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811A - 유체 배관용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유체 배관의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배관용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유체 배관의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811A
KR20110135811A KR1020110053395A KR20110053395A KR20110135811A KR 20110135811 A KR20110135811 A KR 20110135811A KR 1020110053395 A KR1020110053395 A KR 1020110053395A KR 20110053395 A KR20110053395 A KR 20110053395A KR 20110135811 A KR20110135811 A KR 20110135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ube
mating
sub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시노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1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alising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the two pipe ends of the joint or between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5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05Electrical coupling combined with fluidic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가스 튜브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유체 배관 또는 가스 배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대 커넥터(50)에 마련된 상대 관(54)에 대응하는 가스 튜브(T)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스 배관용 커넥터는, 상기 상대 커넥터(50)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 마련된 서브커넥터(30)와, 상기 상대 관(54)에 연결될 수 있고 가스 튜브(T)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32)과, 상기 서브커넥터(30)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10)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 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체 배관용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유체 배관의 연결 방법{CONNECTOR FOR FLUID PIPING,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CONNECTING FLUID PIPING}
본 발명은, 유체 배관, 특히 가스 배관용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 조립체 및 유체 배관, 특히 가스 배관의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의 배기가스의 성분을 측정하기 위하여, 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가스 측정 장치에 도입하는 데에 가스 배관용 커넥터가 사용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62035호 공보에 개시된 커넥터가 일례로서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에 배기관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스 튜브가 연결되어 있고, 이 커넥터를 가스 측정 장치에 마련된 상대 커넥터에 연결함으로써 가스 튜브와 측정 장치의 상대 관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관용 커넥터는, 인서트 몰딩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형성된 금속 연결관을 구비하고, 가스 튜브가 상기 금속 연결관의 단부 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의 단부 부분에 암나사 형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암나사 형성부와 나사 결합되는 금속 연결 부재가 가스 튜브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 부재를 암나사 형성부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가스 튜브가 연결관에 연결될 수 있다.
특허문헌 : 일본 특허 공개 제2010-62035호 공보
가스 튜브 및 연결관이 복수 개가 있으면, 연결관과 연결 부재를 복수의 위치에서 나사 결합할 필요가 있으므로, 조작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연결관이 복수의 레벨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면, 전기 커넥터의 와이어 및 다른 요인에 기인하여, 중앙부에 위치한 연결관에 연결 부재를 장착하는 작업이 협소한 공간에서 실행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가스 튜브의 조립 작업성이 더욱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유체 튜브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유체 배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대 커넥터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대 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튜브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체 배관용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커넥터와,
상기 서브커넥터에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가 상대 커넥터에 연결될 때에 일단측이 상대 관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유체 튜브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과,
상기 서브커넥터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 기구를 구비하는 유체 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정의 양태에 따르면, 상대 커넥터에 마련된 상대 관에 대응하는 가스 튜브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스 배관용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서브커넥터와, 상기 서브커넥터에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가 상대 커넥터에 연결될 때에 일단측이 상대 관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가스 튜브에 연결되는 것인 연결관과, 상기 서브커넥터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 기구를 구비하는 가스 배관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체/가스 배관용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 본체 및 연결관은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유체/가스 튜브를 서브커넥터에 미리 연결한 후에 서브커넥터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유체/가스 튜브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 내로 매우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의 커넥터에서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을 조립할 때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의 조립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구성을 갖도록 구현된다.
상기 연결관은, 연결 대상의 상대 관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상대 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O링이 상기 연결관의 일단측의 외주부에 끼워질 수도 있다.
