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413A -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413A
KR20110128413A KR1020100047845A KR20100047845A KR20110128413A KR 20110128413 A KR20110128413 A KR 20110128413A KR 1020100047845 A KR1020100047845 A KR 1020100047845A KR 20100047845 A KR20100047845 A KR 20100047845A KR 20110128413 A KR20110128413 A KR 20110128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hook
slab panel
bar
support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008B1 (ko
Inventor
홍영근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00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2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rooms as a whole by which walls and floors are cast simultaneously, whole storeys, or whole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11/54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of extensible type, with or without adjustable supporting shoes, fish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며,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패널 설치 방법은 벽면거푸집을 다층으로 설치하는 단계, 슬라브코너를 설치하는 단계, 슬라브코너 브라켓을 슬라브코너에 삽입하여 결착하는 단계, 드롭빔을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좌우에 일체화시키는 단계, 드롭빔을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결합하는 단계,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하부에 서포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슬라브패널 지지빔 상부에 슬라브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은, 벽면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 벽면에 고정되면서 상측의 슬라브코너와 결합되는 슬라브코너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서포터를 제거하는 단계, 헤드부와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하중에 의해서 피봇파이프가 하강하면 그에 연동하여 슬라브패널 지지빔과 슬라브패널이 하중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하강하는 단계, 슬라브패널을 해체하는 단계 및 드롭빔과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Method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lab panel}
본 발명은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슬라브패널을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시공된 후 슬라브패널을 해체하는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벽면거푸집을 만들고, 벽면거푸집 상부에 다수의 슬라브패널을 수평하게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고, 이와 같은 시공을 반복하여 다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고 있다.
슬라브패널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견고하여야 하고, 설치가 용이하여야 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해체가 용이하여야 한다. 또한,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 누구나 쉽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제작될 필요성이 있고 설치 및 해체에 시간이 적게 소요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한 슬라브패널에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된 바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291호는 벽체 거푸집과 테크 지지바 연결용 연결구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2049호는 천장판 시스템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2551호는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슬라브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들의 구조가 복잡하고,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한 구조들로 인해 제작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라브패널을 간단하면서도 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또한, 통상 슬라브패널은 높은 위치에 설치되며, 슬라브 패널 구조물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벽면거푸집이 해체되면 그 상부의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부의 슬라브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물이 낙하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벽면거푸집을 해체한 상태에서 그 상부의 구조물을 구조적으로 안정화할 수 있는 보조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브패널을 간단하면서도 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면거푸집을 해체한 상태에서 그 상부의 구조물을 구조적으로 안정화할 수 있는 보조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패널 설치 방법은, 벽체를 형성할 공간을 가로질러 다층으로 배치되는 플랫타이를 이용하여 상기 벽체를 형성할 공간에 대하여 벽면거푸집을 다층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서로 대향되는 상기 벽면거푸집의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슬라브코너가 서로 대면하게 설치되는 단계와, 사선형 가이드채널을 따라 가이드되는 걸림바를 갖는 슬라브코너 브라켓을 상기 슬라브코너의 상기 개구부로 삽입하여 결착하는 단계와, 후크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갖는 드롭빔을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드롭빔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제2 관통공을 고정핀으로 체결하는 방법으로 좌우 한 쌍의 드롭빔을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양단에 일체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드롭빔의 상기 후크를 상기 걸림바에 체결하여 좌우 한쌍의 상기 드롭빔을 서로 대면하는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하부에 서포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 상부에 슬라브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드롭빔이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결합되는 단계는, 상기 후크의 외측부에 의해 상기 걸림바가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밀어 올려지는 단계, 상기 후크의 외측부가 상기 걸림바를 통과하면 상기 걸림바가 하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오는 단계, 및 상기 걸림바가 하부로 내려온 상태에서 상기 후크의 내측부에 상기 걸림바가 걸려서 상기 드롭빔이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롭빔의 헤드부는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를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크로 감싸지 못하는 상기 걸림바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후크에 후크락커를 고정하여 상기 걸림바에서 상기 후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후크락커가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걸림바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감싸게 한 후, U-볼트의 장부와 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된 2개의 제3 및 제4 관통공을 관통하고 후크락커에 구비된 2개의 제5 및 제6 관통공을 관통하게 함으로써 상기 후크락커가 회동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은, 다층으로 조립된 벽면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와, 벽면에 고정되면서 단부가 돌출된 플랫타이에 결합되고 상측의 슬라브코너와 결합되는 슬라브코너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제거하는 단계와, 드롭빔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제2 관통공을 체결하는 고정핀을 해체하여 상기 드롭빔과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체결 