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370A -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370A
KR20120001370A KR1020100062118A KR20100062118A KR20120001370A KR 20120001370 A KR20120001370 A KR 20120001370A KR 1020100062118 A KR1020100062118 A KR 1020100062118A KR 20100062118 A KR20100062118 A KR 20100062118A KR 20120001370 A KR20120001370 A KR 2012000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dden start
state
brak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303B1 (ko
Inventor
서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3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2Idl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6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mai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2059/183Rate of change of accelerator position, i.e. pedal or throttle change grad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2059/366Engine or motor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급발진시나 운전자의 오조작시 엔진 회전수를 유지하면서도 구동력은 차단하고 브레이크의 수동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조향핸들 및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량을 제어할 수 있어 급발진에 의한 1차 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2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FOR PREVENTING UNEXPECTED START OF AUTO TRANSMISSIO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급발진시 엔진 회전수를 유지하면서도 구동력은 차단하고 브레이크의 수동조작 및 조행핸들의 수동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시동후 운전자의 의도에 관계없이 자동변속기가 오동작을 일으키면서 차량을 순간적으로 급전진 또는 급후진하면서 차량 운전자는 물론 그 주변 차량, 건물 및 그 부속물에 큰 손상을 입히게 되는 급발진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자동차업계 뿐만 아니라 소비자측에서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급발진이 일어나는 원인은 아직 명확하고 완전하게 밝혀지지는 않고 있지만, 대략 다음과 같이 추정되고 있다. 첫 번째는 운전자의 조작오류, 두 번째는 자동차 자체의 결함, 세 번째는 자동차 부속의 노후화에 따른 결함, 네 번째는 레버의 위치가 P나 N일 때 자동차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출발을 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추정원인으로부터도 예상되듯이 급발진 현상은 자동변속차량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급발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으로 차량의 여러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대로 자동차가 동작하게 될 때, 즉 엔진의 RPM이 급상승할 때, 이로 인한 급발진을 막기 위해 엔진의 연료공급 차단하여 엔진을 정지시키거나 메인전원을 차단하는 방식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엔진이 정지될 경우 조향장치의 원할한 조작이 불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아 차량의 제어가 불가능하여 2차 사고로 더 발전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급발진시 엔진 회전수를 유지하면서도 구동력은 차단하고 브레이크의 수동조작 및 조향핸들의 수동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는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작동감지부;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변속레버 감지부; 가속패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가속패달 위치감지부; 엔진 RPM을 감지하는 엔진 RPM감지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부; 브레이크 작동감지부와 변속레버 감지부와 가속패달 위치감지부와 엔진 RPM감지부와 차속감지부의 감지값을 입력받아 차량의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여 경고하고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제어하며 변속제어를 통해 동력을 차단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제어하는 엔진제어장치; 제어부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될 경우 경고하기 위한 급발진 경고부; 및 제어부에서의 변속제어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중립으로 전환하여 동력을 차단하는 자동변속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의 변속제어에 따라 클러치의 제어압력을 조절하는 클러치 유압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은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엔진 RPM을 감지하는 단계; 가속패달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브레이크의 작동상태와 변속레버의 위치와 엔진 RPM과 가속패달의 위치와 차량의 속도를 기반으로 차량의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되면 자동변속을 중립으로 전환하는 단계;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되면 급발진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되면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되면 클러치 제어압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는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변속레버가 N이나 P위치가 아닌 상태에서 엔진 RPM이 설정값 이상이고, 차량이 움직일 경우 급발진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는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변속레버가 N이나 P위치가 아닌 상태에서 브레이크가 해제된 후 가속패달과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되어 차량이 움직일 경우 급발진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급발진시나 운전자의 오조작시 엔진 회전수를 유지하면서도 구동력은 차단하고 브레이크의 수동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조향핸들 및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량을 제어할 수 있어 급발진에 의한 1차 사고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2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라 차량의 자체결함에 의한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라 운전자의 오조작에 의한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는 브레이크 작동감지부(10), 변속레버 감지부(20), 가속패달 위치감지부(30), 엔진 RPM 감지부(40), 차속감지부(50), 제어부(60), 엔진제어장치(70), 급발진 경고부(80), 자동변속 전자제어장치(90) 및 클러치 유압제어수단(100)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작동감지부(10)는 브레이크(미도시)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을 정지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상태를 감지한다.
이때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도 함께 감지할 수 있다.
변속레버 감지부(20)는 변속레버(미도시)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변속레버 N이나 P의 위치에서 D나 R의 위치 및 2, L 위치로 변경하였는가를 감지한다.
가속패달 위치감지부(30)는 가속패달(미도시)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밟은 가속패달의 위치를 감지한다.
엔진 RPM 감지부(40)는 엔진 RPM을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상태 및 급발진 할 수 있는 상태를 감지한다.
차속감지부(50)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판단한다.
