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069B1 - 훈제 구이기 - Google Patents

훈제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069B1
KR100837069B1 KR1020070025934A KR20070025934A KR100837069B1 KR 100837069 B1 KR100837069 B1 KR 100837069B1 KR 1020070025934 A KR1020070025934 A KR 1020070025934A KR 20070025934 A KR20070025934 A KR 20070025934A KR 100837069 B1 KR100837069 B1 KR 100837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tating
rotation
smoked
barbec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배
Original Assignee
김동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배 filed Critical 김동배
Priority to KR102007002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0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44Smoking;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 오리, 돼지 등의 피가공물이 가스, 숯불 또는 전열기 등의 가열수단에 의하여 바비큐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의 바비큐본체내를 가로질러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원반들과 또한 회전원반의 원주방향으로 피가공물장착꽂이대를 꽂아 고정시킬 수 있는 꽂이대받이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원반의 회전과 함께 꽂이대받이가 회전됨에 따라서 피가공물장착꽂이대들이 바비큐본체의 연소부를 중심으로 공전과 자전으로 피가공물에 골고루 구워지도록 하는 동시에, 연소부의 연소열에 의하여 가열 훈연되는 훈연부의 형성으로, 피가공물의 전체에 골고루 구이와 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 훈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바비큐부(10)의 닭, 오리, 돼지 등의 피가공물이 연소부(20)의 가스, 숯불 또는 전열기 등의 가열수단(30)을 중심으로 공전 및 자전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함에 있어, 바비큐본체(1)의 바비큐부(10)의 양쪽에 형성된 축받이고정판(100)들에 축받이되어 구동모터(50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원반(300)들의 원주방향으로 대향하게 형성한 꽂이대받이(320)들과, 꽂이대받이(320)들과의 동축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가 회전원반(300)의 중심축에 고정된 원반회전기어(340)에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가 이맞물림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연소부(20)에 피훈연부재(43)를 장착할 수 있는 훈연통(41)이 형성되어 가열수단(30)의 열에 의하여 피훈연부재(43)가 훈연되도록 한 훈연부(40)가 형성되는 훈제 구이기에 있어서, 구동모터(50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원반(300)들의 중심축(310)과 동축으로 회전되는 원반회전기어(340)에 일부 기어없는부분(341)이 형성되어, 상기 원반회전기어(340)의 기어형성부분(342)과 꽂이대받이(320)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들과의 이맞물림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없는부분(341)에서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와의 이맞물림 구동이 없이 꽂이대받이(32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훈제 구이기, 바비큐본체, 바비큐부, 연소부, 훈연부, 꽂이대받이, 피가공물장착꽂이대, 회전원반, 원반회전기어, 기어없는부분, 기어형성부분. 유통공간

Description

훈제 구이기{Smoking roaster}
도 1a,b 는 본 발명의 훈제 구이기의 좌,우측에서 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훈제 구이기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훈제 구이기의 구동모터쪽의 구동공간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훈제 구이기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쪽의 구동공간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도 2 의 A-A선 단면도,
도 6a,b 는 본 발명의 원반회전기어와 꽂이대받이회전기어의 이맞물림예의 다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 훈제 구이기에 전열히터를 장착한 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비큐본체 2 : 개구부
3 : 구동공간 4 : 기름받이
5 : 배기구 6 : 낙하방지커버
7 : 본체벽 8 : 유통공간
9 : 내벽 10 : 바비큐부
20 : 연소부 21 : 도어
30 : 가열수단 40 : 훈연부
41 : 훈연통 42 : 훈연통받침
43 : 피훈연부재 44 : 전열히터
45 : 전열수단 46 : 훈연장치
47 : 블로워 100 : 축받이고정판
200 : 피가공물장착꽂이대 300 : 회전원반
310 : 중심축 320 : 꽂이대받이
330 : 꽂이대받이회전기어 340 : 원반회전기어
341 : 기어없는부분 342 : 기어형성부분
500 : 구동모터 510 : 구동기어
600 : 회전모터 610 : 회전기어
