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861A - 버스 제어 방법 및 버스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 제어 방법 및 버스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861A
KR20110108861A KR1020100028302A KR20100028302A KR20110108861A KR 20110108861 A KR20110108861 A KR 20110108861A KR 1020100028302 A KR1020100028302 A KR 1020100028302A KR 20100028302 A KR20100028302 A KR 20100028302A KR 20110108861 A KR20110108861 A KR 2011010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top
destination
destination stop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호
Original Assignee
신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호 filed Critical 신민호
Priority to KR102010002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8861A/ko
Publication of KR2011010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버스 제어 방법은,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획득된 영상을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 제어 방법 및 버스 단말 장치{BUS CONTROL METHOD AND BUS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버스의 정류장 통과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버스 제어 방법 및/또는 버스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버스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버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버스의 운전자가 임의대로 노선에 포함된 정류장들 중 하나를 무정차 통과하면, 무정차 통과한 정류장에서 대기 중인 승객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여 서비스 불만족의 요인이 되는 바, 버스 운전자가 임의대로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는 것을 감시하고 제한할 필요가 있다.
버스의 무정차 통과를 감시하는 종래의 방법은, 버스에 설치된 단말 장치에서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하는 것을 감시하거나, 정류장에 설치된 장비에서 버스가 무정차하는 것을 감시하고, 버스의 무정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정류장 무정차에 대하여 일종의 벌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이러한 벌점 부여 방식의 경우, 버스 정류장에 승객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도, 운전자는 벌점을 받지 않기 위해, 빈 정류장에 반드시 정차하여야만 한다. 그런데, 이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 및 공해 유발의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에너지 낭비 및 공해 유발을 방지하면서도,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버스 제어 방법 및/또는 버스 단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은,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획득된 영상을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류장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에 설치된 카메라를 동작시켜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류장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목적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통신 장치에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한 촬영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은, 버스에 설치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것을 개시하는 단계; 무정차 통과 여부 감시의 대상이 되는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소정값 미만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의 정차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버스의 속력 또는 속도가 0이고, 상기 버스의 출입문 개방이 발생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서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은,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정류장에 초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지 않으면,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정류장을 이탈하면,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소정의 제1 기준값 미만, 제2 기준값(제2 기준값 <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가 제2 기준값 미만이기 시작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소정의 제1 기준값 미만, 제2 기준값(제2 기준값 <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가 제2 기준값 미만이었다가, 다시 제2 기준값 이상이기 시작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의 정차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버스의 속력 또는 속도가 0이고, 상기 버스의 출입문 개방이 발생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서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버스에서 촬영 각도로 특정 크기 및 형태와 근사한 사다리꼴 형태의 윤곽선이 추출되는 영역을 상기 목적 정류장으로 간주하고, 상기 목적 정류장으로 간주된 영역 내부에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윤곽선이 추출되는지를 검사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은,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정류장에 초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지 않으면,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획득된 영상을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버스 단말 장치는, 근접하는 정류장을 촬영할 수 있는 자세로 버스에 장착된 카메라; 외부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며, 상기 정류장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부; 및 상기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상기 정류장을 통과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 단말 장치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상 판단부; 및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통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통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버스 제어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은, 외부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 정류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부;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통보부; 및 하기 정류장 통신 장치에서 전송받은 정보가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함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버스 단말 장치와,
정류장의 승객 존재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수단; 상기 버스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버스 통신 모듈; 및 상기 외부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정류장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정류장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 단말 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에서, 목적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상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승객 감지센서이며, 상기 버스 단말 장치는, 근접하는 정류장을 촬영할 수 있는 자세로 버스에 장착된 카메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상 판단부; 및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통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상기 정류장을 통과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술한 버스 제어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 및/또는 버스 단말 장치를 실시하면, 에너지 낭비 및 공해 유발을 방지하면서도,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는 버스 운행의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이면서,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버스 단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버스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도 1의 버스 단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버스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도 1의 관리 서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도 6의 버스 단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버스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도 9의 버스 단말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버스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겠다.
하기 설명에 있서, '목적 정류장'이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현재 시점의 버스가 해당 정류장에 무정차 통과하는지를 감시하는 정류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버스 제어 시스템은,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사건이 발생하면, 버스에 설치된 카메라로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의 사상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버스 제어 시스템은, 운행 중인 버스에 장착되는 버스 단말 장치(200);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통신 장치(400); 및 차고지 등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관리 서버(5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1의 버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 단말 장치(200)는, 정류장을 촬영할 수 있는 자세로 버스에 장착된 카메라(210); 외부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220);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며, 상기 정류장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40); 상기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부(260); 및 상기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상기 정류장을 통과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10)는 버스의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내부에 장착하는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뒤쪽 천정에 위치하고, 버스 앞유리를 통해 버스 정류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정면 사선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210)는 버스의 진행 방향에 위치한 정류장을 촬영하기 위한 정방향 카메라 및 버스의 진행 반대 방향에 위치한 정류장을 촬영하기 위한 역방향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버스 내부 보다는 외부에 정/역방향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이 정류장을 촬영하기 유리하다.
