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1888A - 철근받침구조체 - Google Patents

철근받침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1888A
KR20100101888A KR1020090020319A KR20090020319A KR20100101888A KR 20100101888 A KR20100101888 A KR 20100101888A KR 1020090020319 A KR1020090020319 A KR 1020090020319A KR 20090020319 A KR20090020319 A KR 20090020319A KR 20100101888 A KR20100101888 A KR 20100101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upport
fixed
bas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1270B1 (ko
Inventor
윤상문
김영춘
Original Assignee
(주)바로건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로건설기술 filed Critical (주)바로건설기술
Priority to KR102009002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27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상방향 사선부재에 의해 피라미드(Pyramid) 형태로 구성되어 기초상부철근을 처짐없이 지지하는 철근받침구조체로서,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를 모두 연결해주는 수평방향의 수직좌굴방지부재인 수평부재가 1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와 수평부재들이 만나는 절점과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들이 만나는 상부절점은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절점에는 기초상부철근을 받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받침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철근받침구조체에 의하면, 기초상부철근을 일정하게 받쳐 처짐을 방지함으로써 기초의 구조적 성능을 증대시키고, 공장제작으로 품질확보가 용이하며, 삼각뿔 또는 사각뿔 형태로 일정한 강성이 확보되어 기초상부철근 위에서 작업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수직부재, 수평부재, 기초상부철근, 받침대,

