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355A -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터 - Google Patents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355A
KR20120036355A KR1020127002964A KR20127002964A KR20120036355A KR 20120036355 A KR20120036355 A KR 20120036355A KR 1020127002964 A KR1020127002964 A KR 1020127002964A KR 20127002964 A KR20127002964 A KR 20127002964A KR 20120036355 A KR20120036355 A KR 20120036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parameter
parameter information
copy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151B1 (ko
Inventor
마나부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7/5387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digital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복사원 인버터는 자 인버터가 복사처 인버터와 접속되었을 때,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독출하여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 하여금 그 독출된 파라미터를 복사처 인버터에 송신하게 하는 파라미터 정보 송신 제어부를 구비하고, 복사처 인버터는 복사원 인버터로부터 송신되어 온 파라미터를 자 인버터가 구비하는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를 통해 수신하면, 수신한 파라미터를 자 인버터가 구비하는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는 파라미터 정보 수신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터{INVERTER SYSTEM AND INVERTER}
본 발명은 각각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인버터를 구비하는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범용 인버터(이하, 간단하게 인버터)에는 부하나 운전 사양에 맞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고기능의 인버터가 되면, 수백 종류에 달하는 방대한 수량의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인버터를 신규로 설치하는 경우, 이와 같은 방대한 수량의 파라미터를 수동으로 입력하지만, 이미 파라미터 설정 끝난 다른 인버터로부터 파라미터를 독출하고 독출한 파라미터를 신규 인버터에 기입하는 파라미터 유니트라고 불리는 전용의 장치를 사용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신규 인버터를 설치하는 상황(situation)은 생산 라인을 새로 가동하는 경우나, 생산 라인 상에서 이미 가동하고 있던 인버터가 고장나서, 대체 인버터를 설치하는 경우 등에 발생하며, 한시라도 빠른 설치가 바람직한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방대한 수량의 파라미터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은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린다. 또, 파라미터 유니트를 사용하는 방법은 한 번에 1대 외에는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없는데다가, 복사처(copy destination) 인버터에 전원을 접속하여 전원을 투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한시라도 빨리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었다. 따라서, 더욱 간단하게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인버터에 관한 기술에는, 특허 문헌 1에 복수의 인버터를 시리얼 회선으로 접속하고, 친국(host station)의 인버터는 자국(slave station)의 인버터에 공통의 운전 주파수 지령을 줌으로써, 친국과 자국이 동조(同調) 운전하는 복수 인버터의 운전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 3-93494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복수의 인버터의 동조 운전을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어느 인버터를 친국으로 할지를 설정할 필요가 있어 간단하게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급적 간단하게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있는 인버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각각 동작을 설정하는 파라미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을 구비하고, 각각 USB 통신 규격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인버터를 구비하는 인버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버터 중 USB 호스트로서의 인버터인 제1 인버터는 자(自) 제1 인버터와 상기 복수의 인버터 중 USB 슬레이브로서의 인버터인 제2 인버터가 접속되었을 때, 자 제1 인버터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독출하여 자 제1 인버터가 구비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 하여금 그 독출된 파라미터를 상기 제2 인버터로 송신하게 하는 파라미터 정보 송신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인버터는 상기 제1 인버터로부터 송신되어 온 파라미터를 자(自) 제2 인버터가 구비하는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파라미터를 자 제2 인버터가 구비하는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는 파라미터 정보 수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터는, 유저가 복사원(copy source) 인버터의 USB 호스트의 커넥터와 복사처 인버터의 USB 슬레이브의 커넥터를 USB 케이블로 접속한 것만으로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간단하게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인버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인버터의 복사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인버터의 복사 동작을 실행할 때의 접속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컨트롤러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인버터에 의한 파라미터 정보의 간단한 복사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터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일반적인 인버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100)는 부하(여기에서는 모터(200))에 공급하는 출력을 생성하는 주회로(20)와 주회로(20)를 포함하는 인버터(100)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를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10)는 인버터(100) 전체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인 파라미터 정보(2)를 기억 영역(1)에 기억하고 있고, 기억 영역(1)이 기억하고 있는 파라미터 정보(2)에 기초하여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도 2는 종래 인버터의 복사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유저는 복사원 인버터(100)에 파라미터 유니트(300)를 접속한다. 파라미터 유니트(300)는 복사원 인버터(100)의 기억 영역(1)으로부터 파라미터 정보(2)를 독출하여 자신이 구비하는 기억 소자에 격납한다. 유저는 파라미터 유니트(300)를 복사원 인버터(100)로부터 분리하고, 파라미터 유니트(300)를 이미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복사처 인버터(100)에 접속하여, 파라미터 유니트(300)의 기억 소자에 격납되어 있는 파라미터 정보를 복사처 인버터(100)의 기억 영역(1)에 복사한다.