상기 연결관은 연결 대상의 상대 관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상대 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O링이 상기 연결관의 일단측의 외주부에 끼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연결관과 상대 관 사이의 간극을 유밀식 또는 기밀식으로 시일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과 서브커넥터는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일체로 또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몰딩 다이 등을 이용하여 연결관과 서브커넥터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는데, 이는 관리 및 비용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대 전기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는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스용 연결관 및 전기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가스 배관용 하이브리드 커넥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대 커넥터에 복수의 상대 관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서브커넥터에, 유체 튜브 또는 가스 튜브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관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유체 튜브 또는 가스 튜브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관을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집합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조작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연결관이 나란히 또는 복수의 레벨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종래의 커넥터에서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에 유체 또는 가스 튜브를 장착하는 작업에서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 유체 또는 가스 튜브 조립 작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체 또는 가스 튜브를 간단하게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커넥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커넥터 수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서브커넥터는, 복수의 연결관의 일부를 유지하여 복수의 연결관을 배열되게 고정하는 결합판과, 이 결합판 상에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커넥터 수납부의 내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와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결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요성 결합부는, 상기 서브커넥터를 상기 서브커넥터 수납부에 삽입하는 연결 과정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 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합판의 중심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연결 종료 위치에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각 결합 돌기와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는, 서브커넥터를 수납할 수 있는 서브커넥터 수납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서브커넥터는, 복수의 연결관의 중심을 유지하여 복수의 연결관을 배열되게 고정하는 결합판과, 서로 반대측의 결합판의 단부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서브커넥터 수납부의 내면에 마련된 한 쌍의 결합 돌기와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가요성 결합부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가요성 결합부는, 상기 서브커넥터를 상기 서브커넥터 수납부에 삽입하는 연결 과정에서 상기 결합 돌기 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합판의 중심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도 있고, 연결 종료 위치에서는 탄성 복원되어 결합 돌기와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단지 서브커넥터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의 서브커넥터 수납부에 삽입하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서브커넥터를 서브커넥터 수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결합부는, 상기 연결관의 일단측에서 결합판의 단부면의 전단부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 부재와, 양 경사 부재의 후단으로부터 더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양 경사 부재는, 상기 서브커넥터가 서브커넥터 수납부에 삽입될 때에 상기 결합 돌기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양 결합 부재에는 특히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 구멍 앞의 부분이나 이에 인접한 부분이 가압/해제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서브커넥터를 서브커넥터 수납부에 삽입할 때에 경사 부재가 결합 돌기와 접촉하게 되어, 가요성 결합부는 결합판의 중심을 향해 확실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 또는 다른 이유로 서브커넥터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결합판의 양측으로부터 결합판의 중심을 향해 가압/해제부를 가압하여 가요성 결합부를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가요성 결합부를 서브커넥터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양태에 따른 커넥터와,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연결될 수 있는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는 유체 배관용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상대 커넥터는 상대 전기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는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특히 상기 양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체 튜브를 적어도 하나의 상대 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 및 상대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의 일단측을 유체 튜브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서브커넥터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서브커넥터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와 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를 상대 커넥터에 연결하여, 연결관의 타단측을 상대 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튜브의 연결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관은, 연결 대상의 상대 관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대 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O링이 연결관의 일단측의 외주부에 끼워지거나 및/또는, 상기 연결관과 서브커넥터는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일체로 또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쉽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유체 또는 가스 튜브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들 실시예의 하나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이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유체 튜브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유체 배관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하우징 본체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커넥터 하우징 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의 후면도이고,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6은 가스 튜브가 일실시예에 따라 서브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8은 가스 튜브가 서브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저면도이고,
도 9는 서브커넥터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저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관용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접속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특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관용 커넥터는,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둥근 코너를 갖는 대략 리셉터클 형태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가스 튜브 또는 유체 튜브가 연결되어 있는 서브커넥터(30)를 구비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커넥터(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형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 방향은 도 9의 좌우 방향을 기초로 하고, 가스 배관용 커넥터의 연결면측(도 9의 좌측)을 전방측으로서 지칭한다.
