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823B1 - 슬라브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슬라브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823B1
KR101171823B1 KR1020100047851A KR20100047851A KR101171823B1 KR 101171823 B1 KR101171823 B1 KR 101171823B1 KR 1020100047851 A KR1020100047851 A KR 1020100047851A KR 20100047851 A KR20100047851 A KR 20100047851A KR 101171823 B1 KR101171823 B1 KR 101171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drop
coupled
mai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418A (ko
Inventor
홍영근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8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러패널, 상기 슬라브패널을 상부에 지지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에 설치되는 드롭어셈블리 그리고 이들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슬라브패널 조립체를 개시하며, 상기 슬라브패널 조립체는, 벽면거푸집 상단에 결합되고 코너브라켓이 삽입설치되는 슬라브코너, 상기 슬라브코너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하부에 필러브라켓이 설치되는 필러패널, 상기 슬라브코너와 상기 필러패널 사이에 배치되어서 천정거푸집을 이루는 슬라브패널들 및 상기 슬라브코너와 상기 필러패널 사이에서 상기 슬라브패널들을 지지하며 관통되는 메인핀에 의하여 측벽에 결합되는 드롭빔과 상기 드롭빔에 연결된 타이로드와 외벽에 피봇결합되면서 상기 타이로드에 가이드되어 이동가능한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와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피봇파이프의 이동을 조절하는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드롭어셈블리가 길이 방향 양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롭어셈블리 양단의 상기 드롭빔이 각각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과 상기 필러브라켓에 힌지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슬라브패널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핀을 분리하면 상기 드롭빔의 힌지결합에 의하여 상기 타이로드가 회동되고 상기 회동된 타이로드를 따라 이동되는 피봇파이프에 의하여 하강되면서 상기 슬라브패널을 하강시키는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브패널 조립체{Slab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슬라브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브패널을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슬라브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다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벽면거푸집을 만들고, 벽면거푸집 상부에 다수의 슬라브패널을 수평하게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고, 이와 같은 시공을 반복하여 다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고 있다.
슬라브패널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견고하여야 하고, 설치가 용이하여야 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해체가 용이하여야 한다. 또한,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 누구나 쉽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제작될 필요성이 있고 설치 및 해체에 시간이 적게 소요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291호는 벽체 거푸집과 테크 지지바 연결용 연결구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2049호는 천장판 시스템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2551호는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슬라브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들의 구조가 복잡하고,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한 구조들로 인해 제작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본 출원인에 의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78517호로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으나,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슬라브패널을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소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필러패널, 슬라브패널 지지빔 및 드롭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용이하게 슬라브패널을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슬라브패널 조립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패널 조립체는, 벽면거푸집 상단에 결합되고 코너브라켓이 삽입설치되는 슬라브코너, 상기 슬라브코너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하부에 필러브라켓이 설치되는 필러패널, 상기 슬라브코너와 상기 필러패널 사이에 배치되어서 천정거푸집을 이루는 슬라브패널들 및 상기 슬라브코너와 상기 필러패널 사이에서 상기 슬라브패널들을 지지하며 관통되는 메인핀에 의하여 측벽에 결합되는 드롭빔과 상기 드롭빔에 연결된 타이로드와 외벽에 피봇결합되면서 상기 타이로드에 가이드되어 이동가능한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와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피봇파이프의 이동을 조절하는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드롭어셈블리가 길이 방향 양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롭어셈블리 양단의 상기 드롭빔이 각각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과 상기 필러브라켓에 힌지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슬라브패널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핀을 분리하면 상기 드롭빔의 힌지결합에 의하여 상기 타이로드가 회동되고 상기 회동된 타이로드를 따라 이동되는 피봇파이프에 의하여 하강되면서 상기 슬라브패널을 하강시키는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으로 배치되는 슬라브패널들을 배치하는데 이용하는 필러패널은, 상기 슬라브패널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된 장방체를 이루고 하부의 장변들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프레임을 갖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부가 체결되고 양측면은 상기 프레임의 장변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슬라브패널들을 상부로 지지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단부와 힌지 결합하는 필러브라켓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프레임은 대칭되는 위치에 제1 볼트공들이 형성된 한 쌍의 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브라켓은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기 빔에 형성된 제1 볼트공들에 대응되는 제2 볼트공들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볼트공을 관통하는 제1볼트와 상기 제1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너트에 의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조립부와 상기 제1 조립부에 이어지면서 연장되는 측면에 경사진 제1 힌지공이 상기 힌지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제1 힌지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브라켓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 힌지공에는 제1 힌지핀이 삽입되어서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단부가 상기 제1 힌지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힌지 결합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브라켓은 상기 내부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필러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필러유니트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기 빔에 형성된 제1 볼트공들에 대응되는 제3 볼트공들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및 제3 볼트공을 관통하는 제2 볼트와 상기 제2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너트에 의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조립부와 상기 제2 조립부에 이어지면서 상기 내부프레임의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며 연장된 방향으로 경사진 제2 힌지공이 상기 힌지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2 브라켓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2 힌지공에는 제2 힌지핀이 삽입되어서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단부가 상기 제2 힌지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힌지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패널 지지빔은, 브라켓과 힌지결합되는 드롭빔을 포함하며 외면에 나사가 형성된 타이로드가 상기 드롭빔의 힌지결합되는 반대쪽에 결합되고 상기 드롭빔의 