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276B1 -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 Google Patents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276B1
KR100557276B1 KR1020030033547A KR20030033547A KR100557276B1 KR 100557276 B1 KR100557276 B1 KR 100557276B1 KR 1020030033547 A KR1020030033547 A KR 1020030033547A KR 20030033547 A KR20030033547 A KR 20030033547A KR 100557276 B1 KR100557276 B1 KR 100557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interlayer
slab
block structur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237A (ko
Inventor
김창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3003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276B1/ko
Publication of KR2004010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Abstract

본 발명은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타설되어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층에 서로 소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각 벽체부, 각 벽체부의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어 슬라브로 형성되는 층간 구획부를 포함하며, 층간 구획부는, 대면하는 각 벽체부의 하부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소정높이로 상향 연장되고 끼움 결합부위는 상부가 부분절개된 구조의 다수의 층간베이스 형강과, 층간베이스 형강에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상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 양측이 하향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중앙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체부는 헤드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반복 체결이 가능한 볼트를 적조되는 각 블록구조체 내에 삽입하여 체결하여 형성하는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며, 대면하도록 개별적으로 적조된 각 블록구조체를 플랫타이로 결속하고 각 플랫타이는 볼트로 결속하며 동일높이상의 플랫타이는 내부연결봉을 체결되는 각 볼트 사이에 개재 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벽체부와 층간구획부의 결합으로 완성되는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제거할 필요가 없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시한다.
블록구조체, 슬라브, 벽체, 층간베이스 형강, 거푸집

Description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A Dismonuting Wall And Floor 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의 사시도,
도 2는 도1에 도시된 거푸집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부의 상세도,
도 6은 벽체부의 플랫타이와 블록구조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7은 벽체부의 플랫타이와 내부연결봉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벽체부와 층간구획부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기초 콘크리트층 110 : 볼팅구
200 : 블록구조체 210 : 장착구
220 : 타이삽입구 230 : 슬라브용 블록구조체
240 : 형강삽입구 300 : 볼트
300a : 볼트의 수나사부 300b : 볼트의 헤드부
400 : 플랫타이 410 : 모서리용 플랫타이
420 : 슬라브용 플랫타이 500 : 내부 연결봉
600 : 층간베이스 형강 610 : 관통구
700 : 블록 1000 : 벽체부
2000 : 층간구획부 3000 :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본 발명은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구조체를 소정높이로 적조하고 반복 연결형 볼트로 조립하여 결합하며 볼트와 플랫타이 및 내부 연결봉에 의한 배근을 하여 벽체부 거푸집을 형성하고,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된 벽체부에 병렬 배치된 층간베이스 형강과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층간구획부을 결합하여 슬라브 거푸집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골조 공사를 시행하며 공사 완료 후는 거푸집은 해체하지 않고, 슬라브 배근 이외에 별도의 배근 공사가 필요없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시공 현장에서의 거푸집 시공과정을 보면, 바닥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그 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철근에 연결하여 수직 수평 철근을 격자형으로 배치하고, 가는 철사로 철근을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속한 다음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은 목수들이 현장에서 도면에 따라 합판과 각재를 절단가공하여 거푸집을 만든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 후에는 거푸집을 해체해야 하므로 해체과정에서 대부분이 훼손되어 재사용이 불가하며 오히려 쓰레기로 처리 해야 하는 이중 부담이 되었다.
또한 최근 아파트와 대형 건물에는 공장제작의 구조체를 벽체 또는 슬라브로 사용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구조체 자체의 부피 및 하중이 커서 운반의 어려움이 있고 설치시에는 타워크레인 같은 대형 기중기가 동원되어야 했다.
