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330B1 -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 Google Patents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330B1
KR100557330B1 KR1020030058981A KR20030058981A KR100557330B1 KR 100557330 B1 KR100557330 B1 KR 100557330B1 KR 1020030058981 A KR1020030058981 A KR 1020030058981A KR 20030058981 A KR20030058981 A KR 20030058981A KR 100557330 B1 KR100557330 B1 KR 10055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rmwork
slab
prosthesi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774A (ko
Inventor
김창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중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중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중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3005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330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층에 서로 소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각 벽체부, 상기 각 벽체부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어 슬라브로 형성되는 층간 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층간 구획부는, 상기 대면하는 각 벽체부에 양끝단이 결합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은 소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고 타측은 하부가 돌출된 다수의 L 형강과, 상기 L 형강을 서로 대면하는 각 벽체부에 결합하는 연결 보철물 및, 상기 인접한 L 형강간에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하부 돌출부에 걸쳐 결합되는 다수의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부와 층간구획부의 결합으로 완성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제거할 필요가 없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시한다.
블록구조체, 슬라브, 벽체, L 형강, 거푸집

Description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A Dismonuting Wall And Floor 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구조체의 사시도.
도 3은 도1에 도시된 거푸집의 평면도.
도 4은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 보철물(800)의 사시도.
도 6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벽체부의 상세도.
도 8는 벽체부의 세로타이와 블록구조체 및 가로타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기초 콘크리트층 200 : 블록구조체
213 : 볼트 삽입구 240 : 모서리용 블럭구조체
300 : 볼트 300a : 볼트의 수나사부
300b : 볼트의 헤드부 400 : 세로타이
410 : 모서리용 세로타이 500 : 가로타이
600 : L형강 610 : 하부 돌출부
700 : 블록 800 : 연결 보철물
1000 : 벽체부 2000 : 층간구획부
3000 :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본 발명은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구조체를 소정높이로 적조하고 반복 연결형 볼트로 조립하여 결합하며 볼트와 세로타이 및 가로타이에 의한 배근을 하여 벽체부 거푸집을 형성하고,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된 벽체부에 병렬 배치된 층간베이스 형강과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층간구획부을 결합하여 슬라브 거푸집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골조 공사를 시행하며 공사 완료 후는 거푸집은 해체하지 않고, 슬라브 배근 이외에 별도의 배근 공사가 필요없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시공 현장에서의 거푸집 시공과정을 보면, 바닥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 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상기 철근에 연결하여 수직 수평 철근을 격자형으로 배치하고, 가는 철사로 상기 철근을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속한 다음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은 목수들이 현장에서 도면에 따라 합판과 각재를 절단가공하여 거푸집을 만든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 후에는 거푸집을 해체해야 하므로 해체과정에서 대부분이 훼손되어 재사용이 불가하며 오히려 쓰레기로 처리 해야 하는 이중 부담이 되었다.
또한 최근 아파트와 대형 건물에는 공장제작의 구조체를 벽체 또는 슬라브로 사용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구조체 자체의 부피 및 하중이 커서 운반의 어려움이 있고 설치시에는 타워크레인 같은 대형 기중기가 동원되어야 했다.