커넥터 하우징 본체(10)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정면도로 보아 대략 U자 형상이고 실질적으로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특정의 가동 부재로서의) 연결 레버(11)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의 외면에 이동 가능하거나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레버(11)에 있어서 특히 실질적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아암부(11A)[특히 각 아암부]에 적어도 하나의 캠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양) 캠 홈(12)은, 상대 커넥터(50)의 상대 커넥터 하우징(51)에 마련된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캠 핀(52)과 결합한다. 상대 커넥터(50)와 커넥터 하우징 본체(10)를 연결할 때에, 하나 이상의 캠 핀(52)은, 연결 레버(11)를 조작하거나 변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캠 작용에 의해 캠 홈(12)의 이면측을 향해 당겨진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와 커넥터 하우징(51)은 각각 서로를 향해 당겨져 접속되거나, 또는 이들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이 도움을 받는다.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는, 실질적으로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리셉터클(13)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13)의 개구로부터 리셉터클(13)의 후방벽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도피 홈(15)이, 리셉터클(13)의 내면의 폭방향 중간부(특히 실질적으로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양 도피 홈(15)은, 실질적으로 상대 커넥터 하우징(51)의 각 캠 핀(52)의 도입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거나 및/또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51)이 연결 대상의 리셉터클(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에 대응 캠 핀(52)을 연결 레버(11)의 캠 홈(12)으로 안내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3)의 후방벽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 하우징(16)은, 실질적으로 리셉터클(13)의 후방벽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끼워맞춤 튜브부(17)를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립부(18A)를 포함한 루프형 또는 링형의 시일 부재(18)가, 상기 끼워맞춤 튜브부(17)[특히 기단측]의 외주면 상에 또는 외주면 내에 장착된다. 이 시일 부재(18)는, 끼워맞춤 튜브부(17)가 상대 커넥터(50)에 마련된 리셉터클 형태의 상대 전기 커넥터 하우징(5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때에, 전기 커넥터 하우징(16, 53) 사이를 유밀식 또는 액밀식으로 시일한다.
하나 이상, 특히 2쌍의 공동(19)이 특히 서로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고, 각각의 쌍은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데, 특히 전기 커넥터 하우징(16) 내에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특히 캔틸레버 형태로 실질적으로 전방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요성의 로킹 랜스(20)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각각의) 공동(19)의 내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가요성 로킹 랜스(20)는 삽입측, 특히 실질적으로 후방측으로부터 공동(19)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암형 단자 피팅(21)을 로킹하여 암형 단자 피팅(21)을 공동(19) 내에 유지한다.
암형 단자 피팅(21)이 가요성 로킹 랜스(20)에 의해 로킹된 후에, 끼워맞춤 튜브부(17)[특히 선단부]에 제한 튜브부(22)[특히 실질적으로 사각형 또는 다각형 튜브의 형태]가 장착된다. 이 제한 튜브부(22)는, [특히 실질적으로 설편(tongue) 형태의] 하나 이상의 변형 제한부(22A)를 구비하고, 이 변형 제한부는, 제한 튜브부(22)가 끼워맞춤 튜브부(17)에 장착될 때에 가요성 로킹 랜스(20)의 외면과 밀착하여 가요성 로킹 랜스(20)의 탄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커넥터(30)는 결합판(31)[특히 실질적으로 길고 협소한 판의 형태]과, 결합판(31)을 관통하여 마련된 하나 이상의 연결관(32)을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31)은, 내측으로 경사진 측방향(좌우) 양측의 하측 부분 또는 외측 부분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경사부(31A)를 구비하여, 상단면의 폭이 하단면의 폭보다 다소 길다.
각 연결관(32)은 특히 관형 또는 대략 원통형이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예컨대 4개)의 연결관(32)은 결합판(31)의 판면을 관통하도록 일체로 또는 하나의 부재로 결합판(31)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판(31) 앞의 각 연결관(32)의 일단은 상대 커넥터(50)에 마련된 상대 관(54)에 연결되는 관 연결부(33)로서 기능하고, 후방측의 타단은 유체 튜브 또는 가스 튜브(T)에 연결되는 튜브 연결부(34)로서 기능한다. 관 연결부(33)의 개구로부터 튜브 연결부(34)의 개구까지 연장되는 연속적인 유체 또는 가스 유로(32A)가 각 연결관(32)에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연결부(33)는, 서브커넥터(30)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 장착될 때에 리셉터클(13)의 후방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 본체(10)가 상대 커넥터 하우징(51)에 연결될 때에, 하나 이상의 관 연결부(33)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51)에 마련된 상대 관(5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및/또는 끼워진다.
