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980A -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 - Google Patents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980A
KR20120035980A KR1020100097602A KR20100097602A KR20120035980A KR 20120035980 A KR20120035980 A KR 20120035980A KR 1020100097602 A KR1020100097602 A KR 1020100097602A KR 20100097602 A KR20100097602 A KR 20100097602A KR 20120035980 A KR20120035980 A KR 20120035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roaster
roasting
grill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425B1 (ko
Inventor
조용환
Original Assignee
조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환 filed Critical 조용환
Priority to KR1020100097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4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7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in a gaseous atmosphere with forced air or gas circulation, in vacuum or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통(30)을 지닌 구이기(1)를 통하여 막창(A)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그 방법의 특징으로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막창(A)을 구비하고, 구이기(1)의 숯통(30)에 숯(31)을 투입하여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구이기(1)의 숯(31)에 화덕으로 점화하여 130~180℃내외의 온도로 유지시키도록 예열하는 단계(S20); 상기 구이기(1) 상에 막창(A)을 수용하는 석쇠(10)를 투입하여 1~3분 정도로 초벌 구이하는 단계(S30); 상기 막창(A)을 다시 구이기(1)의 숯통(30)에 나무칩(32)을 뿌려 3~10분 정도로 훈연으로 재초벌 구이하는 단계(S40); 및 상기 구이기(1)로부터 막창(A)을 인출하여 기호에 따라 즉석 구이 또는 냉동 보관하도록 마무리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훈연을 통해 방부성과 지방의 변화 방지 및 수분의 건조로 보존성이 향상되면서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훈연 특유의 향이 첨가되어 풍미가 향상되면서 막창 고유의 잡냄새를 제거함과 함께 외관이 미려해짐에 따라 식욕을 더욱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a smoking abomasum of the first roasted method and followed hereupon roasted}
본 발명은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훈연을 통해 방부성과 지방의 변화 방지 및 수분의 건조로 보존성이 향상되면서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훈연 특유의 향이 첨가되어 풍미가 향상되면서 막창 고유의 잡냄새를 제거함과 함께 외관이 미려해짐에 따라 식욕을 더욱 증가하는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막창은 근래에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음식으로, 그 종류가 돼지막창과 소막창으로 구분된다. 돼지막창은 직장(항문)에서 30cm이내를 막창이라 하고, 소막창은 4번째 위부위를 막창이라고 부르는데, 즉 홍창 또는 절창이라 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막창은 일반 살코기보다 칼슘 성분이 월등히 많고 고단백 저콜레스테롤 식품으로 어린이의 성장부진 및 구루병에 좋으며, 성인의 골다공증 및 골연화증 예방에도 큰 효과가 있다. 특히, 여성들의 다이어트 식품으로 분해 작용이 뛰어나 위벽보호, 알코올 분해, 소화촉진에 도움을 주어 애주가들의 술안주로 제격이다.
그러나 막창은 특유의 냄새가 많이 나고 육질이 질겨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해결해왔다. 즉, 이러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장기간 물에 삶아 막창 고유의 고소한 맛이 제거되는 것은 물론 육즙의 손실로 인한 영양분의 손실과, 막창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사라져 맛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양분의 손실 및 막창만의 맛과 식감을 높여, 건강에 유익하며 많은 양의 막창을 먹더라도 쉽게 질리지 않는 막창의 냄새제거 및 구이방법 등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6047호 돼지막창 제조방법에 의하면 "일정량의 돼지막창에 소금을 혼합하여 교반, 세척후 기름제거와 필요 크기만큼 절단가공하여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통상적인 돼지막창을, 끓인 물에 쇠고기다시다, 미원, 소금, 키위를 일정량 혼합하여 믹스한 양념혼합물에 혼합하여 이를 영상 0℃에서 18~20시간 숙성후 필요한 단위로 진공포장한 다음 영하 20℃ 에서 급냉"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다른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25554호 튀김용 납작돼지막창 및 그 요리방법에 의하면 "신선한 돼지막창을 준비한 다음 뒤집어 막창 내부에 붙어있는 기름덩어리를 제거하고, 상기 돼지막창에 밀가루 혹은 소금을 투입, 문질러 세척한 다음 2~3cm 크기로 절단하여 동그란 돼지막창을 얻고, 절단된 돼지막창에 소주나 연육제, 키위즙과 같은 숙성제를 투입하여 숙성시키고, 숙성된 돼지막창을 다시 가열된 솥에 투입한 다음 골고루 교반하면서 꾸들꾸들하게 익혀지게 하고, 익혀진 돼지막창을 소쿠리에 건져내어 물기와 기름기를 제거한 다음 동그란 돼지막창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사각의 납작한 납작돼지막창으로 손질하여 튀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에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숙성방식을 통한 것으로 이러한 숙성방법을 통해 막창 고유의 냄새를 완벽하게 제거하기에 역부족이었다. 