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997A -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997A
KR20110020997A KR1020090078517A KR20090078517A KR20110020997A KR 20110020997 A KR20110020997 A KR 20110020997A KR 1020090078517 A KR1020090078517 A KR 1020090078517A KR 20090078517 A KR20090078517 A KR 20090078517A KR 20110020997 A KR20110020997 A KR 2011002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lab
slab panel
tie rod
pivo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1115B1 (ko
Inventor
홍영근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1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고리 모양의 후크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막대 모양의 타이로드와, 관통공에 의해 상기 타이로드의 외면을 감싸게 구비되고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피봇파이프가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은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슬라브패널을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가 있다.
슬라브패널(slab panel), 슬라브코너(slab corner), 슬라브코너 브라켓(slab corner bracket), 슬라브패널 지지빔, 드롭빔(drop beam)

Description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Device system for setting and removing slab panel}
본 발명은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용이하게 슬라브패널을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하여 벽면거푸집을 만들고, 벽면거푸집 상부에 다수의 슬라브패널을 수평하게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고, 이와 같은 시공을 반복하여 다층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설하고 있다.
슬라브패널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천정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견고하여야 하고, 설치가 용이하여야 하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해체가 용이하여야 한다. 또한,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 누구나 쉽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제작될 필요성이 있고 설치 및 해체에 시간이 적게 소요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291호는 벽체 거푸집과 테크 지지바 연결용 연결구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2049호는 천장판 시스템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2551호는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슬라브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들의 구조가 복잡하고,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한 구조들로 인해 제작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용이하게 슬라브패널을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갈고리 모양의 후크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막대 모양의 타이로드와, 관통공에 의해 상기 타이로드의 외면을 감싸게 구비되고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피봇파이프가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과, 벽면거푸집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슬라브코너와, 상기 슬라브코너에 삽입 설치되는 슬라브코너 브라켓 및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브패널 지지빔에 연결된 연결바를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롭빔을 포함하며, 상기 드롭빔은, 갈고리 모양의 후크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막대 모양의 타이로드와, 관통공에 의해 상기 타이로드 의 외면을 감싸게 구비되고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피봇파이프가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헤드부는, 일단부에 형성된 갈고리 모양의 후크와, 상기 후크와 상기 타이로드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의 외측부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사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의 내측부는 안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결착홈을 갖는 갈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대향되게 결합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후크가 걸림 결합되었때 착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크락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락커는 상기 후크가 걸림 결합하는 대상을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감싸서 상기 후크가 탈착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후크락커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며, 길이가 긴 장부와 길이가 짧은 단부를 갖고 상기 장부에 스프링이 달린 U-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크락커에 상기 U-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도 U-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U-볼트의 장부와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에 구비된 2개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후크락커에 구비된 2개의 관통공을 관통하게 되면 상기 후크락커는 회동 되지 못하고 고정되고, 상기 U-볼트의 둥근 부위를 잡아 당기면 상기 U-볼트의 단부는 상기 후크락커의 관통공에서 빠져 나오게 되므로 상기 후크락커는 상기 U-볼트의 장부에 의해서만 고정되어 상기 U-볼트의 장부를 회전축으로 회동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봇파이프는 내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보다 직경이 크게 구비되며, 상기 피봇파이프는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에 간섭받지 않고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스핀들너트의 일단부에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스핀들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은 일단부가 상기 슬라브코너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는 슬라브코너의 개구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브코너의 개구부로 돌출된 부위에 걸림바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사선형의 가이드채널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채널 내에 상기 후크와 걸림 결합하기 위한 둥근 막대 모양의 걸림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은 대향하는 두 플레이트 사이에 막대 모양의 복수 개의 연결부재가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결착된 구조물이고, 상기 피봇파이프와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은 연결바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봇파이프는 상기 연결바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피봇파이프가 대향하는 두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피봇파이프는 상기 연결부재에 막혀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한다.