이와 같이, 파라미터 유니트를 이용하여 파라미터를 복사하는 경우, 유저는 파라미터 유니트를 복사원으로부터 분리시켜 복사처 인버터에 삽입하고, 복사처 인버터에 전원 코드를 접속하여 전원을 투입하고, 파라미터 유니트를 조작하는 것이 필요하여, 한시라도 빨리 신규 인버터를 새로 가동하고자 하는 유저에게 있어서는 많은 수고가 들었다. 또, 파라미터의 복사를 1대마다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복수 대의 인버터에 복사를 실시할 때, 복사처 인버터 수에 비례하여 전술한 수고가 증가하고 있었다. 즉, 종래의 인버터는 파라미터를 간단하게 복사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간단하게 파라미터를 복사하기 위해서, 복수의 인버터(100)를 서로 USB 케이블로 접속하여 USB 케이블을 통해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인버터(100)의 복사 동작을 실행할 때의 접속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여기에서는 3개)의 인버터가 각각 USB 케이블로 접속되어 인버터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 인버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3개의 인버터(100)를 각각 구별하기 위해서, 3개의 인버터(100)의 부호 말미에 인버터(100a), 인버터(100b), 인버터(100c)와 같이 각각 다른 알파벳을 첨부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인버터(100a ~ 100c)가 각각 구비하는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부호 말미에 자신의 인버터의 부호 말미에 첨부된 알파벳과 동일한 알파벳을 첨부하는 것으로 한다. 즉, 인버터(100a)는 기억 영역(1a)을 가지는 컨트롤러(10a)와 주회로(20a)를 구비하고, 인버터(100b)는 기억 영역(1b)을 가지는 컨트롤러(10b)와 주회로(20b)를 구비하고, 인버터(100c)는 기억 영역(1c)을 가지는 컨트롤러(10c)와 주회로(20c)를 구비하고 있다.
인버터(100a)에는 이미 파라미터 정보(2a)가 설정되어 있으며, 인버터(100a)를 파라미터(파라미터 정보(2a))의 복사원으로 하고, 인버터(100b) 및 인버터(100c)를 복사처로 해서 접속되어 있도록 한다. USB 규격에 있어서는 호스트(USB 호스트)와 슬레이브(USB 슬레이브)의 관계가 정해져 있고, 복사원 인버터(100a)가 호스트, 복사처 인버터(100b) 및 인버터(100c)가 슬레이브가 되도록 접속된다.
