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191A - 전기 압력 밥솥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191A
KR20110137191A KR1020100057263A KR20100057263A KR20110137191A KR 20110137191 A KR20110137191 A KR 20110137191A KR 1020100057263 A KR1020100057263 A KR 1020100057263A KR 20100057263 A KR20100057263 A KR 20100057263A KR 20110137191 A KR20110137191 A KR 20110137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cold air
pressure
cylinder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수 filed Critical 김희수
Priority to KR102010005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7191A/ko
Publication of KR2011013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전기 압력 밥솥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전기 압력 밥솥은 내부에 조리 대상이 수용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격벽을 포함하는 밥통 부재; 상기 내통 내부의 상기 조리 대상이 조리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 부재; 냉기를 형성하는 냉각 부재;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냉각 부재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도입부; 및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도입되어 상기 내통 내부를 냉각시킨 상기 냉기를 상기 밥통 부재에서 토출시키는 냉기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대상의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통에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할 수 있도록,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냉각 부재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가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전기 압력 밥솥에 의하면, 조리 과정에서 압축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그러한 압축된 증기 내에 함유된 조리 대상의 유효한 영양 성분, 조리 대상의 맛과 향을 좋게 하는 성분 등도 외부로 함께 손실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리 완료된 조리 대상의 맛과 향이 향상될 수 있고, 그 유효한 영양 성분이 함유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조리 대상의 찰기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압력 밥솥{Electronic pressure rice cooker}
본 발명은 전기 압력 밥솥에 관한 것이다.
전기 압력 밥솥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밥을 짓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기 압력 밥솥의 조리 과정에서, 압력 밥솥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압력 밥솥 내부의 압력 중 일부가 압력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 압력 밥솥에 의하면, 밥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압력 밥솥 내부의 압축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그러한 압축된 증기 내에 함유된 밥의 유효한 영양 성분, 밥의 맛과 향을 좋게 하는 성분 등도 외부로 함께 손실되므로, 조리 완료된 밥맛이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밥의 조리 과정에서 압력 밥솥 내부의 압축된 증기가 손실되지 아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전기 압력 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은 내부에 조리 대상이 수용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격벽을 포함하는 밥통 부재; 상기 내통 내부의 상기 조리 대상이 조리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 부재; 냉기를 형성하는 냉각 부재;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냉각 부재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도입부; 및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도입되어 상기 내통 내부를 냉각시킨 상기 냉기를 상기 밥통 부재에서 토출시키는 냉기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대상의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통에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할 수 있도록,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냉각 부재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가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에 의하면, 전기 압력 밥솥이 내부에 조리 대상이 수용되는 내통과, 내통이 내부에 수용되고, 내통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외통과, 내통과 외통 사이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면서, 내통과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격벽을 포함하는 밥통 부재; 내통 내부의 조리 대상이 조리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 부재; 냉기를 형성하는 냉각 부재; 내통과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 냉각 부재에서 형성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도입부; 및 냉기 도입부를 통해 도입되어 내통 내부를 냉각시킨 냉기를 밥통 부재에서 토출시키는 냉기 토출부;를 포함함으로써, 조리 대상의 조리 과정에서 내통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되면, 냉각 부재에서 형성된 냉기가 냉기 도입부를 통해 공급되어, 내통 내의 압력을 저감시켜, 조리 대상의 조리 과정에서 내통에서 압축된 증기가 외부로 손실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과정에서 압축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그러한 압축된 증기 내에 함유된 조리 대상의 유효한 영양 성분, 조리 대상의 맛과 향을 좋게 하는 성분 등도 외부로 함께 손실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리 완료된 조리 대상의 맛과 향이 향상될 수 있고, 그 유효한 영양 성분이 함유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조리 대상의 찰기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에 의하면, 물받이부가 내통의 외벽에 형성됨에 따라, 내통과 외통 사이로 공급된 냉기에 의해 응결되는 수분이 내통 외벽을 타고 흐른 후, 물받이부에 의해 가열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수분이 가열 부재 쪽으로 유입되지 아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열 부재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에 의하면, 수분 수집통이 더 구비됨에 따라, 물받이부에 의해 가열 부재에서 멀어지도록 유도된 수분이 수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에 적용되는 밥통 부재에 대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에 적용되는 밥통 부재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100)은 전기 압력 밥솥 몸체(110)와, 냉각 부재(130)와, 가열 부재(140)와, 덮개(150)와, 밥통 부재(160)를 포함한다.