상태의 해제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과 그 상부의 슬라브패널이 일정 거리 아래로 내려오는 단계와, 상기 드롭빔의 타이로드에 결합된 스핀들너트를 조절함에 따라 하강위치를 조절하여 순차적으로 목표하는 위치까지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과 그 상부의 슬라브패널을 하강시키는 단계와, 하강된 상기 슬라브패널을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에서 해체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롭빔의 헤드부를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에서 탈착하여 상기 드롭빔과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으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핀을 해체하여 상기 드롭빔과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체결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드롭빔의 피봇파이프는 상기 스핀들너트와 이격된 거리 만큼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스핀들너트가 있는 위치에서 상기 피봇파이프는 상기 스핀들너트에 의해 저지됨에 따라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고 정지하고, 상기 피봇파이프가 하강함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과 그 상부의 슬라브패널이 일정 거리 아래로 내려오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핀을 해체하기 전에 상기 피봇파이프와 상기 스핀들너트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고, 상기 고정핀을 해체하여 상기 피봇파이프에 형성된 연결바를 회전축으로 상기 드롭빔이 회동되게 하여 상기 타이로드가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 사이에서 빠져나옴으로써 상기 피봇파이프의 하강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롭빔의 헤드부를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에서 탈착하여 상기 드롭빔과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으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부의 후크가 상기 걸림바에 걸린 상태를 해체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에 결합된 후크락커에 삽입된 U-볼트의 단부를 빼내어서 후크락커가 U-볼트의 장부를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후크락커가 상기 U-볼트의 장부를 회전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걸림바를 감싸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후크를 들어올려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에서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거푸집이 제거된 슬라브코너의 하부에 상기 슬라브코너 고정장치의 수평플레이트가 상기 슬라브코너의 저면을 지지하게 하고, 벽면거푸집이 제거된 후 노출되는 둘 이상의 플랫타이와 상기 슬라브코너 고정장치의 수직플레이트가 결합되게 하여 상기 슬라브코너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브패널이 간단하면서도 쉽게 설치 및 해체될 수 있으며, 슬라브패널이 구조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에서 해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드롭빔(drop beam)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드롭빔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부분 절단된 슬라브코너에 설치된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드롭빔이 결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슬라브코너에 슬라브코너 브라켓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드롭빔과 슬라브패널 지지빔이 결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에 후크 및 후크락커가 결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이 일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0은 슬라브코너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슬라브코너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슬라브코너 고정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슬라브코너 고정장치를 플랫타이에 고정하여 슬라브코너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26은 슬라브코너 고정장치에 알-핀(AL)이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이용되는 드롭빔(drop beam)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드롭빔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부분 절단된 슬라브코너에 설치된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드롭빔이 결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슬라브코너에 슬라브코너 브라켓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드롭빔과 슬라브패널 지지빔이 결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에 후크 및 후크락커가 결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이 일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은 슬라브패널(slab panel)(SP)을 지지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30)과, 벽면거푸집(wall panel)(WP)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슬라브코너(10)와, 슬라브코너(10)에 삽입 설치되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과,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연결바(144)로 결합되고 연결바(144)를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롭빔(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슬라브패널(SP)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드롭빔(drop beam)(100)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결착되어 슬라브패널(SP)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결착되는 드롭빔(100)은 대향하는 두 벽면거푸집(WP)의 상단부에 위치한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결합된다. 슬라브패널(SP)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상부에 얹혀지고, 슬라브패널(SP) 상부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건축 재료가 타설되고, 콘크리트와 같은 건축 재료가 양생되어 건조되면 슬라브패널(SP)을 해체하기 위하여 드롭빔(100)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이 사용되어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다.
드롭빔(100)은 슬라브코너 브라켓(20)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로서, 드롭빔(100)의 하강에 의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이 연동되어 하강하게 된다. 드롭빔(100)의 하강과 연동되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이 하강되면, 슬라브패널(SP)을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로부터 분리시켜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드롭빔(100)과 이를 이용한 슬라프패널의 설치 및 해체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드롭빔(100)은, 갈고리 모양의 후크(hook)(112)를 구비하는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의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막대 모양의 타이로드(tie rod)(130)와, 관통공에 의해 상기 타이로드(130)의 외면을 감싸게 구비되고 타이로드(13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파이프(pivot pipe)(140)와, 상기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피봇파이프(140)가 타이로드(130)를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스핀들너트(spindle nut)(150)를 포함한다.
헤드부(110)는 일단부에 형성된 갈고리 모양의 후크(112)와, 후크(112)와 타이로드(130)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114)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114)에는 고정핀을 삽입하여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관통공(122)이 구비되어 있다.
