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486A -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486A
KR20120017486A KR20100080070A KR20100080070A KR20120017486A KR 20120017486 A KR20120017486 A KR 20120017486A KR 20100080070 A KR20100080070 A KR 20100080070A KR 20100080070 A KR20100080070 A KR 20100080070A KR 20120017486 A KR20120017486 A KR 20120017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rtificial stone
paste composition
aluminosilic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8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882B1 (ko
Inventor
박창환
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08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882B1/ko
Priority to JP2013524798A priority patent/JP2013534206A/ja
Priority to CN2011800397839A priority patent/CN103068769A/zh
Priority to US13/814,388 priority patent/US20130168891A1/en
Priority to EP11818425.8A priority patent/EP2606014A4/en
Priority to PCT/KR2011/006114 priority patent/WO2012023825A2/en
Publication of KR2012001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1Aluminium silicates other than 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5Devices or processes for obtaining articles having a marble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combined with a vacuum, e.g. for moisture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8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mixtures of the silica-lim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1Efflorescence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4Substitutes for natural stone, artistic materials or the like
    • C04B2111/542Artificial natural stone
    • C04B2111/545Artificial mar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80Optical properties, e.g. transparency or reflexibility
    • C04B2111/802White 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하는 바는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화합물과 같은 무기 바인더를 사용하는 한편,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를 사용하여, 기존 시멘트계 인조석의 백화현상, 내구성 등의 문제점과 유기 바인더계 인조석의 내열성, 내산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동시에 인조석에 단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인조석 제조용 조성물 및 인조석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백시멘트 10~20중량부,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3~10중량부, 종석 40~70중량부, 물 5~10중량부, 감수제 0.1~1중량부,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10~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의 인조석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인조석 페이스트를 푸어링 및 진동성형하는 단계, 양생하는 단계, 고온고압 수열반응하는 단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Paste composition for marb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marbl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재나 내장재로 사용되는 인조석을 제조하기 위한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화합물과 같은 무기 바인더를 사용하여 기존 시멘트계 인조석의 백화현상, 내구성 등의 문제점과 유기 바인더계 인조석의 내열성, 내산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조석이란 천연석에 반대되는 석재로서, 인위적으로 제작된 석재를 말한다. 이러한 인조석은 인조대리석, 인조화강암 등이 있으며, 주로 건축용 내장재 혹은 외장재로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는 인조석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시멘트계 인조석이다. 시멘트계 인조석은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 가능하여 건축용 내장재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멘트계 인조석은 온도 변화에 따른 내구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멘트계 인조석은 시멘트 경화시에 수화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가용성의 알칼리화합물이나 수산화칼슘 성분이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인조석 내부의 기공을 통하여 표면으로 석출되거나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불용성의 탄산칼슘을 형성함으로써 백화현상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시멘트계 인조석을 건축용 외장재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외관의 손상이 심해지므로, 건축용 외장재로의 사용은 지양되고 있다.
또한, 시멘트계 인조석의 문제점인 백화현상을 억제하고자, 시멘트의 일부를 유기고분자로 치환한 유기 바인더계 인조석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유기 바인더계 인조석의 경우, 내열성, 내산성, 표면경도의 문제점이 있어, 여전히 건축용 외장재로 사용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화합물과 같은 무기 바인더를 사용하는 한편,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를 사용하여, 기존 시멘트계 인조석의 백화현상, 내구성 등의 문제점과 유기 바인더계 인조석의 내열성, 내산성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동시에 인조석에 단열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인조석 제조용 조성물 및 인조석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백시멘트 10~20중량부,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3~10중량부, 종석 40~70중량부, 물 5~10중량부, 감수제 0.1~1중량부,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10~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백시멘트 10~20중량부,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3~10중량부, 종석 40~70중량부, 물 5~10중량부, 감수제 0.1~1중량부,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10~30중량부 혼합하여 인조석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b)몰드에서 상기 제조된 인조석 페이스트를 푸어링(pouring) 및 진동성형하는 단계; (c)상기 인조석 페이스트를 양생하는 단계; (d)상기 양생된 인조석을 고온고압 수열반응하는 단계; 및 (e)상기 양생된 결과물을 가공하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백시멘트,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종석, 물, 감수제,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백시멘트는 기본적인 바인더 역할을 하는 것으로 10~20중량부를 사용하는데, 그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시멘트수화반응후 강도 저하문제가 있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비용과다 및 초과된 시멘트량만큼 백화발생 등 문제가 있다.