또한 이러한 막창을 화로에 구울 경우, 그 냄새는 배가 되어 소비자들의 식욕을 방해하고 특히 숙성방식은 그 기간이 매우 길고 보관시에 보관장소와 장치 등이 별도로 필요하고 유지해야 됨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고 온도 및 습도등에 매우 주의를 기울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후자에 경우에도 숙성방식을 통해 육질의 질감을 개선하고 냄새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 또한 전자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러한 숙성된 막창을 튀김용으로 한정하고 있다. 즉, 숙성된 막창을 튀김에 따라 새로운 맛을 창출하는 효과는 있지만 이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것에 불과하고 구이용으로는 적용하기 힘들뿐더러, 막창을 튀기게 되면 고유의 담백한 맛이 사라지고, 밀가루를 이용한 반죽을 기름에 튀기기 때문에 트랜스 지방과 같은 몸에 좋지 않는 성분을 섭취하게 되므로 비만에 원인을 제공하여 성인병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6047호 "돼지막창 제조방법"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25554호 "튀김용 납작돼지막창 및 그 요리방법"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훈연을 통해 방부성과 지방의 변화 방지 및 수분의 건조로 보존성이 향상되면서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훈연 특유의 향이 첨가되어 풍미가 향상되면서 막창 고유의 잡냄새를 제거함과 함께 외관이 미려해짐에 따라 식욕을 더욱 증가하는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숯통을 지닌 구이기를 통하여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막창을 구비하고, 구이기의 숯통에 숯을 투입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구이기의 숯에 화덕으로 점화하여 130~180℃내외의 온도로 유지시키도록 예열하는 단계; 상기 구이기 상에 막창을 수용하는 석쇠를 투입하여 1~3분 정도로 초벌 구이하는 단계; 상기 막창을 다시 구이기의 숯통에 나무칩을 뿌려 3~10분 정도로 훈연으로 재초벌 구이하는 단계; 및 상기 구이기로부터 막창을 인출하여 기호에 따라 즉석 구이 또는 냉동 보관하도록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재초벌 구이 단계에서는 나무칩을 30~90%의 수분함유량을 지닌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하기 위한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막창을 수용되도록 다단의 철망으로 구비하는 석쇠; 소정의 공간 상에 석쇠를 안착시킨 거치편을 개재하고, 외부로 열이 방출됨을 차단하는 뚜껑을 구비하는 동체; 상기 동체의 하부에 탈장착이 가능하면서 숯과 나무칩을 수용하는 격자형 철망으로 구비하는 숯통; 및 상기 동체내의 숯통 하부에 위치하면서 외주면에 다수의 방출공을 구비하는 가스화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구이기는 석쇠와 숯통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개재하고, 가스화덕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원을 차단하는 동시에 숯과 나무칩으로부터 발생되는 훈연을 통하여 막창을 직화 구이됨을 방지하는 훈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벌 구이방법 및 구이기는 훈연을 통해 방부성과 지방의 변화 방지 및 수분의 건조로 보존성이 향상되면서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훈연 특유의 향이 첨가되어 풍미가 향상되면서 막창 고유의 잡냄새를 제거함과 함께 외관이 미려해짐에 따라 식욕을 더욱 증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를 개략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창을 수용하는 석쇠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숯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단계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숯통(30)을 지닌 구이기(1)를 통하여 막창(A)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에 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준비단계(S10)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막창(A)을 구비하고, 구이기(1)의 숯통(30)에 숯(31)을 투입한다. 준비단계(S10)는 깨끗하게 세척되고 적당하게 절단된 막창(A)을 준비한다. 물론 이러한 막창(A)을 다양한 숙성기법을 통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후, 숯통(30)에 적당량의 숯을 투입한 구이기(1)를 구비한다. 