본 발명은 닭, 오리, 돼지 등이 가스, 숯불 또는 전열기 등의 가열수단에 의하여 바비큐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훈제 가능한 훈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닭, 오리, 돼지 등의 피가공물이 가스, 숯불 또는 전열기 등의 가열수단에 의하여 바비큐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의 바비큐본체내를 가로질 러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원반들과 또한 회전원반의 원주방향으로 피가공물장착꽂이대를 꽂아 고정시킬 수 있는 꽂이대받이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원반의 회전과 함께 꽂이대받이가 회전됨에 따라서 피가공물장착꽂이대들이 바비큐본체의 연소부를 중심으로 공전과 자전으로 피가공물에 골고루 구워지도록 하는 동시에, 연소부의 연소열에 의하여 가열 훈연되는 훈연부의 형성으로, 피가공물의 전체에 골고루 구이와 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 훈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닭 및 기타 바비큐용 구이장치는, 바비큐용 피가공물을 장착할 수 있는 피가공장착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피가공물장착대가 숯불 및 가스버너 전열기 등의 가열수단쪽으로 주행하도록 하여, 가열수단의 열이 피가공물에 전달되어 피가공물이 구워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피가공물장착대은 대체로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하여 일정속도로 회전되도록 되고, 또한 피가공물장착대의 피가공물이 숯불 및 가스의 버너쪽으로 주행되면서 피가공물이 구워지도록 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피가공물장착대의 구동은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가 있고, 또한 구동체인과 종동체인에 의하여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형태가 있다.
상기 일축을 회전하는 형태는 숯불 및 가스의 버너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적은 량의 바비큐용으로 사용되고, 상기 무한궤도 형태의 주행의 경우에는 숯불 및 가스의 버너를 중심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많은 량의 바비큐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피가공물장착대가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나 무한궤도 로 주행하는 형태이던 숯불 및 가스의 버너에 대하여 한쪽방향으로 회전 및 주행하기 때문에, 숯불 및 가스의 연소열이 피가공물의 한쪽으로 편중되어 피가공물이 골고루 익혀지지 않아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형태는 소형에 적합하고 원가가 적게 든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반하여 무한궤도 방식의 주행형태는 구동원으로부터 구동스프로켓 체인과 상기 체인에 피가공물장착대의 받이틀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받이틀에 피가공물장착대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들을 구비하여야 하는 등으로 부품의 증대로 원가가 고가로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바비큐용 피가공물을 장착할 수 있는 꽂이대받이가 양쪽의 회전원반에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원반이 구동원에 의하여 가스, 숯불 및 전열수단 등의 연소부를 중심으로 공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또한 꽂이대받이가 상기 회전원반에서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자전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비큐본체내의 연소부의 위에 참나무 등의 훈연제를 넣어 훈연할 수 있는 훈연부를 형성하여 연소부의 가열수단에 의하여 피가공물이 구워지면서 훈연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비큐본체의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원반의 꽂이대받이의 자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바비큐본체로부터 꽂이대받이의 피가공물장착꽂이대의 구이물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비큐부의 닭, 오리, 돼지 등의 피가공물이 연소부의 가스, 숯불 또는 전열기 등의 가열수단을 중심으로 공전 및 자전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함에 있어, 바비큐본체의 바비큐부의 양쪽에 형성된 축받이고정판들에 축받이되어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원반들의 원주방향으로 대향하게 형성한 꽂이대받이들과, 꽂이대받이들과의 동축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가 회전원반의 중심축에 고정된 원반회전기어에 꽂이대받이회전기어가 이맞물림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연소부에 피훈연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훈연통이 형성되어 가열수단의 열에 의하여 피훈연부재가 훈연되도록 한 훈연부가 형성되는 훈제 구이기에 있어서,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원반들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회전되는 원반회전기어에 일부 기어없는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원반회전기어의 기어형성부분과 꽂이대받이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들과의 이맞물림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없는부분에서 꽂이대받이회전기어와의 이맞물림 구동이 없이 꽂이대받이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b 는 본 발명의 훈제 구이기의 좌,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또한 도 2 는 본 발명의 훈제 구이기의 종단면도이며,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훈제 구이기의 구동모터쪽의 구동공간의 정면도이고, 또한 도 4 는 본 발명의 훈제 구이기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쪽의 구동공간의 정면도이며, 또한 도 5 는 본 발명의 도 2 의 A-A선 단면도이고, 또한 도 6a,b 는 본 발명의 원반회전기어와 꽂이대받이회전기어의 이맞물림예의 다른 예시도이며, 또한 도 7 은 본 발명 