슬라브패널(SP)을 설치하는 경우에, 헤드부(110)의 후크(112)는 대향하게 설치되는 두 슬라브코너(slab corner)(10) 내에 각각 삽입되게 설치되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걸쳐질 수 있게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다. 후크(112)는 외측부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사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내측부는 안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결착홈을 갖는 갈고리 모양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후크(112)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구비된 둥근 막대 모양의 걸림바(22)에 걸처지므로, 걸림바(22)를 기준으로 후크(112)의 회전에 따라 드롭빔(100)이 연동되어 회동될 수 있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구비된 걸림바(22)는 후크(112) 내측부의 결착홈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둥근 막대 구조를 갖고, 후크(112) 내측부의 결착홈 곡률반경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진다.
지지플레이트(114)는 제1 플레이트(114a)와 제2 플레이트(114b)가 용접 또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가 절곡되어 제1 플레이트(114a)와 제2 플레이트(114)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4a) 및 제2 플레이트(114b) 사이는 후크락커(116)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후크락커(116)와 제1 플레이트(114a) 또는 후크락커(116)와 제2 플레이트(114b)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스페이서(118)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110)에는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착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락커(hook locker)(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후크락커(116)는 후크(112)가 둥근 막대 모양의 걸림바(22)에 걸쳐져서 결착되는 경우에 후크(112)에 의해 걸림바(22)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감싸게 함으로써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탈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후크락커(116)는 지지플레이트(114)가 이루는 공간에 마련되며, 길이가 긴 장부(118a)와 길이가 짧은 단부(118b)를 갖고 장부(118a)에 스프링(118c)이 달린 비대칭 'U'자형 볼트(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U-볼트라 함)(118)에 의해 고정된다. 후크락커(116)에는 U-볼트(118)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제5 및 제6 관통공(116a, 116b)이 마련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지지플레이트(114)에도 U-볼트(118)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제3 및 제4 관통공(120a, 120b)이 구비되어 있다. U-볼트(118)의 장부(118a)와 단부(118b)가 지지플레이트(114)에 구비된 2개의 제3 및 제4 관통공(120a, 120b)을 관통하고 후크락커(116)에 구비된 2개의 제5 및 제6 관통공(116a, 116b)을 관통하게 되면, 후크락커(116)는 회동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되며, U-볼트(118)의 둥근 부위를 잡아 당기면 U-볼트(118)의 단부(118b)는 후크락커(116)의 제6 관통공(116b)에서 빠져 나오게 되므로 후크락커(116)는 U-볼트(118)의 장부(118a)에 의해서만 고정되어 있으므로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경우에는 후크락커(116)를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동되게 하여 후크(112)에 의해 걸림바(22)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감싸게 한 다음 U-볼트(118)의 단부(118b)가 후크락커(116)의 제6 관통공(116b)에 삽입되게 하여 후크락커(116)를 고정한다. 후크(112)를 걸림바(22)에서 탈착하는 경우에는 U-볼트(118)의 둥근 부위를 잡아 잡아당겨서 U-볼트(118)의 단부(118b)가 후크락커(116)의 제6 관통공(116b)에서 탈착되게 하고, 후크락커(116)를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동되게 한 다음에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탈착되게 한다. 스프링(118c)은 U-볼트(118)가 외력에 의해 당겨질 때 원상회복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한다. 상기 스프링(118c)은 U-볼트(118)가 외력에 의해 잡아당겨지지 않을 때는 탄성력에 의해 후크락커(116)가 고정될 수 있고, U-볼트(118)의 둥근 부위에 외력이 가해져서 잡아당겨지면 U-볼트(118)의 단부(118b)는 후크락커(116)의 제6 관통공(116b)에서 빠져나오고 후크락커(116)는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동될 수 있어,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탈착될 수 있다.
