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793A -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793A
KR20110112793A KR1020110082823A KR20110082823A KR20110112793A KR 20110112793 A KR20110112793 A KR 20110112793A KR 1020110082823 A KR1020110082823 A KR 1020110082823A KR 20110082823 A KR20110082823 A KR 20110082823A KR 20110112793 A KR20110112793 A KR 2011011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lement
adapter
cover
side wall
conn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977B1 (ko
Inventor
김인규
남경종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EP11823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13978A4/en
Priority to CA2809292A priority patent/CA2809292A1/en
Priority to CN201180043730.4A priority patent/CN103097209B/zh
Priority to PCT/KR2011/006661 priority patent/WO2012033364A2/en
Priority to JP2013528124A priority patent/JP5674945B2/ja
Priority to US13/819,250 priority patent/US8689389B2/en
Publication of KR2011011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3Multi-purpose connections for two or more kinds of arm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7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in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with means provided on the arm for locking the side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유닛을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유닛은 상판과 후단에 오목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하는 제1 결합요소, 상판과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하는 제2 결합요소 및 사이드핀과 클립아암을 구비하는 제3 결합요소 중 하나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에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한다. 연결유닛은 브라켓과 어댑터를 구비한다. 브라켓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피봇축을 가진다. 어댑터는 피봇축에 의해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어댑터는 어댑터를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고정하는 제1 내지 제3 고정장치를 구비한다. 연결유닛의 어댑터에 의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여러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실드에 사용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와이퍼 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연결유닛을 갖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윈드실드(windshield)의 표면을 닦아내기 위한 와이퍼장치가 설치된다. 와이퍼장치는 와이퍼 모터와,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와이퍼 아암은 기단에서 와이퍼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와이퍼 모터에 의해 왕복회동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아암의 말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퍼 아암에 의해 윈드실드의 표면에 위치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아암의 왕복회동에 의해 윈드실드의 표면을 슬라이드하면서 윈드실드의 표면을 닦아낸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기다란 와이퍼스트립과, 와이퍼스트립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유지하고 지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프레임은 메인 요크에 복수개의 서브요크가 연접되어 있는 조립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레임을 가진 와이퍼 블레이드는 당해 분야에 컨벤셔널 와이퍼 블레이드로 알려져 있다. 최근,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으로서, 소정 곡률로 휘어져 있고 얇고 기다란 바 형태의 하나의 프레임을 사용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당해 분야에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flat wiper blade) 또는 플랫바 와이퍼 블레이드(flat-bar wiper blade)로 알려져 있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컨벤셔널 와이퍼 블레이드에 비해 높이가 낮고 적은 공기 저항을 받고 균일한 하중으로 와이퍼스트립을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프레임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연결유닛이 와이퍼 아암의 말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고 있다. 와이퍼 아암 메이커들마다 자사의 고유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용 와이퍼 아암을 시판하고 있다. 또한, 그에 대응하여 와이퍼 아암 메이커들 또는 와이퍼장치 메이커들마다 각종 플랫 와이퍼 아암에 적합한 연결유닛을 시판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용 와이퍼 아암과 이들의 각각에 적합하게 구성된 연결유닛이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용 와이퍼 아암들을 예시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와이퍼 아암은 그 말단부가 수용부와 수용부의 후단에 형성된 오목부와 수용부의 선단에 돌출된 텅을 구비하고 있으며, “탑로크(top lock) 와이퍼 아암” 또는 “핀치탭(pinch tab) 와이퍼 아암”으로 알려져 있다. 하기 특허문헌1 과 특허문헌2는 탑로크 와이퍼 아암과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합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의하면, 연결유닛은 텅(13, 13')을 일측에 걸고 타측에서 오목부(14a, 14b, 14a', 14b')에 스냅결합되는 방식으로 와이퍼 아암(1, 1')에 연결된다.
도 3에 예시한 와이퍼 아암은 그 말단부가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베이어닛(bayonet) 와이퍼 아암”으로 알려져 있다. 하기 특허문헌3은 베이어닛 와이퍼 아암과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합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문헌의 의하면, 연결유닛이 베이어닛 와이퍼 아암(2)의 말단부의 삽입공간 내로 끼워맞춤되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이 서로 연결된다.
도 4에 예시한 와이퍼 아암은 와이퍼 아암의 말단부에 와이퍼 아암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돌출한 사이드핀(side pin)과 클립아암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이드로크(side lock) 와이퍼 아암”, “사이드핀(side pin) 와이퍼 아암”, “슬라이드핀(slide pin) 와이퍼 아암”으로 알려져 있다. 하기 특허문헌4는 사이드로크 와이퍼 아암과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합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의하면, 사이드핀(31)을 연결유닛의 관형 요소에 관통시키고 클립아암(32)을 연결유닛에 스내결합시킴으로써, 연결유닛과 와이퍼 아암이 서로 연결된다.
공개특허 제10-2005-0085129호 공보 (2005.8.29) 공개특허 제10-2005-0007446호 공보 (2005.1.18) 등록특허 제10-725988호 공보 (2007.6.8) 공개특허 10-2008-0059225호 공보 (2008.6.26)
도 1 내지 도 4에 예시한 와이퍼 아암들(1, 1', 2, 3)은 각 와이퍼 아암의 말단부의 형상에 적합하게 구성된 연결유닛을 사용해야만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 설치되는 연결유닛이 와이퍼 아암의 말단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준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주어진 형태의 와이퍼 아암에 특정되는 전용의 연결유닛들이 준비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연결유닛을 생산하는 메이커로서는, 와이퍼 아암별로 적합한 다양한 연결유닛을 설계하고 개발하여야 하므로, 연결유닛을 구성하는 부품들의 수가 많아지고 그에 따라 개발 및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제조원가 및 물류비용이 과대해진다. 아울러,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의 자동차에 설치된 와이퍼 아암의 말단부의 형상에만 적용되는 연결유닛을 선택해야 하므로, 연결유닛의 선택시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과 특허문헌2에 기술된 종래기술의 연결유닛의 경우, 와이퍼 아암(1, 1')의 오목부(14a, 14b, 14a', 14b')에 기다랗고 탄성변형가능한 바 형태의 부품으로 스냅결합하고 있는데, 이러한 바 형태의 부품은 그 구조상 오목부와의 물림이 헐거워질 수 있다. 즉, 와이퍼 아암(1, 1')이 구동하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가 왕복회동할 때, 와이퍼 아암(1, 1')에 의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는 그 길이방향에 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만, 바형태의 부품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쪽으로 탄성변형되어 정확한 물림이 이루어지지 않고 유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퍼 아암(1, 1')을 장시간 사용하면 그러한 유격이 점점 커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아암(1, 1')에서 탈락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상기 바 형태의 부품은 연결유닛의 후방으로 돌출해 있으므로, 운반 및 조립시에 상기 바 형태의 부품이 꺾여져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4에 기술된 종래기술의 연결유닛의 경우, 연결유닛이 사이드핀(51)에 대하여 원활하게 피봇하지 못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가 자동차의 윈드실드의 표면에에 접촉하여 이동될 때 윈드실드의 표면의 곡률에 순응하면서 원활하게 피봇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의 연결유닛에서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이 확고하게 결합되지 않거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피봇 운동이 원활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 설치되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여러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 간에 확고한 결합과 원활한 피봇운동을 달성하는 연결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여러 유형의 와이퍼 아암을 확고하고 간단하게 결합시키는 연결유닛과 연결유닛에 맞물림되는 스포일러를 갖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판과 후단에 오목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하는 제1 결합요소, 상판과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하는 제2 결합요소 및 사이드핀과 클립아암을 구비하는 제3 결합요소 중 하나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에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연결유닛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에 고정되고 피봇축을 가지는 브라켓과, 피봇홀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봇축의 양단부가 상기 피봇홀에 각각 끼워져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는 제1 고정장치, 제2 고정장치 및 제3 고정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고정장치는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측판을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 고정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상판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대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2 고정장치는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측판과 상기 측벽부의 끼워맞춤을 허용하고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측판의 후단을 상기 측벽부에 로킹한다. 상기 제3 고정장치는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사이드핀을 상기 피봇홀을 지나는 축에 평행하게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클립아암을 상기 측벽부에 대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장치는 피봇핀과, 러그와, 커버와, 커버를 로킹하는 커버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피봇핀은 상기 측벽부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오목부에 끼워진다. 상기 러그는 상기 피봇핀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측판의 전단에 접촉가능하다. 상기 커버는 상기 측벽부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고정장치는 상기 커버를 상기 어댑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상판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대하여 로킹한다.
