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469A -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469A
KR20140147469A KR1020130070801A KR20130070801A KR20140147469A KR 20140147469 A KR20140147469 A KR 20140147469A KR 1020130070801 A KR1020130070801 A KR 1020130070801A KR 20130070801 A KR20130070801 A KR 20130070801A KR 20140147469 A KR20140147469 A KR 20140147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reinforcing bar
fastening
concrete pi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5789B1 (ko
Inventor
이영
Original Assignee
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 filed Critical 이영
Priority to KR102013007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789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 E04C5/0618Closed cages with spiral- or coil-shaped stirrup ro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의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를 이루는 주근과 늑근 간의 우수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 조립 또는 해체가 용이한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철근;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이 이루는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1 철근과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REINFORCING BAR ASSEMBLY FOR CONCRETE PILE REINFORCEMENT AND CONCRETE PI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의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를 이루는 주근과 늑근 간의 우수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 조립 또는 해체가 용이한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연약 지반이라 함은 지반 자체가 상부 구조물로부터 전해오는 하중을 견딜 수 없거나 혹은 예측 침하량이 허용치를 넘는 경우의 지반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연약한 점토, 느슨한 사질토, 유기질토 등이 연약 지반에 속한다. 이러한 연약 지반 위에 도로, 교량, 건물 등이 그대로 축조되면, 전단면 침하량이 과대해지고, 지지력이 부족하여 안정 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최근 들어, 아파트나 상가와 같은 건물들이 대형화되는 추세여서 지반의 지지 문제는 건물 축조 전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연약 지반을 포함하는 기초 지반 위에 축조되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침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반의 보강 작업에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가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파일과 이 콘크리트 파일의 중공에 삽입되는 철근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에는 철근 조립체를 이루는 주근과 늑근을 용접 방식으로 체결함에 따라, 조립성 혹은 작업성이 저하되었고, 문제 발생 시 이를 해체하는 것도 쉽지 않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표면이 곡면을 이루는 주근과 늑근을 용접 방식으로 체결하게 되면, 주근과 늑근이 면 접촉이 아닌 점 접촉 혹은 선 접촉을 이루게 되는데, 이에 따라, 주근과 늑근의 실질적인 체결 강도는 그다지 크지 않을 수 있고, 이는, 지반을 보강하기 위해 시공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의 강도 저하를 조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0865호(2008.11.2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파일의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를 이루는 주근과 늑근 간의 우수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 현장에서 조립 또는 해체가 용이한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철근;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이 이루는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1 철근과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의 수와 대응되는 다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 각각은 상기 다각형의 각각의 모서리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일측은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철근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을 관통한 타측에는 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철근 조립체가 삽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상단면에 걸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가 측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철근의 단면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이 이루는 내측 또는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철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철근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철근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이 이루는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철근과 상기 제2 철근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철근과 상기 제2 철근이 교차되는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철근에 장착되는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철근에 장착되는 제2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구와 상기 제2 체결구는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구는, 상기 제1 철근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밀착부, 및 상기 제1 밀착부의 양측에 각각 이어져 형성되고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체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체결구는, 상기 제2 철근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밀착부, 및 상기 제2 밀착부의 양측에 각각 이어져 형성되고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은 용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에 상기 철근 조립체가 삽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파일의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를 이루는 주근과 늑근을 용접이 아닌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시킴으로써, 용접으로 체결된 경우보다 우수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고, 용접 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주근과 늑근의 강도가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 파일을 지지하는 철근 조립체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 현장의 상황에 맞게 철근 조립체의 조립 또는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주근과 늑근을 조립함으로써,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공 기간 및 인건비 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를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의 제2 체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의 제2 체결부재의 체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조립체(100)는 콘크리트 파일(20)의 강도를 보강하는 부재로, 콘크리트 파일(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에 삽입된다. 