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778A -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778A
KR20160108778A KR1020150031852A KR20150031852A KR20160108778A KR 20160108778 A KR20160108778 A KR 20160108778A KR 1020150031852 A KR1020150031852 A KR 1020150031852A KR 20150031852 A KR20150031852 A KR 20150031852A KR 20160108778 A KR20160108778 A KR 20160108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brick
support
supporting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은
Original Assignee
박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은 filed Critical 박지은
Priority to KR102015003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8778A/ko
Publication of KR20160108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24Elements for building-up floors, ceilings, roofs, arches, or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대나무와 같은 장목 지지대로와 함께 벽돌 지지 보강대들을 끼워 지지할 수 있는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해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에 요구되는 지지 강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건축물의 시공 비용 및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친환경적이고 층간 소음을 줄여 좀더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CELLING BRICK AND CELLING CONSTRUCTURE OF BUILDING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대나무와 같은 장목 지지대와 함께 벽돌 지지 보강대로 끼워 지지할 수 있는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해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층간 경계를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은 주로 다량의 철근이 배설된 거푸집 내에서 모래와 시멘트를 배합하여 만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콘크리트 타설 방식은 많은 양의 모래, 시멘트, 철근, 합판 거푸집 등의 건축 재료와 함께 시공시 위한 많은 기구와 장비를 필요하며, 콘크리트 양생 기간도 길어 공기 단축이 어렵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방식은 거푸집 시공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공사 현장의 주변 환경에 불편을 끼칠 뿐만 아니라 목자재 혹은 거푸집 등은 사용 전후로 건물 근처에 임시 보관 장소가 별도로 요구되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콘크리트 타설 방식만을 이용해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경우 천정 슬라브층의 중량 및 밀도가 높아져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벽체를 추가적으로 보강해야 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전체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층간 소음이 발생하여 주거자의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5층 미만의 저층 건축물 등에 한해 진흙과 모래를 배합하여 만들어지는 천정 벽돌들을 적용해 천정 슬라브층을 시공하는 방식이 유럽과 동남아의 일부 국가들에서 적용되어 왔다.
상기한 천정 벽돌들을 적용해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시공하는 방식은 종래 콘크리트 타설 방식과 비교해 시공이 용이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층간 소음이 적고, 건축자재와 인력, 시공 기간 및 건축물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많은 장점들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 천정 벽돌들을 적용해 천정 슬라브층을 시공하는 방식 역시 천정 벽돌들을 적용해 각층을 구획하는 천정 구조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천정 벽돌들을 잡아 고정하거나 천정 슬라브층의 지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값비싼 철근들을 다량으로 배설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시공 비용을 절감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여전히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나무와 같은 장목 지지대와 함께 벽돌 지지 보강대를 끼워 지지 고정할 수 있는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해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물 천정 슬라브층을 이루는 천정 벽돌은 단면상 하면부로부터 상면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양쪽 측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장목 지지대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의 내부 중심부에 지지대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보강대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지지대 관통공의 상측 일부를 절개하여 그라우팅을 위한 지지대 개방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지지대 노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보강대 관통공들의 상측을 절개하여 그라우팅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보강대 개방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보강대 노치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 관통홈은 단면상 원형, 타원형 또는 복수의 다각형들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관통홈 및 상기 보강대 관통홈 주위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다수의 경량 통공들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노치홈부는 상기 지지대 관통공의 상측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 노침홈부는 상기 보강대 관통공의 상측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천청 벽돌을 이용해 상기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을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장목 지지대; 상기 천정 벽돌들이 지지대 관통홈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끼워져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고,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이 폭 방향을 따라 하면부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되어 하부 천정면을 형성하는 천정 벽돌층; 상기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지지대 노치홈부를 절개하여 만들어진 상기 지지대 개방 통공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가 끼워진 상기 지지대 관통공 내부의 잔여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그라우팅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상기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보강대 관통공들 내에 각각 배설되는 벽돌 지지 보강대; 상기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보강대 노치홈부를 절개하여 만들어지는 상기 보강대 개방 통공을 통해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가 배설된 상기 보강대 관통공 내부의 잔여 공간을 채우며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를 매립 고정하는 보강대 그라우팅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상기 천청 벽돌층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 사이 사이에서 만들어진 경사홈부 내에 배설되는 하나 이상의 층간 지지 보강대; 및 상기 지지 보강대가 배설된 상기 경사홈부 내부를 