상기 커버고정장치는 상기 커버의 하단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제1 맞물림면을 가지는 로킹노치와, 전단에 상기 제1 맞물림면과 맞물리는 제2 맞물림면을 가지고 상기 측벽부에서 연장하며 가요성을 가지는 래치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가 상기 측벽부로 회동되어 상기 제1 맞물림면과 상기 제2 맞물림면이 맞물리면,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상판을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대하여 고정한다.
상기 로킹노치는 상기 제1 맞물림면에 접하는 누름면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2 맞물림면에 접하는 접촉면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가 상기 어댑터에 회동할 때 상기 누름면과 상기 접촉면이 상호 접촉하여 상기 래치를 상기 측벽부에 대하여 휘게 한다.
상기 래치는 상기 제2 맞물림면에 접하는 제2 스토퍼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로킹노치는 상기 제1 맞물림면에 접하고 상기 제2 스토퍼면과 접촉하는 제1 스토퍼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측판의 하단에 맞닿는 스토퍼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래치는 상기 스토퍼에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안착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상판은 상기 안착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기 측벽부로 회동되어 상기 제1 맞물림면과 상기 제2 맞물림면이 맞물리면,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상판을 상기 안착면에 대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장치는 상기 측벽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측판의 내면에 끼워맞춤되는 슬라이드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결합요소는 상기 측판의 하단에서 돌출한 스토퍼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장치는 상기 슬라이드레일의 전단에서 돌출하고 상기 스토퍼부의 전단에 맞닿는 스토퍼와 상기 측벽부 중 하나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의 후단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래칭레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장치는, 상기 피봇홀을 지나는 축에 평행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사이드핀이 삽입되는 베어링구멍과, 상기 클립아암이 스냅결합하는 상기 측벽부 중 하나의 외면을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측벽부에 상기 피봇홀을 지나는 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일부가 접촉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은 가장자리에 한 쌍의 노치를 가지고, 상기 브라켓은 하단의 대향하는 가장자리의 각각에 한 쌍의 유지클로와 맞물림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는 상기 유지클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노치와 상기 맞물림돌기는 맞물림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여러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스트립과, 상기 와이퍼스트립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하나의 기다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스포일러와, 상기 제1 및 제2 스포일러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전술한 연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스포일러와 상기 연결유닛의 브라켓은 맞물림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여러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연결유닛에 의해 여러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닛과 제1 결합요소는 제1 결합요소의 전방 단부가 커버에 의해 고정되고 후방단부에서 어댑터에 형성된 피봇핀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므로, 연결유닛과 제1 결합요소를 갖춘 와이퍼 아암 사이에 간단하고 확고한 결합이 얻어진다. 또한, 연결유닛이 와이퍼 아암의 구동방향으로 힘이 걸리지 않도록 연결되므로, 와이퍼 아암의 구동중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이 분리될 가능성이 없다. 또한, 어댑터는 피봇축의 양단부가 피봇홀에 끼워맞춤되는 방식으로 브라켓에 장착되므로, 브라켓과 어댑터 사이에 자유로운 피봇운동과 간단하고 신속하게 결합되는 구조가 달성된다. 또한, 연결유닛과 제3 결합요소 사이에는 사이드핀과 피봇축의 2개의 회동축이 존재하여, 양방 간에 안정적인 회동구조가 달성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스포일러가 연결유닛에 맞물림에 의해 결합되어 스포일러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탑로크 와이퍼 아암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탑로크 와이퍼 아암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베이어닛 와이퍼 아암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사이드로크 와이퍼 아암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스포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스포일러의 기단측 단부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제2 스포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스포일러의 기단측 단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브라켓의 상방사시도이다.
도 14는 브라켓의 하방사시도이다.
도 15는 브라켓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브라켓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브라켓과 제1 및 제2 스포일러의 결합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브라켓과 제1 및 제2 스포일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다.
도 19는 어댑터와 커버의 상방사시도이다.
도 20은 어댑터와 커버의 하방사시도이다.
도 21은 어댑터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어댑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23은 어댑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어댑터의 하방사시도이다.
도 25는 커버의 우측면도이다.
도 26은 커버의 하방사시도이다.
도 27은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연결유닛에 의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탑로크 와이퍼 아암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29는 연결유닛에 의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탑로크 와이퍼 아암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30은 연결유닛에 의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탑로크 와이퍼 아암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31은 연결유닛에 의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또 다른 탑로크 와이퍼 아암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32는 연결유닛에 의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또 다른 탑로크 와이퍼 아암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33은 연결유닛에 의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베이어닛 와이퍼 아암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34는 연결유닛에 의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베이어닛 와이퍼 아암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35는 연결유닛에 의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사이드로크 와이퍼 아암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36은 연결유닛에 의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사이드로크 와이퍼 아암의 연결을 예시한다.
도 37은 실시예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사이드로크 와이퍼 아암 사이의 회동 동작을 예시한다.
도 38은 실시예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사이드로크 와이퍼 아암 사이의 회동 동작을 예시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실시예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다양한 와이퍼 아암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유닛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측”,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프레임 바에 대하여 브라켓이 놓인 배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측”, “하방”, “하”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달리 놓일 수도 있으며(예컨대, 180도로 회전되거나 또는 다른 배향으로 회전),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방”, “전”이라는 방향지시어는 와이퍼 아암의 길이방향에서 와이퍼 아암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참조되고, “후방”, “후”라는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방향으로 참조된다.
실시예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여러 유형의 와이퍼 아암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아암들의 말단에 마련되는 다양한 결합요소에 적합한 어댑터를 포함하는 연결유닛을 구비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가 적용되는 와이퍼 아암의 말단에 갖추어진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10, 10', 20, 3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결합요소(10)는 상판(11)과 상판(1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한 쌍의 측판(12a, 12b)을 구비하여, 역 U자형을 형성하고 이들의 내측에 상기 어댑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동을 형성하고 있다. 상판(11)은 그 하면에서 상기 어댑터의 상부에 접촉하게 되고, 측판(12a, 12b)은 상기 어댑터의 측면에 각각 대면하게 된다. 또한, 제1 결합요소(10)는 상판(11)의 전방 단부에서 연장된 텅(13)과, 대체로 측판(12a, 12b)의 후방 단부가 일부 절결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4a, 14b)를 구비한다.
제1 결합요소(10')는 상판(11')에 개구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11a')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또 하나의 텅(15')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4a', 14b')가 대체로 직각으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결합요소(10)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결합요소(10')의 다른 예에서는, 상기 또 하나의 텅(15')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 결합요소(20)는 상판(21)과 상판(2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판(21)에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된 측판(22a, 22b)을 구비하여, 역 U자형을 형성하고 이들의 내측에 상기 어댑터가 끼워지는 삽입공동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결합요소(20)는 각 측판(22a, 22b)의 하단에서 안쪽으로 돌출한 스토퍼부(23a, 23b)를 더 구비한다. 스토퍼부(23a, 23b)는 대체로 측판(22a, 22b)의 중간과 후단에 걸쳐 위치한다.
제3 결합요소(30)는 와이퍼 아암(3)의 말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사이드핀(31)과 사이드핀(31)에 인접하게 사이드핀(31)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클립아암(32)을 구비한다. 클립아암(32)은 스토퍼부(32a)와 스토퍼부(32a)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클립부(32b)를 구비한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유닛은 상이한 구성의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10, 10', 20, 30) 중 하나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1, 1', 2, 3)에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을 위해, 상기 연결유닛은 각기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요소와의 고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장치는 어댑터와 제1 결합요소(10, 10')의 걸림에 의한 고정을 실행한다. 상기 제2 고정장치는 어댑터와 제2 결합요소(20)의 끼워맞춤에 의한 고정을 실행한다. 상기 제3 고정장치는 어댑터와 제3 결합요소(30)의 삽입 및 회동에 의한 고정을 실행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와이퍼스트립(110)과, 와이퍼스트립을 유지하고 지지하는 하나의 기다란 프레임(프레임 바(120))과, 프레임 바(120)에 설치되어 와이퍼스트립(110)과 프레임 바(120)의 조립체를 와이퍼 아암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유닛(200)을 구비한다. 연결유닛(200)은 프레임 바(120)에 고정되는 브라켓(210)과, 브라켓(210)부착된 커버(230)를 구비한다.
