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779A -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779A
KR20160108779A KR1020150031853A KR20150031853A KR20160108779A KR 20160108779 A KR20160108779 A KR 20160108779A KR 1020150031853 A KR1020150031853 A KR 1020150031853A KR 20150031853 A KR20150031853 A KR 20150031853A KR 20160108779 A KR20160108779 A KR 20160108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brick
supporting
support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233B1 (ko
Inventor
박지은
Original Assignee
박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은 filed Critical 박지은
Priority to KR102015003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23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24Elements for building-up floors, ceilings, roofs, arches, or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대나무와 같은 장목 지지대로 끼워 지지할 수 있는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해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에 요구되는 지지 강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건축물의 시공 비용 및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친환경적이고 층간 소음을 줄여 좀더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CELLING BRICK AND CELLING CONSTRUCTURE OF BUILDING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대나무와 같은 장목 지지대로 끼워 지지할 수 있는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해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층간 경계를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은 주로 다량의 철근이 배설된 거푸집 내에서 모래와 시멘트를 배합하여 만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 방식은 많은 양의 모래, 시멘트, 철근, 합판 거푸집 등의 건축 재료와 함께 시공시 위한 많은 기구와 장비를 필요하며, 콘크리트 양생 기간도 길어 공기 단축이 어렵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방식은 거푸집 시공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공사 현장의 주변 환경에 불편을 끼칠 뿐만 아니라 목자재 혹은 거푸집 등은 사용 전후로 건물 근처에 임시 보관 장소가 별도로 요구되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콘크리트 타설 방식만을 이용해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경우 천정 슬라브층의 중량 및 밀도가 높아져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벽체를 추가적으로 보강해야 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전체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층간 소음이 발생하여 주거자의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5층 미만의 저층 건축물 등에 한해 진흙과 모래를 배합하여 만들어지는 천정 벽돌들을 적용해 천정 슬라브층을 시공하는 방식이 유럽과 동남아 국가들에서 적용되어 왔다.
상기한 천정 벽돌들을 적용해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시공하는 방식은 종래 콘크리트 타설 방식과 비교해 시공이 용이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층간 소음이 적고, 건축자재와 인력, 시공 기간 및 건축물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많은 장점들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 천정 벽돌들을 적용해 천정 슬라브층을 시공하는 방식 역시 천정 벽돌들을 적용해 각층을 구획하는 천정 구조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천정 벽돌들을 잡아 고정하거나 천정 슬라브층의 지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값비싼 철근들을 다량으로 배설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시공 비용을 절감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여전히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나무와 같은 장목 지지대로 끼워 지지 고정할 수 있는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해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이루는 천정 벽돌에 있어서, 상기 천정 벽돌은 단면상 하면부로부터 상면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양쪽 측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장목 지지대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의 내부 중심부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각 지지대 관통공의 상측 일부를 절개하여 그라우팅을 위한 하나 이상의 개방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노치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양쪽 측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돌기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 돌기는 상기 천정 벽돌들이 서로 맞대어지며 배열되게 상기 하면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기; 상기 상면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상부 걸림 돌기; 및 상기 측면부 상에서 상기 하면 돌기와 상기 상부 돌기 사이에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관통홈은 단면상 원형, 타원형 또는 복수의 다각형들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관통홈 주위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다수의 경량 통공들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치홈부는 상기 지지대 관통공의 상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천청 벽돌을 이용해 상기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천정 구조물은, 상기 천정 