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7592A -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및 그 조정법 - Google Patents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및 그 조정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7592A
KR20110127592A KR1020110031243A KR20110031243A KR20110127592A KR 20110127592 A KR20110127592 A KR 20110127592A KR 1020110031243 A KR1020110031243 A KR 1020110031243A KR 20110031243 A KR20110031243 A KR 20110031243A KR 20110127592 A KR20110127592 A KR 20110127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ar material
scraper
discharge
inner cylind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1263B1 (ko
Inventor
오사무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Publication of KR2011012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6Skip or hopper conveyors
    • B65G2812/0672Loading or unloading sk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분립체 원료의 공급 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립체 공급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머신 프레임(1)의 공통 직립 중심선(c) 상에 고정된 분립체 원료 투입용 상하단 개구 원형 내통의 외측에 원환형 간극(통로)(8)을 통해 외통(7)을 고정하고, 상기 외통(7)의 하단에 미끄럼 접촉하는 수평 회전 테이블(4)과 상기 내통(6)의 하단 사이에, 원료 유출 간극(t)을 개설하며, 상기 외통(7)에 배출구(10)를 형성하고, 상기 내통(6)으로부터 상기 원환형 간극(통로)(8)을 거쳐 상기 배출구(10)를 향하는 배출 스크레이퍼(1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분립체 공급기로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원환형 간극에서의 상기 회전 테이블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안내되는 분립체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Description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및 그 조정법{APPARATUS FOR ADJUSTING SUPPLY AMOUNT OF POWDER AND GARNULAR MATERIAL IN POWDER AND GARNULAR MATERIAL SUPPLY MACHIN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분립체 원료 등을 정량 공급할 수 있는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및 그 조정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머신 프레임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직립 회동축을 설치하며, 상기 회동축의 상단부에 수평 회전 테이블을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에 직립 원통을 세워 설치하며, 직립 원통의 상단에 도넛형 수평 원판의 외주를 접속하고, 상기 수평 원판의 내주에 분립체 원료 투입용 내통을 고정하며, 상기 내통의 하단과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 사이에 재료 배출 간극을 마련하고, 상기 직립 원통의 내측에 외통을 고정하며, 상기 외통의 하단을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내외통 사이에 분립체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양단부를 내통의 내면에 고정한 안내 스크레이퍼를 설치하며, 상기 통로의 외측에 면한 하향 공급구(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에 상기 공급구(배출구)를 향하는 배출 스크레이퍼를 설치하였다.(특허문헌 1).
또한 상기 고정 안내 스크레이퍼의 중앙 상부에 수평 회전 테이블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 날개를 설치하고, 수평 회전 테이블에 고결(固結) 분체 해쇄용 돌기를 설치하였다(특허문헌 1).
상기 분립체 통로 안의 수평 회전 테이블상에는 내통 내부로부터 재료 배출 간극을 거쳐 분립 원료(β)가 안식각(α)을 형성하여, 내외통 사이의 분립체 통로 안으로 정량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통로 안의 분립 원료는 상기 회전 테이블에 의해 회동하고, 배출 스크레이퍼에 의해 하향 공급구(배출구)에 정량 공급되었다.
그러나, 상기 분립체 통로에, 상기 하향 공급구(배출구)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상류측 내통의 외면을 향해 상기 통로를 비스듬히 지나 배출 스크레이퍼를 고정하여 설치했기 때문에, 상기 통로로부터 상기 공급구에 진입하는 분립체의 정량 투입에는 적합하지만, 투입량을 변경 및 조정하기 위해서는, 직립 회동축 및 수평 회전 테이블의 회전 속도를 변경 조정해야 하고, 또한 분립체 통로의 확장이나, 상기 내외통 및 회전 테이블 직경의 확대 축소 등의 장치를 근본적으로 개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278784호 공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분립체 원료의 공급 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립체 공급기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및 그 조정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발명은, 머신 프레임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직립 회동축을 설치하며, 상기 회동축의 상단부에 수평 회전 테이블을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에 직립 원통을 세워 설치하며, 직립 원통의 상단에 도넛형 수평 원판의 외주를 접속하고, 상기 수평 원판의 내주에 내통을 설치하며, 상기 내통의 하단과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 사이에 재료 배출 간극을 마련하고, 상기 직립 원통의 내측에 외통을 설치하며, 외통의 하단을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내외통 사이에 분립체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양단부를 내통의 내면에 고정한 안내 스크레이퍼를 설치하며, 상기 통로에 면한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의 하류측에 상기 분립체 통로를 진행하는 분립체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유도면을 갖는 배출 스크레이퍼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로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는, 상기 내통의 외면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배출구의 하류측에 걸쳐 상기 유도면이 상기 분립체 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도면에 의해 상기 배출구측에 유도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의 변경은, 예컨대 배출 스크레이퍼의 개방 각도(경사 각도)의 조정(예컨대 도 1, 도 3, 도 10, 도 11),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하 높이의 조정(예컨대 도 5, 도 6, 도 7, 도 8), 배출 스크레이퍼의 길이 방향으로의 미끄럼 이동(예컨대 도 9, 도 12)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출 스크레이퍼에 있어서의 상기 유도면 위치의 변경에 의해 배출구로 안내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의 변경을,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전부 또는 일부의 높이 수준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행하는 것인 상기 제1 발명 기재의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예컨대 배출 스크레이퍼의 높이를 상승시키고 그 하측 가장자리를 분립체 통로 상면보다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배출구로 유도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예컨대 도 5, 도 6, 도 7, 도 8).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일부란, 예컨대 도 7, 도 8에 있어서의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를 말한다.
