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5685A -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5685A
KR20110135685A KR1020100055549A KR20100055549A KR20110135685A KR 20110135685 A KR20110135685 A KR 20110135685A KR 1020100055549 A KR1020100055549 A KR 1020100055549A KR 20100055549 A KR20100055549 A KR 20100055549A KR 20110135685 A KR20110135685 A KR 20110135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alt
pharmaceutical composition
amount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526B1 (ko
Inventor
김용일
김경수
장기영
김요한
박재현
우종수
Original Assignee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55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526B1/ko
Application filed by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E2012002375A priority patent/PE20130236A1/es
Priority to RU2013100943/15A priority patent/RU2575829C2/ru
Priority to CN201180028201.7A priority patent/CN102933573B/zh
Priority to ARP110102036A priority patent/AR081870A1/es
Priority to PCT/KR2011/004271 priority patent/WO2011155793A2/en
Priority to CA3127906A priority patent/CA3127906A1/en
Priority to PL11792704T priority patent/PL2580206T3/pl
Priority to JP2013514120A priority patent/JP5852105B2/ja
Priority to BR112012031510-2A priority patent/BR112012031510B1/pt
Priority to MYPI2012005268A priority patent/MY164015A/en
Priority to CA2801631A priority patent/CA2801631C/en
Priority to SG2012085098A priority patent/SG185661A1/en
Priority to ES11792704.6T priority patent/ES2556457T3/es
Priority to CA3012771A priority patent/CA3012771C/en
Priority to US13/699,993 priority patent/US20130071452A1/en
Priority to EP11792704.6A priority patent/EP2580206B1/en
Priority to AU2011262662A priority patent/AU2011262662B2/en
Priority to MX2012014440A priority patent/MX2012014440A/es
Priority to MA35546A priority patent/MA34368B1/fr
Priority to DK11792704.6T priority patent/DK2580206T3/en
Priority to TW100120355A priority patent/TWI424995B/zh
Priority to NZ605601A priority patent/NZ605601A/en
Priority to UAA201300355A priority patent/UA109281C2/ru
Publication of KR20110135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685A/ko
Priority to CL2012003487A priority patent/CL2012003487A1/es
Priority to IL223543A priority patent/IL223543A/en
Priority to CO12235298A priority patent/CO6620015A2/es
Publication of KR10121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ZA2013/00241A priority patent/ZA201300241B/en
Priority to HK13108816.0A priority patent/HK1181389A1/xx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09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5Non-condensed pyrazines
    • A61K31/497Non-condensed py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77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보관 안정성이 개선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보관 안정성이 산성 첨가제에 의해 개선되어 오랜 기간 보관에도 불구하고 품질의 변화가 없으므로, 안전하고 우수한 암세포 성장 억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본 발명은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성 첨가제에 의해 보관 안정성이 개선된,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포내에는 수많은 신호전달 체계가 존재하며, 이들 각 신호전달체계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잡한 메커니즘 형성을 통해 세포의 증식, 성장, 사멸 등을 조절한다(Nature Reviews Cancer, 5, 689, 2005). 따라서 유전적 또는 환경적 영향에 의해 세포내 조절기능이 균형을 잃게 되면 비정상적인 신호 전달의 증폭 또는 소멸이 나타나 종양 등의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Cell, 100, 57, 2000).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protein tyrosine kinase)는 이러한 세포내 신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3, 993, 2004), 암세포에서 비정상적인 발현 또는 돌연변이가 빈번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는 인산기가 ATP로부터 단백질 기질 상에 위치하는 티로신으로 전달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 부류이며, 이러한 티로신 키나아제에 의해 여러 성장인자 수용체 단백질이 세포내 신호전달을 수행한다. 성장인자와 이들 수용체간의 상호작용은 세포성장의 정상적인 조절에 있어서 필수적이지만 수용체의 돌연변이 또는 과발현 등으로 인해 이들 수용체에 의한 신호를 조절할 수 없게 되면 종양세포 또는 궁극적으로 암이 유발된다.