상기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무기 바인더로서 메타카올린, 플라이애쉬, 규조토, 실리카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페이스트 조성물 내에서 3~10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3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없으며, 3차원 망상구조를 갖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폴리머와 효과적으로 형성되지 못하여 강도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고, 그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여 무기 바인더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인조석의 경도가 저하되어 건축용 외장재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타카올린은 카올린을 600℃ ~ 9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종석(종석골재)은 대리석, 사문암, 화강암 등의 천연석이나, 인조석을 분쇄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규석과 천연석 미분 등을 함유한다. 종속 골재는 인조석의 기초 재료로서, 인조석에 경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종석(종석골재)는 페이스트 조성물 내에서 40~7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4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인조석의 경도가 낮아 외장재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외관에 골재가 출석되지 않아서 미려한 외관의 표현이 불가하고, 70중량부를 초과하면 무기 바인더의 상대적인 함량이 낮아져서, 인조석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과 페이스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다른 물질들과 혼합시 작업성(workability)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경량 미립(0.2~1mm 직경)형 다공성 무기소재는 단열효과를 얻기 위해 저비중 발포유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 비중은 0.3~0.8 정도인 것, 바람직하게는 0.3~0.5수준인 것이 단열성 부여 측면에서 더 유리하며, 함량은10~30중량부를 사용하는데, 그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단열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혼화(Mixing)성 등 문제가 있다.
상기 비중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700 ~ 800℃ 하에 유리 발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800℃ 이상이면 비중이 증가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물은 5~10중량부를 사용하고, 상기 감수제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대표적으로는 나프탈렌계, 멜라민계, 폴리카르본산계가 있으며 주로 폴리카본산계의 사용이 용이하며, 사용량은 0.1~1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물질로 혼합된 페이스트는 반응조건과 조성비에 따라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용해 반응,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재결합에 의한 중합반응 및 칼슘과 실리케이트의 결합반응 등 여러 반응들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상기 반응들 중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용해 반응에서는 메타카올린 또는 플라이애쉬와 같은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화합물이 pH 12 이상의 강알칼리 용액에서 표면의 알루미늄 이온과 실리콘 이온이 용해되면서 사면체의 알루미네이트(AlO4), 실리케이트(SiO4), 알루미네트와 실리케이트가 결합된 올리고시알레이트(oligosialate) 등을 형성한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용해 반응에서 형성된 이온들은 알칼리 촉매 조건에서 올리고시알레이트의 재결합 반응인 중합 반응에 의해 폴리시알레이트를 형성한다. 올리고시알레이트의 중합 반응은 알루미늄 이온과 실리콘 이온의 조성비와 반응조건에 따라 Si-O-Al-O-, Si-O-Al-O-Si-O-, Si-O-Al-O-Si-O-Si-O- 등의 단위체를 형성하며, 3차원 망상구조를 갖는 폴리머 형태의 고강도 구조체를 형성한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폴리머는 3차원 망상구조를 통하여, 고온에서의 구조 안정성이 높고, 초기 강도 발현 속도가 빨라 인조석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폴리머는 낮은 온도에서 경화되어 에너지 소비가 적으며, 광물성분으로 구성된 친환경 재료로써의 장점을 가진다.
