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034A -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 Google Patents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034A
KR20120013034A KR1020100075176A KR20100075176A KR20120013034A KR 20120013034 A KR20120013034 A KR 20120013034A KR 1020100075176 A KR1020100075176 A KR 1020100075176A KR 20100075176 A KR20100075176 A KR 20100075176A KR 20120013034 A KR20120013034 A KR 20120013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rpillar
support plate
support frame
support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태식
고준빈
서홍철
최경배
김보현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3034A/ko
Publication of KR20120013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25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haracterised by the ground engaging elements, e.g. wheel type
    • B62B2301/25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haracterised by the ground engaging elements, e.g. wheel type by using endless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카트의 측면에 캐터필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평지에서의 화물 이송은 물론 계단이라든가 경사진 언덕 등에서도 쉽게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는, 화물을 지지하기 위한 밑판; 밑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부손잡이가 구비되며, 이 상부손잡이의 아래에 반대쪽으로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접이식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밑판과 지지프레임이 만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캐스터; 및 지지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캐터필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STAIRCASE PASSABLE HAND CART}
본 발명은 핸드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카트의 측부에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단턱진 언덕이나 계단 등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핸드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공장이나 개인이 소량의 화물을 이용하는데에는 핸드카트가 많이 이용된다. 핸드카트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일예로, 핸드카트는, 화물을 올려놓기 위한 밑판과, 이 밑판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밑판의 저부에 장착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지지프레임에는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저부에는 보조캐스터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캐스터는 지지프레임의 저부에 장착되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수직으로 접이식 보조손잡이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핸드카트의 이용은 먼저, 밑판이 바닥에 닿도록 핸드카트는 위치시킨다. 그 다음 밑판 위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 손잡이를 이용하여 핸드카트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기울인다. 이와 같이 핸드카트가 기울어지게 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밀게 되면 캐스터의 구름동작으로 화물을 이송시킨다.
한편, 종래의 핸드카트를 이용한 또 다른 화물의 이송은 지지프레임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지지프레임이 지면에 수평인 상태가 되도록 핸드카트를 놓게 된다(이경우에 사용되는 핸드카트의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캐스터와 대향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캐스터가 구비된다). 이어 접이식 보조손잡이를 펼친 다음,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한 다음 이 접이식 보조손잡이를 이용하여 화물을 이송한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카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캐스터를 이용하여 화물을 이송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없는 건물에서는 윗층으로 화물을 이송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기존의 핸드카트는 계단을 통해서는 화물 이송을 할 수가 없었다.
2) 건물과 건물 사이라든가 건물의 입구와 같이 단차지거나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없는 장소에서 무거운 화물을 옮기는 경우 핸드카트를 이용할 수 없었다. 이는 따른 이송수단을 준비해야 하거나 인력을 통해서 이송시켜야 하기 때문에 화물 이송에 어려움이 있었다.
3) 언덕과 같이 경사진 곳을 오르는데 인력을 통해서만 이송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핸드카트의 측면에 캐터필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평지에서의 화물 이송은 물론 계단이라든가 경사진 언덕 등에서도 쉽게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는, 화물을 지지하기 위한 밑판; 밑판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부손잡이가 구비되며, 이 상부손잡이의 아래에 반대쪽으로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접이식 보조손잡이가 구비된 지지프레임; 밑판과 지지프레임이 만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캐스터; 및 지지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캐터필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각 캐터필러수단은, 지지프레임의 측면 테두리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동스프라켓 및 종동스프라켓; 원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캐터필러; 및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되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 원동스프라켓의 구동축과 구동모터 사이에 장착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캐터필러수단에는, 지지플레이트의 저부에 회전지지되어 캐터필러를 지지하는 구동륜; 및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회전지지되어 캐터필러를 지지하는 지지륜;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는, 지지플레이트에는 캐터필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의 장력조절수단은, 종동스프라켓이 진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그 구동축을 안내하기 위하여 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된 장공; 및 구동축을 동작시켜 주도록 양단이 지지플레이트와 구동축에 힌지고정된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엘리베이터가 없거나 설치가 어려운 계단이라든가 언덕 그리고 단차진 곳에서도 손쉽게 화물을 이송할 수 있다.
2) 화물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캐터필러의 장력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적의 이송조건에서 화물이송이 가능하다.
3) 쇽업쇼버를 통하여 장력조절과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깨지기 쉬운 화물을 이송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화물의 파손없이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다.