제어부(60)는 브레이크 작동감지부(10)와 변속레버 감지부(20)와 가속패달 위치감지부(30)와 엔진 RPM감지부(40)와 차속감지부(50)의 감지값을 입력받아 차량의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여 경고하고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제어하며 변속제어를 통해 동력을 차단한다.
엔진제어장치(70)는 엔진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로써 제어부(60)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될 경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제어한다.
급발진 경고부(80)는 제어부(60)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될 경우 운전자에게 급발진 상태임을 경고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조향핸들(미도시)을 조작하여 급발진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변속 전자제어장치(90)는 자동변속기(미도시)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로써 제어부(60)에서 급발진으로 판단될 경우 제어부(60)에서의 변속제어에 따라 매뉴얼 밸브(미도시)를 중립으로 전환하여 동력을 차단한다.
또한, 클러치 유압제어수단(100)은 제어부(60)에서 급발진으로 판단될 경우 제어부(60)의 변속제어에 따라 클러치(미도시)의 제어압력을 해제하여 동력의 전달을 차단한다.
따라서, 브레이크 작동감지부(10)와 변속레버 감지부(20)와 가속패달 위치감지부(30)와 엔진 RPM감지부(40)와 차속감지부(50)로부터 각각 감지된 감지값을 입력받아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여 급발진 경고부(80)를 통해 경고할 뿐만 아니라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제어하며 변속제어를 통해 동력을 차단함으로써 운전자가 급발진 상태를 인지한 후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조향핸들을 조작하여 구동된 차량를 제어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라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흐름도로써 도 3은 차량의 자체결함에 의한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운전자의 오조작에 의한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각종 감지부로부터 차량의 상태를 입력받는다.
브레이크 작동감지부(10)를 통해 운전자가 차량을 정지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상태를 감지한다(S10).
이때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도 함께 감지할 수도 있다.
변속레버 감지부(20)를 통해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변속레버 N이나 P의 위치에서 D나 R의 위치 및 2, L 위치로 변경하였는가를 감지한다(S12).
엔진 RPM 감지부(40)를 통해 엔진 RPM을 감지하여 차량의 시동상태 및 급발진 할 수 있는 상태를 감지한다(S14).
가속패달 위치감지부(30)를 통해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밟은 가속패달의 위치를 감지한다(S16).
차속감지부(50)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판단한다(S18).
이와 같이 브레이크 작동감지부(10)와 변속레버 감지부(20)와 가속패달 위치감지부(30)와 엔진 RPM감지부(40)와 차속감지부(50)의 감지값을 입력받아 급발진 상태를 판단한다(S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자체결함에 의한 급발진 상태를 판단한다.
먼저, 브레이크가 작동되었는가 판단한다(S31).
이때 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N이나 P위치가 아닌 상태로써 즉, D나 R로 변환되는지 판단한다(S32).
그리고, 엔진 RPM이 설정값 이상으로 급상승하는지 판단한다(S33).
또한, 차량의 움직임 있는지 판단한다(S34).
그래서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급발진 상태로 판단한다(S35).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한 급발진 상태를 판단한다.
먼저, 브레이크가 작동되었는가 판단한다(S41).
이때 브레이크가 작동된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N이나 P위치가 아닌 상태로써 즉, D나 R로 변환되는지 판단한다(S42).
그리고,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해 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시켰는가 판단한다(S43).
그런다음 가속패달과 브레이크를 동시에 작동시켰는가 판단한다(S44).
또한, 차량의 움직임 있는지 판단한다(S45).
그래서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급발진 상태로 판단한다(S46).
이와 같은 조건에 의해 급발진으로 판단될 경우 자동변속 전자제어장치(90)를 통해 매뉴얼 밸브를 중립으로 강제 전환하여 동력을 차단한다(S22).
그리고, 급발진으로 판단될 경우 급발진 경고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급발진 상태임을 경고한다(S24).
또한, 엔진제어장치(70)를 통해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제어하며 시동이 꺼지지 않도록 한다(S26).
한편, 제어부(60)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될 경우 클러치의 제어압력을 해제하여 동력의 전달을 차단할 수도 있다(S28).