한편, 알루미노실리케이트에서 용해된 실리케이트의 일부 이온들은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을 형성하고, 또한, 반응 온도와 조성비에 따라 토버모라이트와 같은 결정질 또는 세미 결정질 물질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조성물에서 무기 바인더로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함량비를 높이고 기공률을 낮출 수 있어서 고강도, 수밀성의 특성을 이룰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비율로 혼합한 페이스트는 몰드에서 푸어링 및 진동성형하는 과정을 거치고, 양생하는 과정을 거치고, 수열반응의 과정을 거치고, 가공하는 과정을 거쳐서 인조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백시멘트 10~20중량부,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3~10중량부, 종석 40~70중량부, 물 5~10중량부, 감수제 0.1~1중량부,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10~30중량부를 혼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한 후, 몰드에 상기 인조석 페이스트를 푸어링(pouring)한다. 몰드는 제조하고자 하는 인조석의 형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몰드의 내면은 양생 후 인조석의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하여 이형 물질을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진동성형 단계에서는 약30초~3분간 1,000~3,500rpm으로 몰드에 진동을 가하여 비중차를 이용, 고비중인 종석은 몰드하부로 침강하고 저비중인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칩은 몰드상부로 부상하여 자연스럽게 2개의 층을 형성한다.
상기 양생은 증기 양생과 고온고압 증기양생으로 2차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기 양생 단계에서는 인조석 페이스트를 양생하는 것으로, 본 단계에서 페이스트 조성물이 점점 굳어지면서 인조석이 형성된다. 양생은 0℃ ~ 150℃의 온도 및 65% 이상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2~36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고온고압 증기양생은 약10bar로 5~10시간 성형물을 오토클레이브에서 수열반응을 유도 포졸란 반응을 발생시킨다.
상기 가공은 연마 및 표면 처리 등을 행하는 것으로, 형성된 인조석에 대하여 사이드와 이면 앞면 재단 후 표면 폴리싱을 가하여 광택을 부여하고, 경우에 따라 표면처리를 통하여 초기 오염성을 극대화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인조석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한 것으로, 인조석 페이스트 마련 단계, 푸어링 단계, 진동성형 단계, 증기양생, 고온고압 2차양생, 연마 및 표면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와 같은 무기 바인더를 포함시킴으로써 백화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미립 경량기포 무기질 저비중 물질과 같이 성형하여 진동성형을 가함으로 저비중 경량기포물질이 상부에 부상하여 일정한 층을 형성함으로 이에 기인한 단열 기능이 부여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조석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비교예로서 제시한 비정질 활성 알루미늄 실리케이트와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를 모두 사용하지 않은 경우 인조석을 도시한 도면 이다.
도 3은 도 1에 의한 진공성형 단계 이후 종석이 몰드하부로 침강하고 저비중인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칩이 몰드상부로 부상한 2개의 층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발명예
도 1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백시멘트 18.5중량부, 메타카올린(Pozzolanicreactivity 950min, 300Mesh 미만 Size, 백색) 6중량부, 종석 50중량부, 경량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직경 0.7mm, 약 800℃로 소성시켜 0.3 정도의 비중을 갖는 발포유리) 17중량부, 물 8중량부, 감수제(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0.5중량부를 Mix하여 무기질 바인더를 제조하고, 이를 몰드에 Pouring 및 진동성형 과정(3,500rpm, 약3분)을 거쳐서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성형체는 육안으로 관찰시 종석이 몰드하부로 침강하고 저비중인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칩이 몰드상부로 부상하여 2개의 층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상기 성형체를 60℃, 상대습도 98%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양생하여 인조석을 제조하였다. 이를 다시 10bar, 약180℃하에 10시간 동안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수열반응을 시켜서 2차 양생을 시켰다. 이를 사이드재단, 이면연마, 표면연마, 표면광택 과정을 거쳐서 단열기능이 부여된 인조석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인조석을 도 3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백시멘트 24.5중량부, 종석 67중량부, 물 8중량부, 감수제 0.5중량부를 Mix하여 무기질 바인더를 제조하고, 이를 몰드에 Pouring 및 진동성형 과정(3,500rpm, 약3분)을 거쳐서 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성형체를 60℃, 상대습도 98%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양생하여 인조석을 제조하였다. 이를 사이드재단, 이면연마, 표면연마, 표면광택 과정을 거쳐서 단열기능이 부여된 인조석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인조석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물성 측정 및 평가
발명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인조석의 물성은 3점 굴곡강도와 열전도율, 물의 흡수율에 대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굴곡강도 측정법은 KS F 4035에 따른다.
