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777Y1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777Y1
KR200257777Y1 KR2020010030192U KR20010030192U KR200257777Y1 KR 200257777 Y1 KR200257777 Y1 KR 200257777Y1 KR 2020010030192 U KR2020010030192 U KR 2020010030192U KR 20010030192 U KR20010030192 U KR 20010030192U KR 200257777 Y1 KR200257777 Y1 KR 200257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reinforced concrete
reinforcing bar
concre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흡
최종덕
장희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30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7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777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콘크리트나 슬라브 등 콘크리트 두께를 두껍게 타설할 경우 복층으로 철근을 배근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이용되는 철근 받침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폭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된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하부 플랜지의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여 그 형상이 ㄷ자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하부 철근을 동시에 복층으로 배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omitted}
본 고안은 철근 콘크리트 공사중 철근 간격 및 콘크리트 피복 두께를 고르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받침블록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하부에 철근을 복층으로 배근할 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바닥면과 철근과의 간격을 유지하기위해 받침블록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받침블록은 이제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일 예로 종래의 받침블록은 콘크리트를 성형하여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형성하되, 각각의 표면을 철근이 안치될 수 있도록 단면이 반구형상 즉, 철근을 안치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받침블록들은 철근 간격을 고려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후 그 상면에 철근을 안치시키고, 직교하여 설치되는 철근과 철근을 철사로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받침블록은 철근을 단층으로 배열하여 콘크리트 두께가 얇을 경우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강도를 필요로 하는 바닥콘크리트나 슬라브 등 콘크리트 두께를 두껍게 타설할 경우에는 철근을 복층으로 배근하여 몰타르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동일선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나의 받침블록으로 상.하부근을 동시에 배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콘크리트나 슬라브 등 콘크리트 두께를 두껍게 타설할 경우 복층으로 철근을 배근할 수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이용되는 철근 받침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폭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된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하부 플랜지의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여 그 형상이 ㄷ자 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하부 철근을 동시에 배근할 수 있도록 하는 철근 받침블록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받침블록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 웨브와 연결되게 보강리브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받침블록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받침블록 11;상부 플랜지
12;하부 플랜지 13;웨브
14,15;보강리브 16;철근
17;거푸집 18;콘크리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철근이 배열된 상태의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체를 부호 10으로 표시한 받침블록은 주로 건축구조물의 바닥면이나 또는 슬라브를 타설할 때 철근을 배근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 받침블록(10)은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 및 이들의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고 있는 웨브(1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웨브(13)의 길이는 콘크리트 타설 두께를 고려하여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플랜지(11) 하면과 하부 플랜지(12) 상면에 웨브(13) 접면한 삼각형상의 보강리브(14)(15)들을 각각 형성하여 철근의 무게 때문에 상.하부 플랜지(11)(12)들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 보강리브(14)(15)들은 도 3과 같이 웨브(13)의 중심부에 한정시켜 재료를 절감토록 하였으며, 이 받침블록(10)은 전체적으로 그 형상이 상.하 대칭으로 이루어진 ㄷ자 형상으로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2) 상하면 각각에 폭방향으로 철근을 안치할 수 있는 요홈(11a)(11b)(12a)(12b)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곳에 철근들이 안치되게 함으로써 상기 받침블록(10)은 철근의 자중에 의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바닥면이나 또는 거푸집(17) 상면에 받침블록(10)을 배열하고, 이 받침블록(10)의 상.하부 플랜지(11)(12)에 각각 철근(16)들을 배근함으로써 상.하부 철근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콘크리트 강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받침블록(10)은 상.하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직으로 세울 경우 상.하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받침블록 상하부에 각각 철근을 안치할 수 있는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바닥콘크리트나 슬라브 타설시 복층으로 철근을 배근할 수 있다.

Claims (2)

  1. 폭방향으로 상하면에 각각 요홈이 형성된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하부 플랜지의 단부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여 그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층으로 철근 배열이 가능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에 상기 웨브와 연결되는 보강리브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
KR2020010030192U 2001-09-29 2001-09-29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 KR200257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92U KR200257777Y1 (ko) 2001-09-29 2001-09-29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92U KR200257777Y1 (ko) 2001-09-29 2001-09-29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777Y1 true KR200257777Y1 (ko) 2001-12-29

Family

ID=7310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92U KR200257777Y1 (ko) 2001-09-29 2001-09-29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7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8470A (en) Reinforcement body for a floor slab
US4974381A (en) Tie anch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sulated concrete sandwich panels
KR101152270B1 (ko)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52101A (ko) 케이블지지 교량의 초고성능 콘크리트 바닥판 구조물
ITPR930040A1 (it) Elemento prefabbricato per la realizzazione di solai di edifici.
US5146726A (en) Composite building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components therefor
US3430407A (en) Spacer members for use in reinforced structures
KR200257777Y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받침블록
KR200262326Y1 (ko) 철근 결속용 스페이서
WO2001000943A1 (en) Hollow filler block for a block-and-rib reinforced concrete slab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938820B1 (ko) 변단면 u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건설 공법
WO2000053858A1 (en) Construction element
KR20160108779A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0390405Y1 (ko) 철근 받침구
US6442910B1 (en) Composite building system
KR101708274B1 (ko) 중공슬래브용 일체형 중공부재 및 이를 이용한 중공 슬림 플로어와 중공 무량판 구조
JP2000038798A (ja) セミプレキャスト床版
KR0127135Y1 (ko) 콘크리트몰탈타설기준대를 가진 철근받침대
KR200210569Y1 (ko) 철근 스페이서
KR200163869Y1 (ko) 건축용 합성데크플레이트
US2375744A (en) Half-tubular reinforced concrete beam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KR200223744Y1 (ko) 건설용 철근의 이격구
KR200495226Y1 (ko) 데크플레이트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KR200200417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