상기 드롭빔을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 헤드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에 구비된 관통공에 대응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위치에도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에 구비된 관통공과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부에 구비된 관통공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드롭빔이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슬라브패널의 설치가 용이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슬라브패널의 해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은 그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자 누구나 쉽게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에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므로 설치 및 해체 작업에 따른 안전 사고의 발생 위험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드롭빔(drop beam)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드롭빔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부분 절단된 슬라브코너에 설치된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드롭빔이 결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슬라브코너에 슬라브코너 브라켓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드롭빔과 슬라브패널 지지빔이 결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에 후크 및 후크락커가 결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이 일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은 슬라브패널(slab panel)(SP)을 지지하는 슬 라브패널 지지빔(30)과, 벽면거푸집(wall panel)(WP)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슬라브코너(10)와, 슬라브코너(10)에 삽입 설치되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과,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연결바(144)로 결합되고 연결바(144)를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롭빔(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슬라브패널(SP)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드롭빔(drop beam)(100)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결착되어 슬라브패널(SP)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결착되는 드롭빔(100)은 대향하는 두 벽면거푸집(WP)의 상단부에 위치한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결합된다. 슬라브패널(SP)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상부에 얹혀지고, 슬라브패널(SP) 상부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건축 재료가 타설되고, 콘크리트와 같은 건축 재료가 양생되어 건조되면 슬라브패널(SP)을 해체하기 위하여 드롭빔(100)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이 사용되어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다.
드롭빔(100)은 슬라브코너 브라켓(20)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물로서, 드롭빔(100)의 하강에 의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이 연동되어 하강하게 된다. 드롭빔(100)의 하강과 연동되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이 하강되면, 슬라브패널(SP)을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로부터 분리시켜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드롭빔(100)과 이를 이용한 슬라프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드롭빔(100)은, 갈고리 모양의 후크(hook)(112)를 구비하는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의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막대 모양의 타이로드(tie rod)(130)와, 관통공에 의해 상기 타이로드(130)의 외면을 감싸게 구비되고 타이로드(13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파이프(pivot pipe)(140)와, 상기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피봇파이프(140)가 타이로드(130)를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스핀들너트(spindle nut)(150)를 포함한다.
헤드부(110)는 일단부에 형성된 갈고리 모양의 후크(112)와, 후크(112)와 타이로드(130)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114)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114)에는 고정핀을 삽입하여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122)이 구비되어 있다.
슬라브패널(SP)을 설치하는 경우에, 헤드부(110)의 후크(112)는 대향하게 설치되는 두 슬라브코너(slab corner)(10) 내에 각각 삽입되게 설치되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걸쳐질 수 있게 갈고리 모양을 하고 있다. 후크(112)는 외측부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사선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내측부는 안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결착홈을 갖는 갈고리 모양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후크(112)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구비된 둥근 막대 모양의 걸림바(22)에 걸처지므로, 걸림바(22)를 기준으로 후크(112)의 회전에 따라 드롭빔(100)이 연동되어 회동될 수 있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구비된 걸림바(22)는 후크(112) 내측부의 결착홈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둥근 막대 구조를 갖고, 후크(112) 내측부의 결착홈 곡률반경 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진다.
