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956A -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 및 이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 - Google Patents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 및 이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956A
KR20120013956A KR1020117025108A KR20117025108A KR20120013956A KR 20120013956 A KR20120013956 A KR 20120013956A KR 1020117025108 A KR1020117025108 A KR 1020117025108A KR 20117025108 A KR20117025108 A KR 20117025108A KR 20120013956 A KR20120013956 A KR 20120013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tter
ball
signal
magne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5996B1 (ko
Inventor
포크 울렌브루크
Original Assignee
이씨에스 엔지니어드 콘트롤 시스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씨에스 엔지니어드 콘트롤 시스템 아게 filed Critical 이씨에스 엔지니어드 콘트롤 시스템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1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14Manually operated selector [e.g., remotely controlled device, lever, push button, rotary dial, etc.]
    • Y10T74/20159Control lever movable through plural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어 세팅을 선택하기 위해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2')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로서,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2')에 배치된 신호 송신기(14)와 신호 송신기(14)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신호 수신기(16)를 포함하며, 신호 송신기(14)와 신호 수신기(16)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선택될 수 있는 서로 다른 기어 스텝에 대해 변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호 수신기(16)는, 신호 송신기(14)의 신호 수신기(16)에 대한 상대 위치를 3차원으로 검지하도록 설계되고, 신호 송신기는 자석(14)이고, 신호 수신기는 3축 홀 센서 시스템(16)이다.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2')는 볼 조인트(20)를 가지며, 신호 송신기(14)는 볼 조인트(20)의 하나의 볼(22)에 배치된다. 여기서, 자석(14)의 북-남 축(18)은 볼 중심(26)을 거쳐 연장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해당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 및 이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GEAR STEP SELECTOR LEVER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기어나 기어 세팅을 선택하는 기어 변속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기어 변속 레버에 설치된 신호 송신기와, 신호 송신기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설치된 신호 수신기를 가져, 서로 다른 기어에서 신호 수신기에 대한 신호 송신기의 서로 다른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타입의 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자동차의 반자동 수동 변속기뿐만 아니라 자동 변속기는, 통상 기어 변속 레버와 변속기 사이의 직접적인 기계적 결합 없이도 작동한다. 이들 소위 "시프트-바이-와이어(shift-by-wire)" 시스템에서, 기어 변속 레버의 위치가 검지되어, 기어 변속 레버의 실제 위치를 기초로, 원하는 기어가 확인되며, 이때 이 기어는 변속기의 보조 모터에 의해 세팅된다.
그러한 작동 장치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서 수단의 예는, 그 빔 경로가 변속 레버 자체에 의해서나, 변속 레버의 움직임에 결합되는 섀도우잉 구성요소(shadowing components)에 의해 가로 막히는 방식으로, 기어 변속 레버의 각 변속 위치와 관련되는 광 배리어(light barrier)이다. 변속 레버의 움직임을 섀도우잉 구성요소에 결합하는 기계적 구성요소의 마모뿐만 아니라 광 배리어 구성요소의 먼지(dirt)가 그러한 작동 장치의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고, 최악의 경우의 시나리오에서는 기능의 완전한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신호 송신기와 신호 수신기로 구성된 시스템이 알려져 있고, 여기서 신호 송신기는 기어 변속 레버에 배치되고, 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기어 변속 레버 하우징에서와 같이, 이것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배치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알려진 장치가, 홀더, 조인트에 의해 홀더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 기어 변속 레버뿐만 아니라 신호 송신기 및 두 개의 센서가 장착된 각도-측정 장치를 가져, 각도-측정 장치가 조인트에 배치되고, 차량 변속기에 연결된 제어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변속 장치에 관한 독일 특허출원(DE 10 2004 056 800A1)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단점은, 기어 변속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기 위해 서로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독일 특허출원(DE 102 2006 044 404A1)은 자동차에서 기어 변속 레버의 각도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를 개시하며, 여기서 자계의 필드 방향을 검지하는 두 개의 홀 센서(Hall sensor)가 또한 제공된다.