타이로드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타이로드에 나사결합된 스핀들너트의 조절로 상기 타이로드 상의 이동이 제어되는 피봇파이프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드롭어셈블리, 상기 제1 및 제2 드롭어셈블리가 각각 내부에 구성되면서 메인핀의 결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드롭어셈블리와 결합 또는 해체되고 상기 피봇파이프와 피봇핀에 의하여 피봇 결합되며 상기 피봇 결합에 의한 상기 드롭빔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면에 제1 오픈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피봇 결합에 의한 상기 피봇파이프와 상기 타이로드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저면에 제2 오픈영역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메인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빔의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빔, 상기 미들빔과 상기 제1 메인빔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미들빔과 상기 제2 메인빔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부에 상기 슬라브패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핀이 상기 제1 드롭어셈블리와 상기 제1 메인빔 그리고 상기 제2 드롭어셈블리와 상기 제2 메인빔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부에 상기 슬라브패널을 해체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핀이 해체되면 피봇결합된 상기 피봇파이프가 상기 스핀들너트의 조절에 의하여 상부에 상기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면서 상기 타이로드에 가이드되어 하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드롭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는 후크가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가 형성된 반대쪽에 하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가지고 측면에 상기 메인핀이 삽입되는 메인핀홈이 형성되는 상기 드롭빔, 상기 드롭빔의 측면에 회동됨에 의하여 해제 및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드롭빔의 상기 후크가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하부를 지지하는 후크락커, 상기 드롭빔의 상기 후크가 형성된 반대쪽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타이로드, 상기 타이로드와 결합되어 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피봇핀이 상기 드롭빔의 상기 함몰된 공간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빔과 피봇 결합되는 상기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와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피봇파이프의 이동을 제어하는 와셔 및 상기 스핀들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메인빔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롭어셈블리를 수용가능한 단면이 사각형상인 공간을 가지며 상기 드롭빔이 설치되는 위치의 양측면에 상기 메인핀이 관통삽입되는 메인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봇파이프의 상기 피봇핀의 위치에 대응하는 양측면에 피봇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드롭빔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한 제1 오픈영역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봇파이프와 상기 타이로드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한 제2 오픈영역이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1 메인빔과 상기 미들빔 내부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제1 내부커넥터 및 상기 제1 메인빔과 상기 미들빔의 양측벽에 접하는 제1 외부커넥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커넥터들과 상기 제1 내부커넥터 및 상기 제1 메인빔을 관통하는 제1 커넥팅홀이 형성되어서 제1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제2 외부커넥터들과 상기 제1 내부커넥터 및 상기 미들빔을 관통하는 제2 커넥팅홀이 형성되어서 제2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2 메인빔과 상기 미들빔 내부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제2 내부커넥터 및 상기 제2 메인빔과 상기 미들빔의 양측벽에 접하는 제2 외부커넥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부커넥터들과 상기 제2 내부커넥터 및 상기 제2 메인빔을 관통하는 제3 커넥팅홀이 형성되어서 제3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제2 외부커넥터들과 상기 제2 내부커넥터 및 상기 미들빔을 관통하는 제4 커넥팅홀이 형성되어서 제4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롭어셈블리는,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는 후크가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가 형성된 반대쪽에 하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가지고 측면에 상기 메인핀이 삽입되는 메인핀홈이 형성되는 드롭빔, 상기 드롭빔의 측면에서 회동됨에 의하여 해제 및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드롭빔의 상기 후크가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하부를 지지하는 후크락커, 외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드롭빔의 상기 후크가 형성된 반대쪽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타이로드, 상기 타이로드와 결합되어 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드롭빔의 상기 함몰된 공간에 피봇핀이 위치되고 상기 피봇핀은 외벽을 이루는 메인빔과 피봇결합하는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와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피봇파이프의 이동을 제어하는 와셔 및 스핀들너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패널, 슬라브채널 지지빔, 드롭어셈블리 그리고 이를 포함한 슬라브패널 조립체는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슬라브패널의 설치가 용이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슬라브패널의 해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필러패널, 슬라브채널 지지빔, 드롭어셈블리 그리고 이를 포함한 슬라브패널 조립체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 누구나 쉽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에 시간이 적게 소요되며 작업에 따른 안전 사고의 발생 위험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 2는 필러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필러패널이 도1과 같이 조립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필러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러브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필러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힌지핀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필러패널 하부의 내부프레임과 필러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필러브라켓이 결합된 필러패널의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필러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필러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필러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필러패널 하부의 내부프레임과 필러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필러브라켓이 결합된 필러패널의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설치되는 슬라브코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슬라브코너에 설치되는 코너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에 설치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메인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설치되는 드롭어셈블리가 코너브라켓과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드롭어셈블리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5의 슬라브패널 지지빔 내에 도 19의 드롭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드롭어셈블리의 드롭빔이 후크락커에 의하여 힌지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드롭어셈블리의 드롭빔에 후크락커가 해제된 상태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슬라브패널을 해체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벽체에 설치되는 슬라브코너를 지지하는 수직지지체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수직지지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도이며, 벽면거푸집 상단에 결합되고 코너브라켓(10)이 삽입설치되는 슬라브코너(12), 슬라브코너(12)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하부에 필러브라켓(14)이 설치되는 필러패널(16), 슬라브코너(12)와 필러패널(16) 사이에 배치되어서 천정거푸집을 이루는 슬라브패널들(18) 및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이 구성된다.