제1 O링(35)이 장착되어 있는(또는 제1 O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환형 홈(33A)이 관 연결부(33)의 선단측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O링(35)은 특히 상대 관(54)의 내주면과 관 연결부(33)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을 유밀식 또는 액밀식으로 시일하여, 관 연결부(33)가 상대 관(54)에 연결될 때에 관의 내부에 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각 튜브 연결부(34)의 선단측이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부(34A)로 형성되어, 튜브 연결부(34)가 유체 또는 가스 튜브(T)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실질적으로 전체 원주에 걸쳐)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외측으로 넓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결합 돌기(34B)가 튜브 연결부(3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튜브 연결부(34)가 가스 튜브(T)의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에, 상기 환형 결합 돌기(34B)는 유체 또는 가스 튜브(T)의 내면과 결합하게 되어 튜브 연결부(34)를 가스 튜브(T)에 유지한다.
또한, 제2 O링(36)이 장착되어 있는(또는 제2 O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환형 홈(34C)이 테이퍼부(34A)의 뒤에 또는 이 테이퍼부에 인접하여 튜브 연결부(3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2 O링(36)은 특히 유체 또는 가스 튜브(T)의 내주면과 튜브 연결부(34)의 외주면 사이의 간극을 유밀 또는 액밀식으로 시일하여 튜브 연결부(34)가 가스 튜브(T)에 삽입될 때에 관의 내부에 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커넥터(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서브커넥터 수납부(23)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0)[특히 후단면] 상에 또는 그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보았을 때, 서브커넥터 수납부(23)의 내주 형상은 특히 서브커넥터(30)의 외주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서브커넥터(30)가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때에, 서브커넥터(30)의 외주면은 특히 서브커넥터 수납부(23)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밀착한 상태로 유지된다. 서브커넥터(30)의 측방향 (좌우) 측부의 외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경사부(31A)는 특히, 서브커넥터(30)가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삽입될 때에 서브커넥터(30)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3)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예컨대 4개)의 관 삽입 구멍(25)이 서브커넥터 수납부(23)[특히 후방벽(24)]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 삽입 구멍(25)은 특히, 서브커넥터(30)의 관 연결부(33)의 외부 형상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된다. 각각의 관 삽입 구멍(25)은, 서브커넥터(30)가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장착될 때에 관 연결부(33)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관 삽입 구멍(25)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가요성 결합부(37)가, 폭방향으로 마주하는 서브커넥터(30)의 결합판(31)[특히 실질적으로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요성 결합부(37) 각각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결합판(31)의 측면의 전단으로부터 특히 대략 캔틸레버 형태로 연장되는 경사 부재(38)와, 경사 부재(38)의 후단면으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 부재(39)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대략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결합 구멍(39A)이 (특히 각) 결합 부재(39)의 중간 위치[특히 대략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결합 구멍(39A)은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마련된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결합 돌기(26)와 결합되어 있거나 결합될 수 있으므로, 서브커넥터(30)가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에 서브커넥터(30)를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결합 돌기(26)가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결합 부재(39)의 선단부는 가압/해제부(40)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쌍의 가압/해제부(40)는 특히, 서브커넥터(30)를 서브커넥터 수납부(23)로부터 분리할 때에, 서브커넥터(30)를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결합판(31)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한다. 그 후, 양 가요성 결합부(37)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서브커넥터(30)를 서브커넥터 수납부(23)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의 유체 배관용 커넥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서브커넥터(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0) 내에 장착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며, 이 방법과 관련하여 가스 배관용 커넥터의 기능 및 효과를 또한 설명한다.
