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431Y1 -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431Y1
KR200407431Y1 KR2020050032621U KR20050032621U KR200407431Y1 KR 200407431 Y1 KR200407431 Y1 KR 200407431Y1 KR 2020050032621 U KR2020050032621 U KR 2020050032621U KR 20050032621 U KR20050032621 U KR 20050032621U KR 200407431 Y1 KR200407431 Y1 KR 200407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crete
stone
masonry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택봉
Original Assignee
동아석재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석재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석재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2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4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4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9Building elements with a natural stone facing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블록은 전면에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와, 상기 석재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콘크리트부를 가지며, 조적시 상기 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의 조적만으로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형틀을 사용하여 여러 형태의 블록을 일체형으로 제작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록들을 적합한 위치에 조적하는 것만으로 건물 및 구조물을 간단히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인건비를 낮추는 효과도 함께 도모할 수 있다.
단위블록, 마구리블록, 제1복합블록, 제2복합블록, 석재부, 콘크리트부, 고정체, 조립홈, 조립돌기

Description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A fabricated Block for Building and a laying Structure using the Block}
도 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블록의 사시도
도 1b, 도 1c, 도 1d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용 블록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구리블록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복합블록의 정면도이며, 도 3b는 상기 제1복합블록의 배면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복합블록의 정면도이며, 도 4b는 상기 제2복합블록의 배면 사시도
도 5a는 상기 단위블록의 횡방향 조적상태 예시도이며, 도 5b는 도 5a를 A-A'선에 따라 절개한 상태의 단면도
도 6a는 상기 단위블록과 상기 마구리블록의 횡방향 조적상태 예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c는 상기 단위블록과 상기 마구리블록의 종방향 조적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양한 블록들을 사용하여 축조된 건물의 내부를 도시한 조적상태 예시도
도 8은 건물 축조시 최상단의 슬라브에 사용되는 상기 제1복합블록 및 제2복합블록의 조적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위블록 11 : 반블록
10,30,511,532,711,735 : 석재부 13 : 일체형직선블록
12,32,513,533,713,737 : 콘크리트부 92 : 결합수단
90, 390, 590, 790 : 고정체 94 : 결합재료
3 : 마구리블록 31 : 마구리블록본체
34 : 돌출부 35 : 보강재용공간
95 : 보강재 5 : 제1복합블록
51 : 제1복합블록상부 53 : 제1복합블록하부
531 : 제1복합블록조립돌기 535 : 제1슬라브면
7 : 제2복합블록 71 : 제2복합블록상부
73 : 제2복합블록하부 731 : 제2복합블록조립홈
733 : 제2복합블록조립돌기 735 : 제2슬라브면
100,110 : 보충돌기 103 : 창틀
105 : 몰탈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블록은 전면에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와, 상기 석재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콘크리트부를 가지며, 조적시 상기 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의 조적만으로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구조재로는 벽돌, 블록, 철근콘크리트, 목재, 철강재 등이 사용된다. 상기 건축용 구조재 중 블록은 오래전부터 간단한 구조물에 이용되다가 근래에 와서는 철근콘크리트로 보강하여 주택, 아파트, 병원, 저장고, 공장 기타 벽체가 많은 건물 등에 사용이 증가되고 있어, 블록 산업제품 수요가 창출되고 이로 인한 시장수요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블록에 관련된 업종 종사자와 이와 관련있는 산업분야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건축용 구조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블록을 사용하여 건물 및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상기 블록 자체로는 외장 기능이 존재치 않으므로 상기 건물 및 구조물의 완공시 외부 마감을 위해서 별도로 외장 마감용 타일을 부착하거나 또는 특별한 미장처리를 하여야만 했다. 이러한 별도의 외부마감공사는 숙련된 고급인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고, 따라서 종래의 방법은 인력 및 공정 낭비는 물론 시공비 상승과 공기 지연 등의 문제점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몰탈만을 사용하여 블록과 블록을 결합하는 경우 결합의 견고함을 담보할 수 없는 바 완성된 건물 등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존재하였으 며, 종래의 블록들은 정형화된 형상 및 모양으로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건물 등의 끝단, 즉 마구리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로 축조된 건물 등을 지지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 밖에도 종래의 블록들을 사용하여 건물 등을 조적하는 경우, 창틀 등의 구조가 포함되는 부분에 있어서 통상의 블록만을 사용하게 되면, 몰탈만으로 상기 창틀 등의 구조부분 상측의 블록들을 결합하게 되어 결합의 견고성이 떨어지고 하부에 단단한 지지체가 존재치 않는 관계상 붕괴의 우려도 있을 수 있는바, 문제점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었고, 완성된 건물 등의 최상단 슬라브에 있어서도 상기 슬라브에 사용되는 시멘트를 상호 단단히 결속시킬 수 있는 부재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상기 시멘트간의 결속력이 부족하여 슬라브가 쉽게 금가거나, 더 심한 경우 슬라브면 자체가 조각조각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면에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와,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콘크리트부를 일체형으로 제작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록의 조적만으로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목적에다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에 고정체를 포함시킴으로써 조적시 상기 블록의 유동을 보다 확고히 