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792B1 -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 - Google Patents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5792B1 KR101865792B1 KR1020160129646A KR20160129646A KR101865792B1 KR 101865792 B1 KR101865792 B1 KR 101865792B1 KR 1020160129646 A KR1020160129646 A KR 1020160129646A KR 20160129646 A KR20160129646 A KR 20160129646A KR 101865792 B1 KR101865792 B1 KR 1018657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unit
- composite frame
- sliding
- ceiling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ovable parts, e.g. pivoting panels, access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는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시공되는 설비들로 모듈화된 복합 프레임 유닛 및 복수개의 프레임 유닛들을 포함하며, 복합 프레임 유닛이 천정으로 양중된 후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들에 의해 임시 거치됨과 아울러 유효한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들은 해체되는 대신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유닛들과 함께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본 거치로 이용되어 천정구조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유닛들에 의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이 거치된 후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을 이용하면, 현장에서의 시공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현장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가설구조물 및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천정구조를 시공할 때 현장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가설구조물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공장, 주택 등의 건물에는 천정으로 여러 종류의 설비가 통과하거나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비를 지지고정하기 위해서 천정에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천정 구조물로는 통상 천정면에서 현수된 장볼트와, 이 장볼트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되는 행거 및, 이 행거에 매달려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바들이 있다.
이와 같이 천정에 설비가 위치하거나 관통하게 되면 건물의 사용공간이 난잡할 뿐만 아리나, 보기에도 좋지 않게 되므로 천정구조물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고정바들의 저면부에 미려한 천정판을 부착하여 마감하게 된다. 특히, 천정구조물은 지지프레임 및 천정판이 고정되는 고정바들을 천정에 지지하기 위하여 건물 슬라브 형성 시, 천정 아래로 장볼트를 매설 시공하고, 그에 지지프레임과 고정바들을 차폐로 조립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천정구조물은 획일적인 간격으로 장볼트를 천정 아래로 내려 매설시공하고, 그 간격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여 시공하였다. 이때, 천정에 기타설비, 예를 들어 등기구 및 덕트 등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 보강틀을 더 구성하여 지지프레임을 보강틀에 재설치하여 시공을 해야 되었다. 이에 따라 시공 시, 천정 틀에 손상을 일으킬 뿐 아니라,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공비가 상승하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한, 행거가 장볼에 곧바로 너트로 체결되므로 건물의 진동이 천정구조물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지진이나 기타 건물의 흔들림 발생 시 그 충격이 행거에 그대로 전해져 행거가 파지하고 있는 천정설비들이 파손되거나 큰 소음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설비, 덕트설비, 배관설비가 구비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의 현장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가설구조물 및 공법을 제공하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의 거치구조물는, 일측은 상기 슬래브에 거치되고 타측은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시공되는 설비들로 모듈화된 복합 프레임 유닛이 연결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이 천정으로 양중되어 임시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임시 거치된 복합 프레임 유닛이 유효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유닛들은, 상기 슬래브에 고정되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경로가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경로를 따라 배열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 상에서 회전되는 복수개의 롤러들; 및 상기 각각의 롤러들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 하측에 양중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면이 상기 슬래브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그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들이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상기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경로는 그 상하 높이가 여유를 갖을 수 있도록 상기 롤러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들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양끝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그 양쪽 끝단이 개방되며, 그 하측면에 상기 연결부재부재들이 상기 경로를 따라 관통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롤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경로의 개구부 양쪽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바퀴 축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경로의 개구부 양 가장자리에 세워진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는 상기 롤러에 고정되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일측을 관통할 수 있는 전산볼트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일측의 상,하부에서 각각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들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수평 이동 경로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는, 상술한 거치구조물 및; 일측은 상기 슬래브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거치구조물의 슬라이딩 유닛들에 의해 수평 이동된 유효 거치 위치의 복합 프레임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닛들과 함께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상기 유효 거치 위치에 고정, 지지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행거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은 내부에 상기 건축구조물의 전기설비, 덕트설비 및 배관설비가 구비되며, 상측 프레임들, 하측 프레임들 및 측면 프레임들에 의해 다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프레임 행거유닛은, 일측이 상기 슬래브에 매립되며, 타측은 상기 슬래브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앵커볼트; 및 상기 앵커볼트의 타측과 너트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상측 프레임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상측 프레임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거치구조물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으로서, 슬래브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들의 슬라이딩 레일을 시공하고, 선 제작된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롤러와 일체화된 연결부재들을 연결하는 준비단계;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천정으로 양중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롤러들을 상기 슬라이딩 레일 상에 안착하여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임시 거치시키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유효한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임시 거치단계; 및 일측이 상기 슬래브에 고정된 복수개의 프레임 행거유닛들의 타측을 상기 유효한 거치 위치의 복합 프레임 유닛을 결합하여,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들 및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행거유닛들에 의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유효한 거치 위치에 고정하는 본 거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임시 거치단계에서,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일측 끝단 옆에 위치되도록 수직 양중될 수 있다.