그리고 세로타이가 골조면에 돌출되는 단점이 있어 세로타이의 절단 작업이 필요하며 작업시 생기는 골조면의 흠집을 제거하는 모르타르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
아울러 벽체에서 철근 배근 구조와 거푸집은 서로 연관되지 않고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어 거푸집과 철근과의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시켜야 하고,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해 벽체의 측면과 슬라브의 하단에 지지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별도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거푸집에 의하면, 철근의 배근시 복잡성, 거푸집과 배근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시공의 난이성, 거푸집의 지지대의 설치로 인해 작업환경이 복잡해지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과 거푸집 제거 작업과 흠집 제거 작업 및 세로타이 돌출부 제거 작업으로 인해 인건비 상승과 공기가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거푸집을 벽체 완성후에도 제거할 필요가 없는 무해체 벽체 및 슬 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거푸집 자체의 구조를 견고히 하여 거푸집 지지대의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안전한 건설현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공장 생산의 규격화된 블록 구조체를 거푸집의 자재로 활용하여 벽체 완성후 별도의 마감작업이 불필요한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규격화된 구성요소들의 조합에 의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완성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 제고 및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소정두께로 바닥에 타설되어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층에 소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각 벽체부;
상기 각 벽체부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어 슬라브로 형성되는 층간 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층간 구획부는, 상기 대면하는 각 벽체부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인접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L 형강과,
상기 L형강을 서로 대면하는 각 벽체부에 결합하는 연결 보철물 및,
상기 인접한 L 형강 간에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하부 돌출부에 걸쳐 결합되는 다수의 블럭; 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체부는, 기초 콘크리트층에 서로 대면하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되며 내부에 고정 보철물이 높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된 다수의 블록구조체; 헤드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블록 구조체 내부에 삽입된 고정 보철물에 높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서로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 및 동일높이로 대면하는 상기 각 블록구조체의 고정 보철물 양측에 걸쳐져서 상기 각 볼트의 체결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며 결합되며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세로타이; 를 포함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록구조체는 내부에 망사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구조체에 높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고정 보철물은 'ㄷ'형상이되, 상부 돌출부는 적조되는 각각의 고정 보철물간 결합을 하기 위해 나사구을 형성하며, 하부 돌출부는 상기 상부 돌출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며 중간부위에는 바로 밑단에 적조되는 상기 고정 보철물의 상부 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구와 대응되는 나사구를 구비하고 끝부분에는 상기 볼트의 수나사가 삽입되도록 볼트 삽입구가 형성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각 세로타이는 상기 각 볼트의 연속 체결로 서로 결합되며, 상기 각 볼트의 체결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연속되는 다수의 내부결합봉으로 서로 결합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L 형강을 상기 벽체부와 연결하는 연결 보철물는 하단 돌출부가 상단 돌출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역 'ㄷ'자 형상이며, 하단 돌출부는 상기 인접한 L 형강에 형성된 나사구 와 결합하기 위해 대응되는 2개의 나사구를 형성하고, 상단 돌출부는 상기 블록구조체 상단에 안치되어 볼트의 체결부위에 삽입되도록 상기 볼트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분명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 질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30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3000)은 대면하도록 적조된 블록구조체(200)로 벽체부(1000)가 형성되고 상기 각 벽체부(1000) 사이로 L 형강(600)에 블록(700)이 상부에 끼워져 이루어진 층간구획부(2000)가 층간을 구획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거푸집(3000)은 일정간격을 두고 대면하게 적조되는 블록구조체(200)의 고정 보철물(210)에 볼트(300)를 삽입하여 연속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각 벽체부(1000)와, 상기 각 벽체(1000)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층간 바닥을 형성하는 층간구획부(2000)로 구성된다.
도2는 본 발명의 벽체부를 구성하는 블럭구조체(200)의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1000)는 적조되며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ㄷ'형상의 고정 보철물 (210)에 볼트(300)로 연속 체결되어 결속되는 다수의 블록구조체(200)와, 대면하도록 적조된 각 블록구조체(200)를 연결하는 세로타이(400)와, 상기 각 세로타이 (400)를 높이방향에 따라 삽입되는 볼트(300) 사이에 체결되는 가로타이(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층간구획부(2000)는 상기 대면하는 각 벽체부(1000)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인접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L 형강(600)과, 상기 L 형강 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블록(700)으로 구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층간구획부(2000)는 1층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축조되는 건축물에서, 층과 층 사이를 구분하는 슬라브 거푸집으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데, 소정높이로 적조되는 벽체부(1000)의 동일 높이 상에서 상기 벽체부(1000)에 양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벽체와 슬라브의 거푸집(3000)이 완성되면, 먼저 슬라브 거푸집 위에 철근배근을 하고, 그 후에 벽체부의 블록구조체(200) 사이의 공간부와 층간구획부 (2000) 위에 콘크리트 타설이 되는데 이에 따라 벽체부(1000), 층간구획부(2000) 및 벽체부와 층간구획부의 연결부위가 일체화되어 한 층의 벽체와 슬라브가 형성된다.
