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3982A -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3982A
KR20220083982A KR1020220067353A KR20220067353A KR20220083982A KR 20220083982 A KR20220083982 A KR 20220083982A KR 1020220067353 A KR1020220067353 A KR 1020220067353A KR 20220067353 A KR20220067353 A KR 20220067353A KR 20220083982 A KR20220083982 A KR 20220083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wering device
slab formwork
formwork assembly
sup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박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수 filed Critical 박재수
Priority to KR102022006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3982A/ko
Publication of KR2022008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포크리프트를 개량하여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하강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하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슬라브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좁은 면적의 자재인양구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의 평면 투영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하는 동안에 전도 위험성을 방지하도록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떠받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Lift for disassembling Slave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이 완료된 후에 슬라브시공용 거푸집 조립체를 하강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떠받치면서 서서히 하강시킬 수 있으면서, 슬라브의 개구부를 통해 상층부로 인양될 수 있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를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다층(多層)구조의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은 벽체 및 슬라브 구축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에,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해체된 거푸집과 자재들을 상부층으로 인양하여 다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및 거푸집 해체하는 일련의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슬라브시공용 거푸집 조립체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거푸집 조립체의 해체된 일부가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손상이 발생하거나 안전사고의 위험 불가피하게 됨은 물론 바닥면과의 충돌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분진의 발생으로 인해 공사장은 물론 그 주변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84512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브용 거푸집을 해체함에 있어서 슬라브 패널이 천정으로부터 바닥으로 곧바로 떨어지지 않게 하면서 소정의 높이만큼 하강시켜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자 키 높이에서 슬라브용 패널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거푸집 해체공법은, 소위 "드롭 시공공법"으로 명명된 가운데 친환경적인 거푸집 시공법으로서 아파트를 비롯한 고층 건축물의 건축시에 이를 이용한 시공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오고 있다.
상기한 '드롭 시공공법'의 다양한 변형 예시들이 특허등록 제10-1127008호(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 및 특허등록 제10-1491074호, 그리고 특허등록 제10-1514395호 등에서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드롭 시공공법" 관련 기술은 종전에 비해서 작업성이나 환경적인 측면을 비롯한 구조의 간편성 등에서 훨씬 향상된 면모를 드러내고 있긴 하나, 거푸집의 해체 과정에서 슬라브 패널과 이를 지지하는 빔이 서포터를 타고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구성이 간단치만은 않을 뿐 아니라 충격발생이 없는 완만한 하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발명자가 선출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22-0042753호(2022.04.05.공개)(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에는,
벽체거푸집과 소핏조립체를 순차적으로 해체한 이후에, 하강장치를 이용하여 슬라브거푸집과 멍에빔 조립체를 일체 상태로 작업자 키 높이까지 서서히 하강시켜 해체할 수 있는 기술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3에 개시되어 있는 하강장치는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종래기술3에서의 하강장치는 펼치고 접을 수 있는 고정발(181)과 지지암(182)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암(182)에는 신축 가능한 해체지지빔(185)이 구비된다. 상기 해체지지빔(185)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여러 멍에빔들(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멍에빔들) 전체를 한꺼번에 받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하부층에서 해체된 거푸집 자재를, 슬라브의 소정 위치에 상하로 개방된 자재인양구를 통해 상부층에서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운반해야 하는데, 상기한 자재인양구의 넓이(가로(L) x 세로(W))를 크게 확장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반대의 관점에서, 상기 종래기술3에서 개시된 구조로 된 하강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길이(L)와 세로폭(W)을 소형으로 제작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즉, 가로길이와 세로폭을 과도하게 줄일 경우에는 전도 가능성이 커지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슬라브에 형성된 자재인양구를 통해 건설자재를 인양해야 하는 작업 현장에서 실용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9-0114731 A KR 10-0484512 B KR 10-2022-0042753 A KR 10-1127008 B KR 10-1491074 B KR 10-1514395 B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라브거푸집과 멍에빔 조립체(이하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라 한다)를 일체 상태로 작업자 키 높이까지 서서히 하강시킬 수 있는 하강장치로서, 슬라브 소정 위치에 형성된 자재인양구를 통해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인양될 수 있는 하강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는, 슬라브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좁은 면적의 자재인양구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의 평면 투영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하는 동안에 전도 위험성을 방지하도록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떠받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는, 현재 산업계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는 '포크리프트'(예를 들어, (주)쌍용리프트의 제품모델명 CCD-1530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태커)를 간단히 개량함으로써 상기한 목적 달성이 가능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아 가능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하강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는,
