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734A -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734A
KR20110133734A KR1020100053295A KR20100053295A KR20110133734A KR 20110133734 A KR20110133734 A KR 20110133734A KR 1020100053295 A KR1020100053295 A KR 1020100053295A KR 20100053295 A KR20100053295 A KR 20100053295A KR 20110133734 A KR20110133734 A KR 2011013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hild
stroller
handle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별이
Original Assignee
시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별이 filed Critical 시별이
Priority to KR102010005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3734A/ko
Publication of KR2011013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05Safety means for traffic, e.g. lights, reflectors, mirror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아이나 어린이가 앉거나 누운 자세로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시트와; 상기 프레임의 상방으로 뻗어 상기 시트를 밀거나 당기는 것을 보조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의 이동을 보조하는 바퀴와; 거울면이 상기 손잡이를 잡고 있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설치된 후방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유모자를 운전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아이가 앉거나 누워있는 자리를 전방 시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차량이나 사물을 후방 사이드 미러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모차를 타고있는 아이를 항상 살펴볼 수 있으면서 유모차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손쉽게 발견하여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BABY STROLLER CAPABLE OF OBTAINING REAR VISION THEREOF}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아이를 전방에 위치시킨 상태로 후방의 사물이나 차량을 확인하면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아기나 어린이를 안전하게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유모차를 이용하여 아기나 어린이를 이동시키는 데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편안함과 안전성이 요구된다.
최근에는 골목에도 차량의 통행이 많아짐에 따라, 유모차에 아기를 태우고 이동시키는 부모 등이 차량을 손쉽게 보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이를 전방에 위치시킨 상태로 후방의 사물이나 차량을 확인하면서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유모자를 운전하는 사람은 아이가 앉거나 누워있는 자리를 전방에 두고 확인하면서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모차를 타고있는 아이에게는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운전하는 사람에게는 안전한 유모차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아이나 어린이가 앉거나 누운 자세로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시트와; 상기 프레임의 상방으로 뻗어 상기 시트를 밀거나 당기는 것을 보조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의 이동을 보조하는 바퀴와; 거울면이 상기 손잡이를 잡고 있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설치된 후방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모차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유모자를 운전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아이가 앉거나 누워있는 자리를 전방 시야로 확인하면서, 동시에 차량이나 사물을 후방 사이드 미러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유모차를 타고있는 아이를 항상 살펴볼 수 있으면서 유모차의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손쉽게 발견하여 안전한 유모차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를 상술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아이나 어린이가 앉거나 누운 자세로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시트(미도시)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시트의 상방으로 뻗은 손잡이(2)가 유모차를 밀거나 당기는 사용자를 향하여 후방 상측으로 뻗어 형성됨에 따라, 보호자 등의 사용자가 시트를 자신의 전방에 위치시킨 상태로 유모차를 밀거나 끌면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보호자는 시트에 위치한 아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전방을 바라보면서 유모차를 운전할 수 있으므로, 시트에 위치한 아이가 갑자기 손을 내민다든지 하는 돌출 행동을 하더라도, 시각적으로 주시하고 있는 보호자는 이 돌출행동을 즉각적으로 알아채고 이를 곧바로 저지할 수 있으므로, 아이의 안전에 보다 만전을 기울이면서 유모차의 운전을 할 수 있다.
이 때, 시트에 위치한 아이는 전방을 향하는 자세로 앉거나 눕혀질 수도 있고, 유모차를 운전하는 보호자를 바라보는 후방을 향하는 자세로 앉거나 눕혀질 수도 있다. 아이가 후방을 향하는 자세로 앉거나 눕혀지는 경우에는, 특히 아이가 18개월 미만의 아이인 경우에는, 시트에 위치한 아이가 지속적으로 보호자를 바라보는 상태로 유모차의 운전이 가능해지므로, 아이의 정서적인 안정감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도 얻어진다.
여기서, 시트는 다수의 프레임(1)에 의해 그 하중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프레임(1)의 하단부에는 3개 또는 4개의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보호자 등의 사용자가 유모차를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밀거나 당겨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손잡이(2)의 하측부 양측에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된 후방 사이드 미러(3)가 설치된다. 이를 통해, 유모차를 운전하는 보호자는 전방을 향하여 운전하는 도중에 후방 사이드 미러(3)를 통해 후방을 살펴볼 수 있으므로, 후방에서 갑자기 접근하는 자전거나 자동차 또는 다른 아이들로부터 유모차를 대피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유모차의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 때, 유모차의 시트에 앉혀지거나 눕혀진 아이가 보호자를 향하는 후방 시야를 갖는 경우에는, 보호자는 유모차의 손잡이(2)를 잡고 밀어 유모차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운전을 하면서 아이와 간헐적으로 눈맞춤 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에 타고 있는 아이의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후방 사이드 미러(3)를 통해 후방에서 갑자가 다가오는 사물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으므로, 한강변 자전거 도로와 같은 산책로를 따라 유모차를 운전하면서 산책하거나, 좁은 골목길에서 유모차를 운전하면서 이동하는 경우에, 유모차를 특히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프레임
2: 손잡이
3: 사이드 미러