상기 벽체와 슬라브의 거푸집(3000)은 건축 시공시의 거푸집을 대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콘크리트 양생 후에 철거하지 않고 건축물의 일부로서 사용되어 진다.
상기 벽체부의 블록 구조체(200)는, 콘크리트를 소정두께로 타설하여 형성한 기초 콘크리트층(100) 위에 적조된다. 이에 따라 대면하는 상기 블록구조체(200) 양단간의 폭은 3열을 기준으로 했을 때 약 0.32m 정도가 될 것이나, 건물의 규모나 벽체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치수의 폭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블록구조체(200)의 높이와 길이는 건물의 규모나 벽체의 기능에 따라 알맞게 정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높이 약 250㎜, 길이 약 400㎜, 폭 약 40㎜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블럭내부에 와이어메쉬나 미세그물망같은 망사형 보강제(도면 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블럭구조체(200)의 내구력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보철물(210)은 상기 블럭구조체(200) 내부에 높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으며, 상부 돌출부(214)보다 하부 돌출부(215)가 상대적으로 더 긴 'ㄷ'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상부 돌출부(214)는 적조되는 각각의 고정 보철물(210)간 결합을 하기 위해 나사구(211)를 형성하며, 하부 돌출부(215)는 중간부위에 상기 상부 돌출부(214)의 나사구(211)와 대응되는 나사구(212)를 형성하고 끝부분에는 볼트(300)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볼트 삽입구(21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로 적조되는 상기 블럭구조체(200)는 일단의 고정 보철물(210)의 하부 돌출부(215)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213)에 볼트(300)를 삽입함으로써 1차 결속되고, 하단 고정 보철물(210)의 상부 돌출부(214)에 형성된 나사구(211)와 상단 고정 보철물(210)의 하부 돌출부(215)에 형성된 나사구(212)에 나사(220)를 삽입함으로써 2차 결속된다.
또한 상기 고정 보철물(210)은 건물의 규모나 벽체의 기능에 따라 필요한 수 만큼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블럭구조체(200)의 길이가 400㎜라 하면, 상기 고정 보철물(210)는 양끝단에서 100㎜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상 고정 보철물(210)은 각각의 블럭구조체(200)에 2개가 삽입된다. 그리하여 하나의 블럭구조체(200)에 삽입되는 고정 보철물(210)의 간격은 200㎜이며, 인접하는 타 블럭구조체(200)의 고정 보철물(210)과의 간격도 200㎜가 되어 균인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볼트(300)는 수나사(300a)의 축선방향을 따라 헤드부(300b)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각 볼트(300)는 축선방향을 따라 연속 체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볼트(300)는 고정 보철물(210)의 볼트 삽입구(213)에 삽입되어 블록구조체 (200)의 적조시 서로 체결됨으로 블록구조체(200)간 결속을 가능하게 한다.
세로타이(400)는 대면하는 각 블록구조체(200)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로타이(400)는 폭보다 긴 길이의 길쭉한 부재로서, 양단이 상기 각 블록구조체(200) 내부에 삽입된 고정 보철물(210)의 하부 돌출부(215) 상부에 걸쳐져서 볼트 삽입구(213)에 서로 체결된 각 볼트(30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적조됨에 따라 병렬배치되는 각 블록구조체(200) 간의 결속이 가능하다.