와이퍼스트립(110)은 고무 또는 일래스토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퍼스트립(110)은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프레임 바(120) 상에 놓이는 헤드부(111)와,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윈드실드의 표면에 접촉되는 와이퍼립(112)을 가진다. 와이퍼스트립(110)은 헤드부(111)의 아래에 프레임 바(120)와의 결합을 위한 홈(113)을 가진다. 홈(113)은 와이퍼스트립(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프레임 바(120)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프레임으로서 기능한다. 프레임 바(120)는 와이퍼스트립(110)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하고 지지한다. 프레임 바(120)는 얇고 기다란 바의 형상을 가진다. 프레임 바(12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 바(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곡률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레임 바(120)는 대체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 바(12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다란 슬롯(121)을 가진다. 슬롯(121)은 프레임 바(120)의 전단 부근에서 후단 부근까지 연장된다. 프레임 바(120)는 슬롯(121)을 중심으로 제1 반부(122a)와 제2 반부(122b)로 구분된다. 슬롯(121)의 일단에는 삼각형의 삽입구(121a)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바(120)의 중앙 부분을 따라 슬롯(1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프레임 바(120)의 길이방향에서의 양측 가장자리에 안쪽으로 힘을 가하면, 프레임 바(120)의 각 반부(122a, 122b)가 안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바(120)의 중앙 부분에는 각 반부(122a, 122b)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오목한 노치(123)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123)는 연결유닛(200)의 브라켓(210)과의 맞물림에 관여한다. 와이퍼스트립(110)은 그 일단을 삽입구(121a)에 삽입하고 프레임 바(120)의 슬롯(121)을 따라 끼워짐으로써 프레임 바(1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헤드부(111)의 일단을 삽입구(121a)에 삽입하고 홈(113) 사이의 부분을 슬롯(121) 내로 끼워맞춤하여 와이퍼스트립(110)이 프레임 바(120)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퍼스트립(110)이 프레임 바(120)에 고정되면, 프레임 바(120)의 상면에는 와이퍼스트립(110)의 헤드부(111)가 돌출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브라켓(210)의 전방 및 후방에서 프레임 바(120)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스포일러(130)와 제2 스포일러(140)를 가진다.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프레임 바(120)가 스포일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포일러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연결유닛(200)의 브라켓(210)에 맞물림으로 고정된다.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차량의 주행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부딪히는 바람 또는 기류에 반작용하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반력을 생성한다.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고무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연결유닛(200)의 브라켓(210)에 고정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대칭 형상의 베인부(131, 141)를 가진다. 베인부(131, 141)는 각 스포일러(130, 140)의 기단(브라켓(210)에 면하는 단부) 부근에서 말단까지 기다랗게 연장되어 있다. 베인부(131, 141)는 기류가 들어오는 측에 베인부의 내측으로 오목한 요면(131a, 141a)을 가진다. 요면(131a, 141a)은 베인부(131, 141)의 폭방향에서 오목하고 길이방향에서 오목하다. 요면(131a, 141a)은 베인부(131, 141)를 따라 스포일러(130, 140)의 기단 부근에서 말단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요면(131a, 141a)이 베인부의 내측으로 오목하므로, 차량의 주행시 베인부(131, 141)로 들어오는 기류에 의한 반력이 강해져 부상방지의 효과가 증대된다. 또, 베인부(131, 141)는 요면(131a, 141a)의 측방 가장자리(전연(leading edge))에 위치하고 부딪히는 기류와의 반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요홈(131b, 131c, 131d, 141b, 141c, 141d)을 가진다. 요홈(131b, 131c, 131d, 141b, 141c, 141d)은 베인부의 전연을 따라 등간격 또는 소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베인부는 전술한 프로파일과는 다른 프로파일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베인부는 원호형과 같이 유선형으로 만곡된 횡단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횡단면 프로파일은 각 스포일러의 기단으로부터 말단으로 갈수록 축소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프레임 바(120)의 각 반부(122a, 122b)가 삽입되고 끼워지는 한 쌍의 끼워맞춤홈(132, 142)을 가진다. 끼워맞춤홈(132, 142)은 각 스포일러의 기단에서 말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베인부(131, 141)의 아래에서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하단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고 후크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 바(120)와의 끼워맞춤을 위한 한 쌍의 홀더(133, 143)를 가진다. 끼워맞춤홈(132, 142)은 홀더(133, 143)의 스포일러의 내측을 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끼워맞춤홈(132, 142)의 최내측에서 끼워맞춤홈(132, 142)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프레임 바(120)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라운드홈, 챔퍼홈 또는 수용홈(134, 144)을 가진다. 수용홈(134, 144)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횡단면을 가진다. 수용홈(134, 144)의 폭 또는 직경은 끼워맞춤홈(132, 142)의 폭(끼워맞춤홈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수용홈(134, 144)의 라운드된 내면과 프레임 바(120)의 가장자리의 직각 모서리가 접촉되므로, 끼워맞춤홈(132, 142)에 응력 또는 힘의 집중 부위가 없어지게 되어,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끼워맞춤홈(132, 142)의 하면 상에 돌출되어 있고 끼워맞춤홈(132, 142)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압릿지(135, 145)를 가진다. 가압릿지(135, 145)에 의해 끼워맞춤홈(132, 142)은 여러 두께의 프레임 바를 수용할 수 있고, 프레임 바(120)는 끼워맞춤홈(132, 142)에 밀착될 수 있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브라켓(210)과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는 상호 고정을 위한 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요소는 상보적으로 맞물리는 제1 및 제2 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요소는 브라켓(210)에 배치되고 제2 요소는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요소는 제1 스포일러(130)의 기단에 형성되어 있는 래칭클로(136)와 제2 스포일러(140)의 기단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래칭홈(146)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유닛(200)은 와이퍼 스트립(110)과 프레임 바(120)를 포함하는 조립체(또는, 와이퍼스트립(110), 프레임 바(120) 및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여러 유형의 와이퍼 아암(1, 1', 2, 3)에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유닛(200)은 프레임 바(120)에 고정되는 브라켓(210)과, 브라켓(210)에 장착되는 어댑터(220)와, 어댑터(22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와이퍼 아암과의 로킹에 관여하는 커버(230)를 구비한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브라켓(2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브라켓(210)은 어댑터(220)가 장착되는 기초로서 작용하고, 와이퍼 아암의 동작시 프레임 바(120)를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브라켓(210)은 프레임 바(120)의 중간에 배치되며, 예컨대 브라켓(210)의 일부 요소가 프레임 바(120)의 가장자리에 맞물리고 프레임 바(120)의 가장자리부분을 잡는 식으로 프레임 바(120)와 결합된다.
브라켓(210)은 프레임 바(120)를 그 폭방향에서 덮기에 충분한 크기의 홀더(211)와, 홀더(211) 상에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벽부(212a, 212b)와, 지지벽부(212a, 212b)의 상단에 위치하고 일부가 상단 위로 돌출되어 있는 피봇축(213)을 가진다.