그리고 플랫타이가 골조면에 돌출되는 단점이 있어 플랫타이의 절단 작업이 필요하며 작업시 생기는 골조면의 흠집을 제거하는 모르타르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
아울러 벽체에서 철근 배근 구조와 거푸집은 서로 연관되지 않고 분리된 구조로 되어 있어 거푸집과 철근과의 적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시켜야 하고,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해 벽체의 측면과 슬라브의 하단에 지지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별도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거푸집에 의하면, 철근의 배근시 복잡성, 거푸집과 배근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시공의 난이성, 거푸집의 지지대의 설치로 인해 작업환경이 복잡해지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과 거푸집 제거 작업과 흠집 제거 작업 및 플랫타이 돌출부 제거 작업으로 인해 인건비 상승과 공기가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거푸집을 벽체 완성후에도 제거할 필요가 없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거푸집 자체의 구조를 견고히 하여 거푸집 지지대의 설치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안전한 건설현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공장 생산의 규격화된 블록 구조체를 거푸집의 자재로 활용하여 벽체 완성후 별도의 마감작업이 불필요한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규격화된 구성요소들의 조합에 의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완성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 제고 및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한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소정두께로 바닥에 타설되어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층에 소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각 벽체부;
각 벽체부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어 슬라브로 형성되는 층간 구획부;를 포함하며,
층간 구획부는, 대면하는 각 벽체부의 하부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소정높이로 상향 연장되고 끼움 결합부위는 상부가 부분절개된 구조의 다수의 층간베이스 형강과,
인접한 층간베이스 형강 간에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상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 양측이 하향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중앙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블럭;으로 달성될 수 있다.
벽체부는, 기초 콘크리트층에 소정 깊이로 일정간격을 두고 병렬 배치되어 천공된 볼팅구의 각 열별 형성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대면하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되는 다수의 블록구조체; 헤드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어 볼팅구 및 인접한 볼록 구조체와, 적조된 각 블록구조체 내에 높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서로 체결되는 볼트; 및 동일높이로 대면하는 각 블록구조체의 하부를 양측이 관통하여 각 볼트의 수나사에 결합되며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플랫타이;를 포함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블록구조체는 블록구조체 내의 하부에 헤드부가 안치되도록 헤드부의 외경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부는 대응하는 볼트의 수나사가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헤드부의 암나사에 체결되도록 수나사의 외경에 대응하는 장착구가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조이고, 대면하는 블록구조체의 하부에는 플랫타이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장착구에 상통하는 타이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각 플랫타이는 각 플랫타이별로 관통되는 볼트의 연속 체결로 서로 결합되며, 각 볼트의 체결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연속되는 다수의 내부결합봉으로 서로 결합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층간베이스 형강은 길이방향으로 대응하는 높이의 각 블록구조체 상단에 안치되어 각 볼트의 체결부위 사이에 개재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부위에 개재되는 층간베이스 형강에는 볼트의 수나사부가 끼워지도록 대응하는 내경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분명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부터 더 분명해 질것이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3000)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30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3000)은 대면하도록 적조된 블록구조체(200)로 벽체부(1000)가 형성되고 각 벽체부(1000) 사이로 층간베이스 형강(600)에 블록(700)이 상부에 끼워져 이루어진 층간구획부(2000)가 층간을 구획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거푸집(3000)은 일정간격을 두고 대면하게 적조되는 블록구조체(200)에 볼트(300)를 삽입하여 연속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 각 벽체부(1000)와, 각 벽체(1000)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층간 바닥을 형성하는 층간구획부(20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벽체부(1000)는 적조되며 볼트(300)로 연속 체결되어 결속되는 다수의 블록구조체(200)와, 대면하도록 적조된 각 블록구조체(200)를 연결하는 플랫타이(400)와, 각 플랫타이(400)를 높이방향에 따라 삽입되는 볼트(300) 사이에 체결되는 내부연결봉(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층간구획부(2000)는 대면하는 각 벽체부(1000)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소정높이로 상향 연장되고 끼움 결합부위는 상부가 부분절개된 구조의 다수의 층간베이스 형강(600)과, 그 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블록(700)으로 구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층간구획부(2000)는 1층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축조되는 건축물에서, 층과 층 사이를 구분하는 슬라브 거푸집으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데, 소정높이로 적조되는 벽체부(1000)의 동일 높이 상에서 벽체부(1000)에 절개된 양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벽체와 슬라브의 거푸집(3000)이 완성되면, 먼저 슬라브 거푸집 위에 철근배근을 하고, 그 후에 벽체부의 블록구조체(200) 사이의 공간부와 층간구획부(2000) 위에 콘크리트 타설이 되는데 이에 따라 벽체부(1000), 층간구획부(2000) 및 벽체부와 층간구획부의 연결부위가 일체화되어 한 층의 벽체와 슬라브가 형성된다.
