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806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806A
KR20110129806A KR1020110003953A KR20110003953A KR20110129806A KR 20110129806 A KR20110129806 A KR 20110129806A KR 1020110003953 A KR1020110003953 A KR 1020110003953A KR 20110003953 A KR20110003953 A KR 20110003953A KR 20110129806 A KR20110129806 A KR 2011012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sture
upward
combine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9535B1 (ko
Inventor
히사유키 사토지
준지 도이하라
마나부 사이토
코지 쿠스메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61Access devices for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일으킴 장치에 의한 곡립 등의 운전석으로의 비산을 방지한다.
[해결수단] 주행 장치(2)를 구비한 주행차체(1)의 상측에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장치(G)를 좌우로 나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G)의 전방측에는 운전석(5)을 구비한 조종부(T)를 설치하고, 상기 조종부(T)의 전방에 승강 가능한 예취 장치(4)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예취 장치(4)의 전방부에 다수의 일으킴 러그(14)를 구비한 후방 상향 경사 자세의 일으킴 장치(8)를 설치하고,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이동 궤적의 상방 연장선 상에 전후 방향의 경사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커버(15)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어진 종래기술은 운전석의 전방측에 곡간을 일으키는 일으킴 장치가 배치되는 콤바인에 있어서 각 일으킴 장치의 상부를 좌우 방향으로 긴 커버에 의해 피복한 것이다. 이러한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곡간(특히 긴 줄기)의 일으킴시에 일으킴 러그(lug)에 의해 탈립된 곡립이나 곡간에 부착되어 있었던 물방울이나 진흙, 또는 일으킴 러그에 부착된 진흙 등이 운전석측으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결과, 운전석의 작업자에게 곡립이나 물방울, 진흙(이하, 곡립 등이라고도 함)이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윈도우로 둘러싸여진 운전실을 갖는 캐빈 사양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윈도우가 물방울이나 진흙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76825 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커버는 일으킴 장치에 대한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포장 상태나 곡간의 길이 등에 의해 변화되는 곡립 등의 비산 상황에 따라서는 또는 작업자의 자세, 체형 등에 따라서는 곡립 등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거나 전방 시계(특히 분초 위치의 시계)가 불필요하게 차단되어 버리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주행 장치(2)를 구비한 주행차체(1)의 상측에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장치(G)를 좌우로 나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G)의 전방측에는 운전석(5)을 구비한 조종부(T)를 설치하고, 상기 조종부(T)의 전방에 승강 가능한 예취 장치(4)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장치(4)의 전방부에 다수의 일으킴 러그(14)를 구비한 후방 상향 경사 자세의 일으킴 장치(8)를 설치하고, 상기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이동 궤적의 상방 연장선 상에 전후 방향의 경사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커버(1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이다.
청구항2의 발명은 상기 커버(15)의 후단부를 좌우 방향의 지지축(16)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커버(15)를 상승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15)가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이동 궤적의 상방 연장선과 측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직교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청구항3의 발명은 상기 커버(15)를 하강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15)의 경사 자세가 일으킴 장치(8)의 경사 자세보다 완만한 후방 상향 경사 자세가 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커버(15)를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이동 궤적의 상방 연장선과 측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직교하는 자세와 일으킴 장치(8)의 경사 자세보다 완만한 후방 상향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자세 유지 기구(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예취 장치(4)의 좌우 양측부를 덮는 예취 사이드 커버(18)를 상부 사이드 커버(18a)와 하부 사이드 커버(18b)로 상하로 분할하고, 상부 사이드 커버(18a)를 상기 커버(15)와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커버(15)의 전후 방향의 경사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커버(15)에 