상기 본 거치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행거유닛들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이 유효한 거치 위치에 임시 거치된 후 상기 슬래브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임시 거치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들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상부에 거치되고; 상기 본 거치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유닛들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가장자리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거치구조물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으로서, 슬래브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들의 슬라이딩 레일을 시공하고, 선 제작된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롤러와 일체화된 연결부재들을 연결하는 준비단계;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천정으로 수직 양중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롤러들을 상기 슬라이딩 레일 상에 안착하여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임시 거치시키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유효한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임시 거치단계; 일측이 상기 슬래브에 고정된 복수개의 프레임 행거유닛들의 타측을 상기 유효한 거치 위치의 복합 프레임 유닛을 결합하여,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유효한 거치 위치에 고정하는 본 거치단계; 및 상기 슬래브 및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유닛들을 해제하여 제거하는 임시 거치 해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임시 거치 해체단계는, 상기 본 거치단계 후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연결부재들을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해체하는 과정;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슬라이딩 레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로 연결된 롤러들을 해체하는 과정;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상기 슬래브로부터 해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선 제작된 복합 프레임 유닛을 천정으로 양중한 후 바로 슬라이딩 유닛들에 의해 임시 거치시킬 수 있어 천정에 임시 적재하고, 양중을 위한 리프트 등을 바로 철거할 수 있다. 따라서, 선 제작된 복합 프레임 유닛, 리프트 등을 시공 현장에 불필요하게 적재하지 않아도 되어 현장적재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인력 및 장비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복합 프레임 유닛을 슬라이딩 유닛에 임시 거치시킨 후, 용이하게 수평이동시켜 유효한 거치 위치에 거치시키고, 이후 프레임 유닛들의 단순 체결작업만 요한다. 따라서, 시공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인력 및 장비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슬라이딩 유닛의 전산볼트와 너트 체결을 조절하여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수직 거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수직 오차 보정이 용이하여 시공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행거유닛의 시공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레임 행거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거치구조물의 시공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거치구조물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법 중 임시 거치단계의 상세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공법 중 본 거치단계의 상세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행거유닛의 시공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레임 행거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거치구조물의 시공 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거치구조물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법 중 임시 거치단계의 상세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공법 중 본 거치단계의 상세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는, 복합 프레임 유닛(100) 및 프레임 행거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은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시공되는 전기설비, 덕트설비, 배관설비들로 모듈화된 것으로, 후술되는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200)에 의해 슬래브(1, slab)에 매달려 고정된다.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은 상측 프레임(110)들, 하측 프레임(130)들 및 측면 프레임(150)들을 포함하며, 이들에 의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전기설비, 상기 덕트설비 및 상기 배관설비를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내부에 구비시 고정시킬 수 있는 부분이 많아 구조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전기설비, 상기 덕트설비 및 상기 배관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상측 프레임(110), 각각의 상기 하측 프레임(130) 및 각각의 측면 프레임(150)은 예를 들어 길이가 길게 연장되는 웨브(미표기), 상기 웨브의 양단부에 상기 웨브와 교차하는 방향을 연장되는 플랜지(미표기)들을 포함하며, 이들 구성에 의해 'ㄷ' 형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슬래브(1)에 매달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측은 상기 슬래브(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기 상측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지지한다. 후술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200)은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20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200)으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200)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측 프레임(110)에 연결되며, 후술할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300)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측 프레임(110) 양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200)은 한 형태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200)은, 앵커볼트(210) 및 지지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210)는 일측이 상기 슬래브(1)에 매립되며,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재(230)가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재(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2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일부분이 개구되어 