방지하고, 완성된 건물 등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를 제공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목적에다가 다양한 형태의 거푸집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블록을 생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급변하는 건축기술의 조류에 부응하고 신속하고 안정적인 조립식 건물 등을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앞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단위블록은, 전면에 일정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와, 상기 석재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직육면체형상의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의 조적만으로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일정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블록 양생시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위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양생 후 상기 콘크리트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위블록의 조적시 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콘크리트부의 양측면상에 상호 엇갈리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마구리블록은, 블록본체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는 전면에 일정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 를 갖는 블록본체 석재부와, 상기 블록본체 석재부 후면에 부착되는 직육면체형상의 블록본체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전면에 일정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돌출 석재부와, 상기 돌출 석재부 후면에 부착되는 직육면체형상의 돌출 콘크리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조적하고자 하는 건물 내지 구조물의 마구리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블록은, 일정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마구리블록 양생시 상기 블록본체 석재부와 상기 돌출 석재부 후면에 위치되어 상기 블록본체 콘크리트부와 상기 돌출 콘크리트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양생 후 상기 블록본체 콘크리트부와 상기 돌출 콘크리트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구리의 조적시 상기 마구리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블록은, 상기 돌출 콘크리트부에 인접한 상기 블록본체 콘크리트부의 일정위치에서 돌출되는 고정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1복합블록은, 블록상부와 블록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상부는 전면에 일정 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상부 석재부와; 조적된 건물의 최상단 슬라브 타설시 기준면이 되는 슬라브면과 슬라브 타설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보충돌 기를 가지고, 상기 상부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어 'ㄴ'자 직각 절곡구조로 형성되는 상부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하부는 상기 블록상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전면에 일정 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하부 석재부와; 상기 하부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직육면체형상의 하부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콘크리트부는 상기 블록상부의 양측면 하단으로부터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조립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복합블록은, 일정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복합블록 양생시 상기 상부 석재부와 상기 하부 석재부 후면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콘크리트부와 상기 하부 콘크리트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양생 후 상기 상부 콘크리트부와 상기 하부 콘크리트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라브 타설시 상기 제1복합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제2복합블록은 블록상부와 블록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상부는 전면에 일정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상부 석재부와; 조적된 건물의 최상단 슬라브 타설시 기준면이 되는 슬라브면과 슬라브 타설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보충돌기를 가지고, 상기 상부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어 'ㄴ'자 직각 절곡구조로 형성되는 상부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하부는 상기 블록상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블록상부의 일측면 하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입되어 형성되는 조립홈과, 상기 블록상부의 반대측면 하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립돌기를 포함하며, 전면에 일정 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하부 석재부와; 상기 하부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고 직육면체형상의 하부 콘크리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복합블록은, 일정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복합블록 양생시 상기 상부 석재부와 상기 하부 석재부의 후면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콘크리트부와 상기 하부 콘크리트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양생 후 상기 상부 콘크리트부와 상기 하부 콘크리트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라브 타설시 상기 제2복합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건축용 블록의 조적구조는, 제 2 실시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건물 및 구조물을 조적하는 경우 상기 블록들을 일렬로 정렬하고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양측면에 포함된 상기 고정체들을 결합수단으로 결합한 후 결합재료로 충전함으로써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건축용 블록의 조적구조는, 제 2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건물 및 구조물의 마구리를 조적하는 경우, 상기 제 2 실시예의 블록의 일측면과 상기 제 5 실시예의 돌출부의 일측면이 평행하도록 상기 블록들을 정렬하고,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양측면에 포함된 상기 고정체들을 결합수단으로 결합하며, 인접한 양측면 사이에서 생성되는 보강재용 공간에 보강재를 포함시킨 후 결합재료로 충전함으로써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건축용 블록의 조적구조는, 