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177A -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 해체방법 - Google Patents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 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177A
KR20220113177A KR1020210017054A KR20210017054A KR20220113177A KR 20220113177 A KR20220113177 A KR 20220113177A KR 1020210017054 A KR1020210017054 A KR 1020210017054A KR 20210017054 A KR20210017054 A KR 20210017054A KR 20220113177 A KR20220113177 A KR 20220113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ormwork
slab
yoke
disman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수
Original Assignee
박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수 filed Critical 박재수
Priority to KR1020210017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3177A/ko
Publication of KR2022011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6Dropheads supporting the concrete after removal of the shuttering; Connecting means on beams specially adapted for drop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방법 및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벽체거푸집(WP)을 해체한 후에,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들의 조립체(이하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라 한다)가 설치된 상태에서, 벽체거푸집(WP)이 해체된 후에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로서,
걸이부(112)와 몸체부(111) 및 손잡이(113)를 구비한 ’ㄱ‘자 형상의 걸고리(110)와; 상기 걸고리의 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지지대(1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 해체방법{A Device for taking apart Sofit Length}
본 발명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방법 및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다층(多層)구조의 콘트리트 건축물 시공은 벽체 및 슬라브 구축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에, 일부 서포터만을 존치시키고 나머지 해체한 거푸집과 자재들을 상부층으로 인양하여 다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및 거푸집 해체하는 일련의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최근의 건축용 거푸집은 주로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패널들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바, 벽체 거푸집은 시공될 벽체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상하 길이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단위 벽체 패널들을 해당 벽체의 면적을 커버하도록 연속적으로 결합함에 의해 조립되며, 슬라브 거푸집은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서포터와 상기 벽체 거푸집의 상단에 지지되는 빔들 사이에 사각형의 단위 슬라브 패널들이 단일 평면상에 연속되게 배치됨으로써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지지 바닥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거푸집 내로 콘트리트가 타설되어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건축물에서는 바닥면과 천정 사이의 높이(층고)는 작업자의 키를 훨씬 넘기 때문에 슬라브 패널의 해체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연결 조립된 판넬을 분리해서 해체하는 과정에서 분리된 슬라브 패널이 자중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져 내리게 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금속재로 이루어진 패널의 손상과 안전사고의 위험 불가피하게 됨은 물론 바닥면과의 충돌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의 발생으로 인해 공사장은 물론 그 주변의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기존의 건축물 공사에서 적용되는 거푸집 시공 방식에서 제기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84512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에는 거푸집을 통한 벽체와 슬라브 형성용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이 완료된 후에 거푸집을 해체함에 있어서, 슬라브패널을 작업자가 사다리 없이 해체할 수 있는 높이까지 천정으로부터 하강시키도록 슬라브 패널 지지용 빔 구조를 개선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의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은 기존의 거푸집에서 지적되어 왔던 제반 문제점이 일거에 해소되고 또한 슬라브 거푸집의 해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슬라브거푸집 패널의 손상이 최소화된 가운데 안정적인 해체작업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에 기인하여 관련 업계에서는 소위 "드롭 시공공법"으로 명명된 가운데 친환경적인 거푸집 시공법으로서 아파트를 비롯한 고층 건축물의 건축시에 이를 이용한 시공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드롭 시공공법'의 활성화 경향에 따라서 동 공법과 관련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 그러한 몇가지 예로서 특허등록 제10-1127008호(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에는 벽체패널 상단의 슬라브 모서리브라켓(천장과 벽체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의 소핏조립체(SOFFIT LENGTH ASSEMBLY)) 상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슬라브 패널 지지빔이 타이로드를 따라 하강하는 과정에서 슬라브 패널도 함께 하강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며,
