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233B1 -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233B1
KR100789233B1 KR1020060076955A KR20060076955A KR100789233B1 KR 100789233 B1 KR100789233 B1 KR 100789233B1 KR 1020060076955 A KR1020060076955 A KR 1020060076955A KR 20060076955 A KR20060076955 A KR 20060076955A KR 100789233 B1 KR100789233 B1 KR 100789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brick
cement
bloc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Priority to KR102006007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7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시멘트벽돌을 조적한 후에, 각종 배관의 설치를 위하여 배관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이미 조적된 일반시멘트벽돌의 일정부분을 파취한 후에 배관을 설치하는 불편과 시멘트벽돌을 파취시 시공된 구조물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으로 이루어져 각각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벽돌을 제작하여, 설계상의 각종 배관이 설치되는 부분에 조적되는 벽돌을 상기 분리형벽돌로 조적한 다음, 배관설치시 분리형벽돌의 분리시멘트벽돌에서 분리블록을 분리시킨 다음, 분리블록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부내에 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배관이 설치되고 남은 공간에는 별도의 몰탈로 충전마감하여 배관을 설치하는 조적벽 배관매입설치용 분리형벽돌을 이용한 배관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리형벽돌을 설치하고 분리블록을 제거한 후에 분리분록이 제거되고 형성된 공간내에 배관을 설치하게되므로 별도로 벽돌을 파쇄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간단히 배관을 설치할 수 있는 배관설치방법이다.

Description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배관설치방법.{Detachable and reclamation stylebrick for forming a brick wall's plumbing and instal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에 실시한 예중에서 화장실의 소변기설치시 조적된 시멘트벽돌을 파쇄하여 소변기에 세정용물을 급수할 수 있는 세정용급수배관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형벽돌을 이용하여 소변기의 세정용급수배관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b)(c)(d)(e)는 본 발명의 분리형벽돌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형벽돌을 제작할 때 용이한 분리를 위하여 분리경계부에 설치되는 분리망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형벽돌 제작시 분리경계부에 분리망을 삽입하여 분리형벽돌을 제작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형벽돌을 설치한 후에 배관설치를 위해 분리형벽돌에서 분리블록을 제거하여, 분리경계부에 노출된 분리망의 좌우돌출부를 이용하여 배 관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멘트 벽돌 11 ; 파쇄공간부
12 ; 벽체 13 ; 바닥
14 ; 소변기 15 ; 세정용급수배관
16 ; 몰탈채움
20 ; 분리형벽돌 21 ; 분리시멘트벽돌
22 ; 분리블록 23 ; 시멘트
24 ; 분리경계부 25 ; 홈
26 ; 1/2분리블록 27 ; 배관용관통공
30 ; 분리망 31 ; 망
32 ; 교차부 33 ; 좌우돌출부
34 ; 확장머리부 35 ; 바늘침
36 ; 배관 37 ; 결속구
본 발명은 벽돌을 조적한 후에 각종 배관을 설치할 때 배관이 설치될 수 있도록 조적된 벽돌의 일정부분을 파취한 후에 배관을 설치하는 불편과 파취시 시공 된 구조물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를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과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게 다양한 소재로 분리블록을 형성하여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이 분리가 가능하도록 분리형벽돌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분리형벽돌을 설계상의 각종 배관 예를들면 화장실의 소변기용, 또는 세면기의 세정용급수배관, 전기배관 및 가스배관등이 설치되는 부분에 조적되는 벽돌을 상기 분리형벽돌로 조적한 다음, 상기 각종 배관설치시 분리형벽돌의 분리시멘트벽돌에서 분리블록을 분리시킨 다음, 상기 분리블록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부내에 상기 각종 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각종 배관이 설치되고 남은 공간부에는 별도의 몰탈로 충전마감하여 배관을 설치하는 조적벽 배관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을 이용한 배관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형벽돌을 설치하고 분리블록을 제거한 다음, 배관을 설치하고, 공간부를 몰탈로 마감하면 간단히 배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벽돌을 파쇄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파쇄로 인하여 기존 구축된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는 배관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종래에 시공하는 여러가지 예중에서 실시예로든 도 1의 경우를 살펴보면, 화장실의 소변기(14)를 설치하고 소변을 제거할 수 있는 세정용 물을 급수할 수 있는 세정용급수배관(15)의 설치를 위하여 벽체마감을 위하여 조적한 미장용 시멘트벽돌벽에 소변기가 설치되는 상단부의 시멘트벽돌(10)을 상기 배관이 설치될 수 있도록 파쇄하여 형성된 공간부(11)내에 배관(15)을 설치하고, 시멘트벽돌(10)이 파쇄된 공간부(11)내에 배관(15)을 설치하고, 남은 공간부(11)내에 몰탈채움(16)을 하고 마감을 하여 소변기(14)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시멘트벽돌(10)을 