있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상측 프레임(110)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230)는 상기 앵커볼트(210)의 타측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231a)이 형성된 수평 플레이트(231)와, 상기 수평 플레이트(231)의 선단에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23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플레이트(232)와,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32)의 선단에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231)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 플레이트(233) 및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233)의 선단에서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32)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3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2 수직 플레이트(2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2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에 의해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234)는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32) 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평 플레이트(231)와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234)의 선단 사이에 개구된 부분(미표기)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부분(미표기)을 통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기 상측 프레임(110)이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110)이 상기 개구된 부분(미표기)을 통해 삽입되면, 상기 제1 수직 플레이트(232), 상기 제2 수평 플레이트(233) 및 상기 제2 수직 플레이트(234)에 의해 상기 상측 프레임(110)이 감싸지며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230)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앵커볼트(210)의 타측이 상기 수평 플레이트(231)를 관통하면 상기 앵커볼트(210)의 타측에 너트(250)가 체결되면서 상기 지지부재(230)가 상기 앵커볼트(210)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밖에도 상기 프레임 행거유닛(200)은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등 다양한 실시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아울러 본 발명의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는 거치구조물(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구조물은 한 형태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구조물은 슬라이딩 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수평 이동을 용이하게 안내하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수평 이동 경로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300)들은 상술한 프레임 유닛(200)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측 프레임(1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상측 프레임(1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은 일측이 상기 슬래브(1)에 거치되고 타측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에 연결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천정으로 양중되어 임시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임시 거치된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유효한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유닛(300)은, 슬라이딩 레일(310)과, 롤러(320) 및 연결부재(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경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은 상기 슬래브(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면이 상기 슬래브(1)에 밀착된 상태로 앵커 링(anchor ring) 기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은 일자형 경로에 대응하여 일자형 바(bar)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은 그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320)들이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상기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320)들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양끝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그 양쪽 끝단이 개방된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종단면을 보며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은 외곽이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래브(1)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상면 플레이트(312)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312)의 하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상기 상면 플레이트(312)와 마주하는 하면 플레이트(314)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312)와 하면 플레이트(314) 사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16)를 포함한다. 상기 상면 플레이트(312)와 하면 플레이트(314)의 폭은 상기 롤러(320)들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320)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면 플레이트(314)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하측면에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재(330)들이 상하 관통되며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개구부(310a)를 구비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상기 개구부(310a)를 중심으로 두 개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16)는 상기 경로의 상부에 상기 롤러(320)들의 인입,인출을 위한 여유를 둘 수 있도록, 그 상하 높이가 상기 롤러(320)들보다 크게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316)의 상하 높이는 후술할 각 롤러(320)의 바퀴(312) 직경과 내부 플레이트(318)의 상하 높이와 같거나 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플레이트(318)의 상측을 통해 상기 롤러(320)들을 인입,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 플레이트(318)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314)의 개구부(314a)의 양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세워져 구획하는 것으로, 그 상하높이가 상기 롤러(320)의 바퀴(312) 직경보다는 작을 수 있으며, 상기 내부 플레이트(318) 상측으로 상기 롤러(320)의 바퀴(312) 직경과 같거나 큰 여유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짧게 형성된다.