타이로드(130)는 상기 헤드부(110)의 지지플레이트(114)에 연결되고 외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막대 모양의 구조물이다. 지지플레이트(114)와 타이로드(130)는 용접 또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피봇파이프(140)는 내면에 관통공(142)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서 외주면은 사각기둥, 육각기둥, 팔각기둥, 원기둥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어 특별한 형상이 요구되지는 않으나 작업성 등을 고려할 때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봇파이프(140)에 구비된 관통공(142)은 타이로드(130)의 나사선보다 직경이 크게 구비되므로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에 간섭받지 않고 타이로드(130)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스핀들너트(150)는 하강된 피봇파이프(140)가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핀들너트(150)를 회전시켜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수도꼭지와 같은 손잡이(152)가 스핀들너트(15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브코너(10)는 '
Figure pat00001
'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는 두 벽면거푸집(WP)의 상단부에 결합되게 구비되며, 대향하게 설치되는 두 슬라브코너(10)는 각각의 개구부(12)가 서로 대면되게 설치된다. 슬라브코너(slab corner)(10)에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이 삽입되어 결착된다.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일단부는 슬라브코너(2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는 슬라브코너(10)의 개구부로 돌출되어 있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은 슬라브코너(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브라켓 상하 조절용 볼트(26)에 의해 고정된다. 드롭빔(100)의 후크(112)는 슬라브코너(10)의 개구부로 돌출된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둥근 막대 모양의 걸림바(22)에 걸쳐지게 결합되고, 슬라브코너(10)에 각각 삽입된 대응하는 한쌍의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는 걸림바(22)가 구비되고, 걸림바(22)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4)이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채널(24)은 슬라브코너(1)의 개구부로 돌출된 대향하는 두 평판(26)에 사선형으로 관통된 구조를 이루며, 대향하는 두 평판(26)은 용접 또는 결합부재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드롭빔(100)을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결착할 때에는 후크(112)의 사선형의 외측부에 의해 걸림바(22)가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위로 이동될 수 있고, 후크(112)의 외측부가 걸림바(22) 위로 약간 들어올려 지면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4)을 따라 그 무게에 의해 아래로 이동되고 드롭빔(100)을 약간 아래로 이동시키면서 후크(112)의 내측부와 걸림바(22)를 걸림 결합함으로써, 드롭빔(100)이 용이하게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결착될 수 있게 한다. 즉, 후크(112)를 걸림바(22)에 결착하는 경우에는 후크(112)의 외측부(150)에 의해 걸림바(22)는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후크(112)의 외측부(150)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걸림바(22)가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4)의 하부로 내려오게 되면 후크(112)의 내측부(150)와 걸림 결합될 준비가 된 것이다. 걸림바(22)가 드롭빔(100)의 후크(112)에 걸려 있을 때, 드롭빔(100)은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드롭빔(100)의 헤드부(110)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봇파이프(140)는 슬라브패널(slab panel)(SP)을 지지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연결바(14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은 대향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에 막대 모양의 복수 개의 연결부재(34)가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결착된 구조물이다. 드롭빔(100)은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결착하는 연결바(144)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결착하는 연결바(144)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지만,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면 연결부재(34)에 의해 막혀서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된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두 플레이트(32a, 32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4)는 드롭빔(10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에 삽입되면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결합하는 연결바(144)는 드롭빔(100)이 회동할 때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결합하는 연결바(144)는 착탈이 가능한 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연결바(144)로 연결하여 연결된 부위를 용접하여 영구 고정하는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결착하는 연결바(144)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지만,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면 연결부재(34)에 의해 막혀서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된다.
드롭빔(100)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드롭빔(100)을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관통공(122)이 헤드부(110)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122)에 대응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위치에도 제2 관통공(도 18 및 도 19의 36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과 헤드부(110)의 제1 관통공(122)에 고정핀이 삽입됨으로써, 드롭빔(100)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드롭빔(100)은 제1 관통공(122)을 통과하는 고정핀과 피봇파이프(140)에 형성된 연결바(144)를 통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고정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10)는 제1 관통공(122)을 기준으로 타이로드(130)와 연결되는 부분만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슬라브패널(SP)을 해체하는 경우에는, 헤드부(122)에 형성된 제1 관통공(122)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형성된 제2 관통공(도 18 및 도 19의 36 참조)에 체결된 고정핀을 탈착함으로써 드롭빔(100)이 피봇파이프(140)에 형성된 연결바(144)를 회전축으로 회동될 수 있게 하여,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은 슬라브패널(SP)과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서포터(S)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은 서포터(S)에 의해 지지되고, 슬라브패널(SP)의 상부에는 슬라브패널(SP)이 놓여지며,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은 슬라브패널(SP)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롭빔(100) 및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SP)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벽면거푸집(WP)은 벽체를 형성할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게 조립설치되며, 대향하는 벽면 거푸집(WP)은 벽체를 형성할 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플랫타이(Flat Tie, 300a)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알-핀(al-pin) 또는 볼트와 너트로 결합된다.
플랫타이(300a)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플랫 패널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벽면거푸집(WP)과 알-핀(al-pin) 또는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기 위한 관통공을 갖는다. 그리고, 플랫타이(300a)는 다층으로 설치되는 벽면거푸집(WP)을 설치할 수 있도록 그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층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다층으로 설치되는 벽면거푸집(WP)의 상부에 슬라브코너(10)가 설치된다. 대향되는 두 슬라브코너(10)는 각각의 개구부(12)가 서로 대면되게 설치한다.
슬라브코너(10)에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을 삽입하여 결착한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일단부는 슬라브코너(2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는 슬라브코너(10)의 개구부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슬라브코너(10)의 내주면에 삽입된 부분은 브라켓 상하 조절용 볼트(26)에 의해 슬라브코너(10)에 결착되게 고정한다.