다음으로, 간단하게 파라미터를 복사하기 위한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편의적으로 인버터(100a)는 복사원으로서의 기능, 인버터(100b) 및 인버터(100c)는 복사처로서의 기능을 각각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인버터(100a), 인버터(100b), 및 인버터(100c)는 복사원 및 복사처 중 어느 쪽으로도 될 수 있도록, 각각 복사원으로서의 기능과 복사처로서의 기능 양쪽 모두를 가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인버터(100b) 및 인버터(100c)는 양쪽 모두 동일한 복사처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복사처로서의 기능에 관하여, 이후는 대표로서 인버터(100b)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는 간단하게 파라미터를 복사하기 위한 컨트롤러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사원 인버터(100a)에 탑재되는 컨트롤러(10a)는 복사 대상인 파라미터 정보(2a)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 영역(1a) 외, USB 호스트 기능을 제공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3)와, USB 호스트 컨트롤러(3)를 통해 인버터(100b)의 접속을 검지?식별하는 접속 기기 식별부(4)와, 복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유저로부터의 입력(복사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입력 접수부(5)와, 접속 기기 식별부(4)가 인버터(100b)의 접속을 검지하고 또한 조작 입력 접수부(5)가 복사 조작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기억 영역(1a)에 격납되어 있는 파라미터 정보(2a)를 독출하여 USB 호스트 컨트롤러(3)에 USB 통신 규격에 준거한 형식으로 인버터(100b)에 송신시키는 파라미터 정보 송신 제어부(6)를 구비하고 있다. 복사 조작 입력이란, 어떠한 입력이어도 좋지만, 가능한 간단한 입력으로 또한 다른 입력과 혼동되는 일이 없는 확실한 입력 방법으로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인버터(100a)의 전원 투입시에 특정 버튼이 눌리는 것을 복사 조작 입력으로 한다.
복사처 인버터(100b)에 탑재되는 컨트롤러(10b)는 기억 영역(1b) 외, USB 슬레이브 기능을 제공하는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7)와 인버터(100a)로부터 파라미터 정보(2a)가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7)를 통해 송신되어 왔을 때, 송신되어 온 파라미터 정보(2a)를 기억 영역(1b)에 격납하는 파라미터 정보 수신 제어부(8)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USB 호스트 컨트롤러(3)는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7)에 급전(給電)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컨트롤러(10b)는 전원 코드(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호스트 컨트롤러(3)로부터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7)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도 5는 상술한 기능 구성 요소에 의해 실현되는 파라미터 정보(2a)의 간단한 복사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인버터(100a)에 전원이 투입되면, 인버터(100a)가 구비하는 접속 기기 식별부(4)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3)를 통해 인버터(100b)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 인버터(100b)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스텝 S1, 예), 조작 입력 접수부(5)는 전원 투입시에 복사 조작 입력이 있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2). 또한, 인버터(100a) 및 인버터(100b)가 USB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인버터(100a)에 전원이 투입되면, 컨트롤러(10b)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을 개시한다. 복사 조작 입력이 있었을 경우(스텝 S2, 예), 파라미터 정보 송신 제어부(6)는 기억 영역(1a)으로부터 파라미터 정보(2a)를 독출하고, USB 호스트 컨트롤러(3)로 하여금 상기 독출한 파라미터 정보(2a)를 송신하게 한다(스텝 S3).
인버터(100b)에 있어서는, 파라미터 정보 수신 제어부(8)는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7)를 통해 파라미터 정보(2a)를 수신하면(스텝 S4), 파라미터 정보 수신 제어부(8)는 수신한 파라미터 정보(2a)를 기억 영역(1b)에 기입하고(스텝 S5), 기입이 종료되면 기입 종료의 취지를 나타내는 기입 종료 통지를 인버터(100a)에 송신한다(스텝 S6). 인버터(100b)는 기입 종료 통지를 송신하면, 파라미터 정보(2a)의 복사처로서의 복사 동작을 종료한다. 인버터(100a)에 있어서는, 인버터(100b) 및 인버터(100c)로부터 기입 종료 통지를 수신하면(스텝 S7), 파라미터 정보(2a)의 복사원으로서의 복사 동작을 종료하고, 인버터 시스템의 복사 동작은 종료된다.
인버터(100b)의 접속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스텝 S1, 아니오)나, 전원 투입시에 복사 조작 입력이 없었던 경우(스텝 S2, 아니오), 인버터 시스템의 복사 동작은 종료된다.