특허등록 제10-1491074호(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에는 슬라브패널이 지지되는 멍에를 슬라브 모서리브라켓(소핏렝스)으로부터 분리시시킴에 따라 슬라브 패널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가운데 서포터를 따라 하향 이동하도록 거푸집 해체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10-1514395호(이하 '종래기술4'라 한다)에는 서포터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브래킷에 의해서 빔의 중앙부가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빔의 양단은 슬라브 모서리브라켓(소핏렝스)에 의해 링크 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슬라브 패널의 해체시에 서포터에 장착된 브래킷이 서포터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하는 과정에서 슬라브 빔과 이에 지지되는 슬라브 패널이 함께 하강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의 "드롭 시공공법" 관련 기술은 종전에 비해서 작업성이나 환경적인 측면을 비롯한 구조의 간편성 등에서 훨씬 향상된 면모를 드러내고 있긴 하나, 거푸집의 해체 과정에서 슬라브 패널과 이를 지지하는 빔(멍에빔)이 서포터를 타고 하강하도록 유도하는 구성이 간단치만은 않을 뿐 아니라 충격발생이 없는 완만한 하강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도 1은 종래의 드롭 시공공법에 따른 거푸집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기존의 "드롭 시공공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본 구성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거푸집(WP)과, 슬라브거푸집(SP), 상기 벽체거푸집(WP)과 슬라브거푸집(SP)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구비되는 소핏조립체(10)와, 상기 슬라브거푸집을 지지하는 멍에빔(20)과, 해체후에도 존치되어 슬라브를 지지하는 프롭헤드(30)와, 상기 상기 프롭헤드를 지지하는 존치서포터(60)와, 슬라브거푸집과 함께 하강하는 멍에빔의 하강높이를 제한하는 드롭스토퍼(70)가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 1에는 명확히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상기 소핏조립체에 결합되어 멍에빔(20)의 단부를 지지하는 SL브라켓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상, 벽체거푸집(WP)과 슬라브거푸집(SP)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서 직선으로 배치되는 소핏렝스를 'SL빔'이라 칭하고, 두 벽체거푸집(WP)과 슬라브거푸집(SP)이 만나는 코너부에 설치되는 소핏렝스를 'SL인코너'라 칭하고, 상기 SL빔과 SL인코너를 통칭하여 '소핏조립체' 또는 'SL'이라 칭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롭 시공공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존의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벽체거푸집(WP)과 슬라브거푸집(SP)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구비되는 소핏조립체의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도 2는 종래 소핏조립체를 적용하여 슬라브거푸집과 멍에빔들이 설치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거푸집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벽체거푸집은 생략되었음)로서, SL인코너는 물론 SL빔의 양 단부가 '수직 단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벽체거푸집을 따라 어느 한 위치의 시작점에서 순차적으로 SL(SL빔 또는 SL인코너)를 연결 설치해 나가면, 설치 끝점과 설치 시작점이 서로 만나는 곳에서는 마지막 SL빔을 억지로 끼워넣어 양쪽 단부가 인접 SL(SL빔 또는 SL인코너)의 단면에 정확하게 밀착되어 연결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현장 실무에서는 미세한 치수오차가 발생되기도 하고, 나아가 치수가 정확하다고 하더라도, 설치해야 할 마지막 SL빔의 일단은 인접한 SL(SL빔 또는 SL인코너)의 끝단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지막 SL빔의 타단과 설치 시작점에 위치한 SL(SL빔 또는 SL인코너) 단부를 서로 맞대기이음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수직 단면 형상으로 된 양쪽 단부를 최대한 밀어내면서 틈새간격을 확보하지 않으면 양쪽 단면이 서로 정확한 위치로 밀착되지 않게 된다.
게다가, SL인코너는 평면도 기준으로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슬라브거푸집과 두 벽체거푸집들 사이에 끼인 상태가 되므로, 전후좌우의 모든 방향에서 해체할 여유공간이 확보되지 못하기 때문에, 슬라브거푸집(SP)과 벽체거푸집(WP)을 연결하는 소핏조립체를 해체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드롭 시공공법"에서는 소핏조립체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들(20)의 조립체'를 하강(드롭다운)시키는 공정이 먼저 이루어진다.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는 동안에는 상기 멍에빔들의 끝단과 상기 소핏조립체를 견고하게 결합하고, 이후 해체작업을 위해서는 상기 멍에빔들이 존치중인 소핏조립체와의 간섭 없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화된 연결구조물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연결구조물을 소핏조립체에 결합하고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 해체작업도 필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건설자재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성이 더뎌지게 되어 공사기간이 증가되거나, 작업과정에서의 안전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
또다른 사례로서, 끝단 멍에빔을 지지하기 위한 돌출턱(14)을 구비한 소핏조립체가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드롭 시공공법은,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전에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들(20)의 조립체를 먼저 해체해야 하기 때문에, 공지 기술들에서는 돌출턱(14)을 구비한 소핏조립체를 사용할 수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 멍에빔(20B)을 SL빔에 지지시키지 않고, 끝단 멍에빔(20B)을 소핏조립체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임시서포터(65)로써 끝단 멍에빔(20B)의 단부를 지지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시공에서는 임시서포터 설치수량이 대폭 늘어나므로 자재비는 물론 작업량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임시서포터들이 벽체거푸집의 해체작업과정에서 장애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해체작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등록특허 제10-1679346호(이하 '종래기술4'라 한다)에는 끝단 멍에빔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재'(종래기술4의 도 9, 도 22, 도 25 참조)를 소핏조립체에 장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4의 경우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전에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들(20)의 조립체'를 먼저 해체해야 하므로, 상기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들(20)의 조립체'를 하강(해체)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거치부재'를 먼저 제거해야 하는 선행작업이 번거로울 수밖에 없다.