홀더(211)는 대체로 포크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프레임 바(120)의 상측에 놓이는 베이스부(211a)와 베이스부(211a)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그부(211b)를 구비한다. 레그부(211b)의 사이의 거리는 프레임 바(120)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다. 베이스부(211a)와 레그부(211b)가 한정하는 공간(211c) 내에 프레임 바(120)가 위치한다. 베이스부(211a)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리세스 또는 홈(211d)이 연장되어 있다. 홈(211d)은 프레임 바(120)의 위로 나오게 되는 와이퍼스트립(110)의 헤드부(111)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브라켓(210)은 각 레그부(211b)의 단부에서 공간(211c)으로 돌출한 맞물림돌기(211e)를 가진다. 맞물림돌기(211e)는 프레임 바(120)에 형성된 노치(12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홀더(211)는 각 레그부(211b)의 가장자리에 맞물림돌기(211e)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각 레그부(211b)에서 공간(211c)으로 돌출한 유지클로(211f)를 가진다. 유지클로(211f)의 상면 위에 프레임 바(120)의 가장자리부분이 놓인다. 유지클로(211f)는 맞물림돌기(211e)를 향하는 측면이 그 반대측 측면의 높이보다 높다. 프레임 바(120)와 브라켓(210)을 서로 조립할 때, 프레임 바(120)의 각 반부(122a, 122b)를 근접시킨 상태에서 프레임 바(120)의 일측의 노치(123)를 먼저 맞물림돌기(211e)에 맞물리고 노치(123) 근방의 부분을 유지클로(211f)와 베이스부(211a) 사이로 밀어넣는다. 그 후, 프레임 바(120)의 타측을 공간(211c)으로 완전히 밀어 넣고 프레임 바(120)의 각 반부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프레임 바(120)의 탄성에 의해 각 반부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프레임 바(120)가 공간(211c) 내에 완전히 위치한다. 프레임 바(120)와 브라켓(210)이 조립되면, 브라켓(210)의 맞물림돌기(211e)와 노치(123)는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프레임 바(120)와 브라켓(210)은 프레임 바(120)의 길이방향에서 고정된다. 또한, 프레임 바(120)와 브라켓(210)이 조립되면, 프레임 바(120)의 각 반부(122a, 122b)는 유지클로(211f)의 상면과 베이스부(211a)의 하면 사이에 약간의 유격을 두고 놓이며, 프레임 바(120)와 브라켓(210)은 프레임 바(1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지지벽부(212a, 212b)는 홀더(211)의 베이스부(211a) 상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벽부(212a, 212b) 사이의 거리는 베이스부(211a)의 폭보다 작다. 또한, 지지벽부(212a, 212b)는 그 후단 가장자리가 홀더(211)의 후단 가장자리와 이어지고 그 전단 가장자리가 홀더(211)의 전단 가장자리와 이어지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즉, 브라켓(210)을 측면에서 보아서, 홀더(211)와 지지벽부(212a, 212b)의 후단 가장자리는 직선으로 연속되지만, 지지벽부(212a, 212b)의 전단 가장자리는 홀더(211)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브라켓(210)은 그 전방 부분이 후방 부분보다 낮도록 구성되어, 어댑터(220)의 전방 부분의 회동 범위를 증대시킨다. 또한, 지지벽부(212a, 212b)의 후단부에는 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212c)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212c)는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피봇축(213)은 지지벽부(212a, 212b)의 상부에 프레임 바(1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있다. 피봇축(213)의 양단부(213a)는 지지벽부(212a, 212b)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한, 피봇축(213)은 그 양단부(213a)에 어댑터(220)가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경사면(213b)을 가진다. 어댑터(220)가 피봇축(213)에 끼워맞춤되어, 어댑터(220)와 브라켓(210)이 결합될 수 있다. 피봇축(213)은 와이퍼 아암(1, 1', 2, 3)에 대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회동중심으로 작용한다.
피봇축(213) 전방의 지지벽부(212a, 212b)의 상단에는 반원형의 노치(2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노치(216)는 제3 결합요소(30)의 사이드핀(31)의 통과를 허용하고, 사이드핀(31)과 지지벽부(212a, 212b) 사이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브라켓(210)은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와의 결합을 위한 상기 제1 요소로서 슬롯과 결합리브를 가진다. 상세하게는, 브라켓(210)은 지지벽부(212a, 212b)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부(211a)의 전단부 부근에 슬롯(214)을 가진다. 슬롯(214)은 프레임 바(1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슬롯(214)에 인접하게 베이스부(211a)의 전단에는 걸림돌기(211g)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라켓(210)은 후단부에서 연결부(212c) 내에 한 쌍의 결합리브(215)를 가진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10)과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의 결합상태에서, 슬롯(214)과 결합리브(215)는 각각 제1 스포일러(130)의 래칭클로(136)와 제2 스포일러(140)의 한 쌍의 래칭홈(146)에 맞물린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포일러(130)의 끼워맞춤홈(132)에 프레임 바(120)를 끼운다. 그러면 제1 스포일러(130)의 기단이 브라켓(210)의 전단에 접촉된다. 제1 스포일러(130)를 브라켓(210) 쪽으로 더 진입시키면, 래칭클로(136)가 슬롯(214)에 끼워지거나 맞물림결합하여 제1 스포일러(130)와 브라켓(210)이 고정된다. 또한, 제2 스포일러(140)의 끼워맞춤홈(142)에 프레임 바(120)를 끼운다. 그러면 제2 스포일러(140)의 기단이 브라켓(210)의 후단에 접촉된다. 제2 스포일러(140)를 브라켓(210) 쪽으로 더 진입시키면, 결합리브(215)가 래칭홈(146)에 끼워지거나 맞물림결합하여 제2 스포일러(140)와 브라켓(210)이 고정된다.
도 19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어댑터(220)와 커버(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댑터(220)는 브라켓(2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어댑터(220)는 한 쌍의 측벽부(221)와, 측벽부들(221)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제1 및 제2 연결부(222, 223)를 구비한다. 측벽부들(221) 사이에 피봇축(213)을 포함하는 브라켓(210)의 일부가 놓인다.
각 측벽부(221)에는 피봇축(213)의 양단부(213a)가 각각 끼워맞춤되는 피봇홀(224a)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피봇홀(224a)은 각 측벽부(22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봇홀은 각 측벽부(221)의 내면에 측벽부를 관통하지 않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들(221)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브라켓(210)의 지지벽부(212a, 212b)의 외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크다.
제1 연결부(222)는 측벽부(221)의 사이에서 측벽부(221)의 후단에서 대체로 중앙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연결부(222)와 제2 연결부(223)의 사이에는 측벽부(221) 만이 존재하며 제1 결합요소(10, 10')의 텅(13, 13')이 수용된다. 제1 연결부(222)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제1 결합요소(10, 10')의 상판(11, 11')이 놓이고 제3 결합요소(30)의 클립아암(32)이 놓이는 안착면(222a)으로서 작용한다. 안착면(222a)은 측벽부(221)의 상단(221b) 가장자리와 동일 평면으로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부(222)의 상면은 측벽부(221)의 상단(221b) 보다 낮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결합요소(10, 10')의 상판(11, 11')과 제3 결합요소(30)의 클립아암(32)은 측벽부(221)의 상단(221b) 상에 놓이게 된다.
제1 연결부(222)는 하부에 제1 삽입부(222c)와 제2 삽입부(222d)를 가진다. 제1 및 제2 삽입부(222c, 222d)는 브라켓(210)의 지지벽부(212a, 212b) 사이에 피봇축(213)을 사이에 두고 놓여, 어댑터(220)의 피봇축(213)의 축선에 대한 횡방향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22)의 하면에는 제1 및 제2 삽입부(222c, 222d)의 사이에 삽입공동(222b)이 한정되어 있다. 삽입공동(222b)에는 피봇홀(224a)이 통한다. 삽입공동(222b)에 면하는 각 측벽부(221)의 내면에는 하단에서 피봇홀(224a)까지 측벽부(221)의 외측으로 경사진 안내면(224d)이 형성되어 있다.
어댑터(220)가 브라켓(210)에 장착될 때, 피봇축(213)은 그 양단부(213a)의 경사면(213b)에서 측벽부(221)의 하단의 안내면(224d)과 접촉하게 된다. 계속해서 어댑터(220)를 브라켓(210)에 누르면, 측벽부들(221)이 어댑터(220)의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약간 휘어지면서, 피봇축(213)의 양단부(213a)가 안내면(224d)을 따라 피봇홀(224a)에 근접한다. 피봇축(213)의 양단부(213a)가 피봇홀(224a) 내로 완전히 삽입되면 측벽부(221)가 다시 탄성적으로 복귀함으로써, 피봇축(213)의 양단부(213a)와 각 피봇홀(224a)은 끼워맞춤된다. 어댑터(220)가 브라켓(210)에 장착되면, 피봇축(213)의 양단은 측벽부(221)의 외면과 대체로 동일 평면에 놓이거나 그보다 내측에 놓인다.