벽체와 슬라브의 거푸집(3000)은 건축 시공시의 거푸집을 대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콘크리트 양생 후에 철거하지 않고 건축물의 일부로서 사용되어 진다.
벽체부의 블록 구조체(200)는, 콘크리트를 소정두께로 타설하여 형성한 기초 콘크리트층(100)에 병렬로 볼트(300)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천공된 볼팅구(110)의 각 열에 맞추어 적조된다. 이에 따라 대면하는 블록구조체(200) 양단간의 폭은 3열을 기준으로 했을 때 약 0.32 m 정도가 될 것이나, 건물의 규모나 벽체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치수의 폭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블록구조체(200)의 높이와 길이는 건물의 규모나 벽체의 기능에 따라 알맞게 정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높이 약 0.4 m 정도, 길이 약 0.6 m 정도이다.
블록구조체(200)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장착구(210)가 병렬 형성되어 있다. 장착구(210)는 상부의 내경이 하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구(210)는 건물의 규모나 벽체의 기능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형성될 수 있으나, 블록구조체(200)의 길이가 약 0.6 m 정도라고 하면, 장착구(210)는 약 0.15 m 정도의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블록구조체(200)의 양측부에는 동일높이에서 각 블록구조체(200)가 밀착될 경우 하나의 장착구(210)로서 기능하도록 장착구의 반절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파여져 있다.
블록구조체(200)에는, 대면하는 블록구조체 하부에 플랫타이(400)의 양측이 삽입될 수 있는 타이삽입구(220)가 장착구(210)에 상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층간베이스 형강(600)이 삽입되는 블록구조체는 블록구조체 하부에 형강(600)의 단부가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끼워지도록 장착구(210)와 상통하는 형강삽입구(24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블록구조체는 슬라브가 형성되는 지점에서만 사용되므로 슬라브용 블록구조체(230)라고 하여 타이삽입구(220)가 형성되어 있는 블록구조체(200)와 구별된다.
즉, 슬라브용 블록구조체의 형강삽입구(240)는 층간베이스 형강(600)이 삽입되는 부위에서만 형성되고, 블록구조체(230)를 관통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볼트(300)는 수나사의 축선방향을 따라 헤드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각 볼트(300)는 축선방향을 따라 연속 체결이 가능하다. 이러한 볼트(300)는 장착구(210)에 삽입되어 블록구조체(200)의 적조시 서로 체결됨으로 블록구조체(200)간 결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각 볼트의 헤드부(300b)는 현장 시공시 작업의 편리함을 주기 위해 단면이 6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조로 인해 일종의 독립된 외벽구조가 형성되는데, 각 외벽구조에서 동일높이에 위치하여 대면하는 각 블록구조체(200)에 양단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 플랫타이(400)이다. 플랫타이(400)는 폭보다 긴 길이의 길쭉한 부재로서, 원형으로된 블록구조체의 장착구(210)에 플랫타이(400)가 밀착 결속되도록 플랫타이(400)의 양단부는 원호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양단이 각 블록구조체(200) 안에서 서로 체결된 각 볼트(30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적조됨에 따라 병렬배치되는 각 블록구조체(200) 간의 결속이 가능하다.
아울러 각 플랫타이(400)가 적조에 따라 단을 이루는 각 블록구조체(200)에 결합될 경우 높이방향을 따라 각 블록구조체(200)의 높이만큼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 때 각 플랫타이(400)의 높이방향을 볼트(300)가 연속체결된 구조를 갖음으로써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플랫타이(400)는 서로 결속된다. 볼트(300)는 플랫타이(400)의 중앙을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위치되고 그 위와 아래에 위치하는 볼트(300)와 서로 체결됨으로 결속구조가 가능하다.