여기에서, 필러패널(16)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이용될 수 있고, 이들 사이에 판넬형 프롭헤드(22)가 배치될 수 있으며, 판넬형 프롭헤드(22) 또는 필러패널(16)이 체결장치(24)를 갖는 수직지지대(26)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복수 개의 필러패널(16)이 조립되거나 판넬형 프롭헤드(22)를 이용하여 필러패널(16)이 조립되지 않고 필러패널(16)이 하나의 피스로 제작되어서 슬라브패널들(18) 사이에 배치되어서 이용될 수 있다.
수직지지대(26)를 설치하는 위치는 제작자에 의하여 하중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수직지지대(26)는 상단에 구성되는 체결장치(24)에 의하여 수직으로 지지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때 체결장치(24)는 통상적인 핀 결합 방식이나 회전조임 방식 등을 채택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에 필러브라켓(14)을 갖지 않는 필러패널(28)이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슬라브패널들(18)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으며, 필러패널(28)은 슬라브패널(18)이 배치되는 공간이 미리 설계된 슬라브패널과 맞지 않는 경우 이의 완충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브코너(12)와 필러패널(16)의 사이에는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먼저 필러패널(16)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필러패널(16)은 상면(30)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된 장방체를 이루고 하부의 장변들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프레임(32)(도 8 참조)을 갖는 프레임(34) 및 프레임(34)의 내부프레임(32)과 상부가 체결되고 양측면은 상기 프레임의 장변 방향으로 인접하는 슬라브패널들(18)을 상부로 지지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20)(도 1 참조)의 단부와 힌지 결합하는 필러브라켓(14)을 포함한다.
필러패널(16)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12에서 도 3 내지 도 8은 필러브라켓(14)의 제1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필러브라켓(14)의 제2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필러브라켓(14)의 제1 실시예는 폭이 좁은 경우 양변의 힌지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것에 대한 예시이고, 필러브라켓(14)의 제2 실시예는 폭이 넓은 경우 양변의 힌지구조가 두 개의 필러유니트(40)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것에 대한 예시이다.
먼저, 필러패널(16)에 구성되는 필러브라켓(14)은 조립부(36)과 힌지부(38)를 가지며, 도 3과 같이 조립부(36)는 필러패널(16)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고 힌지부(38)는 슬라브패널(18)을 상부로 지지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드롭빔(50)과 힌지결합된다.
먼저 제1 실시예로 구성되는 필러브라켓(14)의 구성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필러브라켓(14)은 한 쌍의 브라켓 플레이트(60)를 포함하며, 각 브라켓 플레이트(60)는 조립부(36)과 힌지부(38)를 포함하고, 조립부(36)는 프레임(34)의 내부프레임(32)의 빔에 형성된 볼트공(33)들에 대응되는 볼트공(62)들이 형성되어서 볼트공(33, 62)을 관통하는 고정용 볼트(64)와 볼트(64)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65)에 의하여 내부프레임(32)에 결합된다. 그리고, 힌지부(38)는 조립부(36)에 이어지면서 연장되는 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힌지공(66)을 힌지 결합을 위하여 구비한다.
여기에서, 한 쌍의 브라켓 플레이트(60)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힌지공(66)에는 힌지핀(68)이 삽입되고, 힌지핀(68)에는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단부의 드롭빔(50)이 체결된다.