드롭빔(100)(또는 피봇파이프(140))을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고, 드롭빔(100)을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고정하기 위해 헤드부(110)에 형성된 제1 관통공(122)과 이에 대응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위치에 형성된 제2 관통공(36)에 고정핀을 체결하여 드롭빔(100)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일체화시킨다. 이때, 드롭빔(100)은 제1 관통공(122)을 통과하는 고정핀과 피봇파이프(140)에 형성된 연결바(144)를 통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고정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드롭빔(100)의 헤드부(110)는 제1 관통공(122)을 기준으로 타이로드(130)와 연결되는 부분만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롭빔(100)의 헤드부(110)를 들어올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걸림바(22)에 걸쳐지게 한다. 드롭빔(100)을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결착할 때 후크(112)의 사선형의 외측부가 걸림바(22)에 접촉하면서 들어올리면 걸림바(22)는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위로 이동하고, 후크(112)의 외측부가 걸림바(22) 위로 약간 더 들어올려지면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4)을 따라 그 무게에 의해 아래로 이동된다. 드롭빔(100)의 후크(112)를 약간 아래로 이동시키면서 후크(112)의 내측부와 걸림바(22)를 걸림 결합함으로써, 드롭빔(100)이 용이하게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결착될 수 있다. 즉, 후크(112)를 걸림바(22)에 결착하는 경우에는 후크(112)의 외측부(150)에 의해 걸림바(22)는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후크(112)의 외측부(150)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걸림바(22)가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4)의 하부로 내려오게 되면 후크(112)의 내측부(150)와 걸림 결합될 준비가 된 것이다. 걸림바(22)가 드롭빔(100)의 후크(112)에 걸려 있을 때, 드롭빔(100)은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후크(112)가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걸림바(22)에 걸림 결합됨에 의해 드롭빔(100)의 헤드부(110)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걸림바(22)를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에 의한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슬라브패널 지지빔(30) 하부에 서포터(S)를 받쳐 놓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착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112)에 의해 걸림바(22)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후크락커(116)가 감싸게 하여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크락커(116)가 후크(112)에 의해 걸림바(22)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감싸게 한 다음, U-볼트(118)의 장부(118a)와 단부(118b)가 지지플레이트(114)에 구비된 2개의 제3 및 제4 관통공(120a, 120b)을 관통하고 후크락커(116)에 구비된 2개의 제5 및 제6 관통공(116a, 116b)을 관통하게 함으로써, 후크락커(116)가 회동되지 않게 고정한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 상부에 슬라브패널(SP)을 설치한다.
슬라브패널(SP)이 설치되면 슬라브패널(SP)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원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든다.
이하에서,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롭빔(100) 및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SP)을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거푸집(WP)을 제거한다.
다층으로 조립된 벽면거푸집(WP)은 상부와 하부에 결합된 다른 벽면거푸집(WP) 그리고 플랫타이(300a)와 알-핀 또는 볼트 및 너트 등으로 결합된 상태를 해체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벽면거푸집(WP)이 제거된 벽체에는 벽면거푸집(WP)의 설치에 이용된 플랫타이(300a)가 벽체를 관통하면서 벽면거푸집(WP)을 조립하는데 이용한 관통공이 형성된 단부가 돌출된 상태로 잔류된다.
벽면거푸집(WP)은 플랫타이(300a)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의 슬라브코너(10)와 체결되었다. 슬라브코너(10)는 하부에 설치되었던 벽면거푸집(WP)에 의하여 지지력을 제공받았으나 벽면거푸집(WP)이 제거되면 지지구조가 취약해진다.
그러므로, 대향되는 슬라브코너(10)와 이들 사이의 구조체에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벽면에 고정되면서 단부가 돌출된 플랫타이(300a)에 결합되어서 상측으로 슬라브코너(10)와 결합되는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가 설치된다.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의 상세한 설명은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벽면거푸집(WP)이 제거되고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가 설치된 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지탱하던 서포터(S)를 일부 제거한다.
스핀들너트(15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되게 하여, 스핀들너트(150)가 피봇파이프(140)로부터 일정 거리(약 5∼30㎝ 정도) 이격되게 한다.
