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926B1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926B1
KR102261926B1 KR1020190127207A KR20190127207A KR102261926B1 KR 102261926 B1 KR102261926 B1 KR 102261926B1 KR 1020190127207 A KR1020190127207 A KR 1020190127207A KR 20190127207 A KR20190127207 A KR 20190127207A KR 102261926 B1 KR102261926 B1 KR 102261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per blade
wiper
adapt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084A (ko
Inventor
김명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1020190127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926B1/ko
Priority to US16/855,667 priority patent/US11230268B2/en
Priority to EP20190242.6A priority patent/EP3808613B1/en
Publication of KR2021004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3Snap-fit, e.g. elastic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side wall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2001/405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separate locking element, e.g. in addition to an intermediat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상기 와이퍼 암은, 기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서 후단 하측에 결합요소가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와이퍼 암의 결합요소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결합요소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요소의 제1 방향 움직임을 차단하는 걸림부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힌지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면과, 상기 회전면에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를 감싸는 상기 와이퍼 암의 외면을 덮는 커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a adaptor for assemble a wiper blade, a wiper blade, a wiper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 암에 대해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체결력이 보장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등에는 윈드실드(windshield)의 표면을 닦아내기 위하여 와이퍼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 모터, 와이퍼 암 및 와이퍼 블레이드 등을 포함하고,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의 구조적 연결을 위해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퍼 암은 기단에서 와이퍼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와이퍼 모터에 의해 왕복회동하며, 윈드실드의 사이즈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고, 복수 개로 마련될 경우 서로 회전이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어댑터를 통해 와이퍼 암의 말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직선 형태로 구비되고 윈드실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와이퍼 암의 움직임에 의해 윈드실드의 표면을 슬라이드 하면서 닦아낸다.
이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윈드실드에 의해 마찰되어,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모되거나, 불필요한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표면을 닦아내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지속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이때 차량의 사용자는 기존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으로부터 분리해낸 뒤, 어댑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와이퍼 블레이드를 체결하게 된다.
그런데 와이퍼 암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와이퍼 암에 적합한 형태의 어댑터가 요구된다. 또한 어댑터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와이퍼 암에 체결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풍저항 등에도 불구하고 윈드실드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와이퍼 암의 형상을 고려하여,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의 구조에 대해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하는 락킹부를 이용하여 와이퍼의 안착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윈드실드에 대한 밀착력을 보장하면서도 와이퍼의 교체가 매우 편리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상기 와이퍼 암은, 기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서 후단 하측에 결합요소가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와이퍼 암의 결합요소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결합요소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요소의 제1 방향 움직임을 차단하는 걸림부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힌지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면과, 상기 회전면에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를 감싸는 상기 와이퍼 암의 외면을 덮는 커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측면에 상기 덮개부의 하단이 안착되는 단턱부가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턱부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단턱부의 주변에서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의 측면을 감싸는 측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단턱부의 주변에서 상기 힌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락킹부와 맞닿는 제1 측벽부와, 상기 단턱부의 주변에서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요소를 커버하는 제2 측벽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면은, 상기 측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측벽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챔퍼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는, 일측에 회전제한요소가 돌출되며, 상기 락킹부는, 상기 커버면의 하단이 상기 회전제한요소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노출시키는 락킹해제 상태와, 상기 회전면이 회전하여 상기 커버면의 하단이 상기 회전제한요소를 타고 넘어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커버하는 락킹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면은, 끝단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연장되는 커버요소를 갖고, 상기 커버요소는, 락킹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덮개부를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 일면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끝단이 서로 근접하도록 변형 가능한 자유단 형태로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힌지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바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밀착대상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체결되고, 암부의 끝단에 덮개부가 결합된 형태의 와이퍼 암이 탈착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감싸는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 돌출되는 결합요소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결합요소가 상기 삽입부를 지나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부를 갖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면과,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덮는 상기 와이퍼 암의 외면을 커버하는 커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밀착부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는 결합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일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의 결합 홀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커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홀에 억지끼움되는 막대 형태의 안착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요소는, 상기 결합 홀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퍼 암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대회전하도록 힌지축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는, 회전에 의하여 와이퍼의 분리 시 몸체부 상측을 개방하거나 와이퍼의 고정 시 몸체부 상측을 덮어 와이퍼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킹부를 활용하여, 와이퍼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 간의 체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암의 사시도이다.
도 7,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들 사이에서 존재할 수 있는 미차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암의 사시도이고, 도 7,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1)는, 와이퍼 암(10), 와이퍼 블레이드(20), 와이퍼 블레이드(20) 조립용 어댑터(30)(이하 어댑터(3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20)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어댑터(30)가 결합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내면과 외면은 밀착대상을 향하는 방향과 밀착대상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며, 측면은 내면과 외면 사이의 면을 의미하고, 전면과 후면은 와이퍼 암(10)의 기단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구분한 것이지만, 이러한 표현은 편의상 도면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한 용어에 불과하므로,용어에 의해 그 권리가 제한되지 않는다.
와이퍼 암(10)은, 기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끝단에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연결되어 와이퍼 블레이드(20)에 회전력을 전달해 와이퍼 블레이드(20)에 의한 밀착대상의 클리닝을 구현한다.
와이퍼 암(10)은 암부(11)와 덮개부(12)를 갖는다. 암부(11)는 기단에 와이퍼 암(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모터 등)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원의 회전력에 의해 암부(11)의 끝단이 호를 그리며 회전하게 된다.
암부(11)는 기단과 끝단 사이에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구성을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그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형상 역시 기단과 끝단을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가능하다.
암부(11)는, 끝단에 덮개부(12)가 결합되는데, 덮개부(12)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암부(11)는 끝단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암부(11)에서 덮개부(12)와 결합되는 끝단 부분을 체결부(부호 도시하지 않음)로 별도로 지칭할 수도 있으며, 체결부는 암부(11)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암부(11)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되어 암부(11)의 끝단을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암부(11)의 끝단이 체결부로 구분되는 것으로 보고 설명한다.