그리고, 한 쌍의 브라켓 플레이트(60)는 수직판(70)과 하부의 브라켓 베이스(72)와 결합되어서 이격된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힌지핀(68)은 핀헤드(76)와 핀홀(77)이 각각 양단에 구성되며 핀홀에는 핀(78)이 삽입되고 그 내측으로 와셔(79)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필러브라켓(14)은 도 7과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필러패널(16)에 구성되는 내부프레임(3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로 구성되는 필러브라켓(14)의 구성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필러브라켓(14)은 내부프레임(3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필러유니트(40a, 40b)를 포함하며, 각 필러유니트(40a, 40b)는 한 쌍의 브라켓 플레이트(60a, 60b)를 포함한다.
각 브라켓 플레이트(60a, 60b)는 조립부(36a, 36b)와 힌지부(38a, 38b)를 포함하며, 조립부(36a, 36b)는 내부프레임(32)의 빔에 형성된 볼트공(33)들에 대응되는 볼트공들(62a, 62b)이 형성되어서 볼트공(33, 62a)(33, 62b)을 관통하는 볼트(64a, 64b)와 볼트(64a, 64b)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65a, 65b)에 의하여 내부프레임(32)에 결합되며, 힌지부(38a, 38b)는 조립부(36a, 36b)에 이어지면서 내부프레임(32)의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며 연장된 방향으로 경사진 힌지공(66a, 66b)이 힌지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다. 여기에, 서로 마주하는 힌지공(66a, 66b)에는 힌지핀(68a, 68b)이 삽입되어서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단부가 힌지핀(66a, 66b)에 체결됨으로써 힌지 결합을 이룬다.
그리고, 한 쌍의 브라켓 플레이트(60a, 60b)는 연결판(74a, 74b)과 결합되어서 이격된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판(74)은 브라켓 플레이트(60a, 60b) 간의 수평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인접한 한 쌍의 힌지핀의 브라켓 플레이트(60a, 60b)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들 간의 결합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브라켓(14)은 도 11과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필러패널(16)에 구성되는 내부프레임(3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드롭빔(50)이 결합되는 코너브라켓(10)이 설치된 슬라브코너(12)의 사시도이며, 코너브라켓(10)은 슬라브코너(12)에 형성된 채널 내에 볼트 조임에 의하여 설치된다. 코너브라켓(10)은 도 14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코너브라켓(10)의 일단부는 슬라브코너(12)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는 슬라브코너(12)의 개구부로 돌출되어 있다. 코너브라켓(20)은 슬라브코너(12)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브라켓 상하 조절용 볼트(26)에 의해 고정된다. 드롭빔(50)의 후크(52)는 슬라브코너(12)의 개구부로 돌출된 코너브라켓(10)의 둥근 막대 모양의 걸림바(10a)에 걸쳐지게 결합되고, 슬라브코너(12)에 각각 삽입된 대응하는 한쌍의 코너브라켓(10)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코너브라켓(10)에는 걸림바(10a)가 구비되고, 걸림바(10a)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사선형의 가이드채널(10b)이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채널(10b)은 슬라브코너(12)의 개구부로 돌출된 대향하는 두 평판(10c)에 사선형으로 관통된 구조를 이루며, 대향하는 두 평판(10c)은 용접 또는 결합부재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은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슬라브패널 지지빔(20)에 포함되는 메인빔(110)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고, 드롭어셈블리(120)가 코너브라켓(10)과 결합되는 상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으며, 메인빔(110) 내에 드롭어셈블리(120)가 설치되는 상태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은 슬라브코너(12)와 필러패널(16) 사이에서 슬라브패널들(18)을 상부로 지지하며, 드롭어셈블리(120), 메인빔(110), 미들빔(160) 그리고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메인빔(110)은 드롭어셈블리(120)가 각각 내부에 구성되면서 메인핀(100)의 결합 여부에 따라서 드롭어셈블리(120)와 결합 또는 해체되고 피봇파이프(121)와 피봇핀(122)에 의하여 피봇 결합되며 상기 피봇 결합에 의한 드롭빔(50)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면에 제1 오픈영역(A)이 형성되고 상기 피봇 결합에 의한 상기 피봇파이프(121)와 타이로드(123)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저면에 제2 오픈영역(B)이 형성된다. 메인빔(110)은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되며, 그에따라 이격된 메인빔(110) 내부의 드롭어셈블리(120)도 메인빔(110)의 배치 상태와 같이 각각 대칭되게 배치된다.
도 17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빔(110)은 두 개의 채널(112)이 하나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도 17에서 메인빔(110)을 두 개의 채널(112)로 예시한 것은 이해를 위하여 도시한 것일뿐 일체로 형성된 것이 구성될 수 있다.