이 때 동일높이별로 배치되는 각 플랫타이(400)에 걸쳐 양단이 결합된 것이 내부연결봉(500)이다. 내부연결봉(500)의 길쭉한 판형 금속체이다. 각 내부연결봉(500)의 양단은 전후로 위치한 각 플랫타이(400)에서 결합된 볼트의 헤드부(500b)에 끼워짐으로써 각 플랫타이(400)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구조에 따라 앞에 위치한 내부연결봉(500a)의 타단과 뒤의 내부연결봉(500b)의 일단은 서로 적층 밀착되는 배치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높이방향별 볼트(300)의 연속 체결구조 및 동일높이별 내부연결봉(500)의 결합으로 플랫타이(400)는 높이방향 및 동일높이별 결속됨으로 양측으로 위치한 외벽구조 사이에서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으로 벽체로서 사용할 경우 배근으로 기능할 수 있다.
플랫타이(400)는 용도에 따라 길이를 달리하여 사용되는데, 플랫타이(400)보다 긴 플랫타이로서 벽체부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블록구조체(200) 사이에서 볼트(300)간을 연결하는 모서리용 플랫타이(410)와, 짧은 플랫타이로서 대면하는 블록구조체(200) 중 일측의 블록 구조체 상의 볼트(300)와 벽체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볼트(300)를 연결하는 슬라브용 플랫타이(420)로써도 사용된다.
슬라브용 플랫타이(420)는 층간베이스 형강(600)과 블록구조체(200)의 연결선 상에서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간섭을 피하면서 볼트(3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짧게 형성된 것이다.
층간 구획부의 층간베이스 형강(600)은,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상향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층간베이스 형강(600)은 건설현장에서 'ㄷ'형강이라고 부르는 형강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벽체부(1000)에 끼워지는 부분에서는 상향 연장된 부분이 절개되어 있어,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바닥면이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층간베이스 형강(600)은 단순히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할 때보다 슬라 브의 자체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슬라브 거푸집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벽체부(1000)에 결합되는 부위에서 부분 절개됨으로써 층간베이스 형강(600)에 적조되는 슬라브용 블록구조체(230)와의 간섭을 피하게 된다.
또한 층간베이스 형강(600)은 일정간격을 두고 병렬로 대면하는 벽체부(1000)에 올려지고 벽체부(1000)의 동일 높이 상에서 양단이 결합된다. 즉 대면하는 블록구조체(200) 중 상대적으로 내부에 위치한 블록구조체(200) 상단에 올려지고 층간베이스 형강(600)에 있는 관통구(610)와 블록 구조체(200) 상의 장착구(210)를 통해 볼트(300)가 하단의 볼트의 헤드부(300b)와 체결되면서 고정되어 진다.
층간베이스 형강의 관통구(610)는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돌출된 바닥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바닥부분은 적조된 블록구조체 사이에 개재되고 볼트의 수나사(300a)가 관통되기 위한 직경의 관통구(6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층간 구획부의 블록(700)은, 층간베이스 형강(600)에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상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 양측이 하향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중앙이 함몰된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직육면체의 블록(700)이 중앙부가 함몰되어 층간베이스 형강(600) 사이의 간격을 감싸면서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블록(700)은 층간베이스 형강(60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인데, 층간베이스 형강(600)상에 격자형으로 연속 배치되어 층간베이스 형강(600)을 덮어 상층부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면을 형성하며 일정거리를 두고 벽체부(1000)가 배치되어 있고, 벽체부(1000)의 내부에 층간구획부(2000)가 구성되어 있다.
층간구획부(2000)는 층간베이스 형강(600)과 블록(70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층간베이스 형강(600)은 길이방향의 양단이 상향 연장된 'ㄷ'구조로서, 길이방향 양측이 소정높이로 상향 연장되고 끼움 결합부위는 상부가 부분절개된 구조를 가지고 대면하는 각 벽체부(1000)에 양단이 끼움결합된다.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벽체부(1000)에 삽입되는 양측부에서 벽체부의 블록구조체(200)와의 연결은 헤드부에 암나사가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볼트(300)가 층간베이스 형강의 관통구(610)를 통해 블록구조체(200) 상에 삽입되어 있는 볼트의 헤드부(300b)와 체결되어 진다.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상단에는 다수의 블록(700)이 적조되는데, 블록(700)은 높이방향으로 적조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높이상에서 병렬 배치된 층간베이스 형강(600)에 격자형으로 조립되어 진다. 따라서, 블록(700)이 형상적으로 층간베이스 형강(600)에 연속적으로 끼워져서 형강 전체를 덮은 모습에서는 블록(700)의 평평한 윗면만이 보이게 된다.
