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943A - 손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손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943A
KR20120014943A KR1020127001083A KR20127001083A KR20120014943A KR 20120014943 A KR20120014943 A KR 20120014943A KR 1020127001083 A KR1020127001083 A KR 1020127001083A KR 20127001083 A KR20127001083 A KR 20127001083A KR 20120014943 A KR20120014943 A KR 2012001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hand
blowing nozzle
mix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196B1 (ko
Inventor
히로시 다무라
다카시 고야마
야스아키 시마
마나부 치카자와
시게루 모리카와
마사토 스즈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1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8Air douches for hygien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실과, 제 1 공기 분출 노즐 및 제 2 공기 분출 노즐과,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를 구비하고, 제 1 송풍기의 제 1 취출구와, 제 2 송풍기의 제 2 취출구를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를 혼합하는 공기 혼합실에 연결하고, 공기 혼합실과 제 1 공기 분출 노즐은 제 1 공기 통로를 거쳐서 연결하며, 공기 혼합실과 제 2 공기 분출 노즐은 제 2 공기 통로를 거쳐서 연결하고 있는 손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 건조 장치{HAND DRYING DEVICE}
본 발명은 손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손 건조 장치의 구성은 하기와 같이 되어 있었다. 즉, 외부를 향하여 개구한 손 삽입구를 갖는 건조실과, 이 건조실내의 대향면에 배치한 제 1 공기 분출 노즐, 제 2 공기 분출 노즐과 제 1 공기 분출 노즐에 송풍하는 제 1 송풍기와, 제 2 공기 분출 노즐에 송풍하는 제 2 송풍기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상기 종래 예에서는, 젖은 손을 손 삽입구로부터 건조실에 삽입하면, 건조실내의 대향면에 배치한 제 1 공기 분출 노즐, 제 2 공기 분출 노즐로부터 세차게 공기가 분출되어, 젖은 손의 표리면이 동시에 말려져, 지극히 편리성이 높다.
이 경우, 건조실내의 대향면에 배치한 제 1 공기 분출 노즐, 제 2 공기 분출 노즐로부터, 세차게 공기를 분출하기 위해서는, 제 1 공기 분출 노즐, 제 2 공기 분출 노즐의 각각에 대량의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제 1 공기 분출 노즐에는 제 1 송풍기, 또 제 2 공기 분출 노즐에는 제 2 송풍기를 각각 연결하고 있었다. 즉, 두 개의 송풍기를 이용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9-039270 호 공보
그렇지만, 이와 같이 제 1 공기 분출 노즐에 제 1 송풍기, 제 2 공기 분출 노즐에 제 2 송풍기를 각각 연결했을 때, 제 1 송풍기, 제 2 송풍기에 특성 편차를 갖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제 1 공기 분출 노즐, 제 2 공기 분출 노즐로부터의 분출 공기압에 차이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손의 표리면에서 분출 공기압의 차이에 의한 불쾌감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손의 표리면에서, 건조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손 건조 장치는, 손 삽입구를 갖는 건조실과, 건조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각각 대향한 제 1 공기 분출 노즐 및 제 2 공기 분출 노즐과, 제 1 공기 분출 노즐 및 제 2 공기 분출 노즐에 공기를 송풍하는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를 구비하고, 제 1 송풍기의 제 1 취출구와, 제 2 송풍기의 제 2 취출구를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로부터 취출(吹出)되는 공기를 혼합하는 공기 혼합실에 연결하고, 공기 혼합실과 제 1 공기 분출 노즐은 제 1 공기 통로를 거쳐서 연결하며, 공기 혼합실과 제 2 공기 분출 노즐은 제 2 공기 통로를 거쳐서 연결하고 있다.
그 결과, 손의 표리(손바닥, 손등)에 고속풍을 균일하게 불게 할 수 있으므로, 손의 표리면에서 분출 공기압의 차이에 의한 불쾌감도 없고, 건조 편차가 생길 일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중요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공기 혼합실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공기 분출 노즐로부터 공기가 분출했을 때의 분출 공기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공기 분출 노즐을 수평방향으로 요동시켰을 경우의 분출 공기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중요부의 정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직방체형상의 본체 케이스(1)의 상부에는 건조실(2), 하부에는 액체 배출 접시(3)가 배치되어 있다. 액체 배출 접시(3)는, 건조실(2)로부터 도 2에 도시하는 파이프(4)를 거쳐서 유하한 물을 저장하고, 본체 케이스(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 케이스(1)의 폭이 넓은 면을 정면으로 하고, 정면에서 보아 안길이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기재한다.