4) 캐터필러수단이 모터구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화물이송이 가능하여 누구라도 쉽게 화물 이송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터필러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터필러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터필러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캐터필러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 제1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터필러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캐터필러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부호 "310"은 보조캐스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핸드카트(1000)는, 손잡이(210)를 이용하여 한쌍의 캐스터(300)의 구름동작을 통해 화물을 이송시켜 주는 것으로서, 계단이라든가 경사로와 같은 언덕 등에서도 쉽게 오를 수 있도록 캐터필러수단(400)이 더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핸드카트(1000)는, 화물을 올려놓기 위한 밑판(100), 이 밑판(100)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프레임(200), 그리고 지지프레임(200)의 저부 양측에 설치되는 한쌍의 캐스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지지프레임(200)에는 상단부에 상부손잡이(210)가 구비되고, 이 상부손잡이(210)의 아랫쪽에는 접이식 보조손잡이(220)가 구비된다. 특히, 접이식 보조손잡이(220)는 필요한 경우에 펼쳐서 사용한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핸드카트의 구성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캐터필러수단(40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한쌍이 구비된다. 이러한 각 캐터필러수단(400)은 지지프레임(200)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410), 구동력 전달을 위한 원동스프라켓(420a) 및 종동스프라켓(420b), 핸드카트를 이송시켜 주기 위한 캐터필러(430), 그리고 실질적으로 구동력발생을 위한 구동모터(440) 및 체인(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플레이트(410)는 폭보다 길이가 긴 플레이트로서, 그 길이는 캐터필러(430)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410)의 폭은 원동스프라켓(420a) 및 종동스프라켓(420b)의 폭보다 작게 하여 구동시 이들이 지면에 닿아 캐터필러(430)가 공회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동스프라켓(420a)과 종동스프라켓(420b)은 미끌림을 방지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의 양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원동스프라켓(420a)은 구동축(421a)을 통해 반대편의 원동스프라켓(미도시됨)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종동스프라켓(420b)은 지지플레이트(410)에 고정된 구동축(421b)에 공회전이 되도록 장착된다.
캐터필러(430)는 상기 원동스프라켓(420a)과 종동스프라켓(420b)을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이들 스프라켓에 의해 무한회전하게 된다. 특히, 캐터필러(430)의 내부에는 원동스프라켓(420a)과 종동스프라켓(420b)이 치합되도록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치부(미도시됨)가 형성된다.
구동모터(440)는 지지플레이트(410)에 장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제어를 받는다. 특히, 구동모터(440)는 원동스프라켓(420a) 및 종동스프라켓(420b)과 나란하게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체인(450)은 상기 구동축(421a)과 구동모터(440) 사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421a)과 구동모터(440)의 구동축에는 각각 스프라켓(451,44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캐터필러수단(400)은 지지프레임(200)이 지면과 수평이 되게 한 상태에서 구동시킨다. 캐터필러수단(400)의 구동은 구동모터(440)를 구동시킴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에, 구동모터(440)의 회전력이 체인(450)을 통하여 구동축(421a)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결국, 양측의 원동스프라켓(420a)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캐터필러(430)를 구동시키면서 도 4와 같이 계단(S)을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송자는 보조손잡이(220)를 잡아 위로 끌어 줌으로써 손쉽게 이송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B"는 핸드카트(1000)에 탑재된 화물을 의미한다.
( 제2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터필러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캐터필러수단(400a)은, 계단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캐터필러수단(400a)의 높이를 높게 제작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캐터필러수단(400a)에는 구동륜(431)과 지지륜(432)이 구비된다.
구동륜(431)은 캐터필러(4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플레이트(410)의 저부에 설치되는데, 특히 상기 원동스프라켓(420a)과 종동스프라켓(420b)보다 낮은 위치에 장착한다. 이는 구동륜(431)이 실질적으로 계단면에 닿게 할 뿐만 아니라 캐터필러(430)의 높이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계단인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지지륜(432)은 상기 원동스프라켓(420a)과 종동스프라켓(420b)과 나란하게 설치한다. 이는 원동스프라켓(420a)과 종동스프라켓(420b) 사이의 캐터필러(430)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 제3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캐터필러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캐터필러수단(400b)은 장력조절수단(460)을 구비하여 캐터필러(4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장력조절수단(460)은, 지지플레이트(410)에 형성된 장공(411)과, 장력조절에 필요한 작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실린더(461)를 포함한다. 특히, 장공(411)은 종동스프라켓(420b)을 지지하는 구동축(421b)이 핸드카트의 진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바깥쪽으로 움직일 수 이 실린더(461)는 양단을 각각 지지플레이트(410)와 구동축(421b) 사이에 힌지고정한다.