제 7 실시예 및 제 9 실시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건물 및 구조물의 슬라브를 조적하는 경우, 상기 제 7 실시예의 블록의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제 9 실시예의 블록의 상기 조립홈에 수납되도록 상기 블록들을 정렬하고,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양측면에 포함된 상기 고정체들을 결합수단으로 결합한 후 결합재료로 충전함으로써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1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조립식 건축용 블록의 조적구조는, 제 2 실시예, 제 5 실시예, 제 7 실시예 및 제 9 실시예의 블록을 사용하여 건물 및 구조물을 조적하는 경우, 건물 및 구조물의 면을 조적하는 경우에는 제 10 실시예의 조적구조에 따라 조적하고, 마구리의 조적시에는 제 11 실시예의 조적구조에 따라 조적하며, 슬라브의 조적시에는 제 12 실시예의 조적구조에 따라 조적함으로써 상기 블록들간의 결합이 견고히 될 수 있도록하고, 마구리가 조적된 건물 및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하며, 슬라브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블록 중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단위블록(1)을 나타낸 것이며, 도 1b는 상기 단위블록(1)을 반으로 나눈 반블록(11)을, 도 1c는 상기 단위블록(1) 2개를 저면에 배치한 후 상부에 단위블록(1)을 추가한 상태의 블록을, 그리고, 도 1d는 상기 단위블록(1) 2개를 상하로 배치한 상태의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c 및 도 1d의 블록들도 상기 단위블록(1)과 마찬가지로 형틀을 통해 일체형으로 성형되며, 다만 조적완료 후 완성된 건물 등의 전면에서 보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들이 하나씩 차례로 조적된 듯한 느낌이 들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블록들의 전면 석재부는 단위블록(1)별로 구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수개의 단위블록(1)들을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하나의 블록을 만드는 경우, 상기 단위블록(1)들의 열과 행이 엇갈리도록 하여 완성된 건물 등의 심미감을 고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건물 등의 마구리에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구리블록(3)을 나타낸 것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건물 등의 최상단 슬라브에서 사용되는 제1복합블록(5)을 나타내었으며,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제1복합블록(5)과 마찬가지로 건물 등의 최상단 슬라브에서 사용되는 제2복합블록(7)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블록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를 기준으로 자명하다 할 것이며 하기 일체형직선블록(13)의 경우, 상기 단위블록(1) 수개를 횡방향으로 나열한 상태로 일체형으로 제작된 블록인바 도면에 따로 도시하지는 않았다.
이하, 각각의 블록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단위블록(1)은 석재부(10), 콘크리트부(12), 그리고 조적시 상기 블록(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90)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블록(1)은 통상의 콘크리트블록과 마찬가지로 직육면체형상을 가지 며, 상기 석재부(10)는 화강암 기타 석재를 소정 두께의 판재로 가공한 뒤 하기 콘크리트부(12)에 부착한 것으로 상기 단위블록(1) 조적시 석재에 의하여 건물이 조적된 느낌이 들 수 있도록 단위블록(1)의 전면에 배치된다.
상기 콘크리트부(12)는 상기 석재부(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데, 먼저 거푸집 등의 형틀을 준비하고, 상기 형틀의 저면에 상기 석재부(10)를 배치하며, 상기 콘크리트부(12)를 구성하는 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철근 등을 설치한 후, 상기 형틀에 콘크리트를 부움으로써 상기 석재부(10)의 후면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철근 등은 하기 고정체(9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부(1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철근 등이 녹이 스는 문제점 및 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 저하의 문제점 등이 없도록 양질의 철근을 사용하도록 하고, 콘크리트공사시 산의 첨가로 인해 철근이 녹이 슬거나 알카리의 첨가로 인해 철근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없도록 깨끗한 용수를 사용하며 상기 용수를 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염분 0.0005이하, 그밖의 산 또는 알카리성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중성수를 쓰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1)의 제조방법은 하기 여러 형태의 블록들에 있어서도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이하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고정체(90)는 상기 콘크리트부(12)의 양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단위블록(1)들의 횡방향 조적시 조적된 상기 단위블록(1)들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블록(1)의 생산과정 중 포함된 철근의 길이를 상기 콘크리트부(12)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하여 상기 콘크리트부(12)의 양측면 으로 상기 철근이 돌출되게 함으로써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체(90)를 상기 단위블록(1)의 생산과정 중, 형틀에 콘크리트를 붓기 전에 별도로 포함시키는 것은 비용이나 시간면에서 불리한 점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체(90)는 임의의 형상을 취하여도 무방하나 상기 콘크리트부(12)의 측면으로 철근이 돌출되도록 하는 경우라면 통상의 철근 형상을 띄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체(90)의 길이 및 상기 콘크리트부(12)상의 위치는 하기 조적구조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인데, 상기 고정체(90)의 길이는 상기 단위블록(1)의 길이(L1)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한다. 이 경우, 전술한 수개의 단위블록(1)들을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다른 일체형 블록들의 전면 석재부(10)상의 단위블록(1)들의 이격된 거리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고정체(90)의 길이를 선택하도록 하며, 상기 단위블록(1)들의 조적시 결합강도 및 미관을 고려하여 볼 때, 상기 단위블록(1)의 길이(L1)가 1000mm라고 하면 상기 고정체(90)의 길이는 10~15mm 정도, 즉 상기 단위블록(1) 길이의 1/100 ~ 3/200 정도가 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부(12)상의 상기 고정체(90)의 위치는 상기 단위블록(1)마다 다소 다르게 설정해야 하는데, 이는 상기 단위블록(1)들의 횡방향 조적시 이웃하는 상기 단위블록(1)들이 일렬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좌우로 위치한 상기 고정체(90)간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하기 마구리블록(3), 제1복합블록(5) 및 제2복합블록(7)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블록들 내에 포함되는 고정체들의 위치는 서로 달라져야 한다.