드롭빔(50)이 배치되는 메인빔(110)의 단부의 측면에는 메인핀홀(114a)이 형성되고 피봇파이프(121)의 피봇핀(122)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한 측면에는 피봇핀홀(116)이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빔(110)의 반대쪽 단부에는 커넥팅홀(118)이 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메인빔(110)의 메인핀홀(114a) 및 피봇핀홀(116)이 형성된 측면에는 보강패치(150)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보강패치(150)에는 맞닿는 메인빔(110)의 메인핀홀(114a) 및 피봇핀홀(116)에 대응되는 메인핀홀(114b) 및 피봇핀홀(116)이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핀(100)은 이들 메인핀홀(114a, 114b)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피봇파이프(121)의 피봇핀(122)은 메인빔(110)과 보강패치(150)의 피봇핀홀(116)을 관통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미들빔(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메인빔(110) 사이에 배치되며 메인빔(110)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들빔(160)에는 메인빔(110)이 이어지는 길이방향 측벽에 둘 이상의 커넥팅홀(162)이 각각 형성된다.
미들빔(160)은 양쪽의 메인빔(110)과 제1 및 제2 결합부재로 체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결합부재는 내부커넥터(130)와 외부커넥터(140)를 포함하고, 내부커넥터(130)와 외부커넥터(140)에는 메인빔(110)과 미들빔(160)에 형성된 커넥팅홀들(118, 162)과 대응되는 커넥팅홀(132, 142)이 각각 형성된다. 서로 대응되는 커넥팅홀(118, 132)(162, 142)을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미들빔(160)의 양쪽에 메인빔(110)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부커넥터(130)는 미들빔(160)과 메인빔(110)에 양단이 공통으로 삽입되는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외부커넥터(140)는 메인빔(110)과 미들빔(160)의 양측벽에 공통으로 접하는 패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빔(110)에 설치되는 드롭어셈블리(120)는 코너브라켓(10) 또는 필러브라켓(14)과 힌지결합되는 드롭빔(50)을 포함하며 외면에 나사가 형성된 타이로드(123)가 드롭빔(50)의 힌지결합되는 반대쪽에 결합되고 드롭빔(50)의 타이로드(123)에 가이드되면서 타이로드(123)에 나사결합된 스핀들너트(124)의 조절로 타이로드(123) 상의 이동이 제어되는 피봇파이프(121)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드롭어셈블리(1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드롭빔(50)은 힌지 결합을 위한 후크(52)가 단부에 형성되며 후크(52)가 형성된 반대쪽에 하측으로 함몰된 공간(C)을 가지고 측면에 메인핀(100)이 삽입되는 메인핀홈(114c)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함몰된 공간(C)은 피봇파이프(121)의 피봇핀(122)이 거치되는 공간으로 역할한다.
그리고, 드롭빔(50)은 서로 대칭되는 수직면(54) 사이에 수평면(56)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수직면(54)의 사이에 타이로드고정 브라켓(59)이 설치될 수 있으며, 타이로드고정 브라켓(59)은 타이로드(123)의 일단이 삽입되어 볼트 또는 용접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롭빔(50)의 일면의 수직면(54)의 외부에 후크락커(58)가 결합된다.
후크락커(58)는 드롭빔(50)의 측면에서 회동됨에 의하여 해제 및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잠금 상태에서 드롭빔(50)의 후크(52)가 힌지 결합되는 하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후크락커(58)는 드롭빔(50)에 U볼트(126)에 의하여 결합되며, U볼트(126)가 삽입되는 두 개의 홀(127)들이 후크락커(58)와 드롭빔(50)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U볼트(126)는 후크락커(58)가 설치되는 드롭빔(50)의 이면으로부터 관통되는 장축(126a)과 장축(126a)의 단부가 U자형태로 꺽어진 단축(126b)을 가지며, 장축(126a)이 삽입되는 드롭빔(50)의 이면에는 스프링(128)이 삽입되어서 탄성력을 제공하고, 장축(126a)이 삽입되는 후크락커(58)와 드롭빔(50)의 홀(127)들 사이에는 스페이서 볼트(129)가 삽입되어서 후크락커(58)의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U볼트(126)의 단축(126b)은 후크락커(58)와 드롭빔(50)의 다른 홀들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단축(126b)의 길이는 U볼트(126)를 눌렀을 때 스프링(128)이 밀착됨에 따라서 밀려서 후크락커(58) 외부로 이탈되는 정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후크락커(58)가 잠긴 상태는 도 21과 같으며 후크락커(58)가 열린 상태는 도 22와 같다.
그리고, 드롭빔(50)의 후크(52)가 형성된 반대 쪽에는 외면에 나사가 형성되며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이 연장되는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타이로드(123)가 결합된다.