Claims (3)

  1. 아이나 어린이가 앉거나 누운 자세로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상방으로 뻗어 상기 시트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의 이동을 보조하는 바퀴와;
    거울면이 상기 손잡이를 잡고 있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설치된 후방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미러는 상기 손잡이의 하측부 양측의 상기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앉혀지거나 눕혀지는 아이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운전하는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100053295A 2010-06-07 2010-06-07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 KR20110133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295A KR20110133734A (ko) 2010-06-07 2010-06-07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295A KR20110133734A (ko) 2010-06-07 2010-06-07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734A true KR20110133734A (ko) 2011-12-14

Family

ID=4550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295A KR20110133734A (ko) 2010-06-07 2010-06-07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37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0796A (zh) * 2014-09-15 2015-01-21 天津阳光彩印股份有限公司 一种婴儿画面信息反馈装置
KR20220009222A (ko) 2020-07-15 2022-01-24 방청우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0796A (zh) * 2014-09-15 2015-01-21 天津阳光彩印股份有限公司 一种婴儿画面信息反馈装置
KR20220009222A (ko) 2020-07-15 2022-01-24 방청우 스마트폰 및 거울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2572B2 (ja) 複数乗員用三輪車
KR101268358B1 (ko) 뒤보기가 가능한 자전거
KR200474422Y1 (ko) 손을 사용하지 않고 속도제어 가능한 전동 구동장치 장착 유모차
EP3494943A1 (en) Manual wheel-attached movable body
KR20070115191A (ko) 전동휠체어
KR20110133734A (ko) 후방 시야의 확보가 가능한 유모차
KR20080085560A (ko) 복합적 유모차 자전거
CN108715183B (zh) 一种婴儿推车
JP5580926B1 (ja) 車椅子
KR200484628Y1 (ko) 수동 이동수단을 자전거로 운행하기 위한 결합구조
CN210653488U (zh) 多功能三轮电动车
CN204750247U (zh) 一种双胞胎婴儿推车
KR20140118089A (ko) 보호자 탑승이 가능한 전동 유모차
JP2017140205A (ja) 複輪車両
EP1674384A2 (en) Seat for carrying children on bicycles or the like
JP3142736U (ja) 電動3人乗り3輪自転車
JP2016010558A (ja) 手動推進車両
JP5153579B2 (ja) シート収納型シルバーカーのフレーム構造
KR101876922B1 (ko)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KR20170100765A (ko) 방향성 캐스터를 이용한 자전거
KR101007823B1 (ko)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102159666B1 (ko) 보조 탑승석이 구비된 전동 휠체어
KR200480448Y1 (ko) 자전거용 라이더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JP3201654U (ja) 前2輪自転車の構造及び操向装置
JP2009279120A (ja) 車いすおよびブレーキ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