이러한 단백질 티로신 키나아제로서의 역할과 관련하여 여러 성장인자 및 이들의 수용체가 연구되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상피세포성장인자(EGF) 및 이의 수용체(EGFR) 티로신 키나아제에 관한 연구가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Nature Reviews Cancer, 5, 341, 2005). EGFR 티로신 키나아제는 수용체 부분과 티로신 키나아제 부분으로 이루어진 단백질로서, 세포막을 통과하여 위치함으로서 세포 외부의 신호를 세포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EGFR 티로신 키나아제 패밀리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EGFR(Erb-B1), Erb-B2, Erb-B3, Erb-B4의 4종 아류형으로 분류되며, 이들 모두는 동형 2량체 또는 패밀리 내 다른 구성원과 함께 이형 2량체로서 신호전달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2종 이상의 이형 복합체는 악성 질병에서 과발현되는 경우 상승적 변형가능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이들의 과잉발현이 인간 악성 종양에서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고 있다.
저분자 물질로서 EGFR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로 개발된 최초의 약물은 게피티닙(Gefitinib)으로서, 이는 EGFR 아류형 중 EGFR(Erb-B1)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가역적 저해제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닌 약물로는 엘로티닙(Erlotinib)이 있으며, 이들은 비소세포성폐암(NSCLC)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2007년도 FDA에서 유방암 치료제로 승인된 라파티닙(Lapatinib)의 경우 EGFR의 아류형 중 Erb-B1 및 Erb-B2를 저해하는 가역적 저해제로서 EGFR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복합체 구성원을 동시에 저해하는 치료제이다.
이외에 현재 개발중인 EGFR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로서, 비가역적 저해제인 캐너티닙(Canertinib), HK1-272, BIBW-2992 및 PF00299804가 있고, 가역적 저해제인 AEE-788, CP24714, ARRY334543, AV-412 등이 임상시험 중에 있다. 이들은 선택적으로 Erb-B2를 저해하거나 Erb-B1을 포함하는 2종 이상의 EGFR 패밀리 구성원을 동시에 저해하거나 또는 EGFR 및 다른 수용체를 함께 저해하는 다중 저해제로서 개발되고 있다.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비가역적 억제제의 비소세포성폐암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를 분석해보면 기존 가역적 억제제에 비해 약물 반응율은 개선되었지만 내성발현 암환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치료효과가 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기존 비가역적 억제제보다 내성암에 효과적이면서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 본 발명자들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107294호를 통해 EGFR 및 이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는 암세포의 성장 및 약물에 대한 내성을 선택적 및 효과적으로 저해하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신규 화합물을 제시한 바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신규 화합물 중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화합물명: 1-(4-(4-(3,4-다이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미노)-7-메톡시퀴나졸린-6-일옥시)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다양한 제제 형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약학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한 결과, 보관기간 중에 상기 화합물의 함량이 저하되며,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유연물질 E)의 생성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활성물질의 순도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이다. 특히, 항암제는 면역력이 약한 암환자들에게 사용되는 치료약물이기 때문에 제품의 최대 가능순도가 더더욱 중요하다. 약물의 불순물은 치료를 하는 동안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데, 활성물질의 제조과정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는 불순물 외에, 온도, 습도 및 빛과 같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 최종 약제로부터 생성되는 분해산물이 문제시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유연물질의 생성을 억제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산성 첨가제가 본 발명의 약리 활성 성분의 안정성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이 개선된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산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보관 안정성이 산성 첨가제에 의해 개선되어 오랜 기간 보관에도 불구하고 품질의 변화가 없으므로, 안전하고 우수한 암세포 성장 억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산성 첨가제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7 및 산성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60℃에서의 안정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산성 첨가제의 양에 따른 60℃에서의 안정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산성 첨가제를 사용한 실시예 1 및 비산성 항산화제 또는 염기성 안정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2 내지 5의 60℃에서의 안정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산성 첨가제를 사용한 실시예 11 내지 12 및 산성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6의 60℃에서의 안정성 비교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산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산성 첨가제 사용으로 인하여 유연물질의 생성이 억제되어 약리 활성 성분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데에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제제의 경우, 보관 기간에 따라 유연물질이 생성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산성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제조 공정 중 수분을 감소시키거나, 특정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유연물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특성 및 종류를 설명한다.