파쇄한 다음 배관(15)을 설치한 후에 소변기(11)를 설치하게되면 파쇄시에 원하지 않았던 부분에도 파쇄가 되어 구조물에 예기치 않은 손상을 줄 수 있으며, 파쇄시에 발생된 소음과 먼지로 인하여 주변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고, 시멘트벽돌의 파쇄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산물인 파쇄물로 인하여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으며, 또한 파쇄공사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연장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분리형벽돌을 설치하고 분리블록을 제거한 다음, 배관을 설치하고, 공간부를 몰탈로 마감하면 간단히 배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벽돌을 파쇄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파쇄로 인하여 기존 구축된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파쇄로 인하여 발생되는 먼지, 소음 및 부산물인 파쇄물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배관시공방법인 것이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를 2등분하여 절반은 시 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21)과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다양한 소재로 분리블록(22)을 형성하여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이 상호 접하는 분리경계부(24)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분리형벽돌(20)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분리형벽돌(20)을 설계상의 각종 배관, 예를들면 화장실의 소변기용 또는 세면기의 세정용급수배관, 전기배관 또는 가스배관등이 설치되는 위치에 조적되는 벽돌을 상기 분리형벽돌(20)로 조적한 다음, 상기 분리형벽돌의 분리시멘트벽돌(21)에서 분리블록(22)을 분리시킨 다음, 상기 분리블록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각종 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각종 배관이 설치되고 남은 공간에는 별도의 몰탈(16)로 충전마감하여 배관을 설치하는 조적벽 배관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을 이용한 배관설치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3은 본 발명의 분리형 벽돌을 이용하여 소변기의 세정용급수배관을 설치한 것을 정면과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미 조적된 벽돌을 파쇄하여 배관을 설치하는 여러 가지 예중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사례를 예로 든것으로서,
벽체마감을 위하여 조적한 미장용 시멘트벽돌 벽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소변기(14)의 상단부에 화장실의 소변기용 세정용급수배관(15)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분리형벽돌(20)로 조적한 다음, 상기 배관설치시 분리형벽돌(20)의 분리시멘트벽 돌(21)에서 분리블록(22)을 분리시킨 다음, 상기 분리블록(22)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내에 상기 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배관(15)이 설치되고 남은 공간에는 별도의 몰탈(16)로 충전마감하여 화장실의 소변기용 세정용급수배관(15)을 설치한 것이다.
도 4(a)(b)(c)(d)(e)는 본 발명의 분리형벽돌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a)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의 단변을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21)을 설치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분리블록(22)을 일체로 형성하되,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이 상호 접하는 분리경계부(24)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분리형벽돌(20)을 제작한 것이고,
도 (b)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의 단변을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21)을 설치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설치되는 분리블록(22)을 절반씩 분리 설치한 1/2분리블록(26)을 각각 형성하여 분리시멘트벽돌(21)과 각각의 1/2분리블록(26)이 상호 일체로 형성하되, 분리시멘트벽돌과 1/2분리블록이 분리경계부(24)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분리형벽돌(20)을 제작한 것이고,
도 (c)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의 장변을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21)을 설치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분리블록(22)을 일체로 형성하되,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이 분리경계부(24)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분리형벽돌(20)을 제작한 것이고,
도 (d)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의 단변을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21)을 설치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분리블록(22)을 일체로 형성하되,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이 분리경계부(24)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상기 분리블록의 장변방향으로 몸체의 중앙부에 일정한 직경의 배관용관통공(27)이 형성된 분리형벽돌(20)을 제작한 것이고,
