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416B1 - 테이블형 다단 드롭시스템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공법 - Google Patents

테이블형 다단 드롭시스템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416B1
KR102546416B1 KR1020220096929A KR20220096929A KR102546416B1 KR 102546416 B1 KR102546416 B1 KR 102546416B1 KR 1020220096929 A KR1020220096929 A KR 1020220096929A KR 20220096929 A KR20220096929 A KR 20220096929A KR 102546416 B1 KR102546416 B1 KR 102546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own support
panel
installation step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우
Original Assignee
박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우 filed Critical 박철우
Priority to KR102022009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공법은, 벽체를 설치한 후 테이블형 장선빔의 상부에 패널을 설치하는 패널설치단계; 상기 패널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슬라브패널의 하부에 다단드롭멍에빔을 설치하고 상기 다단드롭멍에빔의 하부에 다운서포트를 설치하는 다단드롭 멍에빔 및 다운서포트 설치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서포트는 바닥에 일측이 고정되고 일측이 상부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삽입단부가 형성되는 바닥고정마운트; 상기 바닥고정마운트의 상기 삽입단부에 연결되는 형태로 하부는 플렌지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는 원통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삽입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보다 소정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빔으로 형성되는 M-Beam; 을 포함하는 거푸집공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블형 다단 드롭시스템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공법 {Method formwork of concrete structure using multi-stage drop system for table type}
본 발명은 거푸집공법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형 다단 드롭시스템을 이용한 거푸집공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건설되고 있는 공동주택의 경우 대부분이 경제성 등의 요인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 벽식 구조로 건설되고 있다. 최근 인건비 상승, 건설인력의 고령화, 건설시장의 개방, 열악한 작업환경 등을 비롯한 사회, 경제적인 건설여건의 변화는 건설업 수익률 저하와 불안정성을 심화시키고 있다. 도한, 건설폐기물 발생 및 건설현장에서 소음발생에 따른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 및 안전사고 역시 중요한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아파트 건설공사에 있어서 합리적인 공기단축등을 통한 원가 절감과 친환경적인 공법의 개발은 건설업의 수입개선 및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하다. 벽식 구조 아파트에 있어서 골조공사는 주 공정으로써 전체 공기와 구조체의 품질을 좌우하게 된다. 여기서 거푸집공사는 골조 공사비의 30 ~ 40%, 전체공사비의 10%를 차지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종래의 거푸집 시스템공법은 거푸집 해체 작업 시 발생하는 소음을 직접적인 방법으로 저감하는 것이 아닌 간접적으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방음벽 시스템들이 있으나 작업공간 확보 부족과 낮은 소음 저감효과 등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기술은 전문설계기술 및 체계적인 연구개발 방법론의 부재로 인해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시스템공법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491074호(2015.02.02. 등록) 등록특허 제10-1127008호(2012.03.08.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선, 멍에 빔을 테이블화 된 구조로 패널간의 연결핀 해체 없이 슬라브 패널 전체를 동시에 탈형하고, 다단 드롭형 다운 서포트를 이용하여 다단 하강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 작업자의 눈높이까지 안전한 하강이 가능하여 별도의 작업발판 없이 자재를 해체, 인양이 가능한 거푸집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체를 설치한 후 테이블형 장선빔의 상부에 패널을 설치하는 패널설치단계; 상기 패널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슬라브패널의 하부에 다단드롭멍에빔을 설치하고 상기 다단드롭멍에빔의 하부에 다운서포트를 설치하는 다단드롭 멍에빔 및 다운서포트 설치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서포트는 바닥에 일측이 고정되고 일측이 상부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단부가 형성되는 바닥고정마운트; 상기 바닥고정마운트의 상기 단부에 연결되는 형태로 하부는 플렌지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는 원통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삽입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보다 소정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빔으로 형성되는 M-Beam; 을 포함하는 거푸집공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멍에빔과 다운서포트을 이용하여 슬래브판넬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설치와 철거가 용이해짐에 따라 공수를 낮출 수 있어 건축비를 저감하게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공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드롭멍에빔 및 다운서포트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공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공법은, 벽체를 설치한 후 테이블형 장선빔의 상부에 패널을 설치하는 패널설치단계(S1); 상기 패널설치단계(S1)에서 설치된 패널의 하부에 다단드롭멍에빔(B)을 설치하고 상기 다단드롭멍에빔(B)의 하부에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를 설치하는 다단드롭 멍에빔 및 다운서포트 설치단계(S2);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공법은 패널설치단계(S1)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설치단계(S1)는 슬라브패널이 설치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패널설치단계(S1)는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빔과, 벽면거푸집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슬라브코너와, 슬라브코너에 삽입 설치되는 슬라브코너 브라켓과,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브패널 지지빔에 연결바로 결합되고 연결바를 회전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롭빔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설치단계(S1)는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빔에 결착되는 슬라프패널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인 드롭빔을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패널설치단계(S1)는 등록특허 제10-1127008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벽면거푸집을 다층으로 설치하는 단계 내지 서포터를 설치 및 제거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공법은 다단드롭 멍에빔 및 다운서포트 설치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단드롭 멍에빔 및 다운서포트 설치단계(S2)는 패널설치단계(S1)에서 설치된 슬라브패널의 하부에 다단드롭멍에빔(B)을 설치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또한, 다단드롭 멍에빔 및 다운서포트 설치단계(S2)는 다단드롭멍에빔(B)의 하부에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드롭멍에빔 및 다운서포트의 설치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푸집공법은 