼(1)의 각도의 미세 조정이 용이해지므로 도움의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푼(1)의 손잡이부(3)는, 그 횡단면이 횡방향으로 편평하고 또한 상측의 곡률보다도 하측의 곡률이 큰 형상을 띠고 있다. 그 때문에, 보호자의 엄지손가락 및 집게손가락 각각의 밑동 사이에 형성되는 아치 형상의 손가락 사이부분에 손잡이부(3)의 하면이 피트되기 쉽고, 또한 집게손가락의 손끝을 손잡이부(3)의 상면을 따르게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스푼(1)에 있어서는, 테두리부(11)의 두께(t)의 변화가 둘레 방향에 관해서 동일하게 변화되고 있지만, 그 두께(t)의 변화를 테두리부(11)의 일부로 한정적으로 성립시켜도 좋다. 도 5에 도시한 테두리부(11)의 형상이 볼부(2)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스푼을 사용한 도움에 적합한 피보호자로서는, 상술한 영유아 뿐만아니라 도움이 필요한 유아나 고령자 등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에서는, 볼부(2)가 서로 다른 복수의 원호를 연결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섭취용 스푼을, 반경(R)을 갖는 단일의 원호로 형성된 볼부(2')를 갖는 스푼(1')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8)

  1. 오목부가 형성된 볼부와, 상기 볼부에 접속된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부는 상기 오목부를 둘러싸는 벽부와, 상기 벽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목부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테두리부를 갖는, 액체섭취용 스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의 상기 오목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중심선 상에 정점을 갖고, 또한 서로 곡률 반경이 다른 복수의 원호가 연결된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액체섭취용 스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의 두께가 상기 오목부의 중앙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하여 상기 벽부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는, 액체섭취용 스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는, 상기 벽부의 외주면이 상기 오목부의 깊이 방향으로 돌출한 대략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액체섭취용 스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볼부를 수평으로 배치한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볼부보다도 높은 고저차가 발생하도록 상기 볼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각각 구성되어 있는, 액체섭취용 스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측을 볼록하게 하여 길이 방향에 관하여 만곡되어 있는, 액체섭취용 스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위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볼부를 수평으로 배치한 경우에, 상기 손잡이부는 그 횡단면이 횡방향으로 편평하고 또한 상측의 곡률보다도 하측의 곡률이 큰 형상을 띠고 있는, 액체섭취용 스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의 용량이 6 내지 15㎖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액체섭취용 스푼.
KR1020127002507A 2009-07-31 2010-07-29 액체 섭취용 스푼 KR201200379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9300 2009-07-31
JP2009179300A JP2011030729A (ja) 2009-07-31 2009-07-31 液体摂取用スプー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959A true KR20120037959A (ko) 2012-04-20

Family

ID=4352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507A KR20120037959A (ko) 2009-07-31 2010-07-29 액체 섭취용 스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11030729A (ko)
KR (1) KR20120037959A (ko)
CN (1) CN202619219U (ko)
HK (1) HK1172775A2 (ko)
TW (1) TWI511692B (ko)
WO (1) WO20110137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4429A (zh) * 2012-12-28 2013-04-24 吴江市江南不锈钢器材有限责任公司 一种可拆式过滤勺
US20160296052A1 (en) * 2012-11-12 2016-10-13 Infant Ventures, Llc Spoon
KR20200014984A (ko) * 2018-08-02 2020-02-12 송주호 위생 숟가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6123B2 (ja) * 2013-10-17 2016-02-09 まさみ 黒田 反転スプーン
US20150305533A1 (en) * 2014-04-27 2015-10-29 Sha Design Llc. Tableware for Specialized Pers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5847A (en) * 1941-02-26 1942-09-15 Gertrude B Hume Infant feeding spoon
US2610400A (en) * 1950-06-05 1952-09-16 Mildred L Wendling Feeding spoon
JPS5559979U (ko) * 1978-10-20 1980-04-23
JPS6077476U (ja) * 1983-10-31 1985-05-30 中島 芳夫 指当て部のあるスプ−ン
DE4124393A1 (de) * 1991-07-23 1993-01-28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Besteckteile aus metall
JP3058892U (ja) * 1998-11-04 1999-06-22 株式会社青芳製作所 障害者用飲食用具
JP4425599B2 (ja) * 2003-10-14 2010-03-03 ピジョン株式会社 液体用匙
AU2006200217B1 (en) * 2006-01-19 2006-09-14 Graeme Siegmund Roggensack A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96052A1 (en) * 2012-11-12 2016-10-13 Infant Ventures, Llc Spoon
CN103054429A (zh) * 2012-12-28 2013-04-24 吴江市江南不锈钢器材有限责任公司 一种可拆式过滤勺
KR20200014984A (ko) * 2018-08-02 2020-02-12 송주호 위생 숟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72775A2 (en) 2013-04-26
JP2011030729A (ja) 2011-02-17
WO2011013741A1 (ja) 2011-02-03
CN202619219U (zh) 2012-12-26
TW201108974A (en) 2011-03-16
TWI511692B (zh)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4866U (ja) 乳首
KR20120037959A (ko) 액체 섭취용 스푼
CN104994769B (zh) 勺子
WO2013177218A1 (en) Training drinking cup
US20020026715A1 (en) Spoon
JP2000189496A (ja) 人工乳首
JP6408769B2 (ja) 練習用コップ蓋
CN102028380B (zh) 辅食用汤匙
TWM580360U (zh) Cup with attractive structure
US860501A (en) Feeding or medicine cup.
JP3188747U (ja) 喫飲用食器
TWM598281U (zh) 杯蓋結構
CN207220618U (zh) 婴幼儿学习碗
JP3169695U (ja) 喫飲用食器
JP4425599B2 (ja) 液体用匙
JP2002321754A (ja) 幼児用トレーニングコップ
JP2000079044A (ja) スプーン
JP4246288B2 (ja) 学習用スプーン
JP3238025U (ja) スプーン
JP4325989B2 (ja) スプーン
AU2009100923A4 (en) Drinking Mouthpiece
JP3090241U (ja) 哺乳瓶の被い
CN105747731A (zh) 一种儿童餐碗
KR200198747Y1 (ko) 유아용 수저
JPWO2015178395A1 (ja) 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