게다가, 독일 실용신안(DE 20 2007 000 210U1)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선회 축을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의 변속 위치로 선회할 수 있는 기어 변속 레버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제 1 선회 축을 중심으로 기어 변속 레버의 각도 위치를 판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회전-각도 센서가 구비되는, 차량 변속기용 작동 장치를 개시한다. 기어 변속 레버의 더 복잡한 2차원 움직임 가능성에 대해서는, 기어 변속 레버의 위치가 검지될 수 있도록 두 개의 센서가 여기서 또한 필요하다. 여기서, 또한, 실제로 기어 변속 레버의 보통의 2차원 움직임으로 인해, 적어도 두 개의 센서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 장치에서 필요한 배선 및 계산 리소스는 더 많아진다.
자동차에서 기어 선택을 검지하고 평가하는, 독일 특허출원(DE 10 2007 026 303A1)에 개시한 장치는, 기어 변속 레버,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자계의 세 공간 구성요소를 검지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자석 센서 소자를 갖는다. 센서는 홀 센서(Hall sensor)로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타입의 장치를, 기어 변속 레버의 위치가 높은 신뢰도로, 그리고 동시에 적은 계산 노력뿐만 아니라 작은 양의 소재 사용으로 검지될 수 있는 정도로 개선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장치뿐만 아니라 대안적인 독립 청구항 7에 기재된 자동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의 요지이다.
자동차의 기어 세팅을 선택하기 위해 기어 변속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어 변속 레버에 배치된 신호 송신기뿐만 아니라 신호 송신기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배치된 신호 수신기를 갖는다. 신호 수신기에 대한 신호 송신기의 위치는 여러 선택 가능한 기어에서 서로 다르며, 신호 송신기 및 신호 수신기에 의해 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 "기어 변속 레버"는,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고, 자동차의 변속기의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기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어떤 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문맥에서, 변속기의 타입은 본 발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 변속기는 자동 변속기나 반자동 변속기뿐만 아니라 종래의 수동 변속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컨대 기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신호 수신기는 신호 송신기의 상대 위치를 3차원으로 검지하도록 구성되게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으로 인해, 하나의 단일 신호 수신기로 차량 기어 변속 레버의 위치를 완벽히 검지할 수 있다. 이것은 두 개의 신호 수신기 사용 및 이와 관련된 더 큰 계산 노력에 대한 필요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대응하는 기어 변속 레버 장치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며, 그 이유는 단 하나의 신호 수신기가 위치될 필요가 있고 그 이상은 필요치 않기 때문이다.
신호 송신기의 신호 수신기에 대한 3차원 상대 위치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수신기와 신호 송신기 사이의 세 개의 벡터 구성요소를 기록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게다가, 두 개의 벡터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거리 벡터의 값을 검지하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3차원을 판정하는 세 번째 가능성은, 신호 송신기로부터 신호 수신기에 도달한 센서 신호의 세 개의 각도를 판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신호의 평가 및 그에 따라 신호 송신기의 신호 수신기에 대한 위치의 판정은 신호 수신기에서 직접 수행될 필요가 없다.
더 나아가, 신호 송신기는 자석으로 구성되고, 신호 수신기는 3축 홀 센서 시스템으로서 구성되도록 제공된다. 개선에 의해, 3축 홀 센서 시스템은, 자석에 의해 방출되고 3축 홀 센서 시스템에 도달한 자계의 값 및/또는 방향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3축 홀 센서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소위 3D-홀 센서로서 구성된다.