체결부는 외면(부호 도시하지 않음)과 한 쌍의 측면(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ㄷ자 또는 U자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체결부는 암부(11)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의 측면 하측이 내측으로 절곡 또는 휘어짐에 따라 암부(11)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변형되면서 분리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의 외면과 측면은 모두 후술할 덮개부(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즉 반대로 말하면 덮개부(12)는 체결부를 감싸면서 체결부를 통해 암부(11)에 결합된다.
이때 체결부의 측면 하측에 덮개부(12)의 고정돌기(123)가 걸리면서, 덮개부(12)가 암부(11)의 끝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덮개부(12)는, 암부(11)의 끝단에 마련된다. 덮개부(12)는 도면에서와 같이 암부(11)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덮개부(12)는 밀착대상의 바깥쪽 방향인 외면(121)과, 외면(121) 양측에서 밀착대상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측면(12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덮개부(12)는 체결부와 유사하게 내측이 개방된 ㄷ자 또는 U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암부(11)에 결합할 때 체결부와 포개진다.
또한 덮개부(12)는, 측면(122)에서 하측에 고정돌기(123)가 마련된다. 고정돌기(123)는 측면(122)의 하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고정돌기(123)는 덮개부(12)와 포개지는 체결부의 측면 하측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12)가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체결부와 포개지면서 암부(11)에 결합될 때, 덮개부(12)의 고정돌기(123)가 체결부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체결부의 측면을 타고 넘게 되면, 덮개부(12)가 체결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반대로 고정돌기(123)가 외력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하면, 고정돌기(123)는 체결부의 측면 하측을 벗어나게 되므로 체결부에 대해 덮개부(12)의 외측 방향 움직임이 허용된다. 따라서 덮개부(12)가 암부(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덮개부(12)는 암부(11)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덮개부(12)는, 측면(122)에서 후단 하측에 결합요소(124)가 마련된다. 결합요소(124)는 측면(122)의 하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지거나 절곡된 부분으로서, 고정돌기(123)와 유사하게 돌기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만 고정돌기(123)는 덮개부(12)를 체결부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체결부의 측면이 걸리도록 하는 돌출 정도를 갖는 반면, 결합요소(124)는 체결부에 포개진 덮개부(12)에서 내측으로 충분히 돌출되어 어댑터(30)와 맞물려야 하므로, 고정돌기(123)보다 큰 돌출 정도를 가질 수 있다.
결합요소(124)는 후술할 어댑터(30)에 걸리는 구성으로서, 와이퍼 암(10)을 이루는 덮개부(12)가 와이퍼 블레이드(20)에 결합된 어댑터(30)와 체결되어 와이퍼 암(10)과 와이퍼 블레이드(20)의 연결을 가능케 한다.
결합요소(124)는 측면(122)에서 후단에 마련되는데, 이때 덮개부(12)의 측면(122)은 하측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덮개부(12)의 측면(122)에서 후변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결합요소(124)는 덮개부(12)의 양 측면(122)에 각각 마련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한 쌍의 결합요소(124)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 및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결합요소(124)의 위치가 상호 어긋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부(12)는 전면(125)이 암부(11)의 끝단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즉 덮개부(12)가 암부(11)의 끝단에 결합됨에 따라 암부(11)에서 체결부는 덮개부(12)에 의해 대부분 가려질 수 있다.
덮개부(12)에서 암부(11)의 기단으로부터 먼 일측에 마련되는 전면(125)은 외면(121)과 부드럽게 연결되어 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면(125)은 경사면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어댑터(30)의 락킹부(32)가 전면(125)과 마주하는 구조(돌출부(3222) 등)를 구비하여, 락킹부(32)가 와이퍼 암(10)의 분리를 불가능하게 하는 락킹 상태에 놓일 때, 덮개부(12)의 전면(125)이 락킹부(32)에 의해 눌리게 될 수 있다.
덮개부(12)의 전면(125)과 암부(11)의 끝단 사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격된 부분에 마감부(13)가 마련될 수 있다. 마감부(13)는 덮개부(12)나 암부(11)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마감부(13)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부(13)는, 암부(11)의 내측에 마련되면서 덮개부(12)의 전면(125)을 향해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덮개부(12)의 전면(125)과 암부(11)의 끝단 사이에 놓일 수 있다.
즉 체결부는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마감부(13)는 체결부의 외면과 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체결부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체결부에서 개방된 전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마감부(13)에서 체결부의 전면을 관통하는 부분은, 덮개부(12)의 전면(125)과 동일하게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즉 마감부(13)는 측방에서 볼 때 내측 대비 외측의 단면이 감소하는 사다리꼴 블록의 형태를 가지며, 단면의 감소 정도는 덮개부(12)의 전면(125) 경사각도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마감부(13)는, 내면이 체결부 또는 덮개부(12)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암부(11)의 끝단에 삽입되는 마감부(13)는, 암부(11)에 결합된 덮개부(12)보다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며, 마감부(13)의 내측단은 어댑터(3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30)에는 전면(313)과 힌지부(318) 사이에 마감부(13)가 안착되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어댑터(30)에서 마감부(13)가 안착되는 부분은, 마감부(13)를 받쳐 지지하도록 마련되거나, 마감부(13)가 위치하되 마감부(13)를 지지하지 않고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20)는, 밀착대상의 표면에 밀착하여 움직임에 의해 밀착대상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밀착대상은 차량의 윈드실드일 수 있지만, 이로 한정하지 않고 슬라이딩에 의해 클리닝이 가능한 모든 물체가 밀착대상이 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20)는 밀착대상의 표면에 직접 밀착하여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밀착부재(21)를 갖는다. 밀착부재(21)는 표면에 밀착하되 표면과의 마찰을 적절하게 하여 클리닝을 위한 슬라이딩이 원활하도록 하는 단면 구조를 가지며, 일례로 밀착부재(21)는 V자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즉 밀착부재(21)는 밀착대상과의 접촉면적을 줄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표면에 대한 밀착을 위하여 완충력이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착부재(21)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밀착변이 밀착대상의 표면과 상이한 형상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다만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와이퍼 암(10)에 결합되면, 밀착부재(21)가 밀착대상을 향해 가압되면서 밀착변이 자연스럽게 밀착대상의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20)는 밀착부재(21)에 탄성력을 적용하기 위한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 등의 부재일 수 있다.