그리고, 거푸집 설치 후에 콘크리트 타설 및 거푸집 해체, 그리고 해체된 거푸집을 상부층으로 인양하여 재설치하는 일련의 반복적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의 역순(逆順)으로 해체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해체된 자재들이 해체 순서대로 상부층으로 인양된다면, 하부층의 해체작업과 병행하여 상부층의 거푸집 설치작업이 동시 진행될 수 있으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기존의 드롭 시공공법은, 슬라브패널과 멍에빔들이 다수의 체결핀들에 의해 서로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조립체(이하에서는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라 칭한다. 이하 같다)를 제일 먼저 해체(하강)하고, 그 다음 단계로 벽체거푸집(WP)과 소핏조립체를 해체하는 순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부층의 건설자재가 해체되는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부층에서의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가 없다.
따라서, 하부층의 거푸집 해체작업과 병행하여 상부층의 거푸집 설치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고, 해체된 건설자재의 임시 적재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건설자재들의 임차(대여)기간이 늘어나 결국에는 공사비 증가요인으로 작용한다.
KR 10-2150274 B KR 10-0484512 B KR 10-1127008 B KR 10-1491074 B KR 10-1514395 B KR 10-1679346 B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벽체거푸집(WP)만을 먼저 해체한 후에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는 존치된 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다음으로 해체하고,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들이 다수의 체결핀들에 의해 서로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조립체(이하에서는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라 칭한다. 이하 같다)를 하강기를 이용하여 서서히 하강시켜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벽체거푸집(WP)만 해체되고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는 존치된 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새로운 목적의 공구를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본원 발명의 발명자가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20-0125972호(출원일자: 2020년 9월 28일)를 더욱 개선한 것으로서,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조립체의 설치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더욱 안전하고 원할하게 수행하고, 임시서포터의 설치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라브시공용 거푸집조립체의 해체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200)는,
벽체거푸집(WP)을 해체한 후에,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들의 조립체(이하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라 한다)가 설치된 상태에서, 벽체거푸집(WP)이 해체된 후에,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로서,
걸이부(212)와 몸체부(211) 및 손잡이(213)를 구비한 ’ㄱ‘자 형상의 걸고리(210)와;
상기 걸고리의 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지지대(2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40)의 돌출 길이(L)는, 상기 걸이부(212)가 SL빔의 하부프레임(12)에 걸쳐진 때에 상기 지지대(240)의 끝단(241)이 상기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의 하부면에 밀착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240)는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부재(230)가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나사방식으로 상기 지지대(240)의 돌출 길이(L)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200)를 이용하여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조립체를 ㅎ해체하는 방법은,
상기 벽체거푸집(WP) 해체하는 벽체 해체단계와;
상기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조립체들이 다수의 체결핀들에 의해 서로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조립체(이하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라 한다)가 그대로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구의 걸이부(112)를 상기 소핏조립체의 하부프레임 위에 걸치고, 상기 지지대(140)의 끝단(141)을 상기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의 하부면에 밀착시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13)를 젖힘으로써, 상기 소핏조립체의 어느 한 단위구성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면서 하부방향으로 빼내어 해체하는 소핏조립체 해체단계와;
소핏조립체가 해체된 후, 하강기를 상기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강기의 해체지지빔(85)을 상승시켜 상기 멍에빔조립체들의 하부면에 밀착시키는 하강기 설치단계와;
멍에빔(20)과 프롭헤드(30)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슬라브거푸집(SP)과 필러빔조립체를 상기 하강기의 해체지지빔(85) 위에 안착시키는 드롭 준비단계와;
상기 하강기를 하강시켜, 상기 슬라브거푸집(SP)과 필러빔조립체를 해체작업이 가능한 높이까지 낮추는 하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조립체, 프롭헤드(30)와 존치서포터(60)들이 전부 설치된 그 상태에서, 벽체거푸집(WP) 해체 후에 소핏조립체의 해체가 가능해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목적, 즉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의 조립체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하강기를 이용해 완만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드롭 시공공법에서 문제점으로 제기되어 오던 '충격소음'(즉,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가 일정 높이만큼 하강될 때에 스토퍼에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 및 이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도면을 통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를 이용하면, 벽체거푸집(WP)을 먼저 해체되고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는 존치된 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구에 의해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가 존치된 상태에서 소핏조립체의 해체가 가능해지므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를 설치할 때에 끝단 멍에빔(20B) 단부의 걸림턱(24)을 상기 소핏조립체의 돌출턱(14)으로 지지할 수 있어, 멍에빔조립체를 지지하는 임시서포터의 설치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벽체거푸집(WP)과 소핏조립체를 먼저 해체한 후에 하강기를 이용하여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완만하게 하강시키는 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하부층에서 해체되는 거푸집 자재를 해체 순서대로 상부층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부층의 거푸집 설치작업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드롭 시공공법에 따른 거푸집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소핏조립체를 적용하여 설치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거푸집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벽체거푸집은 생략되었음)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의 작용관계를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를 