즉, 이러한 철근 조립체(100)는 콘크리트 파일(20)에 결합되어 지반을 보강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10)를 이루게 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철근 조립체(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1 철근(120), 가이드 부재(130) 및 제1 체결부재(1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상부에 고정되는 제1 철근(120)을 지지하는 디스크 형태의 판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상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철근(120)과 접합되어 이를 지지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제1 철근(120)은 용접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므로,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의 중공 내경에 상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철근(120)은 철근 조립체(100)의 주근(main reinforcement)이다. 이러한 제1 철근(12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철근(120)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철근(120)의 개수를 8개로 예시하였지만, 이는 일례일 뿐, 제1 철근(120)은 8개 이상 또는 8개 이하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철근(120)의 형성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철근(120)은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부재(130)는 복수 개의 제1 철근(120)이 이루는 가상의 원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부재(130)는 복수 개의 제1 철근(120)의 수와 대응되는 다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제1 철근(120)들은 다각형 띠로 이루어진 가이드 부재(130) 각각의 모서리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130)가 제1 철근(120)의 수와 대응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제1 철근(120)의 형성 위치가 정해짐에 따라, 제1 철근(120)의 형성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철근 조립체(100) 조립 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30)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130)는 제1 체결부재(140)를 통해 제1 철근(120)과 체결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재(130)에는 제1 체결부재(14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31)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130)는 철근 조립체(100)를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에 장착 혹은 거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재(13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132)가 측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철근 조립체(100)가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의 중공에 삽입될 경우, 날개부(132)가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의 상단면에 걸쳐져, 철근 조립체(100)의 더 이상의 삽입이 저지되고,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의 중공 내에 정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날개부(132)의 밑면 즉,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과 접촉되는 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날개부(132)가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에 올려진 상태에서 유동하여 쏠림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날개부(132)의 밑면에 예컨대, 톱니 모양의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날개부(132)의 밑면은 필요에 따라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날개부(132)의 밑면 구조를 요철 구조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날개부(132)는 가이드 부재(130)를 구부리거나 접는 방식을 통해 만들어진다. 즉, 날개부(132)는 가이드 부재(130)의 일 부분이므로, 철근 조립체(100)를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에 거치시킬 경우, 안정적으로 철근 조립체(100)의 하중을 분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130)는 철근 조립체(100)를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에 거치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원형 철근으로 이루어지는 제1 철근(120)과는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이드 부재(130)의 단면은 제1 철근(120)의 단면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30)는 볼트 결합 방식의 제1 체결부재(140)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원형의 제1 철근(120)과는 형상이 다른 판형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체결부재(140)는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를 분리 가능하게 체결한다. 