제3 발명은,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상기 내통의 하단에 절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의 변경을,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선단부를 상기 절결부로부터 상기 내통 내외로 출입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것인 상기 제1 발명 기재의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예컨대 배출 스크레이퍼의 선단부를 상기 내통의 내부에 침입시킴으로써, 배출구로 유도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예컨대 도 1, 도 3, 도 9, 도 10, 도 11, 도 12). 이 경우에는,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전부를 이동시켜 그 선단부(10")를 상기 내통의 내외로 출입시켜도 좋고(도 1, 도 3, 도 9, 도 10 참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만을 별체로 하고, 이 선단부를 이동시켜 이 선단부만을 상기 내통의 내외로 출입시켜도 좋다(도 11, 도 12 참조).
제4 발명은,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의 변경을,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를 길이 방향으로 정역(正逆)으로 미끄럼 이동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것인 상기 제1 또는 제3 발명 기재의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예컨대 배출 스크레이퍼를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그 단부를 내통의 내부에 침입시킴으로써, 배출구로 유도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예컨대 도 9, 도 12). 이 경우에는,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전부를 이동시켜 그 선단부(10")를 상기 내통의 내외로 출입시켜도 좋고(도 9 참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만을 별체로 하고, 이 선단부를 이동시켜 이 선단부만을 상기 내통의 내외로 출입시켜도 좋다(도 12 참조).
제5 발명은,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의 변경을,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분립체 통로에서의 경사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행하는 것인 상기 제1 또는 제3 발명 기재의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예컨대 배출 스크레이퍼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상기 분립체의 배출구로의 통로 간극을 좁게 하여 분립체의 공급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예컨대 도 1, 도 3, 도 10, 도 11). 이 경우에는, 위와 마찬가지로,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전부를 이동시켜 그 선단부(10")를 상기 내통의 내외로 출입시켜도 좋고(도 1, 도 3, 도 10 참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만을 별체로 하고, 이 선단부를 이동시켜 이 선단부만을 상기 내통의 내외로 출입시켜도 좋다(도 11 참조).
제6 발명은, 머신 프레임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직립 회동축을 설치하며, 상기 회동축의 상단부에 수평 회전 테이블을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에 직립 원통을 세워 설치하며, 직립 원통의 상단에 도넛형 수평 원판의 외주를 접속하고, 상기 수평 원판의 내주에 내통을 설치하며, 상기 내통의 하단과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 사이에 재료 배출 간극을 마련하고, 상기 직립 원통의 내측에 외통을 설치하며, 외통의 하단을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내외통 사이에 분립체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양단부를 내통의 내면에 고정한 안내 스크레이퍼를 설치하며, 상기 통로에 면한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의 하류측에 상기 분립체 통로를 진행하는 분립체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유도면을 갖는 배출 스크레이퍼를 설치하며, 상기 유도면에 의해 상기 분립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도 안내하는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법으로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는, 상기 내통 외면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배출구의 하류측에 걸쳐 상기 유도면이 상기 분립체 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도면에 의해 상기 배출구측으로 유도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법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의 변경은, 예컨대 배출 스크레이퍼의 경사 각도의 조정 동작,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하 높이의 조정 동작, 배출 스크레이퍼의 길이 방향으로의 미끄럼 이동 동작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법에 의하면, 배출 스크레이퍼의 동작 조정만으로 배출구로 안내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출 스크레이퍼의 동작, 양태를 변경하여 그 유도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수평 회전 테이블의 회전 속도의 조정, 유량 조정링에 의한 조정 등을 행하지 않고, 배출 스크레이퍼의 조정만으로 간이하게 분립체의 배출구로부터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리더에 의해 회동 조절 가능한 배출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정면도.