슬라브층이 상기 지지 벽체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장목 지지대; 상기 천정 벽돌들이 지지대 관통홈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끼워져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고,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을 폭 방향을 따라 하면부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되어 하부 천정면을 형성하는 천정 벽돌층; 상기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노치홈부을 절개하여 만들어진 상기 개방 통공들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가 끼워진 상기 지지대 관통공 내부의 잔여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되는 그라우팅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상기 천청 벽돌층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 사이 사이에서 만들어진 경사홈부 내에 배설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보강대; 및 상기 지지 보강대가 배설된 상기 경사홈부 내부를 채우며 상기 천청 벽돌층의 상면부를 기설정된 두께로 덮도록 몰타르를 타설하여 상기 천정 슬라브층의 상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몰타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목 지지대는 대나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정 벽돌층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 중에서 상기 지지 벽체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상기 천정 벽돌들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쳐져 매립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보강대는 철근 지지 보강대 및/또는 장목 지지 보강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 지지 보강대는 상기 경사홈부 내에서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는 복수의 제1 철근 지지 보강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목 지지 보강대는 상기 제1 철근 지지 보강대들을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경사홈부의 중심부에 나란하게 배설되는 대나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보강대는 제2 철근 지지 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철근 지지 보강대는 상기 경사홈부 내에서 이를 사이에 두고 배열되는 양측 상기 천정 벽돌들의 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중간 걸림 돌기 또는 상기 상부 걸림 돌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걸려 고정되게 배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벽체의 하층 지지 벽체부와 상층 지지 벽체부 사이에서 상기 천정 슬라브층을 잡아 매립 고정하는 슬라브 고정 벽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고정 벽체부는 상기 바닥 몰타르층과 몰타르를 일괄 타설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정 벽돌을 이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시공 방법은,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노치홈부를 절개하여 상기 개방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개방 통공이 형성된 상기 천정 벽돌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맞대어져 열을 이루도록 배열한 후, 상기 각 천정 벽돌들의 지지대 관통공들을 통과하도록 상기 장목 지지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개방 통공들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가 끼워진 상기 지지대 관통공 내부의 잔여 공간 내에 몰타르가 채워지게 그라우팅시켜 일렬 단위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장목 지지대에 끼워져 고정된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 지지 벽체에 걸쳐 고정된 상태로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각 천정 벽돌 블록들의 하면부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하여 상기 천정 벽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청 벽돌층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 사이 사이에 만들어진 경사홈부 내에 상기 지지 보강대를 배설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 보강대가 배설된 상기 경사홈부를 채우며 천청 벽돌들의 상면부를 덮도록 몰타르를 타설하여 상기 천정 슬라브층의 상부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바닥 몰타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천정 벽돌층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천정 벽돌층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 중에서 상기 지지 벽체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상기 천정 벽돌들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쳐져 매립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보강대 배설 단계에서는 상기 경사홈부 내에서 상기 지지 보강대를 이루는 복수의 제1 철근 지지 보강대들을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보강대 배설 단계에서 상기 장목 지지 보강대를 상기 제1 철근 지지 보강대들 사이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경사홈부의 중심부에 나란하게 배설할 수 잇다.