또한,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사처 인버터의 대표로서 인버터(100b)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인버터(100c)도 인버터(100b)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또한 같은 동작을 실행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인버터(100a)는 파라미터 정보를 1회 통신으로 인버터(100c) 또는 인버터(100b)에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 속도나 파라미터 정보의 기입 처리에 따른 사이즈별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인버터(100a)는 통신 속도나 파라미터 정보의 기입 처리에 따른 소정 사이즈별로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인버터(100b)가 모든 소정 사이즈 각각에 파라미터 정보의 기입을 종료한 후, 인버터(100c)로 각 소정 사이즈의 파라미터 정보의 송신을 개시하도록 해도 좋고, 각 소정 사이즈의 파라미터 정보를 인버터(100b) 및 인버터(100c)에 교대로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도 3과 같이 인버터(100b) 및 인버터(100c)가 동시에 인버터(100a)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도 5에 제시된 동작을 1회만 실행하는 것만으로 인버터(100a)의 파라미터 정보(2a)를 인버터(100b) 및 인버터(100c)에 한 번에 복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복사원 인버터(100a)는 복사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입력 접수부(5)와, 자 인버터(100a)가 복사처 인버터(100b)와 접속되고 또한 조작 입력 접수부(5)가 복사 조작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기억 영역(1a)에 기억하고 있는 파라미터를 독출하여 USB 호스트 컨트롤러(3)로 하여금 복사처 인버터(100b)에 송신시키는 파라미터 정보 송신 제어부(6)를 구비하고, 복사처 인버터(100b)는 복사원 인버터(100a)로부터 송신되어 온 파라미터를 자 인버터(100b)가 구비하는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7)을 통해 수신하면, 수신한 파라미터를 자 인버터(100b)가 구비하는 기억 영역(1b)에 기억시키는 파라미터 정보 수신 제어부(8)를 구비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유저는 복사원 인버터(100a)의 USB 호스트의 커넥터와 복사처 인버터(100b)의 USB 슬레이브의 커넥터를 USB 케이블로 접속하고, 복사 조작 입력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있으므로, 도 2에서 설명한 복사 동작에 비해 간단하게 파라미터 복사를 실행할 수 있다. 즉, 가급적 간단하게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있다.
또, 소정의 입력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의 전원 투입을 복사 조작 입력으로 하고 있으므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파라미터의 복사를 개시할 수 있다.
또, 복사처 인버터(100b)의 기억 영역(1b),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7), 및 파라미터 정보 수신 제어부(8)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므로, 유저는 복사처 인버터(100b)를 전원 케이블에 접속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간단하게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사원 인버터(100a)는 복사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입력 접수부(5)를 구비하고, 파라미터 정보 송신 제어부(6)는 자 인버터(100a)가 복사처 인버터(100b)와 접속되고, 또한 조작 입력 접수부(5)가 복사 조작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USB 호스트 컨트롤러(3)로 하여금 파라미터 정보(2a)를 복사처 인버터(100b)에 송신하게 한다」라고 설명했지만, 복사원 인버터(100a)의 구성에서 조작 입력 접수부(5)를 생략하고, 파라미터 정보 송신 제어부(6)는 자 인버터(100a)가 복사처 인버터(100b)와 접속되었을 때, 파라미터 정보(2a)를 송신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더욱 간단하게 파라미터를 복사할 수 있게 된다.