헤드부(122)의 제1 관통공(122)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제2 관통공(36)에 체결된 고정핀을 탈착한다. 이에 의해 드롭빔(100)은 피봇파이프(140)에 형성된 연결바(144)를 회전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헤드부(122)의 제1 관통공(122)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제2 관통공(36)에 체결된 고정핀을 탈착되면, 하중에 의해 피봇파이프(140)가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스핀들너트(150)가 있는 부위의 타이로드(130)는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피봇파이프(140)가 하강함에 따라 연결바(144)에 의해 피봇파이프(140)와 연결된 슬라브패널 지지빔(30)도 일정 거리 아래로 내려오게 되며,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이 일정 거리 아래로 떨어짐에 따라 슬라브패널(SP)도 하중에 의해 일정 거리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피봇파이프(140)는 스핀들너트(150)와 이격된 거리 만큼 타이로드(13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스핀들너트(150)가 있는 위치에서 피봇파이프(140)는 스핀들너트(150)에 의해 저지됨에 따라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고 정지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너트(150)를 회전시켜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되게 하여 피봇파이프(140)가 서서히 타이로드(130)를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한다. 피봇파이프(140)가 타이로드(130)를 따라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슬라브패널 지지빔(30)도 연결바(144)에 의해 피봇파이프(14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대응하여 내려오게 되며,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이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슬라브패널(SP)도 하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너트(150)가 목표하는 거리 만큼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되게 하고, 이에 따라 피봇파이프(140), 슬라브패널 지지빔(30) 및 슬라브패널(SP)도 목표하는 만큼 아래로 내려오게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하는 거리 만큼 슬라브패널(SP)이 내려오면, 슬라브패널(SP)을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서 내리게 하여 슬라브패널(SP)을 해체한다.
헤드부(110)의 후크(112)를 걸림바(22)에서 착탈시키기 위하여 U-볼트(118)의 둥근 부위를 잡아 당겨 U-볼트(118)의 단부(118b)가 후크락커(116)의 제6 관통공(116b)에서 빠져 나오게 한다. U-볼트(118)의 단부(118b)가 후크락커(116)의 제6 관통공(116b)에서 빠져 나오면, 후크락커(116)는 U-볼트(118)의 장부(118a)에 의해서만 고정되어 있으므로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며, 후크락커(116)는 무게에 의해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전되므로 걸림바(22)를 감싸지 못하게 된다.
헤드부(110)의 후크(112)를 약간 위로 들어올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걸림바(22)에서 탈착한다. 다른 쪽 부분의 후크(112)도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걸림바(22)에서 탈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용이하게 슬라브패널(SP)을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한편, 벽면거푸집(WP)를 해체한 후 슬라브코너(10) 하부의 벽면에 설치되는 슬라브코너 고정장치에 대하여 도 20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2는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를 플랫타이(300a)에 고정하여 슬라브코너(10)를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26은 슬라브코너 고정장치에 알-핀(AL)이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는 수평플레이트(310), 그의 저면 중앙부에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320) 그리고 수평플레이트(310)와 수직플레이트(320)가 교차되어 접합되는 부분에 구성되는 보강피스(3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평플레이트(310)의 저면과 수직플레이트(320)의 단부 간의 접합 그리고, 보강피스(330)의 두 변과 각 변에 접하는 수평플레이트(310)의 저면 및 수직프랫(320)의 측면 간의 접합은 용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평플레이트(310), 수직플레이트(320) 및 보강피스(330)는 용접이 가능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310)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상부의 슬라브코너(10)와 알-핀(al-pin) 및 웨지(wedge)(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결합되며, 알-핀 및 웨지를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312)이 수직플레이트(232)가 접합된 영역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피스(330)는 두 변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직각삼각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보강피스(330)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플레이트(320)는 수평방향으로 플랫타이(300a)가 삽입되는 관통공(322)이 둘 이상 형성되고, 관통공(32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측면에 알-핀 및 웨지(도시되지 않음)를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324)이 형성된다. 즉 관통공(322)로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 플랫타이(300a)는 관통공(324)에 삽입되는 알-핀(al-pin)에 의하여 수직플레이트(320)와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플레이트(3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플랫타이(300a)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플레이트(320)는 슬라브코너(10)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둘 이상의 플랫타이(300a)를 포함할 정도의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수직플레이트(320)는 도 22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a, 320b)를 포함한다.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a)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공(322)을 형성하기 위한 요부(322a)가 형성되고,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a)와 대칭되는 형상의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b)에는 요부(322a)와 대응되는 위치에 요부(322b)가 형성된다. 즉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a)의 요부(322a)와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b)의 요부(322b)가 결합되어서 관통공(3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a)의 측면에는 관통공(324)을 이루기 위한 관통공(324a)이 형성되고,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a)와 대칭되는 형상의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b)에는 관통공(324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322b)이 형성된다. 즉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a)의 관통공(324a)와 수직플레이트유니트(320b)의 관통공(324b)이 연통됨으로써 관통공(324)이 형성된다.
벽면거푸집(WP)이 제거된 상태에서 벽면은 도 23과 같이 슬라브코너(10)의 하부 구조물이 없으며, 슬라브코너(10)의 수직으로 지지하는 구조물이 없는 취약한 상태이다. 도시된 부호 10a는 슬라브코너(10)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구이다.