밀착부재(21)의 밀착변은 탄성부재로 인해 밀착대상의 표면보다 더 휘어진 곡선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을 받게 되며, 따라서 와이퍼 암(10)에 의해 가압되면서 변형된 밀착변은 밀착대상을 밀어내려는 힘을 가하지만 와이퍼 암(10)에 의해 눌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밀착대상에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부재는 밀착부재(21)나 후술할 커버부재(22) 대비 강성을 갖는 재료(금속 등)로 이루어지며, 와이퍼 블레이드(20)의 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밀착부재(21)(또는 탄성부재)의 외측에는 커버부재(22)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22)는 변형이 용이한 밀착부재(21)에 탄성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와이퍼 블레이드(2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재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길게 마련되고, 밀착부재(21)는 탄성부재의 홈에 끼워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2)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탄성부재의 양단이 끼워지는 홈이 마련되어, 탄성부재가 커버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22)와 밀착부재(21)는 탄성부재를 중심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물론 위와 같이 홈을 이용하는 고정 방식 외의 다양한 고정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커버부재(22)와 밀착부재(21)가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부재(22)는 바람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20)가 밀착대상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A자 또는 산 형태의 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커버부재(22)의 단면은 밀착부재(21)와 비교적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재(22)는 밀착부재(21) 대비 강성이 높은 재질 또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22)와 밀착부재(21) 사이에 탄성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는 커버부재(22)와 밀착부재(21)에 의하여 둘러싸여서, 수분과의 접촉이 방지되어 녹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커버부재(22)와 밀착부재(21)의 양단을 마감하기 위해 커버부재(22)와 밀착부재(21)의 양단에 마감캡(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지만, 마감캡은 얼마든지 변형 또는 생략 가능하다.
커버부재(22)는 중앙 부분에 와이퍼 암(1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커버(23)가 마련된다. 결합커버(23)는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어댑터(30)를 기준으로 힌지회전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다.
일례로 결합커버(23)와 어댑터(30)는, 결합 과정에서 힌지축과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결합커버(23)는 회전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 홀(231)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홀(231)에서 외측에는 걸림돌기(232)가 마련되어, 결합 홀(231)에 삽입되는 힌지축이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물론 결합 홀(231) 자체의 형상이 원과 반원 사이의 호 형태를 갖는 경우엔, 결합 홀(231)에 억지끼움된 힌지축이 빠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결합 홀(231)의 형상에 따라 걸림돌기(232)의 생략이 가능할 수 있다.
결합커버(23)와 커버부재(22) 등은 직접 연결될 수 있지만, 베이스부재(24)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24)는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방식(돌기 걸림, 억지끼움, 접착 등)을 이용하여 탄성부재와 고정되면서 커버부재(22)와 맞물릴 수 있으며, 베이스부재(24)와 탄성부재는 결합 시 상대회전이나 상대움직임을 허용하지 않는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24)는, 비교적 변형이 가능한 커버부재(22) 등에 마련되어 와이퍼 블레이드(20)와 어댑터(3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재(24) 및 커버부재(22) 등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재(24)는 와이퍼 블레이드(20)에서 길이 방향으로 대략 중앙 부분에 마련되며, 결합커버(23)가 안착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방향으로 솟은 단면을 갖는 커버부재(22)는, 베이스부재(24)가 마련되는 부분에서는 단면이 평평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베이스부재(24)는 커버부재(22)와 밀착부재(21)의 좌우를 감싸 커버부재(22)와 밀착부재(21)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22)와 밀착부재(21)는, 중앙에서는 베이스부재(24)에 의해, 양단에서는 마감캡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30)는, 와이퍼 블레이드(20)를 와이퍼 암(10)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어댑터(30)는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를 통해 암부(11)에 견고히 고정되어 어댑터(30)와 암부(11) 사이에서는 상대 움직임이 허용되지 않으며, 반면 어댑터(30)와 와이퍼 블레이드(20) 사이에서는 회전이 허용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30)는 본체부(31)와 락킹부(32)를 포함한다.
어댑터(30)의 본체부(31)는, 와이퍼 블레이드(20)에 결합된다. 특히 본체부(31)는 와이퍼 블레이드(20)에서 결합커버(23)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부(31)는,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의 외면(121)과 마주하는 외면(312), 덮개부(12)의 측면(122)과 마주하는 측면(311), 그리고 락킹부(32)와 마주하는 전면(313) 및 전면(313)의 반대편인 후면(314)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면이라 함은 평평한 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함몰, 돌출, 단차, 요철, 곡면 등의 다양한 변형을 포함할 수 있는 부분으로 해석된다.
덮개부(12)의 측면(122)과 마주하게 되는 본체부(31)의 측면(311)에는, 가이드부(315)가 마련된다. 가이드부(315)는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의 측면(122) 하측에 구비되는 결합요소(124)와 맞물리면서 와이퍼 암(10)이 어댑터(30)에 결합되도록 한다.