(i) 약리활성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되는 약리활성 성분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4-(4-(3,4-다이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미노)-7-메톡시퀴나졸린-6-일옥시)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EGFR 및 이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는 암세포의 성장 및 약물에 대한 내성을 선택적이고 효과적으로 저해하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신규 화합물로 제시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0107294호 참조).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무기산염, 유기산염 또는 금속염일 수 있다. 바람직한 무기산염의 예에는 염산염, 인산염, 황산염 또는 이황산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한 유기산염의 예에는 말산염, 말레인산염, 구연산염, 푸마르산염, 베실산염, 캠실산염 또는 에디실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금속염의 예에는 칼슘염,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스트론튬염 또는 칼륨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약리활성 성분의 양은 제제 1 단위당 0.1 mg 내지 1,000 mg이 바람직하다.
(ii) 산성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가능한 산성 첨가제는 (1) 카르복실기(COOH) 또는 설폰기(SO3H)를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유기산 또는 지방산; (2) 인산, 황산 및 붕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산; 또는 (3)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부형제로서, 1 내지 5%(W/V)의 농도로 물에 녹이거나 분산시켰을 때 pH 1 내지 6을 나타내는 모든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산성 첨가제는 단독 혹은 2개 이상 복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산성 첨가제의 예에는 아세트산, 아디프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에리소르빈산, 락트산, 프로피온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포름산, 옥살산, 캠실산, 말산, 말레인산, 에디실산, 팔미틴산 또는 스테아린산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1 내지 5%(W/V)의 농도로 물에 녹이거나 분산시켰을 때 pH 1 내지 6을 나타내는 물질의 예에는 아르긴산(Arginic acid) 또는 이산화규소(SiO2)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성 첨가제는 화학식 1의 화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성 첨가제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부형제 (예를 들어, 붕해제, 활택제, 희석제 등)와의 습식 과립 혹은 건식 과립 등의 과립 공정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과립 공정 후에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부형제와의 직타용 혼합물 혹은 캡슐 충전용 혼합물에도 첨가될 수 있다.
( iii ) 기타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기타 성분으로서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또는 활택제와 같은 부형제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희석제의 예에는 미세결정셀룰로오스, 락토오스, 만니톨, 인산칼슘 등이 있으며, 결합제의 예에는 포비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등이 있고, 붕해제의 예에는 크로스포비돈,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글리콜산전분나트륨 등이 있으며, 활택제의 예에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릴 푸마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희석제는 제제 총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80 중량%, 결합제는 1 내지 10 중량%, 붕해제는 1 내지 30 중량%, 활택제는 0.5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예에는 산제, 정제, 캡슐제, 과립제 또는 시럽제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정제나 캡슐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본 발명의 제제는, 취급시 사람의 손이나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기제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에 사용될 수 있는 코팅기제의 예에는 속방성 필름 형성제로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중합체(Kollocoar IR, BASF) 등; 장용 코팅기제로서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유드라짓, 에보닉사),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프탈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 및 서방화 코팅기제로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에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코팅기제는 코팅 전 코어제제를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의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7: 산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한미약품, 한국) 및 만니톨(Roquette), 포비돈(BASF), 크로스포비돈(BASF),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및 산성 첨가제로서, 구연산, 에리소르빈산, 인산, 알긴산, 스테아린산 또는 이산화규소를 사용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습식과립 조성물에 첨가한 산성 첨가제(구연산 및 인산)는 결합액인 물에 녹이거나 분산시켜 투입하였다. 과립 후에 첨가하거나 직타혼합물에 첨가시에는 30 메쉬 체로 체과하여 첨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은 모두 정제기를 사용하여 경도 약 6 내지 12kp를 가지는 정제의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화학식 1의 화합물 8 8 8 8 8 8 8