적용하여 설치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거푸집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벽체거푸집은 생략되었음)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의 특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일측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소핏조립체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경사SL빔(10D)(10E)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의 [A]와 [B]는 끝단 멍에빔(20B)과 SL빔(10)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벽체거푸집을 해체한 후에, 소핏조립체의 해체를 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벽체거푸집과 소핏조립체를 해체한 이후에,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하강시키기 위해 하강기를 투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투입된 하강기의 해체지지빔(85)을 상승시켜 멍에빔조립체의 하부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멍에빔조립체의 조인트바를 지지하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바지지핀(610)을 제거하여,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가 프롭헤드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드롭다운 준비단계 설명도
도 14는 하강기를 작동시켜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드롭스토퍼까지 하강시킨 후, 다음 장소로 하강기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은 도 14의 측면도
도 16은 드롭스토퍼에 지지되어 있는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해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롭 시공공법에 적용되는 하강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7의 [A]는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7의 [B]는 이동 또는 보관을 위해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하는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의 시공/해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와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200)는, 벽체거푸집(WP)을 해체한 후에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들의 조립체(이하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라 한다)가 설치된 상태에서, 벽체거푸집(WP)이 해체된 후에,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로서,
걸이부(212)와 몸체부(211) 및 손잡이(213)를 구비한 ’ㄱ‘자 형상의 걸고리(210)와; 상기 걸고리의 몸체부(211)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213)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지지대(2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4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대(240A)(240B)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를 잡고 젖힐 때에 상기 지지대의 끝단이 슬라브거푸집의 하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지지대(240A)(240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를 한 쌍(240A)(240B)으로 구성할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지지대(240A)(240B)는 상기 몸체부(21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의 작용관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하고자 하는 SL빔의 중간위치(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위치)에서 하부프레임(12) 위에 걸고리(210)의 걸이부(212)를 걸고, 슬라브거푸집의 하부면(또는 끝단 멍에빔(20B)의 하부면)에 상기 지지대(240)의 끝단(24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의 손잡이(213)를 잡아 젖히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걸이부(212)가 아랫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 힘에 의해 SL빔이 하부방향으로 빠져 내려오게 되므로, 소핏조립체를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상기 지지대(240)의 끝단(241)이 슬라브거푸집의 하부면(또는 끝단 멍에빔(20B)의 하부면)에 밀착, 지지되어야만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의 지렛대 작용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지지대(240)의 돌출 길이(L)는, 상기 걸이부(212)가 SL빔의 하부프레임(12)에 걸쳐진 때에 상기 지지대(240)의 끝단(241)이 상기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의 하부면에 밀착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핏조립체의 높이 치수규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의 상기 지지대(240)의 돌출 길이(L)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는 상기 지지대(240)의 돌출 길이(L)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240)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부재(230)를 상기 몸체부(211)에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240)를 나사방식으로 돌려서 그 돌출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구조의 소핏조립체를 해체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수직한 단면을 갖는 단위 구성요소들의 수직 단면들끼리 서로 밀착되어 설치된 종래의 소핏조립체는, 폐다각형(閉多角形)으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해체 실마리를 만들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종래의 소핏조립체를 해체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의 걸이부(212)를 소핏조립체의 어느 한 구성요소(바람직하게는 SL빔)의 중간위치(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위치)의 하부프레임(12) 위에 걸고, 슬라브거푸집의 하부면(또는 끝단 멍에빔(20B)의 하부면)에 상기 지지대(240)의 끝단(241)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의 손잡이(213)를 잡아 젖히면 해당 SL빔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면서 하부방향으로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벽체거푸집(WP)만 해체되고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는 존치된 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구성의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를 제안함과 아울러,
해체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소핏조립체를 포함한 슬라브시공용 거푸집 조립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는 본원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20-0125972호(출원일자: 2020년 9월 28일)의 구성을 더욱 명확하게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핏조립체를 적용하여 설치 시공이 완료된 상태의 거푸집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벽체거푸집은 생략되었음)이며,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소핏조립체의 특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소핏조립체를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 따른 두 경사SL빔(10D)(10E)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는, SL빔(10)과, SL인코너(110)와, 상기 SL빔(10)과 SL인코너(110)를 연결하는 한 쌍의 경사SL빔(10D)(10E)으로 구성된다.