또한, 건조실(2)에 있어서, 젖은 손이 건조된다. 건조실(2)의 상부에는, 본체 케이스(1)의 상방 외부를 향하여 개구한 손 삽입구(5)를 갖는다. 건조실(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좌우방향의 크기는, 본체 케이스(1)의 좌우방향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그렇지만, 전후방향의 크기는, 본체 케이스(1)의 전후방향의 크기보다 작게 되어 있다. 즉, 건조실(2)의 전후에는, 본체 케이스(1)와의 사이에,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의 설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건조실(2)의 내측의 손 삽입구(5)의 약간 하방인 전후방향에는,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이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손 삽입구(5)를 상방에 갖는 건조실(2)의 하방에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혼합실(10)이 배치되어 있다. 건조실(2)의 외측에는, 상술과 같이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가 대향 배치되고, 공기 혼합실(10)의 하부에는,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가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공기 혼합실의 측면 단면도이다.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로부터 취출된 공기는, 그 취출된 공기를 혼합하는 공기 혼합실(10)에 공급되며, 공기 혼합실(10)로부터 제 1 공기 통로(6)를 거쳐서, 제 1 공기 분출 노즐(8)에서 건조실(2)내에 분출된다. 또한,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로부터 취출된 공기는, 공기 혼합실(10)로부터 제 2 공기 통로(7)를 거쳐서, 제 2 공기 분출 노즐(9)에서 건조실(2)내에 분출된다. 즉, 공기 혼합실(10)과 제 1 공기 분출 노즐(8)은 제 1 공기 통로(6)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공기 혼합실(10)과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은 제 2 공기 통로(7)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송풍기(11)의 제 1 취출구(17)와, 제 2 송풍기(12)의 제 2 취출구(18)는 공기 혼합실(10)에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송풍기(11)는 수납부(11a) 및 덮개(11b)로 이루어지는 제 1 팬 케이스(11c)(도 2)와, 제 1 팬 케이스(11c)내에 마련한 제 1 팬 유닛(11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송풍기(12)는, 수납부(12a) 및 덮개(12b)로 이루어지는 제 2 팬 케이스(12c)(도 2)와, 제 2 팬 케이스(12c)내에 마련한 제 2 팬 유닛(12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팬 케이스(11c), 제 2 팬 케이스(12c)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고 일체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납부(11a, 12a)가 인접하고 일체화되며, 덮개(11b, 12b)도 인접하고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수납부(11a, 12a)내에 제 1 팬 유닛(11d), 제 2 팬 유닛(12d)을 수납 후, 덮개(11b, 12b)를 장착할 때, 덮개(11b, 12b)와 제 1 팬 유닛(11d), 제 2 팬 유닛(12d) 사이에, 방진 링(11e), 방진 링(12e)을 개재시킨다. 방진 링(11e), 방진 링(12e)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고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의 본체 케이스(1)를 구성하는 배면판(1a)에는, 제 1 팬 케이스(11c), 제 2 팬 케이스(12c)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팬 케이스(11c)의 취출구인 제 1 취출구(17)(도 4)는 제 1 연통로(11f)를 거쳐서 공기 혼합실(10)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팬 케이스(12c)의 취출구인 제 2 취출구(18)(도 4)도 제 2 연통로(12f)를 거쳐서 공기 혼합실(10)에 연결된다. 제 1 연통로(11f)와, 제 2 연통로(12f)의 사이는 격벽(11g)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압력이 강하다. 그 때문에, 제 1 연통로(11f), 제 2 연통로(12f)는, 제 1 송풍기(11)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와, 제 2 송풍기(12)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제 1 취출구(17), 제 2 취출구(18)로부터 분출한 상태에서 바로 부딪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취출구(17), 제 2 취출구(18)로부터 공기 혼합실(10)에 분출된 공기가 바로 부딪칠 일이 없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소음의 발생 억제를 위해서는, 격벽(11g)의 양측[제 1 연통로(11f)측, 제 2 연통로(12f)측]에는 방음재(11h)를 배치하는 것도 유효한 수단이 된다. 또한, 소음 억제를 위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조실(2)의 하부와 공기 혼합실(10) 사이에, 방음 공간(13)을 마련하고, 방음 공간(13)에도 방음재(13a)를 마련하고 있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한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로부터 공기 혼합실(10)에 공급된 공기는,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를 거쳐서 각각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에서 건조실(2)내에 분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있어서,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는, 건조실(2)의 외측의 전후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 1 공기 통로(6), 및 제 2 공기 통로(7)의 하단은, 공기 혼합실(10)의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공기 통로(6) 및 제 2 공기 통로(7)의 하단보다 상방에서, 제 1 공기 통로(6) 및 제 2 공기 통로(7)와, 공기 혼합실(10)이 연결되어 있다.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의 상방에는, 각각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이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의 상방 부분으로부터 물이 침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만일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에 물이 침수해도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의 하부에 물을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에 침수한 물은, 공기 혼합실(10)을 거쳐서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에 도달할 일이 없다.