그런데, 블록(700)을 층간베이스 형강(600)에 적조하게 되면, 블록이 층간베이스 형강(600)에 1개의 완전한 블록이 끼워지기에는 공간이 부족한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즉, 병렬 배치되는 층간베이스 형강(600)중 최외곽에 배치된 형강(600)은 그 외곽으로 더이상 인접한 형강(600)이 없으므로 완전한 블록(700)을 끼울 수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는 블록의 조각(710)이 삽입되어 슬라브 거푸집이 완성된다.
층간베이스 형강(600)에 블록(700)을 적조한 슬라브 거푸집은, 그 위에 철근에 의한 배근이 이루어 지게 되고, 콘크리트 타설시 상부에 전달되는 콘크리트의 무게를 견디면서 콘크리트가 안정적으로 양생이 되도록 슬라브 형상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슬라브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되어도 슬라브의 일부로서 기능을 하므로 거푸집 제거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층간베이스 형강(600)이 삽입되는 벽체면에서는, 벽체부(1000)에서 대면하는 블록구조체(200) 상의 볼트(30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플랫타이(400)와는 달리, 판넬(60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 상대적으로 외부에 위치한 블록구조체(200) 상의 볼트(300)와 중앙부의 볼트(300)만을 연결하도록 비교적 길이가 짧은, 슬라브용 플랫타이(420)가 사용된다.
이러한 슬라브용 플랫타이(420)는 층간구획부(2000)가 삽입되는 벽체부에서만 사용되고, 층간구획부(2000)가 형성되는 높이의 벽체부(1000)라도 층간구획부(2000)가 삽입되지 않는 벽체부(1000)의 블록구조체(200) 사이와, 층간 구획부(2000)의 삽입면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벽체부의 블록구조체(200) 사이에는 사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층간베이스 형강(600)은 벽체부(1000)의 상대적으로 내부에 위치한 블록구조체(200) 사이에 개재되는데, 형강을 결합부위에서 덮는 슬라브용 블록구조체는 하부의 홈이 다른 블록구조체와는 차이가 있다. 즉, 슬라브용 블록구조체(200)에는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삽입부와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장착구(210)와 상통하는 형강삽입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층간구획부(2000)의 삽입면에 마주하는 슬라브용 블록구조체(200)에는 상기와 같은 형강삽입구(230)가 형성되는데, 형강삽입구는 타이삽입구에 비해 폭이 넓고, 블록구조체 하단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부(1000)가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되어 있고, 층간구획부(2000)의 양단이 벽체부(1000)의 동일 높이 상에서 접하고 있다.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양단이 벽체부(1000)에 삽입되어 있다. 형강(600)은 벽체부(1000)의 상대적으로 내부에 위치한 블록구조체(200) 상에 올려지고 볼트(300)가 형강의 관통구(610)를 통해 장착구(210)의 볼트 헤드부(300b)와 결합된다.
그리고, 형강(600)이 삽입되는 높이의 하나의 벽체부(1000) 내부에는 슬라브용 플랫타이(420)가 사용된다. 이것은 형강(600)이 벽체부(1000)에 삽입됨으로써 생기게 되는 간섭을 피하여, 벽체부(1000)와 층간구획부(20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거푸집 구조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벽체부(1000)와 층간구획부(2000)와의 결합관계는 도 8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서의 벽체부(1000)와 층간구획부(2000) 사이의 결합부분과는 달리,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일단이 벽체부(1000)에 삽입되지 않고 단순히 접해있다. 즉 층간베이스 형강(600)은 'ㄷ' 형상인데, 길이방향으로 상향 연장된 단면을 가진 양측부의 돌출부분은 벽체부(100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다른 양측부은 상향 절곡되면서 마무리되어 그 일면이 벽체부(1000)의 블록구조체(200)에 대응하여 맞닿아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양측부의 구조로 인해 블록(700)은 병렬 배치된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양 마무리 지점에서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체결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블록에서 가공되거나 공장제작된 조각 블록(710)을 사용하여 층간구획부(2000)의 거푸집을 마무리 짓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부(1000)의 상세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구조를 이루는 각 블록구조체(200)의 사이로 플랫타이(400)가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대등한 높이의 각 블록구조체(200)를 결속하도록 구비된다.
