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823B1 - 자전거 겸용 유모차 - Google Patents

자전거 겸용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823B1
KR101007823B1 KR1020080099893A KR20080099893A KR101007823B1 KR 101007823 B1 KR101007823 B1 KR 101007823B1 KR 1020080099893 A KR1020080099893 A KR 1020080099893A KR 20080099893 A KR20080099893 A KR 20080099893A KR 101007823 B1 KR101007823 B1 KR 101007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main body
seat
coupled
stee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781A (ko
Inventor
강수빈
Original Assignee
강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빈 filed Critical 강수빈
Priority to KR102008009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8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0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2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nvertible, e.g. into children's furniture or t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for two or more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2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length or width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겸용 유모차는 전방부의 상부에는 상단에 핸들이 구비된 조향축이 결합되고 전방부의 하부에는 상기 조향축과 연결되고 페달이 좌우 양쪽에 달려있는 앞바퀴가 결합되며 후방부의 하부 양쪽에는 한 쌍의 뒷바퀴가 결합되는 본체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유아를 착석시키기 위한 착좌부와 난간, 등받이 및 차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는 그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호 연결되고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시트부와 상기 조향축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시트부의 착좌부에는 앞쪽으로 당겨서 뺄 수 있는 서랍식 보조시트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전거, 유모차, 핸들, 그물망, 시트부