도 3은 수동으로 회동 조절이 가능한 배출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상기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선 B-B를 따라 취한 정면도.
도 5는 수동으로 승강 가능한 배출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상기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선 C-C를 따라 취한 정면도.
도 7은 수동으로 일부 승강 조정이 가능한 배출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상기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선 D-D를 따라 취한 정면도.
도 9는 원료 안내 스크레이퍼의 선단부가 내통 하측 가장자리 절결부로부터 내통 내부로 미끄럼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위와 같은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의 평면도.
도 10은 배출 스크레이퍼의 선단부를 내통 하측 가장자리 절결부로부터 내통 내부에 회동한 상태의 위와 같은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배출 스크레이퍼의 선단부만을 내통 하측 가장자리 절결부로부터 내통 내부로 회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위와 같은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의 평면도.
도 12는 배출 스크레이퍼의 선단부만을 내통 하측 가장자리 절결부로부터 내통 내부로 미끄럼 이동 조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위와 같은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선 E-E를 따라 취한 정면도.
도 14는 종래의 분립체 공급기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선 F-F를 따라 취한 정면도.
도 16은 도 9의 선 G-G를 따라 취한 정면도.
도 17은 도 10의 선 I-I를 따라 취한 정면도.
도 18은 도 11의 선 J-J를 따라 취한 정면도.
도 19는 도 12의 선 K-K를 따라 취한 정면도.
우선,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종래의 수평 회전 테이블을 갖는 분립체 공급기(디스크 피더)를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머신 프레임(1)에 베이스 플레이트(2)을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의 하면에, 중심축선(c)상에 직립 회동축(3)을 갖는 원동기(3')를 설치하며, 직립 회동축(3)의 상단에 수평 회전 테이블(4)을 설치하고, 그 외주 하면의 지지구(2')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외주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미끄럼 접촉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 상의 상기 지지구(2')측의 외측 돌출부에 도 14,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곽 원통(직립 원통)(5)의 하단을 지지하고, 상기 외곽 원통(5)의 상단에 원환형 수평 격판(도넛형 수평 원판)(5')의 외주를 접속하며, 상기 수평 격판(5')의 내주에 분립체 원료 투입용 상하단 개구 원형 내통(내통)(6)의 중간 정도 외주를 접속하고, 상기 내통(6)의 하단과 상기 수평 회전 테이블(4)의 상면 사이에 분립 원료 유출 간극(재료 배출 간극)(t)을 개설(開設)한다.
그리고, 상기 외곽 원통(직립 원통)(5)의 내주(내측)에는 고정구(5")에 의해 원형 외통(7)을 접속하고, 상기 원형 외통(7)의 하단을 상기 회전 테이블(4)의 상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촉시키며(미끄럼 접촉시키며), 상기 상하단 개구 내통(6)과의 사이에 원환형 간극(분립체 통로)(8)을 마련하여, 상기 간극(8)과 상기 분립체 원료 유출 간극(t)을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원환형 간극(8)을 분립체 원료의 환상 유통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곽 원통(5) 및 원형 외통(7)에 개구부(7')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7')의 외측에 コ형 직립판(10a)를 설치하여, 상기 개구부(7')의 외측[상기 통로(8)의 외주측]에 면한 하향의 배출구(10)를 개구 형성하며, 상기 외통(7)과 상기 내통(6) 사이의 상기 간극(통로)(8)을 지나 상기 개구부(7') 및 コ형 직립판(10a)에 의한 배출구(10)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상류측의 상기 내통(6)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향하는 배출 스크레이퍼(10')를 설치한다(도 14). 도면 부호 9는 안내 스크레이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립체 공급기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및 조정법은, 도 14, 도 15에 도시하는 종래의 수평 회전 테이블을 갖는 분립체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를 각종 양태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립체 공급기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및 분립체 공급기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법을 설명한다.