그리고, 타이로드(123)에는 피봇파이프(121)가 결합되고, 피봇파이프(121)는 타이로드(123)에 의하여 이동이 가이드되고 드롭빔(50)의 함몰된 공간(C)에 피봇핀(122)이 거치되고 피봇핀(122)은 외벽을 이루는 메인빔(110)의 피봇핀홀(116)에 결합된다. 그리고, 타이로드(123)의 피봇파이프(121)가 결합된 단부에는 피봇파이프(121)의 이동을 제어하는 와셔(125) 및 스핀들너트(124)가 나사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힌지 결합 및 피봇 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드롭빔(50)의 후크(52)는 슬라브코너(12)의 코너브라켓(10) 또는 필러패널(16)의 필러브라켓(14)의 힌지핀과 결합되며, 드롭빔(50)의 후크(52)의 힌지 결합은 드롭빔(50)에 설치되는 후크락커(58)가 U볼트(126)의 작동에 따라 잠금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슬라브패널들(18)을 슬라브패널 지지빔(20) 상부에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동안 후크락커(58)는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드롭빔(50)과 메인빔(110)은 메인핀(100)의 삽입에 의하여 고정되며, 드롭빔(50)은 메인핀(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되지 않는다. 메인핀(100)이 이탈되면 드롭어셈블리(120)는 피봇파이프(121)의 피봇핀(12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즉, 드롭빔(50)이 고정된 상태가 해체됨으로써 메인빔(110)과 피봇결합된 드롭어셈블리(120)가 회동되며, 드롭어셈블리(120)가 회동되면 드롭빔(50)은 상부로 회동되며 피봇파이프(121) 및 타이로드(123)는 하부로 회동된다. 이 상태에서 피봇핀(122)이 구성되는 피봇파이프(121)는 상부의 메인빔들과 미들빔 등이 조립된 슬라브패널 지지빔(20)과 그 상부의 슬라브패널들(18)의 하중에 의하여 타이로드(123)을 따라 하강되며, 이들의 하강 상태는 스핀들너트(124)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패널 조립체는 상술한 힌지결합 및 피봇결합에 기초하여 슬라브패널 (18) 을 조립하고 해체할 수 있으며, 슬라브패널 조립체의 해체 수순에 대하여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슬라브코너(12)의 코너브라켓(10)과 필러패널(16)의 필러브라켓(14)에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양단의 드롭빔(50)이 힌지 결합된 상태이며, 드롭빔(50)과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메인빔(110)이 메인핀(100)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드롭어셈블리(120)가 메인빔(110) 내부에 회동되지 않고 고정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여기에서,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상부에 슬라브패널(18)을 지지하고 있으며, 슬라브패널(18)은 필러브라켓이 형성되지 않은 필러패널(28)과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브패널(18)과 필러패널(16, 28)의 상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천정 구조물(200)이 형성된 것이 예시되고 있다.
상술한 도 23의 상태에서 메인핀(100)을 드롭빔(50)과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메인빔(110)에서 해체하면, 도 24와 같이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은 드롭어셈블리(120)와 피봇파이프(121)에 형성된 피봇핀(122)에 의하여 피봇 결합에 의하여 지지되며,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하중에 의하여 드롭어셈블리(120)의 드롭빔(50)은 후크(52)가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서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메인빔(110) 상부에 형성된 공간 쪽으로 회동되며 피봇파이프(121)와 타이로드(123)는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의 메인빔(110)의 하부로 회동된다. 이때 드롭어셈블리(1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이 약간 하강된다.
도 24와 같이 슬라브패널 지지빔(20)이 약간 하강된 상태에서 상부의 슬라브패널(18)이 해체되어 도 25와 같이 슬라브패널 지지빔(20) 상부에 안착될 수 있으며, 드롭어셈블리(120)의 스핀들너트(124)를 회전하면 피봇파이프(121)가 점차적으로 하강하며, 피봇파이프(121)가 점차적으로 하강됨에 따라서 그에 피봇결합된 슬라브패널 지지빔(20)도 상부에 해체된 슬라브패널(18)을 실은 채로 하강한다.