이 외에도, 상기 고정체(90)는 필요에 따라 상기 단위블록(1)의 일측면에만 포함될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상기 고정체(90)의 기능, 형상, 길이 및 위치 등은 하기할 모든 블록들간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다소의 차이가 있는 부분은 해당부분에서 별도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마구리블록(3)은 마구리블록본체(31), 돌출부(34) 및 고정체(390)를 포함한다.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는 소정의 길이(L2), 두께(T2) 및 높이(H2)를 가진 직육면체형상으로 블록본체 석재부(30) 및 블록본체 콘크리트부(32)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 석재부(30)는 하기 돌출 석재부(35)와 연결되는 일측면까지 연장된다.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길이(L2), 두께(T2) 및 높이(H2)는 상기 단위블록(1)의 길이(L1), 두께(T1) 및 높이(H1)와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단위블록(1)과 상기 마구리블록(3)을 이용하여 마구리를 조적하는 경우 상하좌우로 위치되는 상기 블록들간의 정렬을 통한 미관확보와, 조적된 마구리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이다.
상기 돌출부(34)는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일측면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와 마찬가지로 돌출 석재부(35) 및 돌출 콘크리트부(36)를 포함하고, 소정의 길이(L3 - T2), 높이(H2) 및 두께(T3)를 가진다. 하기 보강재용공간(35)이 지나치게 넓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34)의 길이(L3 - T2)는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두께(T2)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마구리의 조적시 상기 단위블록(1)들이 열과 행을 바꾸어 차례로 어긋나게 조적된 느낌이 들 수 있도록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 두께(T2)의 3/5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도 7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진다.
상기 돌출부(34)의 길이(L3 - T2) 와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두께(T2)의 합, 즉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전면 끝단에서 상기 돌출부(34)의 측면 끝단까지의 길이(L3)는 상기 단위블록의 길이(L1)의 절반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건물 등의 조적시 완성된 건물의 전면 석재부가 상기 단위블록(1)들이 열과 행이 엇갈려 형성된 것으로 보이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돌출부(34)의 두께(T3)는 상기 단위블록(1)의 두께(T1)보다 작게 구성하는데 이는 상기 단위블록(1)과 상기 마구리블록(3)을 사용하여 마구리를 조적하는 경우 하기 보강재(95)가 삽입될 보강재용공간(35)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체(390)는 상기 블록본체 석재부(30)와 인접하지 않는 상기 블록본체 콘크리트부(3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보강재용공간(35)의 생성위치(T1 - T3)에 형성되어 상기 보강재(95)와 결합함으로써 조적된 마구리의 결속을 더욱 공고히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돌출 콘크리트부(36)의 일측면에도 상기 고정체(390)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돌출부(34)와 마주하는 상기 단위블록(1)의 측면상 고정체(90)는 모두가 상기 보강재용공간(35) 또는 상기 돌출부(34)의 측면과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하거나, 일부만 상기 돌출부(34)의 측면과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하고 다른 부분은 상기 보강재용공간(35)에 위치하게 하여 결합된 마구리의 결속이 강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블록본체 콘크리트부(32)의 측면에도 상기 고정체(390)를 둘 수 있으며 상기 단위블록(1)과의 조적시 인접하는 측면상의 상기 고정체(90,390)들의 위치가 서로 달라져야 함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복합블록(5)은 제1복합블록상부(51), 제1복합블록하부(53) 및 고정체(5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복합블록상부(51)는 상부 석재부(511) 및 상부 콘크리트부(51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석재부(511)는 판재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상기 단위블록(1)들이 배열되어 조적시 상기 단위블록(1)들에 의해 조적된 느낌이 들도록 한다.