대체로, 3축 홀 센서 시스템의 자계의 방향 벡터의 평가로도 충분할 것이며, 그 이유는 기어 변속 레버가 보통 변속 게이트에 설치되어, 3축 홀 센서 시스템에서 자석의 특징적 자계를 특징으로 하는 한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신호 수신기에 대한 에너지 공급뿐만 아니라 신호의 픽-업은, 신호 수신기가 또한 차량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용이하다. 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기어 변속 레버의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에 의해, 신호 송신기는 지지 프레임에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은 예컨대 변속 게이트 내측에서 차량 기어 변속 레버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기어 변속 레버는 따라서, 예컨대, 짐벌(gimbal)처럼 카던 방식으로 현가된다(cardanically suspended). 여기서, 지지 프레임 상의 신호 송신기 배치가 의미하는 점은, 신호 송신기가 지지 프레임의 현가장치 근처에 배치될 수 있고, 그 결과, 신호 송신기와 신호 수신기 사이의 거리는 더 작아질 수 있고, 신호 수신기는 더 낮은 레벨의 감도를 필요로 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평가 신뢰도를 높인다.
신호 송신기의 특히 바람직한 배치는 차량 기어 변속 레버의 제 1 선회 축 상에 있고, 이것은 지지 프레임에 의해 제공된다. 선회 축 상의 신호 송신기 배치로 인해 신호 송신기와 신호 수신기는 서로 매우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기어 변속 레버가 지지 프레임에 대해 선회할 수 있는 중심인 선회 축이 바람직하게도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어가 선택되고 있을 때, 신호 송신기는 회전하고, 지지 프레임 자체가 선회하는 중심인 제 2 선회 축을 중심으로 하우징에 대해 이를 따라서 선회한다. 따라서, 차량 기어 변속 레버가 작동할 때, 더 큰 신호 변화는 다른 배치의 경우에서보다 신호 수신기에서 달성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신호 송신기가, 이 제 2 선회 축을 중심으로 지지 프레임 자체가 차량에 대해 선회되는 중심인 전술한 지지 프레임의 제 2 선회 축을 거쳐 연장하지 않는 지지 프레임 측 상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또한, 서로 다른 기어가 선택될 때 큰 신호 변화를 달성할 수 있다.
만약 자석이 지지 프레임에서 기어 변속 레버의 전술한 현가장치에서 신호 송신기로서 사용된다면, 위치 판정은, 자석의 북-남 축이 제 1 선회 축에 본래 수직으로 향한다는 점에서 또한 개선될 수 있다. 그리하여, 기어 변속 레버의 선회로 인해, 자석의 북-남 축의 신호 송신기에 대한 선회와 그에 따른 신호의 매우 큰 변화가 야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 기어 변속 레버에는 볼-앤드-소켓 조인트 가이던스(ball-and-socket joint guidance)가 제공되며, 그에 따라 신호 송신기는 이때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볼 상에 배치된다. 차량 기어 변속 레버가 볼-앤드-소켓 조인트를 중심으로 선회할 때, 신호 송신기는 차량 기어 변속 레버와 함께 선회한다.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볼 상의 배치로 인해 신호 수신기는 매우 복잡하지 않게 배치되게 된다.
다른 장점은, 자석이 신호 송신기로서 사용될 때, 자석의 북-남 축이 볼의 중심점을 향해 또는 이를 거쳐 연장하지 않는 경우에, 볼-앤드-소켓 조인트 가이던스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3축 홀 센서에서 자계의 더 큰 변화를 달성할 수 있어, 평가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신호 송신기가,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볼의 반경에 의해 형성한 구면 내측에 배치될 때 다른 장점을 얻는다. 그 결과, 예컨대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구면 상에서나 심지어 볼-앤드-소켓 조인트의 구면 외부에서와 같은 신호 송신기의 다른 배치를 통해서보다, 기어 변속 레버의 더 나은 가이던스를 달성한다. 이것은 볼 소켓에서 기어 변속 레버의 가이던스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신호 송신기가 볼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것은 예컨대, 신호 송신기가 사출 성형 동안에 그 내부에 삽입되었던 사출 성형된 볼에 의해서나, 신호 송신기가 그 내부에 위치한 빈 또는 부분적으로 빈 볼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볼은, 신호 송신기가 위치한 구 구역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결국, 볼은 완벽한 볼이라기보다는, 신호 송신기가 배치되는 홈을 갖고 있다. 홈은, 신호 송신기가 구면을 보완하거나, 대안적으로는 훨씬 더 개방된 채로 절단될 수 있도록 클 수 있다.