*열 전도율 측정법은 KS L 9016을 따른다.
*물의 흡수율 측정법은 KS F2530에 따른다.
구분 굴곡강도 (Mpa) 열전도율(kcal/mh ℃) 물의 흡수율 (%)
비교예 11 0.2 3.3
발명예 15 0.06 2.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가 포함된 쪽(발명예)이 비교예보다 제품의 고밀도화가 확보되어 굴곡강도가 더 우수하며 흡수율이 더 낮았다. 또한, 발명예에 따른 도 3에서 보듯이,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가 포함된 쪽의 제품이 제품 이면에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층이 확보되어 이에 기인하여 열전도율이 확연히 낮아져서 단열기능의 확보가 가능하였다.

Claims (8)

  1. 백시멘트 10~20중량부,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3~10중량부, 종석 40~70중량부, 물 5~10중량부, 감수제 0.1~1중량부,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10~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스트 조성물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용해반응, 알루미노실리케이트의 재결합에 의한 중합 반응, 및 칼슘과 실리케이트의 결합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메타카올린, 플라이애쉬, 규조토, 실리카퓸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는 저비중 발포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5. (a)백시멘트 10~20중량부,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 3~10중량부, 종석 40~70중량부, 물 5~10중량부, 감수제 0.1~1중량부,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10~30중량부를 혼합하여 인조석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b)몰드에서 상기 제조된 인조석 페이스트를 푸어링(pouring) 및 진동성형하는 단계;
    (c)상기 인조석 페이스트를 양생하는 단계;
    (d)상기 양생된 인조석을 고온고압 수열반응하는 단계; 및
    (e)상기 양생된 결과물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성형은 30초~3분간 1,000~3,500rpm으로 몰드에 진동을 가하여 종석이 몰드하부로 침강하고 저비중인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 칩이 몰드상부로 부상하는, 2개의 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활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메타카올린, 플라이애쉬, 규조토, 실리카퓸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미립형 다공성 무기소재는 저비중 발포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석의 제조방법.
KR1020100080070A 2010-08-19 2010-08-19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KR101265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070A KR101265882B1 (ko) 2010-08-19 2010-08-19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JP2013524798A JP2013534206A (ja) 2010-08-19 2011-08-19 人造石製造用のペースト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人造石の製造方法
CN2011800397839A CN103068769A (zh) 2010-08-19 2011-08-19 人造大理石用糊剂组合物及使用其制造人造大理石的方法
US13/814,388 US20130168891A1 (en) 2010-08-19 2011-08-19 Paste composition for artificial mar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using the same
EP11818425.8A EP2606014A4 (en) 2010-08-19 2011-08-19 PASTE COMPOSITION FOR ART MARMO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RTIST ARMOR THEREWITH
PCT/KR2011/006114 WO2012023825A2 (en) 2010-08-19 2011-08-19 Paste composition for artificial mar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070A KR101265882B1 (ko) 2010-08-19 2010-08-19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486A true KR20120017486A (ko) 2012-02-29
KR101265882B1 KR101265882B1 (ko) 2013-05-20

Family

ID=4560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070A KR101265882B1 (ko) 2010-08-19 2010-08-19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68891A1 (ko)