상기 카메라(210)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류장 무정차 통과에 따른 근거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 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종의 블랙박스를 위한 사고시 입증용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0) 자체가 블랙박스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0)은, 예컨대, CDMA 방식의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랜 망에 접속되어,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0)과 일차적으로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 장치는 범용적인 무선 통신망의 기지국, 또는 범용적인 무선 랜 AP(Acess Point)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지국 또는 AP가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220)은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0)를 경유하여 상기 관리 서버(5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40)는, 상기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상기 제어부(280)가, 버스의 무정차 통과를 판단하면, 그 판단 시점 이전에 상기 정류장에 대하여 촬영된 영상을 전송해야 하는 것을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은, 상기 저장부(240)에 비교적 짧은 시간(예: 버스가 정류장에 근접할 때 부터 이탈할때 까지의 시간으로 약 1분 이내) 동안 저장되지만, 다른 구현에서는, 비교적 장시간(예: 버스가 운행을 마치고 관리 서버(500)나 중계기가 설치된 차고지 등에 도착할 때까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위치 판단부(260)는 GPS 위성에서 방송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GPS 모듈, 버스의 가속도값을 적분하여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가속도 계산 모듈, 및 위치를 알고 있는 복수 개(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 기지국에서 방송되는 비컨 신호들로부터 삼각 측량법을 적용하여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비컨 신호 수싱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0)도 상기 기준 기지국의 하나로 동작할 수 있으며, 하기 비컨 송출부(460)가 기준 기지국으로서 비컨 신호를 방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버스가 특정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면, 상기 정류장에 승객이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정보로서, 상기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는, 후술하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 1의 버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류장 통신 장치(400)는, 상기 버스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버스 통신 모듈(420);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 모듈(440); 및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는 비컨 신호를 방송하는 비컨 송출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1)의 제어부(281)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감시하지만,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의 제어부(미도시)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사상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버스 제어 방법은,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S110);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20); 상기 S12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버스에 설치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S130);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40); 상기 S14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160); 상기 S16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외부의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는 단계(S180); 및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S190)를 포함한다.
상기 S110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가 운행을 개시한 후, 최초로 향하게 되는 정류장을 목적 정류장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노선상 최초로 도달하는 정류장을 목적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버스는 노선상 표시된 순서대로 노선에 속한 정류장들을 통과하게 되는 바, 상기 목적 정류장은 상기 노선 순서에 따른 버스의 이동에 따라 변경된다.
상기 S120 단계에서는, 상기 위치 판단부(260)가 판단한 상기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목적 정류장(즉, 현재 시점의 버스가 도착할 정류장)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상기 버스와 상기 목적 정류장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계산된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가, 소정값 미만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130 단계의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상기 S130 단계는, 상기 카메라(210)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의 동영상 녹화 과정과 유사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였을 때, 상기 목적 정류장의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수행하면, 영상 획득 작업에 따른 작업량 및 획득된 영상의 저장 공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S140 단계에서는,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기 전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한다. 즉,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기 전에 정차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버스의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기존 버스 차량에 설치된 속력계(구동축의 회전을 이용한 속력계)의 센싱값 또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 또는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버스 차량의 속력 또는 속도가 0이면, 해당 버스가 정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버스의 정차 여부를, 버스의 정지 뿐만 아니라, 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개방한 것으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 S140 단계에서는, 버스의 정지와 출입문의 개방이 모두 발생하였을 때 버스의 정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버스의 정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속력계(구동축의 회전을 이용한 속력계)의 센싱값 또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 또는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출입문의 개방 여부는 출입문에 설치된 개폐 감지 센서의 센싱값으로부터 판단될 수 있다.
상기 S140 단계에서, 버스가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면, 버스가 규정에 따라, 정류장에 정차한 것이므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한 절차를 종료하고,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상기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한다(S190). 이후, 상기 설정이 변경된 목적 정류장에 대하여, 상기 S1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160 단계에서는, 상기 위치 판단부(260)가 판단한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S120 단계에서 근접한 정류장(즉, 버스가 도착한 정류장)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상기 버스와 상기 목적 정류장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도착한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계산된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가, 소정값 이상이면,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서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120 단계에서 정류장 근접의 기준이 되는 소정값과, 상기 S160 단계에서 정류장 이탈의 기준이 되는 소정값은, 구현에 따라,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S180 단계에서는, 본 실시예의 사상에 따라,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한 무정차 통과에 대하여, 상기 목적 정류장에 승객이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정보(면책 사유)로서, 상기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되고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110 단계 및 S190 단계의 목적 정류장 설정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버스의 노선 정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190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거나, 상기 S180 단계에서 목적 정류장에 대한 촬영 영상을 전송한 후, 버스 노선상 다음 정류장을 목적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실시예의 버스 제어 방법은 실질적으로 도 2의 버스 제어 방법과 동일할 수 있으나, 관점에 차이에 따라 흐름도가 달라지므로, 달라지는 관점에 따라 규정되는 흐름으로 다시 설명하겠다.