대면하는 각 블록구조체(200)에서, 내부의 장착구(210)에는 볼트(300)가 삽입되어 서로 체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 때 플랫타이(400)의 양단이 각 블록구조체(200)의 하단을 관통하여 각 볼트(300)의 체결부위에 개재되어 체결에 따라 압착되는 구조가 마련된다. 따라서 대면하는 각 블록구조체(200)는 장착구(210)의 개수에 따라 플랫타이(400)가 구비되어 삽입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플랫타이(400)는 그 중앙에 볼트(300)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이 때 걸리는 부분이 헤드부(300b)의 하단이다. 헤드부(300b)의 하단은 수나사(300a)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경이 커서 볼트(300)가 플랫타이(400)에 위에서 아래로 관통 삽입될 경우 하단부위가 걸리게 마련이다.
이와 같은 결합관계에 따라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각 플랫타이(400)는 볼트(300)가 체결되면서 압착된다.
그리고 동일높이에 배치되는 각 플랫타이(400)를 결속하기 위한 것이 내부연결봉(500)이다. 내부연결봉(500)의 일단은 그 앞에 위치한 플랫타이(400)에서 볼트의 헤드부(300b)에 끼워진다.
이 때 그 앞의 내부연결봉(500)의 타단 또한 헤드부(300b)에 끼워짐으로 하나의 내부체결봉(500a)의 일단은 인접한 다른 하나의 내부체결봉(500b)의 타단과 적층 배치되는 구조로 대등한 높이에 배치되는 각 플랫타이(400)를 연결하는 구조를 이룬다.
플랫타이(400) 사이, 내부 연결봉(500)과 블록 구조체(200) 사이는 약 0.15m의 간격으로 배치되나, 이러한 열과 행간 간격은 적정한 철근 콘크리트 비율을 만족하는 간격으로 더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도 6은 벽체부의 플랫타이(400)와 블록구조체(2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타이(400)는 대면하도록 적조된 각 블록구조체(200)에서, 대등한 높이의 블록구조체(200)에 양단이 삽입되고 이 때 블록구조체(200)의 결속을 위해 내부에 구비된 각 볼트(300)의 체결부위에 개재 압착된다.
그럼으로써 대면하는 각 블록구조체(200) 또한 서로간의 결속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플랫타이(400)의 중앙에도 볼트(300)가 관통 삽입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체결됨으로써,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플랫타이(400)간 결속이 가능하다.
아울러 대등한 높이로 배치된 각 플랫타이(400)는 볼트의 헤드부(300b)에 내부연결봉(500)이 끼워지고 이러한 끼움결합이 연속됨으로 각 플랫타이(400)의 연결구조가 마련된다.
도 7은 벽체부의 플랫타이(400)와 내부연결봉(500a,500b)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각 플랫타이(400)에는 그 중앙으로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각 볼트에서 헤드부(300b)의 암나사 입구와 대응하는 수나사(300a) 사이에 플랫타이(400)의 중앙부위가 개재된다. 즉 플랫타이(400)의 중앙을 수나사부(300a)가 관통하여 끼워지고 각 볼트(300)가 높이방향을 따라 연속체결됨으로 결국 체결부위에 각 플랫타이(400)의 중앙부위가 압착되는 구조이다.
이 때 각 볼트의 헤드부(300b)에는 내부연결봉(500)이 끼워진다. 즉 볼트(300) 또한 대등한 높이로 배치된 플랫타이(400)를 따라 배치됨으로 동일높이별로 위치한 각 볼트의 헤드부(300b)에 내부연결봉(500)이 끼워지게 된다.
앞에 위치한 헤드부(300b)에 내부연결봉(500)의 일단이 끼워지면, 타단은 뒤에 위치한 헤드부(300b)에 끼워진다. 동일높이별로 이러한 연결구조가 반복되면 하나의 내부연결봉(500a)의 일단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내부연결봉(500b)의 타단은 서로 적층되는 배치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동일 높이별로 배치된 각 플랫타이(400)가 서로 연결된다.