채우며 상기 천청 벽돌층의 상면부를 기설정된 두께로 덮어 상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몰타르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목 지지대는 대나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정 벽돌층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 중에서 상기 지지 벽체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상기 천정 벽돌들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쳐져 매립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는 가로 폭 보다 세로 높이가 더 큰 직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평강바(Flat steel b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강바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매립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매립 통공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는 가로 폭 보다 세로 높이가 더 큰 직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평강바(Flat steel bar); 및 상기 평강바의 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고정되는 환강바(Round steel b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 열의 환강바; 및 상기 환강바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환강바들을 서로 연결하는 굴곡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층간 지지 보강대는 철근 지지 보강대 또는 대나무 지지 보강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층간 지지 보강대는 상기 경사홈부 내에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 벽체의 하층 지지 벽체부와 상층 지지 벽체부 사이에서 상기 천정 슬라브층을 잡아 매립 고정하는 슬라브 고정 벽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고정 벽체부는 상기 바닥 몰타르층과 몰타르를 일괄 타설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천정 벽돌을 이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시공 방법은,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지지대 노치홈부 및 상기 보강대 노치홈부를 절개하여 상기 지지대 개방 통공 및 상기 보강대 지지 통공을 개방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 개방 통공 및 상기 보강재 지지 통공이 형성된 상기 천정 벽돌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맞대어져 열을 이루도록 배열한 후, 상기 각 천정 벽돌들의 상기 지지대 관통공들을 통하도록 상기 장목 지지대를 끼워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각 천정 벽돌들의 상기 보강대 관통공 내에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를 배설하는 단계;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개방 통공들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가 끼워진 상기 지지대 관통공 내부의 잔여 공간 내에 몰타르가 채워지도록 그라우팅시킴과 아울러 상기 보강대 관통공들 내에서 삽입된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를 매립 고정하도록 그라우팅시켜 일렬의 단위 천정 벽돌 블록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장목 지지대 및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가 끼워져 고정된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 지지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각 천정 벽돌 블록들의 하면부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하여 상기 천정 벽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청 벽돌층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 사이 사이에서 만들어진 경사홈부 내에 상기 층간 지지 보강대를 배설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 보강대를 배설된 상기 경사홈부를 채우며 천청 벽돌들의 상면부를 덮도록 몰타르를 타설하여 상기 천정 슬라브층의 상부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바닥 몰타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정 벽돌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천정 벽돌층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 중에서 상기 지지 벽체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상기 천정 벽돌들을 상기 지지 벽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쳐져 매립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 몰타르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바닥 몰타르층과 함께 상기 지지 벽체의 하층 지지 벽체부와 상층 지지 벽체부 사이에 상기 천정 슬라브층을 잡아 매립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슬라브 고정 벽체부를 몰타르를 일괄 타설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따르면, 대나무와 같은 장목 지지대와 함께 벽돌 지지 보강대를 끼워 지지할 수 있는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해 각층을 구획하는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천정 슬라브층의 지지 강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시공 비용 및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친환경적이고 층간 소음을 줄여 좀더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천정 벽돌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천정 벽돌에 대한 지지대 천공홀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의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서 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4의 Ⅷ-Ⅷ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벽돌 지지 보강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벽돌 지지 보강대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사도이다.
도 11은 도 4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3 실시예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벽돌 지지 보강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벽돌 지지 보강대에 대해 ⅩⅢ-Ⅹ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4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잘라서 제4 실시예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벽돌 지지 보강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벽돌 지지 보강대에 대해 ⅩⅥ-ⅩⅥ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천정 벽돌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천정 벽돌에 대한 지지대 천공홀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천정 벽돌(1)은 단면상 하면부(2)로부터 상면부(3)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양쪽 측면부(1)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면부(2)와 상기 상면부(3) 사이의 내부 중심부에 지지대 관통공(5)이 관통 형성되어, 천정 벽돌(1)들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100: 도 4 내지 도 6 참조)의 바닥 천정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대나무와 같은 장목 지지대(110: 도 4 내지 도6 참조)에 끼워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대 관통홈(5)은 천정 벽돌(1)을 끼워 고정하는 대나무(110)에 대응되게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청 