Description

철근받침구조체{Support for a upper reinforcing bar of footings}
본 발명은, 철근받침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지반 상부에 설치되어 수직좌굴을 방지하면서 기초상부철근을 처짐 없이 받쳐줌과 동시에 현장작업자들이 기초상부철근 위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기초상부철근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철근받침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축조를 위한 기초공사에는 기초하부근과 기초상부철근이 설치되는데, 최근 들어 초고층 건물이 일반화되면서 매트(MAT) 기초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기초상부철근이 기초 지반 상부에 타설되는 버림콘크리트층으로부터 높게 설치되고 기초공사에 소요되는 철근의 배근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초상부철근의 처짐을 방지하고 배근된 기초상부철근 위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하기 위하여 기초상부철근의 하부에는 철근받침구조체의 설치가 요구되었다.
종래에는 기초상부철근 하부에 설치되는 철근받침구조체에 대하여 특별히 규격화된 구조체나 시공 방법이 없었으므로, 현장에서 작업하는 철근공이 기초공사시 기초상부철근 하부에 철근받침구조체를 Z형, ㄷ형 등의 임의의 형태로 만들어 설치함에 따라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철근받침구조체를 현장에서 제작하여 설치함에 따라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 제2006-129865호로 철근 고임용 부재가 공개된 바 있고, 선 공개된 특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받침구조체의 기능을 가지는 철근 고임용 부재의 기본틀을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 형태의 기본틀(1)과 그리고 지지재(2)를 제작한 후, 현장에서 철근공이 상기 기본틀(1)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지재(2)로 용접, 볼트 체결 또는 기타 긴결재 등으로 조립하여 기초상부철근을 떠받쳐 줄 수 있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표준 도면에 의한 설계 시공으로 현장 시공 감리가 용이하고, 철근 고임용 부재의 기본틀(1)과 지지재(2)를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선 공개된 철근 고임용 부재는, 기본틀(1)과 기본틀(1)이 지지재(2)로 결합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작용하는 응력의 대부분을 기본틀(1)이 지탱하고, 상기 지지재(2)는 단지 기본틀(1)과 기본틀(1)을 연결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공사 작업도중 발생하는 수평력과 수직력에 따른 수직좌굴이 발생되고, 특히 이러한 수직좌굴은 버림콘크리트층 상부에 설치된 철근 고임용 부재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현장 철근공이 기초상부철근 작업을 하는 도중 예기치 않게 발생되는 등 기초공사에 있어서 안정성 확보가 문제시 되었다.
또한, 상기 바탕콘크리트층이 평활하지 않거나 기초상부철근이 수평으로 평탄하게 위치하지 않은 경우, 일정한 길이로 규격화된 철근 고임용 부재를 바탕콘크 리트층 상부에 설치한 후, 철근 고임용 부재 상단에 기초상부철근을 설치할 시, 철근 고임용 부재가 기초상부철근을 견고하게 지지하는데도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상부철근의 처짐없이 견고하게 지지하여 기초의 유효깊이를 확보함으로써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근받침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작업자들이 상부에 배근된 기초상부철근 위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받침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철근받침구조체는, 3개 이상의 상방향 사선부재에 의해 피라미드(Pyramid) 형태로 구성되어 기초상부철근을 처짐없이 지지하는 철근받침구조체로서,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를 모두 연결해주는 수평방향의 수직좌굴방지부재인 수평부재가 1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와 수평부재들이 만나는 절점과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들이 만나는 상부절점은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절점에는 기초상부철근을 받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받침대가 설 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철근받침구조체에 의하면, 기초상부철근을 일정하게 받쳐 처짐을 방지하므로서 기초의 구조적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간소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철근받침구조체에 의하면, 다수의 사선부재에 수평부재를 연결하여 고정시킨 삼각뿔 및 사각뿔 형태로 일정한 강성이 확보됨으로써, 현장작업자가 상부에 배근된 기초상부철근 위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철근받침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 철근받침구조체는, 3개 이상의 상방향 사선부재(110)에 의해 피라미드(Pyramid) 형태로 구성되어 기초상부철근(10)을 처짐없이 지지하는 철근받침구조체(100)로서,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110)를 모두 연결해주는 수평방향의 수직좌굴방지부재인 수평부재(120)가 1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110)와 수평부재(120)들이 만나는 절점과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110)들이 만나는 상부절점(111)은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절점(111)에는 기초상부철근(10)을 받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받침대(130)가 설치된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받침대(130)는 '-'형상, 'v'형상, 'u'형상 중 어느 하나의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받침대(130)의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절점(111)에는 암나사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받침대(130)에는 수나사부(13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110)가 최하단 수평부재(120) 아래로 연장되어 바닥고정다리(112)를 형성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동일한 3개 이상의 상방향 사선부재(110)를 경사지게 하여 삼각뿔 또는 사각뿔의 피라미드 형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110) 단부가 만나는 상부절점(111)은 용접으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110)에 1개 이상의 수평부재(120)를 연결하는데, 상기 수평부재(120)와 상방향 사선부재(110)의 절점은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철사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로 묶어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재(120)는,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110)의 형태, 즉 삼각뿔 또는 사각뿔 등의 다각뿔의 형태에 따라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이는 수평봉을 다각뿔의 절곡된 각 수에 맞게 절곡시켜 삼각뿔이면 삼각형으로, 사각뿔이면 사각형으로 절곡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120)를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110) 단부 내측에 고정시켜 바닥고정다리(112)가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절점(111)에 'ㅡ'형상, 'v'형상, 'u'형상의 고정받침대(130)를 고정하며, 상기 상부절점(111)에 형성된 암나사부(131)에 고정받침대(130)의 수나사부(132)를 체결하여 철근받침구조체(100)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완성된 본 발명은,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림콘크리트층(20) 상면에 격자형으로 기초하부철근(11)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초하부철근(11) 상면에 철근받침구조체(100)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철근받침구조체(100)의 고정받침대(130)에 기초상부철근(10)을 격자형으로 안착시킨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받침대(130)의 정.역회전에 따라 고정받침대(130)의 수나사부(132)가 상부절점(111)의 암나사부(131)의 상.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을 통해 고정받침대(130)가 상부절점(111)의 상.하부로 이동하면서 기초상부철근(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초상부철근(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받침 대(130)의 양단부에 절곡된 절곡부(133)에 걸려 이탈되지 않으면서 철근받침구조체(100)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철근받침구조체(100)는, 형강, 강봉의 금속재로 형성되나, 인장 및 압축강도가 높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GRP)이나 탄소섬유보강재 등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철근받침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철근받침구조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철근받침구조체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철근받침구조체에 기초상부철근이 안착되는 상태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기초상부철근의 높이를 조절하는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고정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00: 철근받침구조체 110: 상방향 사선부재
120: 수평부재 130: 고정받침대
131: 암나사부 132: 수나사부