상기 각 플레이트들(312,314,316,318)은 모두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경로만큼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각 플레이트(312,314,316)들 간 연결부분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소재 등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320)는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복수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경로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롤러(320)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 상에서 회전되는 것으로,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되는 바퀴(312)와, 한 쌍의 바퀴(312)를 일체로 결속시키는 바퀴 축(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바퀴(312)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개구부(314a) 양쪽에 각각 안착된다. 상기 한 쌍의 바퀴(312)는 서로 대칭될 수 있도록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바퀴(3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레이딩 레일(310)의 내측 플레이트(318) 상측을 통해 인입,인출이 가능토록, 상기 슬레이딩 레일(310)의 내측 플레이트(318)보다는 크고 상기 슬레이딩 레일(310)의 측면 플레이트(316)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각각의 롤러(320)와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하측에 양중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롤러(320)들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330)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330)는 전산볼트(332)와, 너트(334)를 포함한다. 상기 전산볼트(332)는 상기 롤러(320)의 바퀴축(324)과 양중된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단은 상기 롤러(320)의 바퀴축(324)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측 프레임(110)을 관통한다. 상기 전산볼트(332)는 상기 한 쌍의 너트(334)와의 볼트 체결이 가능토록 볼트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너트(334)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체결을 위해 이중 체결이 가능토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너트(334) 중 하나는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측 프레임(110)의 상측에서 상기 전산볼트(332)와 체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측 프레임(110)의 하측에서 상기 전산볼트(332)와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시공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행거유닛(200)들과 함께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300)들에 의해 최종적으로 천정에 고정, 거치시키는 것으로, 시공 준비단계와, 임시 거치단계와, 본 거치단계를 포함한다.
시공 준비단계는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의 현장 시공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 복수개의 프레임 행거유닛(200)들 및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300)들을 사전에 공장에서 선조립한 후, 현장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슬래브(1)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들의 슬라이딩 레일(310)들을 고정시키고,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들의 연결부재(330)들을 연결시킨다. 즉 상기 연결부재(330)의 전산볼트(332)에 한 쌍의 너트(334) 중 하나를 끼운 후 상기 전산볼트(332)를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측 프레임(110)에 관통시키고, 다음 나머지 하나의 너트(334)를 상기 전산볼트(332)에 체결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30)에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들의 롤러(320)가 선 조립될 수 있다.
임시 거치단계는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리프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천정으로 수직 양중하여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들에 의해 임시 거치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들에 의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최종 시공 위치인 유효한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을 천정으로 양중할 때에는,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일측 끝단 옆에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천정으로 수직 양중된 후,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의 복수개의 롤러(310)들이 차례대로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의 슬라이딩 레일(310)의 일측 끝단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의 경로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에 인입되어 안착된다. 이때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에 의해 천정에 메달릴 수 있기 때문에 리프트 등이 없어도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에 의해 임시 거치되고, 또한 유효한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의 전산볼트(332)에 체결된 한 쌍의 너트(334)를 풀고 조이면서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수직 거치 길이를 조절한다.
본 거치단계는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유닛(200)들을 시공한다. 즉 도 12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300)들에 의해 유효한 거치 위치에 임시 거치된 상태에서,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유닛(200)들을 상기 슬래브(1)에 고정시키고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측 프레임(110)에 연결한다. 그러면 도 1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유효한 거치 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유닛(200)들 및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300)들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고, 따라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을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시공이 완료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의 시공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리케이션 공법은 시공 준비단계와, 임시 거치단계와, 본 거치단계와, 그리고 임시 거치 해제단계를 포함한다.
도 13의 (a),(b),(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준비단계, 임시 거치단계 및 본 거치단계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이루어지는 바, 중복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임시 거치 해체단계는,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이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유닛(200)들에 의해 최종 거치된 후,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임시 거치인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300)들을 현장에서 해제하는 과정이다.
먼저 본 거치단계 후,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의 연결부재(330)들을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으로부터 해체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330)의 전산볼트(332)에 체결된 한 쌍의 너트(334) 중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측 프레임(110) 하부에 체결된 너트(334)를 체결 해제한다.
다음 상기 슬라이딩 유닛(300)의 슬라이딩 레일(310)로부터 상기 연결부재(330)와 일체로 연결된 롤러(320)들을 해체한다. 즉, 상기 연결부재(330)와 함께 상기 롤러(320)를 상측으로 들어 올려 상기 연결부재(330)의 전산볼트(332)를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상측 프레임(110) 위로 빼고, 상기 롤러(320)를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로부터 인출한다.