지지플레이트(114)는 제1 플레이트(114a)와 제2 플레이트(114b)가 용접 또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가 절곡되어 제1 플레이트(114a)와 제2 플레이트(114)를 이루는 구조일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114a) 및 제2 플레이트(114b) 사이는 후크락커(116)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후크락커(116)와 제1 플레이트(114a) 또는 후크락커(116)와 제2 플레이트(114b)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스페이서(118)가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110)에는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착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락커(hook locker)(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후크락커(116)는 후크(112)가 둥근 막대 모양의 걸림바(22)에 걸쳐져서 결착되는 경우에 후크(112)에 의해 걸림바(22)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감싸게 함으로써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탈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후크락커(116)는 지지플레이트(114)가 이루는 공간에 마련되며, 길이가 긴 장부(118a)와 길이가 짧은 단부(118b)를 갖고 장부(118a)에 스프링(118c)이 달린 '
Figure 112009051898318-PAT00001
'자형 볼트(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U-볼트라 함)(118)에 의해 고정된다. 후크락커(116)에는 U-볼트(118)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관통공(116a, 116b)이 마련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지지플레이트(114)에도 U-볼트(118)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관통공(120a, 120b)이 구비되어 있다. U-볼트(118)의 장부(118a)와 단부(118b)가 지지플레이트(114)에 구비된 2개의 관통공(120a, 120b)을 관통하고 후크락커(116)에 구비된 2개의 관통공(116a, 116b)을 관통하게 되면, 후크락커(116)는 회동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되며, U-볼트(118)의 둥근 부위를 잡아 당기면 U-볼트(118)의 단부(118b)는 후크락커(116)의 관통공(116b)에서 빠져 나오게 되므로 후크락커(116)는 U-볼트(118)의 장부(118a)에 의해서만 고정되어 있으므로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경우에는 후크락커(116)를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동되게 하여 후크(112)에 의해 걸림바(22)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감싸게 한 다음 U-볼트(118)의 단부(118b)가 후크락커(116)의 제2 관통공(116b)에 삽입되게 하여 후크락커(116)를 고정한다. 후크(112)를 걸림바(22)에서 탈착하는 경우에는 U-볼트(118)의 둥근 부위를 잡아 잡아당겨서 U-볼트(118)의 단부(118b)가 후크락커(116)의 관통공(116b)에서 탈착되게 하고, 후크락커(116)를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동되게 한 다음에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탈착되게 한다. 스프링(118c)은 U-볼트(118)가 외력에 의해 당겨질 때 원상회복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발한다. 상기 스프링(118c)은 U-볼트(118)가 외력에 의해 잡아당겨지지 않을 때는 탄성력에 의해 후크락커(116)가 고정될 수 있고, U-볼트(118)의 둥근 부위에 외력이 가해져서 잡아당겨지면 U-볼트(118)의 단부(118b)는 후크락커(116)의 관통공(116b)에서 빠져나오고 후크락커(116)는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동될 수 있어,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탈착될 수 있다.
타이로드(130)는 상기 헤드부(110)의 지지플레이트(114)에 연결되고 외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막대 모양의 구조물이다. 지지플레이트(114)와 타이로드(130) 는 용접 또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피봇파이프(140)는 내면에 관통공(142)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서 외주면은 사각기둥, 육각기둥, 팔각기둥, 원기둥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어 특별한 형상이 요구되지는 않으나 작업성 등을 고려할 때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봇파이프(140)에 구비된 관통공(142)은 타이로드(130)의 나사선보다 직경이 크게 구비되므로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에 간섭받지 않고 타이로드(130)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스핀들너트(150)는 하강된 피봇파이프(140)가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핀들너트(150)를 회전시켜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수도꼭지와 같은 손잡이(152)가 스핀들너트(15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브코너(10)는 '
Figure 112009051898318-PAT00002
'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는 두 벽면거푸집(WP)의 상단부에 결합되게 구비되며, 대향하게 설치되는 두 슬라브코너(10)는 각각의 개구부(12)가 서로 대면되게 설치된다. 슬라브코너(slab corner)(10)에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이 삽입되어 결착된다.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일단부는 슬라브코너(2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는 슬라브코너(10)의 개구부로 돌출되어 있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은 슬라브코너(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브라켓 상하 조절용 볼트(26)에 의해 고정된다. 드롭빔(100)의 후크(112)는 슬라브코너(10)의 개구부로 돌출된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둥근 막대 모양의 걸림바(22)에 걸쳐지게 결합되고, 슬라브 코너(10)에 각각 삽입된 대응하는 한쌍의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는 걸림바(22)가 구비되고, 걸림바(22)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4)이 구비되어 있다. 