가이드부(315)는 측면(311) 상에서 비교적 함몰되는 형태이고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삽입부(3151)와, 삽입부(3151)의 끝단(일례로 밀착대상을 향한 내측단)에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걸림부(3152)를 갖는다. 삽입부(3151)는 결합요소(124)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가이딩하며, 그루브(groove)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부(31)의 측면(311)은 가이드부(315)의 존재로 인해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부(3151)의 최내측으로 이동한 결합요소(124)는, 걸림부(3152)로 이동할 수 있다. 걸림부(3152)는 삽입부(3151)의 내측단에서 삽입부(3151)와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 형태이며, 일례로 수직의 삽입부(3151)와 다르게 걸림부(315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부(3151)와 걸림부(3152)는 ㄴ자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부(12)의 결합요소(124)는 삽입부(3151)에 안착된 채 삽입부(3151)를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와이퍼 암(10)과 어댑터(30)가 더욱 밀착되도록 하며, 이후 결합요소(124)는 삽입부(3151)에서 연장되는 걸림부(3152)에 안착된다.
이때 걸림부(3152)는, 삽입부(3151)에서 결합요소(124)가 삽입되는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만 결합요소(124)의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결합요소(124)의 제1 방향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이라 함은 내측-외측 방향을 의미하며, 이는 곧 와이퍼 암(10)이 어댑터(3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삽입부(3151)는 덮개부(12)의 결합요소(124)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와이퍼 암(10)이 어댑터(30)를 향해 밀착되도록 하고, 걸림부(3152)는 결합요소(124)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여 어댑터(30)가 와이퍼 암(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도면에서와 다르게, 삽입부(3151)는 연직하지 않고 내외방향 대비 일정한 각도를 갖는 경사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와이퍼 암(10)을 어댑터(30)에 끼울 때 와이퍼 암(10)은 상하+전후로 움직임을 그릴 수 있다.
걸림부(3152) 역시 전후 방향과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는 대신 경사지게 마련되어, 삽입부(3151)와 걸림부(3152)가 기울어진 L자 또는 V자 등의 형상을 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3151)와 걸림부(3152)가 이루는 각도는 직각 이하로 이루어져 결합요소(124)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또는 삽입부(3151)는, 결합요소(124)의 삽입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삽입되는 입구 부분(외측단)의 폭이, 걸림부(3152)와 연결되는 내측단의 폭보다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체부(31)의 측면(311)에서 삽입부(3151)는 V자 형태의 그루브를 이룰 수 있다.
결합요소(124)는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에서 측면(122) 후단 하측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와이퍼 암(10)과 맞물리는 어댑터(30)의 본체부(31)에서 가이드부(315)는, 결합요소(124)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315)는 본체부(31)에서 측면(311)의 후단에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31)는 와이퍼 암(10)이 어댑터(30)에 결합될 때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는데, 덮개부(12)의 내측에는 암부(11)의 끝단이 포개져 있을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와 암부(11)의 끝단(체결부)은 외면(121)과 한 쌍의 측면(122)을 갖는 형태로 마련되므로, 본체부(31)는 와이퍼 암(10)이 어댑터(30)에 결합되면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 및 체결부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31)의 측면(311)과 덮개부(12) 사이에 체결부가 놓이게 되므로, 덮개부(12)의 측면(122)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요소(124)가 본체부(31)의 가이드부(315)에 결합되기 위해, 결합요소(124)는 본체부(31)의 측면(311)과 마주한 체결부의 두께보다 더 내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삽입부(3151)의 내측단은 닫힌 형태로 마련되어, 결합요소(124)가 삽입부(3151)를 따라 이동하다가 내측단에 가로막힌 뒤, 걸림부(3152)로 인입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즉 와이퍼 암(10)은 가이드부(315)의 형상에 따라 움직여서 어댑터(30)에 체결된다.
또는 삽입부(3151)의 내측단은 도면5 등에서와 같이 열린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본체부(31)의 외면(312)이 암부(11)와 맞닿아 와이퍼 암(10)의 내측 방향 이동이 제한되거나, 후술하는 단턱부(316)가 덮개부(12)의 하단과 맞닿아 와이퍼 암(10)의 내측 방향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삽입부(3151)의 열린 내측단을 결합요소(124)가 관통할 일은 없다. 즉 삽입부(3151)에 삽입된 결합요소(124)는 와이퍼 암(10)이 다양한 구조에 의해 내측 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위치에서, 걸림부(3152)로 이동할 수 있다.
본체부(31)에는 가이드부(315)의 일측(전방측)에 힌지부(318)가 마련된다. 힌지부(318)는 락킹부(32)를 본체부(31)에 연결할 수 있으며, 본체부(31)에 대해 락킹부(32)가 힌지 회전하는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부(318)는 본체부(31)의 전면(313)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락킹부(32)의 안정적인 회전을 구현하고자 본체부(31) 전면(313)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힌지부(318)는, 자유단 형태로 마련되며 외력에 의해 전단이 서로 근접하도록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이는 락킹 상태에 놓인 락킹부(32)가 락킹해제 상태가 되도록 락킹부(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만 한 쌍의 힌지부(318)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도 10에서와 같이 힌지부(318)들을 서로 연결하는 탄성바(3182)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 쌍의 힌지부(318)가 벌어진 상태에 놓인다는 것은, 락킹부(32)의 락킹 상태가 유지된다는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힌지부(318)에는 일측에 회전제한요소(3181)가 돌출된다. 회전제한요소(3181)는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락킹부(32)가 힌지부(318)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제한요소(3181)를 타고 넘어가서 락킹 상태에 놓이면, 반대방향으로 락킹부(32)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여 어댑터(30)에 대한 와이퍼 암(10)의 고정을 유지할 수 있다.
