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808B1 - 벽돌 - Google Patents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808B1
KR101721808B1 KR1020160138342A KR20160138342A KR101721808B1 KR 101721808 B1 KR101721808 B1 KR 101721808B1 KR 1020160138342 A KR1020160138342 A KR 1020160138342A KR 20160138342 A KR20160138342 A KR 20160138342A KR 101721808 B1 KR101721808 B1 KR 10172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inclined surface
groove
wall
bri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경
이명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정비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정비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정비알
Priority to KR102016013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0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3Building elements for making angled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7Building elements with the appearance of several br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벽돌본체의 제1면에는 몰탈이 사춤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벽돌본체의 제2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세로줄눈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벽돌 조적벽을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고, 조적시 벽돌을 코너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벽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돌{Brick}
본 발명은 벽돌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벽돌본체의 제1면에는 몰탈이 사춤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벽돌본체의 제2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벽돌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점토벽돌의 시공은 대체적으로 가로줄눈과 세로줄눈이 있는 평쌓기 방식의 시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쌓기 방식에 사용되는 점토벽돌은 양측면 및 전후면 및 상하면 모두가 평면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최근 들어 점토벽돌 조적벽의 여러가지 형태중 보다 세련되고 새로운 패턴의 벽돌집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점토벽돌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조적벽을 새로운 패턴으로 형성할 경우 조적벽의 견고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276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0978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적벽에 새로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조적벽을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벽돌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벽돌은, 벽돌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벽돌본체에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제2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면에는 몰탈이 사춤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2면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과 상기 벽돌본체의 전면 또는 후면 사이에는 제2경사면이 배치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벽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벽돌본체의 제1면에는 몰탈이 사춤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벽돌본체의 제2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세로줄눈이 형성되지 않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조적벽을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벽돌을 조적시 코너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성형과정과 소성과정에서 옆면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여 조적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두개의 벽돌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2면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형성되어, 벽돌을 모서리에 사용할 경우에 상기 제2면이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사람이 상기 제1경사면을 유관으로 인식하기 어려워 조적벽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다.
상기 홈과 상기 벽돌본체의 전면 또는 후면 사이에는 제2경사면이 배치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성형과정과 소성과정에서 옆면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고 시공시 몰탈의 사춤이 용이하도록 하여 벽돌과 벽돌 사이의 밀도를 향상시켜서 조적벽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쌓기 방식으로 시공된 조적벽.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 시공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이용하여 시공된 조적벽.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돌(100)은, 벽돌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벽돌본체에는 제1면(110)과, 상기 제1면(110)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제2면(120)이 형성되며, 상기 제1면(110)에는 몰탈이 사춤되는 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제2면(120)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돌본체는 점토벽돌이다.
상기 벽돌본체는 제1면(110)과, 상기 제1면(110)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제2면(120)과, 제1면(110)과 제2면(120)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면(150)과, 제1면(110)과 제2면(120)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4면과, 제1, 2, 3, 4면(110, 120, 150)의 전단에 배치되는 전면(130)과, 제1, 2, 3, 4면(110, 120, 150)의 후단에 배치되는 후면(140)이 형성된다. 상기 벽돌본체는 대체적으로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면(110, 120)은 상기 벽돌본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3,4면(150)은 상기 벽돌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황에 따라 이와 반대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2면(110, 120)은 마구리면이다.
제3,4면(15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3,4면(150)과, 전면(130)과 후면(140)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제1면(110)에는 몰탈이 사춤되는 홈(11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홈(111)은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홈(111)을 형성하는 홈우측면과, 홈전면과, 홈후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홈(111)의 전후길이는 벽돌(100)의 전후폭의 절반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홈(111)으로 인해, 조적벽을 시공할 때 세로줄눈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우수한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시공후에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로줄눈을 조적벽에 형성하지 않아서 조적벽에 새로운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조적벽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다.
제2면(120)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은 제2면(12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형성된다. 즉, 제2면(120)은 제1경사면이다. 따라서, 제2면(120)의 전단이 가장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전면(130)과 제2면(120)이 이루는 각은 예각이다.
홈(111)과 상기 벽돌본체의 전면(130) 또는 후면(140) 사이에는 제2경사면(112)이 배치되고, 상기 제2경사면(112)은 상기 전면(130) 또는 후면(140)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111)과 전면(130) 및 후면(140) 사이에 제2경사면(112)이 형성된다.
제2경사면(112)과 전면(130)이 이루는 각 및 제2경사면(112)과 후면(140)이 이루는 각은 예각이다. 따라서, 몰탈 사춤할 때 몰탈이 홈(111)으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또한, 벽돌(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1면(110)에 배부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내력벽의 외측에 단열재를 배치시키고, 단열재의 외측에 조적벽을 형성한다.
상기 조적벽은 벽돌(100)을 평쌓기로 쌓되 세로줄눈은 형성되지 않고 가로줄눈(200)만 형성되도록 시공한다.
벽돌(100)의 제1면(110)이 인접한 벽돌(100)의 제2면(120)과 마주보도록 벽돌(100)을 조적한다.
상세하게는, 벽돌(100)의 제1면(110)의 전단이 인접한 벽돌(100)의 제2면(120)의 전단에 맞닿도록 벽돌(100)을 조적하여 세로줄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두개의 벽돌(10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선(모서리)을 따라 접촉된다. 따라서, 조적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두개의 벽돌(100)의 전면은 연속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조적벽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두개의 벽돌(100) 사이의 틈새는 없게 되어, 조적벽의 외관은 더욱 미려해진다.
한편, 벽돌(100)의 제1면(110)의 후단은 인접한 벽돌(100)의 제2면(120)의 후단과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두개의 벽돌(100)의 후면(140)은 이격된다.
조적벽의 모서리 부분에도 벽돌(100)을 그대로 사용하되, 제2면(1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벽돌(100)을 조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벽돌 110 : 제1면
111 : 홈 112 : 제2경사면
120 : 제2면(제1경사면) 130 : 전면
140 : 후면 150 : 제3면