가이드채널(24)은 슬라브코너(1)의 개구부로 돌출된 대향하는 두 평판(26)에 사선형으로 관통된 구조를 이루며, 대향하는 두 평판(26)은 용접 또는 결합부재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드롭빔(100)을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결착할 때에는 후크(112)의 사선형의 외측부에 의해 걸림바(22)가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위로 이동될 수 있고, 후크(112)의 외측부가 걸림바(22) 위로 약간 들어올려 지면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4)을 따라 그 무게에 의해 아래로 이동되고 드롭빔(100)을 약간 아래로 이동시키면서 후크(112)의 내측부와 걸림바(22)를 걸림 결합함으로써, 드롭빔(100)이 용이하게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결착될 수 있게 한다. 즉, 후크(112)를 걸림바(22)에 결착하는 경우에는 후크(112)의 회측부(150)에 의해 걸림바(22)는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후크(112)의 외측부(150)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걸림바(22)가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4)의 하부로 내려오게 되면 후크(112)의 내측부(150)와 걸림 결합될 준비가 된 것이다. 걸림바(22)가 드롭빔(100)의 후크(112)에 걸려 있을 때, 드롭빔(100)은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드롭빔(100)의 헤드부(110)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피봇파이프(140)는 슬라브패널(slab panel)(SP)을 지지하는 슬라브패널 지지 빔(30)에 연결바(14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은 대향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에 막대 모양의 복수 개의 연결부재(34)가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결착된 구조물이다. 드롭빔(100)은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결착하는 연결바(144)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결착하는 연결바(144)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지만,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면 연결부재(34)에 의해 막혀서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된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두 플레이트(32a, 32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4)는 드롭빔(10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에 삽입되면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결합하는 연결바(144)는 드롭빔(100)이 회동할 때 좌우측으로 유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결합하는 연결바(144)는 착탈이 가능한 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연결바(144)로 연결하여 연결된 부위를 용접하여 영구 고정하는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피봇파이프(140)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결착하는 연결바(144)를 기준으로 회동되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지만,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면 연결부재(34)에 의해 막혀서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된다.
드롭빔(100)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 이의 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드롭빔(100)을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122)이 헤드부(110)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122)에 대응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위치에도 관통공(도 18 및 도 19의 36 참조)이 구비되어 있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과 헤드부(110)의 관통공(122)에 고정핀이 삽입됨으로써, 드롭빔(100)은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드롭빔(100)은 관통공(122)을 통과하는 고정핀과 피봇파이프(140)에 형성된 연결바(144)를 통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고정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110)는 관통공(122)을 기준으로 타이로드(130)와 연결되는 부분만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슬라브패널(SP)을 해체하는 경우에는, 헤드부(122)에 형성된 관통공(122)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형성된 관통공(도 18 및 도 19의 36 참조)에 체결된 고정핀을 탈착함으로써 드롭빔(100)이 피봇파이프(140)에 형성된 연결바(144)를 회전축으로 회동될 수 있게 하여,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은 슬라브패널(SP)과 콘크리트와 같은 구조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서포터(S)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은 서포터(S)에 의해 지지되고, 슬라브패널(SP)의 상부에는 슬라브패널(SP)이 놓여지며,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은 슬라브패널(SP)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롭빔(100) 및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SP)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벽면거푸집(WP)을 일정 거리 이격되게 조립 설치한다.
대향하는 벽면거푸집(WP)의 상단부에 슬라브코너(10)를 설치한다. 대향되는 두 슬라브코너(10)는 각각의 개구부(12)가 서로 대면되게 설치한다.
슬라브코너(10)에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을 삽입하여 결착한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일단부는 슬라브코너(20)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는 슬라브코너(10)의 개구부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슬라브코너(10)의 내주면에 삽입된 부분은 브라켓 상하 조절용 볼트(26)에 의해 슬라브코너(10)에 결착되게 고정한다.