즉, 제1 체결부재(140)는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를 체결함과 아울러,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체결부재(140)는 볼트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를 체결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재(140)의 일측 즉, 볼트의 머리부분은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 체결 시 제1 철근(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1 철근(120)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 체결 시 제1 체결부재(140)의 타측 즉, 볼트의 꼬리부분은 가이드 부재(13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31)을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돌출되고,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체결부재(140)의 타측에 너트(141)가 결합됨으로써,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 상호 간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체결부재(140)는 복수 개의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가 접촉되는 모든 부분 즉, 다각형 띠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130)의 모든 모서리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체결부재(140)는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 간의 체결 시 볼트 결합을 통해 강한 체결력을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에 부여함으로써, 날개부(132)를 구비하여, 철근 조립체(100)를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에 거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가이드 부재(130)가 하중에 의해 제1 철근(12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는 볼트 결합 방식의 제1 체결부재(140)를 통해 체결력을 보다 공고히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조립체(100)는 제1 철근(120)의 강도 보강을 위한 제2 철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철근(150)은 제1 철근(120)을 지지하는 늑근(stirrup)이다. 이에 따라, 제2 철근(150)은 제1 철근(120)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가는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철근(15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제1 철근(120)이 이루는 가상의 원의 내측 또는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철근(150)은 복수 개의 제1 철근(120)이 이루는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철근(150)은 가이드 부재(13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철근(150)은 제2 체결부재(160)를 통해 제1 철근(120)과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재(160)는 제1 체결부재(140)와 마찬가지로 제1 철근(120)과 제2 철근(150)을 체결함과 아울러, 제1 철근(120)과 제2 철근(15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분리 가능한 제1 체결부재(140) 및 제2 체결부재(160)를 통해 각각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 제1 철근(120)과 제2 철근(150)을 체결하면, 종래 용접으로 체결된 경우보다 우수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종래 용접 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철근의 강도가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 제1 철근(120)과 제2 철근(150) 간의 체결력이 높아지면, 콘크리트 파일(도 1의 20)을 지지하는 철근 조립체(10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도 1의 10)의 전체적인 강도 향상으로 이어져, 안정적으로 지반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 가능한 제1 체결부재(140) 및 제2 체결부재(160)를 통해 각각 제1 철근(120)과 가이드 부재(130), 제1 철근(120)과 제2 철근(150)을 체결하면, 시공 현장의 상황에 맞게 철근 조립체(100)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공 기간 및 인건비 등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체결부재(160)는 제1 철근(120)과 제2 철근(150)이 교차되는 부분에 장착되고 서로 볼트 결합되는 제1 체결구(161) 및 제2 체결구(16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구(161)는 제1 철근(120)에 장착되는 부재로, 제1 밀착부(161a) 및 제1 체결판(161b)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밀착부(161a)는 제1 철근(120)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 밀착부(161a)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판(161b)은 제1 밀착부(161a)의 양측에 각각 이어져 형성된다. 이때, 제1 체결판(161b)에는 제2 체결구(162)와의 볼트 결합을 위해 양측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 결합공(161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구(162)는 제2 철근(150)에 장착되는 부재로, 제2 밀착부(162a) 및 제2 체결판(162b)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밀착부(162a)는 제2 철근(150)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2 밀착부(162a)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판(162b)은 제2 밀착부(162a)의 양측에 각각 이어져 형성된다. 이때, 제2 체결판(162b)에는 제1 체결구(161)와의 볼트 결합을 위해 양측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볼트 결합공(162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체결부재(160)를 이루는 제1 체결구(161) 및 제2 체결구(162)는 볼트 결합을 위해, 제1 체결판(161b)과 제2 체결판(162b)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볼트 결합공(161c, 162c)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단지, 제1 체결구(161) 및 제2 체결구(162)는 직경이 다른 제1 철근(120) 및 제2 철근(150)에 장착되는 바, 이의 제1 밀착부(161a) 및 제2 밀착부(162a)의 크기만 다르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 체결부재(160)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서로 볼트 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제1 체결구(161)와 제2 체결구(162)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 현장의 상황에 맞게 철근 조립체(100)의 조립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현장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공 기간 및 인건비 등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철근 조립체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제1 철근 130: 가이드 부재
131: 체결공 132: 날개부
140: 제1 체결부재 141: 너트
150: 제2 철근 160: 제2 체결부재
161: 제1 체결구 161a: 제1 밀착부
161b: 제1 체결판 161c, 162c: 볼트 결합공
162: 제2 체결구 162a: 제2 밀착부
162b: 제2 체결판
10: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20: 콘크리트 파일