Description

자전거 겸용 유모차{omitted}
본 발명은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인승 유모차 또는 2인승 유모차 겸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모차는 유아를 태운 상태에서 보호자가 밀고 가게 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유모차는 유아를 비교적 가까운 점포의 쇼핑에 데려가는 경우나 가까운 주변을 산책할 때 데려가는 경우 등에 있어서 적합하다.
한편, 자전거는 바퀴가 두 개이고 사람의 힘을 원동력으로 하여 빨리 달릴 수 있는 간단한 교통수단으로 어린이용 세발 자전거는 유아기의 걸음마 단계를 막 지난 어린이가 놀이와 승용을 겸한 기구로서 안정성이 있게 하나의 앞바퀴와 두 개의 뒷바퀴로 구성하여 흥미를 느끼면서 신체발달이나 지능향상에 기여하는 승용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집에 아이가 둘 있는 경우 아이들간에 2∼3살 터울이 지는 경우가 흔히 있는데, 이 경우 한 아이는 자전거를 탈 필요성이 있고 다른 한 아이는 유모차를 탈 필요성이 있어서 유모차와 자전거를 따로따로 구입해야 하는 부담 이 있고, 두 아이가 한꺼번에 탈만한 이동수단이 없어서 부모는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아이를 관찰해야 할 뿐 아니라 이와 동시에 유모차도 밀어야 함에 따른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자전거를 탈만한 또래의 아이는 자전거 뿐 아니라 스티어링 휠이 붙어있는 유아용 자동차를 타고 어른처럼 운전대를 잡고 빙글빙글 돌리면서 다니고 싶어하는데, 자전거의 핸들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과는 상이한 형태와 구조로 되어 있어서 자전거만으로는 이러한 아이의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1인승 유모차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인승 유모차 겸 자전거를 사용하는 있는 유아용 이동수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겸용 유모차는 전방부의 상부에는 상단에 핸들이 구비된 조향축이 결합되고 전방부의 하부에는 상기 조향축과 연결되고 페달이 좌우 양쪽에 달려있는 앞바퀴가 결합되며 후방부의 하부 양쪽에는 한 쌍의 뒷바퀴가 결합되는 본체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유아를 착석시키기 위한 착좌부와 난간, 등받이, 손잡이 및 차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 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는 그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호 연결되고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시트부와 상기 조향축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시트부의 착좌부에는 앞쪽으로 당겨서 뺄 수 있는 서랍식 보조시트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체결공 및 고정공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가 서로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구는 일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고 상기 고정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공과 상기 체결공이 서로 통하게 되면 상기 체결구가 상기 고정공 및 상기 체결공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가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체결공에서 빠지도록 상기 체결구를 누르면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은 한 쌍의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반고리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반고리 형태의 부재 각각의 한쪽 말단이 상기 조향축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핸들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는 원형의 고 리 형태를 이루며 최대로 펼치면 두 개의 봉우리가 연속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향축의 도중에는 상부가 상기 시트부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관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사용 시에는 상기 시트부의 난간의 횡단부에 말려 있고 사용 시에는 상기 난간에서 풀려 한쪽 끝이 상기 핸들에 걸려서 상기 난간과 상기 핸들 사이에서 펴진 상태로 있게 되는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겸용 유모차에 의하면 통상적인 유모차 또는 통상적인 자전거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아이가 둘 있는데 한 아이의 나이는 유모차를 탈 나이고 다른 한 아이의 나이는 세발 자전거를 탈 나이인 경우에 있어서 한 아이는 자전거를 운전하고 다른 한 아이는 자전거를 운전하는 곳의 뒤쪽에 구비된 유모차 시트에 앉아서 두 아이가 함께 다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 아이가 함께 탈 경우에는 부모가 따로 유모차를 밀어주지 않아도 되어 힘을 절약할 수 있으며 두 아이를 함께 다니게 되어 아이들을 돌보는 데 있어서 주의력이 분산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모차에 탄 아이가 앞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물침대를 설치할 수 있어서 아이를 누일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전거 핸들을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과 같은 모양으로 변형시킬 수 있어서 아이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과 같은 즐거움을 맛보게 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겸용 유모차는 본체프레임(100), 핸들(300), 조향축(200), 뒷바퀴(20), 앞바퀴(10), 페달(30), 시트부(400) 및 그물망(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프레임(100)에는 일반적인 세발 자전거와 같이 후방부(120)의 아래쪽에는 두 개의 뒷바퀴(20)가 축결합되고 전방부(110)의 아래쪽에는 한 개의 앞바퀴(10)가 축결합된다. 앞바퀴(10)의 축의 양쪽 각각에는 발로 저을 수 있도록 페달(30)이 결합된다.
본체프레임의 후방부(120)의 위쪽에는 시트부(400)가 고정 결합된다. 시트부(400)는 통상적인 유모차의 시트부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시트부(400)는 유아를 앉히는 착좌부(410)와 등받이(420) 및 아이가 밖으로 낙하하는 것을 막기 위한 난간(440)과 햇빛을 가리기 위한 차양(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프레임의 전방부(110)에는 상방으로 길게 뻗는 조향축(200)이 구비된다. 조향축(200)은 앞바퀴(10)와 연결되어 앞바퀴(10)의 방향을 트는 기능을 한다. 조향축(200)의 도중에는 관절(210)이 있고 조향축(200)의 일부 둘레에는 원형 관(220)이 관절(210) 주위의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 어서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 관(220)이 밑으로 내려진 상태에서는 원형 관(220)이 관절(210) 부위를 둘러싸서 조향축(200)이 접히지 않고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 관(220)이 위로 올려진 상태에서는 관절(210)이 원형 관의 바깥에 노출되어 조향축(200) 중 관절(210)의 윗부분이 뒤쪽으로 접힐 수 있다. 조향축(200)을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어놓는 이유는 시트부(400)를 타는 아이가 많이 자라게 되면 유모차를 급제동하거나 하는 특별한 상황에서 아이가 난간(440)을 넘어서 앞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조향축(200)을 앞으로 꺾어놓은 상태에서는 아이가 앞으로 쏠리면 핸들(300)이 아이의 상체를 지지해줘서 아이가 앞으로 넘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핸들(30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고리 형태의 부재 두 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반고리 형태의 부재는 조향축(200)의 상단에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핸들(300)이 접거나 펼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4a는 핸들(300)을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핸들(300)을 접으면 반고리 형태의 부재 두 개의 양 말단이 서로 정확히 맞붙어서 전체적으로 원형의 링 형태를 이룬다. 한편, 도 4b는 핸들(300)을 펼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핸들(300)을 펼치면 반고리 형태의 부재가 동일한 형태로 반복되면서 전체적으로 두 개의 연속된 봉우리 또는 낙타등 형태를 이룬다.