드롭빔(100)(또는 피봇파이프(140))을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고, 드롭빔(100)을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고정하기 위해 헤드부(110)에 형성된 관통공(122)과 이에 대응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36)에 고정핀을 체결하여 드롭빔(100)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일체화시킨다. 이때, 드롭빔(100)은 관통공(122)을 통과하는 고정핀과 피봇파이프(140)에 형성된 연결바(144)를 통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 고정되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드롭빔(100)의 헤드부(110)는 관통공(122)을 기준으로 타이로드(130)와 연결부는 되는 부분만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게 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롭빔(100)의 헤드부(110)를 들어올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걸림바(22)에 걸쳐지게 한다. 드롭빔(100)을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결착할 때 후크(112)의 사선형의 외측부가 걸림바(22)에 접촉하면서 들어올리면 걸림바(22)는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위로 이동하고, 후크(112)의 외측부가 걸림바(22) 위로 약간 더 들어올려지면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4)을 따라 그 무게에 의해 아래로 이동된다. 드롭빔(100)의 후크(112)를 약간 아래로 이동시키면서 후크(112)의 내측부와 걸림바(22)를 걸림 결합함으로써, 드롭빔(100)이 용이하게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결착될 수 있다. 즉, 후크(112)를 걸림바(22)에 결착하는 경우에는 후크(112)의 회측부(150)에 의해 걸림바(22)는 사선형의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상부로 밀어 올려지고 후크(112)의 외측부(150)가 통과한 후에는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4)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걸림바(22)가 하중에 의해 가이드채널(24)의 하부로 내려오게 되면 후크(112)의 내측부(150)와 걸림 결합될 준비가 된 것이다. 걸림바(22)가 드롭빔(100)의 후크(112)에 걸려 있을 때, 드롭빔(100)은 슬라브코너 브라켓(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후크(112)가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걸림바(22)에 걸림 결합됨에 의해 드롭빔(100)의 헤드부(110)는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걸림바(22)를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에 의한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슬라브패널 지지빔(30) 하부에 서포터(S)를 받쳐 놓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착탈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후크(112)에 의해 걸림바(22)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후크락커(116)가 감싸게 하여 후크(112)가 걸림바(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크락커(116)가 후크(112)에 의해 걸림바(22)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감싸게 한 다음, U-볼트(118)의 장부(118a)와 단부(118b)가 지지플레이트(114)에 구비된 2개의 관통공(120a, 120b)을 관통하고 후크락커(116)에 구비된 2개의 관통공(116a, 116b)을 관통하게 함으로써, 후크락커(116)가 회동되지 않게 고정한다.
슬라브패널 지지빔(30) 상부에 슬라브패널(SP)을 설치한다.
슬라브패널(SP)이 설치되면 슬라브패널(SP)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원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든다.
이하에서,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롭빔(100) 및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SP)을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거푸집(WP)을 제거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지탱하던 서포터(S)를 일부 제거한다.
스핀들너트(15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되게 하여, 스핀들너트(150)가 피봇파이프(140)로부터 일정 거리(약 5∼30㎝ 정도) 이격되게 한다.
헤드부(122)의 관통공(122)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관통공(36)에 체결된 고정핀을 탈착한다. 이에 의해 드롭빔(100)은 피봇파이프(140)에 형성된 연결바(144)를 회전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헤드부(122)의 관통공(122)과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의 관통공(36)에 체결된 고정핀을 탈착되면, 하중에 의해 피봇파이프(140)가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스핀들너트(150)가 있는 부위의 타이로드(130)는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을 구성하는 두 플레이트(32a, 32b) 사이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피봇파이프(140)가 하강함에 따라 연결바(144)에 의해 피봇파이프(140)와 연결된 슬라브패널 지지빔(30)도 일정 거리 아래로 내려오게 되며,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이 일정 거리 아래로 떨어짐에 따라 슬라브패널(SP)도 하중에 의해 일정 거리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피봇파이프(140)는 스핀들너트(150)와 이격된 거리 만큼 타이로드(13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스핀들너트(150)가 있는 위치에서 피봇파이프(140)는 스핀들너트(150)에 의해 저지됨에 따라 더 이상 하강되지 못하고 정지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너트(150)를 회전시켜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되게 하여 피봇파이프(140)가 서서히 타이로드(130)를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한다. 피봇파이프(140)가 타이로드(130)를 따라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슬라브패널 지지빔(30)도 연결바(144)에 의해 피봇파이프(14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대응하여 내려오게 되며, 슬라브패널 지지빔(30)이 아래로 내려옴에 따라 슬라브패널(SP)도 하중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너트(150)가 목표하는 거리 만큼 타이로드(130)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되게 하고, 이에 따라 피봇파이프(140), 슬라브패널 지지빔(30) 및 슬라브패널(SP)도 목표하는 만큼 아래로 내려오게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하는 거리 만큼 슬라브패널(SP)이 내려오면, 슬라브패널(SP)을 슬라브패널 지지빔(30)에서 내리게 하여 슬라브패널(SP)을 해체한다.