도시한 버스 제어 방법은, 버스에 설치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것을 개시하는 단계(S205); 무정차 통과 여부 감시의 대상이 되는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S210); 상기 버스가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220); 상기 S22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240); 상기 S24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260); 및 상기 S26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80)를 포함한다.
상기 S205 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목적 외에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210)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110 단계는, 블랙박스 저장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버스에 설치된 카메라(210)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촬영하여 녹화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기 S205 단계에서 개시된, 영상 촬영/저장 동작은, 상기 S220 단계 내지 S280 단계의 수행 중에도 계속 진행될 수 있다.
상기 S210 단계의 목적 정류장 설정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버스의 노선 정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210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가 운행을 개시한 후, 노선상, 최초로 향하게 되는 정류장을 목적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S210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거나, 상기 S280 단계에서 목적 정류장에 대한 촬영 영상을 전송한 후, 버스 노선상 다음 정류장을 목적 정류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220 단계에서는, 상기 위치 판단부(260)가 판단한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목적 정류장(즉, 버스가 도착할 정류장)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버스와 상기 목적 정류장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버스의 현재 좌표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계산된 버스와 상기 목적 정류장의 거리가, 소정값 미만이면,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240 단계에서는,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기 전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한다. 즉,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기 전에 정차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버스의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기존 버스 차량에 설치된 속력계의 센싱값 또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 또는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버스 차량의 속력 또는 속도가 0이면, 버스가 정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버스의 정차 여부를, 버스의 정지 뿐만 아니라, 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개방한 것으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 S140 단계에서는, 버스의 정지와 출입문의 개방이 모두 발생하였을 때 버스의 정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버스의 정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속력계의 센싱값 또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 또는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출입문의 개방 여부는 출입문에 설치된 개폐 감지 센서의 센싱값으로부터 판단될 수 있다.
상기 S240 단계에서, 상기 버스가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버스가 규정에 따라, 정류장에 정차한 것이므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상기 정류장에 대한 절차를 종료하고,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한다(S210). 이후, 설정이 변경된 목적 정류장에 대하여, 상기 S2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260 단계에서는, 상기 위치 판단부가 판단한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S220 단계에서 근접한 정류장(즉, 버스가 도착한 정류장)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버스와 상기 정류장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버스의 현재 좌표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도착한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계산된 버스와 도착한 정류장의 거리가, 소정값 이상이면, 버스가 상기 도착한 정류장에서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220 단계에서 정류장 근접의 기준이 되는 소정값과, 상기 S260 단계에서 정류장 이탈의 기준이 되는 소정값은, 구현에 따라,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S280 단계에서는, 본 실시예의 사상에 따라,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한 무정차 통과에 대하여, 상기 목적 정류장에 승객이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정보(면책 사유)로서, 상기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되고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500)는, 관리 대상인 버스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리 서버(500)는, 특정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할 경우, 1회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경우 마다, 일종의 벌점을 기재하고, 장기간 상기 특정 버스 및/또는 상기 특정 버스의 운전자에 대한 상기 벌점의 누적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관리 서버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상기 특정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 경우 마다, 무정차 통과한 정류장의 영상을 첨부시킨다. 추후에 상기 관리 서버의 관리자는, 상기 무정차 통과의 경우에 첨부된 정류장 영상을 보고,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없어서 무정차 통과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승객이 없었던 경우에는, 벌점을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상기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각 버스에 대한 감시 정보로 이루어진 테이블이다.
도시한 테이블의 하나의 행은, 1회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사건에 대한 감시 정보를 구성한다.