벽돌(1)에 형성되는 지지대 관통홈(15, 25, 35)들은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은 타원형을 포함하여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변형시켜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관통공(5)의 양측으로 벽돌 지지 보강대(140)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적어도 한 쌍의 보강대 관통공(7)이 형성되어, 천정 벽돌(1)들이 보강대 관통공(7)들을 통과하도록 가설되는 벽돌 지지 보강대(140, 240, 340)들에 의해 추가적으로 지지 보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천정 벽돌(1)의 상면부(3)에는 지지대 관통공(5)의 상측 일부를 절개하여 몰타르로 채워 그라우팅시키기 위한 지지대 개방 통공(11; 도 9의 (b) 참조)을 형성할 수 있게 지지대 노치홈부(6)가 형성되고, 상기 각 보강대 관통홈들의 상부를 절개하여 매립 고정되게 그라우팅시키기 위한 보강대 개방 통공(12; 도 9의 (b) 참조)들을 형성할 수 있게 보강대 노치홈부(9)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 노출홈부(6) 및 상기 보강대 노출홈부(8)는 이들을 절절개된 지지대 개방 통공(11) 및 보강대 개방 통공(12)을 통해 장목 지지대(110)인 대나무 및 벽돌 지지 보강대(140)가 끼워진 상기 지지대 관통공(5) 및 상기 보강대 관통공(70) 내부의 잔여 공간 내에 몰타르로 채워 그라우팅하는 과정을 좀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대 관통공(5)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개방 슬롯 형태를 이루며 서로 나란하게 개방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지지대 노치출홈부(6) 및 보강대 노치홈부(8)를 통해 만들어진 지지대 개방 통공(11) 및 보강대 개방 통공(12)을 통해 상기한 그라우팅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부분 개방될 수 있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천정 벽돌(1)은 상기 지지대 관통홈(5) 및 상기 보강대 관통홈(7) 주위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경량 통공(10)들을 형성하여, 천정 벽돌(1)을 적용해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100)을 형성시 천정 벽돌(1)에 요구되는 필요 강성은 유지하면서도 하중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양측 측면부(4)에는 천정 벽돌(1)이 서로 맞대어져 천정 슬라브층(100) 내에서 천정 벽돌층(120; 도 5 및 도 6 참조)을 이루도록 하거나, 후술하는 바닥 몰타르층(170; 도 5 및 도 6 참조) 내에 걸려 좀더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 돌기(9)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돌기(9)들은 천정 벽돌(1)들이 서로 맞대어지며 배열되게 상기 하면부(2)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기(9a), 상면부(3)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상부 걸림 돌기(9b) 및 측면부 상에서 하부 돌기(9a)와 상부 돌기(9b) 사이에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걸림 돌기(9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천정 벽돌(1)은 80 내지 90 중량%의 진흙과 10 내지 20중량%의 모래를 배합하여 성형한 후, 950℃도 내지 1300℃ 범위 내에서 구워지도록 가열과정을 거쳐 완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천적 벽돌(1)의 시공 과정에서 지지대 노치홈부(6) 및 보강대 노치홈부(8)를 유지시킴으로써 기설정된 지지대 관통홈(5) 및 보강대 관통홈(7)의 형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경량 통공들(10)을 통해 각 부분의 두께를 좀더 균일화시켜 열변형에 의한 변형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천정 슬라브층(100)의 바닥 천정면을 이루는 천정 벽돌(1)들을 진흙과 모래 등의 친환경 소재를 적용함에 따라 좀더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천장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건축물 내부의 천정면을 아름답게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의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서 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은 장목 지지대(110) 및 벽돌 지지 보강대(140)로 지지 고정되는 상기 천정 벽돌(1)들을 적용해 건축물의 각층을 구획하는 천정 슬라브층(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천정 슬라브층(100)은 복수의 장목 지지대(110), 천정 벽돌(1)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천정 벽돌층(120), 장목 지지대(110)가 끼워진 천정 벽돌(1) 내부의 속 채움을 위한 지지대 그라우팅부(130), 천정 벽돌(1)들의 보강대 관통홈(7) 내에 배설되는 벽돌 지지 보강대(140), 벽돌 지지 보강대(140)를 천정 벽들의 측면상에 매립 고정하는 보강대 그라우팅부(150), 복수의 층간 보강 지지대(160) 및 바닥 몰타르층(1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장목 지지대(110)들은 지지 벽체(180)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된 상태로 폭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천정 슬라브층(100)의 하부 천정면을 이루는 복수의 천정 벽돌(1)들을 일렬로 끼워 지지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장목 지지대(110)는 대나무인 것을 예시하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목 지지대(110)가 대나무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천정 벽돌(1)들을 끼워 천정 슬라브층(100)을 이루도록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하되, 종래 사용되던 고가의 철근을 대신할 수 있어야 하고, 길이가 길며 단위 길이당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장목 소재로 대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천정 슬라브층(100)을 지지하는 지지 벽체(180)는 편의상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지지 벽체(181)와, 이와 직교하며 실내 공간을 구획하도록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2 지지벽체(189)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다시, 길이 방향의 제1 지지 벽체(181)와 폭 방향의 제2 지지 벽체(189)는 상기 건축물의 하층을 형성되는 하층 지지 벽체부(182), 상기 하측 지지 벽체부(182) 상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건축물의 상층을 형성하는 상측 지지 벽체부(183), 및 상기 하층 지지 벽체부(182)와 상기 상측 지지 벽체부(183) 사이에서 상기 천정 슬라브층(100)을 잡아 고정하도록 연결되게 형성되는 슬라브 고정 벽체부(184)를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브 고정 벽체부(184) 내부에는 층간 경계를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100)을 잡고 고정하기 위한 지지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지지 벽체(180)가 가설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는 배력 철근(187)과 들과 이들을 사각 형태로 묶어주도록 절곡 형성되는 묶음 철근(188)들로 이루어지는 벽체 철근 보강대(186)가 외벽면을 형성하는 벽체 몰타르층(185) 내에 매립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 지지 벽체(160)는 천정 슬라브층(100)을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평면상 4각 형상을 이루며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내력 벽체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적용되는 건축물 형태에 따라 지지 벽체(180)의 적어도 일부가 대들보과 같이 기둥에 의해 받쳐 지지되는 지지보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천정 벽돌층(120)은 천정 벽돌(1)들이 지지대 관통홈(5)을 통해 장목 지지대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끼워져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20)들을 폭 방향을 따라 하면부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되어 천정 슬라브층(100)의 하부 천정면을 이루도록 한다.