Claims (14)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철근;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이 이루는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1 철근과 상기 가이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1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의 수와 대응되는 다각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 각각은 상기 다각형의 각각의 모서리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일측은 후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철근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을 관통한 타측에는 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철근 조립체가 삽입되는 콘크리트 파일의 상단면에 걸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가 측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1 철근의 단면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이 이루는 내측 또는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철근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철근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이 이루는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철근과 상기 제2 철근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철근과 상기 제2 철근이 교차되는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철근에 장착되는 제1 체결구, 및
    상기 제2 철근에 장착되는 제2 체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체결구와 상기 제2 체결구는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체결구는,
    상기 제1 철근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밀착부, 및
    상기 제1 밀착부의 양측에 각각 이어져 형성되고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체결구는,
    상기 제2 철근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밀착부, 및
    상기 제2 밀착부의 양측에 각각 이어져 형성되고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 개의 제1 철근은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14. 제1항에 따른 따른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에 상기 철근 조립체가 삽입되는 콘크리트 파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KR1020130070801A 2013-06-20 2013-06-20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KR101575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801A KR101575789B1 (ko) 2013-06-20 2013-06-20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801A KR101575789B1 (ko) 2013-06-20 2013-06-20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69A true KR20140147469A (ko) 2014-12-30
KR101575789B1 KR101575789B1 (ko) 2015-12-08

Family

ID=5267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801A KR101575789B1 (ko) 2013-06-20 2013-06-20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7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3789A (zh) * 2020-10-27 2021-02-05 李飞虎 一种预应力预制混凝土管桩
CN113001088A (zh) * 2021-04-17 2021-06-22 王军 一种预应力预制水泥电线杆钢筋龙骨架制作加工设备
EP3835488A4 (en) * 2018-08-09 2022-03-16 ASC Grupo Ersi, S.L.U. SYSTEMS WITH MARKERS FOR PLACING AN ASYMMETRICAL REINFORCED RETAINING PILE AND METHOD OF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6626C1 (ru) * 2021-03-04 2021-10-0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Строительство", АО "НИЦ "Строительство" Буронабивная свая и её арматурный карка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669Y1 (ko) * 2004-09-22 2004-12-23 홍석희 소수 부재요소로 구성된 다기능ㆍ다용도 말뚝두부보강장치
KR200412821Y1 (ko) 2006-01-02 2006-04-03 양근영 콘크리트 파일 캡 조립체
KR101151877B1 (ko) * 2009-04-24 2012-06-01 배지환 파일캡
JP4858888B1 (ja) 2011-08-12 2012-01-18 株式会社恵信工業 鉄筋篭の現場内無溶接組立工法及びその補助筋付き補強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5488A4 (en) * 2018-08-09 2022-03-16 ASC Grupo Ersi, S.L.U. SYSTEMS WITH MARKERS FOR PLACING AN ASYMMETRICAL REINFORCED RETAINING PILE AND METHOD OF USE
CN112323789A (zh) * 2020-10-27 2021-02-05 李飞虎 一种预应力预制混凝土管桩
CN113001088A (zh) * 2021-04-17 2021-06-22 王军 一种预应力预制水泥电线杆钢筋龙骨架制作加工设备
CN113001088B (zh) * 2021-04-17 2022-12-09 紫云黔冠电力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预应力预制水泥电线杆钢筋龙骨架制作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789B1 (ko)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484B1 (ko) 강관파일 두부보강용 철근 결속장치
KR101575789B1 (ko) 콘크리트 파일 강도 보강용 철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어셈블리
JP5420030B1 (ja) 木柱の設置構造
KR101065098B1 (ko) 철근 케이지 구조
CN208293427U (zh) 一种盖梁混凝土浇注模板钢抱箍支撑系统
JP4284056B2 (ja) 非埋込み型柱脚の施工方法及びその非埋込み型柱脚構造
KR101183785B1 (ko) 기둥 주각부 고정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기둥-기초판 접합구조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KR101431974B1 (ko) 비닐하우스 골조 시스템
JP6831714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架台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KR200282684Y1 (ko)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KR20170139186A (ko) 강관기둥과 기초구조체의 연결구조
KR10105029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구조
JP2005351047A (ja) 防護柵の補強構造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KR101259613B1 (ko) 조경용 기초 보강 시스템 및 기초 보강 방법
KR100867976B1 (ko) 강관말뚝의 두부 보강장치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KR100960610B1 (ko) 작용력 분산형 강관 말뚝의 머리 보강구조
KR100779582B1 (ko)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및 두부보강방법
KR20050021611A (ko)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전단보강구조
KR101803767B1 (ko)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어셈블리
KR101013028B1 (ko) 콘크리트말뚝용 두부보강물
KR102036309B1 (ko) 조립식 철탑 기초체
CN214614158U (zh) 一种装配式建筑地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