Claims (3)

  1. 벽돌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벽돌본체에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제2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면에는 몰탈이 사춤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면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면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2면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과 상기 벽돌본체의 전면 또는 후면 사이에는 제2경사면이 배치되고,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KR1020160138342A 2016-10-24 2016-10-24 벽돌 KR101721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342A KR101721808B1 (ko) 2016-10-24 2016-10-24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342A KR101721808B1 (ko) 2016-10-24 2016-10-24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808B1 true KR101721808B1 (ko) 2017-03-30

Family

ID=5850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342A KR101721808B1 (ko) 2016-10-24 2016-10-24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8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783A (ko) 2004-07-26 2006-02-01 백래현 점토벽돌이나 바닥벽돌표면에 다양한 반점 무늬의 색상을현출하는 점토벽돌
KR200443596Y1 (ko) * 2008-05-27 2009-02-26 한장석 조적식 황토벽돌의 구조
JP2010196312A (ja) * 2009-02-24 2010-09-09 Toyo Kogyo Kk 組積用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KR20120023353A (ko) * 2010-09-03 2012-03-13 박승무 상수슬러지를 이용한 연화벽돌
KR101442762B1 (ko) 2013-11-15 2014-09-23 배경자 벽돌 조적용 기준틀 및 그 기준틀을 이용한 벽돌 조적방법
KR20160108779A (ko) * 2015-03-06 2016-09-20 박지은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783A (ko) 2004-07-26 2006-02-01 백래현 점토벽돌이나 바닥벽돌표면에 다양한 반점 무늬의 색상을현출하는 점토벽돌
KR200443596Y1 (ko) * 2008-05-27 2009-02-26 한장석 조적식 황토벽돌의 구조
JP2010196312A (ja) * 2009-02-24 2010-09-09 Toyo Kogyo Kk 組積用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KR20120023353A (ko) * 2010-09-03 2012-03-13 박승무 상수슬러지를 이용한 연화벽돌
KR101442762B1 (ko) 2013-11-15 2014-09-23 배경자 벽돌 조적용 기준틀 및 그 기준틀을 이용한 벽돌 조적방법
KR20160108779A (ko) * 2015-03-06 2016-09-20 박지은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3563B2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US20060150559A1 (en) Two piece interlocking block system
US20210299918A1 (en) Manufactured retaining wall block with improved false joint
KR101426327B1 (ko) 조립식 벽돌
US10514052B2 (en) System for coupling two prefabricated panels for construction
US20080295440A1 (en) Building component
US11708698B2 (en) Panel locking system and panels therefor
US903906A (en) Interlocking brick.
KR101721808B1 (ko) 벽돌
US1418168A (en) Building block
US7337589B2 (en) Interlocking blocks for construction
US9683368B1 (en) Encompassing mortarless locking blocks
KR101528292B1 (ko) 샌드위치 패널의 벤딩구조 및 샌드위치 패널의 벤딩방법
US11591791B2 (en) Masonry block system
KR200200938Y1 (ko) 콘크리트 시공용 패널
JP6851658B2 (ja) ログ材
JP6467174B2 (ja) パネル材の連結具
JP7224177B2 (ja) 壁板材の連結構造及びその連結構造に用いられる壁板材
EP2829667B1 (en) Siding profiles
US20240140003A1 (en) Manufactured retaining wall block with improved false joint
JP6483950B2 (ja) 建築板
KR102146634B1 (ko) 코너 블럭이 적용된 보강토 옹벽
JP4687549B2 (ja) 外装パネル用役物
JP6700650B2 (ja) 建築板
KR101644180B1 (ko) 건물 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