도시한 감시 정보는,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 버스의 식별 정보(예: 버스의 차량 번호), 상기 버스의 노선 정보(예: 노선 번호), 무정차 통과한 정류장의 정보(예: 노선상 정류장 순번), 무정차 통과 사건이 발생한 시간, 무정차 통과시 해당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 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해당 버스의 운전자 정보(예: 사번 등 운전자 식별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버스 제어 시스템은,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사건이 발생하면,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로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하거나, 정류장에 설치된 승객 감지 장치에서 획득된 정보를 상기 버스 및/또는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버스 제어 시스템은, 운행 중인 버스에 장착되는 버스 단말 장치(201);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통신 장치(401); 및 차고지 등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관리 서버(5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5의 버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 단말 장치(201)는, 외부의 관리 서버(501)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221); 정류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41);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부(261); 및 상기 버스가 상기 저장부에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상기 정류장을 통과하면, 하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에서 획득한 정류장 촬영 영상(또는 승객 감지 장치의 센싱값)을 상기 관리 서버(501)로 전송하는 제어부(2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5의 버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류장 통신 장치(401)는, 정류장을 촬영하는 카메라(411); 상기 버스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버스 통신 모듈(421);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 모듈(441); 및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는 비컨 신호를 방송하는 비컨 송출부(461); 및 상기 구성요소들(411, 421, 441, 46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81)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1)의 제어부(281)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감시하지만,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의 제어부(481)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410)는 정류장의 상부(예: 지붕있는 정류장의 천정 부근)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카메라 대신 또는 상기 카메라와 함께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승객 감지 센서(예: 초음파 센서, 열감지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대신 승객 감지 센서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제어부(281)는,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면, 그때 상기 승객 감지 센서의 센싱값을 상기 관리 서버(5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410)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류장 무정차 통과에 따른 근거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 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버스 정류장에서의 치안 확보를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일종의 CCTV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1)은, 예컨대, CDMA 방식의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랜 망에 접속되어, 상기 관리 서버(5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1)과 일차적으로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는 장치는 범용적인 무선 통신망의 기지국, 또는 범용적인 무선 랜 AP(Acess Point)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지국 또는 AP가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221)은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를 경유하여 상기 관리 서버(50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치 판단부(261)는 GPS 위성에서 방송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GPS 모듈, 버스의 가속도값을 적분하여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가속도 계산 모듈, 및 위치를 알고 있는 복수 개(적어도 3개 이상)의 기준 기지국에서 방송되는 비컨 신호들로부터 삼각 측량법을 적용하여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는 비컨 신호 수싱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도 상기 기준 기지국의 하나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비컨 송출부(461)에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1)는, 도 2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세 내용은 후술하겠다.
상기 제어부(281)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버스가 특정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면, 상기 정류장에 승객이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통신 모듈(221)을 통해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로, 정류장 촬영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이를 요청받은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의 제어부(481)의 동작은 구현에 따라 하기 2가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첫번째 구현예의 경우 상기 제어부(481)는,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1)의 정류장 촬영 영상 전송 요청 정보와 함께, 상기 카메라(411)에서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501)로 전송한다. 즉, 도 2의 S180 단계를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의 제어부(481)가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류장 촬영 영상 전송 요청 정보에는,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1)가 장착된 버스의 식별 정보(예: 버스의 차량 번호), 상기 버스의 노선 정보(예: 노선 번호), 무정차 통과한 정류장의 정보(예: 노선상 정류장 순번), 무정차 통과 사건이 발생한 시간 등의 정보들이 첨부될 수 있다.
두번째 구현예의 경우 상기 제어부(481)는, 상기 버스 통신 모듈(421)을 통해,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1)로, 상기 카메라(411)에서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전송한다. 즉, 도 2의 S180 단계를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1)의 제어부(281)가 수행할 수 있다.이 경우, 상기 영상을 전송받은 버스 단말 장치(201)의 제어부(281)는,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1)가 장착된 버스의 식별 정보(예: 버스의 차량 번호), 상기 버스의 노선 정보(예: 노선 번호), 무정차 통과한 정류장의 정보(예: 노선상 정류장 순번), 무정차 통과 사건이 발생한 시간 등의 정보들과,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501)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제어부(281)도, 상술한 도 2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서의 S130 단계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로 정류장 촬영 영상을 요청하여 전송받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130 단계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에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10)로부터 상기 목적 정류장 촬영 영상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180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501)로 전송하는 정보는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상기 S130 단계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에 상기 목적 정류장의 촬영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 내에 저장할 수 있다.(이 경우 상기 S180 단계에서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 내에 저장된 영상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 내 제어부(481)가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카메라 대신 승객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정류장의 승객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81)가 수행하는 상기 도 2의 흐름도 중 상기 S130 단계는, 상기 센서의 센싱값을 요청하여 전송받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130 단계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에 상기 센서의 센싱값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10)로부터 상기 센서의 센싱값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180 단계에서 상기 관리 서버(501)로 전송하는 정보는 정류장의 촬영 영상이, 상기 센서의 센싱값으로 대체되는 것에 차이가 있고, 다른 내용은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개선된 구현의 버스 단말 장치(201)는,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있는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며, 이를 위해, 도 1의 구성에 영상 판단부(미도시) 및 통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선된 내용인 영상 판단부 및 통보부도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501)도, 관리 대상인 버스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501)의 상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겠다.
상기 관리 서버(401)에서 관리하는 각 버스에 대한 감시 정보로 이루어진 테이블은,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도 4에 도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테이블은, 도 4에 도시한 테이블 구조에서, 무정차 통과시 해당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 파일 정보 대신 상기 승객 감지 센서의 센싱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버스 제어 시스템은,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사건이 발생할 것을 예상하면,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한다.