지지대 그라우팅부(130)는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20)들을 이루는 천정 벽돌(1)들의 지지대 노치홈부(6)을 절개하여 만들어진 지지대 개방 통공(11: 도9 참조)들을 통해 대나무(110)가 끼워진 지지대 관통공(5) 내부의 잔여 공간에 몰타르로 채워 그라우팅시키도록 함으로써, 그라우팅된 몰타르에 의해 천정 벽돌(1)들이 끼워진 대나무(110)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며 좀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벽돌 지지 보강대(140)는 상기 지지 벽체(180)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상기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20)들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1)들의 상기 보강대 관통홈(7)들 내에 가설되어 장목 지지대(110)인 대나무에 끼워져 지지 고정되는 천정 벽돌(1)들의 양쪽 측면부(4)가 걸쳐져 천정 벽돌(1)들의 지지 강성을 추가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벽돌 지지 보강대(140)는 천정 벽돌(1)의 상기 보강대 관통홈(7)들 내에 한 쌍의 환강바(Round steel bar) 형태의 철근 지지 보강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환강바로 이루어지는 철근 지지 보강대를 포함하여 천정 벽돌(1)들의 지지 강성을 추가 보강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보강대 그라우팅부(150)는 천정 벽돌(1)들의 보강대 노치홈부(8)을 절개하여 만들어진 보강대 개방 통공(12: 도7 참조)들을 통해 벽돌 지지 보강대(140)가 가설된 보강대 관통공(7) 내부를 몰타르로 채워 그라우팅시킴으로써, 보강대 관통공(7)내에 가설된 벽돌 지지 보강대(140)를 매립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과정에서 천정 벽돌층(100)을 형성하기 위해 제작된 단위 천정 벽돌 블록(20)들을 이동 및 배열하는 과정에서 대나무(110)에 끼워져 고정된 천정 벽돌(1)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좀더 견고하게 블록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층간 보강 지지대(160)는 상기 지지 벽체(180)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상기 천청 벽돌층(120)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20)들 사이 사이에서 만들어진 경사홈부(50) 내에 배설되어, 천정 벽돌(1)이 적용된 천정 슬라브층(100)의 지지 강성을 보강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층간 보강 지지대(160)는 상기한 경사홈부(50) 내에서 환강바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철근 보강 지지대들을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층간 보강 지지대(160)는 상기한 철근 보강 지지대뿐만 아니라 상기한 장목 지지대(110)와 같은 대나무를 사용한 대나무 보강 지지대를 단독으로 또는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층간 보강 지지대(160)에 대나무 보강 지지대를 적용하는 경우 바닥 몰타르층(170) 내에서 사용된 대나무들의 부피만큼 몰타르의 사용량을 줄여 결국 천정 슬라부층(100)이 이루는 전체 중량을 줄임으로써 천정 벽돌(1))을 적용한 천정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다.
바닥 몰타르층(170)은 상기 층간 보강 지지대(160)가 배설된 상기 경사홈부(50) 내부를 채우며 상기 천청 벽돌층(120)의 상면부를 기설정된 두께로 덮어 보강하며 천정 슬라브층(100)의 상부 바닥면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한 천정 벽돌(1)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은 도 7에 도시한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과정을 통해 완성된다.