또한, 상기 지지 보강대 배설 단계에서 상기 천정 벽돌들의 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중간 걸림 돌기 또는 상기 상부 걸림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가 걸려 고정되게 제2 철근 지지 보강대를 배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몰타르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바닥 몰타르층과 함께 상기 지지 벽체의 하층 지지 벽체부와 상층 지지 벽체부 사이에 상기 천정 슬라브층을 잡아 매립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슬라브 고정 벽체부를 몰타르로 일괄 타설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따르면, 대나무와 같은 장목 지지대로 끼워 지지할 수 있는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해 각층을 구획하는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시공 비용 및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친환경적이고 층간 소음을 줄여 좀더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천정 벽돌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천정 벽돌에 대한 지지대 천공홀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서 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4의 Ⅷ-Ⅷ 선을 따라 잘라서 제2 실시예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Ⅹ-Ⅹ선을 따라 잘라서 제3 실시예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천정 벽돌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천정 벽돌에 대한 지지대 천공홀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천정 벽돌(1)은 단면상 하면부(2)로부터 상면부(3)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양쪽 측면부(4)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면부(2)와 상기 상면부(3) 사이의 내부 중심부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 관통공(5)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천정 벽돌(1)들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100: 도 4 내지 도 6 참조)의 바닥 천정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대나무와 같은 장목 지지대(110: 도 4 내지 도6 참조)로 끼워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천정 벽돌(1)은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1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2개의 대나무들이 끼워져 이들에 의해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2개의 지지대 관통공(5)이 상기 하면부(2)와 상기 상면부(3) 사이의 내부 중심부에서 폭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정 벽돌(1)들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1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작된 천정 벽돌(1)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이를 지지 고정하기 적당한 개수의 대나무(1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지지대 관통공(5)의 개수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 관통홈(5)은 천정 벽돌(1)을 끼워 고정하는 대나무(110)에 대응되게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청 벽돌(1)에 형성되는 지지대 관통홈(15, 25, 35)들은 사용되는 장목 지지대의 단면 형상에 따라 타원형을 포함하여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변형시켜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천정 벽돌(1)의 상면부(3)에는 상기 각 지지대 관통공(5)의 상측 일부를 절개하여 몰타르로 채워 그라우팅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방 통공(9; 도 7의 (b) 참조)들을 형성할 수 있게 노치홈부(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노출홈부(6)는 절개된 개방 통공을 통해 대나무가 끼워진 지지대 관통공(5) 내부의 잔여 공간 내에 몰타르를 채워 그라우팅하는 과정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지지대 관통공(5)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 형태를 이루며 연속되는 개방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노치홈부(6)를 통해 만들어진 개방 통공을 통해 대나무가 끼워진 상기 지지대 관통공(5)의 잔여 공간 내로 몰타르를 채워 그라우팅시킬 수 있는 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개방 통공(9: 도 7 참조)들을 형성할 수 있게 분할하여 노치홈부(6)들을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천정 벽돌(1)은 상기 지지대 관통홈(5) 주위로 다수의 경량 통공(8)들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관통되도록 형성하여, 천정 벽돌(1)을 적용해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100)을 형성시 천정 벽돌(1)에 요구되는 필요 강성은 유지하면서도 이들을 적용해 만들어진 천정 슬라브층(100)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양쪽 측면부(4)에는 천정 벽돌(1)이 서로 맞대어져 천정 슬라브층(100)을 형성하도록 하거나, 천정 벽돌(1)들이 상기한 대나무(110) 이외에도 후술하는 바닥 몰타르층(150) 및 지지 보강대(342; 도 10 및 도 11 참조) 등에 걸려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돌기(7)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돌기(7)들은 천정 벽돌(1)들이 서로 맞대어지며 배열되게 상기 하면부(2)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기(7a), 상면부(3)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상부 걸림 돌기(7b) 및 측면부 상에서 하부 돌기(7a)와 상부 돌기(7b) 사이에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걸림 돌기(7c)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천정 벽돌(1)은 80 내지 90 중량%의 진흙과 10 내지 20중량%의 모래를 배합하여 성형틀을 이용해 성형한 후, 가마나 가열로 등을 이용해 950℃도 내지 1300℃ 범위 내에서 가열하여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천적 벽돌(1)의 제조 과정에서 노치홈부(6)를 유지시킴으로써 기설정된 지지대 관통홈(5)의 형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경량 통공들(8)을 통해 각 부분의 두께를 좀더 균일화시켜 열변형에 의한 변형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천정 슬라브층(100)의 바닥 천정면을 이루는 천정 벽돌(1)들을 진흙과 모래 등의 친환경 소재를 적용함에 따라 좀더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별도의 천장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건축물 내부의 천정면을 아름답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의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서 