만니톨 98 98 98 98 98 98 98


포비돈 3 3 3 3 3 3 3
구연산 - 10 - -
인산 10
<증류수> <20> <20> <20> <20> <20> <20> <20>
혼합 만니톨 79 79 79 79 79 79 79
크로스포비돈 10 10 10 10 10 10 10
구연산 10 - - - - - -
에리소르빈산 - - - 10 - - -
알긴산 - - - - 10 5 5
스테아린산 - - - - - 5 -
이산화규소 - - - - - - 5
최종혼합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2 2 2 2 2 2
증류수를 제외한 총중량 210 210 210 210 210 210 210
실시예 8 내지 10: 산성 첨가제의 양을 달리한 정제의 제조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산성 첨가제로 구연산을 사용하고, 그 양만 달리하여 실시예 8 내지 10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화학식 1의 화합물 8 8 8
만니톨 98 98 98


포비돈 3 3 3
<증류수> <20> <20> <20>
혼합 만니톨 79 79 79
크로스포비돈 10 10 10
구연산 2 5 20
최종혼합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2 2
증류수를 제외한 총중량 202 205 220
비교예 1 내지 5: 비산성 항산화제 또는 염기성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산성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예 1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하기 표 3과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산성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비산성 항산화제로서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또는 토코페롤, 염기성 안정화제로서 탄산칼슘(CaCO3) 또는 메글루민(meglumine)을 사용하여 비교예 2 내지 5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화학식 1의 화합물 8 8 8 8 8
만니톨 98 98 98 98 98


포비돈 3 3 3 3 3
토코페롤 - 10 - - -
<증류수> <20> <20> <20> <20> <20>
혼합 만니톨 79 79 79 79 79
크로스포비돈 10 10 10 10 10
BHT - - 1 - -
탄산칼슘 - - - 10 -
메글루민 - - - - 10
최종혼합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2 2 2 2
증류수를 제외한 총질량 200 210 201 210 210
실시예 11 내지 12 및 비교예 6: 캡슐의 제조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부형제들을 30메쉬 체로 통과시킨 후 혼합하여 0호 캡슐에 화학식 1의 화합물로서 8 mg 해당량을 충전하여 실시예 11 내지 12의 캡슐을 제조하였다. 산성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비교예 6의 캡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6
화학식 1의 화합물 8 8 8
만니톨 97 97 97
포비돈 3 3 3
크로스포비돈 10 10 10
구연산 10 - -
에리스로빈산 - 10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2 2
혼합물 전체질량 130 130 120
시험예 1: 실시예 비교예 제제의 보관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제에 대하여, 보관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요 분해산물인 화학식 2의 화합물(유연물질 E)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즉, 상기 제제를 HDPE 병포장(1g 실리카겔 첨가)을 한 후, 보관 안정성을 예측하기 위한 경시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60℃ 챔버에 보관하고, 4주, 8주 후에 유연물질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5 내지 표 7 및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보관전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60℃ 4주 0.06 0.05 0.04 0.07 0.13 0.15 0.18 0.30 0.19 0.05
60℃ 8주 0.08 0.07 0.06 0.10 0.20 0.26 0.29 0.40 0.29 0.0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보관전 0.02 0.02 0.02 0.02 0.02
60℃ 4주 0.45 0.45 0.44 1.09 1.14
60℃ 8주 0.88 0.63 0.61 1.98 2.32
실시예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6
보관전 0.02 0.02 0.02
60℃ 4주 0.07 0.07 0.49
60℃ 8주 0.10 0.11 0.96
상기 표 5 내지 표 7 및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제에 있어서, 산성 첨가제를 첨가할 경우 유연물질의 생성을 약 4 배에서 10 배 이상까지 감소시켜 제제의 보관에 있어서 안정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ICH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구조를 모르는 불순물(unknown impurity)의 기준이 0.2%이고, 구조를 알고 있는 불순물의 기준이 0.5%임을 고려할 때, 산성 첨가제가 본 발명의 정제 또는 캡슐제의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 안정성 역시 우수함을 예상할 수 있다.