신호 수신기의 신호를 평가하기 위해 신호 송신기와 통신하는 평가 유닛이 또한 선호된다. 이것은 센서 신호의 평가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1 종속 요지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갖는 차량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특성 및 유리한 출원 가능성이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있게 된다. 이 문맥에서, 기술한 및/또는 묘사한 특성 모두는, 그 자체적으로나 어떤 의미 있는 조합에서, 이들이 인용하는 청구항에서 이들의 편집에 또한 상관없이,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타입의 장치를, 기어 변속 레버의 위치가 높은 신뢰도로, 그리고 동시에 적은 계산 노력뿐만 아니라 작은 양의 소재 사용으로 검지될 수 있는 정도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가지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할 것이다. 다음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가진 변속 레버를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를 관통하는 절단선(A-A)을 따른 단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 2 변형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가진 차량 기어 변속 레버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의한 절단선(A-A)을 따라, 제 2 변형예에 따른 차량 기어 변속 레버를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절단선(B-B)을 따라, 제 2 변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기어 변속 레버를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두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를 이후에 기술할 것이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두 실시예에서 동일함 참조번호로 표기한다.
도 1은, 기어 변속 레버(2)의 위치를 검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갖는 기어 변속 장치의 개략적인 3차원도를 도시한다.
기어 변속 레버(2)는 변속 게이트(여기서는 미도시)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기어가 선택되게 하며, 이들 기어는, 예컨대 여러 기어의 종래의 H-배치에서와 같이, 2차원으로 변속 게이트에 배치된다. 변속 게이트는 또한, 예컨대 여러 기어의 순차적 배치를 제공할 수 있고, 제 2 기어 변속 또는 변속 트랙을 가질 수 있다.
기어 변속 레버(2)는, 지지 프레임(4)에서 두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탑재된다. 제 1 선회 축(6)은, 지지 프레임(4)에 대한 기어 변속 레버(2)의 선회에 의해 정의된다. 제 2 선회 축(10)은, 기어 변속 배치의 하우징(여기서는 미도시)에서 베어링 볼트(8)에 의해 지지 프레임(4)을 탑재함으로써 제공된다.
기어 변속 레버(2)를 제 1 선회 축(6)을 중심으로 선회시키기 위해, 지지 프레임(4)에 회전 가능하게 탑재된 선회 샤프트(12)가 지지 프레임(4)의 내부에 제공된다. 선회 샤프트(12)는 지지 프레임(4)의 가시 정면상에서 지지 프레임(4)을 관통한다.
자석(14)이 베어링 샤프트(2)의 한 면에 부착된다. 자석(14)의 맞은편에는, 자석(14)의 자계를 3차원 측정하게 하는 홀 센서(16)가 있다. 이것이 3D-홀 센서이다.
자석(14)의 북-남 축(18)은 쌍을 이뤄 선회 축(6, 10)에 수직으로 향한다. 구동 기어를 선택하기 위해 기어 변속 레버(2)를 움직이려면, 두 개의 선회 축(6, 10)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기어 변속 레버(2)를 선회시켜야 한다. 자석(14)과 선회 축(12)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기어 변속 레버(2)가 제 1 선회 축(6)을 중심으로 선회할 경우, 자석(14)은 홀 센서에 대해 회전한다. 자석(14)으로부터 발생한 자계가 자석(14)과 함께 회전하고, 홀 센서(16)는 이러한 자계 변화를 등록한다.
측정은 통계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동적 측정, 다시 말해 시간에 걸친 자계 변화 측정으로 인해, 인과관계 조사(causality examination) 및 그에 따른 위치 판정 신뢰도 개선을 허용한다.