EP (1) EP2606014A4 (ko)
JP (1) JP2013534206A (ko)
KR (1) KR101265882B1 (ko)
CN (1) CN103068769A (ko)
WO (1) WO201202382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675A (ko) 2016-12-08 2018-06-18 김화원 내구성이 우수한 세라믹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9336488A (zh) * 2018-08-10 2019-02-15 安徽朗凯奇建材有限公司 一种耐高温瓷砖防水填缝剂及其制备工艺
WO2019088409A1 (ko) * 2017-11-02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내광성이 개선된 인조대리석
KR20190066595A (ko) * 2017-12-05 2019-06-13 (주)엘지하우시스 인조대리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582A1 (es) * 2013-01-11 2014-07-17 Cosentino Research And Development, S.L. Artículos de aglomerado de piedra artificial estratificados
CN104139448A (zh) * 2014-06-26 2014-11-12 重庆独匠玉瓷工艺品有限公司 汉白玉瓷器皿的制造方法
CA3019613C (en) * 2016-05-24 2021-07-06 Chris CALVIN Lightweight concrete formulations
WO2020195182A1 (ja) * 2019-03-26 2020-10-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複合部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建築部材及び装飾部材
CN109928687A (zh) * 2019-04-18 2019-06-25 王君国 无机人造石配方
KR102333429B1 (ko) * 2019-05-29 2021-11-30 서옥석 친환경 인조석 제조방법
EP3771701B1 (en) * 2019-07-31 2021-09-08 Cosentino Research & Development, S.L. Artificial agglomerate stone article comprising synthetic silicate granules
CN111777374A (zh) * 2020-05-29 2020-10-16 安徽老石人石业有限公司 一种保温石材一体板的生产工艺
CN113880503A (zh) * 2021-09-01 2022-01-04 贺州学院 一种集强韧、抗菌和负氧离子功能于一体的无机人造大理石荒料及其制备方法
CN115124289B (zh) * 2022-07-22 2023-07-25 浙江星创环保有限公司 以淤泥状一般无机固废为主材的无机人造石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0804A (ja) * 1984-02-29 1985-09-14 大成建設株式会社 外装断熱プレキヤスト部材の製造方法
FR2603319A1 (fr) * 1986-09-02 1988-03-04 Vetois Marcel Elements de cloisons interieures
JPS63299901A (ja) * 1987-05-30 1988-12-07 Kunio Watanabe 表面に自然石を現出するコンクリ−ト製品の成形方法
DK32690D0 (da) * 1989-05-01 1990-02-07 Aalborg Portland Cement Formet genstand
JPH0733271B2 (ja) * 1990-02-22 1995-04-1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セメント混和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メント組成物
JP2528797B2 (ja) * 1991-02-01 1996-08-28 株式会社エストン藤原 人造石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8868A (zh) * 1992-03-25 1994-07-06 龚哲夫 抗渗透防辐射仿大理石饰面砖及生产工艺
JPH08209606A (ja) * 1995-02-02 1996-08-13 Geostr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舗装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15806B2 (ja) * 1995-02-06 2006-08-30 旭化成建材株式会社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板の製造方法
JPH11278900A (ja) * 1998-03-31 1999-10-12 Abc Trading Co Ltd 軽量水硬性建材
FR2831882B1 (fr) * 2001-11-08 2004-01-23 Davidovits Joseph Pierre geopolymerique pour la construction et la decoration, analogue d'aspect a de la pierre naturelle
FR2831905B3 (fr) * 2001-11-08 2004-01-23 Joseph Davidovits Bloc isolant avec finition pierre geopolymerique pour la construction, et procede de fabrication
CN100484897C (zh) * 2003-04-18 2009-05-06 张东辉 防水型耐酸耐热轻质隔热浇注料及其制造方法
JP2005138544A (ja) * 2003-11-10 2005-06-02 Shinko Kozai Kk 外壁パネルの製造方法