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은 장목 지지대(110)로 끼워 지지 고정되는 상기 천정 벽돌(1)들을 적용해 건축물의 각층을 구획하는 천정 슬라브층(100)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한 천정 슬라브층(100)은 복수의 장목 지지대(110), 천정 벽돌(1)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천정 벽돌층(120), 장목 지지대(110)가 끼워진 천정 벽돌(1) 내부의 속 채움을 위한 그라우팅부(130), 복수의 지지 보강대(140) 및 바닥 몰타르층(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장목 지지대(110)들은 지지 벽체(160)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된 상태로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천정 슬라브층(100)의 하부 천정면을 이루는 복수의 천정 벽돌(1)들이 복수열의 천정 벽돌 블록(10)을 이루도록 끼워져 이들을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장목 지지대(110)는 대나무인 것을 예시하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목 지지대(110)가 대나무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천정 벽돌(1)들을 끼워 천정 슬라브층(100)을 이루도록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종래 사용되던 고가의 철근을 대신할 수 있어야 하고, 길이가 길며 단위 길이당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장목 소재로 대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천정 슬라브층(100)을 지지하는 지지 벽체(160)는 편의상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 벽체(161)와, 이와 직교하며 실내 공간을 구획하도록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 지지벽체(169)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상기한 길이 방향의 제1 지지 벽체(161)와 폭 방향의 제2 지지 벽체(169)는 건축물의 하층을 형성되는 하층 지지 벽체부(162), 하측 지지 벽체부(162) 상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상층을 형성하는 상측 지지 벽체부(163), 및 상기 하층 지지 벽체부(162)와 상기 상측 지지 벽체부(163) 사이에서 상기 천정 슬라브층(100)을 잡아 고정하도록 연결되게 형성되는 슬라브 고정 벽체부(16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슬라브 고정 벽체부(164) 내부에는 층간 경계를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100)을 잡고 고정하기 위한 지지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지지 벽체가 가설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는 배력 철근(167)들과 이들을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묶어주도록 절곡 형성되는 묶음 철근(168)들로 이루어지는 벽체 철근 보강대(166)가 외벽면을 형성하는 벽체 몰타르층(165) 내에 매립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 지지 벽체(160)는 천정 슬라브층(100)을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평면상 4각 형상을 이루며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내력 벽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적용되는 건축물 형태에 따라 지지 벽체의 적어도 일부가 대들보과 같이 기둥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지지보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천정 벽돌층(120)은 상기 대나무(110)들이 천정 벽돌(1)들의 지지대 관통홈(5)을 통과하며 서로 연결되게 끼워져 지지되는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10)들이 폭 방향으로 하면부(2)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되어 천정 슬라브층(100)의 하부 천정면을 이루도록 한다.
그라우팅부(130)는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10)들을 이루는 천정 벽돌(1)들의 노치홈부(6)을 절개하여 만들어진 개방 통공(9)들을 통해 대나무(110)가 끼워진 지지대 관통공(5) 내부의 잔여 공간에 몰타르로 채워 그라우팅시키도록 함으로써, 그라우팅된 몰타르에 의해 천정 벽돌(1)들이 끼워진 대나무(110)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며 좀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 보강대(140)는 상기 지지 벽체(160)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상기 천청 벽돌층(120)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10)들 사이 사이에서 만들어진 경사홈부(50; 도 7 참조) 내에 배설되어, 천정 슬라부층(100)의 지지 강성을 추가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 보강대(140)가 2개의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41)로 이루어지고, 2개의 제1 철근 지지 보강대들(141)은 각각의 상기 경사홈부(50) 내에서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설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지지 보강대(140)를 통해 보강하고자 하는 천정 슬라브층(100)의 지지 강성을 높이 고자 하는 경우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51)를 더 많은 개수로 촘촘하게 배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바닥 몰타르층(150)은 상기 지지 보강대(140)가 배설된 상기 경사홈부(50) 내부를 채우며 상기 천청 벽돌층(120)의 상면부를 기설정된 두께로 덮어 보강하며 천정 슬라브층(100)의 상부 바닥면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한 천정 벽돌(1)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은 도 7에 도시한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과정을 통해 제작된다.
도 7은 도 4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은 개방 통공 형성 단계(ST10), 장목 지지대 삽입 단계(ST20), 천정 벽돌 블록 형성 단계(ST30), 천정 벽돌층 형성 단계(ST40), 지지 보강대 배설 단계(ST50), 바닥 몰타르층 형성 단계(ST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개방 통공 형성 단계(ST10)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 벽돌(1)들의 노치홈부(6)를 절개하여 개방 통공(9)들을 형성한다.