본체부(31)는 구조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줄여 와이퍼 블레이드(20)를 움직이기 위한 구동원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측면(311)에 부분적으로 두께가 감소된 구조(홈 등)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와이퍼 암(10)이나 와이퍼 블레이드(20)와의 결합과는 무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본체부(31)의 외면(312)에는 홀(312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외에도 어댑터(30)의 경량화를 위한 다양한 구조가 본 명세서의 도면에 나타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체부(31)는 양 측면(311)에 와이퍼 암(10)에서 덮개부(12)의 측면(122) 하단과 마주하는 단턱부(316)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단턱부(316)에는 덮개부(12)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며, 덮개부(12)와 단턱부(316)는 와이퍼 암(10)을 어댑터(30)에 결합하였을 때 서로 맞닿거나 또는 매우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부(31)는 단턱부(316)를 구비함에 따라 단면이 좌우 대칭되는 계단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의 본체부(31)는 ㄷ자 형상의 덮개부(12)와 맞물려 연속적인 형태를 형성한다.
단턱부(316)에서 적어도 일부는, 돌출되는 정도가 단턱부(316)의 좌우 폭이 덮개부(12)의 좌우 폭과 일치하는 정도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어댑터(30)에 와이퍼 암(10)이 연결되었을 때 단턱부(316)의 측단은 덮개부(12)의 측면(122)과 연속되도록 놓일 수 있다.
다만 단턱부(316)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덮개부(12)의 좌우 폭을 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해당 부분에 측벽부(317)가 마련될 수 있다. 측벽부(317)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힌지부(318)는 본체부(31)의 단턱부(31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힌지부(318)와 단턱부(316)는 구조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 쌍의 힌지부(318)와 본체부(31) 전면(313) 사이에서 본체부(31)의 좌우에 각각 마련되는 단턱부(316)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단턱부(316)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앞서 설명한 마감부(13)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좌우의 단턱부(316)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의해 와이퍼 암(10)의 마감부(13)가 안착됨에 따라, 와이퍼 암(10)의 내측 방향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단턱부(316)는 본체부(31)의 전후 방향을 걸쳐 연속적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턱부(316)는 본체부(31)의 가이드부(315)가 마련되는 위치에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단턱부(316)는 걸림부(3152)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부(3151)와 연통되는 개구부(316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3161)는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 삽입부(3151)의 일부와 연통될 수 있고, 걸림부(3152)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개구부(3161)는 결합요소(124)의 내측 방향 움직임을 차단하기 위해 삽입부(3151)의 내측단 중 적어도 일부가 닫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요소(124)는 가이드부(315)의 삽입부(3151)를 따라 인입된 후 걸림부(3152)로 이동하게 되므로, 결합요소(124)는 개구부(3161)를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결합요소(124)의 형태와 걸림부(3152)의 돌출 각도 등에 따라, 개구부(3161)가 결합요소(124)의 안착에 활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턱부(316)는 본체부(31)의 대략 중앙에서 최대 높이를 이룰 수 있으며, 전후로 갈수록 높이가 대략 비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단턱부(316) 사이에 후술할 안착요소(3191)가 마련되는 경우에, 안착요소(3191)를 힌지축으로 하여 어댑터(30)가 와이퍼 블레이드(2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턱부(316)에는 측벽부(317)가 마련되는데, 측벽부(317)는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의 측면(122)을 커버할 수 있다. 측벽부(317)는 단턱부(316)의 주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덮개부(12)의 측면(122)을 감싸게 되어, 와이퍼 암(10)의 좌우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측벽부(317)는 하나의 단턱부(316)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측벽부(317)는 단턱부(316)의 주변에서 힌지부(318)와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락킹부(32)와 맞닿는 제1 측벽부(317a)와, 단턱부(316)의 주변에서 삽입부(3151)의 외측에 돌출되어 결합요소(124)가 마련되는 덮개부(12)의 측벽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측벽부(317b)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벽부(317a)는 전단이 경사면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경사진 제1 측벽부(317a)의 전단에는, 후술할 락킹부(32)의 회전면(321)이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제1 측벽부(317a)의 후단은, 락킹부(32)가 락킹 상태에 놓일 때 회전면(321)의 후단과 연속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2 측벽부(317b)는, 걸림부(3152)에 안착된 결합요소(124)를 양측 방향에서 감싸도록 마련된다. 덮개부(12)의 측면(122)이, 결합요소(124)가 마련된 하단이 측방으로 변위하는 방향으로 휘어질 경우를 가정한다면, 이 경우 결합요소(124)가 걸림부(3152)를 타고 넘어가면서 결합요소(124)가 가이드부(315)로부터 이탈되어 덮개부(12)가 어댑터(30)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2 측벽부(317b)는 덮개부(12)의 측면(122)을 둘러서 측면(122)의 변형을 억제하여, 결합요소(124)가 걸림부(3152)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걸림부(3152)를 타고 넘어가는 상황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때 제2 측벽부(317b)는 덮개부(12)의 측면(122)을 두르면서도 락킹부(32)의 회전면(321)과 맞닿는 제1 측벽부(317a)와 달리, 덮개부(12)의 측면(122)을 둘러 결합요소(124)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위해 마련될 수 있고, 제1 측벽부(317a)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단턱부(316)는, 대략 본체부(31)의 중앙 부분에서 덮개부(12)에 대응되는 좌우 폭을 갖고, 제1 측벽부(317a)가 마련되는 부분 또는 제2 측벽부(317b)가 마련되는 부분으로 가면서 좌우 폭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벽부(317a) 또는 제2 측벽부(317b)가 마련되는 단턱부(316)의 일부분은 좌우 폭이 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벽부(317a)와 제2 측벽부(317b)는 도 4 및 도 5 등에서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단턱부(316)는 대략 중앙에서의 좌우 폭이 최소가 되고, 전후에서 좌우 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반면 제1 측벽부(317a)가 제2 측벽부(317b)와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단턱부(316)는 비교적 대부분에서 좌우 폭이 덮개부(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2 측벽부(317b)가 가이드부(315)가 마련된 위치보다 전방에 마련되면서 전후로 연장되어 제1 측벽부(317a)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4 대비 전후로 길게 마련되는 제2 측벽부(317b)에 의해 덮개부(12)의 측면(122)이 충분히 감싸지므로, 결합요소(124)가 위치하는 부분을 직접 감싸는 측벽부(317)를 두지 않더라도 와이퍼 암(10)의 이탈이 억제될 수 있다.