상기 밥통 부재(160)는 내통(162)과, 외통(161)과, 격벽(165)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통(162)은 조리 대상, 예를 들어 쌀이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외통(161)은 상기 내통(162)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내통(162)과의 사이에 공간(163, 164)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은 각각 그 상단이 개방된 것으로, 원기둥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통(162)의 외면이 상기 외통(161)의 내벽과 소정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내통(162)이 상기 외통(16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통(162)은 상기 외통(16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열전달이 잘 되도록,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번호 101은 감지부로서, 예시적으로 상기 내통(162)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감지부(101)가 압력 센서인 것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감지부(101)는 상기 내통(162)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이거나, 상기 온도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를 함께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101)는 미리 설정된 시간에 작동될 수 있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150)는 상기 외통(161)에 힌지(151)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15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밥통 부재(160)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150)가 상기 밥통 부재(160)를 덮으면, 상기 덮개(150)는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을 덮어,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내부가 외부와 격리되도록 밀폐시킨다. 그러면, 조리 중에 상기 내통(162) 내에서 발생되는 증기 등이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덮개(150)와 상기 외통(161)에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후크 등의 결합 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덮개(150)가 상기 밥통 부재(160)를 덮을 때, 상기 덮개(150)와 상기 외통(161)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격벽(165)은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를 가로지르면서 막아서,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를 복수의 공간(163, 164)으로 구획하는 것이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165)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에서 서로 대칭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를 복수의 공간(163, 164)으로 분할한다. 물론, 더 많은 갯수의 격벽(165)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격벽(165)의 상단은 상기 밥통 부재(160)를 덮은 상태인 상기 덮개(150)의 하단과 이격되어, 상기 격벽(165)의 상단과 상기 덮개(150)의 하단 사이에는 유동 홀(166)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65)에 의해 분리된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복수의 공간(163, 164)이 상기 유동 홀(166)에 의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가열 부재(140)는 상기 내통(162) 내부의 상기 조리 대상이 조리될 수 있도록 상기 내통(162)을 가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열 부재(140)는 상기 전기 압력 밥솥 몸체(110)의 후술되는 가열 부재 수용부(113)에 삽입되고, 외부의 전원(미도시)과 연결되어 발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 부재(140)가 상기 내통(162)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외통(161)의 해당 부분에서 상기 내통(162)이 상기 가열 부재(140) 쪽으로 노출되거나, 그러한 노출없이 상기 가열 부재(140)가 상기 외통(161)을 통하여 상기 내통(162)을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기 압력 밥솥 몸체(110)는 베이스부(111)와, 냉각 부재 수용부(112)와, 가열 부재 수용부(113)와, 냉기 도입 삽입부(114)와, 냉기 토출 삽입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11)는 상기 밥통 부재(160)가 그 상단에 얹힐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열 부재 수용부(113)가 상기 베이스부(111)의 상단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열 부재 수용부(113)에 상기 가열 부재(140)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112)는 상기 베이스부(111) 일 측에 직립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112) 내에 상기 냉각 부재(13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부(111)와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112)는 각각 내부가 빈 형태를 이루고, 서로 연통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냉기 도입 삽입부(114)는 상기 베이스부(11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163, 164) 중 적어도 하나 쪽으로 돌출되어, 그 돌출된 공간에 상기 냉각 부재(130)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를 공급한다.
상기 냉기 토출 삽입부(115)는 상기 냉기 도입 삽입부(114)와 이격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11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163, 164) 중 적어도 하나 쪽으로 돌출되어, 그 돌출된 공간에서 상기 냉기를 토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공간이 두 개의 공간(163, 164)으로 구획되는 것으로 것으로 제시되므로, 상기 냉기 도입 삽입부(114)가 일 측 공간(163)에, 상기 냉기 토출 삽입부(115)가 타 측 공간(164) 쪽으로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한다.