체인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좌우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프레임(10)과, 상기 몸체부의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블럭(30)과, 상기 승강블럭(30)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10)을 따라 승하강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60)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바닥면에 밀착되는 받침발(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받침발(40)은 상기 몸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부가 바닥면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발(40)은 상기 몸체부에 제1힌지핀(48)으로 결합됨으로써, 하강장치가 공중으로 인양될 때 상기 제1힌지핀(48)을 중심으로 상기 받침발(40)이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자유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대(60)의 상단에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 저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수평지지암(62)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평지지암(62)은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좁은 자재인양구를 통해 인양할 때에는 상기 수평지지암(62)을 분리시켜, 하강장치와 수평지지암을 각각 따로 인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 및 이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도면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는 하강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받침발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므로 전도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좁은 자재인양구를 통해 상부층으로 인양할 때에는 받침발이 자중에 의해 제1힌지핀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동하기 때문에, 좁은 자재인양구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지지하는 수평지지암(62)은 상기 수직지지대(6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하강장치와 수평지지암을 각각 따로 좁은 자재인양구로 통과시켜 인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드롭 시공공법에서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하강장치로 하강시키는 작업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종래 일 실시예로 알려진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포크리프트의 일 실시예
도 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하강장치 사시도 및 부분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를 자재인양구를 통해 인양하는 상태에서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발의 변형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발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에 적용되는 수평지지암의 변형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에 적용되는 수평지지암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하강장치의 실물 사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하강장치(100)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슬라브에 형성된 자재인양구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를 상부층으로 인양하는 상태에서 받침발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기준으로 받침발(40)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 또는 '앞쪽'으로 지칭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 또는 '뒤쪽'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이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방향' 또는 '측방'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도 4에서 한 쌍의 수직 가이드프레임(10) 사이 공간을 '내측'으로, 그 반대 공간을 '외측'으로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프레임(10)을 구비한 몸체부(20)와,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블럭(30),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바닥면에 밀착 지지되는 받침발(40), 그리고 상기 승강블럭(30)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10)을 따라 승하강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60)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수직 가이드프레임(10)을 구비한 몸체부(20)와, 승하강하는 승강블럭(30)의 구성은 공지의 포크리프트 또는 스태커의 구성과 다르지 않다. 상기 몸체부(20)에는 체인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 가이드프레임(10)은 상기 몸체부(20)의 좌우에 이격되어 배치되어, 큰 하중이 작용하는 승강블럭의 승하강을 견고하게 지지하며 안내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에는, 상기 승강블럭(30)에 결합되는 포크부재(도 3에서의 도면부호 50 참조)가 없고, 한 쌍의 수직지지대(60)가 상기 승강블럭(30)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에 적용되는 한 쌍의 받침발(40)은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는 공지의 포크리프트 또는 스태커의 구성과 다르지 않으나, 좁은 자재인양구(H)를 통해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용이하게 인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체부에 대해 하부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대(60)는 가로고정대(61a)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강성 확보에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대(60)는 상기 승강블럭(30)의 전방면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승강블럭(3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 가이드프레임(10)에 의해 승하강이 안내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의 수직지지대(60)는 상기 승강블럭(30)에 결합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10)을 따라 승하강한다.