또한, 제 1 공기 통로(6)의 벽면(6a)을 타고 유하한 물이 공기 혼합실(10)에 침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좋다. 즉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면(6a)과 공기 혼합실(10)의 결합 부분에, 공기 혼합실(10) 밖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b)를 마련한다.
또한, 공기 혼합실(10)은 큰 공간이므로, 필요에 따라서 공기 혼합실(10)내에 히터 유닛(16)을 마련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부를 향하여 개구한 손 삽입구(5)를 갖는 건조실(2)과 건조실(2)내의 대향면에 배치한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과,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에 송풍하는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송풍기(11)의 제 1 취출구(17)와, 제 2 송풍기(12)의 제 2 취출구(18)를 공기 혼합실(10)에 연결하고 있다. 공기 혼합실(10)과 제 1 공기 분출 노즐(8) 및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은, 각각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젖은 손을 손 삽입구(5)로부터 건조실(2)내에 삽입하면, 건조실(2)내의 대향면에 배치한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로부터 세차게 공기가 분출된다. 그 결과, 젖은 손의 표리면이 동시에 말려지게 되어, 극히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일단, 공기 혼합실(10)에서 혼합되고, 그 후 각각 제 1 공기 통로(6), 제 2 공기 통로(7)를 거쳐서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로부터 건조실(2)내에 분출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에 특성 편차가 있어도,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로부터의 분출 공기의 세기에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손의 표리면에서의 건조 편차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송풍기(11) 및 제 2 송풍기(12)가 2개인 송풍기를 구비하고, 제 1 송풍기(11)의 제 1 취출구(17)와, 제 2 송풍기(12)의 제 2 취출구(18)를 공기 혼합실(10)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2개의 송풍기를 구비하는 구성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송풍기(11) 및 제 2 송풍기(12) 이외에 추가의 송풍기를 더 구비하고, 이들 복수의 송풍기의 각 취출구를 공기 혼합실(10)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다른 특징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은, 손 삽입구(5)를 사이에 두는 건조실(2)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 전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로부터 세차게 분출되는 공기가 충돌하는 것에 의한 소음을 작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공기 분출 노즐로부터 공기가 분출했을 때의 분출 공기의 모식도이다.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이 대향 배치되어 있으면,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 충돌 상태가 된다. 즉, 충돌 영역이 한정되어 충돌 면적이 작아지므로, 공기의 충돌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작아진다.
이것에 대하여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이 비대향 상태이면,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넓은 부분에서 충돌하게 되어, 소음이 커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공기 분출 노즐을 수평방향으로 요동시켰을 경우의 분출 공기의 모식도이다.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경우에는,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의 요동 범위를 동일하게 하고, 또한 요동 동작도 동기 시킬 필요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 삽입구(5)의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의 상부에, 각각 4개의 광학 센서(14a, 14b, 14c, 14d)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손 삽입구(5) 부분에의 손 삽입은, 일부의 광학 센서(14b, 14c)에 의해 검출하고, 손 삽입구(5) 부분으로부터의 손 배출은, 전부의 광학 센서(14a, 14b, 14c, 14d)에 의해 검출하는 구성으로 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손 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광학 센서(14a, 14b, 14c, 14d)는, 제 1 공기 분출 노즐(8)측이 광발사 소자이면, 제 2 공기 분출 노즐(9)측이 광수광 소자로 되어 있다. 손 삽입을 검출하기 때문에, 평상시는 광학 센서(14b, 14c)만이 구동되고 있다.