장목 지지대 삽입 단계(ST20)에서는,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 통공(9)이 형성된 천정 벽돌(1)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맞대어져 열을 이루도록 배열한 후, 열을 이루는 각 천정 벽돌(1)들의 지지대 관통공(5)들을 통과하도록 한 쌍의 대나무(110)를 끼워 넣는다.
천정 벽돌 블록 형성 단계(ST30)에서는,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 벽돌(1)들의 개방 통공(9)들을 통해 대나무(110)가 끼워진 지지대 관통공(5) 내부의 잔여 공간 내에 몰타르를 채워 상기한 그라우팅부(130)를 형성한다. 지지대 관통공(5) 내에 채워진 몰타르가 굳으면서 천정 벽돌(1)들을 대나무(110)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일렬의 단위 천정 벽돌 블록(10)을 형성하게 된다.
천정 벽돌층 형성 단계(ST40)에서는, 도 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나무에 끼워져 고정된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10)들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한 하층 지지 벽체(162) 상에 걸쳐 고정된 상태로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각 천정 벽돌 블록(20)들 하면부의 가장자리부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하여 상기한 천정 벽돌층(120)을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천정 벽돌층(120)을 이루는 천정 벽돌 블록들의 천정 벽돌(1) 중에서 지지 벽체(160; 161, 169)들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천정 벽돌(1)들은 상기 지지 벽체(161, 169)의 하층 지지 벽체부(162)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하층 지지 벽체부(162) 상에 걸쳐지게 올려진 후 슬라브 고정 벽체부(164)을 이루는 벽체 몰타르층(168) 내에 매립 고정되도록 하여, 전술한 천정 벽돌(1)들을 사용해 만들어지는 천정 슬라브층(100)이 지지 벽체(160; 161, 169)에 좀더 견고하게 고정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지지 보강대 배설 단계(ST50)에서는, 도 7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청 벽돌층(100)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10)들 사이 사이에서 만들어진 각각의 경사홈부(50) 내에 상기 지지 보강대(140)를 이루는 2개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41)를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설한다.
이때, 길이 방향 양측 내력 벽체(169)의 슬라브 고정 벽체부(164) 내에 매립고정되는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41)의 양측 단부에 고리 형태로 절곡 형성하여,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41)에 의한 천정 슬라브층(100) 내의 지지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바닥 몰타르층 형성 단계(ST60)에서는, 도 7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41)들이 배설된 경사홈부(50) 내부를 채우며 천정 벽돌층(120)을 이루는 천청 벽돌(1)들의 상면부(3)를 기설정된 두께로 덮도록 몰타르를 타설하여 천정 슬라브층(100)의 상부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바닥 몰타르층(150)을 형성한다.
따라서, 바닥 몰타르층(150)을 이루도록 타설된 몰타르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천정 벽돌층(120)을 이루는 각각의 천정 벽돌(1)들과 결합되어 하나의 천정 슬라브층(100)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천정 벽돌(1)들 사이의 경사홈부(50)를 채우며 양생된 바닥 몰타르층(150)에 내에 덧날처럼 측면부에 돌출된 천정 벽돌(1)들의 상부 걸림 돌기(7b) 및 중간 걸림 돌기(7c)들이 걸려 좀더 견고하게 잡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 몰타르층(150)과 함께 지지 벽체(160)의 슬라브 고정 벽체부(164)의 벽체 몰타르층(165)을 한꺼번에 타설하여 일체로 양생시킴으로써, 천정 슬라브층(100)가 지지 벽체(160)에 좀더 견고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각각 첨부한 도 8 내지 10 및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4의 Ⅷ-Ⅷ 선을 따라 잘라서 제2 실시예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을 적용하여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을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2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천정 슬라브층(100)와 비교하여, 상기한 경사홈부(50) 내에 배설되는 지지 보강대(240)가 상기한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41)와 함께 장목 지지 보강대(242)를 추가 적용하여 이를 통한 천정 슬라브층(200)의 추가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여기서, 장목 지지 보강대(242)는 상기한 장목 지지대와 마찬가지로 대나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장목 지지 보강대(252; 이하, 대나무 지지 보강대라 함)는 상기한 천정 벽돌(1)들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과정 중에서, 도 9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보강대 배설 단계(ST50)를 통해 경사홈부(50)의 