US7771529B1 (en) * 2004-08-31 2010-08-10 Polycor Vetrazzo, Inc. Cementitious composition incorporating high levels of glass aggregate for producing solid surfaces
CN100372793C (zh) * 2006-01-10 2008-03-05 陕西科技大学 微晶泡沫玻璃的制备方法
KR100704056B1 (ko) 2006-10-31 2007-04-09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콘크리트용 내화 보드 조성물
KR100807244B1 (ko) 2006-12-21 2008-02-28 요업기술원 고내화성 무기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화보드
CN100450963C (zh) * 2007-01-25 2009-01-14 上海交通大学 建筑饰面水泥基人造石材
KR20100015010A (ko) * 2008-08-04 2010-02-12 (주)엘지하우시스 논슬립 시멘트계 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51156B1 (ko) * 2008-08-13 2013-04-04 (주)엘지하우시스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366383B1 (ko) * 2008-09-08 2014-02-24 (주)엘지하우시스 시멘트를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0134A (ko) * 2008-10-09 2010-04-19 (주)엘지하우시스 인조 대리석
KR100950058B1 (ko) * 2009-02-23 2010-03-26 주식회사 천보콘크리트 인조화강석 표면층을 갖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675A (ko) 2016-12-08 2018-06-18 김화원 내구성이 우수한 세라믹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9088409A1 (ko) * 2017-11-02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내광성이 개선된 인조대리석
KR20190066595A (ko) * 2017-12-05 2019-06-13 (주)엘지하우시스 인조대리석
CN109336488A (zh) * 2018-08-10 2019-02-15 安徽朗凯奇建材有限公司 一种耐高温瓷砖防水填缝剂及其制备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882B1 (ko) 2013-05-20
JP2013534206A (ja) 2013-09-02
EP2606014A2 (en) 2013-06-26
WO2012023825A3 (en) 2012-06-07
CN103068769A (zh) 2013-04-24
US20130168891A1 (en) 2013-07-04
EP2606014A4 (en) 2014-01-22
WO2012023825A2 (en) 201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882B1 (ko)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의 제조방법
KR101073315B1 (ko) 인조석 조성물 및 인조석 제조 방법
CA3019760A1 (en) Geopolymer foam formulation
CN101581131B (zh) 一种免蒸压加气混凝土砌块及制造方法
CN104108917A (zh) 一种低碱度瓷砖胶
CN106517972B (zh) 一种发泡水泥
KR102232477B1 (ko) 습윤면 시공성이 우수한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JP2007031270A (ja) 低比重軽量発泡コンクリ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84092A (ja) モルタル質修復材
CN104446608A (zh) 一种抗菌高强度加气砖及其制备方法
KR101262447B1 (ko) 인조석 제조용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인조석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무기 바인더계 인조석
CN100569689C (zh) 一种用于生产轻烧镁建筑材料可取代氯化镁的调和剂
KR101755637B1 (ko)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마감재용 차열성 코팅 조성물 및 코팅방법
KR101747316B1 (ko) 차열성이 강한 황토, 점토 투수블록 제조방법
CN107555930B (zh) 一种高强、阻水加气混凝土建筑砌块及制备方法
KR0181779B1 (ko) 강체형 경량 기포 흡음 블럭의 제조 방법
RU2375303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ультрадисперсного вяжущего материала
CN109665795A (zh) 加气混凝土砌块砖
CN115974483B (zh) 一种掺入清水粉的镜面清水混凝土及其施工工艺
KR101198282B1 (ko) 생황토를 이용한 토목 내지 건축 공사 재료용 친환경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황토 벽돌 제작 방법과 기계화 시공법
JP6933422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1278679A (ja) 無機炭酸化硬化体の製造方法
JP5030061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
CN103936351A (zh) 一种含有木质素纤维的坚果壳高强度粉煤灰砖
KR20120021755A (ko)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