그리고, 광학 센서(14b, 14c)의 구동에 의해, 도 8과 같이 손(15)이 광학 센서(14b, 14c)의 빛을 차단하면,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로부터의 공기의 분출이 개시되고, 이것에 의해 손(15) 표리면의 건조가 개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 1 송풍기(11), 제 2 송풍기(12)의 구동이 개시되면, 모든 광학 센서(14a, 14b, 14c, 14d)의 동작이 개시된다. 그리고, 그 이후 모든 광학 센서(14a, 14b, 14c, 14d)에 의해 손(15)의 빼냄이 검출된다. 즉, 손(15)의 삽입의 검출은 언제 실행될지 모르는 상황이므로, 광학 센서(14b, 14c)에만 보다 손(15)의 삽입 검출을 실행하여, 전력의 사용을 억제한다.
또한, 손(15)의 빼냄은 넓은 영역에서 검출을 실행할 필요가 있다. 손(15)을 좌우로 움직였을 때, 손(15)을 빼낼 때의 손가락의 사이에서 빛이 차단되지 않았을 때에, 손(15)이 존재하지 않으면 오판단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모든 광학 센서(14a, 14b, 14c, 14d)에 의해 손(15)의 빼냄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광학 센서(14a, 14b, 14c, 14d)는 제 1 공기 분출 노즐(8), 제 2 공기 분출 노즐(9)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분출 공기가 부딪치는 영역으로부터 손(15)을 빼냈을 때에는, 모든 광학 센서(14a, 14b, 14c, 14d)에 의해서 손(15)의 빼냄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손 건조 장치의 건조 운전을 확실히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쓸데없는 운전이 없어져, 소비 전력을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면소 및 화장실 등의 손 건조 장치로서 폭넓은 활용이 기대된다.
1 : 본체 케이스 1a : 배면판
2 : 건조실 3 : 액체 배출 접시
4 : 파이프 5 : 손 삽입구
6 : 제 1 공기 통로 6a : 벽면
6b : 돌출부 7 : 제 2 공기 통로
8 : 제 1 공기 분출 노즐 9 : 제 2 공기 분출 노즐
10 : 공기 혼합실 11 : 제 1 송풍기
11a, 12a : 수납부 11b, 12b : 덮개
11c : 제 1 팬 케이스 11d : 제 1 팬 유닛
11e, 12e : 방진 링 11f : 제 1 연통로
11g : 격벽 11h, 13a : 방음재
12 : 제 2 송풍기 12c : 제 2 팬 케이스
12d : 제 2 팬 유닛 12f : 제 2 연통로
13 : 방음 공간 14a, 14b, 14c, 14d : 광학 센서
15 : 손 16 : 히터 유닛
17 : 제 1 취출구 18 : 제 2 취출구

Claims (10)

  1. 손 삽입구를 갖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각각 대향한 제 1 공기 분출 노즐 및 제 2 공기 분출 노즐과,
    상기 제 1 공기 분출 노즐 및 상기 제 2 공기 분출 노즐에 공기를 송풍하는 제 1 송풍기 및 제 2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송풍기의 제 1 취출구와, 상기 제 2 송풍기의 제 2 취출구를 상기 제 1 송풍기 및 상기 제 2 송풍기로부터 취출되는 공기를 혼합하는 공기 혼합실에 연결하고, 상기 공기 혼합실과 상기 제 1 공기 분출 노즐은 제 1 공기 통로를 거쳐서 연결하며, 상기 공기 혼합실과 상기 제 2 공기 분출 노즐은 제 2 공기 통로를 거쳐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 삽입구를 상기 건조실의 상방에 마련하는 동시에, 상기 건조실의 하방에 상기 공기 혼합실을 배치하고, 상기 건조실의 외측에 상기 제 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 2 공기 통로를 대향 배치하며, 상기 공기 혼합실의 하방에 상기 제 1 송풍기 및 상기 제 2 송풍기를 배치하여, 상기 건조실의 하부와 상기 공기 혼합실 사이에 방음 공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공간에 방음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풍기는 제 1 팬 케이스와, 상기 제 1 팬 케이스내에 마련한 제 1 팬 유닛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 2 송풍기는 제 2 팬 케이스와, 상기 제 2 팬 케이스내에 마련한 제 2 팬 유닛에 의해 구성하며, 상기 제 1 팬 케이스 및 상기 제 2 팬 케이스를 인접시켜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취출구는 제 1 연통로를 거쳐서 상기 공기 혼합실에 연결하고, 상기 제 2 취출구는 제 2 연통로를 거쳐서 상기 공기 혼합실에 연결하며, 상기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의 사이는 격벽에 의해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방음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 2 공기 통로의 하단은 상기 공기 혼합실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 2 공기 통로의 하단보다 상방에서, 상기 제 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 2 공기 통로와 상기 공기 혼합실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혼합실에 히터 유닛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분출 노즐과 상기 제 2 공기 분출 노즐을 대향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 삽입구에 복수의 광학 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손 삽입구에의 손 삽입은 복수의 상기 광학 센서 중 일부인 상기 광학 센서에 의해 검출하며, 상기 손 삽입구로부터의 손 배출은 복수의 상기 광학 센서 전부에 의해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건조 장치.