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베이스부를,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구(10)의 일측부(하류측 단부)에 피봇 지지된 직립 회동축(11)에 설치하고, 선단부(10")를 상기 내통(6)의 하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결부(6')로부터 상기 내통(6)의 내부에 삽입하며, 상기 간극(분립체 통로)(8) 및 상기 내통(6) 안을 화살표 a 방향(진행 방향)으로 회동하는 분립체 원료를, 상기 스크레이퍼(10')의 유도면(10b)[분립체의 진행 방향(a)에 대향하는 면], 선단부(10")에 의해 배출구(10)측에 연속적으로 유도 안내하고, 상기 분립체를 상기 배출구(10)로부터 아래쪽으로 낙하시키며, 상기 배출구(10)의 아래쪽에 설치한 정량 컨베이어(도시 생략)를 거쳐 원하는 장치(도시 생략)에 정량 공급할 수 있다. 도 1, 도 2 중 도면 부호 12는 상기 회동축(11)의 동작 아암이고, 13은 동작용 유압 실린더이다. 상기 절결부(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7')에 대응하도록 내통(6)의 둘레 방향의 일정 범위에 마련되어 있고, 이 절결부(6')로부터 상기 선단부(10")가 출입 가능하게 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 도 4에서는 수동으로 회동 조절이 가능한 배출 스크레이퍼(10'), 유도면(10b) 및 그 선단부(10")를 도시하고, 도면 부호 14는 회동축(11)의 동작 아암이고, 15는 파지 막대이다. 또한 도 1,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출 스크레이퍼(10', 10")를, 상기 실린더(13)의 구동 또는 수동에 의해, 실선 위치로부터 가상선 위치로 화살표 d, e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무단계로 회동하여 배출구(10)의 개구부(7')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스크레이퍼(10')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유도면(10b)에 접촉하면서 상기 배출구(10)측으로 유도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도 1∼도 4의 배출 스크레이퍼(10')는 그 내면(10b')이 상기 외통(7)의 내주면과 동일한 곡률의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완전 폐쇄시(도 1, 도 3의 이점쇄선 참조)는 상기 내면(10b')이 상기 외통(7)의 내주면과 동일면이 되어 분립체의 유통을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도 4의 배출 스크레이퍼(10')는, 그 유도면(10b)에 의해 상기 원환형 간극(8)(분립체 통로)을 진행하는 분립체를 상기 배출구(10)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내통(6) 외면의 상류측(L1)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0)의 하류측(L2)에 걸쳐 상기 간극(8)을 상기 배출구(10)측에 경사 상태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분립체의 상기 간극(8)에서의 배출 간극(H)을,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상기 분립체 통로에서의 경사 각도(θ)에 의해 조절 가능하게 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경사 각도(θ)는,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완전 폐쇄 위치(도 1의 이점쇄선 위치)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도 1의 실선 위치)를 향한 각도이다.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를 예컨대 도 1의 위치 X에 고정했다고 하면, 배출 간극(H)으로부터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유도면(10b)에 의해 배출구(10)측으로 유도 안내되는 분립체와, 상기 유도면(10b)에 의해 유도되지 않고 배출 스크레이퍼(10')의 내면(10b')측을 통과하는 분립체로 분리할 수 있어,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상기 경사 각도(θ)를 증감 조정함으로써 배출구로 유도할 수 있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는 상기 경사 각도(θ)를 증감하는 방향(화살표 d, e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간극(8)에서의 분립체의 배출 간극(H)을 증감하고, 상기 분립체의 배출구(10)로부터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상기 개방 각도(경사 각도)(θ)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를 상기 절결부(6')로부터 상기 내통(6)의 내부에 침입시킴으로써, 상기 내통(6) 내부에 위치하는 분립체도 상기 