훈제 구이기에 전열히터를 장착한 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훈제 구이기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틀의 박스 형태의 바비큐본체(1)로서, 위쪽에 닭, 오리, 돼지 등의 피가공물(210)이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비큐부(10)가 형성되고, 또한 아래쪽에 가스, 숯불, 장착 또는 전열기 등의 가열수단(30)이 장착되는 연소부(20)가 형성되어, 바비큐부(10)와 연소부(20)가 서로 연결되어 통하여져 있으면서 각 바비큐부(10)와 연소부(20)는 도어(21)들에 의하여 각각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열수단(30)이 숯불 또는 장작인 경우에는 재받이부(도시생략)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비큐본체(1)의 바비큐부(10)의 본체벽(7)내에 배기구(5)와 통하는 유통공간(8)이 형성된 내벽(9)이 형성되어, 바비큐부(10)에서 발생되는 열이 유통공간(8)을 통하여 배기구(5)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바비큐분체(1)의 본체벽(7)이 가열되어서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비큐본체(1)의 바비큐부(10)는 정면에서 볼 때, 양쪽 측면이 개구된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2)와의 일정 간격의 구동공간(3)을 확보 하며 축받이고정판(100)들이 볼트너트의 고정수단(번호생략)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축받이고정판(100)들은 후술하는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들이 장착되는 회전원반(300)들의 중심축(310)의 양쪽이 축받이되어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게 된다.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들이 장착되는 회전원반(300)들은 바비큐본체(1)의 개구부(2)들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회전원반(300)들은 중심축(310)으로 연결되며, 중심축(310)의 양쪽 끝단은 축받이고정판(100)에 베어링 등의 피버트 수단(번호생략)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원반(300)들은 개구부(2)와의 틈새를 적게하여 바비큐부(10)의 열이 바비큐본체(1)의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바비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회전원반(300)들에는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를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꽂이대받이(320)가 베어링 또는 리테이너 등의 피버트 수단(번호생략)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320)에는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가 형성되어 원반회전기어(340)와 이맞물림 구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원반(300)들의 양쪽에는 종동기어(520)와 원반회전기어(340)가 고정되어 있으며, 종동기어(520)에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받이고정판(100)에 설치된 구동모터(500)의 구동기어(510)와 이맞물림되고, 또한 원반회전기어(340)는 한쪽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320)에 일체로 형성된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들과 이맞물림 구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500)가 콘트롤러(도시생략)의 제어에 의하여 회전속도 및 타이밍 등의 제어들이 설정되어 "온"되면 구동기어(510)가 종동기어(520)와 이맞물림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양쪽의 축받이고정판(100)에 축받이된 회전원반(300)들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원반(30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원반회전기어(340)는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와 이맞물림으로 꽂이대받이(320)들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와의 일체로 회전되는 꽂이대받이(320)들은 대향하는 회전원반(300)들의 꽂이대받이(320)와의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의 걸침 연결로 인하여, 결국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를 회전시키어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의 피가공물(210)이 연소부(20)의 열에 의하여 구워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원반회전기어(340)의 형성에 있어서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50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원반(300)들의 중심축(310)과 동축으로 회전되는 원반회전기어(340)에 일부 기어없는부분(341)이 형성되어, 상기 원반회전기어(340)의 기어형성부분(342)과 꽂이대받이(320)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들과의 이맞물림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없는부분(341)에서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와의 이맞물림 구동이 없이 꽂이대받이(32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반회전기어(340)와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의 이맞물림속도와, 또한 원반회전기어(340)의 기어없는부분(341)과 상기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의 타이밍 등은 콘트롤러(도시생략)에서 제어 셋팅하게 된다.