중심부에서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는 한 쌍의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41)들을 사이에 위치에 배설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홈부 내에 배설되는 지지 보강대(250)를 상기한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41)들와 함께 대나무 지지 보강대(242)를 추가 배설하여 바닥 몰타르층(150) 내에 매립 고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추가 배설된 대나무 지지 보강대(242)를 통해 천정 슬라브층(100)에 작용하는 수평 인장하중을 추가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바닥 몰타르층(150) 내에서 추가 사용된 대나무들의 부피 만큼 몰타르의 사용량을 줄여 결국 천정 슬라부층(100)이 이루는 전체 중량을 줄임으로써 천정 벽돌(1))을 적용한 천정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도 4의 Ⅹ-Ⅹ선을 따라 잘라서 제3 실시예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천정 벽돌(1)을 적용하여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을 이루는 천정 슬라부층(3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천정 슬라브층(100)과 비교하여, 상기 지지 보강대(340)가 상기한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41)와 함께 제2 철근 지지 보강대(342)가 추가 적용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경사홈부(50) 내에서 한 쌍의 제2 철근 지지 보강대(242)가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천정 벽돌(1)들의 측면부(4)에 형성된 상기 중간 걸림 돌기(7c)가 걸려 고정될 수 있게 배설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제2 철근 지지 보강대(342)는 상기한 천정 벽돌(1)의 중간 걸림 돌기(7c)들 걸려 고정되게 배설되는 것만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상기 천정 벽돌(1)들의 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중간 걸림 돌기(7c) 또는 상기 상부 걸림 돌기(7b)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걸려 고정되게 배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제2 철근 지지 보강대(342)를 배설하는 과정은, 도 11의 (f)에 도시한 지지 보강대 가설 단계(ST50)에서, 지지 보강대(340)를 이루는 제1 철근 지지 보강대(141)와 함께 천정 벽돌 블록(10)들 사이에 형성된 경사홈부(50) 내에 배설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따라 천정 벽돌을 적용하여 시공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을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100, 200, 300)은 천정 벽돌(1)들을 대나무로 끼워 천정 슬라부층(100, 200, 3000)의 바닥 천정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천정 슬라부층(100, 200, 300)의 중량을 줄여 건축물의 층간 경계 부분에 요구되는 내구성을 그대로 유지하되, 천정 슬라부층(100, 200, 300) 내에 사용된 철근 및 몰타르 사용량을 줄여 재료비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천정 슬라브층의 시공 방식을 단순화시켜 천정 슬라브를 시공시 소요되는 공기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들에 따라 천정 벽돌을 적용하여 시공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을 이루는 청정 슬라브층(100, 200, 300)은 친환경 소재인 진흙과 모래를 배합하여 만들어진 천정 벽돌(1)을 천정 슬라브층(100, 200, 300)의 바닥 천정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천정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추가적인 시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정 슬라브층(100, 200, 300)의 밀도를 낮추어 층간 소음을 줄임으로써 좀더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천정 벽돌 2: 하면부
3: 상면부 4: 측면부
5: 지지대 관통공 6: 노치홈부
7: 연장 돌기 7a: 하부 돌기
7b: 상부 걸림 돌기 7c: 중간 걸림 돌기
10: 천정 벽돌 블록 50: 경사홈부
100, 200, 300: 천정 슬라브층 110: 장목 지지대(대나무)
120: 천정 벽돌층 130: 그라우트 몰탈층
140, 240, 340: 지지 보강대 141: 제1 철근 지지 보강대
150: 보강 몰탈층 160: 지지 벽체
161: 제1 지지 벽체(폭 방향) 162: 하층 지지 벽체부
163: 상측 지지 벽체부 164: 슬라브 고정 벽체부
165: 벽체 몰타르층 166: 벽체 철근 보강대
169: 제2 지지 벽체(길이 방향) 242: 장목 지지 보강대
342: 제2 철근 지지 보강대

Claims (19)

  1.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이루는 천정 벽돌에 있어서,

    상기 천정 벽돌은,
    단면상 하면부로부터 상면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양쪽 측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장목 지지대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의 내부 중심부에 하나 이상의 지지대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각 지지대 관통공의 상측 일부를 절개하여 그라우팅을위한 하나 이상의 개방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노치홈부가 형성되는 천청 벽돌.