본 실시예의 사상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은, 도 6에 도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6의 도시한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의 버스 제어 시스템은, 운행 중인 버스에 장착되는 버스 단말 장치(203);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통신 장치(403); 및 차고지 등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관리 서버(5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구성을 따른 본 실시예의 버스 단말 장치(203)는, 정류장을 촬영할 수 있는 자세로 버스에 장착된 카메라(213); 외부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223); 상기 카메라(213)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며, 목적 정류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43);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부(263); 상기 카메라(213)에서 획득된 영상에서, 목적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영상 판단부(253);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통보부(273); 및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제어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판단부(253)는, 상기 카메라(213)에서 획득된 영상에서, 목적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정류장의 형태는 정형화되어 있고, GPS 신호 또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3)에서 방송하는 신호로부터, 버스와 상기 목적 정류장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일반적인 영상처리 기술로 구현이 용이하다. 예컨대,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버스에서 촬영 각도로 특정 크기 및 형태와 근사한 사다리꼴 형태의 윤곽선이 추출되는 영역을 정류장으로 간주하고, 상기 정류장으로 간주된 영역 내부에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윤곽선이 추출되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통보부(273)는, 상기 영상 판단부(253)에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있음을 통보받으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상기 통보부(273)는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시각적 수단(예: 경고등, 디스플레이) 및/또는 청각적 수단(예: 스피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보부(273)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80)는,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를 적어도 2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가 소정의 제1 기준값 미만, 제2 기준값(제2 기준값 < 제1 기준값) 이상이면, 버스의 정류장 근접으로 판단하고, 상기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 제2 기준값 미만이면, 버스의 정류장 초근접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버스는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였다가, 초근접하게 되고, 다시 근접하였다가,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80)는,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였다가 근접하였을 때까지 버스가 정차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상기 영상 판단부에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있다고 판단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시각/청각적 수단으로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80)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는 시점은, 구현에 따라 상기 버스가 상기 초근접 영역에 위치하기 시작하는 시점 또는 상기 초근접 영역에 위치하였다가 벗어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3)는 도 7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버스 제어 방법은,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S310);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20); 상기 S32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버스가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40); 상기 S340 단계의 수행 결과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50); 상기 S35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버스가 정류장에 초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360); 상기 S36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지 않으면(S365),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S380);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85); 상기 S385 단계의 수행 결과, 버스가 정류장을 이탈하면,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S390)를 포함한다.
상기 S310 단계에서는, 버스가 운행을 개시한 후, 최초로 향하게 되는 정류장을 목적 정류장으로 설정한다. 버스는 노선 순서대로 노선에 속한 정류장들을 통과하게 되는 바, 상기 목적 정류장은 상기 노선 순서에 따른 버스의 이동에 따라 변경된다.
상기 S320 단계에서는, 상기 위치 판단부(263)가 판단한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저장부(243)에 저장된 목적 정류장(즉, 현재 시점의 버스가 도착할 정류장)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버스와 상기 목적 정류장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버스의 현재 좌표와, 상기 저장부(243)에 저장된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계산된 버스와 상기 목적 정류장의 거리가, 소정값(예: 하기 제1 기준값) 미만이면,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340 단계는, 상기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버스가, 상기 정류장을 이탈하기 전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된 버스가 상기 정류장을 이탈하기 전에 정차하면, 상기 정류장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버스의 정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기존 버스 차량에 설치된 속력계(구동축의 회전을 이용한 속력계)의 센싱값 또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 또는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버스 차량의 속력 또는 속도가 0이면, 버스가 정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버스의 정차 여부를, 버스의 정지 뿐만 아니라, 승객이 승하차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개방한 것으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 S340 단계에서는, 버스의 정지와 출입문의 개방이 모두 발생하였을 때 버스의 정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버스의 정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속력계(구동축의 회전을 이용한 속력계)의 센싱값 또는 가속도 센서의 센싱값 또는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출입문의 개방 여부는 출입문에 설치된 개폐 감지 센서의 센싱값으로부터 판단될 수 있다.
상기 S340 단계에서, 버스가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면, 버스가 규정에 따라, 정류장에 정차한 것이므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상기 정류장에 대한 절차를 종료하고, 노선 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한다(S390). 이후, 변경된 목적 정류장에 대하여, 상기 S3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350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한 초근접 영역에 도달하기 시작하는 것을 판단하거나, 또는, 상기 초근접 영역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가 소정의 제1 기준값 미만, 제2 기준값(제2 기준값 < 제1 기준값) 이상이면, 버스의 정류장 근접으로 판단하고, 상기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 제2 기준값 미만이면, 버스가 정류장에 상기 초근접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360 단계에서, 정류장 승객 확인은,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3)의 카메라(213)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대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버스에서 촬영 각도로 특정 크기 및 형태와 근사한 사다리꼴 형태의 윤곽선이 추출되는 영역을 정류장으로 간주하고, 상기 정류장으로 간주된 영역 내부에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윤곽선이 추출되는지를 검사하여, 승객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360 단계는,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S35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380 단계에서는, 시각적 수단 및/또는 청각적 수단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한 무정차 통과를 경고할 수 있다.