즉, 바비큐본체(1)의 바비큐부(10)의 도어(11)쪽에 위치하는 경우, 회전원 반(300)의 꽂이대받이(320)들 중에서 하나의 꽂이대받이(320)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가 원반회전기어(340)의 기어없는부분(341)에 의하여 회전(자전)되지 않아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320)에 형성된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를 추출 또는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회전원반(300)들은 회전(공전)은 상기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를 교체할 수 있는 느린 속도로 세팅된 상태이어야 한다.
또한, 하나의 꽂이대받이(320)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가 회전하지 않는 반면에, 도 4와 같이 나머지 3개의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들은 원반회전기어(340)의 기어형성부분(342)과의 이맞물림 구동으로 회전(자전)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비큐본체(1)의 바비큐부(10)에서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320)에 걸쳐있는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들이 공전과 자전을 행하면서 연소부(20)의 가열과 또한 훈연부(40)의 훈연기의 공급으로 가열훈연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가 상기 설명된 위치에서 자전이 행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서,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의 교체가 원만하게 이루어져 피가공물들에 고른 훈연과 가열로 맛있는 육질의 훈연가공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비큐본체(1)의 바비큐부(10)의 아래에는 연소부(20)가 형성되고, 연소부(20)에 피훈연부재(43)를 장착할 수 있는 훈연통(41)이 형성되는 훈연부(40)가 형성되고, 이 훈연통(41)은 가열수단(30)의 간접열에 의하여 피훈연부재(43)가 훈연된다.
즉, 상기 연소부(20)의 훈연부(40)는, 바비큐본체(1)의 내벽에 형성한 훈연 통받침(42)에 피훈연부재(43)를 장착할 수 있는 훈연통(41)이 분리 결합가능하게 형성되고, 훈연통(41)의 피훈연부재(43)가 가열에 의하여 훈연된 훈연연기가 바비큐부(10)로 훈연된다.
훈연통받침(42)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훈연통(41)은 바비큐본체(1)의 밖에서 추출 및 결합가능하게 장착되고, 훈연통(41)의 피훈연부재(43)는 참나무 또는 기타 훈연에 유익한 부재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훈연부(40)에는 훈연통(41)의 피훈연부재(43)로의 기름 등의 이물질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5 와 같이 낙하방지커버(6)를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훈연부(40)의 주위에 기름받이(4)를 형성하여 연소부(20)로의 기름 등의 이물질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바비큐본체(1)의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소부(20)의 가열수단(30)은 도 2 및 도 5 와 같이 가스로스틀을 형성하여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가열이 행하여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장작을 연소 가열수단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열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예를 들은 장착이나 전열히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훈연부(40)를 별도의 전열수단에 의하여 가열 훈연되는 훈연장치를 형성하여 바비큐본체(1)의 연소부(20)로 훈연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바비큐본체(1)의 바비큐부(10)에서 가열 및 훈연처리된 가스는 바비큐부(10)위에 연결되어 통하여져 있는 배기구(5)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배기구(5)에 연통을 연결할 수 있다.
다음, 도 6a,b에서,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를 추출할 수 있는 위치에 하나 의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320)가 회전하지 않고, 나머지 3개의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320)가 회전되도록 함에 있어서, 축받이고정판(100)에 3개의 회전모터(600)들을 배치하고, 또한 상기 회전모터(600)의 회전기어(610)에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들이 간헐적으로 이맞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회전모터(600)의 장착에 있어서의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를 추출할 수 있는 위치에 회전원반(300)의 하나의 꽂이대받이(32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도 6a,b에서 좌측)에 회전모터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꽂이대받이(3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는, 바비큐본체(1)의 바비큐부(10)의 도어(11)의 위치로서, 도어(11)를 통하여 회전원반(300)의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를 교체 및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도 6a에서 회전모터(600)의 회전기어(610)에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들이 이맞물림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꽂이대받이(320)들이 회전되어 결국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회전원반(300)이 화살표시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모터(600)의 회전기어(610)에 회전원반(300)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들이 이맞물림이 해제되어, 꽂이대받이(320)들이 회전하지 않으며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를 회전시키지 않게 된다.