이와 같이, 어댑터(220)는 브라켓(210)의 위쪽에서 눌러서 스냅결합 및 끼워맞춤에 의해 브라켓(210)에 장착된다. 피봇축(213)이 프레임 바(120)에 직교하게 배치되어 있고 어댑터(220)에는 와이퍼 아암들이 프레임 바(120)에 평행한 방향에서 결합된다. 따라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와이퍼 아암(1, 1', 2, 3)이 연결되어 있을 때, 와이퍼스트립(110), 프레임 바(120) 및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피봇축(21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다. 따라서, 와이퍼 아암(1, 1', 2, 3)에 의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윈드실드의 표면 상에서 이동될 때,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윈드실드 표면의 곡률에 순응하면서 윈드실드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23)는 측벽부(221)의 전단에 위치한다. 제2 연결부(223)의 부근의 각 측벽부(221)에 커버(230)의 회동결합을 위한 끼움구멍(224c)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유닛(200)의 어댑터(220)는 제1 고정장치에 의해 제1 결합요소(10, 10')와 고정된다. 제1 고정장치는 제1 결합요소(10, 10')의 측판(12a, 12b, 12a', 12b')을 어댑터의 측벽부(221)의 외면(221a)에 고정하고 제1 결합요소(10, 10')의 상판(11, 11')의 일부를 측벽부(221)의 상단(221b)(제1 연결부(222)의 안착면(222a))에 대하여 고정한다. 또한, 제1 고정장치는 어댑터(220)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제1 결합요소(10, 10')의 전방 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부품을 어댑터(22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여 제1 결합요소(10, 10')를 측벽부(221)의 상단(221b)에 대하여 로킹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장치는 제1 결합요소(10, 10')의 오목부(14a, 14b, 14a', 14b')에 끼워지는 피봇핀(226a)과, 제1 결합요소(10, 10')의 전방 단부면(측판(12a, 12b, 12a', 12b')의 전단)이 접촉되는 러그(226b)와, 어댑터(220)에 부착되는 커버(230)와, 커버(230)를 어댑터(22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커버고정장치를 포함한다.
피봇핀(226a)은 각 측벽부(221)의 후단에 위치한다. 피봇핀(226a)은 제1 결합요소(10, 10')의 측판(12a, 12b, 12a', 12b')에 형성된 오목부(14a, 14b, 14a', 14b')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봇핀(226a)은 둥근 전단과 대체로 평행한 상하면을 가진다. 피봇핀(226a)의 둥근 전단이 오목부(14a, 14b, 14a', 14b')의 한 중앙의 골부분에 접촉한다. 러그(226b)는 피봇핀(226a)에 대향하여 각 측벽부(221)의 외면 상에 돌출되어 있고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러그(226b)는 어댑터(220)가 제1 결합요소(10, 10')의 수용공동 내로 회동되면 제1 결합요소(10, 10')의 측판(12a, 12b, 12a', 12b')의 전방 단부면과 거의 유격 없이 대면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피봇핀(226a)과 러그(226b) 사이의 거리는 측판(12a, 12b, 12a', 12b')의 오목부(14a, 14b, 14a', 14b')와 측판(12a, 12b, 12a', 12b')의 전단면 사이의 거리와 대체로 같거나 약간 크다.
커버(230)는 각 측벽부(224)에 형성된 피봇홀(224a)을 지나는 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회동하도록 어댑터(220)에 부착된다. 커버(230)는 상기 제1 고정장치의 고정작용에 관여하고 제1 및 제2 결합요소(10, 10', 20)의 말단부 일부와 어댑터(220)의 일부를 덮어 가리도록 기능한다. 커버(230)는 대체로 역 U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측벽부(221)의 상부에 놓이는 상판(231c)과, 측벽부(221)와 각각 대면하는 한 쌍의 측판(231a, 231b)을 가진다. 커버(230)의 일단부, 즉 측판(231a, 231b)의 전방단부에는 커버(230)를 어댑터(2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끼움핀(232)이 커버(230)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끼움핀(232)은 어댑터(220)의 제2 연결부(223) 부근에 형성된 끼움구멍(224c)에 각각 끼움결합된다. 끼움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끼움핀(232)의 하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핀(232)을 측벽부(221)의 전방단부에 접촉시키고 커버(230)를 어댑터(220)의 안쪽으로 눌러서, 커버(230)는 간단하게 어댑터(22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230)는 상기 커버고정장치에 의해 어댑터(22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커버고정장치는 커버(230)에 형성되는 제1 로킹요소와 어댑터(220)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로킹요소와 상보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2 로킹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로킹요소와 제2 로킹요소는 스냅결합 또는 탄성맞물림에 의해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로킹요소는 커버(230)의 후방 하단의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로킹요소는 상기 가장자리와 상보적으로 형성되고 탄성적으로 맞물림결합하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맞물림결합 요소는 어댑터(220)에서 연장하고 가요성을 가져 어댑터(22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고정장치는 커버(230)가 어댑터(220)로 회동될 때 상기 제1 로킹요소와 제2 로킹요소의 결합에 의해 커버(230)를 어댑터(220)에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요소는 커버(230)의 각 측판(231a, 231b)의 후방 하단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로킹노치(234)를 구비한다. 로킹노치(234)는 어댑터(220)를 향해 오목한 V자형을 가진다. 로킹노치(234)는 제1 스토퍼면(234a)과 제1 맞물림면(234b)과 누름면(234c)을 구비한다. 제1 스토퍼면(234a)은 대체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1 맞물림면(234b)은 제1 스토퍼면(234a)에 접하여 제1 스토퍼면(234a)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한다. 제1 스토퍼면(234a)과 제1 맞물림면(234b)은 그 사이에 예각을 형성한다. 누름면(234c)은 제1 맞물림면(234b)에 접하여 측판(231a, 231b)의 하단 안쪽에 위치한다. 누름면(234c)은 측판(231a, 231b)의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로킹요소는 커버(230)가 어댑터(220)로 회동되었을 때 로킹노치(234)에 스냅결합 또는 탄성적으로 결합하도록 측벽부(221)에 각각 제공된 래치(225)를 포함한다. 래치(225)는 각 측벽부(221) 상에 로킹노치(234)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래치(225)는 각 측벽부(221)의 외면에 형성된 스토퍼(228)로부터 측벽부(221)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래치아암(225a)을 가진다. 래치아암(225a)은 각 측벽부(221)의 외면과 이격되어 있다. 래치(225)의 전단 또는 선단은 로킹노치(234)의 오목한 형상에 상보적으로 맞물리는 형상을 가진다. 래치(225)는 그 전단에 로킹노치(234)의 제1 맞물림면(234b)에 맞물리는 제2 맞물림면(225c)과 제2 맞물림면(225c)에 접하고 로킹노치(234)의 제1 스토퍼면(234a)에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제1 스토퍼면(234a)과 접촉되는 제2 스토퍼면(225b)을 가진다. 제2 맞물림면(225c)은 제2 스토퍼면(225b)에 대하여 예각으로 측벽부(221)의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래치(225)의 전단에는 안쪽으로 경사진 접촉면(225d)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225d)은 제2 스토퍼면(225b)과 제2 맞물림면(225c)의 사이에 제2 맞물림면(225c)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킹노치(234)와 래치(225)가 서로 맞물림결합함으로써 커버(230)는 어댑터(220)에 고정된다. 커버(230)를 어댑터(220)로 회동시켜서 측판(231a, 231b)의 하단의 로킹노치(234)의 누름면(234c)이 래치(225)의 접촉면(225d)에 맞닿은 상태에서 더 아래로 회동시키면, 래치(225)의 래치아암(225a)은 그러한 회동에 의한 반작용으로 측벽부(221) 쪽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진다. 즉, 누름면(234c)과 접촉면(225d)이 상호 접촉하여 래치아암(225a)을 휘게 한다. 커버(230)를 더 회동시켜 로킹노치(234)의 제1 스토퍼면(234a)과 제1 맞물림면(234b)이 래치(225)의 전단에 있는 제2 스토퍼면(225b) 및 제2 맞물림면(225c)과 형상적으로 적합되면, 래치아암(225a)이 외측으로 복원하여 로킹노치(234)와 래치(225)가 서로 맞물린다. 이에 따라, 커버(230)가 어댑터(220)에 고정된다. 로킹노치(234)와 래치(225)의 결합 위치는 커버(230)의 상판(231c)의 하면과 측벽부(221)의 상단 사이에 제1 결합요소(10, 10')의 상판(11, 11')의 전방 부분 또는 제2 결합요소(20)의 상판(21)의 전방 부분이 거의 유격 없이 개재되도록 정해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230)가 어댑터(220)로 회동되어 고정되면, 커버(230)의 상판(231c)의 하면 아래에 제1 결합요소(10, 10')의 상판(11, 11')의 전방 부분의 일부가 놓인다. 커버(230)의 후방 부분이 제1 결합요소(10, 10')의 전방부분을 측벽부(221)의 상단(221b)(또는, 제1 연결부(222)의 안착면(222a))에 대하여 고정하여, 어댑터(230)가 제1 결합요소(10, 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측벽부(221)의 외면(221a)에서 돌출하여 전방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로킹노치의 누름면은 커버(230)의 측판의 외면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래치의 접촉면은 측벽부(221)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래치는 커버(230)와 맞물릴 때 측벽부(221)의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 상기 로킹노치는 제1 스토퍼면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고, 상기 래치는 제2 스토퍼면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커버(230)는 끼움핀(232)의 축선에 대한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요소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230)는 각 측판(231a, 231b)의 내면 상에 내측으로 돌출한 복수개의 리브 또는 돌기(235)를 가진다. 커버(230)가 어댑터(220)에 로킹되면, 돌기(235)는 각 측벽부(221)의 외면과 거의 틈이 없이 위치한다. 또한, 커버(230)는 각 측판(231a, 231b)의 후방 가장자리에 어댑터(220)에 마련되는 베어링구멍(224b)에 대응하는 형상의 노치(236)를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230)는 측판(231a)의 후방에 커버(230)의 측방으로 융기된 융기부(233)를 가지며, 융기부(233)에 노치(236)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236)는 커버(230)가 어댑터(220)에 로킹되면 베어링구멍(224b)과 정렬된다.