도 (e)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의 단변을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21)을 설치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설치되는 분리블록(22)을 절반씩 분리, 설치한 1/2분리블록(26)을 각각 형성하여 분리시멘트벽돌과 각각의 1/2분리블록이 상호 일체로 형성하되, 분리시멘트벽돌과 1/2분리블록이 분리경계부(24)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상기 각각의 1/2분리블록(26)의 길이방향으로 몸체의 중앙부에 일정한 직경의 배관용관통공(27)이 형성된 분리형벽돌(20)을 제작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게되는 것은 배관이 설치되는 현장의 조건과 벽돌의 조적쌓기 현장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a)는 일반적으로 사용된 시멘트벽돌에 맞추어서 조적하되, 배관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도 (b)는 좌우에 설치된 배관이 분리형벽돌이 조적되는 위치에서 합쳐질때 상기 합쳐진 배관을 위하여 “T”형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필요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도 (c)는 2열로 조적할 때 후부의 열에는 일반적인 벽돌을, 전면의 열에는 분리형벽돌을 2열로 조적할 때, 벽체가 직각등으로 방향이 바뀌게 될 때 방향이 바뀌는 부분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고,
도 (d)는 배관이 통신선, 전선등을 넘어가게될때 배관용관통공이 형성된 분리형 벽돌을 사용하기 위함이며,
도 (e)는 통신선, 전선등을 넘어가면서 직각으로 배관의 방향이 변할 때 배관용관통공이 형성된 1/2분리블록(26)을 사용하면서 변하는 배관의 방향이 변하는 부분의 분리블록을 제거하여 배관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전선, 통신선등과 같은 전선은 배관에 의하여 장애를 받거나 또는 배관에 의하여 누수되거나 또는 결로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분에 의하여 발생되는 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배관용관통공(27)내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분리형벽돌의 분리블록의 양측면에는 홈(25)을 두어 분리블록을 분리시킬때 홈에 손가락이나 또는 집게를 넣어 힘을 주어 간단히 분리블록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리형벽돌의 재료는 분리시멘트벽돌(21)은 시멘트로 제작하고, 분리블록(22)은 프리스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상기 분리블록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하거나 또는 스티로폼을 블록으로 제작하여 설치하고 간단히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형 벽돌을 제작할 때 용이한 분리를 위하여 분리경계 부에 설치되는 분리망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4와 같이 각각의 방법으로 분리블록(22)과 분리시멘트벽돌(21)을 분리경계부(24)를 사이에 두고 일체형으로 제작하되, 상기 분리형벽돌(20)을 설치한 후에 분리블록(22)을 상기 분리시멘트벽돌(21)로부터 약간의 힘만을 주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망(30)을 분리경계부(24)에 설치하여 상기 분리시멘트벽돌(21)에는 분리망(30)에 형성된 좌우돌출부(33)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확장머리부(34)가 매입되도록 하고, 좌우돌출부(33)의 타측면에 돌출된 돌출부는 바늘침(35)과 같이 형성하여 바늘침 부분은 분리블록(22)의 면에 매입되도록 하여, 상기 일체형의 분리형벽돌(20)을 조적하고 분리블록(22)을 분리할 때 분리망(30)의 좌우돌출부(33)의 바늘침(35)이 분리블록(22)에 매입되므로서 매끄러운 바늘침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리블록(22)을 프리스틱과 같은 재료로 만들때 용이한 분리를 위하여 상기 분리망(30)의 좌우돌출부(33)의 바늘침(35)부분에 박리제를 도포한 다음, 분리블록(22)에 매입시키고, 분리블록을 분리시킬때 상기 박리제에 의하여 분리블록에 매입된 바늘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분리망(30)의 좌우돌출부(33)의 일측면에 돌출된 돌출부의 확장머리부(34)는 분리시멘트벽돌(21)에 매입되도록 하여 분리시 확장머리부가 분리시멘트벽돌내에 지지축역할을 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분리망(30)은 프라스틱 또는 철재의 격자형 망(31)으로 형성하고, 망과 망이 상호 교차되는 교차부(32)에는 좌우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형성된 좌우돌출부(33)를 설치하되, 상기 좌우돌출부(33)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끝단은 일정한 크기로 확장머리부(34)가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면에 돌출된 부분은 바늘침(35)이 형성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형벽돌 제작시 분리경계부에 분리망을 삽입하여 분리형벽돌을 제작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분리블록(22)과 분리시멘트벽돌(21)을 분리경계부(24)를 사이에 두고 일체형으로 제작하되, 상기 분리형벽돌(20)을 설치한 후에 분리블록(22)을 상기 분리시멘트벽돌(21)로부터 약간의 힘만을 주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분리망(30)을 분리경계부(24)에 설치하여 상기 분리시멘트벽돌(21)에는 분리망(30)에 형성된 좌우돌출부(33)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확장머리부(34)가 매입되도록 하고, 좌우돌출부(33)의 타측면에 돌출된 돌출부는 바늘침(35)을 형성하여 바늘침 부분은 분리블록(22)의 면에 매입되도록 하여, 상기 일체형의 분리형벽돌(20)을 조적하고 분리블록(22)을 분리할 때 분리경계부(24)의 분리망(30)의 좌우돌출부(33)의 바늘침(35)이 분리블록(22)에 매입되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분리형벽돌을 설치한 후에 배관설치를 위해 분리형벽돌에 서 분리블록을 제거하여, 분리경계부(24)에 설치된 노출된 분리망(30)을 이용하여 배관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2와 3같이 배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분리블록(22)을 제거하면 분리시멘트벽돌(21)의 면에 매입된 