본체부(31)의 내측에는 안착부(319)가 마련될 수 있으며, 안착부(319)는 와이퍼 블레이드(20)와의 결합을 이룬다. 안착부(319)는 와이퍼 블레이드(20)에서 결합커버(23)와 결합되면서 와이퍼 블레이드(20)와 본체부(31)가 힌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 및 도 8을 참고하면, 결합커버(23)에는 결합 홀(231)이 마련되고, 안착부(319)에는 결합 홀(231)에 삽입될 수 있는 막대 형태의 안착요소(319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결합 홀(231)은, 일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안착요소(319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232)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요소(3191)는 결합 홀(231)에서 일측의 개방된 폭 대비 큰 폭을 가져서, 결합 홀(231)에 억지끼움으로 체결될 수 있다. 결합 홀(231)에 체결되는 안착요소(3191)는, 와이퍼 암(10)과 와이퍼 블레이드(20)가 상대회전하도록 힌지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20)의 양단은, 안착요소(3191)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형상의 밀착대상에 대해 와이퍼 블레이드(20)가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어댑터(30)의 힌지 회전을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부(31)에서 단턱부(316)가 형성된 부분 등은 측면의 높이가 힌지축을 기준으로 전후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단턱부(316)의 하단은 안착요소(3191)가 마련된 부분이 가장 내측에 위치한 꼭지점이 되는 V자 절곡선 형태이거나 U자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단턱부(316)에서 전후단의 높이와 대략 중앙에서의 최대 높이 간의 차이는, 어댑터(30)가 안착요소(3191)를 힌지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락킹부(32)는, 본체부(3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락킹부(32)는 마치 캡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힌지부(318)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면(321)과, 회전면(321)들 사이에서 연장되며 본체부(31)를 감싸는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의 외면(121)을 덮는 커버면(322)을 갖는다.
락킹부(32)의 회전면(321)은 힌지부(31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으며, 일례로 힌지부(318)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회전면(321)에 삽입되면서 회전면(321)의 회전중심으로 기능할 수 있다.
회전면(321)은 힌지부(318)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힌지부(318)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한 쌍의 힌지부(318)가 (탄성바(3182)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되어야 락킹부(32)의 락킹해제가 허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락킹부(32)의 회전면(321)은 힌지부(318)에 외력이 적용될 수 있는 노출부위를 형성한다.
한 쌍의 회전면(321) 간의 간격은, 덮개부(12)의 좌우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회전면(321)은 락킹부(32)가 락킹 상태에 놓일 때 덮개부(12)의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놓이게 될 수 있다.
회전면(321)의 표면에는 돌출요소(3211)가 마련된다. 돌출요소(3211)는 락킹부(32)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락킹부(3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물론 하나의 돌출된 구조를 갖는 대신, 사용자가 락킹부(32)를 파지할 수 있도록 마찰을 부여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락킹부(32)의 회전은 힌지부(318)의 회전제한요소(3181)에 의해 제한되는데, 힌지부(318)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락킹부(32)의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면(321)이 결합된 힌지부(318)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누른 상태를 유지하면서, 돌출요소(3211)를 이용해 락킹부(32)를 파지하여 락킹부(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면(321)은, 어댑터(30)에 마련된 제1 측벽부(317a)와 마주하는 부분이 제1 측벽부(317a)와 맞물리도록 제1 측벽부(317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측벽부(317a)에서 회전면(321)이 마주하는(또는 맞닿는) 부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면 형태를 가지므로, 회전면(321)에서 제1 측벽부(317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은 챔퍼(3212)(chamfer)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챔퍼(3212)는 단순한 사선 형태 외에도, 적어도 1회 절곡되거나 휘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제1 측벽부(317a)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회전면(321)에 연결되는 커버면(322)은,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의 외면(121)을 덮어 와이퍼 암(10)의 외측 이탈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커버면(322)에는 후단변에 가이드부(315)를 향해 연장되는 커버요소(3221)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요소(3221)는 락킹부(32)가 락킹 상태에 놓이면, 어댑터(30)에 결합된 와이퍼 암(10)의 외면(121) 상에 투영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와이퍼 암(10)의 외측 이동을 간섭할 수 있다.
커버요소(3221)는 락킹 상태에서 제1 측벽부(317a)의 외측 상에 놓이도록 연장되어 있을 수 있고, 이는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가 제1 측벽부(317a)에 의해 가려지기 위해 덮개부(12)의 외면(121)이 적어도 제1 측벽부(317a)의 외측에 마련됨을 고려한 것이다.
이때 회전면(321)은 후단변이 커버면(322)의 후단변에서 연장되는 커버요소(3221)와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면(321)은 제1 측벽부(317a)의 경사면과 마주하고 커버요소(3221)는 제1 측벽부(317a)의 외측에 놓이게 되므로, 덮개부(12)의 전단 중 양측면(122)은 제1 측벽부(317a)와 회전면(321)에 의해, 덮개부(12)의 전단 중 외면(121)은 커버요소(322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커버면(322)은, 회전제한요소(3181)와 협동하여 락킹부(32)의 회전을 허용 또는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면(322)은 락킹부(32)가 도 8 및 도 9에서 힌지부(318)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커버면(322)의 하단이 회전제한요소(3181)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이때 커버면(322)의 하측에 회전제한요소(3181)가 놓이게 되면서 락킹부(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회전제한요소(3181)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이 상태는 락킹부(32)의 락킹 상태가 된다.