양 단부가 수직 단면으로 된 다수의 SL빔(10)과 SL인코너(110)에 의해 구성되는 소핏조립체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폐다각형(閉多角形)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브패널과 벽체콘크리트 사이에 긴밀하게 끼여 있기 때문에, 벽체거푸집을 해체한 후에 하부방향으로 젖히면서 빼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는, SL빔(10)과 SL인코너(110)가 맞대어 연결되는 연결면 및 상기 SL빔(10)과 SL빔(10)이 서로 맞대어 연결되는 연결면들 중에서, 수직면에 대해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과 이에 대응되는 대응경사면에 의해 서로 맞대어 연결되는 연결면을 하나 이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SL인코너(110)의 일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SL빔의 대응 단부에, 상기 경사면과 대응 경사면을 각각 형성한 것을 도시한 실시예로서,
상기 SL인코너(110)의 일단면은 하부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113)으로 구성되고, 타단면은 벽체를 성형하기 위한 제2 측면(WS2)이 구비되며,
상기 SL인코너(110)의 경사면에는, 상기 SL인코너(110)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대응경사면(13)을 구비한 경사SL빔(10E)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는, SL인코너(110)의 일단부는 수직 단면으로 형성하고, 어느 한 SL빔의 일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SL빔의 대응 단부에, 상기 경사면과 대응 경사면을 각각 형성한 것을 도시한 실시예로서,
상기 SL빔들과 동일한 수직단면을 가지며, 일단면은 하부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13a)으로 구성되고, 타단면은 수직 단면으로 구성되는 제1 경사SL빔(10D)과,
상기 SL빔들과 동일한 수직단면을 가지며, 일단면은 상기 제1 경사SL빔(10D)의 경사면에 맞대어 결합되는 대응경사면(13b)으로 구성되고, 타단면은 수직단면으로 구성되는 제2 경사SL빔(10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L빔(10)은 벽체거푸집(WP)의 상부 프레임 위에 얹혀서 쐐기핀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SL빔(10)에 형성된 돌출턱에는 슬라브거푸집(SP)이 얹히게 된다. 상기 SL빔(10)은 일정 길이로 된 여러 개의 단위빔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SL빔을 제외한 나머지 단위빔들의 양 단부는 수직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SL인코너(110)는 SL빔(10)의 수평면과 동일한 폭의 수평면을 가지며, 어느 한 벽체와 그에 인접한 벽체와 천장이 동시에 만나는 코너부에 구비된다. 상기 SL인코너(110)는, 슬라브 콘크리트에 접하는 상부면과 벽체 콘크리트에 접하는 제1 측면(WS1)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SL인코너(110)의 일단부는 하부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113)으로 구성되고, 타단부는 인접 벽체 콘크리트에 접하는 제2 측면(WS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측면(WS1)과 제2 측면(WS2)이 이루는 각도는, 인접한 두 벽체가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어느 한 벽체와 그에 인접한 벽체가 이루는 평면도상의 각도(CA)가 직각인 경우에 적용되는 SL인코너(11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경사SL빔(10E)의 일단부는 상기 SL빔(10)에 접하고, 상기 경사SL빔(10E)의 타단부는 상기 SL인코너(110)의 경사면에 접하는 대응경사면(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소핏조립체의 설치과정은 다음과 같다.