이때, 구이기(1)는 일반적으로 육류를 굽는 직화방식이 아닌 훈연으로 구울 수 있는 간접방식으로서 본 발명의 후술하는 구이기(1)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예열단계(S20)는 상기 구이기(1)의 숯(31)에 화덕으로 점화하여 130~180℃내외의 온도로 유지시키도록 예열한다. 예열단계(S20)는 숯통(30)에 숯(31)이 투입되면 구이기(1)에 구비된 가스화덕(40)에 불을 점화하여 구이기(1)의 내부 온도를 130~180℃내외의 온도가 되도록 예열한다. 이때, 내부 온도란 구이기(1)에 구비된 가스화덕(40)의 온도가 아닌 공기의 온도를 뜻하는 것으로, 이는 구이기(1)의 내부온도를 막창(A)의 조리온도로 미리 예열함에 따라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막창(A)의 육즙이 빠져 나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육질이 질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열단계(S20)의 온도는 막창의 상태와 양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약 150℃도의 온도로 예열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벌구이단계(S30)는 상기 구이기(1) 상에 막창(A)을 수용하는 석쇠(10)를 투입하여 1~3분 정도로 초벌 구이한다. 초벌구이단계(S30)는 상기 예열단계(S20)에 의해 예열된 구이기(1)에 막창(A)이 수용된 석쇠(10)를 투입한다. 이때, 석쇠(10)는 구이기(1) 내부에 온도가 막창(A)의 외주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개재되는 철망(11)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한다. 이러한 막창(A)을 수용한 석쇠(10)를 투입하고 나면 구이기(1) 내부 온도가 약 100℃내외로 떨어지게 되는데, 현 상태로 약 1~3분 동안 초벌구이를 수행한다. 이는 상기 전술한 예열단계(S20)에 의해 130~180℃내외의 온도로 예열된 구이기(1)를 원래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상온의 온도를 지닌 막창(A)을 예열온도와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초벌구이단계(S40)는 상기 막창(A)을 다시 구이기(1)의 숯통(30)에 나무칩(32)을 뿌려 3~10분 정도로 훈연으로 재초벌 구이한다. 재초벌구이단계(S40)는 1차적으로 초벌구이단계(S30)를 통해 막창(A)이 충분히 가열된 상태가 되면 구이기(1)로부터 숯통(30)을 인출하여 숯(31)의 상부로 나무칩(32)을 적당히 뿌리고 숯통(30)을 구이기(1)에 삽입한다. 따라서 가열된 숯(31)에 의해 나무칩(32)이 타면서 뜨거운 연기가 구이기(1) 내부에 발생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연기는 구이기(1) 내부에서 온도차에 의한 자연적인 대류현상으로 순환되는데, 이러한 연기에 의해 막창(A)이 그을려 익혀지게 된다. 이러한 훈연으로 굽는 시간은 막창(A)의 상태와 양에 따라 3~10분 정도로 구워야 바람직하며 가장 이상적으로 7분정도로 굽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초벌 구이된 막창(A)은 외면부로부터 5~30% 내외가 구워진 상태가 되고 노릿한 색감을 띠며, 원육으로부터 약 2배 이상이 팽창되면서 부드러운 상태로 변형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재초벌구이단계(S40)에서는 나무칩(32)을 30~90%의 수분함유량을 지닌 것을 사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무칩(32)은 숯통(30)에 뿌려져 연기를 발생하는 것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나무칩(32)은 30~90%의 수분함유량을 지니도록 물에 젖은 것을 사용한다. 물론 젖지 않은 것을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보다 많은 양의 연기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수분함유량이 필요하다. 이때, 나무칩(32)은 참나무, 벚나무, 석류나무 등을 사용하여 나무만의 독특한 향이 막창(A)에 함유하여 맛을 다양하게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무리단계(S50)는 상기 구이기(1)로부터 막창(A)을 인출하여 기호에 따라 즉석 구이 또는 냉동 보관하도록 마무리한다. 마무리단계(S50)는 구이기(1)로부터 초벌된 막창(A)을 인출하여 시식자의 기호에 따라 즉석 구이 또는 냉동 보관한다. 즉, 즉석 구이할 경우, 구이기(1)로부터 인출된 막창(A)을 바로 가스불판 또는 숯불에 직화로 구워 먹을 수 있다. 이렇게 즉석으로 구워 먹게 되면 막창(A)의 고유의 잡냄새가 없으면서 한번 초벌로 구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빨리 구워 먹을 수 있다. 또한 훈연으로 막창(A)에 숯불향과 나무향의 침윤작용으로 인해 일반 가스불판에서도 독특하고 구수한 향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또한, 냉동 보관하는 경우, 시식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구워 먹을 수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면서 편리하고 특히, 훈연을 통해 막창(A)의 방부성과 지방의 변화 방지 및 수분의 건조로 보존성이 대폭 향상되기 때문에 구이업소나 대형마트에 대량 유통이 가능해져 소비자들이 쉽게 막창(A)을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발생해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를 개략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막창을 수용하는 석쇠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숯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전술한 준비단계(S10), 예열단계(S20), 초벌구이단계(S30), 재초벌구이단계(S40)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막창(A)을 훈연으로 초벌하기 위한 구이기(1)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쇠(10)는 상기 막창(A)을 수용되도록 다단의 철망(11)으로 구비한다. 