KR1020127001083A 2009-07-16 2010-07-15 손 건조 장치 KR101343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7415 2009-07-16
JP2009167417 2009-07-16
JPJP-P-2009-167417 2009-07-16
JPJP-P-2009-167422 2009-07-16
JP2009167415 2009-07-16
JP2009167416 2009-07-16
JP2009167422 2009-07-16
JPJP-P-2009-167416 2009-07-16
JPJP-P-2009-263734 2009-11-19
JP2009263734 2009-11-19
PCT/JP2010/004592 WO2011007572A1 (ja) 2009-07-16 2010-07-15 手乾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943A true KR20120014943A (ko) 2012-02-20
KR101343196B1 KR101343196B1 (ko) 2013-12-19

Family

ID=4344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083A KR101343196B1 (ko) 2009-07-16 2010-07-15 손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47166B2 (ko)
KR (1) KR101343196B1 (ko)
CN (1) CN102469897B (ko)
WO (1) WO20110075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865A1 (ko) 2012-12-31 2014-07-03 Lee Ok-Kyung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110A1 (ja) * 2015-08-05 2017-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1272A (en) * 1989-12-12 1990-10-09 Lee Shih Ye Drying apparatus
JP3341535B2 (ja) * 1995-07-10 2002-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JP2001037675A (ja) * 1999-07-29 2001-02-13 Kyushu Hitachi Maxell Ltd 水切り装置
JP3630046B2 (ja) * 1999-11-09 2005-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JP2002345681A (ja) 2001-05-29 2002-12-03 Toto Ltd 手乾燥装置
JP3630137B2 (ja) * 2001-12-18 2005-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手乾燥装置
CN101422335B (zh) * 2004-04-20 2011-10-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手干燥装置
CN101199402B (zh) * 2005-08-18 2010-09-08 三菱电机株式会社 手干燥装置
JP5168782B2 (ja) * 2005-08-31 2013-03-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手乾燥装置
JP4232769B2 (ja) * 2005-09-14 2009-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乾燥装置
JP4567792B2 (ja) * 2009-02-06 2010-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手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865A1 (ko) 2012-12-31 2014-07-03 Lee Ok-Kyung 슬라이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69897B (zh) 2014-10-29
KR101343196B1 (ko) 2013-12-19
JPWO2011007572A1 (ja) 2012-12-20
JP5747166B2 (ja) 2015-07-08
CN102469897A (zh) 2012-05-23
WO2011007572A1 (ja)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415B1 (ko) 손 건조 장치
JP5659401B2 (ja) 手乾燥装置
CN1984592B (zh) 手干燥装置
US7657162B2 (en) Hand dryer apparatus
TW200608927A (en) Hand drying apparatus
JP2002136448A (ja) 手乾燥装置
WO2006049470A3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343196B1 (ko) 손 건조 장치
JP2013198741A (ja) 手乾燥装置
JP2004215879A (ja) 手乾燥装置
JP2015177851A (ja) 手乾燥装置
JP2004290529A (ja) 手乾燥装置
EP3332683B1 (en) Hand dryer
JP2005087283A (ja) 手乾燥装置
JPWO2017081728A1 (ja) 手乾燥装置
JP2001190446A (ja) 手乾燥装置
JPWO2014156091A1 (ja) 手乾燥装置
JP5586302B2 (ja) 手乾燥装置
JP2007135904A (ja) 食器洗い機
KR200481089Y1 (ko) 가습량 증대를 위한 초음파 가습기
CN214370699U (zh) 一种多级雾化加湿器
JP6072589B2 (ja) 手乾燥装置
WO2008122248A1 (fr) Dispositif de formation de mousse amélioré pour machine à café
JP5891351B2 (ja) 手乾燥装置
JP2018192450A (ja) クリーニング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