상기 상부 콘크리트부(513)는 'ㄴ'자 형상의 직각 절곡구조로 형성되며, 제1슬라브면(535) 및 보충돌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슬라브면(535)은 상기 제1복합블록(5)이 조적된 건물 등의 최상단에 사용되어 조적 완료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만드는 경우에 그 기준면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평면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보충돌기(100)는 소정의 길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슬라브면(535)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브의 양생시 타설되는 콘크리트간의 부착강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복합블록(5)의 상면의 두께(T4) 및 상기 제1슬라브면(535)의 두께 (T5)의 합(T4 + T5)은 상기 단위블록(1)의 두께(T1)과 동일하게 하며, 상기 제1복합블록(5)의 상면에서 상기 제1슬라브면(535)에 이르는 높이(H3) 및 상기 슬라브면(535)의 일단에서 상기 제1복합블록상부(51)의 끝단에 이르는 높이(H4)의 합(H3 + H4)은 상기 단위블록(1)의 높이(H1)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복합블록상부(51)의 길이(L4)는 상기 제1복합블록(51)을 구성하는 상기 단위블록(1)의 수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제1복합블록하부(53)는 소정의 길이(L4 + 2 * L5), 두께(T6) 및 높이(H5)를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을 지니며 상기 상부(51)와 마찬가지로 전면에 판재형상의 하부 석재부(532)가 포함되고 후면에 하부 콘크리트부(533)를 가진다. 상기 하부 석재부(5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복합블록상부(51)의 상부 석재부(511)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단위블록(1)들이 열과 행을 바꾸어 어긋나게 교대로 조적된 느낌이 들수 있도록 수개의 단위블록(1)들이 포함된 형상을 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복합블록하부(53)는 상기 제1복합블록상부(51)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1복합블록상부(51)의 양측면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직육면체형상의 돌출부, 즉 제1복합블록조립돌기(531)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제1복합블록조립돌기(531)의 길이(L5)는 상기 단위블록(1)의 길이(L1)의 절반 정도가 되도록 하고, 두께(T6) 및 높이(H5)는 상기 단위블록(1)과 동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체(59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복합블록상부(51)의 상부 콘크리트 부(511) 양측면과 상기 제1복합블록하부(53)의 하부 콘크리트부(531) 양측면 모두에, 또는 일측면에만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복합블록(5)의 양생시 블록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포함되는 철근이 블록 전체를 관통하여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위치, 길이 등은 상기 단위블록(1)의 경우와 같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2복합블록(7)은 제2복합블록상부(71), 제1복합블록하부(73) 및 고정체(79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복합블록상부(71)는 상기 제1복합블록상부(51)보다 하나 더 많은 단위블록(1)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일 뿐, 상기 제2복합블록상부(71) 및 상기 고정체(790)의 내용은 상기 제1복합블록(5)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제2합블록하부(73)는 상기 제2복합블록상부(71)와 같은 소정의 길이(L6)와, 소정의 두께(T9) 및 높이(H8)를 포함하는 직육면체 형상을 지니며, 전면에 판재형상의 하부 석재부(736)가 포함되고 후면에 하부 콘크리트부(737)를 가진다. 상기 하부 석재부(73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복합블록상부(71)의 상부 석재부(711)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단위블록(1)들이 열과 행을 바꾸어 어긋나게 교대로 조적된 느낌이 들수 있도록 수개의 단위블록(1)들이 포함된 형상을 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복합블록하부(73)는 상기 제2복합블록상부(71)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제2복합블록상부(71)의 일측면 하단에서 직육면체형상의 돌출부가 소정의 길이(L7)만큼 돌출되어 제2복합블록조립돌기(733)가 형성되고, 반 대측면 하단에서 직육면체형상의 소정의 길이(L7)를 가진 수납홈이 형성되어 제2복합블록조립홈(731)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며, 상기 제2복합블록조립돌기(733) 및 상기 제2복합블록조립홈(731)의 길이(L7)은 모두 상기 단위블록의 길이(L1)의 절반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제2복합블록(7)은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제2복합블록하부(73)가 상기 제2복합블록상부(71)의 일측면에서 소정 길이(L7), 즉 상기 반블록(11)의 길이만큼 길이방향으로 밀려 들어간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하 상술한 수개의 블록들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상기 블록들을 조적하는 조적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블록(1)들의 횡방향 조적시, 그 조적구조는 상기 단위블록(1)들을 일렬로 배열하고, 상기 블록(1)들의 인접한 양측면에서 돌출되고, 측면상의 위치가 각각 다소 차이가 있는 상기 고정체(90)들을 소정의 결합수단(92)으로 결합한 후, 상기 양측면 사이의 공간에 소정의 결합재료(94)를 충전하여 상기 단위블록(1)들을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결합수단(92)으로는 용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합재료(94)는 통상적인 몰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조적구조에 대한 A-A'선에 따른 단면 확대도를 도 5b에 도시하였다.
