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405Y1 - 철근 받침구 - Google Patents

철근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405Y1
KR200390405Y1 KR20-2005-0012821U KR20050012821U KR200390405Y1 KR 200390405 Y1 KR200390405 Y1 KR 200390405Y1 KR 20050012821 U KR20050012821 U KR 20050012821U KR 200390405 Y1 KR200390405 Y1 KR 200390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support
shap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준
Original Assignee
조홍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홍준 filed Critical 조홍준
Priority to KR20-2005-0012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4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4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을 건축할 때 각층의 슬라브에 매설되는 철근을 받쳐주는 철근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몰탈로 형성되며, 몸체의 상면에는 한개의 철근받침홈이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두개의 철근받침홈이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철근받침구는 몸체가 장지름과 단지름을 갖는 마름모꼴 형상면으로 형성되게 하여 "+"자형으로 형성되는 양측 철근받침홈 각각의 받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또한 마름모꼴의 각 모서리부분이 라운드처리되어 호형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철근받침구의 몸체 하부에는 장지름 방향 또는 단지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해 바닥부분으로는 개구된 채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철근수용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철근 받침구{Supporter for iron reinforcing rod}
본 고안은 건축물을 건축할 때 각층의 슬라브에 매설되는 철근을 받쳐주는 철근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몰탈로 제조되는 철근받침구의 강도는 기존의 시멘트몰탈제 철근받침구와 거의 같은 강도를 가지도록 하면서 성형틀에서의 제조시 탈형이 잘되고 시멘트몰탈의 재료를 절감시키면서 철근받침홈의 받침면적은 넓게 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건축물 슬라브의 내부에 상,하부 철근을 복수단으로 매설시킬 경우에는 하부철근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고 그 직상방에 배설되는 상부철근만을 받쳐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철근받침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각층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해서 슬라브 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설한 다음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축하게 된다.
종래 시멘트몰탈로 제조되는 철근받침구는 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 7의 도시와 같이 철근받침대(100)의 상,하면을 정사각형이 되도록 제조하게 될 경우에는 그 정사각형의 상면에 형성되는 철근받침홈(200)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향해 한줄만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철근받침홈(200)의 양측 상면(110)의 간격(d)이 좁게 형성되더라도 양측 상면(110)이 철근받침홈(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양측 상면(110)은 철근받침구(100)에서 요구하는 강도를 가지고 있게 되지만, 상기 철근받침구(100)의 상면에 "+"자형으로 두개의 철근받침홈(200)(210)이 형성시킬 경우에는 도 8의 도시로 나타낸 평면도와 같이 좁은 간격(d)을 갖는 양측 상면(110)을 가로 지르도록 형성되는 또하나의 철근받침홈(210)에 의하여 양측 상면(110) 각각은 철근받침구(100)의 각 코너부분에서 서로 이완된 상태로 네개의 코너상면(120)이 형성되어지며, 이에 따라 각 코너상면(120)의 강도가 약해져 철근받침구(100)를 운반하는 도중에 철근받침구끼리 부딪치게 될 때 또는 취급하는 도중에 철근 등에 부딪치게 될 때 강도가 약해진 각 코너상면(120)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게 될 뿐 아니라 상기의 철근받침홈(210)의 받침면적이 다른 철근받침홈(200)의 받침면적에 비하여 훨씬 작아지게 되어 철근받침홈(210)으로 철근을 받쳐주게 될 때에는 그 받침상태가 매우 불안정한 상태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 철근받침구(100)의 상면에 철근받침홈을 "+"자형으로 형성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철근받침구(100)의 상,하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게 제조하고 있는바, 이와 같이 제조되는 철금받침구(100)의 상면에 "+"자형으로 형성되는 두개의 철근받침홈들 중 너비가 좁게 형성되는 쪽으로 형성되는 일측 철근받침홈(200)은 반경이 크고 깊이가 깊게 형성되고, 너비가 넓게 형성되는 쪽으로 형성되는 타측 철근받침홈(210)은 반경이 작고 깊이는 낮게 형성되게 하는 수단으로, 상기한 일측 철근받침홈(2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면이 일측 철근받침홈(200)과 철근받침구(100)의 양측 끝단 사이의 간격(d1)이 넓어지게 하므로서 양측 상면 각각의 중심부를 타측 철근받침홈(210)이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더라도 각 코너부분에서 서로 이완된 상태로 형성되는 코너상면(110)이 넓게 형성된 간격(d1)에 의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게 되며, 또한 "+"자형으로 형성된 철근받침홈(200)(210) 각각은 받침면적이 넓게 형성되게 되어 철근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철근받침구(100)의 상면에 "+"자형으로 형성되는 철근받침홈(200)(210)들의 받침면적을 넓게 형성시키기 위해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하게 될 때에는 시멘트몰탈의 재료가 많이 들게되어 철근받침구(100)의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철근받침구(100)의 각 코너부분이 각(角)을 이루고 있어 성형틀에서 제조할 때 탈형이 잘 안되는 문제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단점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시멘트몰탈로 제조되는 철근받침구의 형상을 마름모꼴 형상을 이루도록 변화를 주는 수단으로 철근받침구의 상면에 철근받침홈을 "+"자형으로 형성하게 되더라도 양측 철근받침홈의 받침면적을 넓게 형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철근받침구 상면의 각 코너부분에서 서로 이완된 상태로 형성되는 코너상면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시 성형틀에서 탈형이 잘 될 수 있는 철근받침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하여 슬라브 거푸집 위에 상,하 2단상으로 철근을 배설할 때 하부철근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하부철근의 직상방에 배설되는 상부철근만을 받쳐줄 수 있는 철근받침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시멘트몰탈로 형성되며, 몸체의 상면에는 한개의 철근받침홈이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두개의 철근받침홈이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철근받침구는 