핸들(300)이 원형 링과 같이 된 상태에서는 반고리 형태의 부재가 서로 맞붙는 부분들 중 회전축과 연결되지 않은 쪽이 링 바인더에서의 링의 구조와 같이 말단부에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 말단부가 걸리게 되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원형 의 링 상태를 해제시키려면 서로에 대해 걸려있는 양 말단부를 하나씩 잡고 하나는 위로 밀고 하나는 당기면서 양쪽으로 벌리면 된다.
핸들(30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반고리 형태의 부재가 스토퍼(310)에 걸려서 다시 오므라들지 않게 고정된다. 조향축(200)의 상단부에 스프링 수납홈이 형성되고 스프링 수납홈에 코일스프링이 수납되며 스토퍼는 스프링의 상단에 의해 탄발 지지되어 손으로 누르면 스프링 수납홈 안으로 들어가고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반고리 형태의 부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평소 시트부(400)의 난간(440) 중 횡단부의 둘레에는 그물망(600)이 말려 있는데, 이 그물망(600)을 풀어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트부(400)와 핸들(300) 사이에 그물망(600)을 칠 수가 있다. 그물망(600)을 펴는 방법은 그물망(600)을 폈을 때의 전단부의 양쪽 끝에 걸고리(610)가 있어서 이 걸고리(610)를 핸들(300) 양쪽에 하나씩 거는 것이다.
본체 프레임(100)은 전방부(110)와 후방부(120)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전방부(110)와 후방부(120)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 프레임의 전방부(110)의 후단부는 본체 프레임의 후방부(120)의 전단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있으며 그 삽입 정도는 조절이 가능하다. 본체프레임의 후방부(120)의 전단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체결공(121)이 형성되고 본체프레임의 전방부(110)의 후단부에는 고정공(111)이 형성되며 체결구(130)가 체결공(121) 및 고정공(111)을 관통함으로써 본체프레임의 전방부(110)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120)의 전단부가 서로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체결구(130)는 일부가 본체 프레임의 전방부(110)에 내장되고 이 체결구(130)는 본체 프레임의 전방부(110)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140)에 의해 탄지되어 고정공(111)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며, 고정공(111)과 체결공(121)이 서로 통하게 되면 체결구(130)가 고정공(111) 및 체결공(121)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본체 프레임의 전방부(110)의 후단부와 본체 프레임의 후방부(120)의 전단부가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체결공(121)에서 빠지도록 상기 체결구(130)를 누르면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110)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후방부(120)의 전단부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된다. 체결구(130) 중 외부로 노출되는 끝부분은 둥글게 라운딩 처리되어서 체결구(130)를 어느 정도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부(110) 또는 후방부(120)를 밀거나 당기면 체결구(130)가 체결공(121)에서 빠지면서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부(110) 또는 후방부(120)가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체결구(13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체결구(130)가 바깥으로 나오면서 체결공(121)과 고정공(111)이 서로 통하게 될 때 체결구(130)가 체결공(121)과 고정공(111) 모두에 삽입됨으로써 본체 프레임(100)의 전방부(110)와 후방부(120)가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트부(400)의 착좌부(410) 내부에는 앞쪽에 구멍이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구멍을 통해 서랍식으로 빼거나 넣을 수 있는 보조시트(500)가 시트부(400)의 착좌부(410) 내부에 구비된다. 보조시트(500)의 전단부 밑에는 바퀴(510)가 달려있어서 보조시트(500)가 앞쪽 부분을 지탱해준 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유모차로만 사용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 프레임의 전방부(110)의 후단부를 본체 프레임의 후방부(120)의 전단부 내에 최대한 삽입하여 시트부(400)와 조향축(200)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좁힌 상태로 만든다.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조향축(200)의 상부를 뒤로 꺾어놓으면 시트부(400)에 있는 아이가 앞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물망(600)의 앞쪽을 핸들(300)에 걸어놓아서 그물망(600)을 펼쳐놓으면 그물침대와 같이 되어서 아기를 눕혀놓고 햇빛을 받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자전거 및 유모차로 사용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 프레임의 전방부(110)의 후단부를 본체 프레임의 후방부(120)의 전단부 내에 최대한 빼서 시트부(400)와 조향축(200)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넓힌 상태로 만들고, 보조시트(500)를 앞쪽으로 뺀다. 이와 같이 만들면 보조시트(500)에는 큰 아이가 앉아서 자전거 페달(100)을 저으면서 자전거 운전을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시트부(400)에는 작은 아이가 앉아있을 수 있어서 2인 유아가 한꺼번에 탑승할 수 있다.
핸들(300)을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만든 경우에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을 잡고 돌리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운전할 수 있고, 핸들(300)을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만든 경우에는 통상적인 자전거의 핸들을 잡고 돌리는 것과 같은 방식으 로 운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유모차로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자전거 및 유모차로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겸용 유모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핸들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일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겸용 유모차의 조향축이 펴진 상태 및 접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프레임의 전방부 111: 고정공
120: 본체프레임의 후방부 121: 체결공
130: 체결구 140: 스프링
200: 조향축 210: 관절
300: 핸들 310: 스토퍼
400: 시트부 410: 착좌부
440: 난간 500: 보조시트
600: 그물망 610: 걸고리