다음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을 상기 슬래브(1)로부터 해체한다. 즉 상기 슬라이딩 레일(310)을 슬래브(1)에 고정한 앵커 링 체결을 해제한다.
따라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을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시공이 완료되며, 이때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은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유닛(200)들에 의해서만 천정에 시공되며, 따라서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는 최종적으로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 및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 유닛(200)들로만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공법과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공법은,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시공 현장 상황,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100)의 크기, 무게 등에 따라 선택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슬래브 100; 복합 프레임 유닛
110; 상측 프레임 130; 하측 프레임
150; 측면 프레임 200; 프레임 행거유닛
210; 앵커 볼트 230; 지지부재
300; 슬라이딩 유닛 310; 슬라이딩 레일
320; 롤러 330; 연결부
332; 전산볼트 334; 너트
110; 상측 프레임 130; 하측 프레임
150; 측면 프레임 200; 프레임 행거유닛
210; 앵커 볼트 230; 지지부재
300; 슬라이딩 유닛 310; 슬라이딩 레일
320; 롤러 330; 연결부
332; 전산볼트 334; 너트
Claims (15)
- 삭제
- 거치구조물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시공을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조물은,
일측은 슬래브에 거치되고 타측은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시공되는 설비들로 모듈화된 복합 프레임 유닛이 연결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이 천정으로 양중되어 임시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임시 거치된 복합 프레임 유닛이 유효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 유닛들은,
상기 슬래브에 고정되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경로가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경로를 따라 배열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 상에서 회전되는 복수개의 롤러들; 및
상기 각각의 롤러들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 하측에 양중되는 복합 프레임 유닛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은,
슬래브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들의 슬라이딩 레일을 시공하고, 선 제작된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롤러와 일체화된 연결부재들을 연결하는 준비단계;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천정으로 수직 양중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롤러들을 상기 슬라이딩 레일 상에 안착하여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임시 거치시키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유효한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임시 거치단계;
일측이 상기 슬래브에 고정된 복수개의 프레임 행거유닛들의 타측을 상기 유효한 거치 위치의 복합 프레임 유닛을 결합하여,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유효한 거치 위치에 고정하는 본 거치단계; 및
상기 슬래브 및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유닛들을 해제하여 제거하는 임시 거치 해체단계;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면이 상기 슬래브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그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롤러들이 안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상기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경로는 그 상하 높이가 여유를 갖을 수 있도록 상기 롤러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들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양끝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그 양쪽 끝단이 개방되며, 그 하측면에 상기 연결부재들이 상기 경로를 따라 관통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롤러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경로의 개구부 양쪽에 각각 안착되는 한 쌍의 바퀴와, 상기 한 쌍의 바퀴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바퀴 축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은 상기 경로의 개구부 양 가장자리에 세워진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결부재는 상기 롤러에 고정되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일측을 관통할 수 있는 전산볼트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일측의 상,하부에서 각각 상기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 - 거치구조물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시공을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조물은,
일측은 슬래브에 거치되고 타측은 상기 건축구조물의 천정에 시공되는 설비들로 모듈화된 복합 프레임 유닛이 연결되어,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이 천정으로 양중되어 임시 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임시 거치된 복합 프레임 유닛이 유효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딩 유닛들은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의 수평 이동 경로의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은,