연결유닛(200)의 어댑터(220)는 제2 고정장치에 의해 제2 결합요소(20)와 고정된다. 제2 고정장치는 제2 결합요소(20)의 측판(22a, 22b)과 측벽부(211)의 끼워맞춤을 허용하고 제2 결합요소(20)의 측판(22a, 22b)의 스토퍼부(23a, 23b)의 후단을 측벽부(211)에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장치는 제2 결합요소(20)의 측판(22a, 22b)의 내면으로 슬라이드하여 내면과 끼워맞춤되는 슬라이드레일(227)과, 스토퍼부(23a, 23b)와 맞닿도록 배치된 스토퍼(228)와, 측판(22b)의 스토퍼부(23b)의 후단면에 탄성적으로 래칭되는 래칭레버(229)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레일(227)은 각 측벽부(221)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드레일(227)은 피봇핀(226a)보다 더 돌출한다. 스토퍼(228)는 슬라이드레일(227)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해 있다. 스토퍼(228)는 제2 결합요소(20)의 측판(22a, 22b)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각각 돌출한 스토퍼부(23a, 23b)의 전단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래칭레버(229)는 측벽부(221)의 후단에서 연장되며, 측벽부(221)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벽부(221)의 후단부는 피봇핀(226a)의 하측 일부가 절결되어 래칭레버(229)에 탄성을 부여한다. 어댑터(220)가 제2 결합요소(20)의 내부로 완전히 끼워지면 래칭레버(229)의 전방 가장자리가 측판(22b)의 스토퍼부(23b)의 후방 단부면에 걸리도록 래칭레버(229)가 위치되어 있다. 어댑터(220)와 제2 결합요소(20)의 분리시에는, 래칭레버(229)를 측벽부(221)의 하측 또는 외측으로 젖혀 래칭레버(229)를 스토퍼부(23b)의 후방단부에서 분리시키면, 어댑터(220)는 제2 결합요소(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연결유닛(200)의 어댑터(220)는 제3 고정장치에 의해 제3 결합요소(30)와 고정된다. 상기 제3 고정장치는 제3 결합요소(30)의 사이드핀(31)을 피봇홀(224a)을 지나는 축에 평행하게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제3 결합요소(30)의 클립아암(32)을 어댑터(220)의 측벽부(221)에 대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3 고정장치는 제3 결합요소(30)의 사이드핀(31)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베어링구멍과, 제3 결합요소(30)의 클립아암(32)이 스냅결합되어 접촉하는 제1 접촉부와, 제3 결합요소(30)의 일부(예컨대, 제3 결합요소(30)에서 사이드핀(31)이 위치하는 측부(31a))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장치의 베어링구멍(224b)은 각 측벽부(221)에 뚫어져 있다. 베어링구멍(224b)은 피봇홀(224a)을 지나는 축에 평행한 다른 축 상에 위치하도록 각 측벽부(221)에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구멍(224b)에는 제3 결합요소(30)의 사이드핀(31)이 회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또한, 베어링구멍(224b)은 피봇홀(224a) 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접촉부는 한 쌍의 측벽부(221) 중 사이드핀(31)이 진입하는 측벽부의 반대측 측벽부(221)의 외면(221a)과 상단(221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촉부는 커버(230)에 형성되는 융기부(233)이다. 융기부(233)의 표면과 측벽부(221)의 외면 사이의 거리는 클립아암(32)이 측벽부(221)의 외면에 스냅결합가능하도록 정해져 있다.
피봇축(213)이 끼움결합하는 피봇홀(224a)을 지나는 축과 사이드핀(31)이 끼움결합하는 베어링구멍(224b)을 지나는 축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제3 고정장치에 의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와 와이퍼 아암(3)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와이퍼스트립(110), 프레임 바(120),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 및 브라켓(210)을 포함하는 조립체는 어댑터(220)에 대하여 피봇축(213)을 중심으로, 즉 피봇홀(224a)을 지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사이드핀(31)이 어댑터(230)에 베어링구멍(224b)을 매개로 결합되므로, 상기 조립체와 어댑터(220)는 와이퍼 아암(3)의 사이드핀(3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즉,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아암(3)의 작동시, 상기 조립체는 피봇축(213)을 중심으로 어댑터(2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고, 상기 조립체와 어댑터(220)는 사이드핀(31)을 중심으로 와이퍼 아암(3)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다. 이와 같이, 연결유닛(200)과 제3 결합요소(30) 사이에는 사이드핀(31)과 피봇축(213)의 2개의 회동축(피봇홀(224a)을 지나는 축과 베어링구멍(224b)을 지나는 축)이 존재하여, 양방 간에 안정적인 회동구조가 달성될 수 있고 와이퍼스트립(110)은 윈드실드 표면의 곡률에 순응하면서 윈드실드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0은 제1 결합요소(10)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1)과 연결유닛(200)의 연결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와이퍼 아암(1)과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의 예시적 연결예를 설명한다.
커버(230)가 어댑터(220)로부터 젖혀진 상태에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20)의 피봇핀(226a)을 대응하는 제1 결합요소(10)의 오목부(14a, 14b)에 끼운다. 피봇핀(226a)이 오목부(14a, 14b)의 골부분에 끼워진 상태에서, 어댑터(220)(어댑터(220)가 장착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피봇핀(226a)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제1 결합요소(10) 쪽으로 회동될 수 있다. 완전히 회동되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13)은 측벽부(221)의 전방부분의 사이에 놓이고, 제1 결합요소(10)의 측판(12a, 12b)의 전방 단부면은 러그(226b)에 접촉하거나 거의 틈이 없이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230)를 어댑터(220)쪽으로 젖혀서, 로킹노치(234)의 제1 스토퍼면(234a)과 래치(225)의 제2 스토퍼면(225b)이 상호 접촉하게 하고, 로킹노치(234)의 제1 맞물림면(234b)과 래치(225)의 제2 맞물림면(225c)이 서로 맞물리게 한다. 그러면, 커버(230)가 어댑터(220)에 로킹되면서 커버(230)의 상판(231c)의 내면의 일부가 제1 결합요소(10)의 상판(11)의 상면에 맞닿아, 제1 결합요소(10)의 상판을 측벽부(221)의 상단(221b)(안착면(222a))에 대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어댑터(220)의 후방단부에서 어댑터(220)가 피봇핀(226a)에 의해 제1 결합요소(10)에 걸리고 전방단부에서 커버(230)가 제1 결합요소(10)를 고정하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가 제1 결합요소(10)를 말단에 구비한 와이퍼 아암(1)에 연결된다.