석쇠(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철망(11)이 개재되는데 상기 철망(11)의 상단으로 막창(A)을 수용하도록 안착한다. 이때, 철망(11)의 간격은 막창(A)의 열이 전달받기에 방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부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석쇠(10)의 양측으로는 거치대(13)를 개재하는 손잡이(12)를 구비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반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2)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손잡이(12) 내측으로 형성된 거치대(13) 상단으로 석쇠(10)를 다단으로 포개어 거치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것에 의하면 3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면 당업자라면 5~10단 이상으로도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 즉, 석쇠(10)는 막창(A)을 훈연으로 구울 수 있도록 후술하는 동체(10)로부터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하게 유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동체(20)는 소정의 공간(21) 상에 석쇠(10)를 안착시킨 거치편(22)을 개재하고, 외부로 열이 방출됨을 차단하는 뚜껑(23)을 구비한다. 동체(20)는 중앙에 소정의 공간(21)을 지니는 테이블형으로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다수의 지지대(도면번호 미부여)를 구비한다. 이때, 중앙에 형성된 공간(21)으로 이단의 턱을 구비하는 거치편(22)을 구비하여 상기 석쇠(10)를 안착됨을 유도한다.
또한 동체(20)의 중앙에 구비된 공간(21)이 외부로부터 개폐 가능하도록 절첩되는 뚜껑(23)을 구비한다. 뚜껑(23)은 공간(21) 상에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됨 차단하는 것을 주요 기능으로 하며 부가적으로는 외부의 기타 이물질로부터 막창(A)을 보호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뚜껑(23)은 열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단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에서 동체(20)의 공간(21)으로 내부로 투영하여 볼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의 유리판을 개재하고, 공간(21)에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계 등을 설치한다. 또한 동체(20)의 일측 또는 뚜껑(23)으로 송풍기를 설치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훈연을 강제로 순환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숯통(30)은 상기 동체(20)의 하부에 탈장착이 가능하면서 숯(31)과 나무칩(32)을 수용하는 격자형 철망으로 구비한다. 숯통(30)은 상기 동체(20)의 하부 일측으로 서랍형태로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숯통(30)의 일측으로는 사용자가 손으로 취부할 수 있는 손잡이(도면번호 미부여)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숯(31)과 나무칩(32)을 수용하는 격자형 철망을 구비한다. 이때, 내부 일측으로 막창(A)의 훈연시 발생하는 기름을 수용하도록 기름받이통(도면번호 미부여)을 구비한다. 또한 타측으로 숯(31)과 나무칩(32)의 연소가 원활하도록 산소의 공급을 부여하는 조절구멍(도면번호 미부여)을 개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화덕(40)은 상기 동체(10) 내의 숯통(30) 하부에 위치하면서 외주면에 다수의 방출공(41)을 구비한다. 가스화덕(40)은 소정의 길이를 지닌 환봉의 형태를 지닌 것으로 동체(10) 내에 한 쌍으로 삽입된다. 또한 가스화덕(40)의 끝단으로 LPG 또는 LNG의 연료와 연결되어 이를 분사하면서 직접적인 열을 발생한다. 이때, 가스화덕(4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방출공(41)을 구비하여 상기 방출공(41)상으로 연료가 배출되면서 불길을 고르게 분포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가스화덕(40)에 의해 발생되는 불은 숯통(30)의 철망으로 직접 닿아 숯(31)을 가열하게 되고 동체(20)의 형성된 공간(21)을 가열하면서 가열된 숯(31)에 의해 나무칩(32)이 타면서 뜨거운 연기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훈연판(50)은 석쇠(10)와 숯통(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개재하고, 가스화덕(4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원을 차단하는 동시에 숯(31)과 나무칩(32)으로부터 발생되는 훈연을 통하여 막창(A)을 직화 구이됨을 방지한다. 전술한 석쇠(10), 동체(20), 숯통(30), 가스화덕(40)을 구비하는 구이기(1)상으로 훈연판(50)을 개재하여 훈연으로 막창(A)을 구울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훈연판(50)은 석쇠(10)와 숯통(30) 사이에 위치하도록 동체(20)에 구비된 공간(21)의 중앙으로 분리 또는 일체로 개재한다. 