기어 변속 레버(2)가 제 2 선회 축(10)을 중심으로 선회할 경우, 자석(14)과 홀 센서(16) 사이의 거리가 변한다. 이것은 한편으론 홀 센서(16)의 영역에서 자석(14)의 자계의 절대 세기에 영향을 미치며, 정도는 덜하지만, 홀 센서(16)의 영역에서 자석(14)의 자계의 방향 벡터에 영향을 미친다.
기어 변속 레버(2)가 더 복잡하게 움직이는 경우에, 레버는 제 2 선회 축(10)뿐만 아니라 선회 축(6)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그 결과, 자석(14)의 자계는 홀 센서(16)에 대해 회전하여 약화된다. 기어 변속 레버(2)의 위치는 자계 세기뿐만 아니라 방향으로부터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
방향 벡터의 두 구성요소와 자계의 세기 판정에 대한 대안으로, 홀 센서(16)의 영역에서 자석(14)의 자계의 방향 벡터의 세 구성요소 모두를 측정할 수 도 있어, 자석(14)의 자계의 세기를 측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치를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하며, 이 단면은 제 1 선회 축(6)의 높이에서 제 2 선회 축(10)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기어 변속 레버(2)를 제 2 선회 축(10)을 중심으로 선회시키면, 자석(14)은 홀 센서(16)로부터 그 거리가 상당히 증가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볼-앤드-소켓 조인트(20)에 의해 안내되는 기어 변속 레버(2')를 포함하는 기어 변속 배치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다. 볼-앤드-소켓 조인트(20)는, 볼 소켓(여기서는 미도시)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한 볼(22)을 갖는다.
자석(14)이 볼 홈(24)에 배치되어, 자석(14)의 북-남 축(18)은, 이 축이 볼(22)의 중심점(26)을 거쳐 연장하지 않도록 향한다. 자석(14) 인근에는, 기어 변속 배치의 하우징에 영구히 설치되는 홀 센서(16)가 있어, 홀 센서(16)는, 앞서 기술한 실시예의 경우에서처럼, 홀 센서(16)에 대한 자석(14)의 3차원 위치를 검지하도록 구성된다. 기어 변속 레버(2')의 상대 위치를 측정하는 전술한 기술을 제 2 실시예에서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그 북-남 축(18)이 볼(22)의 중심점을 관통하지 않도록 자석(14)을 배치하여,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14)은, 자석의 중심점을 거쳐 연장하는 축(28)에 대해 편심적으로 연장할 수 있지만, 북-남 축(18)은 축(28)에 평행하다. 제 2 실시예에서, 축(28)은, 볼(22)과 홀 센서(16) 사이에 최단 연결을 수반하도록 위치한다.
볼에서 자석(14)의 배치를 도 5 및 도 6에서 더 상세하게 예시하며, 이들 도면 각각은 도 4의 단면선(A-A)(도 5)과 도 5의 단면선(B-B)(도 6)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자석(14)의 편심 배치는, 기어 변속 레버(2')가 홀 센서(16)에 대해 움직일 경우, 자석(14)이 더 큰 스트로크로 일주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기어 변속 레버(2')가 제 1 방향(30)으로 움직일 경우, 자석(14)은 홀 센서(16)를 중심으로 한 궤도로 움직인다. 제 2 선회 방향(32)을 중심으로 한 기어 변속 레버(2')의 움직임으로 인해, 자석(14)의 북-남 축(18)이 홀 센서(16)에 대해 기울어질 뿐만 아니라 자석(14)과 홀 센서(16) 사이의 상대 거리가 변화한다.
제 2 실시예로 인해, 자석(14)과 홀 센서(16) 사이의 상대 위치를 측정하는 다른 방식이 있게 되며, 그 이유는 자계의 자계 벡터 방향뿐만 아니라 홀 센서(16)의 영역에서 자석(14)의 자계 세기가 선회하는 동안 변하기 때문이다.