다운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는 바닥에 일측이 고정되고 일측이 상부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삽입단부(110)가 형성되는 바닥고정마운트(100)와, 바닥고정마운트(100)의 삽입단부(110)에 연결되는 형태로 하부는 플렌지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는 원통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00)와, 지지부(200)에 삽입된 형태로 위치되고 지지부(200)보다 소정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빔으로 형성되는 M-Beam(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는 바닥고정마운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고정마운트(100)는 바닥에 고정되어 다단드롭멍에빔(B) 및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가 설치되는 위치를 고정하는 부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고정마운트(100)는 사각판형태로 형성된 바닥면(12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120)은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가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사각판이 될 수 있다. 바닥면(120)은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에 작용되는 하중을 지지하고 균형이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은 상하로 관통된 고정핀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홀(121)은 4 개가 균일한 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고정마운트(100)는 삽입단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단부(110)는 바닥면(120)의 중심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단부(110)는 바닥고정마운트(100)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단부(110)는 원통형의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지지부(200)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가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는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바닥고정마운트(1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바닥고정마운트(100)와 결합되어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측은 바닥고정마운트(100)와 결합되고, 반대측인 상측은 M-Beam(3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는 M-Beam(300)이 삽입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고정고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확대도는 고정고리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고리(400)는 지지부(200)의 끝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고리(400)는 지지부(20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고리(400)는 지지부(200)보다 소정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지지부(200)의 직경에 대응되는 결합홀(4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고리(400)는 'ㄱ'자로 형성된 위치고정단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단부(410)는 고정고리(400)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단부(410)는 후술할 M-Beam(300)에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310)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위치고정단부(410)는 후술할 M-Beam(300)에 형성된 위치고정돌기(310)가 삽입가능한 홀(411)이 형성되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된 위치고정단부(410)는 슬라브패널이 지지되는 하중 이외에 다른 외력이 작용될 경우 결합이 해제되어 하강될 수 있다.
일 예로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를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에 의해 위치고정단부(410)와 위치고정돌기(310)의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경우 고정단부(410)는 홀(411)을 대체하여 나사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고정돌기(310)는 나사탭에 대응되어 나사산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단부(410)와 고정고리(400)는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위치고정단부(410)에 외측으로 휘는 힘을 작용하여 위치고정단부(410)와 위치고정돌기(310)의 결합이 탈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고리(400)에 의해 M-Beam(300)의 하강동작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된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의 철거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는 아웃트리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아웃트리거(500)는 지지부(20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웃트리거(500)는 지지부(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원형의 고리형태의 연결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10)는 지지부(200)의 약 1/3의 높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510)는 지지부(200)와 결합위치에 고정되어 상하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51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520)는 연결부(510)와 바닥면에 양끝단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520)는 연결부(510)와 바닥면에 소정 경사지게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지지대(520)는 와이어, 또는 소정두께의 파이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개의 지지대(520)는 연결부(510)에 방사형태로 배치되어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가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는 M-Beam(300)을 포함할 수 있다. M-Beam(300)은 지지부(200)에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M-Beam(300)은 지지부(200)보다 소정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M-Beam(300)은 슬라브패널의 하부와 접촉되어 지탱하는 부품이 될 수 있다.
또한, M-Beam(300)은 외주면에 복수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고정돌기(310)는 위치고정단부(410)와 결합되어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고정돌기(310)는 원기둥, 사각기둥, 육각기둥과 같은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하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또한, M-Beam(300)은 지지부(200)와 결합되어 건물 천장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M-Beam(300)와 지지부(200)의 결합높이는 4m ~ 6m의 높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운서포트는 4m~ 6m의 높이로 설치되어 다단드롭멍에빔(M)을 지지할 수 있으며, 거푸집이 철거되는 경우 작업자의 눈높이까지 하강되어 특별한 도구나 해체작업이 없이 해체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멍에빔과 다운서포트을 이용하여 슬래브판넬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여 공수를 낮출 수 있어 건축비를 저감하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1 : 패널설치단계 S2 : 다단드롭 멍에빔 및 가운서포트 설치단계
10 : 테이블형다운서포트 100 : 바닥고정마운트
110 : 삽입단부 200 : 지지부
300 : M-Beam 310 : 위치고정돌기
400 : 고정고리 500 : 아웃트리거
510 : 연결부 520 : 지지대