결과적으로 도 26과 같이 드롭어셈블리(120)의 스핀들 너트(124)를 회전하여 피봇파이프(121)를 완전히 하강시키면 그에 연동하여 슬라브패널 지지빔(20)도 완전히 하강되며, 작업자가 손쉽게 슬라브패널 지지빔(20)에 실린 슬라브패널(18)들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패널 조립체는 손쉽게 슬라브패널(18)을 조립 및 해체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개선되고 작업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슬라브코너(12)는 도 28과 같은 수직 지지체와 같은 하부의 구조물에 의하여 도 27과 같은 구조로 지지될 수 있으며, 슬라브코너(12)를 지지하기 위한 수직 지지체는 L자 형강으로 구성되는 수평브라켓(220)과 수평브라켓(220)의 하부에 접합되는 수직고정체(2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평브라켓(220)은 상부의 슬라브코너(12)와 핀 결합, 볼트 결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고, 수직고정체(222)는 상부의 수평브라켓(220)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수직고정체(222)는 콘크리트 벽체(210)에 고정 설치되는 돌출편(212)과 볼트(224)로 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고정체(222)는 볼트(224)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22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고정체(222)는 L자 형강(222a, 222b)이 합체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돌출편(212)이 삽입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요부(2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코너브라켓 12 : 슬라브코너
14 : 필러브라켓 16, 28 : 필러패널
18 : 슬라브패널 20 : 슬라브패널 지지빔
50 : 드롭빔 52 : 후크
58 : 후크락커 100 : 메인핀
110 : 메인빔 120 : 드롭어셈블리
121 : 피봇파이프 122 : 피봇핀
123 : 타이로드 130 : 내부커넥터
140 : 외부커넥터 150 : 보강패치
160 : 미들빔

Claims (21)

  1. 벽면거푸집 상단에 결합되고 코너브라켓이 삽입설치되는 슬라브코너;
    상기 슬라브코너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하부에 필러브라켓이 설치되는 필러패널;
    상기 슬라브코너와 상기 필러패널 사이에 배치되어서 천정거푸집을 이루는 슬라브패널들; 및
    상기 슬라브코너와 상기 필러패널 사이에서 상기 슬라브패널들을 지지하며 관통되는 메인핀에 의하여 측벽에 결합되는 드롭빔과 상기 드롭빔에 연결된 타이로드와 외벽에 피봇결합되면서 상기 타이로드에 가이드되어 이동가능한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와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피봇파이프의 이동을 조절하는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드롭어셈블리가 길이 방향 양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롭어셈블리 양단의 상기 드롭빔이 각각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과 상기 필러브라켓에 힌지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슬라브패널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핀을 분리하면 상기 드롭빔의 힌지결합에 의하여 상기 타이로드가 회동되고 상기 회동된 타이로드를 따라 이동되는 피봇파이프에 의하여 하강되면서 상기 슬라브패널을 하강시키는 슬라브패널 지지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패널은,
    상기 슬라브패널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된 장방체를 이루고 하부의 장변들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 프레임을 갖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 프레임과 상부가 체결되고 양측면은 상기 프레임의 장변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슬라브패널들을 상부로 지지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단부와 힌지 결합하는 상기 필러브라켓;을 포함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내부 프레임은 대칭되는 위치에 제1 볼트공들이 형성된 한 쌍의 빔으로 구성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브라켓은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기 빔에 형성된 제1 볼트공들에 대응되는 제2 볼트공들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볼트공을 관통하는 제1 볼트와 상기 제1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너트에 의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조립부와 상기 제1 조립부에 이어지면서 연장되는 측면에 경사진 제1 힌지공이 상기 힌지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제1 힌지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브라켓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 힌지공에는 제1 힌지핀이 삽입되어서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단부가 상기 제1 힌지핀에 체결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브라켓은 상기 내부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필러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필러유니트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빔에 형성된 제1 볼트공들에 대응되는 제3 볼트공들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 및 제3 볼트공을 관통하는 제2 볼트와 상기 제2 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너트에 의하여 상기 내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조립부와 상기 제2 조립부에 이어지면서 상기 내부프레임의 단부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며 연장된 방향으로 경사진 제2 힌지공이 상기 힌지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2 브라켓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2 힌지공에는 제2 힌지핀이 삽입되어서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단부가 상기 제2 힌지핀에 체결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은,
    상기 드롭빔, 상기 타이로드, 상기 피봇파이프 및 상기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 드롭어셈블리;
    상기 제1 및 제2 드롭어셈블리가 각각 내부에 구성되면서 상기 메인핀의 결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드롭어셈블리와 결합 또는 해체되고 상기 상기 피봇파이프와 피봇핀에 의하여 피봇 결합되며 상기 피봇 결합에 의하여 상기 드롭빔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면에 제1 오픈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피복파이프와 상기 타이로드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저면에 제2 오픈영역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메인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메인빔의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빔;