아울러 세로타이(400)의 높이방향을 볼트(300)가 연속체결된 구조를 갖음으로써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세로타이(400)는 서로 결속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300)는 상기 블록구조체(200) 및 상기 세로타이(400)를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위치되고 그 위와 아래에 위치하는 볼트(300)와 서로 체결하는 구조와 기능을 하는 것이다.
가로타이(500)은 동일높이별로 배치되는 상기 각 세로타이(400)에 걸쳐 양단이 결합된 것으로 길쭉한 판형 금속체이다. 상기 각 가로타이(500)의 양단은 전후로 위치한 각 세로타이(400)에서 결합된 볼트의 헤드부(500b)에 끼워짐으로써 각 세로타이(400)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구조에 따라 앞에 위치한 가로타이(500a)의 타단과 뒤의 가로타이(500b)의 일단은 서로 적층 밀착되는 배치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높이방향별 볼트(300)의 연속 체결구조 및 동일높이별 가로타이(500)의 결합으로 세로타이(400)는 높이방향 및 동일높이별 결속됨으로 양측으로 위치한 외벽구조 사이에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으로 벽체로서 사용할 경우 배근으로 기능할 수 있다.
L 형강(600)은, 명칭에서 보는바와 같이 높이방향으로 일측이 상향 연장되어 있고, 타측은 바닥면이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L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양단 바닥면의 끝부분에는 벽체부(1000)와 결합되기 위해 나사구(6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L 형강(600)은 단순히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할 때보다 슬라브의 자체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슬라브 거푸집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L 형강(600)은 일정간격을 두고 병렬로 대면하는 벽체부(1000)의 동일 높이 상에서 양단이 결합된다.
연결 보철물(800)는 상기 L 형강(600)을 상기 벽체부(100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 보철물(800)은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의 돌출부는 상부의 돌출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엇갈린 'ㄷ'자 형태로 되어 있다.
하부 돌출부(810)는 상기 인접한 2개의 L형강과 결속하기 위해 L형강에 형성 된 나사구(610)와 대응되는 2개의 나사구(8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돌출부(820)는 상기 벽체부에 결속하기 위해 관통구(82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돌출부(820)는 대면하는 블록구조체(200) 중 상대적으로 내부에 위치한 블록구조체(200)를 거쳐 고정 보철물(210) 상부에 걸쳐지게 되고, 상기고정 보철물(210)에 삽입되는 볼트(300) 사이게 개재되어 결속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 관통구(821)는 상기 볼트의 수나사(300a)가 관통하는 상기 고정 보철물(210)의 볼트 삽입구(213)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게 된다.
층간 구획부의 블록(700)은, 상기 L 형강(600)에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바닥면의 돌출부위에 걸쳐 결합되는 편평한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직육면체의 블록(700)이 하부 돌출부위가 마주보도록 소정거리 이격한 상기 L 형강(600)의 하부 돌출부위에 걸쳐셔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블록은 여러가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층간소음차단에 효과가 있는 '경량콘크리트'나 '경량석재'를 사용한다면 시공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슬라브 자체의 하중을 줄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면을 형성하며 일정거리를 두고 벽체부(100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벽체부(1000)의 내부에 층간구획부(200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층간구획부(2000)는 L 형강(600)과 블록(700) 및 연결 보철물(800)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L 형강(600)은 일측은 소정높이로 상향 연장되고 타측은 하 부가 돌출된 형상이며 양끝단은 대면하는 각 벽체부(1000)에 결합된다.
상기 L 형강(600)은 상기 연결 보철물(800)에 의해 벽체부(1000)와 결합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보철물(800)은 역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하단 돌출부(810)는 상기 L 형강과, 상부 돌출부(820)는 상기 벽체부(1000)를 형성하는 블록구조체(200)의 고정 보철물(210)에 삽입되는 볼트(300)와 체결되어 진다.