또, USB 규격에 있어서는, USB 호스트의 커넥터 형상과 USB 슬레이브의 커넥터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인버터(100a ~ 100c)에 복사원으로서의 기능과 복사처로서의 기능 양쪽 모두를 구비시킬 때, 유저는 인버터(100a ~ 100c) 중 복사원으로서 기능시키는 인버터의 USB 호스트용 커넥터에 USB 케이블을 꽂고, 복사처로서 기능시키는 인버터(100)의 USB 슬레이브용 커넥터에 USB 케이블을 꽂게 된다. USB 호스트용 커넥터에 USB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인버터에 대해서 복사 조작 입력을 실행하여도 파라미터 정보(2)의 복사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유저가 복사처 인버터(100)의 파라미터 정보(2)를 복사원 인버터(100)에 기입해 버리는 실수(miss)를 더욱 감소시키고, 간단하고 확실하게 파라미터의 복사를 개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인버터 및 인버터 시스템은 각각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인버터를 구비하는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터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하다.
1, 1a ~ 1c: 기억 영역
2a: 파라미터 정보
3: USB 호스트 컨트롤러
4: 접속 기기 식별부
5: 조작 입력 접수부
6: 파라미터 정보 송신 제어부
7: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
8: 파라미터 정보 수신 제어부
10, 10a ~10c: 컨트롤러
20, 20a ~ 20c: 주회로
100, 100a ~ 100c: 인버터
200: 모터
300: 파라미터 유니트

Claims (5)

  1. 각각 동작을 설정하는 파라미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을 구비하고, 각각 USB 통신 규격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인버터를 구비하는 인버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버터 중 USB 호스트로서의 인버터인 제1 인버터는
    자(自) 제1 인버터와 상기 복수의 인버터 중 USB 슬레이브로서의 인버터인 제2 인버터가 접속되었을 때, 자 제1 인버터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독출하여 자 제1 인버터가 구비하는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 하여금 상기 독출된 파라미터를 상기 제2 인버터에 송신하게 하는 파라미터 정보 송신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인버터는
    상기 제1 인버터로부터 송신되어 온 파라미터를 자 제2 인버터가 구비하는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파라미터를 자 제2 인버터가 구비하는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는 파라미터 정보 수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버터는 상기 파라미터를 상기 제2 인버터의 기억 영역에 복사하기 위한 복사 조작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입력 접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라미터 정보 송신 제어부는 자 제1 인버터와 상기 제2 인버터가 접속되고 또한 상기 조작 입력 접수부가 상기 복사 조작 입력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파라미터를 상기 제2 인버터에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사 조작 입력은 소정의 입력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의 전원 투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인버터가 구비하는 기억 영역, 상기 USB 슬레이브 컨트롤러, 및 상기 파라미터 정보 수신 제어부는 상기 USB 호스트 컨트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버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버터.
KR1020127002964A 2009-08-07 2009-08-07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터 KR101263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4055 WO2011016137A1 (ja) 2009-08-07 2009-08-07 インバータシステムおよびインバ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355A true KR20120036355A (ko) 2012-04-17
KR101263151B1 KR101263151B1 (ko) 2013-05-15

Family

ID=4354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964A KR101263151B1 (ko) 2009-08-07 2009-08-07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73766A1 (ko)
EP (1) EP2463999A4 (ko)
JP (1) JP5269201B2 (ko)
KR (1) KR101263151B1 (ko)
CN (1) CN102474195B (ko)
TW (1) TW201106162A (ko)
WO (1) WO20110161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767B1 (ko) * 2020-09-29 2022-03-14 엘에스일렉트릭(주) 웹 기반 인버터 설정복사 시스템 및 설정복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8104B1 (de) * 2009-02-12 2015-05-15 Fronius Int Gmbh Photovoltaikanlage mit mehreren wechselrichtern, wechselrichter, usb-massenspeichergerät und verfahren zum durchführen von software-updates an wechselrichtern
KR101816943B1 (ko) 2013-08-05 2018-0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의 파라미터 카피 시스템
JP6412698B2 (ja) * 2014-02-17 2018-10-24 東芝シュネデール・インバータ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DE102017129082A1 (de) * 2017-12-06 2019-06-06 Sma Solar Technology Ag Photovoltaikanlage und Wechselrichter mit einer Kommunikationsschnittstel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3643B2 (ja) 1989-09-04 1999-04-19 富士電機 株式会社 インバータの群運転方法