도 7은 도 4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은 개방 통공 형성 단계(ST10), 장목 지지대 및 벽돌 지지 보강대 삽입 단계(ST20), 천정 벽돌 블록 형성 단계(ST30), 천정 벽돌층 형성 단계(ST40), 층간 보강 지지대 배설 단계(ST50), 바닥 몰타르층 형성 단계(ST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개방 통공 형성 단계(ST10)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 벽돌(1)들의 지지대 노치홈부(6))를 절개하여 지지대 관통공(5) 상측이 개방되게 지지대 개방 통공(11)을 형성함과 아울러 보강대 노치홈부(8)를 절개하여 보강대 관통공(7) 상측이 개방되게 보강대 개방 통공(12)을 형성한다.
장목 지지대 및 벽돌 보강 지지대 삽입 단계(ST20)에서는,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 통공(11)이 형성된 천정 벽돌(1)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맞대어져 열을 이루도록 배열한 후, 상기 각 천정 벽돌(1)들의 지지대 관통공(5)들을 통하도록 상기 장목 지지대(110)인 대나무를 끼워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각 천정 벽돌(1)들의 보강대 관통공(7)들 내에 각각의 벽돌 지지 보강대(140)들이 끼워지게 배설한다.
천정 벽돌 블록 형성 단계(ST30)에서는,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 벽돌(1)들의 지지대 개방 통공(11)을 통해 장목 지지대(110)인 대나무가 끼워진 지지대 관통공(5) 내부의 잔여 공간 내에 몰타르를 채워 그라우팅시킴과 아울러 천정 벽돌(1)들의 상기 보강대 관통공(7) 내에서 가설된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140)가 매립 고정되게 몰타르를 채워 그라우팅시킴으로써 단위 천정 벽돌 블록(20)들을 형성한다.
즉, 지지대 관통공(5)와 보강대 관통공(7) 내부를 채우도록 타설된 몰타르가 양생되면서 장목 지지대(110)인 대나무와 벽돌 지지 보강대(140)인 환강바들을 매개로 하여 일렬의 단위 천정 벽돌 블록(20)을 이루는 천정 벽돌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천정 벽돌층 형성 단계(ST40)에서는, 도 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대나무와 평강바에 의해 고정된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20)들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 지지 벽체(180)에 고정된 상태로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각 천정 벽돌 블록(20)들의 하면부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하여 바닥 천정면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층(1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천정 벽돌층(120)을 이루는 천정 벽돌 블록(20)들의 천정 벽돌(1) 중에서 지지 벽체(180; 181, 189)들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천정 벽돌(1)들은 상기 지지 벽체(181, 189)의 하층 지지 벽체부(182) 상측에 적어도 일부가 걸쳐지게 올려진 후 슬라브 고정 벽체부(184)을 이루는 벽체 몰타르층(185) 내에 매립 고정되도록 하여, 전술한 천정 벽돌(1)들을 사용해 만들어지는 천정 슬라브층(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층간 보강 지지대 배설 단계(ST50)에서는, 도 7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청 벽돌층(100)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20)들 사이 사이에서 만들어진 각각의 경사홈부(50) 내에 상기 층간 보강 지지대(160)를 이루는 2개 철근 보강 지지대를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설한다.
한편, 층간 보강 지지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철근 보강 지지대 또는 대나무 보강 지지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바닥 몰타르층 형성 단계(ST60)에서는, 도 7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층간 보강 지지대(160)가 배설된 경사홈부(50) 내부를 채우며 천정 벽돌층(120)을 이루는 천청 벽돌(1)들의 상면부(3)를 기설정된 두께로 덮도록 몰타르를 타설하여 천정 슬라브층(100)의 상부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바닥 몰타르층(170)을 형성한다.