L 형강(600)의 하부 돌출부(610) 위에 다수의 블록(700)이 걸쳐져서 적조되는데, 상기 블록(700)은 높이방향으로 적조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높이상에서 병렬 배치된 L 형강(600)에 격자형으로 조립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블록(700)이 형상적으로 L 형강(600)에 연속적으로 걸쳐져서 형강 전체를 덮은 모습에서는 상기 블록(700)의 평평한 윗면만이 보이게 된다.
그런데, 상기 블록(700)을 L 형강(600)에 적조하게 되면, 상기 블록이 상기 L 형강(600)에 1개의 완전한 블록이 끼워지기에는 공간이 부족한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즉, 병렬 배치되는 L 형강(600) 중 최외곽에 배치된 형강(600)은 그 외곽으로 더이상 인접한 형강(600)이 없으므로 완전한 블록(700)을 끼울 수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는 블록의 조각(710)이 삽입되어 슬라브 거푸집이 완성된다.
L 형강(600)에 상기 블록(700)을 적조한 슬라브 거푸집은, 그 위에 철근에 의한 배근이 이루어 지게 되고, 콘크리트 타설시 상부에 전달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견디면서 상기 콘크리트가 안정적으로 양생이 되도록 슬라브 형상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슬라브 거푸집 은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어도 슬라브의 일부로서 기능을 하므로 거푸집 제거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도4은 도3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5은 본 발명의 연결 보철물(800)의 사시도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1000)가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되어 있고, 층간구획부(2000)의 양단이 상기 벽체부(1000)의 동일 높이 상에서 접하고 있다.
상기 L 형강(600)의 양단이 벽체부(1000)와 연결 보철물(800)에 의해 결합되어진다.
L 형강(600)은 일정거리에 배치되는 각 벽체부(1000)에 동일 높이에서 블록구조체(200)와 연결 보철물(80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연결 보철물(800)은 하단 돌출부(810)가 상단 돌출부(820)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역 'ㄷ'자 형상이다.
우선 하단 돌출부(810)는 상기 인접한 L 형강에 형성된 나사구 (621)와 결합하기 위해 대응되는 2개의 나사구(8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 돌출부(810)는 상기 L 형강(600)의 밑단에 위치하고 상기 L 형강의 나사구(621)와 대응되게 나사구(811)를 일치시킨 후 나사결합을 하게 된다.
상단 돌출부(820)는 상기 블록구조체(200) 상단에 안치되며 중간 부위에 관통구(8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821)는 상기 블록구조체(200) 바로 위에 적조되는 블록구조체(200)의 고정 보철물(210)의 볼트 삽입구(213) 바로 위에 위치 하고 동일한 외경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보철물(210)을 관통하는 볼트의 수나사(300a)는 상기 관통구(821)도 관통하게 되어 상기 L 형강(600)과 블록구조체(200)는 연결되어 진다
도 6은 도 3의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4에서의 벽체부(1000)와 층간구획부(2000) 사이의 결합부분과는 달리, 상기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일단이 벽체부(1000)와 연결 보철물(800)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단순히 접해있다. 즉 L 형강(600)은 'ㄴ' 형상인데, 높이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단면을 가진 일측부의 돌출부분은 벽체부(1000)와 접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벽체부(1000)와 결합되지 않는 부위에는 상기 L 형강(600)은 하부 돌출부(610)가 방향을 달리하면서 높이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일측부가 서로 접해있다. 따라서 상기 벽돌(700)은 소정거리 이격되고 하부 돌출부(610)가 마주보는 2개의 L 형강의 하부 돌출부(610)에 걸쳐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L 형강(600)의 양측부의 구조로 인해 상기 블록(700)은 상기 병렬 배치된 L 형강(600)의 양 마무리 지점에서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체결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상기 블록에서 가공되거나 공장제작된 조각 블록(710)을 사용하여 층간구획부(2000)의 거푸집을 마무리 짓는다.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부(1000)의 상세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조되어 독립된 외벽구조를 이루며 내부에는 고정 보철물(210)이 삽입된 각 블록 구조체(200)는 상기 고정 보철물(210)의 볼트 삽입구(213)에 삽입되는 볼트(300)의 연속체결에 따라 서로 결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300)는 헤드부(300b)에 축선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고, 하부로는 수나사(300a)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고정 보철물(210)의 하부 돌출부(215)에 형성된 볼트 삽입구(213)에는 볼트의 수나사(300a)가 삽입되며 상기 볼트 삽입구(213) 하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돌출된 수나사(300a)는 그 아래에 위치한 고정 보철물(210)의 볼트 삽입구(213)에 삽입된 볼트의 헤드부(300b)의 암나사에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구조는 블록구조체(200)의 적조에 따라 연속되며 결국 블록구조체(200)의 공고한 결속이 가능하다.