상기 단위블록(1)들의 종방향 조적시에는 상하로 위치한 상기 단위블록(1)들을 서로 어긋나게 하여 지그재그형으로 결합한 모습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 본 고안의 블록들을 조적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적 된 블록들의 열과 행이 서로 엇갈리게 하여 지그재그형으로 결합한 모습이 나타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단위블록(1)과 상기 마구리블록(3)을 사용하여 건물 등의 마구리를 조적하는 조적구조는 먼저 상기 단위 블록(1)과 상기 마구리블록(3)을 나란히 배치시키고, 상기 단위블록(1)의 두께(T1)와 상기 돌출부(34)의 두께(T3)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보강재용 공간(35)에 보강재(95)를 채워 넣은 후, 상기한 소정의 결합재료(94)를 충전하여 조적되게 되며 이와 같이 조적된 모습의 A부분 확대도를 도 6b에 도시하였다.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에 포함되는 상기 고정체(390)는 상기 보강재(95)의 빈공간에 삽입되게 되고, 이 후 상기 결합재료(94)의 충전에 따라 통상의 철근구조물에 있어서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담당하는 철근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보강재(95)로는 벽돌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재료(94)로는 통상의 몰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단위블록(1)내의 고정체(90)는 앞서 살핀 것과 같이 상기 고정체(90)가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상술한 조적방법에 의해 상기 마구리블록(3)과 결합되어 마구리에 사용된 상기 블록들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조적된 하측 마구리의 상부에 상측 마구리을 조적하는 경우에는, 하측의 상기 마구리블록(3)과 상측의 상부 마구리블록(3)의 위치가 서로 바꾸도록 하여 상기 보강재용공간(35)이 지그재그형으로 생기도록 한다.
이는 상기 마구리블록(3)의 역할을 고려할 경우 분명해지는 사항인데, 상기 마구리블록(3)은 시공하고자 하는 건물 및 구조물의 끝단, 즉 마구리에서 사용되는 것인바, 상기 단위블록(1)만을 사용하여 조적시에는 조적된 건물 등의 주기둥이 생략되어 상기 단위블록(1)만으로는 완성된 건물 등의 하중을 받는 역할이 미흡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마구리블록 본체(31)와 수직으로 형성된 상기 돌출부(34)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제작되게 되고, 상기 마구리블록(3)을 이용하여 마구리을 조적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보강재용공간(35)이 지그재그형으로 생기게 함으로써 완성된 건물 등의 하중을 받는 상기 마구리블록(3)의 역할이 더욱 충실히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c의 물결선은 상기 단위블록(1)의 절단면을 표시하는 선이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블록을 사용하여 조적된 건물의 내부를 도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구리블록(3) 돌출부(34)의 길이(L3 - T2)가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 두께(T2)의 3/5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과,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길이(L2)가 상기 단위블록(1)의 길이(L1)와 같고,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전면 끝단에서 상기 돌출부(34)의 측면 끝단까지의 길이(L3)가 상기 단위블록(1)의 길이(L1)의 절반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고려시, 상기 보강재(95)의 길이를 상기 단위블록(1) 길이(L1)의 3/20가 되도록 함으로써 완성된 건물의 전면에서 볼 때 상기 단위블록들이 하나씩 차례로 열과 행을 바꾸어 엇갈려 조적된 느낌이 들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단위블록(1)의 길이(L1) 및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길이 (L2)를 1000mm로 하고,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전면 끝단에서 상기 돌출부(34)의 측면 끝단까지의 길이(L3)를 500mm로 하며,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두께(T2)는 350mm로 하고, 상기 보강재(95)의 두께를 100mm로 하고, 상기 돌출부(34)의 두께(T3)를 250mm로 하여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길이(L2)에서 상기 돌출부(34) 생성위치까지의 길이(L2 - T3)를 750mm로 함으로써 완성된 건물의 전면을 바라보게 되면 마구리에는 상기 반블록(11)이 위치하고 그 좌측 또는 우측으로는 상기 단위블록(1)들이 차례로 조적된 외관을 띄게 된다.
하열에 조적된 마구리의 상측에 다시 마구리을 조적하는 경우에는 도 6c와 같이 상기 마구리블록본체(31)의 길이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시켜야 함은 전술한 바와 같고, 상기와 같이 조적된 마구리의 좌우측으로는 상기 단위블록(1)들을 조적하여 완성하고자 하는 건물 등을 차례로 조적해 나가게 된다.
한편, 창틀(103)의 상측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단위블록(1)들을 결합하여 조적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일체형직선블록(13)을 이용하여 조적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건물의 문틀 또는 상기 창틀(103) 등의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들의 하중을 하부에 조적된 블록들이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하는데 상기 단위블록(1)만을 사용하여 조적하게 되면 이러한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견고히 결합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복합블록(5)과 상기 제2복합블록(7)은 조적하고자 하는 건물 등의 최상단 슬라브에서 사용되게 된다.