반면에, 약제학적으로 안정화제로 주로 사용되는 비산성 항산화제인 BHT 및 토코페롤과 염기성 안정화제인 탄산칼슘 및 메글루민은 안정성 개선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산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무기산염, 유기산염 또는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염이 염산염, 인산염, 황산염 또는 이황산염이며, 상기 유기산염이 말산염, 말레인산염, 구연산염, 푸마르산염, 베실산염, 캠실산염 또는 에디실염이고, 상기 금속염이 칼슘염, 나트륨염, 마그네슘염, 스트론튬염 또는 칼륨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첨가제가 카르복실기(COOH) 또는 설폰기(SO3H)를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20의 유기산 또는 지방산; 인산, 황산 및 붕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첨가제가 아세트산, 아디프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에리소르빈산, 락트산, 프로피온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포름산, 옥살산, 캠실산, 말산, 말레인산, 에디실산, 팔미틴산 및 스테아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첨가제가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부형제로서, 1 내지 5%(W/V)의 농도로 물에 녹이거나 분산시켰을 때 pH 1 내지 6을 나타내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첨가제가 아르긴산 또는 이산화규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제제 1 단위당 0.1 mg 내지 1,000 mg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첨가제가 화학식 1의 화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첨가제가 화학식 1의 화합물 1 중량부에 대하여 0.25 내지 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캡슐제 또는 정제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및 활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가 제제 총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거나, 상기 결합제가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거나, 상기 붕해제가 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거나 또는 활택제가 0.5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이 속방성 필름 형성제, 장용 코팅기제, 서방화 코팅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속방성 필름 형성제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중합체이며, 상기 장용 코팅기제가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프탈산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이고, 상기 서방화 코팅기제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에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기제가 코팅 전 코어제제 대비 1 내지 50중량%의 양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00055549A 2010-06-11 2010-06-11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21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549A KR101217526B1 (ko) 2010-06-11 2010-06-11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AU2011262662A AU2011262662B2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US13/699,993 US20130071452A1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RP110102036A AR081870A1 (es) 2010-06-11 2011-06-10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un derivado de amida o sal farmaceuticamente aceptable del mismo
PCT/KR2011/004271 WO2011155793A2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A3127906A CA3127906A1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L11792704T PL2580206T3 (pl) 2010-06-11 2011-06-10 Kompozycja farmaceutyczna zawierająca pochodną amidową lub jej farmaceutycznie dopuszczalną sól
JP2013514120A JP5852105B2 (ja) 2010-06-11 2011-06-10 アミド誘導体またはその医薬的に許容される塩を含む医薬組成物
BR112012031510-2A BR112012031510B1 (pt) 2010-06-11 2011-06-10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derivado de amida ou um sal farmaceuticamente aceitável deste
MYPI2012005268A MY164015A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A2801631A CA2801631C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SG2012085098A SG185661A1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ES11792704.6T ES2556457T3 (es) 2010-06-11 2011-06-10 Composición farmacéutica que comprende un derivado de amida o una sal del mismo farmacéuticamente aceptable
CA3012771A CA3012771C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E2012002375A PE20130236A1 (es) 2010-06-11 2011-06-10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un derivado de amida o una sal farmaceuticamente aceptable del mismo
CN201180028201.7A CN102933573B (zh) 2010-06-11 2011-06-10 包含酰胺衍生物或其可药用盐的药物组合物
EP11792704.6A EP2580206B1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X2012014440A MX2012014440A (es) 2010-06-11 2011-06-10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un derivado de amida o una sal farmaceuticamente aceptable de la misma.
MA35546A MA34368B1 (fr) 2010-06-11 2011-06-10 Composition pharmaceutique comprenant un dérivé d'amide ou son sel pharmaceutiquement acceptable
DK11792704.6T DK2580206T3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ICH INCLUDES an amide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W100120355A TWI424995B (zh) 2010-06-11 2011-06-10 含有醯胺衍生物或其藥學上可接受之鹽類的藥學組成物
NZ605601A NZ605601A (en) 2010-06-11 2011-06-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RU2013100943/15A RU2575829C2 (ru) 2010-06-11 2011-06-10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производное амида или е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ую соль
UAA201300355A UA109281C2 (uk) 2010-06-11 2011-10-06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яка містить похідне аміду або його фармацевтично прийнятну сіль
CL2012003487A CL2012003487A1 (es) 2010-06-11 2012-12-10 Composicion farmaceutica oral que comprende un compuesto derivado de quinqzolina y acido alginico o sio2 como aditivo acidico.