의한 전후 방향의 커버 범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석(5)에 착석한 작업자는 포장 상태나 곡간의 길이 등에 의한 곡립 등의 비산 상황에 따라서 또는 작업자의 자세, 체형 등에 따라서 커버(15)를 적절한 경사 자세로 조절할 수 있고, 운전석(5)으로부터의 전방 시계의 확보, 및 운전석(5)측으로의 곡립 등의 비산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데다가, 커버(15)를 지지축(16) 둘레로 상승 회동시킨 상태에서 이 커버(15)가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이동 궤적의 상방 연장선과 측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직교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작업자측으로의 곡립이나 진흙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일으킴 장치(8)의 전방측 커버의 착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등, 일으킴 장치(8)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데다가, 운전석(5)으로의 곡립 등의 비산이 적을 때에 커버(15)를 하강 회동시키면 이 커버(15)의 경사 자세가 일으킴 장치(8)의 경사 자세보다 완만한 후방 상향 경사 자세가 되기 때문에 운전석(5)으로부터 예취 장치(4) 전단의 분초 로드 등을 눈으로 확인하기 쉬워져 예취 작업의 능률이 향상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데다가, 자세 유지 기구(20)에 의해 커버(15)를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이동 궤적의 상방 연장선과 측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직교하는 자세와 일으킴 장치(8)의 경사 자세보다 완만한 후방 상향 경사 자세로 유지함으로써 커버(15)의 자세를 안정시켜 예취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데다가, 상부 사이드 커버(18a)를 파지해서 이 상부 사이드 커버(18a)와 함께 커버(15)를 상하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커버(15) 전용의 핸들을 설치하지 않아도 커버(15)의 자세 변경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으킴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콤바인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콤바인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일으킴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콤바인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콤바인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일으킴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콤바인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콤바인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콤바인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콤바인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콤바인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일으킴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콤바인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콤바인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콤바인 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보조 일으킴 장치 및 일으킴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일으킴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일으킴 장치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26은 커버 및 조절체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커버 및 조절체의 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일으킴 장치의 요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커버 및 조절체의 요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4, 도 5~도 8 및 도 9~도 12는 각각 다른 상태의 콤바인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콤바인은 주행차체(1)의 하부에 좌우 1쌍의 주행 크롤러(주행 장치)(2,2)를 구비하고, 주행차체(1)의 상측에는 탈곡 장치(3)와 곡물 탱크(곡립 저류 장치)(G)를 좌우로 나열하여 설치하고, 곡물 탱크(G)의 전방측에는 운전석(5)이나 조작 박스(6) 등을 구비한 운전 조작부(T)를 설치하고, 이 운전 조작부(T) 및 탈곡 장치(3)의 전방에 예취 장치(4)를 설치하고 있다.
예취 장치(4)는 포장에 식립(植立)하는 곡간을 좌우로 분초하는 분초체(7,7…)와, 분초 후의 곡간을 일으킴 경로(K)를 따라 일으키는 4개의 곡간 일으킴 장치(8,8,8,8)와, 일으킴 후의 곡간의 밑동 부근을 절단해서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날 장치(9)와, 분초 후의 곡간의 밑동측을 긁어 모아서 예취날 장치(9)를 거쳐 후방으로 반송하는 긁어 모음 반송 장치(10)와, 긁어 모음 반송 후의 곡간을 이어받아서 끌어올림 반송하면서 자세 변경해서 탈곡 장치(3)에 주고받아 공급하는 끌어올림 반송 공급 장치(11) 등을 갖는 것이다.