상기 S385 단계에서는, 상기 위치 판단부(263)가 판단한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S385 단계에서 근접한 정류장(즉, 버스가 도착한 정류장)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의 버스와 상기 정류장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버스의 현재 좌표와, 상기 저장부(243)에 저장된 도착한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계산된 버스와 도착한 정류장의 거리가, 소정값 이상이면, 버스가 상기 도착한 정류장에서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320 단계에서 정류장 근접의 기준이 되는 소정값과, 상기 S385 단계에서 정류장 이탈의 기준이 되는 소정값은, 구현에 따라,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S390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의 노선상 상기 목적 정류장의 다음 정류장을 목적 정류장으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버스 제어 시스템은,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사건이 발생할 것을 예상하고, 정류장에 설치된 카메라로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거나, 정류장에 설치된 승객 감지 센서의 센싱값으로부터,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있다고 판단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한다.
본 실시예의 사상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은, 도 8에 도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의 도시한 구조를 가지는 본 실시예의 버스 제어 시스템은, 운행 중인 버스에 장착되는 버스 단말 장치(204);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통신 장치(404); 및 차고지 등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관리 서버(50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 단말 장치(204)는, 외부의 관리 서버(504)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224); 정류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44);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부(264);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통보부(274); 및 하기 정류장 통신 장치에서 전송받은 정보가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함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제어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류장 통신 장치(404)는, 정류장의 승객 존재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수단으로서 상기 정류장을 촬영하는 카메라(414); 상기 버스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버스 통신 모듈(424);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 모듈(444); 및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는 비컨 신호를 방송하는 비컨 송출부(4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수단으로서 카메라(414)가 사용된 경우,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4)는, 상기 카메라(414)에서 획득된 영상에서, 목적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영상 판단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4)의 제어부(284)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감시하지만,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4)의 제어부(484)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414)는 정류장의 상부(예: 지붕있는 정류장의 천정 부근)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감시 수단으로서, 상기 카메라 대신 또는 상기 카메라와 함께 정류장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는 승객 감지 센서(예: 초음파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대신 승객 감지 센서가 설치된 경우, 상기 제어부(284)는, 버스가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면, 그때 상기 승객 감지 센서의 센싱값을 상기 관리 서버(504)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24) 및 상기 위치 판단부(264)는 상기 실시예 2의 설명과 거의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하겠다.
상기 제어부(28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버스가 승객이 있는 목적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는 것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84)는,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할 것을 예상하면, 통신 모듈(224)을 통해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4)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승객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한다.
이를 요청받은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4)의 제어부(484)는, 상기 목적 정류장의 승객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4)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정류장의 승객 존재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수단으로서 카메라(414)가 적용된 경우, 상기 목적 정류장의 승객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는 상기 카메라(414)에서 촬영한 영상이며, 상기 감시 수단으로서 승객 감지 센서가 적용된 경우, 상기 목적 정류장의 승객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는 상기 승객 감지 센서의 센싱값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도시한 영상 판단부(254)는 생략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은 버스 단말 장치(204)의 상기 영상 판단부(254)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에서, 목적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정류장의 형태는 정형화되어 있고, GPS 신호 또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에서 방송하는 신호로부터, 버스와 상기 목적 정류장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승객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일반적인 영상처리 기술로 구현이 용이하다. 예컨대,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버스에서 촬영 각도로 특정 크기 및 형태와 근사한 사다리꼴 형태의 윤곽선이 추출되는 영역을 정류장으로 간주하고, 상기 정류장으로 간주된 영역 내부에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윤곽선이 추출되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는, 상기 영상 판단부를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1)가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4)는, 상기 영상 판단부(254)에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있음을 통보받으면, 상기 통보부(274)를 이용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상기 통보부(274)는 운전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시각적 수단(예: 경고등, 디스플레이) 및/또는 청각적 수단(예: 스피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4)는, 본 실시예의 사상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버스 제어 방법은,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 6에 도시한 과정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S360 단계의 경우,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근거 데이터를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4)로부터 획득함에 상기 실시예 3과 차이가 있다.
예컨대,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4)의 카메라(414)가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S360 단계를 수행한다면, 상기 S360 단계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4)로 정류장 촬영 영상을 요청하여 전송받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360 단계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4)에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4)로부터 상기 목적 정류장 촬영 영상을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송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목적 정류장의 승객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 3에서 상술한 대로,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버스에서 촬영 각도로 특정 크기 및 형태와 근사한 사다리꼴 형태의 윤곽선이 추출되는 영역을 정류장으로 간주하고, 상기 정류장으로 간주된 영역 내부에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윤곽선이 추출되는지를 검사하여, 승객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4)의 승객 감지 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S360 단계를 수행한다면, 상기 S360 단계는, 상기 정류장 통신 장치(404)로 상기 센싱값을 요청하여 전송받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센서의 센싱값이 사람이 감지됨을 나타내면, 상기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360 단계의 내용을 제외한 다른 과정들은 상기 제3 실시예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겠다.