따라서, 장력조절수단(460)은 캐터필러(430)의 처짐이 발생시 실린더(461)를 작동시킴에 따라 종동스프라켓(420b)이 움직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원동스프라켓(420a)과 종동스프라켓(420b)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장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핸드카트에 캐터필러수단(400,400a,400b)을 구비함으로써, 계단 뿐만 아니라 경사진 언덕 등에서도 누구라도 쉽게 화물이송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100 : 밑판 200 : 지지프레임
210 : 상부손잡이 220 : 보조손잡이
300 : 캐스터 400 : 캐터필러수단
410 : 지지플레이트 411 : 장공
420a : 원동스프라켓
420b : 종동스프라켓 421a : 구동축
430 : 캐터필러 431 : 구동륜
432 : 지지륜 440 : 구동모터
441, 451 : 스프라켓 450 : 체인
460 : 장력조절수단

Claims (5)

  1. 화물을 지지하기 위한 밑판(100);
    상기 밑판(100)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부손잡이(210)가 구비되며, 이 상부손잡이(210)의 아래에 반대쪽으로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접이식 보조손잡이(220)가 구비된 지지프레임(200);
    상기 밑판(10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이 만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캐스터(300); 및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캐터필러수단(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터필러수단(400)은,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측면 테두리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410);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동스프라켓(420a) 및 종동스프라켓(420b);
    상기 원동스프라켓(420a)과 상기 종동스프라켓(420b) 사이에 설치되는 캐터필러(430);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에 장착되어 정역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440);
    상기 원동스프라켓(420a)의 구동축(421a)과 상기 구동모터(440) 사이에 장착되는 체인(4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터필러수단(4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의 저부에 회전지지되어 상기 캐터필러(430)를 지지하는 구동륜(431);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의 상부에 회전지지되어 상기 캐터필러(430)를 지지하는 지지륜(4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에는 상기 캐터필러(43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수단(4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수단(460)은,
    상기 종동스프라켓(420b)이 진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그 구동축(421b)을 안내하기 위해 지지플레이트(410)에 형성된 장공(411); 및
    상기 구동축(421b)을 동작시켜 주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와 상기 구동축(421b) 사이에 양단이 힌지고정된 실린더(46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KR1020100075176A 2010-08-04 2010-08-04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KR20120013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176A KR20120013034A (ko) 2010-08-04 2010-08-04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176A KR20120013034A (ko) 2010-08-04 2010-08-04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034A true KR20120013034A (ko) 2012-02-14

Family

ID=45836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176A KR20120013034A (ko) 2010-08-04 2010-08-04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30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615B1 (ko) * 2015-06-08 2016-12-15 정현균 핸드 트럭
KR20190087716A (ko) * 2018-01-17 2019-07-25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수륙 양용 차량의 궤도 제어 장치
CN110588739A (zh) * 2019-09-26 2019-12-2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长清区供电公司 一种电力设备运输用固定装置
CN111559433A (zh) * 2020-05-21 2020-08-21 李俊 一种方便冰箱入户的转运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615B1 (ko) * 2015-06-08 2016-12-15 정현균 핸드 트럭
KR20190087716A (ko) * 2018-01-17 2019-07-25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수륙 양용 차량의 궤도 제어 장치
CN110588739A (zh) * 2019-09-26 2019-12-2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长清区供电公司 一种电力设备运输用固定装置
CN110588739B (zh) * 2019-09-26 2020-10-2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长清区供电公司 一种电力设备运输用固定装置
CN111559433A (zh) * 2020-05-21 2020-08-21 李俊 一种方便冰箱入户的转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408B1 (ko) 주차설비
JP4182475B2 (ja) 昇降荷台付き搬送装置
KR20120013034A (ko) 계단 통행이 가능한 핸드카트
KR20200098371A (ko) 계단승강 리프트
CN106043377A (zh) 轨道式助力车
JP5315718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JP6843354B2 (ja) 階段昇降装置
KR101087066B1 (ko) 중량물 운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반방법
JP3073469B2 (ja) 斜行リフト装置
JPH07187029A (ja) 運搬装置
JP2000044016A (ja) スタッカクレーン、自動倉庫用建屋及び自動倉庫
US7543827B2 (en) Lifting device
JP6264557B2 (ja) 上下循環型の搬送台車利用搬送装置
JP2000127978A (ja) 荷物搬送車
JP6066107B2 (ja) 搬送台車昇降装置付き搬送装置
KR20000060465A (ko) 계단용 운반장치
JP2001019399A (ja) 自走台車装置及び架台レール、階段昇降装置
JPH08133467A (ja) 荷物搬出入用のパレット移送装置
RU83042U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JP2021037865A (ja) 台車、階段昇降装置及び搬送方法
JP6065287B2 (ja) 搬送台車昇降装置
JP6061204B2 (ja) 搬送台車利用の摩擦駆動搬送装置
JPH06239569A (ja) 駐輪場
JP4296046B2 (ja) 重量物搬送装置
JPH06212822A (ja) 屋上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