반면 한 쌍의 힌지부(318)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하게 되면, 회전제한요소(3181)는 서로 가까워지면서 동시에 커버면(322)에서 벗어나는 후방으로 위치가 약간 변경되며, 커버면(322)의 하단이 회전제한요소(3181)와 어긋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락킹부(3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커버면(322)의 하단은 회전제한요소(3181)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락킹부(32)는 덮개부(12)의 외면(121)을 노출시키는 락킹해제 상태가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버면(322)은 와이퍼 암(10)의 경사진 전면(125)과 마주하는 내면에 돌출부(3222)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퍼 암(10)의 암부(11)에 결합되는 덮개부(12)는 전면(125)이 암부(11)를 감싸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락킹부(32)는 와이퍼 암(10)의 경사진 전면(125)을 활용하여 와이퍼 암(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와이퍼 암(10)의 경사진 전면(125)에 대응하여, 커버면(322)의 내측에 돌출부(3222)가 형성되고, 돌출부(3222)에서 덮개부(12)의 전면(125)과 마주하는 부분은 경사지게 깎여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3222)와 덮개부(12)는 서로 평행한 면이 마주하도록 맞닿거나 인접할 수 있으며, 이때 돌출부(3222)는 락킹부(32)가 락킹 상태에 놓여있을 때 전면(125)을 내측 방향으로 누르거나, 전면(125)이 외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하여, 와이퍼 암(10)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결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1) 한 쌍의 힌지부(318)가 외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눌리면서, 락킹부(32)가 회전면(321)의 돌출요소(3211)를 통해 락킹부(32)를 파지한 사용자의 손 등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락킹부(32)에 의해 본체부(31)가 가려지지 않는 락킹해제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이미 체결되어 있던 와이퍼 암(10)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락킹부(32)는, 커버면(322)의 전단변이 힌지부(318)의 내측단에 닿게 되면서 커버면(322)의 내측면이 외측으로 모두 노출되는 각도까지 회전 가능할 수 있다.
(2) 락킹부(32)의 회전에 의해 락킹부(32)가 락킹해제 상태에 놓여있을 때,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가 본체부(31)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12)의 결합요소(124)가 본체부(31)의 가이드부(315)에 마련된 삽입부(3151)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와이퍼 암(10)은 본체부(31)와 밀착되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후 와이퍼 암(10)을 도면 기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와이퍼 암(10)의 결합요소(124)가 삽입부(3151)를 벗어나 삽입부(3151)에서 연장된 걸림부(3152)로 인입된다. 따라서 결합요소(124)는 걸림부(3152)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차단되므로, 와이퍼 암(10)은 본체부(31)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1의 (2)에서 와이퍼 암(10)의 움직임은, 삽입부(3151)와 걸림부(3152)를 갖는 가이드부(315)의 형상(일례로 ㄴ자)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315)의 형상이 이전에 설명한 것처럼 달라질 경우 어댑터(30)에 체결되는 와이퍼 암(10)의 움직임 역시 달라질 수 있다.
(3) 이후 락킹부(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면(321)은 제1 측벽부(317a)의 형상에 맞물리게 되며, 커버면(322)의 커버요소(3221)가 본체부(31)에 결합된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의 외면(121) 중 적어도 일부를 덮게 된다. 또한 커버면(322)의 내측에 돌출된 돌출부(3222)가 와이퍼 암(10)의 덮개부(12)의 전면(125)에 인접하거나 맞닿게 된다.
이때 커버면(322)이 회전제한요소(3181)를 타고 넘어간 뒤 커버면(322)의 전단변이 회전제한요소(3181) 상에 안착되면서, 락킹부(32)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와이퍼 암(10)은 체결요소가 걸림부(3152)에 안착된 것, 락킹부(32)의 커버면(322)에 마련된 돌출부(3222)가 와이퍼 암(10)의 전면(125)과 경사지게 마주한 것, 락킹부(32)의 커버요소(3221)가 덮개부(12)의 외면(121)을 덮는 것 등에 의하여, 와이퍼 암(10)의 외측 이탈이 복합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와이퍼 암(10)과 와이퍼 블레이드(20)를 연결하여 와이퍼 장치(1)를 조립하는 사상에 대한 것으로서, 암부(11)에 덮개부(12)가 결합되고 덮개부(12)의 측면(122) 후단에 결합요소(124)를 갖는 와이퍼 암(10)을 고정하기 위해, 이에 대응하는 가이드부(315)를 마련하면서 락킹부(32)를 구비한 어댑터(30)를 사용하여, 와이퍼 블레이드(20)에 대한 와이퍼 암(10)의 견고한 체결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와이퍼 장치 10: 와이퍼 암
11: 암부 12: 덮개부
121: 외면 122: 측면
123: 고정돌기 124: 결합요소
125: 전면 13: 마감부
20: 와이퍼 블레이드 21: 밀착부재
22: 커버부재 23: 결합커버
231: 결합 홀 232: 걸림돌기
24: 베이스부재 30: 어댑터
31: 본체부 311: 측면
312: 외면 3121: 홀
313: 전면 314: 후면
315: 가이드부 3151: 삽입부
3152: 걸림부 316: 단턱부
3161: 개구부 317: 측벽부
317a: 제1 측벽부 317b: 제2 측벽부
318: 힌지부 3181: 회전제한요소
3182: 탄성바 319: 안착부
3191: 안착요소 32: 락킹부
321: 회전면 3211: 돌출요소
3212: 챔퍼 322: 커버면
3221: 커버요소 3222: 돌출부

Claims (13)

  1.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상기 와이퍼 암은, 기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부와, 상기 암부의 끝단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서 후단 하측에 결합요소가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와이퍼 암의 결합요소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결합요소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요소의 제1 방향 움직임을 차단하는 걸림부를 갖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힌지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면과, 상기 회전면에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를 감싸는 상기 와이퍼 암의 외면을 덮는 커버면을 갖고,
    상기 본체부는,
    측면에 상기 덮개부의 하단이 안착되는 단턱부가 돌출되고,
    상기 단턱부의 주변에서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의 측면을 감싸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단턱부의 주변에서 상기 힌지부와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락킹부와 맞닿는 제1 측벽부와, 상기 단턱부의 주변에서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요소를 커버하는 제2 측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면은,
    상기 측벽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상기 측벽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챔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일측에 회전제한요소가 돌출되며,
    상기 락킹부는, 상기 커버면의 하단이 상기 회전제한요소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노출시키는 락킹해제 상태와, 상기 회전면이 회전하여 상기 커버면의 하단이 상기 회전제한요소를 타고 넘어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커버하는 락킹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면은,
    끝단에서 상기 가이드부를 향해 연장되는 커버요소를 갖고,
    상기 커버요소는, 락킹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에 안착된 상기 덮개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 일면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고, 끝단이 서로 근접하도록 변형 가능한 자유단 형태로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힌지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힌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10. 밀착대상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체결되고, 암부의 끝단에 덮개부가 결합된 형태의 와이퍼 암이 탈착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감싸는 상기 덮개부의 측면에 돌출되는 결합요소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결합요소가 상기 삽입부를 지나 안착되어 걸리는 걸림부를 갖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면과, 상기 본체부의 외면을 덮는 상기 와이퍼 암의 외면을 커버하는 커버면을 갖고,