해체될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중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의 상기 수직지지대(60) 상단에 작용하게 되며, 상기 수직지지대(60)의 하부에 결합된 승강블럭(30)이 상기한 슬라브거푸집 조립체 하중을 지탱하며,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일반적으로 공지의 포크리프트 특히 (주)쌍용리프트의 제품모델명 CCD-1530의 경우, 1.5ton의 중량물을 최대 3,000mm 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주)쌍용리프트의 제품모델명 SEF-2030W의 경우에는 2ton의 중량물을 최대 3,000mm 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작업에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다.
물론, 더 큰 중량물의 적재 또는 운반용 포크리프트(또는 스태커) 장비가 출시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기술사상을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100)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하강하는 동안에는 전도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 쌍의 받침발(40)은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100)가 좁은 자재인양구를 통해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용이하게 인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기술구성의 특징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의 상기 받침발(40)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부가 바닥면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발(40)은 상기 몸체부의 전방면에 제1힌지핀(48)으로 결합됨으로써, 하강장치가 공중으로 인양될 때 상기 제1힌지핀(48)을 중심으로 상기 받침발(40)이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자유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부에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지지하는 수평지지암(62)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발(40)의 길이가 길더라도, 인양되는 동안에는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자유 회동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기 때문에, 몸체부(20)의 가로길이(L1)과 세로폭(W1)이 통과될 수 있는 좁은 자재인양구의 공간을 통해 용이하게 인양될 수 있다.
상기 받침발(40)의 전방 끝단과 몸체부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 편의성을 높일 수도 있다. 특히, 몸체부 하부에 구비되는 바퀴는 구동수단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전동바퀴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대(60)는 상기 승강블럭(3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 가이드프레임(10)에 의해 승하강이 안내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수직지지대(60)가 수직 가이드프레임(10)의 내측면에 지지되므로 승하강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직지지대(60)가 승강블럭(30)의 전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하강장치의 전후방향 길이(L1)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20)의 하부면에 받침브라켓(22)이 구비되어, 상기 받침발(40)의 후방 끝단부에서 제1힌지핀(48)에 의해 몸체부(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몸체부(20)의 하부면에 구비된 상기 받침브라켓(22)과 상기 받침발(40)의 후방 끝단부가 상기 제1힌지핀(48)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발(40)의 중간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쪽 저면에 밀착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발(4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힌지핀(48)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지만, 상기 받침발(4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고 상기 몸체부의 전방쪽 저면에 밀착되어 구속되므로, 받침발(40)이 견고하게 바닥면에 지지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상기 받침발(40)이 몸체부(20)의 저면에 결합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몸체부의 저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크기의 바퀴를 구비해야 한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의 받침발(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대(60)는 상기 승강블럭(30)의 전방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발의 변형 실시예로서, 받침발의 후방 끝단부에서 제1힌지핀(48)에 의해 몸체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받침발(40)의 후방 끝단부는 제1힌지핀(48)에 의해 상기 몸체부(2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받침발(40)의 중간 상부면은 상기 몸체부(20)의 지지브라켓(22a) 밑면에 밀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22a)에 의해, 상기 제1힌지핀(48)을 중심점으로 회동하는 상기 받침발(4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도록 구속되므로, 받침발(40)이 견고하게 바닥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에 적용되는 받침발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20)의 전방면에 받침브라켓(22)이 구비되어, 상기 받침발(40)의 후방 끝단부에서 제1힌지핀(48)에 의해 몸체부(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발(40)은, 상기 몸체부(40)의 전면에 밀착되는 수직부(44)와, 상기 수직부(44)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42)로 이루어지는 'ㄴ'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44)가 몸체부(40)의 전면에 밀착됨에 의해, 상기 제1힌지핀(48)을 중심점으로 회동하는 상기 받침발(4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도록 구속되므로, 받침발(40)이 견고하게 바닥면에 지지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강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를 슬라브거푸집 조립체(S)의 밑면 높이까지 상승시킨 상태로서,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하강시킬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며,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를 작동시켜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서서히 하강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의 [A]는 자재인양구(H)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를 인양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의 [B]는 자재인양구(H)를 통과 중인 하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하강장치에 적용되는 한 쌍의 수평지지암(6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지지암(62)은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저면을 지지한다. 