2, 2': 기어 변속 레버 4: 지지 프레임
6: 제 1 선회 축 8: 지지 볼트
10: 제 2 선회 축 12: 선회 샤프트
14: 신호 송신기, 자석 16: 홀 센서
18: 북-남 축 20: 볼-앤드-소켓 조인트
22: 볼 24: 볼 홈
26: 볼의 중심점 28: 축
30 및 32: 선회 방향

Claims (7)

  1. 자동차의 기어 세팅을 선택하기 위해 기어 변속 레버(2 및 2')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기어 변속 레버(2 및 2')에 설치된 신호 송신기(14)와 상기 신호 송신기(14)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설치된 신호 수신기(16)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수신기(16)에 대한 상기 신호 송신기(14)의 위치가 여러 선택 가능한 기어에서 서로 다르며, 상기 신호 수신기(16)는 상기 신호 수신기(16)에 대한 상기 신호 송신기(14)의 상기 위치를 3차원으로 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호 송신기(14)는 자석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신호 수신기는 3축 홀 센서(Hall sensor) 시스템(16)으로 구성되며, 상기 차량 기어 변속 레버(2')는 볼-앤드-소켓 조인트(ball-and-socket joint)(20)를 가지며, 상기 신호 송신기(14)는 상기 볼-앤드-소켓 조인트(20)의 볼(22)에 배치되되, 상기 자석(14)의 북-남 축(18)이 상기 볼의 중심점(26)을 거쳐 연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기(16)가 차량의 고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기(14)가 상기 볼(22)의 반경에 의해 형성된 구면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기(14)가 상기 볼(22)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볼(22)이, 상기 신호 송신기(14)가 위치한 구역(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기(16)의 신호를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신호 송신기(14)와 통신하는 평가 유닛(2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를 갖는 자동차.
KR1020117025108A 2009-04-01 2010-03-29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 및 이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 KR101395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5883A DE102009015883B4 (de) 2009-04-01 2009-04-01 Vorrichtung zur Erfassung der Position eines Fahrstufenwählhebels, Kraftfahrzeug
DE102009015883.9 2009-04-01
PCT/EP2010/001964 WO2010112186A1 (de) 2009-04-01 2010-03-29 Vorrichtung zur erfassung der position eines fahrstufenwählhebels und kraftfahrzeug, das damit ausgestattet i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956A true KR20120013956A (ko) 2012-02-15
KR101395996B1 KR101395996B1 (ko) 2014-05-16

Family

ID=4227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108A KR101395996B1 (ko) 2009-04-01 2010-03-29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 및 이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60152B2 (ko)
EP (1) EP2414706B1 (ko)
JP (1) JP5537647B2 (ko)
KR (1) KR101395996B1 (ko)
CN (1) CN102378868B (ko)
DE (1) DE102009015883B4 (ko)
ES (1) ES2430466T3 (ko)
WO (1) WO20101121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4823A1 (fr) * 2009-12-28 2011-07-0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a position d'un element magnetique utilisant des capteurs a effet hall lineaires et dispositif associe
JP5666240B2 (ja) * 2010-10-19 2015-02-12 ボッシュ株式会社 チェンジレバーの位置検出装置、これを備えたチェンジレバーユニット、およびチェンジレバーの位置検出方法
US9488459B2 (en) * 2011-07-01 2016-11-08 Borgwarner Inc. Position sensor module
FR2988339B1 (fr) * 2012-03-21 2014-04-04 Dura Automotive Systems Sas Dispositif de detection des positions p, r, n, d, m+, m et m- d'un levier de commande d'une boite de vitesses d'un vehicule automobile
FR2993029B1 (fr) 2012-07-03 2014-08-08 Dura Automotive Systems Sas Dispositif de captation de la position lineaire d'un organe de transmission sous forme d'un cable assujetti a un levier d'une boite de commande de vitesses d'un vehicule automobile
DE102012018195A1 (de) * 2012-09-14 2014-03-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chalthebel für ein Fahrzeug mit einem integrierten Bedienelement
US20140165768A1 (en) * 2012-12-13 2014-06-19 Eaton Corporation Push down shifter with cross joint