배출구(10)로 유도할 수 있어, 상기 분립체의 공급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 도 6은 수동 승강 가능한 사각판형의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를 도시하고, 도면 부호 16은 상기 스크레이퍼(10')에 설치한 직립 볼트이고, 17은 원환형 수평 격판(5')에 설치되며, 상기 볼트(16)를 나사 삽입하는 암나사로서, 상기 스크레이퍼(10')를 도 6의 파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승강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간극(통로)(8) 안에서 상기 회전 테이블(4)과 상기 스크레이퍼(10') 사이를 개구하고, 통로(8) 안의 분립체의 유통량을 조정하여, 상기 배출구(10)에 유도되는 분립체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 도 6의 장치에서는, 상기 내통(6)의 절결부(6')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배출 스크레이퍼(10')는, 상기 원환형 간극(8)(분립체 통로)을 진행하는 분립체를 유도면(10b)에 의해 배출구(10)측으로 안내하는 것이고, 상기 유도면(10b)은, 상기 간극(8)의 분립체를 상기 배출구(10)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내통(6) 외면의 상류측(L1)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0)의 하류측(L2)에 걸쳐 상기 간극(8)을 상기 배출구(10)측에 경사 상태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위치를 파선 위치[배출 스크레이퍼(10')의 하측 가장자리(10c)가 회전 테이블(4)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배출 스크레이퍼(10')의 하측 가장자리(10c)가 회전 테이블(4)의 상면으로부터 상승하고, 상기 하측 가장자리(10c)와 상기 상면 사이에 간극(S)이 생기는 위치]로 상승시키면, 상기 간극(S)을 통해 배출구(10)로 유도되지 않는 분립체, 즉 상기 유도면(10b)에 의해 막히지 않고 배출 스크레이퍼(10')를 통과하는 분립체가 생기기 때문에, 분립체의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 도 8에서는,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에 이 배출 스크레이버(10')와는 별체의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소형의 사각판형]를 마련하고, 이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상기 선단부(10")만 승강 조정하고, 상승시킨 선단부(10")의 하측 가장자리(10c')와 상기 테이블(4) 사이의 간극(S)으로 분립체를 통과시켜,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 도 8의 장치에서는, 상기 내통(6)의 절결부(6')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7, 도 8에 있어서, 도면 부호 16은 상기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에 마련된 직립 볼트이고, 17은 원환형 수평 격판(5')에 설치되고, 상기 직립 볼트(16)를 나사 삽입하는 수나사로서, 상기 선단부(10")를 도 8의 파선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로 상승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간극(통로; 8) 안에서 상기 회전 테이블(4)과 상기 선단부(10") 사이를 개구하고, 통로(8) 내의 분립체의 유통량을 조정하여, 상기 배출구(10)로 유도되는 분립체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7, 8의 배출 스크레이퍼(10')는, 상기 원환형 간극(8)(분립체 통로)을 진행하는 분립체를 유도면(10b, 10b)에 의해 상기 배출구(10)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내통(6) 외면의 상류측(L1)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0)의 하류측(L2)에 걸쳐 상기 간극(8)을 상기 배출구(10)측에 경사 상태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이 구성에서는, 도 5, 도 6과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선단부)(10")의 위치를 파선 위치[배출 스크레이퍼(선단부; 10")의 하측 가장자리(10c')가 회전 테이블(4)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로부터 실선 위치[배출 스크레이퍼(선단부; 10")의 하측 가장자리(10c')가 회전 테이블(4)의 상면으로부터 상승하고, 상기 하측 가장자리(10c')와 상기 상면 사이에 간극(S)이 생기는 위치]로 상승시키면, 상기 간극(S)을 통해 배출구(10)로 유도되지 않는 분립체, 즉 상기 유도면(10b)에 의해 막히지 않고 배출 스크레이퍼(10')를 통과하는 분립체가 생기기 때문에, 분립체의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도 5의 사례와 달리, 승강 조정 범위가 단지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일부[선단부(10")]이기 때문에, 분립체의 공급량의 미세 조정이 가능해진다.