도 8은 벽체부(1000)와 층간구획부(2000)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베이스 형강(600)은 일정거리에 배치되는 각 벽체부(1000)에 동일 높이에서 블록구조체(200)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층간베이스 형강(600)은 벽체부(1000)의 상대적으로 내부에 위치한 블록구조체(200) 위에 올려지고 볼트(300)가 층간베이스 형강의 관통구(610)를 통해 블록구조체(200)의 내부에 삽입결합되어 있는 볼트의 헤드부(300b)에 형성된 암나사와 결합된다.
그리고, 그 위로 슬라브용 블록구조체(230)가 볼트의 헤드부(300b)에 끼워져 적조되어 층간베이스 형강(600)을 압착하면서 슬라브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층간베이스 형강(600)이 블록구조체(200)와 슬라브용 블록구조체(230)에 압착되어 결합하는 부위와 동일 선상의 벽체부(1000)에서는 플랫타이(400)가 대면하는 블록구조체(200) 양단의 볼트(300)에 연결되지 않는다. 즉 여기에는 비교적 길이가 짧은 슬라브용 플랫타이(420)가 사용되어 벽체부(1000)의 상대적으로 외부에 위치되는 블록구조체(200) 상의 볼트(300)와 중앙의 볼트(300)를 연결한다. 이것은 층간베이스 형강(600)이 블록구조체(200)와 슬라브용 블록구조체(230)에 압착 결합된 부위에 플랫타이가 연장되지 않도록 하여 서로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또한, 층간베이스 형강(600)의 부분절개되어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은 슬라브용 블록구조체(230)의 형강삽입구(240)에 끼워지는 형상이 된다. 이것은 층간베이스 형강(600)이 블록구조체(200) 상단에서 볼트(300)와 결합된 후 그 단면에 일치하여 적조되는 슬라브용 블록구조체(230)와 층간베이스 형강(60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층간베이스 형강(600)이 슬라브용 블록구조체(230)에 삽입되는 하단부분에서 절개되는 형강삽입구(24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에 의하면, 공장제작이 가능한 블록 구조체, 블록, 볼트 등을 통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벽체부의 배근 작업을 내부 연결봉과 볼트, 플랫타이의 결합으로 해결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거푸집과 배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시공의 난이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인력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벽체와 슬라브의 거푸집 작업시는 다수의 지지부재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공사장이 복잡해지고 작업공간이 그만큼 협소해졌으나,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으로 시공하면, 블록 구조체에 삽입된 볼트와 연결되는 플랫타이 및 내부 연결봉의 인장력을 통해, 그리고 층간베이스 형강과 블록구조체와의 볼트결합으로 인해 블록구조체 상호간과 층간구획부를 위한 별도의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공간을 보다 깨끗하고 넓게 이용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양생 후 벽체 및 슬라브의 거푸집을 해체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효율은 물론이고 공기의 단축과 공사비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일부 건축현장에서 벽체나 바닥플레이트를 철근 콘크리트 모듈로 공장에서 제작하여 시공하기도 하나 이러한 시공 방법은 공장제작물의 운반 및 시공이 어려워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과 제작 방법은 건축물의 공작 제작화하는 현시점에 구성요소의 공장 생산, 비교적 간편한 운반 및 편리한 시공을 통해 바람직한 건축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트, 블록 구조체, 플랫타이, 내부 연결봉, 블록, 층간베이스 형강의 기본 재료를 가지고 다양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배근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고, 블록 구조체를 2열 또는 3열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구조체는 표면을 평탄하고 매끈하게 제조되므로 별도의 모르타르 마감이나 마감재의 사용없이 깨끗한 벽체를 형성할 수 있고, 만일 특별한 외장재가 필요하다면 플랫타이를 블록 구조체 외부로 연장 시공하여 연장부분에 바로 외장재를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블록은 견고하지만 가벼운 플라스틱류를 사용한다면 시공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슬라브 자체의 하중을 줄일 수도 있다.