본 실시예의 버스 제어 시스템은,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사건이 발생할 것을 예상하면,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하고, 버스의 정류장 무정차 통과 사건이 발생하면, 버스에 설치된 카메라로 정류장을 촬영한 영상을 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버스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버스 제어 시스템은, 운행 중인 버스에 장착되는 버스 단말 장치(205);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는 정류장 통신 장치(405); 및 차고지 등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는 관리 서버(5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7의 버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 단말 장치(205)는, 정류장을 촬영할 수 있는 자세로 버스에 장착된 카메라(215); 외부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225);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며, 정류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45);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부(265);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통보부(275); 및 상기 버스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상기 정류장을 통과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505)로 전송하며, 상기 정류장에 승객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버스가 상기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제어부(2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7의 버스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류장 통신 장치(405)는,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을 감지하기 위한 승객 감지 센서(415); 상기 버스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버스 통신 모듈(425);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 모듈(445); 정류장을 식별할 수 있는 비컨 신호를 방송하는 비컨 송출부(465); 및 상기 버스 단말 장치(205)로부터 요청에 따라 상기 승객 감지 센서(415)의 센싱값을 상기 버스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4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 내용은,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의 상세 구성 설명에서 유추가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겠다.
상기 제어부(285)는 도 10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른 버스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버스 제어 방법은,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S310);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20); 상기 S32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버스가 정류장에 근접하면, 버스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S430);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40); 상기 S340 단계의 수행 결과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50); 상기 S35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버스가 정류장에 초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360); 상기 S360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지 않으면(S365),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S380);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85); 상기 S385 단계의 수행 결과, 버스가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488); 및 목적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S190)를 포함한다.
상기 각 단계에 대한 상세 내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의 상세 구성 설명에서 유추가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겠다.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버스에 대한 제어 방법 및 버스 단말 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명칭을 부여하였으나, 이는 기재의 편의에 따른 것일 뿐, 정해진 노선을 따라 다수 개의 역(정류장)들을 운행하는 운행하는 지상 교통 수단에도,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경우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200 ~ 205 : 버스 단말 장치
210 ~ 215 : 카메라
220 ~ 225 : 통신 모듈
240 ~ 245 : 저장부
260 ~ 265 : 위치판단부
280 ~ 285 : 제어부
400 ~ 405 : 정류장 통신 장치
500 ~ 505 : 관리 서버

Claims (22)

  1.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획득된 영상을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스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장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에 설치된 카메라를 동작시켜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하는 버스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장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목적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통신 장치에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한 촬영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제어 방법.
  4. 버스에 설치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것을 개시하는 단계;
    무정차 통과 여부 감시의 대상이 되는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스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소정값 미만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는 버스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정차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버스의 속력 또는 속도가 0이고, 상기 버스의 출입문 개방이 발생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버스 제어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서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버스 제어 방법.
  8.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정류장에 초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지 않으면,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정류장을 이탈하면,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스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소정의 제1 기준값 미만, 제2 기준값(제2 기준값 <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가 제2 기준값 미만이기 시작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한 것으로 판단하는 버스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소정의 제1 기준값 미만, 제2 기준값(제2 기준값 <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버스와 목적 정류장의 거리가 제2 기준값 미만이었다가, 다시 제2 기준값 이상이기 시작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한 것으로 판단하는 버스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정차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버스의 속력 또는 속도가 0이고, 상기 버스의 출입문 개방이 발생하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한 것으로 판단하는 버스 제어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서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에서는,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획득된 상기 버스의 현재 좌표와, 미리 저장된 상기 목적 정류장의 좌표의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거리가,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는 버스 제어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버스에서 촬영 각도로 특정 크기 및 형태와 근사한 사다리꼴 형태의 윤곽선이 추출되는 영역을 상기 목적 정류장으로 간주하고, 상기 목적 정류장으로 간주된 영역 내부에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윤곽선이 추출되는지를 검사하여, 승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버스 제어 방법.
  14.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정류장에 초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지 않으면,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획득된 영상을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버스 제어 방법.
  15. 근접하는 정류장을 촬영할 수 있는 자세로 버스에 장착된 카메라;
    외부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며, 상기 정류장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부; 및
    상기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상기 정류장을 통과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버스 단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상 판단부;
    및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통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버스 단말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정류장에 설치된 정류장 통신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버스 단말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면, 상기 획득된 영상을 외부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버스 단말 장치.