IL223543A IL223543A (en) 2010-06-11 2012-12-10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1– (4– (4– (4,3-dichloro-2 – fluorophenylamino) –7 – methoxyquinazoline – 6 – Iloxy) piperidine – 1 – il) Prof. 2 – an – 1 – on or a common pharmaceutical salt His and an acidic addition
CO12235298A CO6620015A2 (es) 2010-06-11 2012-12-28 Composición farmacéutica que comprende un derivado de amida o sal farmacéuticamente aceptable del mismo
ZA2013/00241A ZA201300241B (en) 2010-06-11 2013-01-1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HK13108816.0A HK1181389A1 (en) 2010-06-11 2013-07-29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549A KR101217526B1 (ko) 2010-06-11 2010-06-11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685A true KR20110135685A (ko) 2011-12-19
KR101217526B1 KR101217526B1 (ko) 2013-01-02

Family

ID=4509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549A KR101217526B1 (ko) 2010-06-11 2010-06-11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20130071452A1 (ko)
EP (1) EP2580206B1 (ko)
JP (1) JP5852105B2 (ko)
KR (1) KR101217526B1 (ko)
CN (1) CN102933573B (ko)
AR (1) AR081870A1 (ko)
AU (1) AU2011262662B2 (ko)
BR (1) BR112012031510B1 (ko)
CA (3) CA2801631C (ko)
CL (1) CL2012003487A1 (ko)
CO (1) CO6620015A2 (ko)
DK (1) DK2580206T3 (ko)
ES (1) ES2556457T3 (ko)
HK (1) HK1181389A1 (ko)
IL (1) IL223543A (ko)
MA (1) MA34368B1 (ko)
MX (1) MX2012014440A (ko)
MY (1) MY164015A (ko)
NZ (1) NZ605601A (ko)
PE (1) PE20130236A1 (ko)
PL (1) PL2580206T3 (ko)
SG (1) SG185661A1 (ko)
TW (1) TWI424995B (ko)
UA (1) UA109281C2 (ko)
WO (1) WO2011155793A2 (ko)
ZA (1) ZA2013002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3816A1 (en) * 2018-09-14 2020-03-19 Hanmi Pharmaceutical Co., Ltd. Crystalline forms of a quinazole compound and its hydrochloride sal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8391B2 (en) 2011-05-17 2014-09-0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EGFR directed combination treatment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KR101317809B1 (ko) 2011-06-07 2013-10-16 한미약품 주식회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아마이드 유도체 및 비금속염 활택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140096571A (ko) 2013-01-28 2014-08-06 한미약품 주식회사 1-(4-(4-(3,4-디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아미노)-7-메톡시퀴나졸린-6-일옥시)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의 제조방법
TWI808958B (zh) 2017-01-25 2023-07-21 美商特普醫葯公司 涉及二芳基巨環化合物之組合療法
US20180333415A1 (en) * 2017-05-19 2018-11-2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Therapeutic methods
KR102227486B1 (ko) * 2017-06-30 2021-03-12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프로톤 펌프 저해제를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제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제제 및 그 제조방법
CN112088000A (zh) 2018-03-27 2020-12-15 得克萨斯州大学系统董事会 具有针对携带her2外显子19突变之癌细胞的抗肿瘤活性的化合物
KR20210024568A (ko) 2018-06-25 2021-03-05 스펙트럼 파마슈티컬즈 인크 포지오티닙과 세포독성제 및/또는 다른 분자로 표적화된 물질의 조합 및 이의 용도
CA3137901A1 (en) 2019-04-25 2020-10-2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Heterocyclic inhibitors of tyrosine kinase
CA3138348A1 (en) 2019-05-09 2020-11-12 FUJIFILM Cellular Dynamics, Inc.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hepatocytes
CA3155373A1 (en) * 2019-10-24 2021-04-29 Young Il Kim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an amide derivative inhibiting the growth of cancer cell and a pharmaceutical product contain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19A (ko) * 1996-07-16 1998-04-30 김상응 안정화된 주사제용 약제학적 조성물
GB9718972D0 (en) * 1996-09-25 1997-11-12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RU2002110461A (ru) * 1999-09-21 2004-03-10 Астразенека Аб (Se) Производные хиназолин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JP2007505878A (ja) * 2003-09-19 2007-03-15 アストラゼネカ アクチボラグ キナゾリン誘導体
MXPA06003341A (es) * 2003-09-25 2006-06-08 Astrazeneca Ab Derivados de quinazolina.