몸체가 장지름과 단지름을 갖는 마름모꼴 형상면으로 형성되게 하여 "+"자형으로 형성되는 양측 철근받침홈 각각의 받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또한 마름모꼴의 각 모서리부분이 라운드처리되어 호형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근받침구의 몸체 하부에는 장지름 방향 또는 단지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해 바닥부분으로는 개구된 채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철근수용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철근 받침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철근받침구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철근 받침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철근받침구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철근받침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철근받침구(1)는 몸체(11)의 평단면이 네변의 길이가 같은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기존의 육면체 형상으로 된 종래의 철근받침구와는 차별화된 형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몸체(11)를 장지름(X)과 단지름(Y)을 갖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몸체(11)는 마름모꼴을 이루는 각 모서리부분이 라운드처리된 호형면(13a)(13b)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철근받침구(1)는 몸체(11)의 상단은 좁고 하단은 넓게 형성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철근받침구(1)의 몸체(11) 상면에는 대체로 하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의 단면을 가지는 두개의 철근받침홈(2a)(2b)이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반경이 크고 깊이가 깊게 형성되는 일측 철근받침홈(2a)은 단지름(Y)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반경이 작고 깊이가 낮게 형성되는 타측 철근받침홈(2b)은 장지름(X)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일측 철근받침홈(2a)은 단지름(Y) 방향 전부에 형성되어 있어 철근을 받쳐주는 받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타측 철근받침홈(2b)은 일측 철근받침홈(2a)에 의하여 양측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일측 철근받침홈(2a)의 양측에서 장지름(X) 방향의 양측 호형면(13b)까지의 거리가 길어진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한 타측 철근받침홈(2b)의 받침면적도 넓은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몸체(11)의 상면에 "+"자형으로 형성되는 양측 철근받침홈(2a)(2b)에 의하여 네곳에 서로 이완된 상태로 분리 형성된 각 코너상면(12)들은 장지름(X)쪽 방향으로의 간격(D)이 넓어진 만큼 단면적이 커진 상태가 되어 시멘트몰탈로 제조되는 철근받침구에서 요구하는 강도를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철근받침구(1)는 슬라브 거푸집(도시 없음) 위에 단층상태로 배설되는 철근을 받쳐줄 수 있는 높이로 제조되는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철근받침구(1a)는 슬라브 거푸집 위에 상,하 복층상태로 배설되는 상,하부 철근(4)(5) 중 상부철근(4)을 받쳐줄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것인데, 상기 철근받침구(1a)에는 하부철근(5)을 관통하는 수용할 수 있는 철근수용홈(3)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철근수용홈(3)이 철근받침구(1)의 바닥면에서 단지름(Y) 방향으로 절개된 상태로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한 철근수용홈(3)은 바닥면이 개구된 상태에서 하부철근(5)을 수용할 수 있는 높이까지 "∩"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철금받침구(1)(1a)의 몸체(11)는 평단면을 기준하여 볼 때 장지름(X)과 단지름(Y)을 갖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철근받침구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제조하는 것에 비하여 도 2 및 도 5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네곳의 코너부분(Z)의 단면적만큼의 재료를 절감하면서 네곳의 각 코너상면(12)들은 장지름(X) 방향을 향해 넓은 간격(D)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각 코너상면(12)들은 시멘트몰탈로 제조되는 철근받침구에서 요구되는 강도를 보유하게 되므로서 철근받침구(1)(1a)를 운반 및 설치하는 도중에 각 코너상면(12)이 쉽게 파손되지 않고, 또 철근받침홈(2a)(2b)의 받침면적이 넓은 상태이므로 상기 철근받침구(1)(1a)는 철근을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철근받침구(1)(1a)의 몸체(11)는 마름모꼴의 네 모서리부분이 라운드처리된 호형면(13a)(13b)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철근받침구(1)를 성형틀에서 제조할시 성형틀에서 성형된 철근받침구(1)(1a)의 탈형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철근받침구(1)(1a)는 건축물을 건설할 때 슬라브 거푸집 위에 배설되는 철근을 받쳐주는 것인데,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철근받침구(1)는 슬라브 거푸집 위에 철근이 단층상으로 배설될 때 사용되는 것이며,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철근수용홈(3)이 형성되어 있는 철근받침구(1a)는 슬라브 거푸집 위에 철근이 상,하 복수층으로 배설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배설된 하부철근(5)은 철근수용홈(3) 속에 수용되도록 철근받침구(1a)를 슬라브 거푸집에 세워주게 되면 하부철근(5) 직상방에 베설되는 상부철근(4)을 일측 철근받침홈(2a) 또는 타측 철근받침홈(2b)으로 받쳐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시멘트몰탈로 철근받침구를 제조함에 있어 철근받침구의 몸체를 장지름과 단지름을 갖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제조하는 수단으로 철근받침구의 상면에 "+"자형으로 철근받침홈을 형성하게 되더라도 단지름 및 장지름 방향으로 형성된 양측 철근받침홈 각각의 받침면적을 넓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철근받침구의 상면 각 코너부분에 이완된 상태로 형성되는 네곳의 코너상면 강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또 마름모꼴 모양으로 된 몸체의 네 모서리부분이 호형면으로 되어 있어 철근받침구 제조시 성형틀에서 탈형이 잘되어 생산성을 향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본 고안의 철근받침구는 기존의 육면체상으로 된 철근받침구에 비하여 단면적이 축소되어 재료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다주어 생산원가를 절감시켜서 가격경쟁력이 있는 철근받침구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철근 받침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철근받침구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철근 받침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철근받침구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종래 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철근받침구 11 : 몸체
12 : 코너상면 13a,13b : 호형면
2a,2b : 철근받침홈 3 : 철근수용홈
4 : 상부철근 5 : 하부철근