예취 장치(4)는 예취 메인 프레임(21)에 의해 주행차체(1)에 대해서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취 메인 프레임(21)은 예취 현가대(22)에 가설된 예취 입력축(23)을 지점으로 해서 상하로 회동하는 구성이며, 예취 승강 실린더(24)의 신축 작동에 의해 예취 장치(4)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일으킴 장치(8)는 전후로 분할 가능한 전후의 일으킴 케이스(12,13)와, 이 일으킴 케이스(12,13)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상부의 구동 스프로킷 및 하부의 종동륜에 권회되어서 구동되는 무단의 일으킴 체인과, 이 일으킴 체인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된 일으킴 러그(14)를 갖고 있다. 일으킴 러그(14)는 일으킴 체인의 구동에 따라 후방 비스듬히 상방으로 상승 이동할 때에 일으킴 케이스(12,13)로부터 일으킴 경로(K)측의 측방으로 돌출해서 곡간을 일으키는 것이다.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는 후방측 일으킴 케이스(13)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전방측으로 분리 가능하다. 각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12,…)의 앞면은 상단부(12u)가 그 하측의 부분보다 경사진 완만한 후방 경사 자세로 굴곡 형성되어 있어서, 도 9에 2점 쇄선으로 작업자의 시선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좌 자세에서의 작업에 있어서의 분초체(7,7…)의 분초 위치 근방의 시계가 양호하게 되고, 기립 자세에서의 작업에 있어서는 분초 위치가 더욱 잘 보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부호 12c는 이 굴곡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예취날 장치(9)는 공지의 바리캉형의 것이고, 예취 장치(4)를 지지하는 예취 메인 프레임(21)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선단부 프레임에 설치되고, 이삭 끝측이 일으킴 장치(8)에 의한 일으킴 작용을 받고, 밑동측이 긁어 모음 반송 장치(10)에 의한 긁어 모음 작용을 받고 있는 상태의 식립 곡간의 밑둥부를 절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예취후의 곡간은 긁어 모음 반송 장치(10)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어 끌어올림 반송 공급 장치(11)에 인도되고, 끌어올림 반송 공급 장치(11)에 의한 끌어올림 반송 과정에서 자세 변경된 후, 피드 체인(3F)에 인도되어 탈곡 장치(3)에 공급된다. 끌어올림 반송 공급 장치(11)로서는 밑동측을 체인과 협지 로드로 협지하고 이삭 끝측을 반송 러그로 긁어 올려서 반송하는 공지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커버)
각 일으킴 장치(8)의 상부는 좌우 가로 방향으로 길게 구성된 커버(15)에 의해 피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커버(15)는 금속판으로 형성하는 것 외에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판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해서 커버(15) 너머로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커버(15)는 일으킴 장치(8)의 일으킴 경로(K)를 따라 상승하는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궤적의 상방 연장선 상에 배치하고,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의 상단측(12u) 앞면을 커버하는 상태와 상승 이행하는 일으킴 러그(14)에 있어서의 일으킴 경로(K)의 상방을 커버하는 상태로 전후 방향의 경사 자세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15)의 자세 변경 수단으로서 전후 상하의 슬라이드 구성으로 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9~도 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좌단 및 우단의 일으킴 장치(8)의 등부 측에 지지 스테이(8s,8s)가 각각 세워 설치됨과 아울러, 이들 지지 스테이(8s,8s) 사이에 좌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축(16)이 가설되고, 커버(15)는 이 지지축(16)을 회동 지점으로 해서 상하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커버(15)가 상방으로 회동한 상태가 일으킴 경로(K)의 상방을 커버하는 자세 변경 상태(개방 자세)이며, 커버(15)가 하방으로 회동한 상태가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의 상단측(12u) 앞면을 커버하는 자세 변경 상태(폐쇄 자세)이다. 또한, 지지축(16) 근방에 인장 스프링(17)을 설치하고, 지지축(16)에 대해서 인장 스프링(17)이 전후로 지점을 넘음으로써 커버(15)를 각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커버(15)를 원터치로 개폐할 수 있다. 즉, 이 지지축(16)과 인장 스프링(17)에 의해 커버(15)의 자세 유지 기구(20)(청구항의 「자세 유지 기구」)가 구성된다.
분초 후의 곡간은,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으킴 장치(8)의 일으킴 케이스(12,13)로부터 일으킴 경로(K) 내로 돌출해서 상승하는 일으킴 러그(14)가 곡간의 밑동측으로부터 이삭 끝측에 걸쳐 작용함으로써 일으켜질 때, 이 일으킴 러그(14)에 훑어진 곡립 등이 운전석(5)의 작업자를 향해서 비산되는 경우가 있지만, 커버(15)를 곡립 등의 비산 방향에 대해서 측면으로 바라봐서 직교하는 개방 자세로 자세 변경함으로써 비산되는 곡립 등을 커버(15)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커버(15)는 평판 형상의 것 등,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면 커버부(15a)와 후면 커버부(15b)로 측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へ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상면 커버부(15a)의 하면부로 곡립 등의 상방으로의 비산을 저지하고, 후면 커버부(15b)의 하면부로 곡립 등의 후방 상방으로의 비산을 저지할 수 있고, 따라서, 운전석(5)으로의 곡립 등의 비산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커버(15)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상면 커버부(15a)가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궤적의 