즉, 훈연판(50)은 가스화덕(40)과 숯(31)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막창(A)을 수용하는 석쇠(10)상으로 직접적인 가해지는 열을 차단하여 직화구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석쇠(10)와 숯통(30) 사이에 완전한 밀폐가 아닌 양측으로 홈을 형성하여 나무칩(32)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가 순환되도록 구비한다. 이때, 훈연판(50)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막창(A)이 훈연에 의해 구워지면서 발생하는 기름을 담아 전술한 숯통(30) 내에 구비된 기름받이통으로 흘러가도록 형성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이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동체(20) 하단에 구비된 숯통(30)을 인출하여 적당량의 숯(31)을 담고 다시 삽입한다. 이어서, 가스화덕(40)에 연료를 분출하고 점화하여 내부 온도를 가열하여 예열한다. 물론 뚜껑(23)이 밀폐된 상태에서 수행하는데, 상기 뚜껑(23)에 구비된 온도계를 통하여 동체(20)의 내부 공간(21)의 온도가 올라간 것을 확인하고 인지한다.
그리고 동체(20)의 내부 공간(21)의 온도가 약 130~180℃내외로 도달하게 되면 닫힌 뚜껑(23)을 열고 막창(A)이 수용된 석쇠(10)를 동체(20)의 거치편(22)에 거치하고 뚜껑(23)을 다시 닫아 외부로부터 밀폐한다. 이때, 상온의 막창(A)이 들어오게 됨에 따라 예열된 공간(21)의 온도가 약 100℃내외로 떨어지게 되고 약 2분이 흐르면 다시 예열된 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상승하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구이기(1)의 내부를 투영한 단면투시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석쇠(10)와 숯통(30) 사이에 양측으로 통공되게 설치되는 훈연판(50)이 개재되는데, 이러한 훈연판(50)을 통하여 가스화덕(40)과 숯통(30)의 열원으로부터 차단하여 막창(A)이 직화됨을 방지한다. 이때, 훈연판(50) 양측에 구비된 통공으로 가스화덕(40)과 숯통(30)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가 대류현상을 통해 순환하면서 석쇠(10)에 수용된 막창(A)을 달구어 준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숯통(30)을 동체(20)로부터 이탈하여 숯통(30) 내부에 숯(31)의 상부로 나무칩(32)을 적당히 뿌려준 후, 다시 숯통(30)을 동체(20)에 삽입한다. 이때, 나무칩(32)은 30~90%의 수분함유량을 지니기 때문에 연기가 급격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기는 동체(20) 내부의 공간(21)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대류현상을 통해 순환하면서 석쇠(10)에 수용된 막창(A)을 훈연으로 구워주게 된다. 약 7분 정도로 구워준 후, 석쇠를 동체(10)로부터 들어내면 초벌구이가 된 막창(A)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훈연을 통해 방부성과 지방의 변화 방지 및 수분의 건조로 보존성이 향상되면서 육질을 부드럽고, 특히 훈연 특유의 향이 첨가되어 풍미가 향상되어 막창 고유의 잡냄새를 제거됨과 함께 외관이 미려해짐에 따라 식욕이 더욱 증가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A: 막창 1: 구이기
10: 석쇠 11: 철망
12: 손잡이 13: 거치대
20: 동체 21: 공간
22: 거치편 23: 뚜껑
30: 숯통 31: 숯
32: 나무칩 40: 가스화덕
41: 방출공 50: 훈연판

Claims (4)

  1. 숯통(30)을 지닌 구이기(1)를 통하여 막창(A)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막창(A)을 구비하고, 구이기(1)의 숯통(30)에 숯(31)을 투입하여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구이기(1)의 숯에 화덕으로 점화하여 130~180℃내외의 온도로 유지시키도록 예열하는 단계(S20);
    상기 구이기(1) 상에 막창(A)을 수용하는 석쇠(10)를 투입하여 1~3분 정도로 초벌 구이하는 단계(S30);
    상기 막창(A)을 다시 구이기(1)의 숯통(30)에 나무칩(32)을 뿌려 3~10분 정도로 훈연으로 재초벌 구이하는 단계(S40); 및
    상기 구이기(1)로부터 막창(A)을 인출하여 기호에 따라 즉석 구이 또는 냉동 보관하도록 마무리하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초벌 구이 단계(S40)에서는 나무칩(32)을 30~90%의 수분함유량을 지닌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3. 막창(A)을 훈연으로 초벌하기 위한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막창(A)을 수용되도록 다단의 철망(11)으로 구비하는 석쇠(10);
    소정의 공간(21) 상에 석쇠(10)를 안착시킨 거치편(22)을 개재하고, 외부로 열이 방출됨을 차단하는 뚜껑(23)을 구비하는 동체(20);
    상기 동체(20)의 하부에 탈장착이 가능하면서 숯(31)과 나무칩(32)을 수용하는 격자형 철망으로 구비하는 숯통(30); 및
    상기 동체(10)내의 숯통(30) 하부에 위치하면서 외주면에 다수의 방출공(41)을 구비하는 가스화덕(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창 훈연 초벌구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1)는 석쇠(10)와 숯통(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개재하고, 가스화덕(40)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원을 차단하는 동시에 숯(31)과 나무칩(32)으로부터 발생되는 훈연을 통하여 막창(A)을 직화 구이됨을 방지하는 훈연판(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창 훈연 초벌구이기.