도면 번호 120은 냉기 도입관으로서, 그 일단이 상기 냉각 부재(130)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냉기 도입 삽입부(114)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 부재(130)에서 형성된 냉기를 상기 냉기 도입 삽입부(114)를 통해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상기 일 측 공간(163)으로 공급한다.
도면 번호 121은 냉기 토출관으로서, 그 일단이 상기 냉각 부재(130)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냉기 토출 삽입부(115)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 부재(130)에서 형성된 후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공간(163, 164)을 경유한 냉기를 상기 냉기 토출 삽입부(115)를 통해 상기 밥통 부재(160)의 외부로 토출시킨다. 상기 밥통 부재(160)의 외부로 토출된 냉기는 상기 냉각 부재(130)로 재유입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냉기 도입관(120)과 상기 냉기 도입 삽입부(114)는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163, 164)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냉각 부재(130)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냉기 도입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냉기 토출관(121)과 상기 냉기 토출 삽입부(115)는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도입되어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163, 164)을 경유하면서 상기 내통(162) 내부를 냉각시킨 상기 냉기를 사이 밥통 부재(160)에서 토출시키는 것으로, 냉기 토출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토출부는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163, 164) 중 상기 냉기 도입부가 연결되지 아니한 다른 구획된 공간(164)에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도입된 상기 냉기는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163, 164) 중 상기 냉기 도입부가 연결된 공간(163)을 경유한 다음, 상기 격벽(165)의 유동 홀(166)을 통해,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163, 164) 중 상기 냉기 토출부가 연결된 공간(164)을 경유한 후, 상기 냉기 토출부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냉각 부재(130)는 냉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냉각 부재(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냉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 부재(130) 자체가 냉동 사이클(미도시)을 가져서 상기 냉각 부재(130)가 자체적으로 냉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냉각 부재(130)가 외부의 냉동 사이클(미도시)을 구성하는 일 구성 요소로서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열교환기 기능을 수행하면서 냉기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52는 압력 토출부로서, 상기 밥통 부재(160), 특히 상기 내통(162)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안전 압력 범위를 넘는 경우, 상기 내통(162) 내부의 압력이 안전 압력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내통(162)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압력 토출부(152)는 상기 전기 압력 밥솥(100)이 정상적인 조리 과정에 있을 때에는 작동되지 아니하여 상기 내통(162)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상기 전기 압력 밥솥(100)이 비정상적인 경우에만 작동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 압력 밥솥(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내통(162)에 상기 조리 대상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150)가 상기 밥통 부재(160)를 덮으면,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이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조리 대상에 대한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가열 부재(140)가 작동되어, 상기 내통(162) 내의 조리 대상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내통(162) 내의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통(162) 내에 증기가 발생되는 등 상기 내통(162) 내의 압력이 증대된다.
한편, 상기 조리 대상에 대한 조리를 위하여 상기 가열 부재(140)가 작동되는 것과 별도로, 상기 냉각 부재(130)도 작동되어, 상기 냉각 부재(130) 내에 냉기가 형성되어 축적된다. 물론, 상기 냉각 부재(130) 내에 상기 냉기가 축적된다는 것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른 부재에 상기 냉기가 축적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리 대상에 대한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통(162) 내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일정 압력에 1차적으로 도달된 것으로 상기 감지부(101)에서 감지되면, 상기 냉각 부재(130)에 축적된 상기 냉기가 상기 냉기 도입부, 즉 상기 냉기 도입관(120)과 상기 냉기 도입 삽입부(114)를 통해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공간(163, 164) 중 상기 냉기 도입 삽입부(114)가 형성된 공간(163)으로 1차적으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가열 부재(140)의 작동은 정지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도입 삽입부(114)가 형성된 공간(163)으로 1차적으로 공급된 냉기는 상기 공간(163)과, 상기 유동 홀(166)과, 상기 냉기 토출 삽입부(115)가 형성된 다른 공간(164)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상기 내통(162)과 열교환되고, 그에 따라 상기 내통(162) 내부가 냉각되어 상기 내통(162) 내부의 압력이 1차적으로 저감된다. 그러면, 상기 조리 대상의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통(162)에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냉기 토출 삽입부(115)가 형성된 다른 공간(164)까지 경유한 냉기는 상기 냉기 토출 삽입부(115)와 상기 냉기 토출관(121)을 통해 다시 상기 냉각 부재(130)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내통(162) 내의 압력이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저감된 것으로 상기 감지부(101)에서 감지되면, 상기 가열 부재(140)가 다시 작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내통(162) 내에서 상기와 같은 1차적인 냉각으로 인해 설익은 상태일 수 있는 조리 대상이 재가열되어 완전히 조리될 수 있고, 상기 내통(162) 내의 압력이 다시 증가하게 된다.