따라서, 타설된 몰타르가 양생되어 바닥 몰타르층(170)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천정 벽돌층(120)을 이루는 각각의 천정 벽돌(1)들과 결합되어 하나의 천정 슬라브층(100)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천정 벽돌(1)들 사이의 경사홈부(50)를 채우며 양생된 바닥 몰타르층(140)에 내에 덧날처럼 측면부(4)에 돌출된 천정 벽돌(1)들의 상부 걸림 돌기(9b) 및 중간 걸림 돌기(9c)들이 걸려 좀더 견고하게 잡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 몰타르층(140)과 함께 지지 벽체(160)의 슬라브 고정 벽체부(164)의 벽체 몰타르층(168)을 한꺼번에 몰타르를 일괄 타설하여 일체로 양생시킴으로써, 천정 슬라브층(100)가 지지 벽체(160)에 좀더 견고하게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을 각각 첨부한 도 8 내지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4의 Ⅷ-Ⅷ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벽돌 지지 보강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벽돌 지지 보강대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사사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을 적용하여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을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2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천정 슬라브층(100)와 비교하여, 이를 구성하는 벽돌 지지 보강대(240)가 가로 폭 보다 세로 높이가 더 큰 직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평강바(Flat steel bar)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이처럼, 벽돌 지지 보강대(240)로 평강바를 사용함으로써 천정 벽돌 블록(10)들의 수직 하중에 의한 처짐 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벽돌 지지 보강대(240)로 사용되는 평강바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매립 통공(245)을 형성하여, 보강대 그라우팅부(150)를 통해 평강바를 매립 고정하는 과정에서 타설된 몰타르가 매립 통공(245)들을 통과하며 양생되어 평강바를 천정 벽돌(1)의 보강대 관통공(7) 내에 좀더 견고하게 매립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강바에 형성되는 매립 통공들(245, 246, 247)은 원형뿐만 아니라 타원형 및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1은 도 4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3 실시예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벽돌 지지 보강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는 도 12의 벽돌 지지 보강대에 대해 ⅩⅢ-Ⅹ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을 적용하여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을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300)은, 전술한 천정 슬라브층(100, 200)와 비교하여, 이를 구성하는 벽돌 지지 보강대(340)가 가로 폭 보다 세로 높이가 더 큰 직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평강바(341; Flat steel bar)와 평강바(341)의 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용접 고정되는 환강바(342; Round steel bar)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이처럼, 벽돌 지지 보강대(340)를 이루는 평강바(341)의 일측면부를 따라 환강바(342)를 덧대어 천정 벽돌층(120)을 이루는 천정 벽돌(1)들에 대한 수직 방향의 지지 강성을 좀더 보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특히 평강바(341)만을 적용시 부족할 수 있는 수평 방향의 휨 강성을 추가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벽돌 지지 보강대(340)를 이용해 시공되는 천정 슬라브층(300)은 도 7에 도시한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한 천정 벽돌(1)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과정 중, 도 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 벽돌층(120)을 형성하기 위해 제작된 단위 천정 벽돌 블록(10)들을 이동 및 배열 과정에서 천정 벽돌 블록(10)의 수평 방향의 휨 강성을 보강해 줌으로써 천정 벽돌 블록(10)들을 이동 및 배열시 천정 벽돌(1)들 사이가 서로 분열되지 않고 좀더 견고하게 블록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도 4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잘라서 제4 실시예의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벽돌 지지 보강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벽돌 지지 보강대에 대해 ⅩⅥ-ⅩⅥ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천정 벽돌을 적용하여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을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400)은, 전술한 천정 슬라브층(100, 200, 300)와 비교하여, 이를 구성하는 벽돌 지지 보강대(440)가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2 열의 환강바(442,443)와 상기 환강바(442, 443)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환강바(442, 443)들을 서로 용접 결합하는 굴곡바(441)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이처럼, 벽돌 지지 보강대(440)를 굴곡바(441)와 2열의 환강바(442, 443)를 조합하여 형성함으로써 평강바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수직 하중에 대한 수직 방향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 방향이 굽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특히, 벽돌 지지 보강대(440)를 이루는 환강바(442, 443)들과 굴곡바(441) 사이에 만들어진 틈새들을 통해 보강대 그라우팅부(150)를 형성하기 위해 타설되는 몰타르가 이들을 통해 채워져 별도의 매립 통공들을 형성하지 않고도 천정 벽돌(1)의 보강대 관통공(7) 내에 좀더 견고하게 매립 고정될 수 있어 시공 비용을 좀더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라 천정 벽돌을 적용하여 시공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을 이루는 천정 슬라브층(100, 200, 300, 400)은 천정 벽돌(1)들을 장목 지지대인 대나무와 함께 벽돌 지지 보강대(140, 240, 340, 440)를 끼워 천정 슬라부층(100, 200, 3000)의 바닥 천정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천정 슬라부층(100, 200, 300, 400)의 중량을 줄여 건축물의 층간 경계 부분에 요구되는 내구성을 그대로 유지하되, 천정 슬라부층(100, 200, 300, 400) 내에 사용된 철근 및 몰타르 사용량을 줄여 재료비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천정 슬라브층(100, 200, 300, 400)의 시공 방식을 단순화시켜 소요되는 공기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천정 벽돌을 적용하여 시공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을 이루는 청정 슬라브층(100, 200, 300, 400)은 친환경 소재인 진흙과 모래를 배합하여 만들어진 천정 벽돌(1)을 천정 슬라브층(100, 200, 300)의 바닥 천정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천정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추가적인 시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정 슬라브층(100, 200, 300, 400)의 밀도를 낮추어 층간 소음을 줄임으로써 좀더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천정 벽돌 2: 하면부