헤드부(110)의 후크(112)를 걸림바(22)에서 착탈시키기 위하여 U-볼트(118)의 둥근 부위를 잡아 당겨 U-볼트(118)의 단부(118b)가 후크락커(116)의 관통공(116b)에서 빠져 나오게 한다. U-볼트(118)의 단부(118b)가 후크락커(116)의 관통공(116b)에서 빠져 나오면, 후크락커(116)는 U-볼트(118)의 장부(118a)에 의해서만 고정되어 있으므로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며, 후크락커(116)는 무게에 의해 U-볼트(118)의 장부(118a)를 회전축으로 회전되므로 걸림바(22)를 감싸지 못하게 된다.
헤드부(110)의 후크(112)를 약간 위로 들어올려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걸림바(22)에서 탈착한다. 다른 쪽 부분의 후크(112)도 슬라브코너 브라켓(20)의 걸림바(22)에서 탈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슬라브패널(SP)을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드롭빔(drop beam)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드롭빔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부분 절단된 슬라브코너에 설치된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드롭빔이 결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슬라브코너에 슬라브코너 브라켓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드롭빔과 슬라브패널 지지빔이 결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슬라브코너 브라켓의 걸림바에 후크 및 후크락커가 결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이 일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슬라브패널을 해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 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P: 슬라브패널 WP: 벽면거푸집
10: 슬라브코너 20: 슬라브코너 브라켓
30: 슬라브패널 지지빔 100: 드롭빔
110: 헤드부 130: 타이로드
140: 피봇파이프 150: 스핀들너트

Claims (11)

  1. 갈고리 모양의 후크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막대 모양의 타이로드;
    관통공에 의해 상기 타이로드의 외면을 감싸게 구비되고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피봇파이프가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2. 슬라브패널을 지지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
    벽면거푸집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슬라브코너;
    상기 슬라브코너에 삽입 설치되는 슬라브코너 브라켓; 및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슬라브패널 지지빔에 연결된 연결바를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롭빔을 포함하며,
    상기 드롭빔은,
    갈고리 모양의 후크를 포함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외면에는 나사선이 구비된 막대 모양의 타이로드;
    관통공에 의해 상기 타이로드의 외면을 감싸게 구비되고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봇파이프; 및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피봇파이프가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스핀들너트를 포함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일단부에 형성된 갈고리 모양의 후크;
    상기 후크와 상기 타이로드를 연결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의 외측부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사선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크의 내측부는 안으로 오목한 곡면 형태의 결착홈을 갖는 갈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가 대향되게 결합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후크가 걸림 결합되었때 착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후크락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크락커는 상기 후크가 걸림 결합하는 대상을 감싸지 못하는 부분을 감싸서 상기 후크가 탈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락커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며,
    길이가 긴 장부와 길이가 짧은 단부를 갖고 상기 장부에 스프링이 달린 U-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락커에 상기 U-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도 U-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2개의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U-볼트의 장부와 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에 구비된 2개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상기 후크락커에 구비된 2개의 관통공을 관통하게 되면 상기 후크락커는 회 동되지 못하고 고정되고,
    상기 U-볼트의 둥근 부위를 잡아 당기면 상기 U-볼트의 단부는 상기 후크락커의 관통공에서 빠져 나오게 되므로 상기 후크락커는 상기 U-볼트의 장부에 의해서만 고정되어 상기 U-볼트의 장부를 회전축으로 회동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파이프는 내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보다 직경이 크게 구비되며,
    상기 피봇파이프는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에 간섭받지 않고 상기 타이로드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너트의 일단부에 상기 타이로드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스핀들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코너 브라켓은 일단부가 상기 슬라브코너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단부는 슬라브코너의 개구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브코너의 개구부로 돌출된 부위에 걸림바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사선형의 가이드채널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채널 내에 상기 후크와 걸림 결합하기 위한 둥근 막대 모양의 걸림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은 대향하는 두 플레이트 사이에 막대 모양의 복수 개의 연결부재가 간격을 두고 삽입되어 결착된 구조물이고,