도 9에서는, 사각판형의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를 화살표 b 방향(길이 방향)으로 체결 나사(18)를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안내 가이드(19) 안을 정역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선단부(10")를 내통(6)의 하측 가장자리 절결부(6') 내외에 배치할 수 있다(도 9의 G-G 선을 따라 취한 정면도인 도 16 참조). 또한 도 10에서는, 직립 회동축(11)을 중심으로 사각판형의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를 회동 조정하고, 내통(6) 안의 분립체를 내통(6)의 하측 가장자리 절결부(6')로부터 상기 간극(8) 안으로 유도하거나, 또는 선단부(10")를 상기 간극(8)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10) 안으로의 원료 분립체의 유입 공급량을 증감 조정할 수 있다(도 10의 선 I-I를 따라 취한 정면도인 도 17 참조). 또한, 도 9, 도 10의 장치에서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내통(6)의 둘레 방향의 일정 범위에 절결부(6')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출 스크레이퍼(10')는, 상기 원환형 간극(8)(분립체 통로)을 진행하는 분립체를 유도면(10b)에 의해 상기 배출구(10)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내통(6) 외면의 상류측(L1)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0)의 하류측(L2)에 걸쳐 상기 간극(8)을 상기 배출구(10)측에 경사 상태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의 구성에서는(도 16 참조),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를 그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조정함으로써, 그 선단부(10")를 내통(6)의 내부에 침입시킴으로써, 내통(6) 안의 분립체도 유도면(10b)에 의해 배출구(10)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져, 분립체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도 17 참조)의 사례도 마찬가지로, 배출 스크레이퍼(10')를 그 직립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그 개방 각도(경사 각도)(θ)를 증가시켜, 선단부(10")를 상기 내통(6) 안에 진입시킴으로써, 내통(6) 안의 분립체도 유도면(10b)에 의해 배출구(10)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져, 분립체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를 내통(6) 안에 침입시킴으로써, 내통(6) 안에 위치하는 분립체도 상기 유도면(10b)에 의해 상기 간극(8)으로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10)로 유도할 수 있는 분립체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각도(θ)는, 도 10의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가 내통(6)의 외주에 위치하는 실선 위치로부터 그 선단부(10")가 내통(6)의 내측으로 들어간 파선 위치에 대한 각도이다.
도 11, 도 12, 도 13에서는 사각판형의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에 이 배출 스크레이퍼(10')와는 별체의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 소형의 사각판형)를 마련하고,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만을 상기 하측 가장자리 절결부(6')로부터 내통(6) 내외로 회동 또는 미끄럼 이동시켜, 내통(6) 안의 분립체를 유도면(10b)에 의해 상기 간극(8) 안으로 유도하거나, 또는 간극(8) 안의 분립체의 일부를 상기 배출구(10)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도 11의 선 J-J를 따라 취한 정면도인 도 18, 도 12의 선 K-K를 따라 취한 정면도인 도 19를 참조). 이들 도 11, 도 12의 장치에서는, 도 18,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내통(6)의 둘레 방향의 일정 범위에 절결부(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2, 도 13, 도 19 중 도면 부호 18'은 선단부(10")를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 나사이고, 18"은 체결 나사(18') 체결용 긴 구멍이며, 상기 선단부(10")는 상기 긴 구멍(18")의 범위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도 11∼도 13의 구성의 배출 스크레이퍼(10')도 기본적으로는, 상기 원환형 간극(8)(분립체 통로)을 진행하는 분립체를 유도면(10b)에 의해 상기 배출구(10)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내통(6) 외면의 상류측(L1)으로부터 상기 배출구(10)의 하류측(L2)에 걸쳐 상기 간극(8)을 상기 배출구(10)측에 경사 상태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만을 회동 또는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의 장치에서는, 직립 회동축(11)을 배출 스크레이퍼(10')의 내통(6)측의 단부에 마련하고, 이 회동축(11)으로부터 상기 절결부(6')를 통하여 내통(6)의 내외로 회동할 수 있는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선단부(10")를 마련하고 있다. 도 12, 도 13의 장치에서는, 상기 체결 나사(18')를 느슨하게 하여, 이 선단부(10")를, 상기 긴 구멍(18")을 따라서 상기 내통(6)의 내외로, 배출 스크레이퍼(10')의 길이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정역으로 미끄럼 이동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정 후에, 상기 체결 나사(18')를 체결하여 선단부(10")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내통(6)의 중심축선(c)상에 고정된 상기 원료 유도 스크레이퍼(안내 스크레이퍼)(9)의 중심부에 직립 회동축(3)의 상단 보스(3")를 돌출시키고, 상기 상단 보스(3")에 4개의 회전 날개(20)를 설치하여, 내통(6) 안의 원료 분립체를 수평 회전 테이블(4)과 함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며, 물론 회동하는 원료 분립체는 내통(6)에 고정된 유도 스크레이퍼(9, 9)를 따라 상기 유출 간극(t)으로부터 원환형 간극(통로)(8) 안에 유도되며, 또한 상기 간극(통로)(8)에 들어가, 수평 회전 테이블(4) 상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한 상기 스크레이퍼(10')에 의해 상기 배출구(10)로부터 조정된 공급량이 머신 밖으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상기 분립체에 대한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유도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수평 회전 테이블(4)의 회전 속도의 조정, 유량 조정링에 의한 조정 등을 하지 않고,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위치 조정만으로 간이하게 분립체의 배출구(10)로부터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립체에 대한 본 발명의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유도면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예컨대 