  19. 외부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
    정류장 위치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버스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부;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통보부; 및
    하기 정류장 통신 장치에서 전송받은 정보가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함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할 것으로 예상하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버스 단말 장치와,
    정류장의 승객 존재 여부를 감시하는 감시 수단;
    상기 버스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버스 통신 모듈; 및
    상기 외부의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정류장 통신 장치
    를 포함하는 버스 제어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정류장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 단말 장치는,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에서, 목적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상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버스 제어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승객 감지센서이며,
    상기 버스 단말 장치는,
    근접하는 정류장을 촬영할 수 있는 자세로 버스에 장착된 카메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정류장에 승객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영상 판단부;
    및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통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스가 상기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고, 상기 정류장을 통과하면, 상기 저장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버스 제어 시스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무정차 통과를 감시할 목적 정류장을 설정하는 단계;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는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으면,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에 초근접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정류장에 초근접하면,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목적 정류장에 대기하는 승객이 존재하지 않으면, 정류장 무정차 통과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상기 목적 정류장을 이탈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버스가 정류장을 이탈하면, 노선상 다음 정류장으로 목적 정류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버스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버스 제어 시스템.






KR1020100028302A 2010-03-30 2010-03-30 버스 제어 방법 및 버스 단말 장치 KR20110108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302A KR20110108861A (ko) 2010-03-30 2010-03-30 버스 제어 방법 및 버스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302A KR20110108861A (ko) 2010-03-30 2010-03-30 버스 제어 방법 및 버스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861A true KR20110108861A (ko) 2011-10-06

Family

ID=4502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302A KR20110108861A (ko) 2010-03-30 2010-03-30 버스 제어 방법 및 버스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886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0650A (zh) * 2012-03-14 2013-09-18 刘锋利 公交车进站信息告知系统
CN104680825A (zh) * 2013-11-28 2015-06-03 姜太平 一种短距离公交站交互与信息发布系统及方法
KR20160082733A (ko) 2014-12-29 2016-07-11 (주)에이텍티앤 차량 내부의 영상 확인 기능을 갖는 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버스 안전 시스템
CN109686097A (zh) * 2019-03-08 2019-04-26 福建工程学院 一种公交车道占用监测系统
JPWO2018037954A1 (ja) * 2016-08-26 2019-06-20 ソニー株式会社 移動体制御装置、移動体制御方法、及び、移動体
KR102616346B1 (ko) * 2022-12-01 2023-12-20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Led 기반의 승객 대기 알림을 통한 버스 무정차 방지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0650A (zh) * 2012-03-14 2013-09-18 刘锋利 公交车进站信息告知系统
CN104680825A (zh) * 2013-11-28 2015-06-03 姜太平 一种短距离公交站交互与信息发布系统及方法
KR20160082733A (ko) 2014-12-29 2016-07-11 (주)에이텍티앤 차량 내부의 영상 확인 기능을 갖는 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버스 안전 시스템
JPWO2018037954A1 (ja) * 2016-08-26 2019-06-20 ソニー株式会社 移動体制御装置、移動体制御方法、及び、移動体
CN109686097A (zh) * 2019-03-08 2019-04-26 福建工程学院 一种公交车道占用监测系统
KR102616346B1 (ko) * 2022-12-01 2023-12-20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Led 기반의 승객 대기 알림을 통한 버스 무정차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1638B (zh) 信息收集系统以及信息收集装置
JP2021037950A (ja) 画像送信装置
JP4367353B2 (ja)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交通情報提供センタ、車載用情報収集装置
TWI633524B (zh) 交通監控系統
EP2442291B1 (en) Traffic event monitoring
KR101083885B1 (ko) 지능형 운전 보조 시스템들
CN108027615B (zh) 用于运行车辆的方法和设备
JP6819500B2 (ja) 駐車支援システムおよび駐車支援方法
KR20110108861A (ko) 버스 제어 방법 및 버스 단말 장치
US20080165252A1 (en) Monitoring system
JP63927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2008102762A (ja) 画像収集システム、記録装置
WO2018235274A1 (ja) 駐車制御方法及び駐車制御装置
JP6275351B1 (ja) 事故防止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87277A (ko)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반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교통안전 정보 제공 방법
JP2012098105A (ja) 事故発生場所周辺の映像収集システム
CN111386562B (zh) 停车位锁以及用于提供停车服务的系统和方法
JP2018180810A (ja) 交通違反検知装置、システム、交通違反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057724A (ja) 監視センタ、及び支援方法
JPH08124069A (ja) 車両事故情報伝達装置
WO2019244425A1 (ja) 障害物検知システム及び障害物検知方法
CN111369708A (zh) 车辆行驶的信息记录方法及装置
KR20190025165A (ko) 3d 교통단속장치를 이용한 주정차 단속 방법 및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20110096221A (ko)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23118835A (ja) 信号情報提供装置、信号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