상기 슬라브를 조적하는 경우 먼저 상기 제1복합블록(5)을 조적해야 할 슬라 브면에 배치시키고 상기 제1복합블록조립돌기(531)와 상기 제2복합블록조립홈(731)을 인접하여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체(590,790)들을 소정의 결합수단(92)으로 결합하고, 그 사이의 공간에 소정의 결합재료(94)를 충전함으로써 조적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체(590,790)들의 위치 및 길이와, 상기 결합수단(92) 및 결합재료(94)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제2복합블록조립홈(731)이 한 쌍의 상기 제1복합블록조립돌기(531)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먼저 대칭적으로 형성된 상기 제2복합블록(7)을 준비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슬라브의 조적이 완료되면 상기 제1복합블록(5) 및 상기 제2복합블록(7)의 상기 슬라브(535,735) 위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슬라브면의 양생을 완료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보충돌기(100,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건물 등의 조적 완료 후에는 통상의 건물 등과 마찬가지로 완성된 건물 등의 내벽에 석면, 발포성 수지류, 스치로폴 등을 이용하여 단열 및 방음 수단을 구비하고 벽지 기타 마감재로 내부 마감을 하여 시공을 끝마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석재부와 콘크리트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블록 조적만으로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의 친환경적인 건물의 조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력 및 공정 낭비는 물론 시공비 상승과 공기 지연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블록의 측면 등에 고정체를 포함시켜 조적시 상기 블록의 유동을 보다 확고히 방지하고, 완성된 건물등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의 거푸집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일체형 블록을 생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정적인 조립식 가옥 등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주기둥이 생략된 채 블록만으로 조적된 건물 등에 있어서 블록만으로는 완성된 건물 등의 하중을 받는 역할이 미흡할 수 있다는 단점과, 건물의 문틀 또는 창틀 등의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하는데 정형화된 단위블록만을 사용하여 조적하게 되면 이러한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견고히 결합되기 어려운 단점 등을 해결하여 완성된 건물 등의 안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3)

  1. 조립식 건축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전면에 일정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석재부와, 상기 석재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직육면체형상의 콘크리트부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의 조적만으로 외부마감공사까지 끝마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일정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블록 양생시 상기 석재부의 후면에 위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양생 후 상기 콘크리트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위블록의 조적시 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콘크리트부의 양측면상에 상호 엇갈리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블록.
  3. 조립식 건축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블록본체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는 전면에 일정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갖는 블록본체 석재부와; 상기 블록본체 석재부 후면에 부착되는 직육면체형상의 블록본체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전면에 일정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돌출 석재부와; 상기 돌출 석재부 후면에 부착되는 직육면체형상의 돌출 콘크리트 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블록본체의 일측면에서 두께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조적하고자 하는 건물 내지 구조물의 마구리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구리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블록은, 일정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마구리블록 양생시 상기 블록본체 석재부와 상기 돌출 석재부 후면에 위치되어 상기 블록본체 콘크리트부와 상기 돌출 콘크리트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양생 후 상기 블록본체 콘크리트부와 상기 돌출 콘크리트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구리의 조적시 상기 마구리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구리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블록은 상기 돌출 콘크리트부에 인접한 상기 블록본체 콘크리트부의 일정위치에서 돌출되는 고정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구리블록.
  6. 조립식 건축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블록상부와 블록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상부는 전면에 일정 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상부 석재부와; 조적된 건물의 최상단 슬라브 타설시 기준면이 되는 슬라브면과 슬라브 타설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보충돌기를 가지고, 상 기 상부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어 'ㄴ'자 직각 절곡구조로 형성되는 상부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하부는 상기 블록상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전면에 일정 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하부 석재부와; 상기 하부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직육면체형상의 하부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콘크리트부는 상기 블록상부의 양측면 하단으로부터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조립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복합블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합블록은, 일정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복합블록 양생시 상기 상부 석재부와 상기 하부 석재부 후면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콘크리트부와 상기 하부 콘크리트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양생 후 상기 상부 콘크리트부와 상기 하부 콘크리트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라브 타설시 상기 제1복합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복합블록.
  8. 조립식 건축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블록상부와 블록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상부는 전면에 일정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상부 석재부와; 조적된 건물의 최상단 슬라브 타설시 기준면이 되는 슬라브면과 슬라브 타설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보충돌기를 가지고, 상 기 상부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어 'ㄴ'자 직각 절곡구조로 형성되는 상부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하부는 상기 블록상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블록상부의 일측면 하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입되어 형성되는 조립홈과, 상기 블록상부의 반대측면 하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립돌기를 포함하며, 전면에 일정 두께를 가진 판재형상의 치장용 석재를 포함하는 하부 석재부와; 상기 하부 석재부의 후면에 부착되고 직육면체형상의 하부 콘크리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복합블록.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복합블록은, 일정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복합블록 양생시 상기 상부 석재부와 상기 하부 석재부의 후면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콘크리트부와 상기 하부 콘크리트부에 사용되는 콘크리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며, 양생 후 상기 상부 콘크리트부와 상기 하부 콘크리트부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슬라브 타설시 상기 제2복합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복합블록.