상기 수평지지암(62)의 양 단부에는 중공의 삽입구(624)가 구비되어, 슬래브거푸집 조립체의 멍에빔들 전체를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진 해체지지빔(185)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암(62)은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해체지지빔(185) 또한 수평지지암(62)에 대해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 이유는, 좁은 자재인양구를 통해 인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의 수평지지암(62)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평지지암(62)은 제2힌지핀(62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지지암(62)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위치에는 연결브라켓(622)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브라켓(622) 수직지지대(60)를 상기 제2 힌지핀(628)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핀(628)의 중심축선은 상기 수평지지암(6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수평지지암(62)이 상기 제2힌지핀(628)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상기 수평지지암(62)은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대(60) 바깥쪽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대(60) 안쪽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를 하강할 때에는 한 쌍의 수평지지암 사이의 간격을 최대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음 작업 장소로 수평 이동시에는 조기탈형을 위해 존치되는 써포트와 부딪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대(60)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암(62)은 상기 제2힌지핀(628)을 분리함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암(62)을 상기 수직지지대(6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상부층으로 인양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암(62)은 한 쌍의 수직지지대(60) 바깥쪽에 위치될 때 상기 수평지지암(62)의 처짐을 방지하고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암(62)이 펼쳐졌을 때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지지암(62)이 하부방향으로 더이상 회동되거나 처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구속되므로, 상기 수평지지암(62)이 슬라브거푸집 조립체(S)를 충분한 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 형상의 '스톱핀(64a)'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60a는 수직지지대(6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블록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연결블록(60a)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힌지핀(628)과 스톱핀(64a) 사이의 이격거리를 넉넉하게 확보하여 강성을 높일 수 있고, 한 쌍의 수평지지암(62)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암(62)과 수직지지대(60)의 결합 및 분리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슬라브거푸집 조립체(S)의 중량을 상기 수평지지암(62)만으로 지탱하도록 하는 것에 비해, 상기 수평지지암(62)의 상부 지지면이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하면, 슬라브거푸집 조립체(S)의 하중이 상기 수평지지암(62)과 수직지지대(60)에 분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평지지암(62)의 강성을 최적화할 수 있고, 상기 스토퍼(64)에 가해지는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의 수평지지암(6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에 적용되는 수평지지암(62)의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 10에 도시된 수평지지암(62)는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하단삽입구(625)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지지암(62)의 수평방향 양 단부에는 중공의 수평삽입구(624)가 구비되어, 슬래브거푸집 조립체의 멍에빔들 전체를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가진 해체지지빔(185)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에 적용되는 수평지지암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제2힌지핀(628)에 의해 회동 가능한 실시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상기 한 쌍의 수평지지암(62)을 상기 수직지지대(60) 바깥쪽으로 각각 회동시켜 펼쳤을 때에 상기 수평지지암(62)의 처짐을 방지하고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한다. 도 11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고정부재는 사각블럭 형상의 '멈춤부재(64)'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평지지암(62)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위치에는 연결브라켓(622)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브라켓(622)을 수직지지대(60)에 대해 상기 제2 힌지핀(628)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수평지지암(62)의 구조는, 제2힌지핀(628)과 멈춤부재(64) 사이의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큰 하중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수평지지암(62)의 스톱핀(64a)과 도 7에 도시된 수평지지암(62)의 멈춤부재(64)는 그 실시 형태에 차이가 있으나, 그 목적 및 작용효과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고정부재'라고 통칭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실물 사진을 도시한 것으로서, 기존의 포크리프트를 간단히 개량함에 의해 본원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배터리 및 구동수단 등의 소모성 부품에 대한 유지관리 및 보수가 매우 용이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하강장치(100)는 추가적인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당연히 포함되어야 한다.