3: 상면부 4: 측면부
5: 지지대 관통공 6: 지지대 노치홈부
7: 보강대 관통공 8: 보강대 노치홈부
9: 연장 돌기 9a: 하부 돌기
9b: 상부 걸림 돌기 9c: 중간 걸림 돌기
10: 경량 통공 11: 천정 벽돌 블록
12: 개방 통공 100, 200, 300, 400: 천정 슬라브층
110: 장목 지지대(대나무) 120: 천정 벽돌층
130: 그라우팅부 140, 240, 340, 440: 측부 지지 보강대
150: 측부 몰타르 매립부 160: 층간 지지 보강대
170: 바닥 몰타르층 180: 지지 벽체
181: 제1 지지 벽체(폭 방향) 182: 하층 지지 벽체부
183: 상측 지지 벽체부 184: 슬라브 고정 벽체부
185: 벽체 몰타르층 185: 벽체 철근 보강대
189: 제2 지지 벽체(길이 방향) 341: 평강바
342, 442, 444: 환강바 445: 굴곡바

Claims (17)

  1.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이루는 천정 벽돌에 있어서,

    상기 천정 벽돌은,
    단면상 하면부로부터 상면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양쪽 측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장목 지지대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사이의 내부 중심부에 지지대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보강대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지지대 관통공의 상측 일부를 절개하여 그라우팅을 위한 지지대 개방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지지대 노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보강대 관통공들의 상측을 절개하여 그라우팅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보강대 개방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보강대 노치홈부가 형성되는 천정 벽돌.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대 관통홈은 단면상 원형, 타원형 또는 복수의 다각형들 형상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
  3. 제2항에서,
    상기 지지대 관통홈 및 상기 보강대 관통홈 주위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다수의 경량 통공들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천정 벽돌.
  4. 제1항에서,
    상기 지지대 노치홈부는 상기 지지대 관통공의 상측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 노침홈부는 상기 보강대 관통공의 상측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천정 벽돌.
  5. 제1항의 상기 천청 벽돌을 이용해 상기 건축물의 천정 슬라브층을 형성하는 천정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천정 슬라브층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장목 지지대;
    상기 천정 벽돌들이 지지대 관통홈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게 끼워져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고,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이 폭 방향을 따라 하면부 양측 가장자리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되어 하부 천정면을 형성하는 천정 벽돌층;
    상기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지지대 노치홈부를 절개하여 만들어진 상기 지지대 개방 통공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가 끼워진 상기 지지대 관통공 내부의 잔여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그라우팅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상기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보강대 관통공들 내에 각각 배설되는 벽돌 지지 보강대;
    상기 각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보강대 노치홈부를 절개하여 만들어지는 상기 보강대 개방 통공을 통해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가 배설된 상기 보강대 관통공 내부의 잔여 공간을 채우며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를 매립 고정하는 보강대 그라우팅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매립 고정되며 상기 천청 벽돌층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 사이 사이에서 만들어진 경사홈부 내에 배설되는 하나 이상의 층간 지지 보강대; 및
    상기 지지 보강대가 배설된 상기 경사홈부 내부를 채우며 상기 천청 벽돌층의 상면부를 기설정된 두께로 덮어 상부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 몰타르층;을 포함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6. 제5항에서,
    상기 장목 지지대는 대나무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을 이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7. 제6항에서,
    상기 천정 벽돌층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 중에서 상기 지지 벽체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상기 천정 벽돌들은 상기 지지 벽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쳐져 매립 고정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8. 제5항에서,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는,
    1열 이상의 환강바(Round steel bar)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9. 제5항에서,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는,
    가로 폭 보다 세로 높이가 더 큰 직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평강바(Flat steel bar)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0. 제9항에서,
    상기 평강바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매립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매립 통공은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1. 제5항에서,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는,
    가로 폭 보다 세로 높이가 더 큰 직사각 단면 형상을 가지는 평강바(Flat steel bar); 및
    상기 평강바의 측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고정되는 환강바(Round steel bar);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2. 제5항에서,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 열의 환강바; 및
    상기 환강바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환강바들을 서로 연결하는 굴곡바;로 이루어지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3. 제5항에서,
    상기 층간 지지 보강대는 철근 지지 보강대 또는 대나무 지지 보강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층간 지지 보강대는,