SL빔(10)을 벽체거푸집(WP)의 상부 프레임 위에 얹고 쐐기핀으로 체결하면서 상기 벽체거푸집(WP)을 따라 설치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의 벽체가 꺾이면서 만나는 네개의 '코너부' 중에 최소 하나 이상의 코너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SL인코너(110)가 설치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의 특징이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따른 SL인코너(110)가 네개의 '코너부'에 전부 다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SL인코너(110)의 일단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대응경사면을 구비한 경사SL빔(10E)을 상기 SL빔(10)과 SL인코너(110)의 사이에 개재(介在)하여 연결시킨다. 상기 경사SL빔(10E)의 대응경사면은 상부를 향하고 상기 SL인코너(110)의 경사면은 하부를 향하여 형성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L인코너(110)의 경사면이 상기 경사SL빔(10E)의 대응경사면 위에 얹히게 하면서 벽체거푸집(WP)의 상부 프레임 위에 얹고 쐐기핀으로 체결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SL인코너(110)가 설치되지 않는 '코너부'에는, 도 2에 도시된 종래 인코너부재(11)를 설치할 수도 있고, 일단부가 수직판으로 구성된 SL빔(10)으로 코너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멍에빔들(20)과 프롭헤드(30)를 조인트바(40)로 결합하고, 존치서포터(60)로 프롭헤드(30)를 지지하여 설치한다. 멍에빔조립체의 양 단부는 상기 소핏조립체의 돌출턱(14) 위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멍에빔(20)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상기 프롭헤드(30)와 SL빔 사이에 결합되는 멍에빔을 끝단 멍에빔(20B)으로 칭하고, 인접한 두 프롭헤드(30) 사이에 결합되는 멍에빔을 중간 멍에빔(20A)으로 칭하기로 한다. 특별히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그냥 '멍에빔(20)'으로 통칭하며, 중간 멍에빔과 끝단 멍에빔들이 결합된 조립체를 '멍에빔조립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존치시킨 상태에서 벽체거푸집(WP)과 소핏조립체를 먼저 해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 소핏조립체는 끝단 멍에빔(20B)의 단부에 구속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즉, 끝단 멍에빔이 그대로 존치된 상태에서, 상기 끝단 멍에빔(20B)의 단부와의 간섭이 없이 상기 소핏조립체를 아랫방향으로 빼낼 수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끝단 멍에빔(20B)의 단부는 소핏조립체에 단순히 접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끝단 멍에빔의 단부가 소핏조립체에 지지되지 않더라도 상기 임시서포터(65)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그리고, 상기 멍에빔들은 쐐기핀에 의해 슬라브거푸집(SP)과 일체화되고 이렇게 일체화된 슬라브거푸집(SP)은 또 쐐기핀에 의해 상기 소핏조립체에 결합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나, 임시서포터(65)의 설치수량이 늘어남으로 인해 작업시간 및 자재비용 등의 관점에서 매우 불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에서, 도 9의 [B]는 끝단 멍에빔(20B)의 단부에 걸림턱(24)을 형성하여 상기 소핏조립체의 돌출턱(14)에 안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의 [B]와 같이 끝단 멍에빔(20B)이 소핏조립체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는 경우에는 임시서포터(65)로 끝단 멍에빔을 지지하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타설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으므로, 서포터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임시서포터(65)를 생략할 수 있는 이유는 끝단 멍에빔(20B)을 소핏조립체의 돌출턱(14)이 지지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이런 지지구조(소핏조립체의 돌출턱(14)으로 끝단 멍에빔(20B)을 지지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없었던 이유는,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는 존치된 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선해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이 갖고 있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에, 종국적으로는 임시서포터(65)의 설치수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조립체를 해체하는 과정을 도 10 내지 도 1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존치시킨 상태에서 벽체거푸집(WP)과 소핏조립체를 먼저 해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도 10은 벽체거푸집을 해체한 후에, 소핏조립체의 해체를 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일 먼저 벽체거푸집(WP) 해체하는 벽체 해체단계가 수행되며,
그 다음으로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조립체, 그리고 프롭헤드를 그대로 존키시킨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핏조립체에서 경사SL빔(10E)을 먼저 해체한 후에 나머지 소핏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을 순차적으로 해체하는 소핏조립체 해체단계를 거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체용 공구로 경사SL빔(10E)를 젖히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L인코너(110)의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경사SL빔(10E)의 대응경사면이 이격되면서 해체가 시작된다. 상기 경사면 및 대응경사면의 경사각도는, 경사SL빔(10E)을 아래방향으로 젖힐 때에 인접한 SL빔의 단부와 간섭하지 않는 정도의 각도로 구성하면 충분하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 경사SL빔(10D) 또는 제2 경사SL빔(10E) 중에서 아랫방향으로 젖힐 수 있는 경사SL빔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200)로 경사SL빔(10E)를 젖히면 해체가 가능하다.
상기 경사SL빔 경사면의 경사각은, 타단부의 수직단면 하단부를 중심점으로 하여 아래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일단부에 인접한 경사SL의 경사면과 간섭되지 않는 정도의 각도로서, 수직면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45° 내외로 형성하면 충분하다.
상기 경사SL빔(10E)을 하부방향으로 젖혀 소핏조립체의 해체 실마리가 만들어지고 나면, 나머지 SL빔 및 SL인코너(110)들은 순차적으로 손쉽게 해체가 가능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소핏조립체는 상기 멍에빔조립체의 단부에 전혀 구속되지 않으므로,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가 존치된 상태에서 소핏조립체의 해체가 가능하다.