상기 회전모터(600)의 회전기어(610)의 회전속도 및 회전원반(300)의 회전속도 등은 콘트롤러(도시생략)에서 셋팅 제어될 수 있다.
도 7 은 바비큐본체(1)의 연소부(20)에 전열히터(44)를 형성하여 히터열이 바비큐부(10)에 전달되어 피가공물장착꽂이대(200)의 피가공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이때 바비큐본체(1)에 별도의 전열수단(45)에 의하여 피훈연부재(43)가 가열 훈연되는 훈연장치(46)를 형성하여, 훈연장치(46)의 훈연기가 블로워(47)를 통하여 바비큐본체(1)의 연소부(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예를 나타낸다. 상기 전열수단(45)은 리크롬선 등의 전열기구로서 피훈연부재(43)가 간접열에 의하여 훈연기를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닭, 오리, 돼지 등의 피가공물이 가스, 숯불 또는 전열기 등의 가열수단에 의하여 바비큐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어서의 바비큐본체내를 가로질러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원반들과 또한 회전원반의 원주방향으로 피가공물장착꽂이대를 꽂아 고정시킬 수 있는 꽂이대받이들이 형성되도록 하여, 회전원반의 회전과 함께 꽂이대받이가 회전됨에 따라서 피가공물장착꽂이대들이 바비큐본체의 연소부를 중심으로 공전과 자전으로 피가공물에 골고루 구워지도록 하는 동시에, 연소부의 연소열에 의하여 가열 훈연되는 훈연부의 형성으로, 피가공물의 전체에 골고루 구이와 훈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바비큐부(10)의 닭, 오리, 돼지 등의 피가공물이 연소부(20)의 가스, 숯불 또는 전열기 등의 가열수단(30)을 중심으로 공전 및 자전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함에 있어, 바비큐본체(1)의 바비큐부(10)의 양쪽에 형성된 축받이고정판(100)들에 축받이되어 구동모터(50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원반(300)들의 원주방향으로 대향하게 형성한 꽂이대받이(320)들과, 꽂이대받이(320)들과의 동축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가 회전원반(300)의 중심축에 고정된 원반회전기어(340)에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가 이맞물림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연소부(20)에 피훈연부재(43)를 장착할 수 있는 훈연통(41)이 형성되어 가열수단(30)의 열에 의하여 피훈연부재(43)가 훈연되도록 한 훈연부(40)가 형성되는 훈제 구이기에 있어서,
    구동모터(50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원반(300)들의 중심축(310)과 동축으로 회전되는 원반회전기어(340)에 일부 기어없는부분(341)이 형성되어, 상기 원반회전기어(340)의 기어형성부분(342)과 꽂이대받이(320)의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들과의 이맞물림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없는부분(341)에서 꽂이대받이회전기어(330)와의 이맞물림 구동이 없이 꽂이대받이(32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훈제 구이기.