KR101488325B1 (ko) * 2013-08-21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팝업 방식 전자식 자동변속레버
KR101509940B1 (ko) * 2013-10-17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장치
WO2015078970A2 (de) * 2013-11-29 2015-06-04 Marquardt Gmbh Stellglied,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CN104074969B (zh) * 2014-06-30 2016-08-1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选挡换挡结构及具有该选挡换挡结构的车辆
CN104596579A (zh) * 2015-01-12 2015-05-06 中国北方发动机研究所(天津) 一种基于霍耳效应的可编程多物理量测量模块
JP6420687B2 (ja) * 2015-02-25 2018-11-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FR3035165B1 (fr) * 2015-04-15 2017-04-07 Renault Sas "dispositif de commande impulsionnelle d'une boite de vitesses automatique"
DE102016205441A1 (de) * 2015-04-29 2016-11-17 Bosch Limited Baugruppe zum Bestimmen der Position eines Schalthebels in einem Fahrzeug
DE102015109104A1 (de) * 2015-06-09 2016-12-15 Küster Holding GmbH Vorrichtung zur Erfassung der Position eines Fahrstufenwählhebels, Kraftfahrzeug
DE102015212633A1 (de) * 2015-07-07 2017-01-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ensoranordnung mit modularem Aufbau
DE102015225494A1 (de) * 2015-12-16 2017-06-22 Zf Friedrichshafen Ag Schalthebe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chalthebels
JP2017178060A (ja) * 2016-03-30 2017-10-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シフト装置
JP6603179B2 (ja) * 2016-06-15 2019-11-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10890209B2 (en) * 2016-08-19 2021-01-12 Toren Arginteanu Gimbal system using grooved rotatable ball, orthogonally oriented gears, and socket casing
DE102017002873A1 (de) 2017-03-24 2018-09-27 Wabco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ositionserfassung einer Schaltgabel eines Schaltgetriebes
KR101944362B1 (ko) * 2017-06-20 2019-02-01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벨의 상태를 감지하는 변속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EP3453925B1 (en) * 2017-09-08 2021-08-18 Fico Triad, S.A. Shift by wire shifter device
DE102017219584A1 (de) 2017-11-03 2019-05-09 Zf Friedrichshafen Ag Magnetfeldsensor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Magneten
EP3483479B1 (en) * 2017-11-13 2022-05-18 Fico Triad, S.A. Shifter assembly
EP3495830B1 (en) * 2017-12-05 2020-09-09 Fico Triad, S.A. Multiple redundancy position sensor device
DE102017131144B4 (de) 2017-12-22 2023-01-05 Preh Gmbh Betriebsarten-Wähleinrichtung für ein Fahrzeuggetriebe mit 3D-Hallsensor
CN108799479A (zh) * 2018-07-17 2018-11-13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电动车及传统自动挡车的电子换挡器
US11434991B2 (en) * 2018-10-01 2022-09-06 Ficosa North America Corporation Shift-by-wire (SBW) column shifter
KR102118566B1 (ko) * 2018-12-26 2020-06-03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 레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EP3908901A1 (en) * 2019-01-10 2021-11-17 Makersan Makina Otomotiv Sanayi Ticaret Anonim Sirketi Joystick with a precise control
KR102659246B1 (ko) * 2019-03-22 2024-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레버 장치
US11073205B2 (en) 2019-03-29 2021-07-27 Dus Operating Inc. Shift lever assembly with position sens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9330C2 (de) * 1997-11-07 2003-10-30 Kostal Leopold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Schaltstellungen eines mechanisch betätigbaren Schaltmittels
CA2346701A1 (en) * 1999-08-06 2001-02-15 Michael O'reilly Transmission range selector system
JP2002254952A (ja) 2001-03-02 2002-09-11 Tokai Rika Co Ltd シフト装置
DE10132215A1 (de) * 2001-07-03 2003-01-23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Anordnung zum Messen der Winkelposition eines Objektes