도 11은 벽체거푸집(WP)과 소핏조립체를 해체한 이후에,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하강시키기 위해 하강기를 투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상기 멍에빔조립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강기의 해체지지빔(85)이 배치되도록 하강기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의 하부로 하강기(80)를 진입시킨 후, 상기 하강기의 해체지지빔(85)이 상기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의 하부면에 밀착될 때까지 상기 하강기를 상승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멍에빔(20)들과 프롭헤드(30) 및 조인트바(4)를 일체로 결합되게 지지하던 조인트바지지핀(610)을 해체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바지지핀(610)을 제거하여,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슬라브거푸집과 멍에빔들과 조인트바의 조립체를 지칭함. 이하 같다.)'를 프롭헤드(3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드롭다운 준비단계 설명도로서, 상기 조인트바지지핀(610)을 뽑아 제거하면,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프롭헤드(3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조인트바지지핀(610)이 제거되면, 상기 프롭헤드(30)만을 남기고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하강시킬 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태는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가 상기 하강기의 해체지지빔(85)에 의해 지탱되는 상태이다.
다음 단계로서,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도 14는 하강기를 작동시켜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드롭스토퍼까지 하강시킨 후, 다음 장소로 하강기를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기를 작동시켜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서서히 하강시켜, 상기 드롭스토퍼(70) 위에 살며시 안착시킨다.
상기 드롭스토퍼(70)에 안착된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20) 조립체의 해체작업은 종래 드롭 시공공법에서의 작업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16은 드롭스토퍼(70)에 안착 지지되어 있는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20) 조립체를 해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현장 상황에 따라서는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드롭스토퍼(70) 위에 안착시키지 않고 하강기에 얹혀진 상태에서 해체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드롭스토퍼(70) 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해체작업을 수행하면 하강기(80)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롭 시공공법에 적용되는 하강기(8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7의 [A]는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7의 [B]는 이동 또는 보관을 위해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기능을 구비하는 상기 하강기(80)는 펼치고 접을 수 있는 고정발(81)과 지지암(82)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암(82)에는 신축 가능한 해체지지빔(85)이 구비된다. 상기 해체지지빔(85)은 평행하게 배치된 여러 멍에빔조립체 전체를 한꺼번에 받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핏조립체를 구비한 슬라브거푸집 조립체는, 벽체거푸집(WP)과 소핏조립체를 먼저 해체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하부층에서 해체되는 거푸집 자재들을 해체순서대로 상부층으로 이동시켜 '자재들의 일시적인 사용정지(적재)' 없이, 곧장 상부층의 거푸집 설치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나아가, 벽체거푸집(WP)과 소핏조립체를 먼저 해체한 후에, 하강기를 이용하여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를 완만하게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소음발생이 전혀 없이 드롭 시공공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P: 슬라브거푸집 WP: 벽체거푸집
10: SL빔 10D, 10E: 경사SL
110: SL인코너
20: 멍에빔
30: 프롭헤드 60: 존치서포터
65: 임시서포터 70: 드롭스토퍼
80: 하강기
200: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

Claims (5)

  1. 벽체거푸집(WP)을 해체한 후에,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들의 조립체(이하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라 한다)가 설치된 상태에서, 벽체거푸집(WP)이 해체된 후에,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로서,
    걸이부(112)와 몸체부(111) 및 손잡이(113)를 구비한 ’ㄱ‘자 형상의 걸고리(110)와;
    상기 걸고리의 몸체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지지대(1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40)의 돌출 길이(L)는, 상기 걸이부(112)가 소핏조립체의 하부프레임(12)에 걸쳐진 때에 상기 지지대(140)의 끝단(141)이 상기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의 하부면에 밀착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4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부재(130)를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대(140)의 돌출 길이(L)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핏조립체 해체용 공구.