Claims (6)

  1. 삭제
  2. 전방부의 상부에는 상단에 핸들이 구비된 조향축이 결합되고 전방부의 하부에는 상기 조향축과 연결되고 페달이 좌우 양쪽에 달려있는 앞바퀴가 결합되며, 후방부의 하부 양쪽에는 한 쌍의 뒷바퀴가 결합되는 본체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유아를 착석시키기 위한 착좌부와 난간, 등받이 및 차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는 그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호 연결되고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시트부와 상기 조향축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시트부의 착좌부에는 앞쪽으로 당겨서 뺄 수 있는 서랍식 보조시트가 내장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체결공 및 고정공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가 서로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겸용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일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고 상기 고정공을 통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고정공과 상기 체결공이 서로 통하게 되면 상기 체결구가 상기 고정공 및 상기 체결공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가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체결공에서 빠지도록 상기 체결구를 누르면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겸용 유모차.
  4. 전방부의 상부에는 상단에 핸들이 구비된 조향축이 결합되고 전방부의 하부에는 상기 조향축과 연결되고 페달이 좌우 양쪽에 달려있는 앞바퀴가 결합되며, 후방부의 하부 양쪽에는 한 쌍의 뒷바퀴가 결합되는 본체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유아를 착석시키기 위한 착좌부와 난간, 등받이 및 차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는 그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호 연결되고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시트부와 상기 조향축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시트부의 착좌부에는 앞쪽으로 당겨서 뺄 수 있는 서랍식 보조시트가 내장되며,
    상기 핸들은 한 쌍의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반고리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반고리 형태의 부재 각각의 한쪽 말단이 상기 조향축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핸들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는 원형의 고리 형태를 이루며 최대로 펼치면 두 개의 봉우리가 연속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겸용 유모차.
  5. 전방부의 상부에는 상단에 핸들이 구비된 조향축이 결합되고 전방부의 하부에는 상기 조향축과 연결되고 페달이 좌우 양쪽에 달려있는 앞바퀴가 결합되며, 후방부의 하부 양쪽에는 한 쌍의 뒷바퀴가 결합되는 본체프레임;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유아를 착석시키기 위한 착좌부와 난간, 등받이 및 차양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부의 후단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방부의 전단부는 그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호 연결되고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시트부와 상기 조향축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시트부의 착좌부에는 앞쪽으로 당겨서 뺄 수 있는 서랍식 보조시트가 내장되며,
    상기 조향축의 도중에는 상부가 상기 시트부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관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겸용 유모차.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사용 시에는 상기 시트부의 난간의 횡단부에 말려 있고 사용 시에는 상기 난간에서 풀려 한쪽 끝이 상기 핸들에 걸려서 상기 난간과 상기 핸들 사이에서 펴진 상태로 있게 되는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1020080099893A 2008-10-11 2008-10-11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101007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893A KR101007823B1 (ko) 2008-10-11 2008-10-11 자전거 겸용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893A KR101007823B1 (ko) 2008-10-11 2008-10-11 자전거 겸용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781A KR20100040781A (ko) 2010-04-21
KR101007823B1 true KR101007823B1 (ko) 2011-01-13

Family

ID=4221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893A KR101007823B1 (ko) 2008-10-11 2008-10-11 자전거 겸용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520A (ko) 2014-07-01 2016-01-11 강홍기 안장 각도 및 방향 조절수단이 구비된 유모차 겸용 삼륜자전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3469B1 (en) * 2001-06-01 2002-09-03 Rich Cross Child stroller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3469B1 (en) * 2001-06-01 2002-09-03 Rich Cross Child stroller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520A (ko) 2014-07-01 2016-01-11 강홍기 안장 각도 및 방향 조절수단이 구비된 유모차 겸용 삼륜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781A (ko)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2323B (zh) 多人騎乘三輪車
TWI551502B (zh) Multi-function scooter
US11161539B2 (en) Transportation apparatus
US20080100014A1 (en) Combination jogging apparatus and stroller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101007823B1 (ko) 자전거 겸용 유모차
KR20170049182A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20230211820A1 (en) Motorized Riding Stroller
JP3018290B1 (ja) 三輪車
CN2935994Y (zh) 一种多功能折叠旅行椅
WO2012043435A1 (ja) 育児器具
KR200474783Y1 (ko) 아동용 세발자전거
CN208149419U (zh) 多功能儿童推车
CN216140047U (zh) 一种代步婴儿车
KR101859530B1 (ko) 유모차 장착형 2인용 보조시트
CN202879561U (zh) 伞式幼童背对背购物篮婴儿车
KR200308768Y1 (ko) 어린이용 승용완구
CN206012677U (zh) 婴儿摇摆睡眠车
CN209757230U (zh) 一种带有靠背和脚踏板的儿童推车
GB2535428A (en) Child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JP3219234U (ja) ベビーカー
CN210882278U (zh) 一种新型的双人婴儿推车
CN215944673U (zh) 一种折叠式儿童手推车
CN201566773U (zh) 多功能母婴休闲摇摆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