  2. 제1항에서,
    상기 양쪽 측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돌기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 돌기는,
    상기 천정 벽돌들이 서로 맞대어지며 배열되게 상기 하면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기;
    상기 상면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상부 걸림 돌기; 및
    상기 측면부 상에서 상기 하면 돌기와 상기 상부 돌기 사이에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천청 벽돌.
  3. 제1항에서,
    상기 지지대 관통홈은 단면상 원형, 타원형 또는 복수의 다각형들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
  4. 제3항에서,
    상기 지지대 관통홈 주위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다수의 경량 통공들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정 벽돌.
  5. 제1항에서,
    상기 노치홈부는 상기 지지대 관통공의 상측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천정 벽돌.
  6. 제2의 상기 천청 벽돌을 이용해 상기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천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천정 슬라브층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장목 지지대;
    상기 천정 벽돌들이 지지대 관통홈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끼워져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고,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을 폭 방향을 따라 하면부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되어 하부 천정면을 형성하는 천정 벽돌층;
    상기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노치홈부을 절개하여 만들어진 상기 개방 통공들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가 끼워진 상기 지지대 관통공 내부의 잔여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되는 그라우팅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상기 천청 벽돌층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 사이 사이에서 만들어진 경사홈부 내에 배설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보강대; 및
    상기 지지 보강대가 배설된 상기 경사홈부 내부를 채우며 상기 천청 벽돌층의 상면부를 기설정된 두께로 덮도록 몰타르를 타설하여 상기 천정 슬라브층의 상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몰타르층;을 포함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7. 제6항에서,
    상기 장목 지지대는 대나무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을 이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8. 제6항에서,
    상기 천정 벽돌층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 중에서 상기 지지 벽체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상기 천정 벽돌들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쳐져 매립 고정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9. 제6항에서,
    상기 지지 보강대는 철근 지지 보강대 또는 장목 지지 보강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0. 제9항에서,
    상기 철근 지지 보강대는 상기 경사홈부 내에서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는 복수의 제1 철근 지지 보강대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1. 제10항에서,
    상기 장목 지지 보강대는 상기 제1 철근 지지 보강대들을 사이에 간격을 두고 상기 경사홈부의 중심부에 나란하게 배설되는 대나무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2. 제11항에서,
    상기 철근 지지 보강대는 제2 철근 지지 보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철근 지지 보강대는,
    상기 경사홈부 내에서 이를 사이에 두고 배열되는 양측 상기 천정 벽돌들의 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중간 걸림 돌기 또는 상기 상부 걸림 돌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걸려 고정되게 배설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3. 제6항에서,
    상기 지지 벽체의 하층 지지 벽체부와 상층 지지 벽체부 사이에서 상기 천정 슬라브층을 잡아 매립 고정하는 슬라브 고정 벽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고정 벽체부는 상기 바닥 몰타르층과 몰타르를 일괄 타설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4. 제12항의 천정 벽돌을 이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노치홈부를 절개하여 상기 개방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개방 통공이 형성된 상기 천정 벽돌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맞대어져 열을 이루도록 배열한 후, 상기 각 천정 벽돌들의 지지대 관통공들을 통과하도록 상기 장목 지지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개방 통공들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가 끼워진 상기 지지대 관통공 내부의 잔여 공간 내에 몰타르가 채워지게 그라우팅시켜 일렬 단위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장목 지지대에 끼워져 고정된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 지지 벽체에 걸쳐 고정된 상태로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각 천정 벽돌 블록들의 하면부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하여 상기 천정 벽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청 벽돌층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 사이 사이에 만들어진 경사홈부 내에 상기 지지 보강대를 배설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 보강대가 배설된 상기 경사홈부를 채우며 천청 벽돌들의 상면부를 덮도록 몰타르를 타설하여 상기 천정 슬라브층의 상부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바닥 몰타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천정 벽돌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천정 벽돌층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 중에서 상기 지지 벽체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상기 천정 벽돌들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쳐져 매립 고정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