먼저, 서브커넥터(30)의 각 튜브 연결부(34)를 가스 튜브(T) 내로 미리 가압하여, 복수의 가스 튜브(T)가 연결되어 있는 서브커넥터(30)를 준비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이어서, 서브커넥터(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의 서브커넥터 수납부(23)의 개구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정합하도록 위치 결정하거나 및/또는 서브커넥터 수납부(2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한다. 이러한 연결 과정에서, 서브커넥터(30)[특히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측]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가요성 결합부(37)는 서브커넥터 수납부(23)의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6)와 접촉하여 가압되게 되고, (특히 양) 가요성 결합부(37)가 실질적으로 결합판(31)의 중심을 향하여 탄성 변형된다. 서브커넥터(30)는 특히 실질적으로, 결합판(31)의 전단면이 서브커넥터 수납부(23)의 후방벽(24)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더욱 삽입된다. 그 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6)가 하나 이상의 가요성 결합부(37)의 하나 이상의 각 결합 구멍(39A)과 결합하고, 가요성 결합부(37)와 결합 돌기(26)의 접촉 상태가 캔슬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요성 결합부(3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서브커넥터(30)를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스 배관용 커넥터에 따르면, 가스 튜브(T)는, 단지 서브커넥터(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의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매우 용이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메인터넌스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하여 서브커넥터(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0)로부터 분리할 경우에, 서브커넥터(30)는 특히, 하나 이상(특히 양)의 가압/해제부(4)를 특히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결합판(31)의 중심을 향하여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가요성 결합부(37)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커넥터 하우징 본체(10)로부터 매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튜브를 용이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본체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유체 또는 가스 배관용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대 커넥터(50)에 마련된 상대 관(54)에 대응하는 유체 또는 가스 튜브(T)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유체 또는 가스 배관용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50)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와,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커넥터(30)와, 상대 관(54)에 연결될 수 있고 유체 또는 가스 튜브(T)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32)과, 서브커넥터(30)와 커넥터 하우징 본체(10)를 결합 상태로 유지하거나, 결합하거나 로킹하는 결합 기구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브커넥터(30)의 연결관(32)과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의 관 삽입 구멍(25)의 쌍이 총 4쌍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서브커넥터(30)에 형성된 연결관(32)과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 형성된 관 삽입 구멍(25)은 한 쌍 또는 3 쌍, 또는 5 쌍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연결관(32)이 서브커넥터(30)에 형성될 수 있거나 및/또는 하나 이상의 관 삽입 구멍(25)이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브커넥터(30)의 폭방향 양측에 가요성 결합부(37)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가요성 결합부(37)는 서브커넥터(30)의 상하 양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브커넥터(30)에 하나 이상의 결합 구멍(39A)이 있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결합부(37)가 형성되어 있고,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6)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6)를 하나 이상의 각 결합 구멍(39A)에 결합함으로써 서브커넥터(30)가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탄성 결합 클로가 서브커넥터 수납부(23)의 개구에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결합부가 서브커넥터(3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결합부를 탄성 결합 클로에 의해 로킹함으로써 서브커넥터(30)를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유지할 수도 있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대 관(54)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유지되는 제1 O링(35)이 각 연결관(32)의 관 연결부(33)의 외주부에 대하여 끼워지거나 장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관 연결부(33)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 립부(lip portion) 및/또는 상대 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립부를 갖는 (특히 대략 원통형의) 시일 부재가 장착될 수도 있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브커넥터(30)의 연결관(32)과 결합판(31)이 일체로 또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결합판(31)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32)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관 결합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결관(32)을 하나 이상의 관 결합 구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거나 결합함으로써 특히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서브커넥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6)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결합부(37)에 하나 이상의 가압/해제부(40)가 마련되어 있고, 가압/해제부(40)를 가압함으로써 서브커넥터(30)가 커넥터 하우징 본체(10)로부터 분리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특정의 지그를 이용하여 서브커넥터(30)를 서브커넥터 수납부(23)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서브커넥터(30)를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10 : 커넥터 하우징 본체