  10. 제 2항의 블록을 사용하여 건물 및 구조물을 조적하는 경우, 상기 블록들을 일렬로 정렬하고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양측면에 포함된 상기 고정체들을 결합수단으로 결합한 후 결합재료로 충전함으로써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블록의 조적구조.
  11. 제 2항 및 제 5항의 블록을 사용하여 건물 및 구조물의 마구리를 조적하는 경우, 상기 제 2항의 블록의 일측면과 상기 제 5항의 돌출부의 일측면이 평행하도록 상기 블록들을 정렬하고,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양측면에 포함된 상기 고정체들을 결합수단으로 결합하며, 인접한 양측면 사이에서 생성되는 보강재용 공간에 보강재를 포함시킨 후 결합재료로 충전함으로써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블록의 조적구조.
  12. 제 7항 및 제 9항의 블록을 사용하여 건물 및 구조물의 슬라브를 조적하는 경우, 상기 제 7항의 블록의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제 9항의 블록의 상기 조립홈에 수납되도록 상기 블록들을 정렬하고, 인접한 상기 블록들의 양측면에 포함된 상기 고정체들을 결합수단으로 결합한 후 결합재료로 충전함으로써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블록의 조적구조.
  13. 제 2항, 제 5항, 제 7항 및 제 9항의 블록을 사용하여 건물 및 구조물을 조적하는 경우,
    건물 및 구조물의 면을 조적하는 경우에는 제 10항의 조적구조에 따라 조적하고, 마구리의 조적시에는 제 11항의 조적구조에 따라 조적하며, 슬라브의 조적시에는 제 12항의 조적구조에 따라 조적함으로써 상기 블록들간의 결합이 견고히 될 수 있도록하고, 마구리가 조적된 건물 및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하 며, 슬라브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용 블록의 조적구조.
KR2020050032621U 2005-11-18 2005-11-18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 KR200407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621U KR200407431Y1 (ko) 2005-11-18 2005-11-18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621U KR200407431Y1 (ko) 2005-11-18 2005-11-18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431Y1 true KR200407431Y1 (ko) 2006-01-31

Family

ID=4929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621U KR200407431Y1 (ko) 2005-11-18 2005-11-18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43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33B1 (ko) 2006-08-16 2007-12-2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KR101365173B1 (ko) 2012-09-05 2014-02-20 남철희 조적이 용이한 건축용 조립블록 및 그 조적방법
KR102079964B1 (ko) 2019-03-18 2020-02-27 주식회사 이현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KR102197212B1 (ko) 2020-06-15 2021-01-04 신세계건설(주) 조적체 보강 구조
KR102197213B1 (ko) 2020-06-15 2021-01-04 신세계건설(주) 조적체 보강 구조
KR102505922B1 (ko) 2022-02-21 2023-03-06 김도곤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33B1 (ko) 2006-08-16 2007-12-2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KR101365173B1 (ko) 2012-09-05 2014-02-20 남철희 조적이 용이한 건축용 조립블록 및 그 조적방법
KR102079964B1 (ko) 2019-03-18 2020-02-27 주식회사 이현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KR102197212B1 (ko) 2020-06-15 2021-01-04 신세계건설(주) 조적체 보강 구조
KR102197213B1 (ko) 2020-06-15 2021-01-04 신세계건설(주) 조적체 보강 구조
KR102505922B1 (ko) 2022-02-21 2023-03-06 김도곤 개량형 조적지지 보수 보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057B1 (ko) 건축용 블록
US4774793A (en) Glass block panel construction and device for use in same
KR200407431Y1 (ko)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
US4959937A (en) Glass block panel construction and device for use in same
US6338231B1 (en) Prefabricated concrete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JP5955010B2 (ja) 建築基礎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立ち上がりブロック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2040229B1 (ko) 기초 바닥판과 기둥, 벽체로 이루어지는 일체 결합형 건축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통콘크리트 건물시공방법
KR200440000Y1 (ko) 벽체 구성용 조립식 단열 블록
AU2014366090A1 (en) Precast modular concrete wall panel, system thereof, and method of construction
RU2605468C2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сбор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деталей завод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EP2766536B1 (en) Modular system for precise construction of walls
KR200265927Y1 (ko) 조립식 단열벽돌
KR100881063B1 (ko) 목재 패널을 이용한 황토 벽체
US6796094B1 (en) Mortarless concrete wall system
AU2016282066B2 (en) A structural building pane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KR200467656Y1 (ko) 조립식 단열 강화 블록
AU710075B2 (en) A procedure for the construction of vertical walls using glass bricks and a reinforceable modular element used in said procedure
US20150091207A1 (en) Center insulated concrete form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US8590242B1 (en) Insulated concrete wall
GB2317192A (en) Permanent formwork
KR20190115571A (ko) 건축물의 내벽 건축을 위한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AU2018236782B2 (en) Components for Masonry Construction
KR100557330B1 (ko)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