JP3251628B2 (ja) 1992-03-06 2002-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速度制御装置
AU674669B2 (en) * 1993-04-01 1997-01-09 Fuji Electric Co., Ltd. Method for setting operation constants in an inverter device
JPH09149691A (ja) * 1995-11-20 1997-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群制御インバータ装置
JP2000139080A (ja) * 1998-10-30 2000-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ラメータ設定方法
US6357021B1 (en) * 1999-04-14 2002-03-12 Mitsumi Electri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firmware
US7212414B2 (en) * 1999-06-21 2007-05-0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daptive inductive power supply
US6732218B2 (en) * 2002-07-26 2004-05-04 Motorola, Inc. Dual-role compatible USB hub device and method
JP2004227392A (ja) * 2003-01-24 2004-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DE102004025924A1 (de) * 2004-05-27 2005-12-22 Siemens Ag Solarwechselrichter und Photovoltaikanlage mit mehreren Solarwechselrichtern
AT501846B1 (de) * 2005-02-16 2007-08-15 Fronius Int Gmbh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software-updates in wechselrichtern und für software-updates ausgelegter wechselrichter
JP5468722B2 (ja) * 2006-02-24 2014-04-09 富士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JP4989208B2 (ja) * 2006-12-20 2012-08-01 東芝シュネデール・インバータ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のパラメータ転送システム,インバータ装置及びパラメータ転送装置
AT508104B1 (de) * 2009-02-12 2015-05-15 Fronius Int Gmbh Photovoltaikanlage mit mehreren wechselrichtern, wechselrichter, usb-massenspeichergerät und verfahren zum durchführen von software-updates an wechselricht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767B1 (ko) * 2020-09-29 2022-03-14 엘에스일렉트릭(주) 웹 기반 인버터 설정복사 시스템 및 설정복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3999A1 (en) 2012-06-13
JP5269201B2 (ja) 2013-08-21
TW201106162A (en) 2011-02-16
CN102474195A (zh) 2012-05-23
WO2011016137A1 (ja) 2011-02-10
US20120173766A1 (en) 2012-07-05
JPWO2011016137A1 (ja) 2013-01-10
KR101263151B1 (ko) 2013-05-15
CN102474195B (zh) 2015-11-25
EP2463999A4 (en)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151B1 (ko) 인버터 시스템 및 인버터
US106812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ntrols power supply to different destination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1467563B2 (en) Electronic tool and method for copying a plurality of settings from a mechanical tool to another mechanical tool
CN102665022A (zh) 能够适当执行关机处理的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8282363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plcシステム
CN107113212B (zh) 包括参数存储器的功能连接单元
CN103839398A (zh) 遥控器的键值信息处理方法及控制设备、遥控器
US20180006595A1 (en) Master controller, servo actuator and servo controlling system
KR101735919B1 (ko) 인버터 제어 방법
JP5633764B2 (ja) 制御装置
US9563592B2 (en) Remote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54918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ain microcomputer and sub microcomputer
CN104076717A (zh) 一种对可编程控制器进行控制和监控的方法
CN103123596A (zh) 一种利用mcu对主芯片进行复位的方法
KR101304817B1 (ko) 인버터 기종 및 버전을 인식하여 파라미터를 카피하는 키패드
KR101622521B1 (ko) Plc 통신 장치
JP5107153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JP2017117003A (ja) 制御装置および起動制御方法
JP2013013287A (ja) 電力供給装置、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CN111414322A (zh) 一种Nand flash接口工作协议自适应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TWI506536B (zh) 執行裝置及其堆疊方法與堆疊系統
JP2009070113A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CN112347019A (zh) 操作装置
JP2009037505A (ja) プリンタ制御装置
KR20120043472A (ko) 복수의 저장매체를 인터페이스하는 외부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