분리망(30)의 좌우돌출부(33)의 바늘침(35)의 돌출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렇게 노출된 돌출부 위에 배관(15)을 설치하고 가는 철선으로 돌출부 또는 망에 배관을 함께 결속하여 고정하면 배관의 설치위치를 정확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며, 또한, 돌출부는 추후에 공간에 타설되어 충전되는 몰탈(16)과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몰탈이 쉽게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분리형벽돌을 설치하고 분리블록을 제거한 다음, 배관을 설치하고, 공간을 몰탈로 마감하면 간단히 배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벽돌을 파쇄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어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파쇄로 인하여 기존 구축된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는 시공성과 효율성이 뛰어난 경제적인 배관시공방법인 것이다.

Claims (9)

  1.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를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과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다양한 소재로 분리블록을 형성하여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이 분리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분리형벽돌인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적벽배관매입설치용 분리형벽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벽돌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의 단변을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을 설치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설치되는 분리블록을 절반씩 분리 설치한 1/2분리블록을 각각 형성하여 분리시멘트벽돌과 각각의 1/2분리블록이 상호 일체로 형성하되, 분리시멘트벽돌과 1/2분리블록이 분리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분리형벽돌인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적벽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벽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벽돌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의 장변을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을 설치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분리블록을 일체로 형성하되,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 이 분리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 분리형벽돌인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적벽배관매입설치용 분리형벽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벽돌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의 단변을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을 설치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분리블록을 일체로 형성하되,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이 분리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상기 분리블록의 장변방향으로 몸체의 중앙부에 일정한 직경의 배관용관통공이 형성된 분리형벽돌인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적벽배관매입설치용 분리형벽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벽돌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서, 상기 직육면체의 단변을 2등분하여 절반은 시멘트로 제작한 분리시멘트벽돌을 설치하고, 나머지 절반은 상기 분리시멘트벽돌에 접하여 설치되는 분리블록을 절반씩 분리 설치한 1/2분리블록을 각각 형성하여 분리시멘트벽돌과 각각의 1/2분리블록이 상호 일체로 형성하되, 분리시멘트벽돌과 1/2분리블록이 분리경계부를 경계로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면서, 상기 각각의 1/2분리블록의 길이방향으로 몸체의 중앙부에 일정한 직경의 배관용관통공이 형성된 분리형벽돌인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적벽배관매입설치용 분리형벽돌.
  6. 제 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경계부에 설치되는 분리망은 격자형의 망으로 형성되고, 교차부에는 좌우로 일정한 길이로 돌출형성된 좌우돌출부를 설치하되, 상기 좌우돌출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의 끝단은 일정한 크기로 확장머리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타측면에 돌출된 부분은 바늘침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적벽배관매입설치용 분리형벽돌.
  7. 제 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벽돌의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의 재질은 분리시멘트벽돌은 시멘트이고, 분리블록은 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인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적벽배관매입설치용 분리형벽돌.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돌출부는 분리시멘트벽돌과 분리블록을 상호 일체로 성형하되, 분리시에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분리된 후에는 배관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과 동시에 공간내에 타설되는 몰탈과 시멘트블록의 부착력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적벽배관매입설치용 분리형벽돌.