상기 내통(162) 내의 압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일정 압력에 2차적으로 도달된 것으로 상기 감지부(101)에서 감지되면, 상기 냉각 부재(130)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가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2차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내통(162) 내의 압력이 2차적으로 저감된다.
물론, 상기 내통(162) 내의 압력을 2차적으로 저감시킨 냉기는 상기 냉기 토출부를 통해 다시 상기 냉각 부재(130)로 유입된다.
상기 내통(162) 내의 조리 대상에 대한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가열 부재(140)와 상기 냉각 부재(130)의 작동은 정지되고, 상기 전기 압력 밥솥(100)은 보온 단계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온 단계는 일반적인 전기 압력 밥솥에서 적용되는 통상의 보온 단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기 압력 밥솥(100)이 내부에 조리 대상이 수용되는 내통(162)과, 상기 내통(162)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내통(162)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외통(161)과,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격벽(165)을 포함하는 밥통 부재(160); 상기 내통(162) 내부의 상기 조리 대상이 조리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 부재(140); 냉기를 형성하는 냉각 부재(130); 상기 내통(162)과 상기 외통(161)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냉각 부재(130)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도입부; 및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도입되어 상기 내통(162) 내부를 냉각시킨 상기 냉기를 상기 밥통 부재(160)에서 토출시키는 냉기 토출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조리 대상의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통(162)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냉각 부재(130)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가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내통(162) 내의 압력을 저감시켜, 상기 조리 대상의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통(162)에서 압축된 증기가 외부로 손실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과정에서 압축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그러한 압축된 증기 내에 함유된 조리 대상의 유효한 영양 성분, 조리 대상의 맛과 향을 좋게 하는 성분 등도 외부로 함께 손실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조리 완료된 조리 대상의 맛과 향이 향상될 수 있고, 그 유효한 영양 성분이 함유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조리 대상의 찰기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내통(262)의 외벽에 베이스부(211)에 설치된 가열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물받이부(267)가 형성된다.
상기 물받이부(267)는 상기 내통(262)의 외벽 하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거나 만곡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물받이부(267)가 상기 내통(262)의 외벽에 형성됨에 따라, 내통(262)과 외통(261) 사이로 공급된 냉기에 의해 응결되는 수분이 상기 내통(262) 외벽을 타고 흐른 후, 상기 물받이부(267)에 의해 상기 가열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상기 수분이 상기 가열 부재 쪽으로 유입되지 아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가열 부재의 고장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되고 상기된 제 2 실시예에서 기재된 물받이부와 같은 물받이부(367)에 의해 가열 부재에서 멀어지도록 유도된 수분이 수집되는 수분 수집통(370)이 설치된다.