슬래브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들의 슬라이딩 레일을 시공하고, 선 제작된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롤러와 일체화된 연결부재들을 연결하는 준비단계;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천정으로 수직 양중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롤러들을 상기 슬라이딩 레일 상에 안착하여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임시 거치시키며,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유효한 거치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임시 거치단계;
일측이 상기 슬래브에 고정된 복수개의 프레임 행거유닛들의 타측을 상기 유효한 거치 위치의 복합 프레임 유닛을 결합하여,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을 유효한 거치 위치에 고정하는 본 거치단계; 및
상기 슬래브 및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 유닛들을 해제하여 제거하는 임시 거치 해체단계;를 포함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거치 해체단계는,
상기 본 거치단계 후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연결부재들을 상기 복합 프레임 유닛으로부터 해체하는 과정;
상기 슬라이딩 유닛의 슬라이딩 레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와 일체로 연결된 롤러들을 해체하는 과정;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상기 슬래브로부터 해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9646A KR101865792B1 (ko) | 2016-10-07 | 2016-10-07 |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9646A KR101865792B1 (ko) | 2016-10-07 | 2016-10-07 |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8696A KR20180038696A (ko) | 2018-04-17 |
KR101865792B1 true KR101865792B1 (ko) | 2018-07-04 |
Family
ID=6208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9646A KR101865792B1 (ko) | 2016-10-07 | 2016-10-07 |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579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6620B1 (ko) * | 2020-08-31 | 2021-05-26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71945A (ja) * | 1987-01-09 | 1988-07-15 | 田中 武二 | 水平移動式吊り天井 |
JPH0673884A (ja) * | 1992-04-30 | 1994-03-15 | Shimizu Corp | 天井の施工方法 |
KR20090042695A (ko) * | 2007-10-26 | 2009-04-30 | 고경옥 |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
-
2016
- 2016-10-07 KR KR1020160129646A patent/KR10186579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6620B1 (ko) * | 2020-08-31 | 2021-05-26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20220029293A (ko) * | 2020-08-31 | 2022-03-08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20220029294A (ko) * | 2020-08-31 | 2022-03-08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20220029297A (ko) * | 2020-08-31 | 2022-03-08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102413143B1 (ko) | 2020-08-31 | 2022-06-27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102413142B1 (ko) | 2020-08-31 | 2022-06-27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KR102419188B1 (ko) | 2020-08-31 | 2022-07-11 | 성화시스템챤넬(주) | 빔설치용 랙모듈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8696A (ko) | 2018-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0275782A (ja) | モジュール構造物及びプラントの建設工法 | |
KR101865792B1 (ko) | 프리패브리케이션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천정구조, 그 거치구조물 및 공법 | |
JP5512112B2 (ja) | 床構造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 |
JP2013139828A (ja) | 冷媒配管ユニット及び冷媒配管施工方法 | |
JP2019210109A (ja) | 重量物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運搬方法 | |
KR200467252Y1 (ko) | 건물 외부 작업용 케이지 | |
KR102413142B1 (ko) | 빔설치용 랙모듈러 | |
US8347585B2 (en) | Modular seismically restraine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 |
JP5680367B2 (ja) | 揚重装置 | |
CN113123560B (zh) | 一种超大型管井烟囱逐层倒挂式安装结构及施工方法 | |
JP3164750U (ja) | ユニットハウス用空調機一体型パネル | |
KR102387045B1 (ko) | 2단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 |
KR102067152B1 (ko) | H빔 모듈화 액세스 플로어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using 시공방법 | |
JP2023129823A (ja) | 配管ユニット、作業用台車、及び、施工方法 | |
KR20170109973A (ko) |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 |
JP2011241084A (ja) | 壁つなぎ装置及び壁つなぎ装置の取付方法 | |
KR20010060968A (ko) | 슬래브 및 보 동시 구축용 테이블 폼 | |
KR102502713B1 (ko) | 모듈형 외장재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갖는 차륜형 거푸집 작업장치 및 이를 사용한 모듈형 외장재 설치 공정 | |
JP5715792B2 (ja) | 建物ユニットへの天井パネル取付方法 | |
KR102593120B1 (ko) | 무대 설비용 그리드 시스템 | |
JP7301629B2 (ja) | 胴縁および胴縁を有するパネルユニット | |
JP7209413B2 (ja) | 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の構築方法、解体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の滑車支持部材 | |
JPH0826622A (ja) |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の施工方法 | |
JP6541107B2 (ja) | 建物ユニット及びその設置方法 | |
JPH0732764Y2 (ja) | 親綱支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