  16. 제14항에서,
    상기 지지 보강대 배설 단계에서,
    상기 경사홈부 내에서 상기 지지 보강대를 이루는 복수의 제1 철근 지지 보강대들을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설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지지 보강대 배설 단계에서,
    상기 장목 지지 보강대를 상기 제1 철근 지지 보강대들 사이에서 간격을 두고 상기 경사홈부의 중심부에 나란하게 배설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지지 보강대 배설 단계에서,
    상기 천정 벽돌들의 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중간 걸림 돌기 또는 상기 상부 걸림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가 걸려 고정되게 제2 철근 지지 보강대를 배설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
  19. 제14항에서,
    상기 바닥 몰타르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바닥 몰타르층과 함께 상기 지지 벽체의 하층 지지 벽체부와 상층 지지 벽체부 사이에 상기 천정 슬라브층을 잡아 매립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슬라브 고정 벽체부를 몰타르를 일괄 타설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150031853A 2015-03-06 2015-03-06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67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853A KR101677233B1 (ko) 2015-03-06 2015-03-06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853A KR101677233B1 (ko) 2015-03-06 2015-03-06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779A true KR20160108779A (ko) 2016-09-20
KR101677233B1 KR101677233B1 (ko) 2016-11-30

Family

ID=5710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853A KR101677233B1 (ko) 2015-03-06 2015-03-06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08B1 (ko) * 2016-10-24 2017-03-30 주식회사 삼정비알 벽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0417A (zh) * 2019-04-30 2019-07-05 杭州一碳化工研究所有限公司 仿古青砖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22740B1 (es) * 2007-05-10 2010-04-06 Asociacion Española De Fabricantes De Ladrillos Y Tejas De Arcilla Cocida, Hispalyt Lamina flexible de ladrillos para la construccion de elementos arquitectonico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dicha lamin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08B1 (ko) * 2016-10-24 2017-03-30 주식회사 삼정비알 벽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233B1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9725A (en) Sectional nog structure for fastening a covering element to a foamed plastic slab and construction element incorporating said structure
US7934351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 block wall
US9988775B1 (en) Concrete i-beam for bridge construction
US20090113835A1 (en) Interlocking Masonry Blocks
KR102171006B1 (ko) 강화 콘크리트 바닥을 구축하기 위한 소결 발포 폴리스티렌 모듈형 요소
EP0693597A1 (en) Modular dowel assembly for fixing a lining element to a panel of an expanded plastic material and structural element incorporating said assembly
US10640970B2 (en) Concrete building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PL226557B1 (pl) Sposób wytwarzania podłogi budynku na fundamentach punktowych i zespół konstrukcyjny do wytwarzania podłogi budynku na fundamentach punktowych
ITPR930040A1 (it) Elemento prefabbricato per la realizzazione di solai di edifici.
KR101677233B1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US59468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suspended concrete floors and roofs
US11214963B2 (en) Method of forming a concrete panel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4228625A (en) Construction system
RU47924U1 (ru) Армоопалубочный блок
KR20160108776A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912308B1 (ko) 발코니를 일체로 형성하는 건축구조물의 시공구조
JP6883317B2 (ja) 塀構造、塀材及び塀の構築方法
KR20160108778A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US6442910B1 (en) Composite building system
KR101650856B1 (ko) 상단에 슬래브 블록이 일체로 구성되는 i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0127135Y1 (ko) 콘크리트몰탈타설기준대를 가진 철근받침대
RU8715U1 (ru) Перемычка стенового проема кирпичного здания
RU2525242C1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опалубочный блок проемный
JP3035385U (ja) 基礎用鉄筋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