비록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8)

  1. 건축물의 벽체와 슬라브의 거푸집에 있어서,
    바닥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기초 콘크리트층(100)에 서로 소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각 벽체부(1000);
    상기 각 벽체부(1000)의 사이에 양측이 연결되어 슬라브로 형성되는 층간 구획부(2000);를 포함하며,
    상기 층간 구획부(2000)는, 상기 대면하는 각 벽체부(1000)에 양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길이방향 양측이 소정높이로 상향 연장되고 상기 끼움 결합부위는 상부가 부분절개된 구조의 다수의 층간베이스 형강(600)과,
    상기 인접한 층간베이스 형강(600) 간에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상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 양측이 하향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중앙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블럭(7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00)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100)에 일정간격으로 병렬 천공되는 볼팅구(110)의 각 열별 형성위치에 대응하여 서로 대면하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적조되는 다수의 블록구조체(200)와,
    헤드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볼팅구(110) 및 인접한 볼록구조체(200)와, 적조된 상기 각 블록구조체(200) 내에 높이방향을 따라 삽입되 어 서로 체결되는 다수의 볼트(300) 및
    동일높이로 대면하는 상기 각 블록구조체(200)의 하부를 양측이 관통하여 별도 구비되는 상기 각 볼트의 수나사(300a)에 결합되며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플랫타이(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베이스 형강(600)은 길이방향으로 대응하는 높이의 상기 각 블록구조체(200) 상단에 안치되어 상기 각 볼트(300)의 체결부위 사이에 개재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위에 개재되는 상기 층간베이스 형강에는 상기 볼트의 수나사(300a)가 끼워지도록 대응하는 내경의 관통구(6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구조체(200)는, 하부는 상기 볼트의 헤드부(300b)가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내경을 갖고, 상부는 상기 헤드부(300b)에 대응하는 볼트의 수나사(300a)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장착구(210)가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대면하는 상기 블록구조체(200)의 하부에는 상기 플랫타이(400)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구(210)에 상통하는 타이삽입구(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각 플랫타이(400)는 상기 각 플랫타이(400) 별로 관통되는 볼트(300)의 연속 체결로 서로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7 항에 있어서, 동일 높이별로 배치되는 상기 각 플랫타이(400)는 상기 각 볼트(300)의 체결부위 사이에 개재되어 연속되는 다수의 내부 연결봉(500)으로 서로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KR1020030033547A 2003-05-27 2003-05-27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KR10055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547A KR100557276B1 (ko) 2003-05-27 2003-05-27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547A KR100557276B1 (ko) 2003-05-27 2003-05-27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237A KR20040102237A (ko) 2004-12-04
KR100557276B1 true KR100557276B1 (ko) 2006-03-07

Family

ID=3737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547A KR100557276B1 (ko) 2003-05-27 2003-05-27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9071A (zh) * 2017-03-07 2017-05-10 刁宏伟 一种带有对拉螺栓的叠合板式夹心保温剪力墙及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237A (ko) 200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544B2 (en) Concrete panel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panels
US8336276B2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components and method
NZ296818A (en) Modular precast wall with mortar joints, spacer provides joint space for mortar
WO2009025421A1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1578902B1 (ko) 건축용 pc슬래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20203B1 (ko) 건축용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RU2605468C2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сбор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деталей завод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557335B1 (ko)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US8827235B1 (en) Concrete form for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with form insert creating recessed sections
KR101425008B1 (ko) 건축용 슬래브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20214086A1 (en) Precast building
KR100769154B1 (ko) 패널존의 좌굴방지 및 하부근과의 시공 향상을 위한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그 제조방법
KR100557276B1 (ko)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KR20120131034A (ko) 루프이음에 의한 프리캐스트 천정판과 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컨테이너 구조물
KR101324884B1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KR100557330B1 (ko) 무해체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
RU178522U1 (ru)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е перекрытие
KR20170113862A (ko) 콘크리트 몰탈 타설량을 줄여주는 담장 및 비내력벽 건축용 블럭
KR100557334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JP3603957B2 (ja) Pc部材の現場製造施工方法
JP6883317B2 (ja) 塀構造、塀材及び塀の構築方法
KR100522746B1 (ko) 무해체 구조의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KR200386778Y1 (ko) 계단 시공용 거푸집 구조
KR100561081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KR100706306B1 (ko) 계단 시공용 덮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