상방 연장선과 측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직교하는 배치가 바람직하지만, 후면 커버부(15b)가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궤적의 상방 연장선과 교차하는 배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버(15)를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궤적의 상방 연장선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어긋나게 해서 후술하는 조절체(50)를 그 커버 범위의 전방 확대에 의해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궤적의 상방 연장선 상에 위치시키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다조(多條) 예취 콤바인과 같이, 좌우 방향 중간의 일으킴 장치(8)의 좌우 양측에 일으킴 경로를 각각 가질 경우, 상기 일으킴 장치(8)의 하부 전방의 분초체에 의해 인접 조의 곡간은 분리되어서 좌우의 각 일으킴 경로에 도입된다. 그러나, 곡간이 긴 줄기인 경우 등에 있어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 조의 곡간의 이삭 끝이 얽혀서 분리되지 않고 상기 일으킴 장치(8)를 넘어 교차된 채 예취날 장치(9)에 의해 예취되어 후방으로 반송되는 일이 있다. 이 때, 상기 일으킴 장치(8)의 상단과 커버(15)가 접촉되어 있으면 상기 일으킴 장치(8)를 넘는 교차 부분이 이 접촉 부분에 걸려 후방으로 통과할 수 없고 막혀 버린다. 또한, 곡간의 반송력에 의해 이삭 끝의 얽힘이 무리하게 풀렸더라도 이삭 끝 상호의 끌어당김 작용 또는 커버(15)와 일으킴 케이스(12,13)의 코너부에 의한 끌어당김 작용에 의해 이삭 끝의 곡립이 탈립되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좌우 방향 중간의 일으킴 장치(8)의 좌우 양측에 일으킴 경로를 각각 가질 경우, 도 21~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일으킴 장치(8)의 상단과 커버(15) 사이에 곡간 통과 공간(15s)이 확보되는 구조로 하고, 이 곡간 통과 공간(15s)에 의해 좌우 양측의 일으킴 경로를 연결함으로써 곡간의 이삭 끝 부분이 교차하고 있어도 그대로 후방으로 통과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곡간 통과 공간(15s)은 커버(15)의 자세 여하에 상관 없이 형성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 커버(15)의 위치가 높아져서 전방 시계의 방해가 되기 때문에 커버(15)를 개방 자세로 했을 때에만 형성되는 구조로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곡간이 도복 상태이며 서로 얽히는 포장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일으킴을 행하기 위해서, 도 21~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으킴 장치(8)의 전방 위치에 보조 일으킴 러그(62)를 전방으로 돌출시키면서 도복 상태로 서로 얽히는 곡간에 대해서 좌우로 분할하면서 일으킴 회동하는 보조 일으킴 장치(60)를 부착하는 일이 있다. 보조 일으킴 장치(60)는 보조 일으킴 케이스(61)와, 이 보조 일으킴 케이스(61)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전동 스프로킷 및 장설된 바퀴에 권회되어 구동되는 무단의 보조 일으킴 체인과, 이 보조 일으킴 체인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된 보조 일으킴 러그(62)를 갖고 있다. 보조 일으킴 러그(62)는 보조 일으킴 체인을 따라 후방 비스듬히 상방으로 상승 이동할 때, 보조 일으킴 케이스(6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해서 곡간을 좌우로 분할하면서 일으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의 작업에서는 곡립이나 진흙이 운전석(5)측으로 튀어오르기 쉬우므로 상술한 커버(1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인접 조의 곡간의 이삭 끝이 얽혀서 분리되지 않고 보조 일으킴 장치(60) 및 일으킴 장치(8)를 넘어 교차한 채 반송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특히 이러한 보조 일으킴 장치(60)를 설치할 경우에는,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술한 곡간 통과 공간(15s)을 보조 일으킴 장치(60)의 보조 일으킴 러그(62)의 작용 역역보다 상방에 형성하고, 보조 일으킴 장치(60) 및 일으킴 장치(8)로 일으킨 곡간을 이삭 끝 부분이 교차하고 있어도 그대로 후방으로 통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일으킴 장치(8)의 좌우 양 사이드에 배치된 예취 사이드 커버(18,18)는 상부 사이드 커버(18a)와 하부 사이드 커버(18b)로 분할되고, 상부 사이드 커버(18a)는 하부 사이드 커버(18b)에 대해서 상측면 및 외측면 상에 서로 겹쳐지고, 상기 커버(15)와 연결에 의해 일체화되며, 상기 커버(15)와 함께 상하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부 사이드 커버(18b)와 상부 사이드 커버(18a)는 단일의 커버 부재로서 형성해도 좋다. 이에 따라, 상부 사이드 커버(18a)를 핸들 대신으로 해서 상부 사이드 커버(18a)와 함께 커버(15)를 요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용 핸들을 설치하지 않아도 커버(15)의 자세 변경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5) 및 상부 사이드 커버(18a)를 상방으로 회동시키지 않으면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 및 하부 사이드 커버(18b)의 분리를 할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커버(15) 및 상부 사이드 커버(18a)는 그 하방으로의 폐쇄 이동에 의해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 및 하부 사이드 커버(18b)를 록킹하는 록킹 기구의 역할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사이드 커버(18a)의 하부에 서로 겹쳐진 하부 사이드 커버(18b)의 착탈이 간단하게 행해지며, 예취 장치의 유지 보수도 용이하다.