    상기 경사홈부 내에서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배설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4. 제7항에서,
    상기 지지 벽체의 하층 지지 벽체부와 상층 지지 벽체부 사이에서 상기 천정 슬라브층을 잡아 매립 고정하는 슬라브 고정 벽체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브 고정 벽체부는 상기 바닥 몰타르층과 몰타르를 일괄 타설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15. 제14항의 천정 벽돌을 이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에 대한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지지대 노치홈부 및 상기 보강대 노치홈부를 절개하여 상기 지지대 개방 통공 및 상기 보강대 지지 통공을 개방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대 개방 통공 및 상기 보강재 지지 통공이 형성된 상기 천정 벽돌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맞대어져 열을 이루도록 배열한 후, 상기 각 천정 벽돌들의 상기 지지대 관통공들을 통하도록 상기 장목 지지대를 끼워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각 천정 벽돌들의 상기 보강대 관통공 내에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를 배설하는 단계;
    상기 천정 벽돌들의 상기 개방 통공들을 통해 상기 장목 지지대가 끼워진 상기 지지대 관통공 내부의 잔여 공간 내에 몰타르가 채워지도록 그라우팅시킴과 아울러 상기 보강대 관통공들 내에서 삽입된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를 매립 고정하도록 그라우팅시켜 일렬의 단위 천정 벽돌 블록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장목 지지대 및 상기 벽돌 지지 보강대가 끼워져 고정된 복수 열의 천정 벽돌 블록들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가 상기 지지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각 천정 벽돌 블록들의 하면부가 서로 맞대어지게 배열하여 상기 천정 벽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청 벽돌층을 이루는 복수 열의 상기 천정 벽돌 블록들 사이 사이에서 만들어진 경사홈부 내에 상기 층간 지지 보강대를 배설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 보강대를 배설된 상기 경사홈부를 채우며 천청 벽돌들의 상면부를 덮도록 몰타르를 타설하여 상기 천정 슬라브층의 상부 바닥면을 이루는 상기 바닥 몰타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천정 벽돌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천정 벽돌층을 이루는 상기 천정 벽돌들 중에서 상기 지지 벽체에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상기 천정 벽돌들을 상기 지지 벽체 내에 적어도 일부가 걸쳐져 매립 고정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바닥 몰타르층 형성 단계에서,
    상기 바닥 몰타르층과 함께 상기 지지 벽체의 하층 지지 벽체부와 상층 지지 벽체부 사이에 상기 천정 슬라브층을 잡아 매립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슬라브 고정 벽체부를 몰타르를 일괄 타설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천정 벽돌을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150031852A 2015-03-06 2015-03-06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60108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852A KR20160108778A (ko) 2015-03-06 2015-03-06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852A KR20160108778A (ko) 2015-03-06 2015-03-06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778A true KR20160108778A (ko) 2016-09-20

Family

ID=5710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852A KR20160108778A (ko) 2015-03-06 2015-03-06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87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9725A (en) Sectional nog structure for fastening a covering element to a foamed plastic slab and construction element incorporating said structure
US9988775B1 (en) Concrete i-beam for bridge construction
CA2499971C (en) Multi-storey insulated concrete foam building
ES2367261T3 (es) Conjunto de componentes prefabricados para la formación de losas de suelos, suelos y paredes con vigas de madera expuestas.
EP0693597A1 (en) Modular dowel assembly for fixing a lining element to a panel of an expanded plastic material and structural element incorporating said assembly
US10640970B2 (en) Concrete building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KR20150042183A (ko) 강화 콘크리트 바닥을 구축하기 위한 소결 발포 폴리스티렌 모듈형 요소
JP7462031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コンクリート床版要素、ならびにコンクリート床版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要素を製造する方法
KR100304861B1 (ko) 건축용단열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
KR100646363B1 (ko) 장스팬용 보강데크식 바닥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KR101677233B1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60108776A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60108778A (ko) 천정 벽돌과 이를 적용한 건축물의 천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RU47924U1 (ru) Армоопалубочный блок
CA2566566C (en) Multi-storey insulated concrete foam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8590242B1 (en) Insulated concrete wall
KR101715675B1 (ko) 건축용 블록을 구비하는 보강블록 조립체
CA2560428A1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a supporting wall and block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FI12381U1 (fi) Seinäelementti ja kerrostalo
JPH07116749B2 (ja) 半プレキャストrc造建築物の柱または梁と壁の接合部
RU2002104426A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FI107556B (fi) Jännitetty liittopalkki
US2087522A (en) Gypsum timber
EP3935234A1 (en) Permanent formwork,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reating the building structure
DK201970417A1 (en) Foundation with integrated sole fou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