그리고 외벽구조를 이루는 각 블록구조체(200) 사이로 세로타이(400)가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대등한 높이의 각 블록구조체(200)를 결속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대면하는 각 블록구조체(200)에서 고정 보철물(210)에는 볼트(300)가 삽입되어 서로 체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세로타이(400)의 양단이 상기 각 블록구조체(200)의 고정 보철물(210) 상부에 걸쳐져서 각 볼트(300)의 체결부위에 개재되어 체결에 따라 압착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대면하는 각 블록구조체(200)는 상기 고정 보철물(210)의 개수에 따라 세로타이(400)가 구비되어 삽입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동일높이에 배치되는 각 세로타이(400)를 결속하기 위한 것이 가로타 이(500)이다. 가로타이(500)의 일단은 그 앞에 위치한 세로타이(400)에서 볼트의 헤드부(300b)에 끼워진다.
이 때 그 앞의 가로타이(500)의 타단 또한 상기 헤드부(300b)에 끼워짐으로 하나의 내부체결봉(500a)의 일단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내부체결봉(500b)의 타단과 적층 배치되는 구조로 대등한 높이에 배치되는 각 세로타이(400)를 연결하는 구조를 이룬다.
도8는 본 발명의 블록구조체(200)와 세로타이(200) 및 가로타이(500a, 500b)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평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타이(400)는 대면하도록 적조된 각 블록 구조체(200)에서, 대등한 높이의 블록 구조체(200)의 고정 보철물(210)에 걸쳐서 삽입되고 이 때 블록 구조체(200)의 결속을 위해 상기 고정 보철물(210)에 삽입된 각 볼트(300)의 체결부위에 개재 압착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대면하는 각 블록 구조체(200) 또한 서로간의 결속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대등한 높이로 배치된 각 세로타이(400)는 상기 볼트의 헤드부(300b)에 가로타이(500)이 끼워지고 이러한 끼움결합이 연속됨으로 상기 각 세로타이(400)의 연결구조가 마련된다.
앞에 위치한 헤드부(300b)에 가로타이(500)의 일단이 끼워지면, 타단은 뒤에 위치한 헤드부(300b)에 끼워진다. 동일높이별로 이러한 연결구조가 반복되면 하나의 가로타이(500a)의 일단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가로타이(500b)의 타단은 서로 적 층되는 배치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동일높이별로 배치된 상기 각 세로타이(400)가 서로 연결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벽체부(1000)의 모서리부분을 첨부한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 특히 모서리 부분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서리부에서 외곽의 코터에서는 별도의 모서리용 블록구조체(240)와 모서리의 양단의 볼트 상호간을 체결하기 위한 모서리용 세로타이(410)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모서리용 블럭구조체(240)는 본 발명의 블록 구조체(200) 보다 긴 길이 이고 바람직하게는 600㎜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고정 보철물(210)이 3개가 삽입되어 있다. 고정 보철물(210)의 간격은 200㎜이고 양끝에 위치한 고정 보철물 (210)은 모서리용 블럭구조체(240)의 양끝단으로 부터 100㎜간격으로 삽입되어 진다. 그리고 거푸집의 내부 및 외부모서리에서 상기 모서리용 블록 구조체(240)와 블록 구조체(200) 사이에 남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블록 구조체(200)보다 길이가 짧은 블록 구조체(도면 미도시)가 필요할 수 있다. 이것은 블록 구조체(200)를 토막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벽돌 공사시에 사용되는 이오토막, 칠오토막과 같은 개념이다.
