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232A -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232A
KR20190115232A KR1020180038018A KR20180038018A KR20190115232A KR 20190115232 A KR20190115232 A KR 20190115232A KR 1020180038018 A KR1020180038018 A KR 1020180038018A KR 20180038018 A KR20180038018 A KR 20180038018A KR 20190115232 A KR20190115232 A KR 2019011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mwork
fixing
bracket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송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진 filed Critical 송유진
Priority to KR102018003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5232A/ko
Publication of KR2019011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축조시에 사용되는 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한 설비에 관련된 기술로서, 슬라브 축조과정에서 거푸집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거푸집을 포함한 옹벽보와 각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이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선단에 일체형으로 연이어 형성된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수직프레임에는 일렬로 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통공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거푸집의 핀홀에 결속되는 고정철편이 장착되고, 수평프레임에는 고정볼트가 조립된 압착프레임이 장착되어 옹벽보를 지지함과 동시에 각목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거푸집에 장착된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 상의 체결요소들에 의해 지지력을 한층 강화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유발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을 포함한 옹벽보 및 각목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규격에 따라 브라켓의 고정위치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이 용이하고, 더구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Supported Bracket of Concrete Mold}
본 발명은 건축물의 축조시에 사용되는 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한 설비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브 축조과정에서 거푸집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거푸집을 포함한 옹벽보와 각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축조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서는 일정 규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패널(Pannel)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한 후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게 된다.
이 때, 패널이 설치되는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타설시에 콘크리트의 무게에 의해 높은 내압이 발생하게 되므로 거푸집이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의 외측면에 다수의 체결부재를 결합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대개 원통이나 사각형상의 스틸파이프 혹은 각목 등을 이용하여 결속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상부 슬라브 타설시에는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양생되도록 별도의 슬라브부재를 옹벽의 거푸집 상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게 되며, 이 슬라브부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각목을 설치한 상태에서 브라켓(Bracket)을 이용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과 관련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15943호에는 거푸집에 결합되는 받침부의 후방을 절곡하여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지지구에 장공이 형성된 압착구를 결합하여 측방향에서 타격함으로써 각목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거푸집 및 각목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지지부에서 받쳐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후방으로 휘어짐에 따라 각목을 충분히 받쳐주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건설현장에서는 사용되는 각목의 규격에 따라 고정구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며, 고정구와 거푸집의 결합부에 사용되는 핀의 형상에 따라 각목 고정구를 선택해야만 하는 것이며, 각목을 조여 고정하거나 해체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힘도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 등록특허 제0812551호에 개시된 기술은 슬라브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들의 구조가 복잡하고, 슬라브 패널의 설치 및 해체도 쉽지 않을 뿐더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한 구조들로 인해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등록특허 제1127008호의 경우에는 중량이 많이 나가는 슬라브 패널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없고, 경사진 슬라브 패널의 지지빔을 따라 슬라브 패널이 흘러 내리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음은 물론 브라켓에 지지빔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0215943호( 등록) - 거푸집용 각목 고정구. 등록특허 제0812551호(2008.03.05 등록) -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등록특허 제1127008호(2012.03.08 등록) - 슬라브 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등록특허 제1413726호(2014.06.24 등록) - 보 거푸집용 팀버 연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의 전면에 장착되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을 이용하여 옹벽보와 각목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지지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시의 휨 하중을 충분히 견뎌낼 수 있는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거푸집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프레임 및 이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선단에 일체형으로 연이어 형성된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일렬로 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통공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거푸집의 핀홀에 결속되는 고정철편이 장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고정볼트가 조립된 압착프레임이 장착되어 옹벽보를 지지함과 동시에 각목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압착프레임은 몸체 및 이 몸체의 내측에 고정된 너트를 포함하여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지지되는 받침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압착프레임은 수평프레임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에 형성된 통공에 볼트로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거푸집에 장착된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 상의 체결요소들에 의해 지지력을 한층 강화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유발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을 포함한 옹벽보 및 각목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규격에 따라 브라켓의 고정위치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이 용이하고, 더구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용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거푸집용 브라켓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거푸집용 브라켓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 4는 거푸집용 브라켓의 사용상태도,
도 5는 거푸집용 브라켓과 틀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거푸집용 브라켓이 틀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 단면도,
도 8은 도 5의 결합 사시도,
도 9는 슬라브의 구축이 완료된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개량된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12a, 도 12b는 거푸집에 수직프레임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는 압착프레임에 의해 옹벽보 및 각목을 동시에 고정시키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내용과 가장 관련이 있는 하나의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0209620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용 브라켓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아암부(2)와, 이 아암부(2)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지지각목을 고정 또는 분리하기 위한 고정부(4)와, 상기 아암부(2)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거푸집의 틀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장부(6)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암부(2)는, 슬라브 구축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부재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아암부(2)의 상측에는 슬라브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각목(W)이 탑재되는 안착면(8)이 형성된다.