수평 회전 테이블(4)의 회전 속도의 조정, 유량 조정링에 의한 조정 등을 조합시켜, 배출 스크레이퍼(10')만을 조정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폭이 넓게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직립 회전축 및 수평 회전 테이블의 회전 속도의 조정, 상기 내외통의 직경 조정 및 상기 분립체 통로의 폭 및 분립체 원료 유출 간극의 높이 등을 변경 조정할 필요가 없고, 내통(6)의 외주면으로부터 가로 방향 공급구[배출구(10)]를 향하는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양태, 즉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위치 승강, 길이 방향으로의 미끄럼 이동 및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하는 방향 각도 조정, 즉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양태 또는 형태를 변경 조정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분립체 원료의 상기 배출구(10)로부터의 공급량을 증가 또는 감소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크 피더의 근본적 사이즈 변경, 즉 머신 전체의 치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내통(6)의 외측에 형성된 원환형 간극(통로)(8) 안에는 분립 원료(β)가 안식각(α)을 형성하여, 상기 유출 간극(t)으로부터 정량 유입되고(도 6, 도 15) 상기 회전 테이블(4)에 의해 상기 간극(통로)(8) 안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정량 회동하며,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10')의 상기 승강량(도 5∼8), 상기 미끄럼 이동량(도 19) 및 상기 회동량(도 1∼도 4, 도 10)의 조절 또는 조정에 의해 필요량의 원료 분립체를 배출구(10)로부터 정량 배출하고, 다음 공정에 정량 공급할 수 있다.
1: 머신 프레임, 2: 베이스 플레이트, 3 : 직립 회동축, 4: 수평 회전 테이블, 5: 외곽 원통(직립 원통), 5': 원환형 수평 격판(도넛형 수평 원판), c: 공통 직립 중심선(중심축 선), 6: 분립체 원료 투입용 상하단 개구 원형 내통(내통), 6': 절결부, 7: 외통, 8: 원환형 간극(분립체 통로), 9: 안내 스크레이퍼, β 분립 원료, 10: 배출구, 10b: 유도면, 10': 배출 스크레이퍼, 10":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선단부,10a: コ형 직립판, t: 재료 배출 간극, θ: 경사 각도, L1: 상류측, L2: 하류측

Claims (6)

  1. 머신 프레임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직립 회동축을 설치하며, 상기 직립 회동축의 상단부에 수평 회전 테이블을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에 직립 원통을 세워 설치하며, 직립 원통의 상단에 도넛형 수평 원판의 외주를 접속하고, 상기 수평 원판의 내주에 내통을 설치하며, 상기 내통의 하단과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 사이에 재료 배출 간극을 마련하고, 상기 직립 원통의 내측에 외통을 설치하며, 외통의 하단을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내외통 사이에 분립체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양단부를 내통의 내면에 고정한 안내 스크레이퍼를 설치하며, 상기 분립체 통로에 면한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의 하류측에 상기 분립체 통로를 진행하는 분립체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유도면을 갖는 배출 스크레이퍼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로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는, 상기 내통의 외면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배출구의 하류측에 걸쳐 상기 유도면이 상기 분립체 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도면에 의해 상기 배출구측으로 유도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 변경을,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전부 또는 일부의 높이 수준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행하는 것인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대응하는 상기 내통의 하단에 절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 변경을,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선단부를 상기 절결부로부터 상기 내통의 내외로 출입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행하는 것인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 변경을,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를 길이 방향으로 정역(正逆)으로 미끄럼 이동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행하는 것인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 변경을,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분립체 통로에서의 경사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행하는 것인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6. 머신 프레임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직립 회동축을 설치하며, 상기 직립 회동축의 상단부에 수평 회전 테이블을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주에 직립 원통을 세워 설치하며, 직립 원통의 상단에 도넛형 수평 원판의 외주를 접속하고, 상기 수평 원판의 내주에 내통을 설치하며, 상기 내통의 하단과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 사이에 재료 배출 간극을 마련하고, 상기 직립 원통의 내측에 외통을 설치하며, 외통의 하단을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내외통 사이에 분립체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켜 양단부를 내통의 내면에 고정한 안내 스크레이퍼를 설치하며, 상기 분립체 통로에 면한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의 하류측에 상기 분립체 통로를 진행하는 분립체를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유도면을 갖는 배출 스크레이퍼를 설치하며, 상기 유도면에 의해 상기 분립체를 상기 배출구로 유도 안내하는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법으로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는, 상기 내통의 외면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배출구의 하류측에 걸쳐 상기 유도면이 상기 분립체 통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분립체에 대한 상기 배출 스크레이퍼의 상기 유도면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유도면에 의해 상기 배출구측으로 유도되는 분립체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법.