도 23과 같이 벽면거푸집(WP)이 제거된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가 도 24 및 도 25와 같이 설치된다.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는 수평플레이트(310)가 슬라브코너(10)의 저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며, 이때 수직플레이트(320)의 관통공(322)에 플랫타이(300a)의 단부가 삽입된다.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는 슬라브코너(10)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10a)과 저면과 수평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관통공(312)를 관통하는 알-핀 및 웨지에 의하여 상부가 고정되고, 벽면에 돌출된 둘 이상의 플랫타이(300a)의 단부와 수직플레이트(320)가 알-핀에 의하여 벽면에 고정된다.
즉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는 벽면의 플랫타이(300a)에 고정됨으로써 상부의 슬라브코너(10)를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브코너 고정장치(300)가 벽면거푸집(WP)이 제거된 후 상부 슬라브코너(10)를 고정함으로써 상부의 슬라브패널이나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이 낙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SP: 슬라브패널 WP: 벽면거푸집
10: 슬라브코너 20: 슬라브코너 브라켓
30: 슬라브패널 지지빔 100: 드롭빔
110: 헤드부 130: 타이로드
140: 피봇파이프 150: 스핀들너트
300 : 슬라브코너 고정장치 300a : 플랫타이
310 : 수평플레이트 320 : 수직플레이트

Claims (10)

  1. 벽체를 형성할 공간을 가로질러 다층으로 배치되는 플랫타이를 이용하여 상기 벽체를 형성할 공간에 대하여 벽면거푸집을 다층으로 설치하는 단계;
    서로 대향되는 상기 벽면거푸집의 상부에 개구부를 갖는 슬라브코너가 서로 대면하게 설치되는 단계;
    사선형 가이드채널을 따라 가이드되는 걸림바를 갖는 슬라브코너 브라켓을 상기 슬라브코너의 상기 개구부로 삽입하여 결착하는 단계;
    후크를 포함하는 헤드부를 갖는 드롭빔을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드롭빔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제2 관통공을 고정핀으로 체결하는 방법으로 좌우 한 쌍의 드롭빔을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양단에 일체화시키는 단계;
    상기 드롭빔의 상기 후크를 상기 걸림바에 체결하여 좌우 한쌍의 상기 드롭빔을 서로 대면하는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하부에 서포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 상부에 슬라브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 설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빔을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후크의 외측부에 의해 상기 걸림바가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밀어 올려지는 단계;
    상기 후크의 외측부가 상기 걸림바를 통과하면 상기 걸림바가 하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오는 단계; 및
    상기 걸림바가 하부로 내려온 상태에서 상기 후크의 내측부에 상기 걸림바가 걸려서 상기 드롭빔이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 설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빔의 헤드부는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를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브패널 설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로 감싸지 못하는 상기 걸림바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후크에 후크락커를 고정하여 상기 걸림바에서 상기 후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브패널 설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락커가 상기 후크에 의해 상기 걸림바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감싸게 한 후, U-볼트의 장부와 단부가 상기 헤드부의 지지플레이트에 구비된 2개의 제3 및 제4 관통공을 관통하고 후크락커에 구비된 2개의 제5 및 제6 관통공을 관통하게 함으로써 상기 후크락커가 회동되지 않게 고정되는 슬라브패널 설치 방법.