DE10134259A1 (de) 2001-07-18 2003-02-06 Zf Lemfoerder Metallwaren Ag Kugelgelenk mit integriertem Winkelsensor
DE10307109A1 (de) * 2003-02-19 2004-09-02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automatisches Kraftfahrzeuggetriebe mit einer Sperrvorrichtung für den Wählhebel
JP4472556B2 (ja) 2004-03-26 2010-06-02 コスモ石油株式会社 炭化水素油の水素化処理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炭化水素油の水素化処理方法
DE102004056800A1 (de) * 2004-11-24 2006-06-01 Zf Friedrichshaf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7567078B2 (en) * 2004-12-28 2009-07-28 Asahi Kasei Emd Corporation Magnetic rotation-angle sensor and angle-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070040803A1 (en) 2005-08-17 2007-02-22 Sauer-Danfoss Inc. Method of joining a sintered magnet to a pivot arm
DE102006044404B4 (de) * 2005-09-16 2009-03-05 Pre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Winkelstellung eines Wählhebels
JP4629591B2 (ja) 2006-02-03 2011-02-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DE202007000210U1 (de) * 2007-01-05 2007-03-08 Kuhnke Automotive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getriebe
DE102007026303B4 (de) * 2007-06-06 2011-05-26 Zf Friedrichshafen Ag Wählhebelmodul mit 3D-Magnetsensorelement
FR2930309B1 (fr) 2008-04-21 2011-06-17 Dura Automotive Systems Sas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position d'un levier de commande de boite de vitesses d'un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61336A1 (de) 2008-07-02 2010-01-07 Lemförder Electronic GmbH Wählhebel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WO2010066215A1 (de) 2008-12-11 2010-06-17 Lemförder Electronic GmbH Wählhebel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25810A1 (en) 2012-02-02
DE102009015883B4 (de) 2011-01-05
KR101395996B1 (ko) 2014-05-16
JP5537647B2 (ja) 2014-07-02
US8760152B2 (en) 2014-06-24
ES2430466T3 (es) 2013-11-20
CN102378868B (zh) 2014-09-03
EP2414706A1 (de) 2012-02-08
WO2010112186A1 (de) 2010-10-07
CN102378868A (zh) 2012-03-14
JP2012522674A (ja) 2012-09-27
DE102009015883A1 (de) 2010-10-07
EP2414706B1 (de)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996B1 (ko) 기어 스텝 선택기 레버의 위치를 검지하는 장치 및 이 장치가 장착된 자동차
KR200484142Y1 (ko) 차량의 변속기용 쉬프팅 장치 및 변속기용 기어쉬프트 선택기 레버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
US20080078604A1 (en) Shif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02177414B (zh) 霍尔效应测量装置
JP4629591B2 (ja) シフト装置
US8350560B2 (e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device
US7305864B2 (en) Ball and socket joint for a motor vehicle
ES2836274T3 (es) Dispositivo para la detección de la posición de una palanca selectora de marchas, automóvil
KR20060039875A (ko) 선회 각도 센서를 가진 볼 조인트
KR20050049426A (ko) 볼-소켓 조인트 용 회전각 및/또는 경사각 기록장치
CA2309067A1 (en) Shift mechanism for motor vehicle transmissions
JP2008239057A (ja) 変速機用操作レバーのレバー操作位置判定装置
EP3483479B1 (en) Shifter assembly
KR20090111111A (ko) 전자식 변속 장치
US10323742B2 (en) Gear shifter including a position sensor assembly
KR20200022429A (ko) 각도 측정 장치의 배치 구조
WO2018007947A1 (en) Gear shift control device with a control lever supported by means of a universal joint and with a position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lever
EP3344899B1 (en) Gearshift assembly including a position sensor assembly
US20190186626A1 (en) Shift device
CN110100220A (zh) 位置传感器以及变速杆装置
JP6853900B2 (ja) シフト装置
CN219639412U (zh) 换挡装置以及车辆
JP2017178060A (ja) シフト装置
JP2011093411A (ja) シフト装置
JP2018103794A (ja) シフ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