16 : 전기 커넥터 하우징
23 : 서브커넥터 수납부
26 : 결합 돌기
30 : 서브커넥터
31 : 결합판
32 : 연결관
35 : 제1 O링(O링)
37 : 가요성 결합부
38 : 경사 부재
39 : 결합 부재
39A : 결합 구멍
40 : 가압/해제부
50 : 상대 커넥터
53 : 상대 전기 커넥터 하우징
54 : 상대 관

Claims (14)

  1. 상대 커넥터(5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상대 관(54)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튜브(T)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체 배관용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50)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커넥터(30)와,
    상기 서브커넥터(30)에 마련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10)가 상대 커넥터(50)에 연결될 때에 일단측이 상대 관(54)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유체 튜브(T)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32)과,
    상기 서브커넥터(30)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와 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결합 기구(26, 37)
    를 구비하는 유체 배관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2)은, 연결 대상의 상대 관(54)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것인 유체 배관용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관(54)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O링(35)이 상기 연결관(32)의 일단측의 외주부에 끼워져 있는 것인 유체 배관용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2)과 서브커넥터(3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일체로 또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인 유체 배관용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50)에 복수의 상대 관(54)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커넥터(30)에, 유체 튜브(T)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관(3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유체 배관용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커넥터(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커넥터 수납부(23)를 구비하는 것인 유체 배관용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커넥터(30)는, 복수의 연결관(32)의 일부를 유지하여 복수의 연결관(32)을 배열되게 고정하는 결합판(31)과, 이 결합판 상에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6)와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결합부(37)를 구비하는 것인 유체 배관용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요성 결합부(37)는, 상기 서브커넥터(30)를 상기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삽입하는 연결 과정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6) 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결합판(31)의 중심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연결 종료 위치에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각 결합 돌기(26)와 결합하는 것인 유체 배관용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결합부(37)는, 상기 연결관(32)의 일단측에서 결합판(31)의 단부면의 전단부로부터 캔틸레버 형태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 부재(38)와, 양 경사 부재(38)의 후단으로부터 더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 부재(39)를 구비하고,
    상기 양 경사 부재(38)는, 상기 서브커넥터(30)가 서브커넥터 수납부(23)에 삽입될 때에 상기 결합 돌기(26)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 결합 부재(39)에는 결합 구멍(39A)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 구멍(39A) 앞의 부분이나 이에 인접한 부분이 가압/해제부(40)로서 기능하는 것인 유체 배관용 커넥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커넥터와,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는 상대 커넥터(50)를 구비하는 유체 배관용 커넥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50)는 상대 전기 커넥터 하우징(53)을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10)는 상기 상대 전기 커넥터 하우징(53)에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16)을 구비하는 것인 유체 배관용 커넥터 조립체.
  12. 적어도 하나의 유체 튜브(T)를 적어도 하나의 상대 관(5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 본체(10) 및 상대 커넥터(50)를 제공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32)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커넥터(30)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관(32)의 일단측을 유체 튜브(T)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에 서브커넥터(30)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서브커넥터(30)를 커넥터 하우징 본체(10)와 결합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본체(10)를 상대 커넥터(50)에 연결하여, 연결관(32)의 타단측을 상대 관(54)에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체 튜브의 연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32)은, 연결 대상의 상대 관(54)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것인 유체 튜브의 연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관(54)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유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O링(35)이 연결관(32)의 일단측의 외주부에 끼워지는 구성과, 상기 연결관(32)과 서브커넥터(3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일체로 또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는 구성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것인 유체 튜브의 연결 방법.
KR1020110053395A 2010-06-11 2011-06-02 유체 배관용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유체 배관의 연결 방법 KR20110135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33976A JP5577868B2 (ja) 2010-06-11 2010-06-11 ガス配管用コネクタ