KR1020100097602A 2010-10-07 2010-10-07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 KR101255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602A KR101255425B1 (ko) 2010-10-07 2010-10-07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602A KR101255425B1 (ko) 2010-10-07 2010-10-07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980A true KR20120035980A (ko) 2012-04-17
KR101255425B1 KR101255425B1 (ko) 2013-04-17

Family

ID=4613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602A KR101255425B1 (ko) 2010-10-07 2010-10-07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306A (ko) * 2021-12-21 2023-06-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세 훈제막창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훈제막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298B1 (ko) 2014-04-01 2016-02-18 조용환 훈제 막창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포장막창
KR101941965B1 (ko) * 2017-02-23 2019-01-24 주식회사 우진종합식품 농업회사법인 훈제막창의 제조방법
KR101906118B1 (ko) 2018-05-29 2018-11-30 김성호 맥반석 직화공정을 이용한 불맛 막창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막창
KR102334201B1 (ko) 2020-09-01 2021-12-03 (주)달구지푸드 식감 향상과 벤조피렌 저감화를 위한 훈제막창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390A (ko) * 2000-11-21 2002-05-27 이상국 육가공 훈제제품의 훈제방법 및 장치
KR200294399Y1 (ko) * 2002-08-03 2002-11-07 김주팔 훈제구이장치
KR100590802B1 (ko) * 2004-07-08 2006-06-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훈제굴의 제조 방법
KR100837069B1 (ko) * 2007-03-16 2008-06-11 김동배 훈제 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306A (ko) * 2021-12-21 2023-06-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세 훈제막창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훈제막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425B1 (ko)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1759B2 (en) Indoor barbecue
KR101255425B1 (ko)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
KR20100074539A (ko) 참숯 가마 형 오리 구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리방법
KR101593298B1 (ko) 훈제 막창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포장막창
US20110120442A1 (en) Barbecue Grill and Smoker
KR101042079B1 (ko) 숯불 고기구이기
KR20090125554A (ko) 튀김용 납작돼지막창 및 그 요리방법
AU2011200483A1 (en) Grill / toaster machine with vapor
KR20110099464A (ko) 고기훈제기
KR100903720B1 (ko) 오리 통구이기
US5242703A (en) Method of cooking food in a gas grill
US7312424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oking garlic
KR20130042686A (ko) 통오리 구이 방법 및 그 가마
KR200207275Y1 (ko) 훈제 구이기
US5284671A (en) Method of charcoal cooking food in an electric grill
KR101425771B1 (ko) 가마형 참나무 바비큐 장치
JP4783728B2 (ja) 変性エタノールの燃焼による食品の加熱調理方法および実施用器具
KR200280997Y1 (ko) 타지 않는 구이판
CN112568382A (zh) 一种火焰酥皮鸡的制作方法及装置
CN105768935A (zh) 一种电炭两用无烟烧烤炉
KR101170272B1 (ko) 치킨 제조방법
KR100875556B1 (ko) 바베큐 훈제 구이기
KR200432372Y1 (ko) 바베큐 훈제 구이기
KR20190121568A (ko) 미니화로 구이 양념 닭발 제조 방법
CN209331846U (zh) 一种无烟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