  5. 벽체를 성형하는 벽체거푸집(WP)과; 슬라브를 성형하는 슬라브거푸집(SP)과;
    상기 슬라브거푸집(SP)의 일측을 지지하는 돌출턱(14)을 구비하며, 상기 벽체거푸집(WP) 상단에 결합되어 벽체와 슬라브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을 성형하는 소핏조립체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멍에빔(20A)과, 상기 중간멍에빔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고 끝단은 상기 소핏조립체의 돌출턱(14)에 얹히는 끝단 멍에빔(20B)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브거푸집(SP)을 지지하는 멍에빔조립체와;
    상기한 중간 멍에빔들(20A)의 사이 또는 어느 한 중간 멍에빔과 끝단 멍에빔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조립체를 지지하는 프롭헤드(30)와;
    상기 프롭헤드(30)를 지지하는 존치서포터들(60);로 이루어지는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조립체를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에 해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벽체거푸집(WP) 해체하는 벽체 해체단계와;
    상기 슬라브거푸집(SP)과 멍에빔조립체들이 다수의 체결핀들에 의해 서로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조립체(이하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라 한다)가 그대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1항 내지 제 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구의 걸이부(112)를 상기 소핏조립체의 하부프레임 위에 걸치고, 상기 지지대(140)의 끝단(141)을 상기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의 하부면에 밀착시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13)를 젖힘으로써, 상기 소핏조립체의 어느 한 단위구성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면서 하부방향으로 빼내어 해체하는 소핏조립체 해체단계와;
    소핏조립체가 해체된 후, 하강기를 상기 ‘슬라브-멍에 거푸집조립체’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하강기의 해체지지빔(85)을 상승시켜 상기 멍에빔조립체들의 하부면에 밀착시키는 하강기 설치단계와;
    멍에빔(20)과 프롭헤드(30)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슬라브거푸집(SP)과 필러빔조립체를 상기 하강기의 해체지지빔(85) 위에 안착시키는 드롭 준비단계와;
    상기 하강기를 하강시켜, 상기 슬라브거푸집(SP)과 필러빔조립체를 해체작업이 가능한 높이까지 낮추는 하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조립체의 해체 방법.
KR1020210017054A 2021-02-05 2021-02-05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 해체방법 KR20220113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54A KR20220113177A (ko) 2021-02-05 2021-02-05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 해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054A KR20220113177A (ko) 2021-02-05 2021-02-05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 해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177A true KR20220113177A (ko) 2022-08-12

Family

ID=8280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054A KR20220113177A (ko) 2021-02-05 2021-02-05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 해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3177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12B1 (ko)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491074B1 (ko) 2014-07-16 2015-02-23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KR101514395B1 (ko) 2013-12-30 2015-04-23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1679346B1 (ko) 2015-08-27 2016-11-24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슬라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가설 구조 및 방법
KR102150274B1 (ko) 2018-03-28 2020-10-27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12B1 (ko) 2002-11-12 2005-04-20 (주)거혁건설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KR101127008B1 (ko) 2010-05-24 2012-03-26 금강공업 주식회사 슬라브패널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514395B1 (ko) 2013-12-30 2015-04-23 주식회사 주신산업개발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1491074B1 (ko) 2014-07-16 2015-02-23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KR101679346B1 (ko) 2015-08-27 2016-11-24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슬라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가설 구조 및 방법
KR102150274B1 (ko) 2018-03-28 2020-10-27 백희정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274B1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948307B1 (ko) 건물 외벽 시공방법
EP2759658A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horizontal castings to provide floor slabs
KR102446381B1 (ko) 슬라브 시공용 소핏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의 해체방법
JP4329535B2 (ja) 張出し床版用移動作業車
CN110259087B (zh) 脚手架支撑结构及脚手架支撑系统
KR20220113177A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의 설치상태에서 소핏조립체를 해체하기 위한 공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조립체 해체방법
JP2009057198A (ja) エレベータかご、エレベータかごの組立方法、および揚重治具
JP3179138U (ja) 脚頭部施工用足場支保工
KR102294219B1 (ko)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JP6509096B2 (ja) 張出架設方法
KR100816493B1 (ko) 수직터널 콘크리트 주벽 성형용 슬립폼과 그 콘크리트 주벽시공방법
KR102311766B1 (ko) 슬라브패널 지지용 빔 조립체를 이용한 슬라브패널 설치구조 및 이의 드롭시공방법
JP5169604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床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2021116153A (ja) タワークレーン用支持構台及びこれを用いたクライミング方法
JP4101232B2 (ja) 昇降可能な仮設足場を用いた建設物の施工方法
KR20100042377A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JP3111854B2 (ja) 建築物構築用ジャンピング足場の昇降ガイド機構
KR101636407B1 (ko) 벽돌 현가 시공용 매립브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적방법
JP7245472B2 (ja) 飛散防止システムおよび既存建物の解体方法
KR102643245B1 (ko) 알폼 슬라브 해체용 공구
KR20240077575A (ko) 알폼 슬라브 해체용 공구
JP3413760B2 (ja) 乗客コンベアの据付装置
KR102075043B1 (ko) 가설부재 세움이
KR102614750B1 (ko) 건축용 슬라브 패널 빔 지지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