그리고, 아암부(2)의 일측 선단부에는 안착면(8)에서 지지각목(W)이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부(4)가 형성되는데, 이 고정부(4)는 내측에 슬라이드홈(10) 및 이 슬라이드홈(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장홈(12)을 각각 구비한 하우징(14)과, 이 하우징(14)의 슬라이드홈(10)에 안내되어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하며 지지각목(W)의 일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슬라이드 플레이트(16)와, 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6)를 하우징(14)의 슬라이드홈(10)에서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지각목(W)을 고정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잠금 플레이트(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6)는 하우징(14)의 슬라이드홈(10)에 안내되어 슬라이드 되면서 지지각목(W)의 일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16)에는 상기 하우징(14)의 장홈(12)과 대응하는 장홈(24)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일측 선단부에는 지지각목(W)의 일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잠금 플레이트(18)는 하우징(14)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16)의 장홈(12,24)에 결합되어 원활히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며, 일측으로 연장하면서 쐐기형상, 즉 일정한 각도를 갖는 경사면(26)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잠금 플레이트(18)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타격부(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 플레이트(18)의 선단부 일측에는 하우징(14)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16)의 장홈(12,24)에 결합된 후 분리되지 않도록 상,하측 표면에서 일정간격 돌출되어 고정핀(30)이 결합된다.
상기 연장부(6)는 접지면(32)의 하측에 체결 플레이트(34)가 구비되고, 상측으로는 접지면(32)이 거푸집의 틀부재에 안정적으로 접지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접지돌기(3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 플레이트(34)는 거푸집 틀부재에 형성된 웨지핀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된 보조 웨지핀홀에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체결 플레이트(34)에는 상기 웨지핀홀과 대응하는 형상의 체결홈(38)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체결 플레이트(34)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사각형상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6)의 접지면(32)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조작업시에 소정 방법에 의해 연장부(6)의 접지면(3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도 3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우선 옹벽(100)의 구축이 완료되면 슬라브 구축을 위한 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상기 거푸집(120)의 상측 틀부재(130)에 형성된 보조 웨지핀홀(140)에 연장부(6)의 체결 플레이트(34)를 삽입하게 되면 체결 플레이트(34)에 형성된 체결홈(38)이 거푸집(120)의 틀부재(130)에 형성된 웨지핀홀(150)에서 일부분만 일치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도 6 참조).
이 후,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진 웨지핀(160)의 선단부를 웨지핀홀(150) 및 체결홈(38)에 삽입시킨 후 별도의 해머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외력을 가하게 되면 웨지핀(160)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웨지핀(160)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체결 플레이트(34)의 체결홈(38)이 접지되면서 체결 플레이트(34)가 보조 웨지핀홀(140)의 내측으로 더욱 이동하여 연장부(6)의 접지면(32)이 틀부재(130)에 견고하게 접지된 상태로 고정된다(도 7 참조).
이 때, 상기 연장부(6)는 상측에 형성된 접지돌기(36)에 의해 틀부재(130)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과정이 완료되면 아암부(2)의 안착면(8)에 지지각목(W)을 안착시킨 다음, 잠금 플레이트(18)의 타격부(28)에 해머 등을 이용하여 외력을 가하면 상기 잠금 플레이트(18)가 하우징(14)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16)에 구비된 장홈(12,24)에 안내되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 플레이트(18)가 이동하게 되면 잠금 플레이트(18)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경사면(26)이 슬라이드 플레이트(16)에 형성된 장홈(24)의 일측과 접지되고, 경사면(26)의 타측 테두리부는 하우징(14)의 장홈(12)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6)가 잠금 플레이트(18)의 경사면(26)에 의해 지지각목(W)을 가압하기 위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7 참조).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6)가 이동하게 되면 일측 선단부에 형성된 가압부(22)가 지지각목(W)의 일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지지각목(W)이 아암부(2)의 안착면(8)에 안착된 상태로 거푸집(120)의 틀부재(130)와 가압부(22) 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다(도 8 참조).