도 31과 도 32는 또 하나의 제1 결합요소(10')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1')과 연결유닛(200)의 연결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커버(230)가 어댑터(220)로부터 젖혀진 상태에서, 오목부(14a', 14b')에 피봇핀(226a)을 끼운다. 또한, 제2 텅(15')을 제1 연결부(222)의 안착면(222a)의 후단에 건다. 계속해서, 연결유닛(200)이 장착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를 제1 결합요소(10') 쪽으로 회동시켜, 제1 결합요소(10')와 어댑터(220)를 서로 대응하는 부분끼리 접촉시킨다. 그 후, 커버(230)를 다시 어댑터(220) 쪽으로 젖혀서, 어댑터(220)에 고정한다. 제1 결합요소(10')를 구비한 와이퍼 아암(1')은 상술한 제1 결합요소(10)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유닛(200)과 로킹된다.
도 33 및 도 34는 제2 결합요소(20)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2)과 연결유닛(200)의 연결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에 장착된 어댑터(220)를 그 후단으로부터 제2 결합요소(20) 내로 삽입한다. 그러면, 슬라이드레일(227)이 측판(22a, 22b)의 내면에 각각 슬라이드 접촉하면서 어댑터(220)가 제2 결합요소(20) 내로 끼워진다. 스토퍼부(23a, 23b)의 전방 단부면이 스토퍼(228)에 맞닿고, 래칭레버(229)가 측판(22b)의 스토퍼부(23b)의 후방 단부면에 걸리면, 끼워맞춤에 의한 고정이 완료된다. 측판(22b)의 스토퍼부(23b)의 후방 단부면에 래칭레버(229)가 걸리게 되므로, 제2 결합요소(20)와 어댑터(220)의 분리가 방지된다.
도 35및 도 36은 제3 결합요소(30)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3)과 연결유닛(200)의 연결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220)가 장착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를 베어링구멍(224b)에 사이드핀(31)이 삽입되는 식으로 와이퍼 아암(3)에 결합한다. 이러한 삽입은 사이드핀(31)이 위치하는 제3 결합요소(30)의 측부(31a)가 커버(230)의 융기부(233)의 외면에 접촉하면 완료된다. 사이드핀(31)이 베어링구멍(224b)에 끼워진 상태에서 어댑터(220)(또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는 사이드핀(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계속해서, 어댑터(220)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를 와이퍼 아암(3) 쪽으로 회동시켜 클립아암(32)의 스토퍼부(32a)를 어댑터(220)의 측벽부(221)의 상단(221b)에 접촉시킨다. 그러면, 클립부(32b)가 측벽부(221)의 외면(221a)에 스냅 결합된다. 도 36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이드핀(31)은 베어링구멍(224b)에 끼워져 있고, 제3 결합요소(30)의 측부(31a)는 커버(230)의 융기부(233)에 접촉되어 있고, 클립부(32a)는 측벽부(221)의 외면(221a)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3 결합요소(30)와 연결유닛(200) 사이의 삽입 및 회동에 의한 고정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1': 탑로크 와이퍼 아암 2: 베이어닛 와이퍼 아암
3: 사이드로크 와이퍼 아암 100: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110: 와이퍼스트립 120: 프레임 바
121: 슬롯 123: 노치
130: 제1 스포일러 131: 베인부
132: 끼워맞춤홈 136: 래칭클로
140: 제2 스포일러 141: 베인부
142: 끼워맞춤홈 146: 래칭홈
200: 연결유닛 210: 브라켓
211: 홀더 211e: 맞물림돌기
211f: 유지클로 212a, 212b: 지지벽부
213: 피봇축 214: 슬롯
215: 결합리브 220: 어댑터
221: 측벽부 221a: 측벽부의 외면
221b: 측벽부의 상단 222: 제1 연결부
222a: 안착면 222b: 삽입공동
223: 제2 연결부 224a: 피봇홀
224b: 베어링구멍 225: 래치
225a: 래치아암 225b: 제2 스토퍼면
225c: 제2 맞물림면 225d: 접촉면
226a: 피봇핀 226b: 러그
227: 슬라이드레일 228: 스토퍼
229: 래칭레버 230: 커버
231a, 231b: 측판 231c: 상판
232: 끼움핀 233: 융기부
234: 로킹노치 234a: 제1 스토퍼면
234b: 제1 맞물림면 234c: 누름면

Claims (14)

  1. 상판(11, 11')과 후단에 오목부(14a, 14b, 14a', 14b')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측판(12a, 12b, 12a', 12b')을 구비하는 제1 결합요소(10, 10'), 상판(21)과 한 쌍의 측판(22a, 22b)을 구비하는 제2 결합요소(20) 및 사이드핀(31)과 클립아암(32)을 구비하는 제3 결합요소(30) 중 하나를 말단에 갖춘 와이퍼 아암(1, 1', 2, 3)에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100)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유닛(200)이며,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피봇축(213)을 가지는 브라켓(210)과,
    피봇홀(224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221)를 구비하고, 상기 피봇축의 양단부가 상기 피봇홀에 각각 끼워져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어댑터(220)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측판을 상기 측벽부의 외면(221a)에 고정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상판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측벽부의 상단(221b)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1 고정장치(225, 226a, 226b, 230, 234)와,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측판과 상기 측벽부의 끼워맞춤을 허용하고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측판의 하단을 상기 측벽부에 로킹하는 제2 고정장치(227, 228, 229)와,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사이드핀을 상기 피봇홀을 지나는 축에 평행하게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3 결합요소의 클립아암을 상기 측벽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3 고정장치(221a, 221b, 224b)를 구비하는
    연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장치는,
    상기 측벽부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오목부에 끼워지는 피봇핀(226a)과,
    상기 피봇핀에 대향하여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측판의 전단이 접촉가능한 러그(226b)와,
    상기 측벽부의 전단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230)와,
    상기 커버를 상기 어댑터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상판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대하여 로킹하는 커버고정장치(234, 225)를 포함하는
    연결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고정장치는 상기 커버의 하단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제1 맞물림면(234b)을 가지는 로킹노치(234)와, 전단에 상기 제1 맞물림면과 맞물리는 제2 맞물림면(225c)을 가지고 상기 측벽부에서 연장하며 가요성을 가지는 래치(225)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어댑터로 회동되어 상기 제1 맞물림면과 상기 제2 맞물림면이 맞물리면,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상판을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대하여 고정하는
    연결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노치는 상기 제1 맞물림면에 접하는 누름면(234c)을 구비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2 맞물림면에 접하는 접촉면(225d)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어댑터에 회동할 때 상기 누름면과 상기 접촉면이 상호 접촉하여 상기 래치를 상기 측벽부에 대하여 휘게 하는
    연결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면에 상기 제2 맞물림면에 접하는 제2 스토퍼면(225b)을 가지고,
    상기 로킹노치는 상기 제1 맞물림면에 접하고 상기 제2 스토퍼면과 접촉하는 제1 스토퍼면(234a)을 가지는
    연결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측판의 하단에 맞닿는 스토퍼(228)를 가지고,
    상기 래치는 상기 스토퍼에서 연장하는
    연결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안착면(222a)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상판은 상기 안착면 상에 놓이고,
    상기 커버가 상기 측벽부로 회동되어 상기 제1 맞물림면과 상기 제2 맞물림면이 맞물리면,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결합요소의 상판을 상기 안착면에 대하여 고정하는
    연결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장치는 상기 측벽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요소의 측판의 내면에 끼워맞춤되는 슬라이드레일(227)을 포함하는
    연결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요소는 상기 측판의 하단에서 돌출한 스토퍼부(23a, 23b)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장치는 상기 슬라이드레일에서 돌출하고 상기 스토퍼부의 전단에 맞닿는 스토퍼(228)와, 상기 측벽부 중 하나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의 후단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래칭레버(229)를 포함하는
    연결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장치는,
    상기 피봇홀을 지나는 축에 평행한 축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사이드핀이 삽입되는 베어링구멍(224b)과,
    상기 클립아암이 스냅결합하는 상기 측벽부 중 하나의 외면을 포함하는
    연결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측벽부에 상기 피봇홀을 지나는 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버(230)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3 결합요소의 일부가 접촉하는 부분(233)을 가지는
    연결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가장자리에 한 쌍의 노치(123)를 가지고,
    상기 브라켓은 하단의 대향하는 가장자리의 각각에 한 쌍의 유지클로(211f)와 맞물림돌기(211e)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는 상기 유지클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노치와 상기 맞물림돌기는 맞물림결합되는
    연결유닛.