    상기 본체부는,
    측면에 상기 덮개부의 하단이 안착되는 단턱부가 돌출되고,
    상기 단턱부의 주변에서 돌출되어 상기 덮개부의 측면을 감싸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밀착부재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중앙에 마련되며 상기 어댑터가 결합되는 결합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일측이 개방된 원기둥 형태의 결합 홀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결합커버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 홀에 억지끼움되는 막대 형태의 안착요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요소는,
    상기 결합 홀에 체결되어 상기 와이퍼 암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상대회전하도록 힌지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20190127207A 2019-10-14 2019-10-14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KR102261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207A KR102261926B1 (ko) 2019-10-14 2019-10-14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US16/855,667 US11230268B2 (en) 2019-10-14 2020-04-22 Wiper blade assembling adapter, wiper blade assembly, and wiper apparatus
EP20190242.6A EP3808613B1 (en) 2019-10-14 2020-08-10 Wiper blade assembling adapter and wiper bla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207A KR102261926B1 (ko) 2019-10-14 2019-10-14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084A KR20210044084A (ko) 2021-04-22
KR102261926B1 true KR102261926B1 (ko) 2021-06-08

Family

ID=7203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207A KR102261926B1 (ko) 2019-10-14 2019-10-14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30268B2 (ko)
EP (1) EP3808613B1 (ko)
KR (1) KR102261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804B1 (ko) 2019-10-14 2021-12-1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352B1 (ko) * 2012-08-29 2012-11-12 유병갑 멀티 어댑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84B1 (ko) 2009-06-29 2011-04-11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플랫와이퍼블레이드와 와이퍼아암의 연결장치
US20100205763A1 (en) * 2009-02-18 2010-08-19 Chin Pech Co., Ltd. Universal Adaptors for Connecting Wiper Blades to Wiper Arms
DE102009029470A1 (de) * 2009-09-15 2011-03-2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mit einer Adaptereinheit zur Anlenkung an einem Wischerarm
WO2012014054A1 (en) 2010-07-28 2012-02-02 Teklas Kaucuk Sanayi Ve Ticaret A.S. A connecting device for windscreen wipers
KR101130977B1 (ko) 2010-09-10 2012-03-29 김인규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DE102010062928B4 (de) 2010-12-13 2023-09-07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KR101211096B1 (ko) * 2011-03-28 2012-12-1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장치
FR3037897B1 (fr) 2015-06-26 2018-11-02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FR3037906B1 (fr) 2015-06-26 2017-07-14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DE102016225959A1 (de) * 2016-12-22 2018-06-28 Robert Bosch Gmbh Wisch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Wischervorrichtung
US10486652B2 (en) * 2017-01-05 2019-11-26 Jiangsu Yunrui Automotive Electrical System Co., Ltd. Beam wiper structure with multifunctional adapters
CN106560356B (zh) 2017-01-05 2024-01-23 江苏云睿汽车电器系统有限公司 一种新型含多功能附件无骨雨刮结构
FR3069509B1 (fr) 2017-07-31 2020-09-04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erfectionne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FR3069510B1 (fr) 2017-07-31 2021-03-19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FR3072629B1 (fr) 2017-10-20 2019-10-11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FR3072628B1 (fr) 2017-10-20 2021-08-20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t essuie-glac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KR102338804B1 (ko) 2019-10-14 2021-12-15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352B1 (ko) * 2012-08-29 2012-11-12 유병갑 멀티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30268B2 (en) 2022-01-25
US20210107434A1 (en) 2021-04-15
EP3808613B1 (en) 2023-01-04
KR20210044084A (ko) 2021-04-22
EP3808613A1 (en)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661B1 (ko)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JP5238080B2 (ja) ワイパブレードをウインドウワイパのワイパアームにヒンジ結合するための装置
US8186002B2 (en) Device for the pivoting connection of a wiper blade to a wiper arm of a windscreen wiper
US20130305475A1 (en) Wiper connector for vehicle
US9073518B2 (en) Vehicle wiper
US20060059647A1 (en) Connecting device for a wiper blade on the wiper arm of a windshield wiper system
US20130125331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00015734A (ko)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관절형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KR20130100924A (ko)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접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US20110005019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226192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US20130318735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233880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KR10167589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KR102338807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JP2007008279A (ja) ワイパ装置
JP5015726B2 (ja) 車両用ワイパ
CN108622024B (zh) 用于将风挡擦拭器刮片连接到驱动臂的装置
KR102519459B1 (ko) 와이퍼용 체결기구,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KR200438835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US11752977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11065554B (zh) 风挡刮水器装置
US10246057B2 (en) Adaptor for connecting a windscreen wiper unit to a driving arm
JPH07267052A (ja) 自動車用の覆いつき窓拭きワイパー
JP5809548B2 (ja) ワイパ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