또한 외각의 모서리용 블록구조체(240)는 서로 만나는 부분은 수직 형상이 아니라 45°모서리진 형상을 하고 있으나, 내부 모서리의 블록구조체는 다른 블록구조체(200)와 똑같은 수평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이는 제작비를 줄이기 위함이다.
모서리에 사용되는 모서리용 세로타이(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용 세로타이(410)의 머리부분은 다른 방향에서 만나는 2개의 외각의 모서리용 블록구조체(240)의 고정 보철물(210)에 결합되는 볼트(300)사이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꼬리부분은 2방향에서 오는 가로타이(500) 중 상대적으로 내부의 블록 구조체(200)상에 연결되는 가로타이(500)의 교차되는 곳에 볼트(300)에 의해 결합된다.
비록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의하면, 공장제작이 가능한 블록 구조체, 블록, 볼트 등을 통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벽체부의 배근 작업을 가로타이과 볼트, 세로타이의 결합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거푸집과 배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시공의 난이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인력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벽체와 슬라브의 거푸집 작업시는 다수의 지지부재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공사장이 복잡해지고 작업공간이 그만큼 협소해졌으나,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으로 시공하면, 블록 구조체에 삽입된 볼트와 연결되는 세로타이 및 가로타 이의 인장력을 통해, 그리고 L 형강과 블록구조체와의 연결 보철물에 의한 볼트결합으로 인해 상기 블록구조체 상호간과 층간구획부를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공간을 보다 깨끗하고 넓게 이용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양생 후 벽체 및 슬라브의 거푸집을 해체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효율은 물론이고 공기의 단축과 공사비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일부 건축현장에서 벽체나 바닥플레이트를 철근 콘크리트 모듈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시공하기도 하나 이러한 시공 방법은 공장제작물의 운반 및 시공이 어려워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제작 방법은 건축물의 공작 제작화하는 현시점에 구성요소의 공장 생산, 비교적 간편한 운반 및 편리한 시공을 통해 바람직한 건축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트, 블록 구조체, 세로타이, 가로타이, 블록, L 형강의 기본 재료를 가지고 다양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배근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고, 블록 구조체를 2열 또는 3열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구조체는 표면을 평탄하고 매끈하게 제조되므로 별도의 모르타르 마감이나 마감재의 사용없이 깨끗한 벽체를 형성할 수 있고, 만일 특별한 외장재가 필요하다면 세로타이를 블록 구조체 외부로 연장 시공하여 연장부분에 바로 외장재를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브구조를 이루는 상기 블록은 여러가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층간소음차단에 효과가 있는 '경량콘크리트'나 '경량석재'를 사용한다면 시공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슬라브 자체의 하중을 줄일 수도 있다.