Claims (2)

  1. 시멘트몰탈로 형성되며, 몸체의 상면에는 한개의 철근받침홈이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두개의 철근받침홈이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철근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철근받침구는 몸체가 장지름과 단지름을 갖는 마름모꼴 형상면으로 형성되게 하여 "+"자형으로 형성되는 양측 철근받침홈 각각의 받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도록 하며, 또한 마름모꼴의 각 모서리부분이 라운드처리되어 호형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받침구의 몸체 하부에는 장지름 방향 또는 단지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해 바닥부분으로는 개구된 채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철근수용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구.
KR20-2005-0012821U 2005-05-07 2005-05-07 철근 받침구 KR200390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21U KR200390405Y1 (ko) 2005-05-07 2005-05-07 철근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21U KR200390405Y1 (ko) 2005-05-07 2005-05-07 철근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405Y1 true KR200390405Y1 (ko) 2005-07-21

Family

ID=4369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821U KR200390405Y1 (ko) 2005-05-07 2005-05-07 철근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4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70B1 (ko) 2009-03-10 2012-02-21 (주)바로건설기술 철근받침구조체
KR101127772B1 (ko) * 2009-02-16 2012-03-23 조홍준 철근 받침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772B1 (ko) * 2009-02-16 2012-03-23 조홍준 철근 받침구
KR101111270B1 (ko) 2009-03-10 2012-02-21 (주)바로건설기술 철근받침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1735C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s utilizing insulated concrete forms
US8800236B2 (en) Construction block
BR0012399A (pt) Elemento de molde perdido para a construção de lajes lisas de concreto reforçadas tradicionais
US20020017070A1 (en) Plastic module for insulated concrete waffle wall
US20150040505A1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8973322B2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CN103797197A (zh) 预铸整体式墙与楼板的建筑结构
KR200390405Y1 (ko) 철근 받침구
CN115538676A (zh) 一种预制不出筋叠合板及其施工方法
CN205804713U (zh) 一体结构t型墙体砂浆模块和用墙体模块浇注成的t型墙体
KR200407431Y1 (ko)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
US20140196392A1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CN104196115B (zh) 地下室集水坑结构
JP2002054261A (ja) 多機能合成スラブ及び工法
KR200262326Y1 (ko) 철근 결속용 스페이서
WO2001000943A1 (en) Hollow filler block for a block-and-rib reinforced concrete slab
JPS6378927A (ja) 二重スラブの構築方法
CN203961003U (zh) 一种地下室集水坑结构
KR200257777Y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
JP7162988B2 (ja) ひび割れ制御方法
KR200242829Y1 (ko) 모서리 벽돌
KR200163869Y1 (ko)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KR200394572Y1 (ko) 반구형 철근 스페이셔
JP2007070876A (ja) かさ木ブロック
KR200286054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