상기 수분 수집통(370)은 상기 베이스부(311) 등의 외벽에 설치되면서, 상기 외통(361)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분 수집통(370)은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수분이 일정량 수용되면, 탈거되어 내부의 수분이 비워진 후,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수분 수집통(370)이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물받이부(367)에 의해 상기 가열 부재에서 멀어지도록 유도된 수분이 수집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에 의하면, 밥의 조리 과정에서 압력 밥솥 내부의 압축된 증기가 손실되지 아니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5)

  1. 내부에 조리 대상이 수용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내통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면서,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격벽을 포함하는 밥통 부재;
    상기 내통 내부의 상기 조리 대상이 조리될 수 있도록 가열하는 가열 부재;
    냉기를 형성하는 냉각 부재;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냉각 부재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도입부; 및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도입되어 상기 내통 내부를 냉각시킨 상기 냉기를 상기 밥통 부재에서 토출시키는 냉기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대상의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통에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할 수 있도록,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도달되면, 상기 냉각 부재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가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공급되어,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밥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부는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 중 상기 냉기 도입부가 연결되지 아니한 다른 구획된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도입된 상기 냉기는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 중 상기 냉기 도입부가 연결된 공간을 경유한 다음, 상기 격벽을 넘어,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복수의 구획된 공간 중 상기 냉기 토출부가 연결된 공간을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밥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대상의 조리 과정에서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1차적으로 도달되면, 상기 냉각 부재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가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1차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이 1차적으로 저감되고,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이 1차적으로 저감되면, 상기 가열 부재에 의해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이 다시 증가하게 되고,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이 일정 압력에 2차적으로 도달되면, 상기 냉각 부재에서 형성된 상기 냉기가 상기 냉기 도입부를 통해 2차적으로 공급되어, 상기 내통 내의 압력이 2차적으로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밥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로 공급된 상기 냉기에 의해 응결되는 수분이 상기 가열 부재 쪽으로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내통의 외벽에는 상기 가열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물받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밥솥.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에 의해 상기 가열 부재에서 멀어지도록 유도된 수분이 수집되는 수분 수집통;을 더 포함하는 전기 압력 밥솥.
KR1020100057263A 2010-06-16 2010-06-16 전기 압력 밥솥 KR20110137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263A KR20110137191A (ko) 2010-06-16 2010-06-16 전기 압력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263A KR20110137191A (ko) 2010-06-16 2010-06-16 전기 압력 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91A true KR20110137191A (ko) 2011-12-22

Family

ID=4550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263A KR20110137191A (ko) 2010-06-16 2010-06-16 전기 압력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71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3214A (zh) * 2013-05-21 2013-08-28 南昌大学 一种多空间多功能电压力锅
CN104840094A (zh) * 2015-05-15 2015-08-19 华中农业大学 一种带温压控制的食物烹制器及烹制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3214A (zh) * 2013-05-21 2013-08-28 南昌大学 一种多空间多功能电压力锅
CN104840094A (zh) * 2015-05-15 2015-08-19 华中农业大学 一种带温压控制的食物烹制器及烹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5390C (zh) 过热蒸汽炉
CN112586973A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处理器
KR101935162B1 (ko) 주전자 겸용 스팀 제너레이터
KR20110137191A (ko) 전기 압력 밥솥
KR20200066755A (ko) 식물 유효성분 추출용 증숙기
JP2005065819A (ja) 蒸気加熱調理器
CN204839109U (zh) 煮饭器和用于煮饭器的冷凝器
US2006020743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ep-frying food
JP6116402B2 (ja) 炊飯器
KR101440981B1 (ko) 전기밥솥의 증기 포집 장치
CN209808001U (zh) 一种蒸烤组合机
KR101941364B1 (ko) 스팀 조리용기
EP2377441B1 (en) Multifunctional Bread Maker
KR101754984B1 (ko) 생두 로스팅용 제연기
CN204909013U (zh) 煮饭器和用于煮饭器的冷凝器
KR101019413B1 (ko)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CN215738370U (zh) 一种兼有蒸、烤功能的烹调器具
KR102120181B1 (ko) 조리 장치
JP3227791U (ja) 食品保温器
KR20180137374A (ko) 불가마용 증기발생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불가마
KR102047192B1 (ko)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며 기름배출이 용이한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JP3070130U (ja) 焼肉器等の調理機器用蓋
JP6362985B2 (ja) 油分分離装置及び圧力フライヤー
KR101857861B1 (ko) 덮개타입 스팀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팀조리용기
CN116807251A (zh) 蒸汽烤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