GB0322409D0 (en) * 2003-09-25 2003-10-29 Astrazeneca Ab Quinazoline derivatives
TWI377944B (en) * 2007-06-05 2012-12-01 Hanmi Holdings Co Ltd Novel amide derivative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cancer cells
JP5649157B2 (ja) * 2009-08-01 2015-01-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3816A1 (en) * 2018-09-14 2020-03-19 Hanmi Pharmaceutical Co., Ltd. Crystalline forms of a quinazole compound and its hydrochloride salts
US11883402B2 (en) 2018-09-14 2024-01-30 Hanmi Pharmaceutical Co., Ltd. Crystalline forms of a quinazoline compound and its hydrochloride sal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A34368B1 (fr) 2013-07-03
CA3012771A1 (en) 2011-12-15
CA2801631A1 (en) 2011-12-15
EP2580206B1 (en) 2015-09-23
CN102933573B (zh) 2014-12-24
PE20130236A1 (es) 2013-03-18
TW201204711A (en) 2012-02-01
CA3127906A1 (en) 2011-12-15
HK1181389A1 (en) 2013-11-08
CA2801631C (en) 2018-09-04
BR112012031510B1 (pt) 2021-06-22
WO2011155793A2 (en) 2011-12-15
WO2011155793A3 (en) 2012-04-26
US20130071452A1 (en) 2013-03-21
ZA201300241B (en) 2014-03-26
JP5852105B2 (ja) 2016-02-03
TWI424995B (zh) 2014-02-01
BR112012031510A2 (pt) 2016-11-08
IL223543A (en) 2017-02-28
JP2013531648A (ja) 2013-08-08
AU2011262662A1 (en) 2013-01-31
UA109281C2 (uk) 2015-08-10
SG185661A1 (en) 2012-12-28
CO6620015A2 (es) 2013-02-15
DK2580206T3 (en) 2016-01-11
CL2012003487A1 (es) 2013-02-22
KR101217526B1 (ko) 2013-01-02
RU2013100943A (ru) 2014-07-20
AR081870A1 (es) 2012-10-24
PL2580206T3 (pl) 2016-03-31
NZ605601A (en) 2014-11-28
MY164015A (en) 2017-11-15
CA3012771C (en) 2021-10-12
EP2580206A4 (en) 2014-01-22
CN102933573A (zh) 2013-02-13
EP2580206A2 (en) 2013-04-17
ES2556457T3 (es) 2016-01-18
AU2011262662B2 (en) 2015-06-25
MX2012014440A (es)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526B1 (ko) 아마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US993140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inhibiting the growth of cancer cells and non-metallic salt lubricant
US1188340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fatinib
MX2007013089A (es) Composicion farmaceutica.
CN112843060A (zh) 一种取代丁烯酰胺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7271869B2 (ja) レボセチリジン含有錠剤
JP2020090456A (ja) エルロチニブ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錠剤
RU2575829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производное амида или е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ую соль
TWI515186B (zh) 治療腫瘤疾病的醫藥組成物
JP2019059685A (ja) エルロチニブ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錠剤
JP2019026583A (ja) エルロチニブ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錠剤及びその製造方法
NZ61960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mide derivative inhibiting the growth of cancer cells and non-metallic salt lubric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