10: 수직 가이드프레임 20: 몸체부
30: 승강블럭 40: 받침발
60: 수직지지대 62: 수평지지암
100: 하강장치

Claims (4)

  1. 체인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좌우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프레임(10)과, 상기 몸체부의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블럭(30)과, 상기 승강블럭(30)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 가이드프레임(10)을 따라 승하강하는 한 쌍의 수직지지대(60)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바닥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받침발(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발(40)은 각각 상기 몸체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부가 바닥면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발(40)은 상기 몸체부에 각각 제1힌지핀(48)으로 결합됨으로써, 하강장치가 공중으로 인양될 때에 상기 받침발(40)이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자유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40)의 저면 또는 전방면 또는 양 측면 중의 어느 한 곳에는 한 쌍의 받침브라켓(22)이 구비되고,
    상기 제1힌지핀(48)은 상기 받침발(40)의 후방 끝단부와 상기 받침브라켓(22)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힌지핀(48)을 중심점으로 회동하는 상기 받침발(4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도록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암(62)을 각각 구비하되,
    상기 수평지지암(62)은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암(62)은 제2힌지핀(62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수직지지대(60)의 상단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2힌지핀(628)의 중심축선은 상기 수평지지암(6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구성되며, 상기 수평지지암(62)이 상기 제2힌지핀(628)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하여 상기 한 쌍의 수직지지대(60) 바깥쪽에 위치될 때 상기 수평지지암(62)의 처짐을 방지하고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KR1020220067353A 2022-06-02 2022-06-02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KR20220083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353A KR20220083982A (ko) 2022-06-02 2022-06-02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353A KR20220083982A (ko) 2022-06-02 2022-06-02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982A true KR20220083982A (ko) 2022-06-21

Family

ID=8222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353A KR20220083982A (ko) 2022-06-02 2022-06-02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3982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12B1 (ko)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491074B1 (ko) 2014-07-16 2015-02-23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KR101514395B1 (ko) 2013-12-30 2015-04-23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20190114731A (ko) 2018-03-28 2019-10-10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42753A (ko) 2020-09-28 2022-04-05 박재수 슬라브 시공용 소핏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의 해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12B1 (ko)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514395B1 (ko) 2013-12-30 2015-04-23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1491074B1 (ko) 2014-07-16 2015-02-23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KR20190114731A (ko) 2018-03-28 2019-10-10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42753A (ko) 2020-09-28 2022-04-05 박재수 슬라브 시공용 소핏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의 해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170B1 (ko) 패널 지지 브라켓
AU2017221870A1 (en) Improved frame for climbing screen
US20200217087A1 (en) Elevator system
JP6503716B2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KR102458584B1 (ko) 고소 작업용 안전 리프트
JP2009073599A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構造およびクライミング方法
KR101288370B1 (ko) 터널용 작업대차
JP5914203B2 (ja) 解体方法、解体補助装置
JP3074765U (ja) 柱状建築物施工システム装置
JP4511657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支持方法及び装置
KR20220083982A (ko) 슬라브거푸집 조립체의 하강장치
JP6712501B2 (ja) 高層建物の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KR102446381B1 (ko) 슬라브 시공용 소핏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의 해체방법
WO2023184882A1 (zh) 物料提升装置
KR100817883B1 (ko) 슬래브 거푸집 설치구조
JP2002115393A (ja) 昇降式外部養生装置
KR100895614B1 (ko) 건축물 시공방법
JPH11343729A (ja) スライド上昇型吊り足場
KR102396527B1 (ko) 작업발판 인양장치
KR200469612Y1 (ko) 인방 제조 장치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JPH10245189A (ja) 高層ビル建築に用いる全方向移動クレーン
JPH05133016A (ja) 周辺保持自昇式建築工法
JPH09137506A (ja) 建物の建設方法
JP5647772B2 (ja) 昇降移動式張り出し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