    상기 피봇파이프와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은 연결바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봇파이프는 상기 연결바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피봇파이프가 대향하는 두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피봇파이프는 상기 연결부재에 막혀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빔을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에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이 헤드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에 구비된 관통공에 대응하는 슬라브패널 지지빔의 위치에도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에 구비된 관통공과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부에 구비된 관통공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드롭빔이 상기 슬라브패널 지지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KR1020090078517A 2009-08-25 2009-08-25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KR101101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517A KR101101115B1 (ko) 2009-08-25 2009-08-25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517A KR101101115B1 (ko) 2009-08-25 2009-08-25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997A true KR20110020997A (ko) 2011-03-04
KR101101115B1 KR101101115B1 (ko) 2011-12-30

Family

ID=4392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517A KR101101115B1 (ko) 2009-08-25 2009-08-25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1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6081A (zh) * 2017-06-02 2017-08-01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的顶托支架
CN109184192A (zh) * 2018-10-11 2019-01-11 付志红 一种快拆模板固定体系及其固定体系内的固定方法
CN110039877A (zh) * 2019-05-27 2019-07-23 秦皇岛晟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高温布拉杆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13B1 (ko)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6081A (zh) * 2017-06-02 2017-08-01 中铁建大桥工程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的顶托支架
CN109184192A (zh) * 2018-10-11 2019-01-11 付志红 一种快拆模板固定体系及其固定体系内的固定方法
CN109184192B (zh) * 2018-10-11 2024-03-19 付志红 一种快拆模板固定体系及其固定体系内的固定方法
CN110039877A (zh) * 2019-05-27 2019-07-23 秦皇岛晟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高温布拉杆
CN110039877B (zh) * 2019-05-27 2024-02-27 秦皇岛晟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高温布拉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115B1 (ko)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008B1 (ko)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JP5663334B2 (ja) アンカーフレーム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構造体の構築工法
KR101101115B1 (ko) 슬라브패널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장치시스템
KR101457114B1 (ko) 철근망의 선조립 공법
JP4651450B2 (ja) 足場板支持装置
JP2013064321A (ja) 仮設構造体用架設部材
KR20180137350A (ko) 철골 구조물
JP2010144374A (ja) 仮設構造体用架設部材
JP2010037725A (ja) Pc橋における柱頭部施工方法
KR101050493B1 (ko) 수직 거푸집 지지용 거푸집지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매립 콘 장치, 이를 이용한 거푸집지지 조립체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방법
KR101073514B1 (ko) 슬라브코너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해체 방법
KR200412991Y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101142879B1 (ko)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171822B1 (ko) 드롭어셈블리
KR20110091279A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제작용 철근망 조립장치
KR101171823B1 (ko) 슬라브패널 조립체
KR102102440B1 (ko) 서포트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인양과 해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잭서포트의 설치와 해체 방법
KR101177072B1 (ko) 갱폼 탈착 장치와 이를 갖춘 갱폼 탈착 시스템
JP6535265B2 (ja) 取付金具及び取付方法
KR101905787B1 (ko) 두부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보강장치 시공방법
KR101865792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
JP2019044362A (ja) Src梁の構築方法及びsrc梁の型枠支持構造
KR101197491B1 (ko) 필러패널
KR100916807B1 (ko) 거푸집의 높이 조절용 로커 고정장치
CN219654225U (zh) 一种工具式脚手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