  13. 와이퍼스트립(110)과,
    상기 와이퍼스트립을 유지하고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20)과,
    상기 프레임에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스포일러(130, 140)와,
    상기 제1 및 제2 스포일러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유닛(200)을 포함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포일러와 상기 연결유닛의 브라켓(210)은 맞물림결합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110082823A 2010-09-10 2011-08-19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13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823797.3A EP2613978A4 (en) 2010-09-10 2011-09-08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CA2809292A CA2809292A1 (en) 2010-09-10 2011-09-08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CN201180043730.4A CN103097209B (zh) 2010-09-10 2011-09-08 用于雨刷臂的连接单元以及具有其的扁平雨刷片
PCT/KR2011/006661 WO2012033364A2 (en) 2010-09-10 2011-09-08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JP2013528124A JP5674945B2 (ja) 2010-09-10 2011-09-08 ワイパーアーム用連結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
US13/819,250 US8689389B2 (en) 2010-09-10 2011-09-08 Connecting unit for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010 2010-09-10
KR20100089010 2010-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793A true KR20110112793A (ko) 2011-10-13
KR101130977B1 KR101130977B1 (ko) 2012-03-29

Family

ID=4502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823A KR101130977B1 (ko) 2010-09-10 2011-08-19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89389B2 (ko)
EP (1) EP2613978A4 (ko)
JP (1) JP5674945B2 (ko)
KR (1) KR101130977B1 (ko)
CN (1) CN103097209B (ko)
CA (1) CA2809292A1 (ko)
WO (1) WO201203336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068A1 (ko) * 2014-09-05 2016-03-10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N106507671A (zh) * 2014-05-13 2017-03-15 费德罗-莫格尔汽车配件公司 挡风玻璃雨刷器装置
WO2017115882A1 (ko) * 2015-12-28 2017-07-06 고수연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KR101198352B1 (ko) 2012-08-29 2012-11-12 유병갑 멀티 어댑터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DE102012220708A1 (de) * 2012-11-14 2014-05-15 Robert Bosch Gmbh Top-Lock-Wischblattadapter
US9555775B2 (en) 2013-03-15 2017-01-31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11748B2 (en) 2013-03-15 2016-12-06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KR101484062B1 (ko) 2013-06-10 2015-01-20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514227B1 (ko) * 2013-09-03 2015-04-23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USD727238S1 (en) 2013-12-13 2015-04-21 Illinois Tool Works Inc. Cover used for windshield wiper connectors
KR101511319B1 (ko) 2014-02-21 2015-04-14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KR101426001B1 (ko) 2014-03-07 2014-08-05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CN103909906A (zh) * 2014-04-02 2014-07-09 九江亚达实业有限公司 一种复合型雨刷器
FR3023775B1 (fr) * 2014-07-17 2016-08-0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WO2016009011A1 (fr) * 2014-07-17 2016-01-21 Valeo Systèmes d'Essuyage Balai plat carene d'essuie-glace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USD787308S1 (en) 2014-10-03 2017-05-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package
US10363905B2 (en) 2015-10-26 2019-07-3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3043041B1 (fr) * 2015-11-04 2017-12-08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WO2017201473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blade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U2017267978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U2017268008A1 (en) 2016-05-19 2018-11-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17201485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FR3053013B1 (fr) * 2016-06-27 2018-07-13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et dispositif d'essuyage pour assembler un bras d'actionnement de vehicule automobile a un balai d'essuie-glace
WO2018081791A1 (en) 2016-10-31 2018-05-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FR3059961B1 (fr) * 2016-12-13 2019-10-18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balai d'essuie glace
KR101908551B1 (ko) * 2017-02-22 2018-12-19 에이디엠이십일(주)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의 연결장치
KR102261926B1 (ko) * 2019-10-14 2021-06-08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KR102120459B1 (ko) * 2019-10-28 2020-06-09 (주)에이랩 자동차용 와이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2441A1 (de) 2002-03-21 2003-11-13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vorrichtung mit Flachwischblatt und Wischarm
WO2004048163A1 (de) 2002-11-26 2004-06-10 Valeo Wischersysteme Gmbh 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antreibbaren wischarm
DE102004019541A1 (de) * 2004-04-22 2005-11-1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US8037568B2 (en) * 2005-09-19 2011-10-18 Alberee Products Inc. Windshield wiper assembly
DE102005050569A1 (de) 2005-10-21 2007-04-26 Robert Bosch Gmbh Anschlußvorrichtung für einen Wischerarm
KR100725988B1 (ko) 2006-02-23 2007-06-08 주식회사 캄코 와이퍼 연결장치
ES2337172T3 (es) * 2006-04-21 2010-04-21 Federal-Mogul S.A. Un dispositivo de limpiaparabrisas.
EP1849666B1 (en) 2006-04-28 2011-02-23 Federal-Mogul S.A. A windscreen wiper device
DE102006038828A1 (de) * 2006-08-18 2008-02-21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KR100889959B1 (ko) 2007-05-21 2009-03-20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
JP4712025B2 (ja) 2007-05-21 2011-06-29 エイディエム21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ワイパーブレード
US8286298B2 (en) * 2008-07-11 2012-10-16 Adm21 Co., Ltd.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KR100903374B1 (ko) * 2008-07-11 2009-06-2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결합장치
JP5243610B2 (ja) 2008-09-13 2013-07-24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ワイパブレードをワイパアームにヒンジ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KR100959035B1 (ko) 2010-02-11 2010-05-20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KR101254582B1 (ko) * 2010-12-14 2013-04-1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7671A (zh) * 2014-05-13 2017-03-15 费德罗-莫格尔汽车配件公司 挡风玻璃雨刷器装置
WO2016036068A1 (ko) * 2014-09-05 2016-03-10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160029492A (ko) *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0369970B2 (en) 2014-09-05 2019-08-06 Cap Corporation Wiper blade assembly
WO2017115882A1 (ko) * 2015-12-28 2017-07-06 고수연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US10953854B2 (en) 2015-12-28 2021-03-23 Gos Co. Ltd. Wiper blade adapt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52330A1 (en) 2013-06-20
CN103097209A (zh) 2013-05-08
EP2613978A4 (en) 2017-09-20
CN103097209B (zh) 2015-01-28
US8689389B2 (en) 2014-04-08
JP2013538732A (ja) 2013-10-17
WO2012033364A2 (en) 2012-03-15
CA2809292A1 (en) 2012-03-15
KR101130977B1 (ko) 2012-03-29
EP2613978A2 (en) 2013-07-17
WO2012033364A3 (en) 2012-06-21
JP5674945B2 (ja)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977B1 (ko)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170905B1 (ko) 후크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027384B1 (ko)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US8381349B2 (e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KR101426001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2600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45581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US936518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090151110A1 (en) Adaptor Assemblies for Connecting Wiper Blades to Wiper Arms
US20120180246A1 (e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US20100005609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flat wiper blade to wiper arms
KR101691427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EP2813403A1 (en) Wiper system
KR10096166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KR10151131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CN107054301B (zh) 用于机动车辆风挡擦拭器的适配器
JP4114564B2 (ja) バーティブラ及びクリップベース
CN106467090B (zh) 刮片适配器
EP2639120A1 (en) Wiper blade
JP5966206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および車両用ワイ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