이와 같이 급발진 상태로 판단될 경우 운전자에게 급발진 상태임을 경고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조향핸들을 조작하여 급발진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브레이크 작동감지부 20 : 변속레버 감지부
30 : 가속패달 위치감지부 40 : 엔진 RPM 감지부
50 : 차속감지부 60 : 제어부
70 : 엔진제어장치 80 : 급발진 경고부
90 : 자동변속 전자제어장치 100 : 클러치 유압제어수단

Claims (6)

  1.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작동감지부;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변속레버 감지부;
    가속패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가속패달 위치감지부;
    엔진 RPM을 감지하는 엔진 RPM감지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감지부;
    상기 브레이크 작동감지부와 상기 변속레버 감지부와 상기 가속패달 위치감지부와 상기 엔진 RPM감지부와 상기 차속감지부의 감지값을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여 경고하고 상기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제어하며 변속제어를 통해 동력을 차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제어하는 엔진제어장치;
    상기 제어부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될 경우 경고하기 위한 급발진 경고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의 변속제어에 따라 자동변속기를 중립으로 전환하여 동력을 차단하는 자동변속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변속제어에 따라 클러치의 제어압력을 조절하는 클러치 유압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3. 브레이크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엔진 RPM을 감지하는 단계;
    가속패달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브레이크의 작동상태와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와 상기 엔진 RPM과 상기 가속패달의 위치와 상기 차량의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되면 자동변속기를 중립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되면 급발진 경고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엔진 RPM을 아이들 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급발진 상태로 판단되면 클러치 제어압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N이나 P위치가 아닌 상태에서 상기 엔진 RPM이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차량이 움직일 경우 상기 차량을 급발진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발진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상기 변속레버가 N이나 P위치가 아닌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가 해제된 후 상기 가속패달과 상기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차량이 움직일 경우 상기 차량을 급발진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062118A 2010-06-29 2010-06-29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1172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18A KR101172303B1 (ko) 2010-06-29 2010-06-29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118A KR101172303B1 (ko) 2010-06-29 2010-06-29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70A true KR20120001370A (ko) 2012-01-04
KR101172303B1 KR101172303B1 (ko) 2012-08-14

Family

ID=4560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118A KR101172303B1 (ko) 2010-06-29 2010-06-29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30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494A1 (ko) * 2012-12-26 2014-07-0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변속기 제어방법
KR20160067453A (ko) * 2014-12-04 201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출발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200005153A (ko) * 2018-07-06 2020-01-15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080686A1 (ko) * 2018-10-18 2020-04-2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기 제어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기 제어방법
CN111497849A (zh) * 2019-01-30 2020-08-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驾驶的装置和方法
KR20210022825A (ko) * 2019-08-20 2021-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med 차량의 변속기 제어 방법
KR20210087575A (ko) * 2019-12-26 2021-07-1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 급발진 발생시 사고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809B1 (ko) * 2015-08-19 2019-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보조 장치 및 차량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4494A1 (ko) * 2012-12-26 2014-07-0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변속기 제어방법
KR20160067453A (ko) * 2014-12-04 201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출발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5667493A (zh) * 2014-12-04 2016-06-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防止自动变速车辆的突然起动的装置和方法
US9651015B2 (en) 2014-12-04 2017-05-1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sudden start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CN105667493B (zh) * 2014-12-04 2019-09-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防止自动变速车辆的突然起动的装置和方法
KR20200005153A (ko) * 2018-07-06 2020-01-15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0080686A1 (ko) * 2018-10-18 2020-04-2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기 제어장치 및 농업용 작업차량의 변속기 제어방법
CN112805491A (zh) * 2018-10-18 2021-05-14 Ls美创有限公司 农业用作业车辆的变速器的控制装置及农业用作业车辆的变速器的控制方法
EP3869071A4 (en) * 2018-10-18 2022-05-18 LS Mtron Ltd. AGRICULTURAL MACHINERY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AND AGRICULTURAL MACHINERY TRANSMISSION CONTROL METHOD
CN112805491B (zh) * 2018-10-18 2022-06-17 Ls美创有限公司 农业用作业车辆的变速器的控制装置及农业用作业车辆的变速器的控制方法
CN111497849A (zh) * 2019-01-30 2020-08-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驾驶的装置和方法
KR20210022825A (ko) * 2019-08-20 2021-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med 차량의 변속기 제어 방법
KR20210087575A (ko) * 2019-12-26 2021-07-1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 급발진 발생시 사고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303B1 (ko) 201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303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US8880303B2 (en) Vehicle control unit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US8364358B2 (en) Vehicle control unit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KR20130057120A (ko) Sbw 차량의 제어방법
KR20140114010A (ko) 작업 차량의 제어 장치
JP2010143542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JP2005059837A (ja) 車両の電動調節ペダル誤作動防止装置及び方法
KR102080272B1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1937A (ko) 작업기계의 오르막 경사로 밀림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0242898A (ja) 車両用変速機の制御装置
WO2004070179A1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4105658A (ja) アイドルストップ&スタート制御装置
KR20120002340A (ko) Isg차량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14548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17161021A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KR20120081376A (ko) 전자식 엔진을 장착한 작업차량의 엔진 정지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9990083817A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방법 및 장치
JP4534840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20190072228A (ko) 자동 제동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KR20150057534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디에이알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21032101A (ja) 車両の急発進防止装置
JP2017121921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0338506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 급발진 방지방법
KR100365212B1 (ko) 오토트랜스밋션 자동차의 비상 시동장치 및 그 방법
CN116061894A (zh) 用于工程机械的自动驻车方法和自动驻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