Claims (8)

  1. 건축물의 벽체와 슬라브의 거푸집에 있어서,
    바닥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층에 서로 소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각 벽체부와;
    상기 각 벽체부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어 슬라브로 형성되는 층간 구획부;
    를 포함하며,
    상기 층간 구획부는, 상기 대면하는 각 벽체부에 양끝단이 결합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일측은 소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고 타측은 하부가 돌출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L 형강과,
    상기 L 형강을 서로 대면하는 각 벽체부에 결합하는 연결 보철물 및,
    상기 인접한 L 형강간에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걸쳐 결합되는 다수의 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에 서로 대면하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되며 내부에 고정 보철물이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된 다수의 블록구조체와,
    헤드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볼록구조체 내부에 삽입된 고정 보철물에 높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서로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 및,
    동일높이로 대면하는 상기 각 블록구조체의 고정 보철물 양측에 걸쳐져서 상기 각 볼의 체결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며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세로타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 형강은 상기 연결 보철물와 결속하기 위해 양 끝단에 나사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보철물은 하단 돌출부가 상단 돌출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인 역 'ㄷ'자 형상이며, 하단 돌출부는 상기 인접한 L 형강에 형성된 나사구와 결합하기 위해 대응되는 2개의 나사구를 형성하고, 상단 돌출부는 상기 블록구조체 상단에 안치되어 볼트의 체결부위에 삽입되도록 상기 볼트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구조체 내부에 망사형 보강재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구조체에 높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고정 보철물은 'ㄷ'형상이되, 상부 돌출부는 적조되는 각각의 고정 보철물간 결합을 하기 위해 나사구을 형성하며, 하부 돌출부는 상기 상부 돌출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며 중간부위에는 바로 밑단에 적조되는 상기 고정 보철물의 상부 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구와 대응되는 나사구를 구비하고 끝부분에는 상기 볼트의 수나사가 삽입되도록 볼트 삽입구가 형성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보철물은 각각의 블록구조체에 2개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동일 높이별로 배치되는 상기 각 세로타이는 상기 각 볼트의 체결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연속되는 다수의 가로타이으로 서로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KR1020030058981A 2003-08-26 2003-08-26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KR10055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981A KR100557330B1 (ko) 2003-08-26 2003-08-26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981A KR100557330B1 (ko) 2003-08-26 2003-08-26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774A KR20050021774A (ko) 2005-03-07
KR100557330B1 true KR100557330B1 (ko) 2006-03-07

Family

ID=3722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981A KR100557330B1 (ko) 2003-08-26 2003-08-26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172B1 (ko) * 2012-04-03 2012-06-20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우수저류조용 외곽블록
CN104264982B (zh) * 2014-10-09 2016-08-17 深圳汇林达科技有限公司 一种散拼早拆建筑模板体系及其搭建方法
CN115387511B (zh) * 2022-08-23 2024-07-23 中国矿业大学 一种快捷拼装多腔钢管混凝土剪力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774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296818A (en) Modular precast wall with mortar joints, spacer provides joint space for mortar
RU2605468C2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сбор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деталей завод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WO2012088588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components and method
WO2002066757A9 (en) A load bearing building panel
KR100557335B1 (ko)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KR100557330B1 (ko)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KR20120131034A (ko) 루프이음에 의한 프리캐스트 천정판과 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컨테이너 구조물
JPS6015775B2 (ja) 組立式擁壁
JPH09195438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建物の補強構造
KR100557276B1 (ko)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RU178522U1 (ru)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е перекрытие
KR100557334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JP3603957B2 (ja) Pc部材の現場製造施工方法
CN110700468A (zh) 预制拼装式箱型免拆模密肋叠合楼板施工方法
CN220686894U (zh) 装配式空腔结构泊车库及建筑物
CN211473012U (zh) 预制拼装式箱型免拆模密肋叠合楼板
CN220184761U (zh) 装配式空腔结构停车库及建筑物
JPS60144439A (ja) 外壁用トラス板を用いたコンクリ−ト外壁の構築方法
JPH07224493A (ja) コンクリート用埋込み補強材と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JP2000355910A (ja) 橋床など土木用のコンクリート捨て型枠付き立体トラス
JP2004084209A (ja) リサイクル型プレファブ布基礎部材ならびにこれを使用する布基礎の構築方法
JPH04323417A (ja) 基礎構造
JP3450800B2 (ja) 中空の組積構造ブロック及び膜シート仮枠工法
CN115045534A (zh) 一种组合型的装配模块化建筑结构
JP2864905B2 (ja) プレキャスト壁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