도 16~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5)를 요동 개폐하기 위한 핸들(15H)을 커버(15)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핸들(15H)은 운전석(5)으로부터 커버(15)를 요동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 커버(15)의 운전석(5)에 가까운 부위, 예컨대 운전석(5) 전방의 부위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버(15)에는 그 전후 방향 커버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조절체(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절체(50)에 의해 커버(15)의 전후 방향의 경사 자세뿐만 아니라 커버(15)의 전후 방향 커버 범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포장 상태나 곡간의 길이 등에 의한 곡립 등의 비산 상황에 따라 또는 작업자의 자세, 체형 등에 따라 전방 시계 및 곡립 등의 비산 방지를 비교 고려하면서 커버(15)를 적절한 위치 및 자세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곡립 등이 운전석(5)측으로 비산될 때에는, 도 29(b)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5)의 자세를 곡립 등의 비산 방향에 대한 교차각이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개방 자세로 변경하고, 더욱 비산 범위가 넓을 때 등 필요에 따라서 도 29(c)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절체(50)에 의해 커버 범위를 전방으로 확대함으로써 곡립 등의 비산을 커버(15)로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전방 시계를 가능한 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곡립 등의 비산이 없거나 또는 운전석(5)측으로의 비산이 적을 때에는 도 29(a)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5)의 자세를 곡립 등의 비산 방향에 대해서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까운 폐쇄 자세로 변경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조절체(50)를 비확대 상태로 조절함으로써 전방 시계를 중시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중간 정도의 커버 범위로 하기 위해서, 도 29(d)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5)의 자세를 곡립 등의 비산 방향에 대해서 평행 또는 평행에 가까운 자세로 변경함과 아울러 조절체(50)를 전방으로 확대한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커버(15)의 자세 및 커버 범위의 조절은 작업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조절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절체(5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판으로 형성해서 조절체(50) 너머로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금속판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절체(50)의 형상은 적절하게 정할 수 있고, 도시예와 같은 직사각 형상 외에 전단 가장자리가 호형상으로 돌출된 형상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조절체(50)는 커버(15)의 전방측 커버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지만 후방측 또는 전후 양측의 커버 범위를 확대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조절체(50)에 있어서의 커버 범위의 확대량은 적절하게 정할 수 있지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5)의 전단이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자세 변경 상태에서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의 굴곡 위치(12c)보다 후방에 위치함과 아울러, 조절체(50)의 커버 범위를 전방으로 확대함으로써 조절체(50)의 전단이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의 굴곡 위치(12c)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절체(50)의 전단을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의 굴곡 위치(12c)보다 후방에 위치시키면 작업자는 운전석(5)에 착석한 채로 분초 위치를 직시할 수 있어 분초 일으킴 상황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예취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조절체(50)의 전단을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의 앞면의 굴곡 위치(12c)보다 전방에 위치시켜서 효과적으로 곡립 등의 비산 방지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다조 예취 콤바인에서는 주행차체(1)의 우측 부분(또는 좌측 부분)에 운전석(5)을 갖고, 운전석(5)의 전방에도 일으킴 장치(8)를 갖고 있다. 