상기와 같이 아암부(2)의 안착면(8)에 지지각목(W)이 견고하게 고정되면 슬라브부재(170)을 상기 지지각목(W)의 상측에 안착시킨 다음, 옹벽(100)의 상측 코너부 이외에 지지가 요구되는 부분은 별도의 서포터(S)를 이용하여 상기 슬라브부재(170)의 배부름 현상, 즉 일부가 쳐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슬라브 구축을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브 부재(170)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슬라브(110)를 구축하게 되고(도 9 참조),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양생이 이루어지면 거푸집(120)의 틀부재(130)로 부터 팀버 브라켓을 분리하여 모든 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거푸집에 장착된 아암부의 지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지지각목으로 전달되는 휨 하중을 견뎌내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거푸집에 장착되는 웨지핀 및 지지각목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플레이트를 각각 별도의 해머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외력을 가해야만 하므로 작업 자체가 번거로워 진다.
더구나, 상기 브라켓을 구성하는 아암부의 고정 위치를 거푸집 및 지지각목에 정확히 맞춘 상태에서 고정작업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숙련을 요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3은 전술한 예에서의 제반 결점을 감안하여 구성된 거푸집 고정용 팀버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거푸집(40) 전면에 장착되는 수직프레임(50A) 및 이 수직프레임(50A)의 상단부 선단에서 일체형으로 연이어지는 수평프레임(50B)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수직 및 수평프레임(50A,50B)의 사이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조 앵글(51)이 용접되어 있다.
상기 거푸집(40) 내에는 종전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옹벽(70)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50A)에는 일렬로 소정 간격을 두고 통공(52)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거푸집(40)에 체결되는 고정철편(53)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 상태에서 핀이나 볼트(54)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부설된다.
상기 고정철편(53)의 경우, 수직프레임(50A)에 조립되는 몸체(53a)를 포함하여 이 몸체(53a)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편(53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돌출편(53b)에 사각공(5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철편(53)은 수직프레임(50A)에 조립되어 거푸집(4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핀홀(41)의 위치에 맞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고정부재나 쐐기(42)를 박아 거푸집(40)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거푸집(40)에 장착되는 수직프레임(50A)은 고정철편(53)에 의해 거푸집(40)의 측면에 결속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작업 현장에서의 상황에 따라 볼트(55a) 및 너트(55b)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50A)의 전면쪽에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50B)에는 고정볼트(56)가 체결되는 압착프레임(57)이 장착되어 옹벽보(71)를 지지함과 동시에 각목(72)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착프레임(57)의 경우, 몸체(58a)를 포함하여 이 몸체(58a)의 내측 하단부에 고정 설치된 너트(58b) 및 수평프레임(50B)의 상면에 지지되는 받침편(58c)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몸체(58a) 및 너트(58b), 받침편(58c)은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압착프레임(57)은 수평프레임(50B)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됨과 동시에 몸체(58a)의 하단부를 수평프레임(50B)에 형성된 통공(59)으로 볼트(60)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압착프레임(57)을 이용하여 옹벽보(7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56)의 체결에 의해 각목(72)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통상의 방식대로 거푸집(40)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70)을 구축한 후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후속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때 거푸집(40)의 전면에 수직프레임(50A)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철편(53)을 상,하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철편(53)의 몸체(53a)에 형성된 돌출편(53b)의 사각공(53c)을 거푸집(40)의 측면에 형성된 핀홀(41)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54)를 체결한 후 쐐기(42)를 돌출편(53b)의 사각공(53c) 및 거푸집(40)의 핀홀(41)에 박아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수평프레임(50B) 상에 각목(72)이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압착프레임(57)을 구성하는 몸체(58a)의 위치를 옹벽보(71)에 맞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통공(59)을 통해 볼트(60)를 체결함에 따라 압착프레임(57)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볼트(56)를 조여줌으로써 압착프레임(57)이 옹벽보(71)를 지지함과 동시에 각목(72)의 표면을 강하게 가압하게 되고, 이 때 상기 압착프레임(57)의 받침편(58c)이 수평프레임(50B)의 상면에 밀착 유지되면서 간단히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에 의하면,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거푸집에 장착된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 상의 체결요소들에 의해 지지력을 한층 강화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유발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을 포함한 옹벽보 및 각목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규격에 따라 브라켓의 고정위치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이 용이하고, 더구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40: 거푸집 41: 핀홀