  3. 삭제
KR1020070025934A 2007-03-16 2007-03-16 훈제 구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37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934A KR100837069B1 (ko) 2007-03-16 2007-03-16 훈제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934A KR100837069B1 (ko) 2007-03-16 2007-03-16 훈제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069B1 true KR100837069B1 (ko) 2008-06-11

Family

ID=3977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9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7069B1 (ko) 2007-03-16 2007-03-16 훈제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06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19B1 (ko) * 2008-02-25 2010-01-06 박춘길 바베큐 구이기의 꼬치대 회전장치
KR101255425B1 (ko) * 2010-10-07 2013-04-17 조용환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
KR101298093B1 (ko) 2011-09-20 2013-08-20 김갑식 바베큐장치
CN106235895A (zh) * 2016-08-30 2016-12-21 许成仪 卧式烧烤炉
KR101875324B1 (ko) * 2017-03-21 2018-07-05 박종운 초벌구이용 오븐
KR20220121935A (ko) * 2021-02-25 2022-09-02 아라온영어조합법인 전열식 훈연장치
CN115251143A (zh) * 2022-07-07 2022-11-01 重庆市计量质量检测研究院 一种用于提高食品熏制效果的加工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742Y1 (ko) * 1994-08-10 1998-04-09 장성룡 적외선 훈제 구이기
KR19980067338A (ko) * 1997-01-30 1998-10-15 기경희 바베큐장치
KR20030061749A (ko) * 2003-06-19 2003-07-22 김진균 숯불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장치
KR100478237B1 (ko) 2002-07-22 2005-03-24 이승규 훈제용 바베큐장치
KR200427377Y1 (ko) 2006-07-07 2006-09-25 서정웅 구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2742Y1 (ko) * 1994-08-10 1998-04-09 장성룡 적외선 훈제 구이기
KR19980067338A (ko) * 1997-01-30 1998-10-15 기경희 바베큐장치
KR100478237B1 (ko) 2002-07-22 2005-03-24 이승규 훈제용 바베큐장치
KR20030061749A (ko) * 2003-06-19 2003-07-22 김진균 숯불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장치
KR200427377Y1 (ko) 2006-07-07 2006-09-25 서정웅 구이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19B1 (ko) * 2008-02-25 2010-01-06 박춘길 바베큐 구이기의 꼬치대 회전장치
KR101255425B1 (ko) * 2010-10-07 2013-04-17 조용환 막창을 훈연으로 초벌 구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구이기
KR101298093B1 (ko) 2011-09-20 2013-08-20 김갑식 바베큐장치
CN106235895A (zh) * 2016-08-30 2016-12-21 许成仪 卧式烧烤炉
CN106235895B (zh) * 2016-08-30 2019-09-24 绍兴市米莉农业科技有限公司 卧式烧烤炉
KR101875324B1 (ko) * 2017-03-21 2018-07-05 박종운 초벌구이용 오븐
KR20220121935A (ko) * 2021-02-25 2022-09-02 아라온영어조합법인 전열식 훈연장치
KR102558014B1 (ko) 2021-02-25 2023-07-21 아라온영어조합법인 전열식 훈연장치
CN115251143A (zh) * 2022-07-07 2022-11-01 重庆市计量质量检测研究院 一种用于提高食品熏制效果的加工设备
CN115251143B (zh) * 2022-07-07 2023-11-14 重庆市计量质量检测研究院 一种用于提高食品熏制效果的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069B1 (ko) 훈제 구이기
KR101541644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US5910332A (en) Rotisserie broiler
KR101264987B1 (ko) 회전식 구이기
US6041695A (en) BBQ oven
CN100479723C (zh) 旋转烧烤装置
KR102321891B1 (ko) 육류 직화구이기
KR100914173B1 (ko) 회전 구이기
KR101368138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0762986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20080076487A (ko) 꽂이구의 자전 및 공전이 이루어지게 한 회전식 꼬치구이기
KR102365744B1 (ko) 터널식 연속형 구이 장치
KR100738839B1 (ko) 고기 구이용 황토가마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100719476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용 고기 거치대
KR200388410Y1 (ko) 구이기의 구동장치
KR101430885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US6343544B1 (en) Cooking apparatus
KR0112742Y1 (ko) 적외선 훈제 구이기
KR200432413Y1 (ko) 참숯 바비큐 오븐
US4403595A (en) Barbecue grill
KR200460459Y1 (ko) 가마솥 회전구이기
KR200321549Y1 (ko) 고기구이기
US1605143A (en) Portable rotary barbecue machine
KR200400383Y1 (ko) 꼬치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