Claims (3)

  1. 3개 이상의 상방향 사선부재에 의해 피라미드(Pyramid) 형태로 구성되어 기초상부철근을 처짐없이 지지하는 철근받침구조체로서,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를 모두 연결해주는 수평방향의 수직좌굴방지부재인 수평부재가 1개 이상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와 수평부재들이 만나는 절점과 상기 상방향 사선부재들이 만나는 상부절점은 용접으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절점에는 기초상부철근을 받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받침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대는 '-'형상, 'v'형상, 'u'형상 중 어느 하나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조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대의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절점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받침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 조체.
KR1020090020319A 2009-03-10 2009-03-10 철근받침구조체 KR101111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319A KR101111270B1 (ko) 2009-03-10 2009-03-10 철근받침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319A KR101111270B1 (ko) 2009-03-10 2009-03-10 철근받침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888A true KR20100101888A (ko) 2010-09-20
KR101111270B1 KR101111270B1 (ko) 2012-02-21

Family

ID=4300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319A KR101111270B1 (ko) 2009-03-10 2009-03-10 철근받침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2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3772A2 (ko) 2010-10-19 2012-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249408B1 (ko) * 2011-09-01 2013-04-09 류승일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용 철근 받침기둥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철근 배근방법
WO2023045557A1 (zh) * 2021-09-24 2023-03-30 天津市水利工程有限公司 一种完全装配式混凝土板马凳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867A (ja) 2000-03-29 2001-10-10 Eiji Tomiyasu スラブ配筋用スペーサ
JP4705365B2 (ja) 2004-12-07 2011-06-22 シーシーアイ株式会社 基礎構築用の支持具及びその取付構造
KR200390405Y1 (ko) 2005-05-07 2005-07-21 조홍준 철근 받침구
JP3997241B2 (ja) 2005-09-08 2007-10-24 株式会社高橋製作所 鉄筋用スペーサ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3772A2 (ko) 2010-10-19 2012-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1249408B1 (ko) * 2011-09-01 2013-04-09 류승일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용 철근 받침기둥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철근 배근방법
WO2023045557A1 (zh) * 2021-09-24 2023-03-30 天津市水利工程有限公司 一种完全装配式混凝土板马凳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270B1 (ko)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399B1 (ko) 격자 형상의 드롭패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91208B1 (ko) 개량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강재띠장 및 이의 시공방법
JP6289046B2 (ja) 仮設架台
KR20110013661A (ko) 타워크레인용 고정지지체
KR200486454Y1 (ko) Rc보용 거푸집 보강대
CN204163364U (zh) 一种电梯井支模和操作钢平台
CN211396814U (zh) 支撑横梁与支撑柱连接稳定的钢架厂房
KR101111270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100760435B1 (ko) 신축조절 가능한 가설 지주
KR10081437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1572245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110019051A (ko) 보강수단을 구비한 빔
CN113137046A (zh) 一种锚固式工字钢悬挑架构件及施工方法
KR101105883B1 (ko) 고층 콘크리트 건축물의 기초 매트 시공 방법
KR102269140B1 (ko) Rc 보 영구 거푸집 거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rc 보 시공 방법
KR20100133530A (ko) 상부철근받침구조체
CN211597650U (zh) 一种悬挑式脚手架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100004374U (ko) 트러스형 합벽 지지대
KR100402030B1 (ko) 층고저감을위한철골콘크리트조의거푸집장착구조
KR20090067927A (ko) 수직 강선을 이용한 아웃리거 보강구조
KR200394923Y1 (ko) 타워크레인의 고정장치
JP6021588B2 (ja) 架台
CN217106264U (zh) 一种阳台临边防护体系
CN217651844U (zh) 悬挑式施工电梯混凝土基础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