JPJP-P-2010-133976 2010-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811A true KR20110135811A (ko) 2011-12-19

Family

ID=4423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395A KR20110135811A (ko) 2010-06-11 2011-06-02 유체 배관용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유체 배관의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01046B2 (ko)
EP (1) EP2395272B1 (ko)
JP (1) JP5577868B2 (ko)
KR (1) KR20110135811A (ko)
CN (1) CN1023131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085A1 (ko) * 2015-09-25 2017-03-30 주식회사 큐라코 통합연결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43739A (zh) * 2014-07-22 2014-11-12 国家电网公司 一种便于接线的电网输电线及其连接方法
CN107355211A (zh) * 2017-06-30 2017-11-17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爬行器用多路油电连接器
US10998665B2 (en) 2018-11-15 2021-05-04 Medline Industries, Inc. Hybrid connector
DE102020201428A1 (de) * 2020-02-06 2021-08-12 Alfmeier Präzision SE Verbindungselement und Versorgungsleiste für eine Ventilanordnung
US11293576B2 (en) * 2020-08-31 2022-04-05 Caremed Supply Inc. Gas supply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1399C (de) H. KAWEL in Berlin S., Bärwaldstr. 11 III Elastische Lagerung des Schiebers und Entlüftung des Gehäuses an Dampfwasser-Ableitern mit Drehschieber
DD61399A (ko) *
BE636270A (ko) * 1962-08-16
FR1432838A (fr) * 1965-02-26 1966-03-25 Inst Werkzeugmaschinen Raccord de tuyaux souples
US3469863A (en) * 1967-04-05 1969-09-30 Trico Products Corp Fluid coupling assembly
JPS6133346Y2 (ko) * 1980-11-12 1986-09-29
JPS6128993U (ja) * 1984-07-24 1986-02-2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ホ−スの継手機構
JPS6141096A (ja) * 1984-08-02 1986-02-27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ホ−スの継手機構
US4804208A (en) * 1986-08-11 1989-02-14 The Kendall Company Manifold coupling assembly
US4840574A (en) * 1987-11-10 1989-06-20 European Atomic Energy Community (Euratom) Multiconnector
IT220672Z2 (it) * 1990-11-13 1993-10-11 Itw Fastex Italia Spa Dispositivo di collegamento a scatto, a tenuta di fluido, per tubazioni
US5478119A (en) * 1993-09-16 1995-12-26 The Kendall Company Polarized manifold connection device
US5588954A (en) * 1994-04-05 1996-12-31 Beiersdorf-Jobst, Inc. Connector for a gradient sequential compression system
JP3145271B2 (ja) * 1995-05-16 2001-03-12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FR2769136B1 (fr) * 1997-09-29 1999-11-05 Cinch Connecteurs Sa Connecteur electrique
JP3709672B2 (ja) * 1997-09-29 2005-10-2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集束ホース用ワンタッチ接続装置
US6926311B2 (en) * 2003-09-03 2005-08-09 Apex Medical Corp. Apparatus for quick connection
JP4632671B2 (ja) * 2004-02-02 2011-02-16 住友電装株式会社 分割コネクタ
FR2876775B1 (fr) * 2004-10-14 2006-12-08 Staubli Faverges Sca Partie male d'un raccord rapide, ce raccord rapide et jeu de deux tels raccords rapides
US8092409B2 (en) * 2007-05-18 2012-01-10 Tyco Healthcare Group Lp Reinforced connector
JP5072781B2 (ja) * 2008-09-04 2012-1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085A1 (ko) * 2015-09-25 2017-03-30 주식회사 큐라코 통합연결모듈을 포함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01046B2 (en) 2014-08-12
JP2011258505A (ja) 2011-12-22
JP5577868B2 (ja) 2014-08-27
CN102313104A (zh) 2012-01-11
EP2395272A1 (en) 2011-12-14
US20110304133A1 (en) 2011-12-15
EP2395272B1 (en)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5811A (ko) 유체 배관용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유체 배관의 연결 방법
US8011942B2 (en) Connector
US8011977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projections integral with connector housing
US9122021B2 (en) Sealing enclosure for a connector on a cable, such as a standardized fiber-optic connector
US8491323B2 (en) Waterproof connector
US7156698B2 (en) Waterlight connector
US8241062B2 (en) Shielding connector and wire harness
US7857523B2 (en) Waterproof connector having movable connector member and waterproof apparatus using the same
EP2386713B1 (en) Connector
US20100261364A1 (en) Fluidproof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658224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creased contact reliability
KR20130023148A (ko) 고무 플러그 및 방수 커넥터
JP2011228212A (ja) ボールロック式コネクタ
US9472890B2 (en) Connector for cable connection
JP2016164600A (ja) プラグ側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コネクタ付き光ケーブル
US5727969A (en) Low-insertion-force connector assembly
KR101497283B1 (ko) 누설 방지용 원터치 배관 연결장치
JP4193711B2 (ja) 防水コネクタ
CN111224261B (zh) 连接器
JP3915665B2 (ja) 防水コネクタ
JP2009070572A (ja) 防水コネクタ
WO2017092210A1 (zh) 转接器及使用该转接器的转接器组件
JP2022086057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KR101914537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06294417A (ja) 接続端子用シール部材及びその押込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