Claims (5)

  1. 본 발명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공법은,
    벽체를 설치한 후 테이블형 장선빔의 상부에 패널을 설치하는 패널설치단계(S1);
    상기 패널설치단계(S1)에서 설치된 슬라브패널의 하부에 다단드롭멍에빔(B)을 설치하고 상기 다단드롭멍에빔(B)의 하부에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를 설치하는 다단드롭 멍에빔 및 다운서포트 설치단계(S2); 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는
    바닥에 일측이 고정되고 일측이 상부로 돌출된 원통형태의 삽입단부(110)가 형성되는 바닥고정마운트(100);
    상기 바닥고정마운트(100)의 상기 삽입단부(110)에 연결되는 형태로 하부는 플렌지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는 원통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00);
    상기 지지부(200)에 삽입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200)보다 소정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빔으로 형성되는 M-Beam(300); 을 포함하고
    상기 M-Beam(300)은
    외주면에 소정높이로 돌출된 돌기형태로 균일한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3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M-Beam(300)이 삽입되는 부분에 상기 위치고정돌기(310)가 삽탈가능하게 형성되는 고정고리(400); 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고리(400)는
    원형의 링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대칭형태로 사각의 홈이 형성되는 거푸집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형다운서포트(10)는
    상기 지지부(2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원형의 고리형태의 연결부(510) 및 바닥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지지대(520)가 형성되는 아웃트리거(500); 를 포함하는 거푸집공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96929A 2022-08-03 2022-08-03 테이블형 다단 드롭시스템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공법 KR102546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929A KR102546416B1 (ko) 2022-08-03 2022-08-03 테이블형 다단 드롭시스템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929A KR102546416B1 (ko) 2022-08-03 2022-08-03 테이블형 다단 드롭시스템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416B1 true KR102546416B1 (ko) 2023-06-21

Family

ID=8698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929A KR102546416B1 (ko) 2022-08-03 2022-08-03 테이블형 다단 드롭시스템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4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856Y1 (ko) * 2006-11-02 2007-10-11 (주)거혁건설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KR20100078070A (ko) * 2008-12-30 2010-07-08 (주)알루텍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491074B1 (ko) 2014-07-16 2015-02-23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KR20180033669A (ko) * 2016-09-26 2018-04-04 김성기 서포터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설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2252215B1 (ko) * 2020-10-29 2021-05-13 김경식 슬라브 패널 지지체용 드롭 다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856Y1 (ko) * 2006-11-02 2007-10-11 (주)거혁건설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KR20100078070A (ko) * 2008-12-30 2010-07-08 (주)알루텍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491074B1 (ko) 2014-07-16 2015-02-23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KR20180033669A (ko) * 2016-09-26 2018-04-04 김성기 서포터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설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2252215B1 (ko) * 2020-10-29 2021-05-13 김경식 슬라브 패널 지지체용 드롭 다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53197B (zh) 高空大悬挑砼结构型钢支撑平台
KR100921423B1 (ko) 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방법
CN210603852U (zh) 一种全装配式钢结构反力架
US9273464B2 (en) Structurally integrated accessible floor system
CN211396814U (zh) 支撑横梁与支撑柱连接稳定的钢架厂房
KR102546416B1 (ko) 테이블형 다단 드롭시스템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공법
CN210439325U (zh) 用于模块化建筑的柱脚节点
JP6391134B2 (ja) 解体方法および解体システム
JP6508959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CN113323447A (zh) 一种钢结构吊装施工的临时支撑装置
JP7363873B2 (ja) 建築物のリフォーム方法
KR20100101888A (ko) 철근받침구조체
JP6464459B2 (ja) 柱脚金具及び柱脚金具を備える建物ユニット並びにその設置方法
KR102297785B1 (ko) 공동주택의 층고확장 및 층간소음 저감형 리모델링 골조 시공방법
JP5301508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支持方法および支持冶具
CN113323362B (zh) 基于底部钢平台的高空支撑操作架
CN213869194U (zh) 一种建筑施工用承重支架
CN219196838U (zh) 装配式建筑用支撑体系
CN214144689U (zh) 装配式建筑现浇剪力墙模板安装及构件安装矩形钢架
CN220618041U (zh) 一种外用施工电梯的钢梁基础结构
CN220599309U (zh) 一种预制混凝土梁侧面搁置支架体系
CN219471224U (zh) 一种建筑钢架连接安装结构
JP7182383B2 (ja) 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CN113323361B (zh) 基于底部钢平台的高空支撑操作架的施工方法
JP2010196278A (ja) 柱梁架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