    상기 미들빔과 상기 제1 메인빔을 결합시키는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미들빔과 상기 제2 메인빔을 결합시키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부에 상기 슬라브패널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핀이 상기 제1 드롭어셈블리와 상기 제1 메인빔 그리고 상기 제2 드롭어셈블리와 상기 제2 메인빔을 각각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슬라브패널을 해체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핀이 해체되면 피봇결합된 상기 피봇파이프가 상기 스핀들너트의 조절에 의하여 상부에 상기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면서 상기 타이로드에 가이드되어 하강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드롭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과 힌지 결합되는 후크가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가 형성된 반대쪽에 하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가지고 측면에 상기 메인핀이 삽입되는 메인핀홈이 형성되는 상기 드롭빔;
    상기 드롭빔의 측면에 회동됨에 의하여 해제 및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드롭빔의 상기 후크가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반대쪽을 지지하는 후크락커;
    상기 드롭빔의 상기 후크가 형성된 반대쪽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타이로드;
    상기 타이로드와 결합되어 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드롭빔의 상기 함몰된 공간에 상기 피봇핀이 위치되고 상기 피봇핀이 상기 제1 및 제2 메인빔과 피봇 결합되는 상기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와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피봇파이프의 이동을 제어하는 와셔 및 상기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인빔은,
    상기 제1 및 제2 드롭어셈블리를 수용가능한 단면이 사각형상인 공간을 가지며 상기 드롭빔의 위치에 대응하는 양측면에 상기 메인핀이 관통삽입되는 메인핀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봇파이프의 상기 피봇핀의 위치에 대응하는 양측면에 피봇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드롭빔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한 제1 오픈영역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봇파이프와 상기 타이로드의 회전을 보장하기 위한 제2 오픈영역이 하면에 형성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제1 메인빔과 상기 미들빔 내부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제1 내부커넥터; 및
    상기 제1 메인빔과 상기 미들빔의 양측벽에 접하는 제1 외부커넥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부커넥터들과 상기 제1 내부커넥터 및 상기 제1 메인빔을 관통하는 제1 커넥팅홀이 형성되어서 제4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제2 외부커넥터들과 상기 제1 내부커넥터 및 상기 미들빔을 관통하는 제2 커넥팅홀이 형성되어서 제5 볼트가 체결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상기 제2 메인빔과 상기 미들빔 내부에 공통으로 삽입되는 제2 내부커넥터; 및
    상기 제2 메인빔과 상기 미들빔의 양측벽에 접하는 제2 외부커넥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부커넥터들과 상기 제2 내부커넥터 및 상기 제2 메인빔을 관통하는 제3 커넥팅홀이 형성되어서 제6 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제2 외부커넥터들과 상기 제2 내부커넥터 및 상기 미들빔을 관통하는 제4 커넥팅홀이 형성되어서 제7 볼트가 체결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어셈블리는,
    힌지 결합되는 후크가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가 형성된 반대쪽에 하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가지고 측면에 상기 메인핀이 삽입되는 메인핀홈이 형성되는 드롭빔;
    상기 드롭빔의 측면에 회동됨에 의하여 해제 및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드롭빔의 상기 후크가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반대쪽을 지지하는 후크락커;
    상기 드롭빔의 상기 후크가 형성된 반대쪽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타이로드;
    상기 타이로드와 결합되어 이동이 가이드되고 상기 드롭빔의 상기 함몰된 공간에 피봇핀이 위치되고 상기 피봇핀이 상기 제1 및 제2 메인빔과 피봇 결합되는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와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피봇파이프의 이동을 제어하는 와셔 및 상기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 조립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00047851A 2010-05-24 2010-05-24 슬라브패널 조립체 KR101171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851A KR101171823B1 (ko) 2010-05-24 2010-05-24 슬라브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851A KR101171823B1 (ko) 2010-05-24 2010-05-24 슬라브패널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093A Division KR101174068B1 (ko) 2012-04-30 2012-04-30 슬라브패널 지지빔
KR1020120045104A Division KR101171822B1 (ko) 2012-04-30 2012-04-30 드롭어셈블리
KR1020120045083A Division KR101197491B1 (ko) 2012-04-30 2012-04-30 필러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418A KR20110128418A (ko) 2011-11-30
KR101171823B1 true KR101171823B1 (ko) 2012-08-14

Family

ID=4539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851A KR101171823B1 (ko) 2010-05-24 2010-05-24 슬라브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8614B (zh) * 2012-09-06 2015-04-01 深圳市特辰科技股份有限公司 可快速拆装的建筑模板体系及其安装方法
KR102259942B1 (ko) * 2019-02-15 2021-06-04 백희정 거푸집의 슬라브 빔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418A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9275A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KR101127008B1 (ko)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2038061B1 (ko) 가변형 조립식 보 거푸집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171822B1 (ko) 드롭어셈블리
KR20190008053A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0926750B1 (ko) 보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JP3933674B2 (ja) 外型枠構造
KR101171823B1 (ko) 슬라브패널 조립체
KR101197491B1 (ko) 필러패널
KR100653229B1 (ko)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지지장치
KR101174068B1 (ko) 슬라브패널 지지빔
US9841140B2 (en) Door lintel lift apparatus and method
KR200420504Y1 (ko) 거푸집 지지장치
KR101181493B1 (ko) 개선된 시스템 서포터
KR101722021B1 (ko) 시스템 거푸집
KR20110002260U (ko) 서포터의 사용성이 개선된 보 거푸집용 지지어셈블리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100357488B1 (ko) 슬래브 및 보 동시 구축용 테이블 폼
TW201420847A (zh) 組立件及其安裝構造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KR20110020997A (ko)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200389444Y1 (ko) 건축물의 슬라브 받침 구조물
KR20090025748A (ko) 내민보 슬래브를 이용한 암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