KR1020110031243A 2010-05-19 2011-04-05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및 그 조정법 KR101741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5336 2010-05-19
JP2010115336 2010-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592A true KR20110127592A (ko) 2011-11-25
KR101741263B1 KR101741263B1 (ko) 2017-05-29

Family

ID=4539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243A KR101741263B1 (ko) 2010-05-19 2011-04-05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및 그 조정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74357B2 (ko)
KR (1) KR1017412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983A (ko) * 2012-10-25 2015-05-19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정량 피더
KR20200121352A (ko) * 2018-05-18 2020-10-2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배치 계량 공급장치 및 그 운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7826B2 (ja) * 2012-12-18 2017-05-31 株式会社粉研パウテックス 粉体連続定流量供給機の粉体供給量制御装置
US10675662B2 (en) 2016-03-23 2020-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craper device for disc assembly
CN105775785B (zh) * 2016-04-29 2019-05-17 邢献军 一种用于蓬松物料的进料装置
JP6752461B2 (ja) * 2017-06-13 2020-09-09 水ing株式会社 短繊維状物供給装置
CN107640529A (zh) * 2017-10-26 2018-01-30 中建材衢州金格兰石英有限公司 一种石英砂下料装置及下砂方法
CN107934589B (zh) * 2017-11-10 2024-01-30 王晓杰 面粉供给装置和面粉供给方法
JP7152024B2 (ja) * 2019-04-24 2022-10-12 株式会社冨士機 テーブル式原料排出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原料排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3508A (en) * 1938-06-24 1940-09-03 Maurice M Wheldon Feeder for pulverulent material
JPS5541724Y2 (ko) * 1976-05-31 1980-09-30
JP2564256Y2 (ja) * 1993-03-12 1998-03-04 修 吉川 粉粒体フィーダにおけるスクレーパ
JPH11180564A (ja) * 1997-12-25 1999-07-06 Akatake Engineering Kk テーブルフィーダ
JP4278784B2 (ja) * 1999-07-26 2009-06-17 株式会社ヨシカワ 粉粒体用ディスクフィー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983A (ko) * 2012-10-25 2015-05-19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정량 피더
KR20200121352A (ko) * 2018-05-18 2020-10-2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배치 계량 공급장치 및 그 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263B1 (ko) 2017-05-29
JP5774357B2 (ja) 2015-09-09
JP2012001368A (ja)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7592A (ko) 분립체 공급기에서의 분립체 공급량 조정 장치 및 그 조정법
CN101779044B (zh) 泵的改进和与泵有关的改进
WO2014065005A1 (ja) 定量フィーダー
AU2010264523B2 (en) System for controlling coal flow in a coal pulverizer
CN110042388B (zh) 激光熔覆载气式送粉器
CN105849465A (zh) 分散装置
CN108889549A (zh) 一种带微分流量调节结构的涂覆模头
CN201768680U (zh) 一种改进的筛分机
JPH08196925A (ja) 粒子サイズの異なる材料の破砕方法および破砕装置
JPS61501967A (ja) 遠心分離機用底流制御方法および装置
CN208810447U (zh) 一种带微分流量调节结构的涂覆模头
CN1201987C (zh) 用于将流动性差的散装材料输入至供给线内的装置
JP2018196882A (ja) 脱塵装置用としての半円形の円筒形構成
JP3777654B2 (ja) 炉頂装入装置
CN104703672B (zh) 径向流洗涤器
CN202401481U (zh) 用于松散污染砂土收集的螺旋滚筒铣刨装置
KR20170010265A (ko) 집진 후드
CN101405109B (zh) 一种定量装置
CA1120704A (en) Apparatus for building up and repairing a refractory lining
JP2009062576A (ja)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及び原料装入装置
US6391249B1 (en) Device for producing sponge iron
RU2250144C2 (ru) Метатель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JP5286118B2 (ja) 縮分装置
LU100454B1 (en) Sinter Mixer
UA114182C2 (uk) Пристрій і спосіб для сухої грануляції шлак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