이러한 다조 예취 콤바인에서는, 커버(15)는 양단의 일으킴 장치(8)에 걸쳐 연장시킴과 아울러, 조절체(50)는 적어도 운전석(5)과 대응하는 좌우 방향 범위를 피복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도 12에 나타내어지는 예와 같이, 커버(15)의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 조절체(50)를 설치하면 왕겨 등의 비산 방지 효과가 우수하지만,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5)의 전방 위치에만 조절체(50)를 설치해서 저렴하고 전방 시계가 우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떻든, 작업자는 운전석(5)으로부터 조절체(50)에 손을 대서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조절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곡간의 일으킴에 의해 후상방으로 비산되는 곡립 등 중 적어도 운전석(5)을 향하는 것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조절체(50)를 직접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커버(15) 및 조절체(50)는 좌단의 일으킴 장치(8)의 좌단부 또는 우단의 일으킴 장치(8)의 우단부[특히 운전석(5)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5)이 주행차체의 우측 부분에 위치하여 일으킴 장치(8)가 운전석(5)보다 우측까지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돌출 부분으로부터의 왕겨 등의 비산도 방지하기 때문에 커버(15) 및 조절체(50)를 운전석(5)의 우측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석(5)이 좌측이고 일으킴 장치(8)의 돌출이 좌측인 경우도 마찬가지로 커버(15) 및 조절체(50)를 운전석(5)의 좌측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체(50)의 확대 조절 기구는 적절하게 정할 수 있고, 확대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기구(도시 생략)를 채용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의 조절체(50)는, 도 24~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부가 커버(15)의 전단부에 설치된 좌우 방향을 따르는 조절체 지지축(51)에 의해 커버(15)에 축지지되고, 선단측의 부분이 이 조절체 지지축(51)을 회동 지점으로 해서 회전함으로써 커버(15)의 전후 방향 커버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다. 이 경우, 조절체(50)에 의한 커버 범위의 조절은 조절체(50)를 커버(15)에 대해서 조절체 지지축(51) 둘레로 회동시킴으로써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변경 조작이 원터치로 간단하게 될 뿐만 아니라 조절체(50)의 각도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전방 시계의 방해가 안되는 범위에서 커버 범위를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버(15)를 상방으로 요동시켰을 경우에는 작업자측으로의 곡립이나 진흙의 비산이 저지되는 것이면서 전방측 일으킴 케이스(12)의 착탈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등 일으킴 장치(8)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이 조절체(50)의 회동 기구도 적절하게 정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체(50)에 조절체 지지축(51)을 탄력적으로 협지하는 1쌍의 협지부(52,53)를 설치하여 한쪽의 협지부(52)를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는 평판 형상체(스프링재)로 구성하고 다른쪽의 협지부(53)를 조절체 지지축(51)이 감합되는 원호 형상의 수용 홈(53d)을 갖는 판 형상체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간소ㆍ저렴한 구성으로 조절체(50)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무단계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절체(50)의 회동시에는 협지부(52,53)와 조절체 지지축(51)의 마찰에 의해 접촉면간의 녹이나 먼지 등을 재빠르게 제거할 수 있어 항상 부드럽게 커버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1쌍의 협지부(52,53)는 협지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삽입 구멍을 갖고, 이들 나사 삽입 구멍에 대해서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조절 볼트(54b)를 삽입 통과시켜 너트체(54n)에 나사 결합시켜 체결함으로써 한쪽의 협지부(52)를 다른쪽의 협지부(53)에 대해서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조절 볼트(54b)의 체결 토크만으로 조절체(50)의 회동 하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동 하중 조정 수단을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조절체 지지축(51)을 커버(15)의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소에 설치하면 커버(15)의 지지가 안정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그 경우에 각 조절체(50)에 상술한 회동 하중 조정 수단을 설치하고, 운전석(5)으로부터 먼 쪽의 조절체 지지축(51)에 있어서의 조절체(50)의 회동 하중을 운전석(5)측의 조절체 지지축(51)에 있어서의 조절체(50)의 회동 하중보다 약하게 하면 운전석(5)측으로부터 조절체(5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체 지지축(51)을 커버(15)에 설치하고 협지부(52,53)를 조절체(50)에 설치하고 있지만, 반대로 협지부(52,53)를 커버(15)에 설치하고 조절체 지지축(51)을 조절체(50)에 형성해도 좋다.