  6. 상기 청구항 1의 방법으로 설치된 상기 슬라브 패널을 해체하는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에 있어서,
    다층으로 조립된 벽면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
    벽면에 고정되면서 단부가 돌출된 플랫타이에 결합되고 상측의 슬라브코너와 결합되는 슬라브코너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제거하는 단계;
    드롭빔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제2 관통공을 체결하는 고정핀을 해체하여 상기 드롭빔과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체결 상태의 해제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과 그 상부의 슬라브패널이 아래로 내려오는 단계;
    상기 드롭빔의 타이로드에 결합된 스핀들너트를 조절함에 따라 하강위치를 조절하여 순차적으로 목표하는 위치까지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과 그 상부의 슬라브패널을 하강시키는 단계;
    하강된 상기 슬라브패널을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에서 해체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롭빔의 헤드부를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에서 탈착하여 상기 드롭빔과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으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을 해체하여 상기 드롭빔과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체결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드롭빔의 피봇파이프는 상기 스핀들너트와 이격된 거리 만큼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스핀들너트가 있는 위치에서 상기 피봇파이프는 상기 스핀들너트에 의해 저지됨에 따라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고 정지하고, 상기 피봇파이프가 하강함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과 그 상부의 슬라브패널이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을 해체하기 전에 상기 피봇파이프와 상기 스핀들너트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고, 상기 고정핀을 해체하여 상기 피봇파이프에 형성된 연결바를 회전축으로 상기 드롭빔이 회동되게 하여 상기 타이로드가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 사이에서 빠져나옴으로써 상기 피봇파이프의 하강을 유도하는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빔의 헤드부를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에서 탈착하여 상기 드롭빔과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으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부의 후크가 상기 걸림바에 걸린 상태를 해체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에 결합된 후크락커에 삽입된 U-볼트의 단부를 빼내어서 후크락커가 U-볼트의 장부를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후크락커가 상기 U-볼트의 장부를 회전축으로 회동하여 상기 걸림바를 감싸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후크를 들어올려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에서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거푸집이 제거된 슬라브코너의 하부에 상기 슬라브코너 고정장치의 수평플레이트가 상기 슬라브코너의 저면을 지지하게 하고, 벽면거푸집이 제거된 후 노출되는 둘 이상의 플랫타이와 상기 슬라브코너 고정장치의 수직플레이트가 결합되게 하여 상기 슬라브코너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
KR1020100047845A 2010-05-24 2010-05-24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127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845A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0-05-24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845A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0-05-24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413A true KR20110128413A (ko) 2011-11-30
KR101127008B1 KR101127008B1 (ko) 2012-03-26

Family

ID=4539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845A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0-05-24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546B1 (ko) * 2021-08-17 2022-08-18 (주)남경 슬라브 판넬 지지장치
KR20230119848A (ko) * 2022-02-08 2023-08-16 오한성 슬라브 판넬 거치 슬라이딩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897B1 (ko) 2012-04-20 2014-04-01 금강공업 주식회사 미들빔 거치용 브래킷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폼 지지장치
KR101491074B1 (ko) 2014-07-16 2015-02-23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CN105952147B (zh) * 2016-06-28 2018-03-30 深圳汇林达科技有限公司 一种楼面模板的托板系统
KR20190115232A (ko) 2018-04-02 2019-10-11 송유진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KR102311766B1 (ko) 2020-04-29 2021-10-12 김시영 슬라브패널 지지용 빔 조립체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설치구조 및 이의 드롭시공방법
KR102226433B1 (ko) 2020-09-14 2021-03-11 미래테크(주) 슬라브형틀용 안전클립 및 슬라브형틀 분리방법
KR102446381B1 (ko) 2020-09-28 2022-09-23 박재수 슬라브 시공용 소핏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의 해체방법
KR20220113177A (ko) 2021-02-05 2022-08-12 박재수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 해체방법
KR20220083982A (ko) 2022-06-02 2022-06-21 박재수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KR102546416B1 (ko) 2022-08-03 2023-06-21 박철우 테이블형 다단 드롭시스템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공법
KR20240069314A (ko) 2022-11-11 2024-05-20 박재수 드롭시공이 용이한 슬라브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드롭다운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609B1 (ko) 2006-11-14 2008-04-02 (주)거혁건설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KR101000910B1 (ko) * 2008-08-14 2010-12-13 (주)거혁건설 지지바와 서포터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546B1 (ko) * 2021-08-17 2022-08-18 (주)남경 슬라브 판넬 지지장치
KR20230119848A (ko) * 2022-02-08 2023-08-16 오한성 슬라브 판넬 거치 슬라이딩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008B1 (ko) 201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008B1 (ko)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930001033B1 (ko) 지주의 연결방법 및 지주장치
KR101310842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KR102038061B1 (ko)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US20080172976A1 (en) Reusable Adjustable Hanger for Use with Joists and/or Double Wales
KR101941885B1 (ko) 철골 구조물
JP2013064321A (ja) 仮設構造体用架設部材
KR101310844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101101115B1 (ko)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KR101073514B1 (ko) 슬라브코너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
JP7164198B2 (ja) セントル基枠の吊下具、セントル基枠
KR20100010986A (ko) 슬라브 패널 설치 시스템
KR101260272B1 (ko) 지지각도 가변형 동바리
KR101171822B1 (ko) 드롭어셈블리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KR20140147469A (ko)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KR102226433B1 (ko) 슬라브형틀용 안전클립 및 슬라브형틀 분리방법
KR101171823B1 (ko) 슬라브패널 조립체
KR20090007442U (ko)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용 브라켓 고정 장치
JP4222581B2 (ja) 梁型枠装置およびこの梁型枠装置の設置・解体方法
JP2911419B2 (ja) 仮設構造物における連結構造
KR101197491B1 (ko) 필러패널
JP5612520B2 (ja) コンクリートダム施工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打設予定部の上方へのロール状止水板の設置方法、及び、当該方法に使用されるロール状止水板支持部材
KR101050397B1 (ko) 결속핀이 고정된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