42: 쐐기 50A: 수직프레임
50B: 수평프레임 51: 앵글
52: 통공 53: 고정철편
53a: 몸체 53b: 돌출편
53c: 사각공 54: 볼트
55a: 볼트 55b: 너트
56: 고정볼트 57: 압착프레임
58a: 몸체 58b: 너트
58c: 받침편 59: 통공
60: 볼트 70: 옹벽
71: 옹벽보 72: 각목

Claims (3)

  1. 거푸집(4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프레임(50A) 및 이 수직프레임의 상단부 선단에 일체형으로 연이어 형성된 수평프레임(50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프레임(50A)에는 일렬로 통공(51)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통공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거푸집(40)의 핀홀(41)에 결속되는 고정철편(52)이 장착되고,
    상기 수평프레임(50B)에는 고정볼트(56)가 조립된 압착프레임(57)이 장착되어 옹벽보(71)를 지지함과 동시에 각목(72)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프레임(57)은 몸체(58a) 및 이 몸체의 내측에 고정된 너트(58b)를 포함하여 수평프레임(50B)의 상면에 지지되는 받침편(58c)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프레임(57)은 수평프레임(50B)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50B)에 형성된 통공(59)에 볼트(60)로 체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KR1020180038018A 2018-04-02 2018-04-02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KR20190115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18A KR20190115232A (ko) 2018-04-02 2018-04-02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018A KR20190115232A (ko) 2018-04-02 2018-04-02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32A true KR20190115232A (ko) 2019-10-11

Family

ID=6821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018A KR20190115232A (ko) 2018-04-02 2018-04-02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523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943B1 (ko) 1989-12-15 1999-08-16 이데이 노부유끼 디스크구동장치
KR100812551B1 (ko) 2007-07-04 2008-03-13 (주)거혁건설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413726B1 (ko) 2013-04-02 2014-07-01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보 거푸집용 팀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943B1 (ko) 1989-12-15 1999-08-16 이데이 노부유끼 디스크구동장치
KR100812551B1 (ko) 2007-07-04 2008-03-13 (주)거혁건설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413726B1 (ko) 2013-04-02 2014-07-01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보 거푸집용 팀버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979B1 (ko) 비탈형 보 거푸집
CN101839061A (zh) 现浇混凝土圆弧外墙体单侧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KR101817962B1 (ko) 안전작업대 모듈
KR101766807B1 (ko) 플레이트를 활용한 pc기둥-pc보 강접합 결합구조 및 pc거더-pc빔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2095491B1 (ko) 보 데크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보 시공용 거푸집
KR100924652B1 (ko) 허니콤부재를 이용한 토건용 거푸집 패널
CN102105644B (zh) 对模板和配件的改进
KR20130051579A (ko) 패널지지 어셈블리
CN205577400U (zh) 一种工具式模板
KR20190115232A (ko) 거푸집 고정용 브라켓
CN209723616U (zh) 用于铝合金模板框架柱的加固背楞定位支撑装置
KR20100000854U (ko)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결속용 클립 클램프의 조작치구
KR100946192B1 (ko)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KR100813931B1 (ko) 천정거푸집용 장선 및 멍에의 구조
KR101057551B1 (ko) 기둥거푸집 고정장치
KR101836896B1 (ko)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KR200222611Y1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303750Y1 (ko) 건축물 축조용 거푸집 보강대의 클램프
KR20150039954A (ko) 장선재에 간격 유지부재가 체결되는 거푸집 패널
CN103334585A (zh) 木竹质模板的梁、柱装配结构及方法
CN209723017U (zh) 柱基础杯口芯模抗浮装置
KR20020001480A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CN103334586B (zh) 木竹质模板梁柱接头和交梁接头支撑结构及方法
KR20130092870A (ko) 간격유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200448737Y1 (ko) 거푸집의 사각파이프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