한편, 도시의 실시예는 운전석(5)이 윈도우로 둘러싸여져 있지 않은 비캐빈형에의 적용예이지만, 본 발명은 윈도우로 둘러싸여진 운전실을 갖는 캐빈형에도 적용할 수 있고, 그 경우에도 윈도우의 물방울, 진흙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조종부의 전방측에 예취 장치가 배치되는 콤바인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주행차체 2 : 주행 크롤러(주행 장치)
3 : 탈곡 장치 4 : 예취 장치
5 : 운전석 8 : 일으킴 장치
14 : 일으킴 러그 15 : 커버
16 : 지지축 17 : 인장 스프링
18 : 예취 사이드 커버 18a : 상부 사이드 커버
18b : 하부 사이드 커버 G : 곡물 탱크(곡립 저류 장치)
T : 조종부 20 : 자세 유지 기구

Claims (5)

  1. 주행 장치(2)를 구비한 주행차체(1)의 상측에 탈곡 장치(3)와 곡립 저류 장치(G)를 좌우로 나열하여 설치하고, 상기 곡립 저류 장치(G)의 전방측에는 운전석(5)을 구비한 조종부(T)를 설치하고, 상기 조종부(T)의 전방에 승강 가능한 예취 장치(4)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장치(4)의 전방부에 다수의 일으킴 러그(14)를 구비한 후방 상향 경사 자세의 일으킴 장치(8)를 설치하고, 상기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이동 궤적의 상방 연장선 상에 전후 방향의 경사 자세를 변경할 수 있는 커버(1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의 후단부를 좌우 방향의 지지축(16)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커버(15)를 상승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15)가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이동 궤적의 상방 연장선과 측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직교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를 하강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15)의 경사 자세가 일으킴 장치(8)의 경사 자세보다 완만한 후방 상향 경사 자세가 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를 일으킴 러그(14)의 상승 이동 궤적의 상방 연장선과 측면으로 바라봐서 대략 직교하는 자세와 일으킴 장치(8)의 경사 자세보다 완만한 후방 상향 경사 자세로 유지하는 자세 유지 기구(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장치(4)의 좌우 양측부를 덮는 예취 사이드 커버(18)를 상부 사이드 커버(18a)와 하부 사이드 커버(18b)로 상하로 분할하고, 상부 사이드 커버(18a)를 상기 커버(15)와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10003953A 2010-05-26 2011-01-14 콤바인 KR101269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0309A JP5182654B2 (ja) 2010-05-26 2010-05-26 コンバイン
JPJP-P-2010-120309 2010-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806A true KR20110129806A (ko) 2011-12-02
KR101269535B1 KR101269535B1 (ko) 2013-06-04

Family

ID=4500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953A KR101269535B1 (ko) 2010-05-26 2011-01-14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82654B2 (ko)
KR (1) KR101269535B1 (ko)
CN (1) CN1022579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3826B (zh) * 2018-01-12 2023-05-09 湖南农业大学 联合收割开沟填草覆土多功能作业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2239U (ko) * 1981-01-23 1982-07-29
JPS61131736U (ko) * 1985-02-04 1986-08-18
JPH11113349A (ja) * 1997-10-17 1999-04-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4017233B2 (ja) * 1998-02-24 2007-12-0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前処理部構造
JPH11318173A (ja) * 1998-05-14 1999-11-24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の防塵構成
JP3054134B2 (ja) * 1999-01-07 2000-06-1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4594514B2 (ja) 2000-12-12 2010-12-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005160449A (ja) * 2003-12-05 2005-06-2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穀粒飛散防止装置
JP2006115799A (ja) * 2004-10-25 2006-05-11 Kubota Corp 刈取収穫機
JP2007075007A (ja) * 2005-09-14 2007-03-29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5728825B2 (ja) 2010-04-27 2015-06-03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535B1 (ko) 2013-06-04
JP5182654B2 (ja) 2013-04-17
CN102257908B (zh) 2014-05-07
CN102257908A (zh) 2011-11-30
JP2011244726A (ja)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761B1 (ko) 크롤러 주행 장치
JP2012170426A (ja) 田植機のフロート
JP2007267664A (ja) 水田作業機
KR101269535B1 (ko) 콤바인
JP5726480B2 (ja) 草刈装置
JP2008079514A (ja) 水田作業機
JP6257492B2 (ja) 自脱型コンバイン
JP6261403B2 (ja) 水田作業機
JP5034680B2 (ja) コンバイン
JP2011155847A (ja) コンバイン
JP2011234674A (ja) 水田作業機
JP2008113623A (ja) 田植機の苗のせ台支持構造
JP6295911B2 (ja) 苗移植機
JP5838553B2 (ja) コンバイン
WO2017135109A1 (ja) 苗取出案内部材及びそれを備える苗移植機
JP5768564B2 (ja) 刈取装置
JP2003052224A (ja) コンバイン用アシストバー
KR102420282B1 (ko) 콤바인
JP5330781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2016086697A (ja) 刈取装置
JP2012000010A (ja) コンバイン
JP2010227019A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構造
JP2004254566A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2009148165A (ja) コンバイン
JP6532150B2 (ja) 農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