  9. 설계서상의 화장실의 소변기용 또는 세면기의 세정용급수배관, 전기배관, 또 는 가스배관이 설치되는 부분에 분리형벽돌로 조적한 다음,
    상기 분리형벽돌의 분리시멘트벽돌의 분리경계부에 설치된 분리망으로부터 분리블록을 분리시킨 다음,
    상기 분리블록이 제거되어 형성된 공간부내에 분리망의 좌우돌출부의 노출된 돌출부상에 상기 각종 배관을 설치하면서 결속구로 돌출부와 배관을 동시에 결속하여 설치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각종 배관이 설치되고 남은 공간부에 노출된 좌우돌출부의 돌출부위에 몰탈로 충전마감하여 배관을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을 이용한 배관설치방법.
KR1020060076955A 2006-08-16 2006-08-16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KR100789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955A KR100789233B1 (ko) 2006-08-16 2006-08-16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955A KR100789233B1 (ko) 2006-08-16 2006-08-16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172U Division KR200431369Y1 (ko) 2006-09-08 2006-09-08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233B1 true KR100789233B1 (ko) 2007-12-28

Family

ID=3914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955A KR100789233B1 (ko) 2006-08-16 2006-08-16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85Y1 (ko) * 2022-06-16 2023-02-09 김동석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641A (en) 1988-04-01 1990-05-15 Gibbar Jr James H Polymer building wall form construction
US5598673A (en) 1994-01-18 1997-02-04 Atkins; Mark R. Masonry cavity wall air space and weeps obstruction prevention system
JP2000104374A (ja) 1998-09-29 2000-04-11 Inax Corp タイル張り構造物
US6729090B2 (en) 2002-03-06 2004-05-04 Oldcastle Precast, Inc. Insulative building panel with transverse fiber reinforcement
KR200407431Y1 (ko) 2005-11-18 2006-01-31 동아석재산업주식회사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
KR20190000860U (ko) * 2017-09-27 2019-04-04 위야오 화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카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641A (en) 1988-04-01 1990-05-15 Gibbar Jr James H Polymer building wall form construction
US5598673A (en) 1994-01-18 1997-02-04 Atkins; Mark R. Masonry cavity wall air space and weeps obstruction prevention system
JP2000104374A (ja) 1998-09-29 2000-04-11 Inax Corp タイル張り構造物
US6729090B2 (en) 2002-03-06 2004-05-04 Oldcastle Precast, Inc. Insulative building panel with transverse fiber reinforcement
KR200407431Y1 (ko) 2005-11-18 2006-01-31 동아석재산업주식회사 조립식 건축용 블록 및 그 조적구조
KR20190000860U (ko) * 2017-09-27 2019-04-04 위야오 화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셀카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85Y1 (ko) * 2022-06-16 2023-02-09 김동석 욕실 선반의 시공을 위한 블록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233B1 (ko)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배관설치방법.
KR200431369Y1 (ko) 조적벽 배관 매입설치용 분리형 벽돌.
JP2008240326A (ja) 排水構造及び排水構造の施工方法
JP4863899B2 (ja) 建物の排水システムおよび建物の排水システムの施工方法
KR200393504Y1 (ko)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JP2001254414A (ja) コンクリート駆体貫通排水管の改修方法
KR200469455Y1 (ko) 매립형 엘보우 조립체
JP5574349B2 (ja) 基礎貫通さや管並びにこれを用いた基礎貫通配管構造とその施工方法
JP3892099B2 (ja) スリーブ用型枠
CN217072781U (zh) 一种用于制作带有圆洞口的砼预制块的模具
KR200405373Y1 (ko) 집수정용 철재거푸집
KR100805555B1 (ko) 다분할 세그먼트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
KR200427623Y1 (ko) 수전구 고정대
CN217460784U (zh) 排水管道预埋装置
CN203248855U (zh) 卫生间楼板的上、下水管通用预埋套管
KR200251684Y1 (ko) 결합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건축용 슬리브
KR200286055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JP5406360B2 (ja) 排水管の取り外し方法
KR200404058Y1 (ko) 조합식 옹벽
KR200348102Y1 (ko) 세면기용 매립형 배수관
JP2010053599A (ja) 基礎貫通さや管並びにこれを用いた基礎貫通配管構造及び排水管の取り外し方法
DE50313318D1 (de) Fertigteil aus Beton für Stützwände mit Geogitterrückverhängung
JP5429074B2 (ja) 仕切型枠、土間コンクリート貫通配管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土間コンクリート貫通配管の後付方法
KR101574696B1 (ko) 석축 공사 구조물
KR200363655Y1 (ko) 배수공 설치용 옹벽거푸집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